KR100617513B1 - User menu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User menu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7513B1 KR100617513B1 KR1019990017158A KR19990017158A KR100617513B1 KR 100617513 B1 KR100617513 B1 KR 100617513B1 KR 1019990017158 A KR1019990017158 A KR 1019990017158A KR 19990017158 A KR19990017158 A KR 19990017158A KR 100617513 B1 KR100617513 B1 KR 1006175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nu
- user
- service
- code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905957 Channa melasom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04M1/7247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wherein the items are sorted according to specific criteria, e.g. frequency of us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readable menu service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SMS 등과 같은 양방향 서비스시에 사용자가 자신이 주로 방문하고 필요로 하는 정보들로 구성된 메뉴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된 메뉴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메뉴 접속의 중간단계를 생략하여 최종 정보를 얻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SMS 메시지의 트래픽 양을 줄이기 위한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rmediate step of accessing a menu by allowing a user to edit a menu including information mainly visited and required by a user during an interactive service such as SM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ransmitting the edited menu to a terminal. In order to minimize the time it takes to obtain the final information and to reduce the amount of traffic of SMS messages to provide a user-only menu service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3. Summary of Solution to Invention
본 발명은, 사용자가 메뉴 편집 수단에 접속하여 원하는 메뉴 항목을 편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편집된 메뉴 항목을 메뉴 리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전용 메뉴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단전문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뉴 항목을 입력한 사용자별로 전용 메뉴 코드를 할당하는 제 3 단계; 및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용 메뉴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단전문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전용 메뉴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해당 메뉴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로 서비스하는 제 4 단계를 포함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a first step in which a user accesses a menu editing means to edit a desired menu item; A second step of storing the edited menu item in a user-only menu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menu list message; A third step of assigning, by the expert service server, a dedicated menu code for each user who has entered the menu item; And a fourth step of, when the dedicated menu code is input from the terminal, the single-specialty service server searching for the user-only menu storing means and serving the corresponding menu list to the terminal.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사용자 전용 메뉴(Cusromized Menu), 직접접속코드(QC), 메뉴 리스트, 메뉴 편집, 단전문서비스(SMS)Cusromized Menu, Direct Access Code (QC), Menu List, Menu Edit, Single Professional Service (SMS)
Description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중 메뉴 입력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nu input process in a user-only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중 메뉴 제공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3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menu providing process of a user-only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이동국(MS) 12 : 기지국(BTS)11 mobile station (MS) 12 base station (BTS)
13 : 제어국/교환국(BSC/MSC) 14 : 홈위치등록기(HLR) 13: control station / station (BSC / MSC) 14: home position register (HLR)
15 : 단전문센터(SMC) 16 : 단전문서비스(SMS) 서버15: Single Expert Center (SMC) 16: Single Expert Service (SMS) Server
17 : 운용관리센터(OMC) 18 : 셀 방송 센터(CBC)17: Operation Management Center (OMC) 18: Cell Broadcasting Center (CBC)
19 : 셀 방송(CB)용 정보제공자(IP) 20 : 메뉴 편집 장치19: Information provider (CB) for cell broadcasting (CB) 20: Menu editing device
21 :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 user-only menu database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양방향 서비스시에 사용자 전용 메뉴(Customized Menu)를 서비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전문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한 주문형 정보 서비스 등과 같은 양방향 서비스시에 사용자가 자신이 주로 접속하는 메뉴를 중간단계 없이 즉시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SMS 메시지의 트래픽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rving a customized menu (User-Defined Menu) in a bidirectional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 particular, a user in a bidirectional service such as an on-demand information service using a short message service (SM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only menu service method for reducing the traffic volume of an SMS message by allowing a user to directly access a menu that he or she accesses without an intermediate step,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사용자에게 문자메시지를 전달해 주는 서비스인 SMS가 있다. 이러한 SMS는 국제 규격인 "TIA/EIA/IS-637"에 정의되어 있으며, 이동착신(MT : Mobile Termination) SMS, 이동발신(MO : Mobile Origination) SMS, 셀 방송(CB : Cell Broadcasting), 주문형 정보(IonD : Information On Demand) 서비스 등이 있다.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SMS, a service that delivers text messages to users. These SMS are defined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TIA / EIA / IS-637", Mobile Termination (MT), Mobile Origination (MO) SMS, Cell Broadcasting (CB), On-demand Information On Demand (IonD) service.
