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7080B1 -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7080B1
KR100617080B1 KR1020050012316A KR20050012316A KR100617080B1 KR 100617080 B1 KR100617080 B1 KR 100617080B1 KR 1020050012316 A KR1020050012316 A KR 1020050012316A KR 20050012316 A KR20050012316 A KR 20050012316A KR 100617080 B1 KR100617080 B1 KR 100617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oor
window
driving
forced ventilation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1437A (ko
Inventor
최인호
최호선
이주연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7080B1/ko
Priority to EP05011859A priority patent/EP1703221B1/en
Priority to ES05011859T priority patent/ES2328044T3/es
Priority to US11/147,431 priority patent/US20060199513A1/en
Priority to CNA2005100783746A priority patent/CN1821673A/zh
Publication of KR20060091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7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7080B1/ko
Priority to US11/826,296 priority patent/US20070264927A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6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means responsive to temperature, e.g. bi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2Carbon monoxi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제환기와 자연환기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실내 공간에 실내외 공기를 급배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100);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실내외 공기를 덕트를 통해 급배기시키는 강제환기장치(200); 창문들을 개별적으로 개폐시켜 외부 공기에 의해 실내 공간을 자연 환기시키는 창문개폐장치(300); 그리고, 상기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공기조화 시스템, 강제환기장치, 창문개폐장치

Description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여닫이 창문에 적용된 창문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미닫이 창문에 적용된 창문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덕트 110 : 급기 덕트
120 : 배기 덕트 200 : 강제환기장치
300,400 : 창문개폐장치 310,410 : 개폐유닛
320,420 : 구동유닛 W1,W2 : 창문
311 : 하우징 312 : 볼스크류
321 : 기어박스 322 : 모터
411 : 종동기어 412 : 구동기어
본 발명은 공기조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제환기와 자연환기를 수행할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주택, 주상복합 아파트 또는 일반 아파트에는 실내 공간을 환기시키기 위해 환기 시스템이 설치된다. 이러한 환기 시스템은 공기를 급배기 시키는 환기 장치와 공기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덕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환기장치는 베란다 측면에 설치되고, 급배기 덕트는 천정에 설치되며, 상기 급배기 덕트에는 실내 공간의 공기를 급배기 할 수 있도록 급배기 디퓨져가 연결된다. 이러한 환기 시스템은 팬에 의해 공기를 급배기시키고, 전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외로 급배기 된다. 이때, 전열교환기는 온도차를 이용한 현열교환과 습도차를 이용한 잠열교환을 수행하여 일부의 에너지를 회수한다. 이러한 환기 시스템의 작용에 의해 각 실내 공간에는 신선한 공기가 급기되거나 실내 공간의 오염 공기가 배기된다.
최근에는 새집증후군으로 인체에 악영향을 미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환기 시스템이 사용되기도 한다. 상기 휘발성 유기화합물은 피부염과 발암 등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건물의 각종 건자재에서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포함한 각종 화학물질이 대략 300여종 정도 나오며, 이 중 발암물질로서는 포름알데히드가 가장 큰 주범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환기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실내 공간을 강제환기 방식으로만 환기시키므로, 사용자가 직접 베란다 창문을 열어 환기시키지 않는 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배출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최근의 건물들은 기술의 발전과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창문틈이나 문틈을 통해 공기가 유출입되는 양이 현저히 감소되고 있다. 따라서, 날씨가 추울 경우에는 대부분 환기를 시키지 않고 창문을 닫아 놓기 때문에, 환기 시스템을 가동한다 하더라도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소량만이 외부로 배출되며, 거주자들이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노출되는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환기장치와 실외기 등이가 장착되는 기계실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해보다라도, 상기 환기 시스템의 용량을 대폭 증가시키기는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강제환기와 자연환기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수행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외 온도와 실내외 습도를 고려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기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환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형태에 따르면, 실내 공간에 실내외 공기를 급배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실내외 공기를 덕트를 통해 급배기시키는 강제환기장치; 창문들을 개별적으로 개폐시켜 외부 공기에 의해 실내 공간을 자연 환기시키는 