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5432B1 -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432B1
KR100615432B1 KR1020050048705A KR20050048705A KR100615432B1 KR 100615432 B1 KR100615432 B1 KR 100615432B1 KR 1020050048705 A KR1020050048705 A KR 1020050048705A KR 20050048705 A KR20050048705 A KR 20050048705A KR 100615432 B1 KR100615432 B1 KR 10061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reservoir body
engine
venturi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인석
장성욱
황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스
Priority to KR102005004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43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1Arrangement of fuel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02M37/08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electrically 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18Multiple tanks, i.e. two or more separate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구분된 안장형 연료탱크에 있어서 연료펌프가 마련된 리저버몸체 내부로 연료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엔진에서 소모되고 복귀하는 연료나 엔진으로 압송되는 연료 일부를 이용하여 두 개의 독립적인 벤투리로 보조탱크의 연료는 물론 메인탱크의 연료를 연료펌프가 마련된 리저버몸체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시킴으로써, 비교적 엔진에서의 연료 소모가 많은 대형 엔진 차량은 물론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양분된 안장형 연료탱크가 마련된 차량에 적용하여, 리저버몸체 내부에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엔진의 부조나 스톨현상을 미연에 예방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료탱크, 리저버, 연료펌프, 벤투리, 레귤레이터

Description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Fuel supply device of fuel tank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의
제1벤투리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연료탱크 110 : 메인탱크
111 : 연료유입구 120 : 보조탱크
130 : 연료흡입관로 200 : 리저버몸체
300 : 연료펌프 310 : 연료공급관로
320 : 캡 400 : 연료반송관로
510 : 제1벤투리 520 : 제2벤투리
600 : 연료리턴관로 610 : 레귤레이터
본 발명은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구분된 안장형 연료탱크에 있어서 연료펌프가 마련된 리저버몸체 내부로 연료를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한 장치로써, 엔진의 부조나 스톨현상을 미연에 예방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는 차량에 구비되어 연료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 본체, 주입구파이프, 연료게이지의 센더유니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주행 중 연료의 요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몇 장의 격리판이 용접되어 있으며, 내면은 녹슬지 않도록 방청처리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차량의 연료탱크 내에는 액체 상태인 연료를 흡입하여 엔진으로 송출시키기 위한 연료펌프가 리저버몸체 내에 모듈화 된 상태로 적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탱크(10)와; 상기 연료탱크(10) 내에 마련되어 밀폐된 리저버몸체(20)와; 상기 리저버몸체(20)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31)를 통하여 엔진으로 압송시키는 연료펌프(30)와;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 내부로 반송시키는 연료반송관로(40)와; 상기 연료탱크(10) 하부에 연통된 연료유입구(11)가 상기 연료반송관로(40)의 중단에 연결되어 연료탱크(10)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 내부로 흡입하는 벤투리(5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저버몸체(20) 내의 연료펌프(30)가 연료공급관로(31)를 통하여 연료를 엔진으로 송출시키면, 상기 연료공급관로(31)의 중단에 마련된 연료필터(60)를 통과하면서 연료가 여과된 후 엔진에서 소모된다.
