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949B1 - Insulation Block for Electric Railway - Google Patents
Insulation Block for Electric Railw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4949B1 KR100614949B1 KR1020040046857A KR20040046857A KR100614949B1 KR 100614949 B1 KR100614949 B1 KR 100614949B1 KR 1020040046857 A KR1020040046857 A KR 1020040046857A KR 20040046857 A KR20040046857 A KR 20040046857A KR 100614949 B1 KR100614949 B1 KR 1006149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insulating block
- rail clip
- clip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989 dielectric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1669679 Eleotri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3/00—Arrangements preventing shifting of the track
- E01B13/02—Rail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28—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 E01B3/32—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 E01B3/34—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concrete or from natural or artificial stone with armouring or reinforcement with pre-tensioned armouring or reinforcem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종래의 절연블럭보다 절연면적을 증대시키고, 유전(流電) 물질을 차단시켜 절연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ng block for electric railway, the object of which is to increase the insulating area than the conventional insulating block, to block the dielectric material to increase the insulating performance.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은 레일의 하부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레일 플렌지 상면에 위치하고, 탄성력을 갖는 레일클립에 의해서 고정되어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절연블럭에 있어서, 상기 레일클립이 물려지도록 요홈의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와, 이를 에워싸면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으로 되어 있다. 이로인해, 유전(流電) 물질을 차단시켜 절연성능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고, 절연면적의 확대로 인한 레일클립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요홈 형상의 클립 고정부로 인하여 레일클립이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 열차의 운행에 따른 진동의 저감에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To this end, the insulating block for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lange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rail, is fixed by a rail clip having an elastic force in the insulating block to prevent leakage of current, the rail clip is A fixed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hape of the groove to be bite, and it is made of a locking jaw to protrude upward while surrounding it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rail clip. As a result, the dielectric material is blocked and the insulation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and the life of the rail clip can be extend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insulation area. The more firmly fixed, the excellent performance even in reducing the vibration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train.
절연블럭, 누설전류, 레일클립, 레일, PC침목Insulation Block, Leakage Current, Rail Clip, Rail, PC Sleeper
Description
도 1은 레일에 체결된 통상의 절연블럭을 보인 것이다.1 shows a typical insulating block fastened to a rail.
도 2는 통상의 절연블럭을 보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sulating block.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이 레일과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3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block for an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rail.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을 보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ulating block for an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레일 12: 레일 플렌지10: rail 12: rail flange
20: PC침목 30: 베이스 플레이트20: PC sleeper 30: Base plate
32: 레일패드 40: 체결수단32: rail pad 40: fastening means
42: 레일클립앵커 44: 레일클립42: rail clip anchor 44: rail clip
46: 절연블럭 47: 클립 고정부46: insulating block 47: clip fixing part
48: 걸림턱 49: 배수홈48: engaging jaw 49: drain groove
49a: 배수홈 플렌지49a: drain groove flange
본 발명은 레일에 장착되는 절연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과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절연성능을 높이고, 강우 등으로 인하여 잔류하는 수분의 배수를 신속, 원활하게 하여 누설되는 전류를 최소화하는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ulating block mounted on the rail, and more particularly, to increase the insulation area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the rail, and to minimize the leakage current by quickly and smoothly draining the remaining moisture due to rainfall. It relates to an insulating block for electric railway.
일반적으로 철도의 선로를 크게 분할하면, 궤도와 노반, 이에 부속된 선로 구조물로 구성되고, 상기 궤도는 다시 레일과 침목, 도상으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when the railway track is divided into large sections, the track, the roadbed, and the track structure attached thereto are included, and the track is made up of rails, sleepers, and drawings.
공지의 예로, 상술한 통상의 궤도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침목(1) 위로 레일(2)이 올려진 후 레일클립앵커(3)와 레일클립(4)에 의해서 체결된다. 이때, 레일(2)과 레일클립(4) 사이에는 절연블럭(5)이 설치되어 전류의 누설을 방지한다. As a well-known example,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rack is fastened by the rail clip anchors 3 and the rail clips 4 after the
이러한, 통상의 궤도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1은 레일에 체결된 통상의 절연블럭을 보인 것이고, 도 2는 통상의 절연블럭을 보인 사시도로, 통상적으로 철도의 레일(2)은 선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신호나 그 외의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의 역할을 하며, 전기철도에 있어서는 동력원인 전류(직류 및 교류)의 귀선 역할을 한다.When the conventional track is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ure 1 shows a conventional insulating block fastened to the rail,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insulating block, typically a rail of a railway ( 2) acts as a cable for supplying signals and other electricity as well as the role of the line, and plays the role of returning current (direct current and alternating current) as a power source in electric railways.