창문개폐장치; 그리고, 상기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외 온도 및 습도와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수단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문개폐장치는, 해당 창문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개폐유닛와, 상기 이송유닛에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결합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실내외 온도 및 습도와 실내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실내 오염도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실내 공기의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실외 온도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실외 온도 범위에 속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실외 온도 범위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강제환기장치를 구동시켜 실내 공간을 강제환기시키는 단계; 상기 실외 온도 범위에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실내외 온도차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실내외 온도차에 속하는 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실내외 온도차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창문개폐장치를 구동시켜 창문을 개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실내외 온도차에 속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실외 상대 습도를 판단하여 창문의 개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실내외 온도차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경우, 실내 상대 습도를 판단하여 강제환기장치를 제어함에 따라 풍량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가동하여 창문을 닫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강제환기와 자연환기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수행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배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실내외 온도와 실내외 습도를 고려하여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으며, 환기 시스템의 용량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환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공기조화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며, 도 3은 여닫이 창문에 적용된 창문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미닫이 창문에 적용된 창문개폐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공기조화 시스템은, 실내 공간에 실내외 공기를 급배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100)와,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실내외 공기를 덕트를 통해 급배기시키는 강제환기장치(200)와, 창문들을 개별적으로 개폐시켜 외부 공기에 의해 실내 공간을 자연 환기시키는 창문개폐장치(300)와, 상기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2 참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덕트(100)는 실내의 구획된 공간들에 실내외 공기를 급배기시킬 수 있도록 분지(分枝)된다. 이러한 덕트는 급기 덕트(110)와 배기덕트(120)로 구분된다. 도 1은 공기조화 시스템이 큰 평수의 실내 공간에 설치된 예를 나타낸 것이며, 급기 덕트(110)는 실선, 배기 덕트(120)는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이때, 급기 및 배기 덕트의 실내측 끝단부에는 급기 및 배기 디퓨져가 연결되는데, 상기 디퓨저는 급배기 덕트의 끝단에 동그라미로 표시된 것이다. 또한, 상기 덕트는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강제환기장치(200)는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가 상호 교차하면서 열교환되는 전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송풍시키는 송풍팬(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강제환기장치에는 전열교환기가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열교환기(200)에는 급기되는 실외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필터(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창문개폐장치(300)는 모든 또는 일부의 창문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창문개폐장치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개폐시키는 미닫이 창문과, 밀거나 잡아당겨 회전시키면서 개폐시키는 여닫이 창문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창문 및 창문개폐장치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외 온도 및 습도와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수단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상기 제어부에는 도 2와 같이 실내 온도 센서, 실내 습도 센서, 실외 온도 센서, 실외 습도 센서 및 VOC 센서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VOC 센서는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장치이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상술한 센서들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상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는 의미는 유무선 통신을 모두 포함하여 연결된다는 의미이다.
상술한 센서들은 강제환기장치(200) 내부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강제환기장치의 실외 공기 흡입측에는 실외의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설치하고, 강제환기장치의 실내 공기 흡입측에는 실내의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조는 전선 또는 통신선의 연결 길이를 짧게 하는 점에 이롭다.