종래의 양방향 서비스는,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할 정보를 정하고 그에 따라서 메뉴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하면, 사용자는 전송된 메뉴를 바탕으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망에서 제공하는 불필요한 메뉴를 받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을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여러 단계의 메뉴를 거쳐야만 하므로 시간 지연이 있을 수 있고, 또한 각 단계마다 메뉴의 전송 및 선택을 반복함으로써 SMS 메시지의 트래픽 양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onventional interactive service, when a service provider selects information to be provided and configures a menu accordingly, the user selects desired information based on the transmitted menu. However, in this case, the user often receives unnecessary menus provided by the network, and there may be a time delay because the user has to go through several menus until the user obtains the desired final inform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traffic amount of the SMS message increases by repeating the transmission and selection of the menu every time.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SMS를 이용한 주문형 정보 서비스 등과 같은 양방향 서비스시에 사용자가 자신이 주로 방문하고 필요로 하는 정보들로 구성된 메뉴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고 편집된 메뉴를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메뉴 접속의 중간단계를 생략하여 최종 정보를 얻는데 걸리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SMS 메시지의 트래픽 양을 줄이기 위한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edit a menu consisting of information that the user mainly visits and needs at the time of two-way service, such as on-demand information service using SMS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uter to record user-specific menu service method an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by minimizing the time to obtain final information and reducing traffic volume of SMS message by eliminating the intermediate step of menu access by transmitting the edited menu to the terminal. The purpose is to provide a recording medium that can be read b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메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메뉴 편집 수단에 접속하여 원하는 메뉴 항목을 편집하는 제 1 단계; 상기 편집된 메뉴 항목을 메뉴 리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전용 메뉴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제 2 단계; 단전문서비스 서버가 상기 메뉴 항목을 입력한 사용자별로 전용 메뉴 코드를 할당하는 제 3 단계; 및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용 메뉴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단전문서비스 서버가 상기 사용자 전용 메뉴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해당 메뉴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로 서비스하는 제 4 단계 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r menu service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first step of a user accessing a menu editing means to edit a desired menu item; A second step of storing the edited menu item in a user-only menu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menu list message; A third step of assigning, by the expert service server, a dedicated menu code for each user who has entered the menu item; And a fourth step of, when the dedicated menu code is input from the terminal, the single-specialized service server searching for the user-only menu storage means and serving a corresponding menu list to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은 대용량 프로세서를 구비한 이동통신시스템에, 사용자가 메뉴 편집 수단을 통해 편집한 메뉴 항목을 메뉴 리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전용 메뉴 저장수단에 저장하는 기능; 단전문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메뉴 항목을 입력한 사용자별로 전용 메뉴 코드를 할당하는 기능; 및 단말기로부터 상기 전용 메뉴 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단전문서비스 서버에서 상기 사용자 전용 메뉴 저장수단을 검색하여 해당 메뉴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로 서비스하는 기능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large capacity processor, the function of storing a menu item edited by the user through the menu editing means in a user-specific menu storage means in the form of a menu list message; A function of allocating a dedicated menu code for each user who inputs