이러한 역할로 인하여, 레일(2) 상으로 도통되는 전류는 빈번하게 레일(2)로 부터 누전되어 노면으로 방전된다.Due to this role, currents conducted on the
이때, 방전된 전기는 일반 노면일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지상이나 지하의 다양한 시설물을 부식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켰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d electricity is not a problem in the case of the general road surface, but caused a problem to corrode various facilities on the ground or underground.
상술한 대표적인 예로서, 누전된 전류는 지하로 매설된 기스배관의 P/S(Pipe to soil) 및 R/S(Rail to soil) 전위측정 결과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누전된 전류는 선로 연변의 통신선에도 유도장애를 일으켜 통신시 잡음을 발생시켰다.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 short-circuit current was most affected by the P / S (Pipe to soil) and R / S (Rail to soil) potential measurement of the gas pipe buried underground, the short-circuit current is the line edge Induced disturbance on the communication line also caused noise during communication.
따라서, 철도산업계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을 안출하였고, 그 일예로 변전소 간의 거리를 좁게 하여 누전되는 전류의 손실량을 만회하려 하였으나 막대한 건설비용이 발생되어 현실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없었다.Therefore, the railway industry has devised various methods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For example, the railway industry narrowed the distance between substations and attempted to make up for the loss of leakage current.
또한, 기존의 변전소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력손실과 전압강하를 예방하여야 하고, 이에 따라 전압을 높여 송전하여야 하는데, 이 또한 누설되는 전류의 양이 너무 커져 현실성 있는 대안이 될 수 없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existing substations, power loss and voltage drop must be prevented, and accordingly, the voltage must be increased to transmit power, which is also a large amount of leakage current, which cannot be a realistic alternative.
결국, 산업계에서는 누설되는 전류가 방전되지 못하도록 절연체를 추가시켜 궤도시설을 마련하는 차선책을 선택하였고, 이것이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절연블럭(5)이다.As a result, the industry has selected the next best way to provide a track facility by adding an insulator so that leakage current is not discharged, which is the
그러나, 절연블럭(5) 또한 열악한 선로의 조건으로 인해 제 역할을 다하지 못하여 전류의 방전을 막지 못했다.However, the
그 이유는 기존에 체결된 절연블럭(5)은 레일(2)과 레일클립(4) 사이의 간격이 좁아 그 사이로 수분의 고이게 되고, 빈번한 열차의 운행으로 인하여 토양의 경도가 높아 전기부식의 원인이 되는 전해질의 양이 많으며, 도상(자갈)의 높이가 높아져 수분이 항시 도상에 존재하여 수분의 통전이 일어나기 때문이다.The reason is that the existing insulating block (5) is fastened between the rail (2) and the rail clip (4) has a narrow gap between the water, and the high hardness of the soil due to frequent operation of the train causes the cause of electrical corrosion This is because the amount of the electrolyte is large, and the height of the phase (gravel) is increased, so that the moisture is always present on the phase and electricity is supplied to the moisture.
이러한 원인 외에도 절연블럭(5)의 성능저하로 인하여 레일클립(4) 및 레일클립앵커(3)를 통한 방전이 종종 일어나며, 경우에 따라서는 침목(PC일 경우)의 내부에 타설된 강선으로 방전되어 강선 부식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이로인해 침목의 강도 저하가 발생되어 전철운행의 안전에 커다란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is cause, the discharge through the rail clip 4 and the rail clip anchors 3 often occurs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일로부터 누설전류 및 간섭전류를 저감하고, 지상, 지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보호하며, 선로 연변의 통신시설에 발생하는 유도장애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레일을 귀선으로 하는 철도 전력공급회로의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절연블럭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duce leakage current and interference current from the rail, to protect the facilities installed on the ground, underground, and to induce obstacles generated in the communication facilities along the line It is to provide an insulating block that reduces the efficiency and increases the efficiency of the railway power supply circuit with the rails returned.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은, 전술한 문제를 모두 해소하고, 종래의 절연블럭보다 절연면적을 증대시키고, 유전(流電) 물질을 차단시켜 절연성능을 증가시킨다.In one preferred embodiment, the insulating block for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all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creases the insulating area than the conventional insulating block, and blocks the dielectric material to increase the insulating performance. Let's do 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될 것이다.