물론, 상기 센서들은 디퓨져(미도시)에 장착될 수도 있다. 예컨데, 상기 급기 디퓨져에는 실외의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배기 디퓨져에는 실내의 온도 센서와 습도 센서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도 2와 같이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에서 강제환기장치 및 창문개폐장치를 제어한다. 이때, 사용자는 리모트 콘트롤러과 같은 무선입력장치나 각종의 유선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상기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창문개폐장치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개폐되는 미닫이 창문과, 회전되면서 개폐되는 여닫이 창문에 적용될 수 있다. 창문의 형태에 따라 적용될 수 있는 창문개폐장치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미닫이 창문에 적용되는 창문개폐장치의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창문개폐장치(300)는 미닫이 창문(W1)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개폐유닛(310)과, 상기 개폐유닛에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결합되는 구동유닛(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유닛(310)은, 미닫이 창문(W1)의 창문틀에 배치되고, 내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하우징(311)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구동유닛(3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면에 나선부가 형성된 볼스크류(3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볼스크류(312)는 하우징(3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320)은 볼스크류(312)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잇수가 상이한 기어를 구비한 기어박스(321)와, 상기 기어박스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3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어박스(321)는 미닫이 창문(W1)의 이송 속도를 감안하여 적당한 기어비를 가져야 한다. 또한, 구동모터와 볼스크류의 회전방향을 감안하여 홀수 또는 짝수의 기어를 기어결합시켜야 한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320)은 상기 볼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미닫이 창문(W1)에 적용되는 창문개폐장치(300)는 벨트(belt) 또는 랙과 피니언(rack and pinion) 형태의 동력전달수단을 적용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또, 창문개폐장치(300)에는 신체의 일부나 외부 물체가 창문에 끼일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 유닛(320)의 작동을 멈출 수 있도록 별도의 안전장치(미도시)가 설치되는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창문개폐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여닫이 창문에 적용되는 창문개폐장치의 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창문개폐장치(400)는 여닫이 창문(W2)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개폐유닛(410)과, 상기 개폐유닛에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결합되는 구동유닛(4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유닛(410)은, 여닫이 창문(W2)에 배치되는 종동기어(411)와, 상기 종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420)에 축결합되는 구동기어(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411)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1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적어도 2개 이상이 기어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음도 이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창문(W2)의 개폐속도 및 창문의 회전 토크를 감안하여 종동기어와 구동기어의 기어비를 설계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여닫이 창문(W2)의 창문개폐장치(400)에도 상술한 안전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개폐유닛(410)은 상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여닫이 창문을 개방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소정의 정보를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를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가동시킨다. 이때, 제어부에서는 실내외 온도 및 습도와 실내의 오염도(VOC 오염도)를 판단하여, 상기 환기장치들을 선택적 또는 동시적으로 가동시키게 된다.
상기 강제환기장치가 가동되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는 전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되고, 상기 실외 공기는 외부로 토출되는 실내 열교환기의 열에너지를 일정량 흡수한 후 실내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실내 공간이 강제적으로 환기된다.
이때, 상기 감지수단들은 실내외 공기의 온도, 습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오염도를 측정하고, 이 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에서는 이 정보를 전달받아 창문개폐장치를 가동시킬 지를 판단하며, 또한, 창문의 개도를 어느 정도 개방시킬 지도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에 의해 상기 제어부에서 창문개폐장치를 가동시키면, 상기 창문들이 소정 개도 개방되어 외부 공기가 직접적으로 실내 공간에 유입된다. 따라서, 빠른 시간 내에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다. 습도나 온도가 쾌적한 상태에서는 실내 공간을 자연환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오염도가 농후한 경우에도 자연환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서 실내 공간의 온도, 습도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의 조건이 기 설정된 범위 내라고 판단되면,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가동하여 창문을 닫는다. 이 경우에는 실내 공간이 강제환기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공기조화 시스템이 가동되면, 감지수단들이 실내외 온도 및 습도와 실내 오염도(VOC 오염도)를 감지한다(S110). 이러한 정보들은 전기적 또는 통신에 의해 제어부에 전달된다.
먼저, 상기 제어부에서는 실내 오염도(VOC 오염도)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제1오염도 범위(VOC≤K ppm)에 속하는 가를 판단한다(S110). 이때, 상기 VOC 오염도는 공기조화 시스템이 사용되는 각 나라의 실내기준법 내지 환경오염법의 고시 기준에 따라 기준치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실내 공기의 VOC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면, 이보다 낮은 제2 VOC 오염도 범위(VOC≤R ppm)에 속하는 지를 판단한다(S11). 이를 만족시키면 강제환기장치를 정지시킴과 아울러 창문개폐장치를 가동하여 창문을 폐쇄시킨다(S112). 또한, 이를 만족시키지 못하면 강제환기장치의 팬을 저속회전시켜 실외 공기를 최약풍으로 공급되도록 하고 실내 공기의 배출량도 감소시킨다(S113).