the menu item in a specialized service server; And when the dedicated menu code is input from the terminal,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of serving the menu list to the terminal by searching for the user-specific menu storage means in the single-service server. To provid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예시도로서,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서비스시에 사용자별로 개별화된 메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1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shows a configuration of a system for providing a menu customized for each user in a bidirectional servic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에서 양방향 서비스시에 사용자별로 개별화된 메뉴의 제공을 위한 시스템은, 이동국(MS : Mobile Station)(11), 기지국(BTS : 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12), 제어국/교환국(BSC/MSC : Base Station Controller/Mobile Switching Center)(13), 홈위치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14), 단전문서비스 메시지 센터(SMC : SMS Message Center)(15), 단전문서비스(SMS) 서버(16), 운용관리 센터(OMC : Operating Management Center)(17), 셀 방송 센터(CBC : Cell Broadcating Center), 셀 방송(CB)용 정보제공장치(IP : Information Provider)(19), 메뉴 편집 장치(20), 그리고 사용자 전용 메뉴(Customized Menu) 데이터베이스(21)를 구비한다.As shown in FIG. 1, in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system for providing a menu customized for each user in a bidirectional service includes a mobile station (MS) 11 and a base station transceiver (BTS). System (12), Control Station / MSC (Base Station Controller / Mobile Switching Center) (13), Home Location Register (HLR) (14), Professional Service Message Center (SMC: SMS) Information for Message Center (15), Single Professional Service (SMS) Server (16), Operation Management Center (OMC) (17), Cell Broadcasting Center (CBC), Cell Broadcasting (CB) An information provider (IP) 19, a
양방향 서비스시에 사용자별로 개별화된 메뉴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이동통신시스템의 단전문서비스 서버(16)에 사용자별로 개별화된 메뉴를 구성할 수 있는 메뉴 편집 장치(웹 페이지, 전용 컴퓨터/터미널, 전용 응용 프로그램 포함)(20)와 편집된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가 연동되어야 한다.In order to provide a menu customized for each user at the time of the interactive service, a menu editing device (web page, dedicated computer / terminal, dedicated) that can configure a menu customized for each user in a single
이동국(11)은 임의의 기지국(12)의 범위내에 있고, 이동국(11)의 정보는 기지국(12)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국/교환국(13)로 전송되며, 제어국/교환국(13)으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12)을 거쳐 이동국(11)으로 전송된다. The
이동국(11)은 사용자가 소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문자 수신시는 순방향채널(Forward Channel)을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역방향채널(Reverse Channel)을 사용한다. 이때, 모든 문자 정보는 SMS를 이용하는데, 수신시에는 이동착신(MT) SMS를 이용하고, 발신시에는 이동발신(MO) SMS를 이용한다.The
이동국(11)은 기지국(12), 제어국/교환국(13) 등을 통하여 단전문서비스 시스템(즉, 단전문서비스 메시지 센터(15), 단전문서비스 서버(16), 셀 방송 센터(18) 등을 포함)으로 논리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The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시스템은 수신시 CDMA 이동통신시스템 방식의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Date Burst Message)를 사용하고, 길이가 긴 MT 메시지이거나, 사용자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순방향 트래픽 채널(Forward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로 해당 문자 메시지를 전송한다. 또한, 문자메시지 발신시 액세스 채널(Access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고, 메시지가 일정 길이 이상일 경우에는 역방향 트래픽 채널(Reverse Traffic Channel)의 데이터 버스트 메시지를 사용하여 송신한다.In general,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es a data burst message of a paging channel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pon reception, and is a long MT message or a forward traffic channel when a user is busy. The text message is transmitted as a data burst message of a forward traffic channel. In addition, when a text message is transmitted, a data burst message of an access channel is used, and when the message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length, the burst message is transmitted using a data burst message of a reverse traffic channel.