이후,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는 연료반송관로(40)를 통하여 상기 리저버몸체(20) 내부로 반송되는 데, 이때, 상기 연료반송관로(40)와 연료유입구(11)는 벤투리(50)에 연결되어 있어, 연료반송관로(40)로 반송되는 연료는 상기 벤투리(50)에 의해 리저버몸체(20) 외부의 연료를 연료유입구(11)를 통하여 리저버몸체(20)의 내부로 유입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리저버몸체(20) 내부의 연료는 연료펌프(30)에 의하여 엔진으로 압송되었다가, 엔진에서 소모되지 않은 연료가 리저버몸체(20) 내부로 반송되면서 벤투리(50)에 의하여 리저버몸체(20) 외부의 연료를 리저버몸체(20) 내부로 다시 채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는 단일 몸체로 이루어진 도 1과 같은 연료탱크에는 적용 가능하지만, 최근 차종에 따라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구분되는 안장형 연료탱크의 경우 보조탱크에 잔존하는 연료의 공급이 난해할 뿐 아니라, 엔진으로 공급된 연료가 엔진에서 대부분 소모되는 대형 엔진의 경우 반송되는 연료의 양이 극히 미소하여 리저버몸체 내부의 연료가 소진되어 엔진의 스톨(stall) 현상이나 부조현상을 야기하고 있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에서 소모되고 복귀하는 연료나 엔진으로 압송되는 연료 일부를 이용하여 두 개의 독립적인 벤투리로 보조탱크의 연료는 물론 메인탱크의 연료를 연료펌프가 마련된 리저버몸체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시킴으로써, 비교적 엔진에서의 연료 소모가 많은 대형 엔진 차량은 물론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양분된 안장형 연료탱크가 마련된 차량에 적용하여, 리저버몸체 내부에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엔진의 부조나 스톨현상을 미연에 예방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단 저면이 볼록하게 돌출 되어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구분된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메인탱크 내에 마련되어 밀폐된 리저버몸체와;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를 통하여 엔진으로 압송시키는 연료펌프와; 상기 보조탱크 하부에 연통된 연료흡입관로가 연결되어 보조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흡입하는 제1벤투리와; 상기 메인탱크 하부에 연통된 연료유입구가 연결되어 메인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흡입하는 제2벤투리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의 제1벤투리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저면이 볼록하게 돌출 되어 메인탱크(110)와 보조탱크(120)로 구분된 연료탱크(100)와; 상기 연료탱크(100)의 메인탱크(110) 내에 마련되어 밀폐된 리저버몸체(200)와;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310)를 통하여 엔진으로 압송시키는 연료펌프(300)와;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반송시키는 연료반송관로(400)와; 상기 보조탱크(120) 하부에 연통된 연료흡입관로(130)가 상기 연료반송관로(400)의 분기된 일측 중단에 연결되어 보조탱크(120)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흡입하는 제1벤투리(510)와; 상기 메인탱크(110) 하부에 연통된 연료유입구(111)가 상기 연료반송관로(400)의 분기된 타측 중단에 연결되어 메인탱크(110)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흡입하는 제2벤투리(52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 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1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언더바디 구조 및 차동축에 의하여 연료탱크(100)의 중단 저면이 볼록하게 돌출 되어 메인탱크(110)와 보조탱크(120)로 양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탱크(100)의 메인탱크(110) 내에는 엔진으로 연료를 압송시키기 위한 연료펌프(300)가 밀폐된 리저버몸체(200) 내에 모듈화 되어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연료펌프(300)는 리저버몸체(200)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310)를 통하여 엔진으로 송출시키게 되며,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는 연료반송관로(400)를 통하여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다시 반송된다.
이때, 상기 연료반송관로(400)는 리저버몸체(200)의 내부에서 두 개의 관로로 분기되어 하나는 제1벤투리(510)와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제2벤투리(520)에 연결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벤투리(510)에는 보조탱크(120) 내부와 연결된 연료흡입관로(130)가 연결되고, 상기 제2벤투리(520)에는 리저버몸체(200)의 외부와 연결된 연료유입구(111)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벤투리(510) 내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에 서 소모되고 연료반송관로(400)를 통하여 리저버몸체(200)의 내부로 반송되는 연료가 상기 제1벤투리(510)를 통과하면서 벤투리효과에 의하여 연료흡입관로(130) 내부의 연료를 흡입하게 됨으로써, 보조탱크(120) 내부의 연료를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강제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벤투리(510) 내부에서는 연료반송관로(400)의 단면이 급격하게 좁아지게 되면서 제1벤투리(510)를 통과하는 연료의 속도는 빨라지지만 압력은 저하됨으로써, 연료흡입관로(130) 내부의 연료를 강제적으로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벤투리(520) 