또한, 상기 실내 공기의 VOC 오염도가 기 설정된 오염도 범위를 벗어났다고 판단되면, 실외 온도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실외 온도 범위에 속하는 가를 판단한 다(S120). 가량, 실외 온도가 8℃ 이하이거나 또는 40℃ 이상이인지를 판단한다. 여기서, 8℃는 사람이 평균적으로 쌀쌀하다고 느끼는 온도이며, 40℃는 매우 더운 날의 온도이다. 이러한 온도는 공기조화 시스템이 사용되는 지역의 환경이나 지역민의 기호를 감안하여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이때, 제어부에서 기 설정된 실외 온도 범위에 속한다고 판단되면, 강제환기장치를 구동시켜 실내 공간을 강제환기시킨다(121). 이때, 강제환기장치의 팬은 저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약풍으로 실내공간을 환기시킨다. 그리고, 창문개폐장치를 가동하여 창문을 폐쇄시킨다. 이는 실내외 온도차가 현저하게 차이가 나는 경우에, 사용자의 건강을 위해 창문을 통해 외기가 직접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어부에서 기 설정된 실외 온도 범위를 벗어난다고 판단되면, 실내외 온도차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온도차에 속하는 가를 판단한다(130). 가령, 실내외 온도차가 3℃정도 차이가 나는 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실내외 온도차가 기 설정된 온도차를 만족하면, 실외 공기의 상대 습도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한다(S140). 가령, 실외 공기의 상대습도가 40~60%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를 만족하면, 강제환기장치를 정지시키고, 창문개폐장치를 가동하여 창문의 개도를 최대로 한다(S141). 또한, 이를 만족하지 못할 때에도 강제환기장치는 정지시키지만, 창문개폐장치를 가동하여 창문의 개도를 최소로 개방한다(S142). 따라서, 상기 실내외 온도차가 적을 때에는 상기 실외 공기의 습도에 관계없이 상기 강제환기장치는 항상 정지된다.
또한, 상기 실내외 온도차가 기 설정된 온도차를 만족하면,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온도 범위에 속하는지를 판단한다(150). 가령, 실내 공기의 상대습도가 40~60% 범위에 속하는 지를 판단한다. 이를 만족하면, 강제환기장치를 가동하여 풍량을 최대로 하고, 창문개폐장치를 가동하여 창문을 닫는다(S151). 또한, 이를 만족시키지 않으면, 강제환기장치를 가동하여 풍량을 약으로 하고, 창문개폐장치를 가동하여 창문을 닫는다(S152). 따라서, 상기 실내외 온도차가 클 경우에는 상기 실내 공기의 습도에 관계없이 창문을 닫는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를 이용하여 실내 공간을 강제환기 및 자연환기시키므로, 주위 환경에 따라 자동으로 실내 공간을 환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배출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에 의해 실내를 환기시키므로, 강제환기장치의 용량을 증가시키고도 환기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강제환기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기계실의 크기에 거의 제한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외의 온도와 습도를 감안하여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를 제어하므로, 주위 환경에 따라 적절한 환풍이 가능하고 습도조절이 가능하며 VOC 오염도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실내 공간에 실내외 공기를 급배기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덕트;
    상기 덕트에 연결되고, 실내외 공기를 덕트를 통해 급배기시키는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제환기장치;
    창문들을 개별적으로 개폐시켜 외부 공기에 의해 실내 공간을 자연 환기시키는 창문개폐장치; 그리고,
    상기 강제환기장치와 창문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기조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실내외 온도 및 습도와 실내의 오염도를 측정할 수 있는 감지수단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개폐장치는:
    해당 창문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는 개폐유닛; 그리고,
    상기 개폐유닛에 구동력을 발생하도록 결합되는 구동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미닫이 창문에 배치되고, 나선부가 형성된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볼스크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볼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잇수가 상이한 기어를 구비한 기어박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에 축결합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볼스크류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유닛은:
    여닫이 창문에 배치되는 종동기어;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구동유닛에 축결합되는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8. 실내외 온도 및 습도와 실내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제어부에 기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실내공기의 오염도가 제어부에 기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면, 실외공기의 오염도를 기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창문을 폐쇄하는 단계;
    실외공기의 오염도가 기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면, 송풍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강제환기장치를 구동하지않는 단계;
    실외공기의 오염도가 기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구동시켜 강제환기를 하는 단계;
    실내공기의 오염도의 기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실외 온도가 제어부에 기설정된 실외 온도 범위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실외 온도 범위에 속하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구동하여 실내 공간을 강제환기시키고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창문을 폐쇄하는 단계;