이동국(11)에서 송수신된 문자 메시지는 고주파 신호처리 및 호처리를 위한 기지국(12)을 통해 제어국/교환국(13)으로 접속된다.The text message transmitted and received at the
기지국(12)은 이동국(11)을 제어국/교환국(13)에 접속시키며, 디지털 채널장치(DCU : Digital Channel Unit), 시간/주파수 제어장치(TCU : Timing/Frequency Control Unit), 무선주파수 장치(RFU : Radio Frequency Unit), 및 위치측정시스템(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12)은 이동국(11)과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제어국/교환국(13)과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The
제어국/교환국(13)의 기능을 살펴보면, 제어국은 기지국(12)을 교환국에 접속시켜 기지국(12)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기지국(12)과 교환국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하고, 교환국은 홈 위치 등록기(14), 단전문서비스 메시지 센터(17)와 연동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호를 처리한다. 또한, 교환국은 제어국과 접속하여 이동국(11)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처리 및 부가서비스 관련 각종 기능을 수행한다. Looking at the function of the control station /
이러한 제어국/교환국(13)은 일반 호, SMS 메시지 등을 라우팅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is control station /
홈 위치 등록기(14)는 제어국/교환국(13) 및 단전문서비스 메시지 센터(15)에 연결되어 이동전화 가입자의 각종 정보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SMS, CB 등의 부가서비스 가입여부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 The
이러한 홈 위치 등록기(14)는 여러 제어국/교환국(13)과 연동하여 가입자 위치 등록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이동국(11) 및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저장하며, 교환국내에 실장된 이동국(11)과 관련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tor Location Register)와 상호 작용하여 호처리 및 부가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지원한다.The
단전문서비스 메시지 센터(15)는 제어국/교환국(13), 홈 위치 등록기(14), 단전문서비스 서버(16), 운용 관리 센터(17)에 연결되어 SMS 처리에 핵심을 담당하며, SMS 파라미터를 설정하고, 입력되는 신호의 통신서비스 식별자(TI : Teleservice Identifier)와 착신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망 요소로 메시지를 전송한다. 특히, 단전문서비스 메시지 센터(15)는 해당 메시지가 단전문서비스 서버(16)로 설정되어 있으면 제어국/교환국(13)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단전문서비스 서버(16)로 전송한다.The single professional
단전문서비스 서버(16)는 운용 관리 센터(17), 셀 방송 센터(18), 셀 방송용 정보제공자(19), 및 메뉴 입력 장치(20)와 연동되고, 특히 단전문서비스 메시지 센터(15)와 연동되어 SMS 가입자의 단말기 종류, 서비스 종류 등을 저장하고 있다가 해당 통신서비스 식별자(TI : Teleservice Identifier)를 이용하여 외부에서 온 정보를 단전문서비스 메시지 센터(15)로 전송한다.The single
셀 방송 센터(CBC)(18)는 방송형 정보 서비스와 관련된 작업을 하는 서버로서, 셀 방송용 서버(CBS : CB Server)라고도 하며, CB용 정보제공장치(19)와 연결되어, 이로부터 정보를 받아서 방송 정보 메시지의 전송과 스케쥴링 등 방송정보 서비스와 관련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한다.The cell broadcasting center (CBC) 18 is a server that performs work related to a broadcast type information service, also called a cell broadcasting server (CBS: CB Server), and is connected to an
사용자별로 개별화된 메뉴를 제공받기 위해서 우선 각 사용자는 자신만의 개별화된 메뉴를 구성할 수 있는 메뉴 편집 장치(20)를 이용해 자신이 받기를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이때, 메뉴 편집 장치(20)는 편집된 메뉴를 메뉴 리스트(Manu List)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하는데, 이러한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되는 메뉴 리스트 메시지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order to receive a personalized menu for each user, each user must first select and input a menu that he / she wants to receive using the
여기서, "PN"은 페이지 번호(Page Number), "QCp"는 헥사코드("0xffffff"), "QCc"는 사용자가 전용으로 할당받은 직접접속코드(Quick code), "Menu_1,2"는 메뉴 이름, "QC1,2"는 해당 메뉴의 직접접속코드(Quick Code)를 나타낸다.Here, "PN" is a page number, "QCp" is a hexadecimal code ("0xffffff"), "QCc" is a user-assigned direct code (Quick code), and "Menu_1, 2" is a menu. The name, "QC1,2", indicates the Quick Code of the menu.