내부에서는 상기와 동일한 작용을 통하여 메인탱크(110) 내부에 존재하는 리저버몸체(200) 외부의 연료를 연료유입구(111)를 통하여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강제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엔진에서 소모되고 반송되는 연료만을 이용하여 차체 구조상 메인탱크(110)와 보조탱크(120)로 양분된 연료탱크(100)의 모든 연료를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로,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2실시예는 중단 저면이 볼록하게 돌출 되어 메인탱크(110)와 보조탱크(120)로 구분된 연료탱크(100)와; 상기 연료탱크(100)의 메인탱크(110) 내에 마련되어 밀폐된 리저버몸체(200)와;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310)를 통하여 엔진으로 압송시키는 연료펌프(300)와;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 체(200) 내부로 반송시키는 연료반송관로(400)와; 상기 보조탱크(120) 하부에 연통된 연료흡입관로(130)가 상기 연료반송관로(400) 중단에 연결되어 보조탱크(120)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흡입하는 제1벤투리(510)와; 상기 메인탱크(110) 하부에 연통된 연료유입구(111)가 상기 연료공급관로(310) 중단에 연결되어 메인탱크(110)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흡입하는 제2벤투리(52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연료탱크(100)가 메인탱크(110)와 보조탱크(120)로 양분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탱크(100)의 메인탱크(110) 내에는 연료펌프(300)가 밀폐된 리저버몸체(200) 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펌프(300)는 리저버몸체(200)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310)를 통하여 엔진으로 송출시키게 되며,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는 연료반송관로(400)를 통하여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다시 반송된다.
여기에서, 상기 연료반송관로(400)는 리저버몸체(200)의 내부에서 별도의 분기 없이 직접 제1벤투리(5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연료공급관로(310)의 중단은 대략 'T'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상기 연료펌프(300)에 의하여 연료공급관로(310)를 통하여 압송되는 연료의 일부는 엔진으로 송출되지만, 나머지 연료는 직접 제2벤투리(520)로 송출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벤투리(510)에는 보조탱크(120) 내부와 연결된 연료흡입 관로(130)가 연결되고, 상기 제2벤투리(520)에는 리저버몸체(200)의 외부와 연결된 연료유입구(111)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벤투리(510) 내에서는 엔진에서 소모되고 연료반송관로(400)를 통하여 리저버몸체(200)의 내부로 반송되는 연료가 상기 제1벤투리(510)를 통과하면서 벤투리효과에 의하여 연료흡입관로(130) 내부의 연료를 흡입하게 됨으로써, 보조탱크(120) 내부의 연료를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강제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벤투리(520) 내부에서는 연료공급관로(310) 중단에서 직접 복귀하는 연료를 통하여 메인탱크(110) 내부에 존재하는 리저버몸체(200) 외부의 연료를 연료유입구(111)를 통하여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강제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엔진에서 소모되고 반송되는 연료를 이용하여 제1벤투리(510)가 양분된 연료탱크(100) 가운데 보조탱크(120)의 연료를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하는 동시에,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일부 복귀시켜 제2벤투리(520)가 메인탱크(110)의 연료를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3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단 저면이 볼록하게 돌출 되어 메인탱크(110)와 보조탱크(120)로 구분된 연료탱크(100)와; 상기 연료탱크(100)의 메인탱크(110) 내에 마련되어 밀폐된 리저버몸체(200)와;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310)를 통하여 엔진으로 압송시키는 연료펌프(300)와; 상기 연료공급관로(310)의 중단에 마련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고르게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610)에 연결된 연료리턴관로(600)와; 상기 보조탱크(120) 하부에 연통된 연료흡입관로(130)가 상기 연료리턴관로(600)의 중단에 연결되어 보조탱크(120)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흡입하는 제1벤투리(510)와; 상기 메인탱크(110) 하부에 연통된 연료유입구(111)가 상기 연료펌프(300)의 캡(320) 중단에 연결되어 메인탱크(110)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흡입하는 제2벤투리(520)로 구성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에 대한 제3실시예는 우선, 연료탱크(100)가 메인탱크(110)와 보조탱크(120)로 양분되어 있으며, 상기 연료탱크(100)의 메인탱크(110) 내에는 연료펌프(300)가 밀폐된 리저버몸체(200) 내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료펌프(300)는 리저버몸체(200)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310)를 통하여 엔진으로 송출시키게 되며,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는 별도로 상기 리저버몸체(200)로 다시 반송되지 않는다.