    상기 실외 온도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실내외 온도차가 제어부에 기 설정된 실내외 온도차에 속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실내외 온도차에 속하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창문을 개방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실내외 온도차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구동하고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창문을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공기의 오염도가 기설정된 오염도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구동시켜 강제환기를 하는 단계에서,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최약풍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외 온도 범위에 속하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구동하여 실내 공간을 강제환기시키고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창문을 폐쇄하는 단계에서,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약풍으로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 온도차에 속하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구동하지 않고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창문을 개방하는 단계에서,
    실외상대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창문이 최대로 개방되도록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며,
    실외상대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상기 창문이 최소로 개방되도록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외 온도차에 속하지 않으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구동하고 상기 창문개폐장치를 구동하여 창문을 폐쇄하는 단계에서,
    실외상대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있으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강하게 구동하며,
    실외상대습도가 기설정된 범위 밖에 있으면, 상기 강제환기장치를 약하게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050012316A 2005-02-15 2005-02-15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17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316A KR100617080B1 (ko) 2005-02-15 2005-02-15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EP05011859A EP1703221B1 (en) 2005-02-15 2005-06-01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S05011859T ES2328044T3 (es) 2005-02-15 2005-06-01 Sistema de ventilacion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el mismo.
US11/147,431 US20060199513A1 (en) 2005-02-15 2005-06-08 Ventil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A2005100783746A CN1821673A (zh) 2005-02-15 2005-06-20 通风系统及其控制方法
US11/826,296 US20070264927A1 (en) 2005-02-15 2007-07-13 Vantilat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316A KR100617080B1 (ko) 2005-02-15 2005-02-15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437A KR20060091437A (ko) 2006-08-21
KR100617080B1 true KR100617080B1 (ko) 2006-08-30

Family

ID=36407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3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7080B1 (ko) 2005-02-15 2005-02-15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060199513A1 (ko)
EP (1) EP1703221B1 (ko)
KR (1) KR100617080B1 (ko)
CN (1) CN1821673A (ko)
ES (1) ES2328044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098B1 (ko) * 2010-08-31 2010-11-22 (주)유호스트 개폐형 냉각유지 시스템의 상부보드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579B1 (ko) * 2005-04-28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221523B2 (en) * 2005-10-13 2012-07-17 Orava Applied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 for the uninterruptible filtering of gas
KR100730304B1 (ko) * 2007-01-10 2007-06-19 이영준 자연급기와 강제배기를 겸한 환기 유니트 및 제어방법
DE202007016687U1 (de) * 2007-11-29 2008-04-17 Disch, Markus Überwachungseinrichtung zum Energiesparen beim Belüften von beheizbaren Innenräumen
KR101632884B1 (ko) * 2008-12-23 2016-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US20110039490A1 (en) * 2009-08-12 2011-02-17 James Wiese Window Fan
US8155797B2 (en) 2009-08-12 2012-04-10 James Wiese Window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fan unit
KR100966077B1 (ko) * 2009-12-21 2010-06-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기계식 및 자연식 혼합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및 환기방법
FR2963045B1 (fr) 2010-07-23 2012-08-31 Somfy Sas Dispositif de commande de l'etat d'un panneau mobile d'un dispositif de fermeture d'un batiment