사용자별로 개별화된 메뉴를 제공받기 위해서 각 사용자가 이동국(11)의 양방향 정보 서비스 메뉴로 들어가서 코드 입력시 자신에게 할당된 개별화된 코드를 입력하면, MO SMS 메시지가 단전문서비스 서버(16)로 전달되고, 단전문서비스 서버(16)는 그 코드값을 읽어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 메뉴 리스트 메시지를 가져와 MT SMS 메시지로 만들어 이동국(11)으로 전달한다. 이때, 이동국(11)은 전달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다음 선택을 받게 된다.In order to provide a personalized menu for each user, each user enters the bidirectional information service menu of the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은, 먼저 사용자가 메뉴 편집 장치(2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메뉴 항목을 편집하면, 메뉴 편집 장치(20)가 편집된 메뉴 항목을 메뉴 리스트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한다. 이때, 단전문서비스 서버(16)는 자신이 원하는 메뉴 항목을 입력한 사용자별로 전용 메뉴 코드를 할당해야 한다. 이후에, 사용자가 이동국(11)을 통해 망에 접속하여 부여받은 전용 메뉴 코드를 입력하면, 단전문서비스 서버(16)가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를 검색하여 해당 메뉴 리스트를 이동국(11)으로 전송한다. 이중 메뉴 입력 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the user-only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when a user accesses the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중 메뉴 입력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2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input process in a user-only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중 메뉴 입력 과정은, 먼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자신이 받기를 원하는 메뉴 항목이 입력되면(201), 사용자별로 개별화된 메뉴를 구성할 수 있는 메뉴 편집 장치(20)가 메뉴 리스트의 메뉴 항목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입력된 메뉴 항목의 최대 개수를 분석한다(202).As shown in FIG. 2, the menu input process of the user-only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irst configure a menu customized for each user when a menu item desired by the user himself is input (201). Since the
분석결과, 입력된 메뉴 항목이 최대 개수를 초과하면 에러 처리한 후에(203) 다시 메뉴 항목을 입력받는 단계(201)로 천이하고, 그렇지 않으면 편집된 메뉴를 메뉴 리스트(Manu List) 메시지의 형태로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한다(204).As a result of analysis, if the number of input menu items exceeds the maximum number, after processing the error (203),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201 to receive the menu items again; otherwise, the edited menu is in the form of a menu list (Manu List) message. Stored in user-specific menu database 21 (204).
한편,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중 사용자 전용 메뉴(Customized Menu)를 위한 단전문서비스 서버(16)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single-specialized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전용 메뉴 서비스 방법중 메뉴 제공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상세 흐름도이다.3 is a detailed flowchart illustrating a menu providing process of a user-only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별 메뉴 서비스 방법중 메뉴 제공 과정은, 먼저 단말기(11)의 양방향 정보 서비스 메뉴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개별화된 코드가 입력되면(301), MO SMS 메시지가 단전문서비스 서버(16)로 전달되어 단전문서비스 서버(16)에서 그 코드값을 분석하여(302), 전용 집적접속코드(Quick Code)인지를 검사한다(303).As shown in Figure 3, the menu providing process of the user-specific menu servi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ersonalized code selected by the user in the bidirectional information service menu of the terminal 11 is input (301), MO SMS message The single
검사결과, 전용 집적접속코드(Quick Code)이면, 사용자 전용 메뉴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된 메뉴 리스트를 가져와(304) MT SMS 메시지로 만들어 단말기(11)로 전달한다(305). 이때, 단말기(11)는 전달된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다음 선택을 받게 된다.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f the dedicated integrated code (Quick Code), the menu list stored in the user-
검사결과, 전용 직접접속코드가 아니면, 요구 코드에 해당하는 메뉴 리스트를 기존의 메뉴 데이터베이스에 생성한 후에(306) MT SMS 메시지로 만들어 단말기(11)로 전달한다(305).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if it is not a dedicated direct access code, a menu list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code is generated in the existing menu database (306) and then made into an MT SMS message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11 (305).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ccompanying It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 자신이 주로 접속하는 메뉴를 중간단계 없이 즉시 접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에서 발생하는 SMS 메시지의 트래픽량을 줄일 수 있고, 사용자로 하여금 불필요한 네비게이션(Navigation)을 줄일 수 있도록 하여 최종 정보를 획득하는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으며, 자원이 한정된 단말기가 부가적인 메모리를 쓰지 않고 사용자 전용 메뉴(Customized Menu)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traffic volume of SMS messages generated in a network by allowing a user to immediately access a menu accessed mainly by the user without an intermediate step, and enable the user to reduce unnecessary naviga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peed up the time of acquiring the final information and to reduce the memory usage by allowing a resource-limited terminal to use a customized menu without using additional memory.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7158A KR100617513B1 (en) | 1999-05-13 | 1999-05-13 | User menu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7158A KR100617513B1 (en) | 1999-05-13 | 1999-05-13 | User menu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3705A KR20000073705A (en) | 2000-12-05 |