즉, 대형 엔진의 경우 엔진으로 공급된 연료의 대부분이 엔진에서 소모되기 때문에 비교적 대형의 엔진에 적용할 수 있는 실시예인 것이다.
이때, 상기 연료공급관로(310)의 중단은 대략 'T'자 형상으로 분기되어 레귤 레이터(600) 및 연료리턴관로(600)가 추가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레귤레이터(600)는 연료펌프(300)에 의하여 엔진으로 송출되는 연료가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레귤레이터(600)에 의하여 엔진으로 공급되지 않고 직접 연료탱크(100)로 복귀하는 연료는 연료리턴관로(600)를 통하여 제1벤투리(510)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연료펌프(300)에 의하여 연료공급관로(310)를 통하여 압송되는 연료의 일부는 엔진으로 송출되지만, 나머지 연료는 상기 연료펌프(300)의 캡(320) 내부에서 분기되어 직접 제2벤투리(520)로 송출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벤투리(510)에는 보조탱크(120) 내부와 연결된 연료흡입관로(130)가 연결되고, 상기 제2벤투리(520)에는 리저버몸체(200)의 외부와 연결된 연료유입구(111)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벤투리(510) 내에서는 레귤레이터(600)에 의하여 연료리턴관로(600)를 통하여 리저버몸체(200)의 내부로 반송되는 연료가 상기 제1벤투리(510)를 통과하면서 벤투리효과에 의하여 연료흡입관로(130) 내부의 연료를 흡입하게 됨으로써, 보조탱크(120) 내부의 연료를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강제 흡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2벤투리(520) 내부에서는 연료펌프(300)의 캡(320) 내부에서 직접 분기되어 복귀하는 연료를 통하여 메인탱크(110) 내부에 존재하는 리저버몸체(200) 외부의 연료를 연료유입구(111)를 통하여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강제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엔진에서 소모되고 반송되는 연료를 전혀 이용하지 않고, 레귤레이터(600)의 연료리턴관로(600)를 통하여 복귀하는 연료가 제1벤투리(510)가 양분된 연료탱크(100) 가운데 보조탱크(120)의 연료를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하는 동시에, 연료펌프(300)의 캡(320) 내부에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일부 복귀시켜 제2벤투리(520)가 메인탱크(110)의 연료를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는 엔진에서 소모되고 복귀하는 연료를 이용하거나 혹은, 엔진으로 압송되는 연료 가운데 일부를 직접 반송시켜 두 개의 독립적인 제1벤투리(510)와 제2벤투리(520)로 보조탱크(120)의 연료는 물론 메인탱크(110)의 연료를 연료펌프(300)가 마련된 리저버몸체(200) 내부로 항시 원활하게 유입시킬 수 있음으로써, 비교적 엔진에서의 연료 소모가 많아 엔진을 거쳐 반송되는 연료가 극히 미소한 대형 엔진 차량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차체의 언더바디 형상이나 차동축의 배치에 의하여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양분된 안장형 연료탱크가 마련된 차량에 손쉽게 적용하여, 리저버몸체 내부에 연료를 안정적이면서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엔진의 부조나 스톨현상을 미연에 예방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큰 이점이 있는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엔진에서 소모되고 복귀하는 연료나 엔진으로 압송되는 연료 일부를 이용하여 두 개의 독립적인 벤투리로 보조탱크의 연료는 물론 메인탱크의 연료를 연료펌프가 마련된 리저버몸체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시킴으로써, 비교적 엔진에서의 연료 소모가 많은 대형 엔진 차량은 물론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양분된 안장형 연료탱크가 마련된 차량에 적용하여, 리저버몸체 내부에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엔진의 부조나 스톨현상을 미연에 예방하여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중단 저면이 볼록하게 돌출 되어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구분된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메인탱크 내에 마련되어 밀폐된 리저버몸체와;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를 통하여 엔진으로 압송시키는 연료펌프와;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반송시키는 연료반송관로와;
    상기 보조탱크 하부에 연통된 연료흡입관로가 상기 연료반송관로의 분기된 일측 중단에 연결되어 보조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흡입하는 제1벤투리와;
    상기 메인탱크 하부에 연통된 연료유입구가 상기 연료반송관로의 분기된 타측 중단에 연결되어 메인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흡입하는 제2벤투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2. 중단 저면이 볼록하게 돌출 되어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구분된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메인탱크 내에 마련되어 밀폐된 리저버몸체와;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를 통하여 엔진으로 압송시키는 연료펌프와;