FR2963049B1 (fr) 2010-07-23 2012-08-17 Somfy Sas Dispositif de commande d'un dispositif de fermeture d'un batiment et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tel dispositif
KR101365949B1 (ko) * 2012-08-14 2014-03-04 주식회사 에어패스 배연 및 재연 소방 환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9618224B2 (en) * 2013-07-26 2017-04-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ir quality based ventilation control for HVAC systems
US20180023834A1 (en) * 2016-07-20 2018-01-25 Vivint, Inc. Efficient management of indoor conditions
CN106338126A (zh) * 2016-08-30 2017-01-18 江西兴海床具有限公司 一种节能型卧室空调智能控制系统
CN106705226A (zh) * 2017-01-06 2017-05-24 成都易态易优健康科技有限公司 分体式空气净化机组
US10458669B2 (en) 2017-03-29 2019-10-2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hermostat with interactive installation features
US10731885B2 (en) 2017-04-14 2020-08-04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hermostat with occupancy detection via proxy measurements of a proxy sensor
EP3610203A4 (en) 2017-04-14 2021-01-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ULTIFUNCTIONAL THERMOSTAT WITH INTELLIGENT FAN CONTROL FOR FREEZE / MOLD PROTECTION AND AIR QUALITY CONTROL
WO2018191688A2 (en) 2017-04-14 2018-10-18 Johnson Controls Techology Company Thermostat with exhaust fan control for air quality and humidity control
EP3610204A4 (en) 2017-04-14 2021-05-1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ULTIFUNCTIONAL THERMOSTAT WITH INTELLIGENT SUPPLY FAN CONTROL, INTENDED TO OPTIMIZE AIR QUALITY AND ENERGY USE
WO2018191510A1 (en) 2017-04-14 2018-10-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Multi-function thermostat with air quality display
WO2018191703A1 (en) 2017-04-14 2018-10-1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Thermostat with preemptive heating, cooling, and ventilation in response to elevated occupancy detection via proxy
US11131474B2 (en) 2018-03-09 2021-09-28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Thermostat with user interface features
KR101940452B1 (ko) * 2018-06-14 2019-01-18 홍승수 복수의 공간의 상태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환기시스템
CN110553319A (zh) * 2019-08-21 2019-12-10 中徽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病房内空气置换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11441690A (zh) * 2020-03-05 2020-07-24 金文亚 一种基于熵计算的室内通风系统
KR102188972B1 (ko) * 2020-04-06 2020-12-10 원태연 창문 장착형 스마트 환기청정기
US11760169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rticulate control systems and methods for olfaction sensors
US12017506B2 (en) 2020-08-20 2024-06-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ssenger cabin air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2269315B2 (en) 2020-08-20 2025-04-0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easuring and managing odor brought into rental vehicles
US11760170B2 (en) 2020-08-20 2023-09-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Olfaction sensor preservation systems and methods
US12251991B2 (en) 2020-08-20 2025-03-1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Humidity control for olfaction sensors
US11828210B2 (en) 2020-08-20 2023-11-28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of vehicles using olfaction
US11932080B2 (en) 2020-08-20 2024-03-19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iagnostic and recirculatio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US11813926B2 (en) 2020-08-20 2023-11-14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Binding agent and olfaction sensor
US11636870B2 (en) 2020-08-20 2023-04-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moking cess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881093B2 (en) 2020-08-20 2024-01-23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moking in vehicles
US11231192B1 (en) * 2020-09-30 2022-01-25 Varun A. Shah Cooling and heating methodology and systems
CN112413803B (zh) * 2020-11-19 2022-02-01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气净化方法、空气净化设备及存储介质
DE102021127067A1 (de) 2021-10-19 2023-04-20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Lüftungsvorrichtung
