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5144B1 -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5144B1
KR100615144B1 KR1020040040320A KR20040040320A KR100615144B1 KR 100615144 B1 KR100615144 B1 KR 100615144B1 KR 1020040040320 A KR1020040040320 A KR 1020040040320A KR 20040040320 A KR20040040320 A KR 20040040320A KR 100615144 B1 KR100615144 B1 KR 100615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agnetic
fastening member
coupling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5409A (ko
Inventor
박성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04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5144B1/ko
Publication of KR20050115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5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5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514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결합되는 두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도 천공되는 결합공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하여 분해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결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 체결공을 갖고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상부인서트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 관통된 결합공을 갖고 상기 결합홈에 고정되는 하부인서트보스; 및 상기 하부인서트보스의 결합공을 통해 상기 상부인서트보스와 체결되되, 케이스 외측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결합되는 자성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케이스결합구조, 상하부케이스, 자성체결부재, 인서트보스, 외관, 분해

Description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Case joining structure for a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using a magnetic joining member}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완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도3의 "A"부 확대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케이스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상부인서트보스가 결합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자성체결부재를 갖는 하부인서트보스가 결합된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에 의한 결합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된 케이스의 단면도.
도9는 도8의 "B"부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케이스 11: 고정홈
20: 상부인서트보스 21: 나사홈
22: 체결공 30: 하부케이스
31: 결합홈 40: 하부인서트보스
40a: 수용공간 50: 자성스크류
51: 헤드부 60: 자성드라이버
본 발명은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케이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스에 결합공을 형성시키지 않고 자성체결부재를 통하여 상하부 케이스를 결합시킴으로써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의 분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무선호출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량보급에 따른 공중파를 이용한 통신이용자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다양한 기능의 이동통신 단말기들이 제공되고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 단말기를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는 상부 케이스(1)와 하부 케이스(2)를 이루며, 이들 케이스(1, 2)는 수지를 가열 용융하여 그 용융수지를 금형 내에 압입 사출하고, 그 압입 사출물을 냉각 고화하는 방식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케이스는 스크류 등의 결합부재에 의하여 서로 체결되어 일체화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가 결합되는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3은 종래기술에 따른 완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4는 도3의 "A"부 확대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는, 도2 내지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로 구성되는 케이스를 결합하는 케이스 결합구조에 있어서, 내면에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케이스(1)의 소정 부위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결합홈(1a); 상기 결합홈(1a)에 대응하는 하부케이스(2)에 천공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공(2a); 및 상기 결합공(2a)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결합홈(1a)과 나사결합되어 상부케이스(1)와 하부케이스(2)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인 스크류(3)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결합공(2a)을 통해 삽입된 스크류(3)는 일자 또는 십자홈을 갖는 헤드부(3a)가 하부케이스(2)의 외면으로 노출되어 케이스의 외관을 헤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 시트 등의 고무류으로 이루어진 커버체(4)를 부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케이스의 결합구조의 결합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케이스(1)의 결합홈(1a)에 하부케이스(2)의 결합공(2a)을 일치되게 위치시킨 후, 상기 결합공(2a)을 통해 스크류(3)를 삽입하고, 상기 스크류(3)는 일자 또는 십자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상부케이스(1)의 결합홈(1a)에 나사결합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케이스 결합구조는 케이스 결합부재인 스크류가 외측으로부터 삽입되되기 위하여 일측의 케이스, 여기에서는 하부 케이스에 결합공이 천공되어 있고, 이 천공된 결합공을 통해 상하부 케이스(1, 2)는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스크류의 헤드부는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제품의 외관을 헤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쉽게 분해할 수 있어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가 결합된 케이스 외측에 고무류의 커버체를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커버체를 부착하는 경우에도, 상기 커버체와 케이스 간에 이질감이 있어 미려한 외관을 갖는 케이스를 제공할 수 없고, 사용자는 상기 커버체를 제거한 후 쉽게 분해할 수 있어 