    엔진에서 소모되고 남은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반송시키는 연료반송관로와;
    상기 보조탱크 하부에 연통된 연료흡입관로가 상기 연료반송관로 중단에 연결되어 보조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흡입하는 제1벤투리와;
    상기 메인탱크 하부에 연통된 연료유입구가 상기 연료공급관로 중단에 연결되어 메인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흡입하는 제2벤투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3. 중단 저면이 볼록하게 돌출 되어 메인탱크와 보조탱크로 구분된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메인탱크 내에 마련되어 밀폐된 리저버몸체와;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의 연료를 연료공급관로를 통하여 엔진으로 압송시키는 연료펌프와;
    상기 연료공급관로의 중단에 마련되어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량을 고르게 유지시키는 레귤레이터에 연결된 연료리턴관로와;
    상기 보조탱크 하부에 연통된 연료흡입관로가 상기 연료리턴관로의 중단에 연결되어 보조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흡입하는 제1벤투리와;
    상기 메인탱크 하부에 연통된 연료유입구가 상기 연료펌프의 캡 중단에 연결되어 메인탱크 내의 연료를 상기 리저버몸체 내부로 흡입하는 제2벤투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KR1020050048705A 2005-06-08 2005-06-08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Expired - Lifetime KR10061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05A KR100615432B1 (ko) 2005-06-08 2005-06-08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05A KR100615432B1 (ko) 2005-06-08 2005-06-08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5432B1 true KR100615432B1 (ko) 2006-08-25

Family

ID=37601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705A Expired - Lifetime KR100615432B1 (ko) 2005-06-08 2005-06-08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4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321B1 (ko) * 2012-12-26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트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8321B1 (ko) * 2012-12-26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제트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476B2 (en) Fuel feed unit
BR0106720A (pt) Dispositivo para o transporte de combustìvel de um tanque de armazenamento para uma máquina de combustão interna de um veìculo automotor
KR20110084096A (ko) 연료송출시스템
BRPI0808158A2 (pt) Disposição de tanque de combustível para veículo
EP3382192A1 (en) Fuel system having a jet pump
KR20090127884A (ko) 송출 유닛
KR100615432B1 (ko) 차량 연료탱크의 연료공급장치
CN207178075U (zh) 一种油泵油路及柴油机动车
KR100916950B1 (ko)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연료펌프모듈의 듀얼 제트노즐
TWI356124B (en) Fuel supply device for motor vehicle
KR100793998B1 (ko) 안장형 연료탱크의 듀얼 제트펌프 구조
CN220849865U (zh) 摩托车双油箱燃油供给系统
JP2010180790A (ja) 燃料供給装置
JP2006083747A (ja) エンジンの燃料供給装置
CN109404135B (zh) 一种回油式输油控制系统
CN209261679U (zh) 一种回油式输油控制系统
CN210660382U (zh) 一种集成虹吸与射流结构的燃油泵
JP2010090830A (ja) 車両用燃料供給装置
CN219809082U (zh) 在燃油泵上的引射结构
KR100680537B1 (ko) 차량의 보조 연료공급장치
CN205277649U (zh) 防倒流汽油泵总成
JP2004353535A (ja) 燃料供給装置
CN101146992A (zh) 输送单元
KR100773367B1 (ko) 연료공급모듈의 제트펌프 구조
CN209100178U (zh) 一种带引射泵的燃油泵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24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7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