DE102022108935A1 (de) * 2022-04-12 2023-10-12 Viessmann Climate Solutions Se Verfahren zum Steuern eines Lüftungssystems, Lüftungssystem und Steu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0915A (en) * 1927-11-11 1931-06-23 Parkscrame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humidifying and cooling the air of inclosures
US3044823A (en) * 1956-04-11 1962-07-17 Trico Products Corp Vehicle window control system
US3199858A (en) * 1962-09-11 1965-08-10 Joseph P Koblensky Power window operator
US3337990A (en) * 1964-05-26 1967-08-29 Iwata Yoshiaki Temperature controlled windows
US4041645A (en) * 1975-06-13 1977-08-16 Nourse Jack T Window control devices
US4920698A (en) * 1988-10-28 1990-05-01 Noran Powered sliding truck cab window
US5226256A (en) * 1989-05-12 1993-07-13 Aug. Winkhaus Gmbh & Co., Kg Window system for a building
DE4023673A1 (de) * 1990-07-26 1992-02-06 Vedder Gmbh Geb Steuer- und regelsystem fuer bewegliche schutzeinrichtungen
US5290200A (en) * 1991-03-06 1994-03-01 Professional Supply, Inc. Detection and evacuation of atmospheric pollutants from a confined work place
US5257736A (en) * 1992-08-06 1993-11-02 Donald Roy Self-regulating air ventilation apparatus
DE4407276B4 (de) * 1994-03-04 2005-04-28 Geze Gmbh Ausstellvorrichtung für einen Flügel eines Fensters, Lüftungsklappe, Lichtkuppel, Tür oder dergleichen sowie Antrieb zur Bewegung zweier Bauteile relativ zueinander
US5520328A (en) * 1994-11-03 1996-05-28 Carrier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integrated zone indoor air quality control
US5791983A (en) * 1995-10-20 1998-08-11 Healthy Buildings International Demand ventilation system
US5902183A (en) * 1996-11-15 1999-05-11 D'souza; Melanius Process and apparatus for energy conservation in buildings using a computer controlled ventilation system
DE19854016C2 (de) * 1998-11-12 2003-06-05 Ingo Bruchhold Lüftungssystem
AU1857700A (en) 1998-12-23 2000-07-31 Vkr Holding A/S Computer controlle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ed natural ventilation of a building
WO2002001116A1 (en) * 2000-06-23 2002-01-03 Vkr Holding A/S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ventilation
US6609967B2 (en) * 2000-12-11 2003-08-26 Phoenix Controls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circulating air in a controlled ventilated environment
US6629886B1 (en) * 2001-01-09 2003-10-07 Kevin Estepp Demand ventilation module
FI20012183A7 (fi) * 2001-11-12 2003-05-13 Uponor Innovation Ab Ilmanvaihdon ohjausjärjeste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098B1 (ko) * 2010-08-31 2010-11-22 (주)유호스트 개폐형 냉각유지 시스템의 상부보드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9513A1 (en) 2006-09-07
EP1703221B1 (en) 2009-08-05
CN1821673A (zh) 2006-08-23
KR20060091437A (ko) 2006-08-21
US20070264927A1 (en) 2007-11-15
EP1703221A1 (en) 2006-09-20
ES2328044T3 (es) 2009-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7080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6749125B1 (en) Central air conditioning, cooling and whole-house ventilation system
US9933182B2 (en) System for optimising an environmental parameter of an enclosed space
KR102056470B1 (ko) 실내 환경 제어 시스템
US9664405B2 (en) Control system for energy recovery ventilator
KR100984118B1 (ko) 외기냉방 겸용 전열 교환 폐열회수 환기유니트
JP2009092364A (ja) 省エネルギー換気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省エネ建築物
KR100893835B1 (ko) 하이브리드 공조시스템 및 그 공조시스템을 이용한공조방법
JP4810296B2 (ja) 住宅用換気装置
JP3944181B2 (ja) 建物空調システム
KR101103780B1 (ko) 자연환기와 강제환기가 가능한 혼합형 하이브리드 환기장치
KR20100081452A (ko) 발코니부 설치형 이중외피 시스템 및 실내 환경 제어방법
KR20210098596A (ko) 결로방지형 전열교환기 환기시스템
KR100893073B1 (ko) 발코니 결로 방지 기능이 통합된 욕실 환기 시스템
GB2455813A (en) Combined natural light and ventilation duct
KR20200133107A (ko) 미닫이 창호 설치형 열교환 환기장치
JP2010091243A (ja) 省エネルギー換気システム及びそれを備えた省エネ建築物
JP2005009796A (ja) 換気量制御方法
KR200406144Y1 (ko)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JP3777528B2 (ja) 室内空気保全装置
JP2005037107A (ja) 共同住宅用換気装置
CN206583008U (zh) 一种中心机房智能新风节能系统
JPH11241843A (ja) 建物換気システム
EP4361517A1 (en) Dynamic insulation wall assembly and respective control method
CN213599514U (zh) 一种建筑外墙通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