KR100617513B1 true KR100617513B1 (en) | 2006-09-01 |
Family
ID=1958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1715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7513B1 (en) | 1999-05-13 | 1999-05-13 | User menu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751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51576A (en) * | 2000-12-22 | 2002-06-29 | 박태형 | Method For Transmitting A Short Message Noted With Command Code |
KR100411891B1 (en) * | 2001-04-09 | 2003-12-24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Method for implement user interface in hand hel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
KR20040051727A (en) * | 2002-12-11 | 2004-06-19 |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 Apparatus for instituting individual environment of handset and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11339A (en) * | 1996-07-15 | 1998-04-30 | 김광호 | How to set up shortcut keys, how to use them, and devices suitable for them in a terminal of a main intangible video service system (VOD) |
-
1999
- 1999-05-13 KR KR1019990017158A patent/KR10061751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80011339A (en) * | 1996-07-15 | 1998-04-30 | 김광호 | How to set up shortcut keys, how to use them, and devices suitable for them in a terminal of a main intangible video service system (V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73705A (en) | 2000-1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103117B1 (en) | Integration of voice and data services provided to a mobile wireless device | |
CA2320981C (en) | Change of service profile of mobile subscriber | |
US6956831B1 (en) | Wireless initiated messaging | |
KR100929090B1 (en) | Wireless-terminal for auto-managing national code and method for storing and searching phone number using the wireless-terminal | |
US660091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ransmission of selected media programs to a wireless subscriber | |
WO1998023108A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accessing telephone numbers | |
WO200704031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corating short message from origination point | |
US20120034933A1 (en) |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a system and a mobile network through an ip channel, corresponding portable object and system | |
KR100212937B1 (en) | How to Receive GSM Standard Network Data | |
KR100617513B1 (en) | User menu service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EP1169872B1 (en) | Managing service components of mobile terminal | |
KR100629144B1 (en) | SMS based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 |
KR100593475B1 (en) | Network information search method in terminal | |
KR100882432B1 (en) | Roaming local local service providing system, overseas roaming content server and roaming local local service providing method | |
CN1964536B (en) |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instance mess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method | |
US6081712A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messages between devices of a mobile radiotelephone network | |
KR100358160B1 (en) | Method for information service on deman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0668640B1 (en) | How to minimize transmission message for on-demand information service | |
US20120143905A1 (en) | Data transmission and receiving system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a user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 |
KR100574558B1 (en) | Connection control method and connection contro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0592774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additional servic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extended short message service | |
KR100413220B1 (en) | Cdma terminal capable of accepting gsm sim and setting additional service and method thereof, and roaming service system for providing the same service | |
KR100584325B1 (en) | Method for 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20040039659A (en) | A system informing the waiting ticket of a bank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 |
KR100587779B1 (en) | Method of providing voicemail menu lis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051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05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3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