고장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커버체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부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위적 으로 커버체를 제거하거나, 장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커버체가 떨어져 나갈 경우, 그 부위에는 접착제의 잔존물이 남게되어 케이스 외관을 더욱 훼손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결합되는 두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도 천공되는 결합공을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갖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임의로 분해할 수 없도록 하여 사용자에 의한 분해를 사전에 방지하여 분해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결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 체결공을 갖고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상부인서트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 관통된 결합공을 갖고 상기 결합홈에 고정되는 하부인서트보스; 및 상기 하부인서트보스의 결합공을 통해 상기 상부인서트보스와 체결되되, 케이스 외측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결합되는 자성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상부인서트보스의 체결공 내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결부재는 자성스크류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의 고정홈과 상부인서트보스는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인서트보스는 상기 자성체결부재가 회전되어 상부인서트보스의 체결공에 결합되도록 이동할 때, 그 이동되는 거리만큼 자성스크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자성체결부재가 대응하는 하부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자성스크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체결표시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표시부는 미세한 점이나, 스티커 또는 케이스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디자인되는 패턴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5 내지 도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상부인서트보스가 결합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결합구조를 구성하는 자성체결부재를 갖는 하부인서트보스가 결합된 하부케이스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결합구조에 의한 결합동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결합구조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사용자에 의한 분해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결합구조는,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결합하는 케이스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0)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11); 내면에 나사홈(21)이 형성된 체결공(22)을 갖고 상기 고정홈(11)에 고정되는 상부인서트보스(20); 상기 상부케이스(10)의 고정홈(11)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케이스(30)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31); 관통된 결합공(41)을 갖고 상기 결합홈(31)에 고정되는 하부인서트보스(40); 및 상기 하부인서트보스(40)의 결합공(41)을 통해 상기 상부인서트보스(20)와 나사결합되되, 케이스 외측의 자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결합되는 자성스크류(5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케이스(10)의 고정홈(11)과 상부인서트보스(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상부케이스(10)에는 그 상부케이스(10)의 형성시 내면에 나사홈을 갖는 상부인서트보스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인서트보스(40)는 상기 자성스크류(50)가 반 체결된 상태이고, 상기 자성스크류(50)가 회전되어 상부인서트보스(20)의 나사홈(21)에 나사결합되도록 이동할 때, 그 이동되는 거리만큼 자성스크류(5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40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상기 자성스크류(50)가 하부인서트보스(40)에 반 체결된 상태에서는 그의 헤드부(51)는 하부인서트보스(40)의 일단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고, 상기 자성스크류(50)의 헤드부(51) 반대측 단부는 하부인서트보스(40)의 타단부와 동일 평면을 이룬다.
또한, 상기 자성스크류(50)가 하부인서트보스(40)에 반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자성스크류(50)의 헤드부(51) 반대측은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인서트보스(40)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20)가 결합되기 위하여 상부인서트보스(20)와 하부인서트보스(40)가 서로 일치하여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자성스크류(50)가 돌출되어 있을 경우, 상부인서트보스(20)와 하부인서트보스(40)가 자성스크류(50)의 돌출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조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외면에서는 자성스크류(50)가 어디에 위치되는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자성스크류(50)가 위치되는 하부케이스(30)의 외면에 이를 인식할 수 있는 체결표시부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표시부는 케이스의 외관을 해치지 않은 방식이라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미세한 점이나 스티커 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디자인되는 패턴 자체에 의해 인식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케이스 결합구조에 따른 케이스 결합동작을 도8 및 도9를 더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에 의하여 결합된 케이스의 단면도이고, 도9는 도8의 "B"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의 고정홈(11)에 상부인서트보스(20)를 고정한다. 이와 별도로, 하부인서트보스(40)에 자성스크류(50)를 임시 체결한다. 이 때, 상기 자성스크류(50)의 헤드부(51)는 하부인서트보스(40)의 수용공간(40a)에 위치되고, 그 헤드부(51)의 반대측은 하부인서트보스(40)의 단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임시 체결된다.
상기 자성스크류(50)가 임시 체결된 하부인서트보스(40)는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30)의 결합홈(31)에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각각 조립된 상하부 케이스(10)(30)를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인서트보스(20)의 체결공(22)와 하부인서트보스(40)의 결합공(41)이 일치하여 대응되도록 위치 시킨 다음, 상기 자성스크류(50)를 회전시켜 상부인서트보스(20)의 체결공(22)에 나사결합시키도록 상기 하부케이스(30)의 외측에서 자력을 제공하여 도구, 예를 들면 자성(전동)드라이버(60)를 자성스크류(50)가 위치된 하부케이스(30)의 외면에 접촉시킨다.
상기 접촉된 자성드라이버(60)를 회전시키면 상기 자성드라이버(60)와 자성스크류(50) 간의 인력에 의하여 상기 자성스크류(50)가 회전하여 상부인서트보스(20)의 체결공(22)에 나사결합되어, 도8 및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케이스(10)와 하부케이스(30)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케이스 결합구조를 갖고 결합되는 제품은 제품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도 천공되는 결합공을 구비하지 않아 미려한 외관을 제공한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분해할 수 없어 분해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의 결합구조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일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두 케이스의 결합에 의하여 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 구조라면 어떠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되는 두 케이스의 어느 일측에도 결합을 위한 결합공이 구비하지 않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분해를 사전에 방지하여 분해로 인한 고장의 원인을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를 결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
    체결공을 갖고 상기 고정홈에 고정되는 상부인서트보스;
    상기 상부케이스의 고정홈에 대응하는 위치의 하부케이스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홈;
    관통된 결합공을 갖고 상기 결합홈에 고정되는 하부인서트보스; 및
    상기 하부인서트보스의 결합공을 통해 상기 상부인서트보스와 체결되되, 케이스 외측에서 제공되는 자력에 의하여 회전되어 결합되는 자성체결부재
    를 포함하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인서트보스의 체결공 내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자성체결부재는 자성스크류로 이루어지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고정홈과 상부인서트보스는 일체로 형성되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인서트보스는 상기 자성체결부재가 회전되어 상부인서트보스의 체결공에 결합되도록 이동할 때, 그 이동되는 거리만큼 자성스크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구비한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결부재가 대응하는 하부케이스의 외면에는
    상기 자성스크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체결표시부가 형성되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표시부는 미세한 점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표시부는
    케이스 외관을 미려하게 하기 위하여 디자인되는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KR1020040040320A 2004-06-03 2004-06-03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615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320A KR100615144B1 (ko) 2004-06-03 2004-06-03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320A KR100615144B1 (ko) 2004-06-03 2004-06-03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09A KR20050115409A (ko) 2005-12-07
KR100615144B1 true KR100615144B1 (ko) 2006-08-22

Family

ID=37289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32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5144B1 (ko) 2004-06-03 2004-06-03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5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0259B1 (ko) * 2016-05-27 2017-09-21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압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 장치
KR102423134B1 (ko) * 2017-06-12 2022-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하우징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12212510A (zh) * 2020-10-28 2021-01-12 无锡市徐家机电有限公司 一种燃气壁挂炉换热室的密封式底板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5409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1036A (ko) 전자부품내장 키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WO2006092775A3 (en) Mixing machine, associated mixer head cover and method of assembly
JP2002529941A5 (ko)
TW2005018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 cooling solution fastening assembly
KR100615144B1 (ko) 자성체결부재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결합구조
CN204921571U (zh) 贴装式扣组件
CN113827004B (zh) 腕戴设备
WO2004035166A3 (en) Magnetic assembly toy
ATE344713T1 (de) Phosphorezierender nothammer
KR20050092854A (ko) 스크류 캡 고정장치
CN103267053B (zh) 一种免用螺丝连接座
JP4191475B2 (ja) プリント基板の取り付け構造
KR1005927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케이스 체결구조
JP3675258B2 (ja) 筐体の取付構造
KR20040059512A (ko) 윈도우 디스플레이 패널 고정장치
KR100490032B1 (ko) 자동차 도어용 스피커의 프로텍터
CN101233986A (zh) 人体模型的安装结构
KR200308229Y1 (ko) 표찰
WO2005057528A3 (fr) Dispositif de scelle a support d’identification
JP5152978B2 (ja) 部品取付構造
ATE308095T1 (de) Anordnung zum kennzeichnen einer aus zumindest zwei teilen gebildeten baugruppen
KR200340293Y1 (ko) 전화선 단자함
KR200164193Y1 (ko) 컨버터 케이스
KR200328982Y1 (ko) 파지부가 형성된 내장형 커넥터.
KR200333568Y1 (ko) 전자기기용 회로기판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