Still other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의 하부 저면에 일체로 형성된 레일 플렌지 상면에 위치하고, 탄성력을 갖는 레일클립에 의해서 고정되어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절연블럭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 the insulating block which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ail flange integrally formed on the lower bottom of the rail, is fixed by a rail clip having an elastic force to prevent leakage of current,
상기 레일클립이 물려지도록 요홈의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와, 이를 에워싸면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클립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으로 구성되므로서 달성된다.The rail clip is achieved by consisting of a fix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hape of the groove so as to be bite, and the engaging jaw to protrude upward while surrounding it to prevent the departure of the rail clip.
또한,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으로는 수분의 배수를 원활히 하도록 상기 고정부보다 낮은 경사 구배로 연장되어 있는 배수홈을 더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in groove extending in a lower gradient than the fixing portion to facilitate the drainage of water.
또한, 상기 배수홈을 에워싸면서 상기 걸림턱보다 낮은 위치로 마련된 배수홈 플렌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in groove flange provided in a position lower than the locking step while surrounding the drain groov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on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먼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이 레일과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을 보인 사시도 이다.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functionally identical or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drawings. First, Figure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sulating block for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fastened with the rail,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ulating block for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된 절연블럭과 레일이, 레일클립에 의해서 체결된 상태를 보인 것으로, 열차가 주행하는 레일(10)이 피씨침목(20, 이하 에서는 "PC침목"이라 한다) 위로 안착되고, 그 사이로 레일(10)상으로 주행하는 열차의 하중을 감쇄시키는 베이스플레이트(30)와 레일패드(32)가 순차적으로 설치된다.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insulating block and a rail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astened by a rail clip, and a
이때, 레일(10)의 형상을 살펴보면, PC침목(20) 위로 안착되는 부위인 레일플렌지(12)가 레일(10)의 하부 저면에 형성되어 주행열차의 충격력을 완화,흡수하여 차량하중을 도상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킨다.At this time, looking at the shape of the
이러한 구조와 역할을 하는 레일(10)은 소정의 체결수단(40)에 의해서 PC 침목(20)과 체결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40)의 구성을 살펴보면, 레일패드(32) 상에 위치하고, PC침목(20)에 앵커볼트로 결합되어 고정되는 레일클립앵커(42)와, 상기 레일클립앵커(42)의 일측으로 착설되는 레일클립(44)과, 상기 레일클립(44)에 의해서 일면이 고정되고, 반대면은 레일 플렌지(12) 상에 위치하는 절연블럭(46)으로 구성된다.The
다시, 상술한 체결수단(40)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부품들의 역할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레일클립앵커(42)는 체결수단(40)을 PC침목(20)에 결합시키는 기초부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레일클립(44)의 일단을 수용한다. Again, looking at the role of each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fastening means 40 described above, first, the
레일클립(44)은 전술한 바와같이, 그 일단이 레일클립앵커(42)에 수용된 후 결합되어 있고, 타단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럭(46)의 일면에 위치하여 특유의 탄 성력으로 절연블럭(46)을 압박하여 레일(1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레일클립(44)은 통상적으로 탄성체의 성질을 갖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통상적으로 "S" 형상이 적용되며, 일단과 타단이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어느 일단이 고정되면, 타단은 상대물을 압박하는 형상이다.In addition, the
절연블럭(46)은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도체로부터 흐르는 전류의 누설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s the name suggests, th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된 절연블럭(46)은 전술한 레일플렌지(12)의 상면에 위치하고, 레일클립(44)으로부터 탄성 압박력을 받아 레일 플렌지(12) 상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이러한, 절연블럭(46)의 형상을 살펴보면, 상기 레일클립(44)의 타단이 물려지도록 요홈의 형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면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클립 고정부(47)가 상면에 형성된다.Looking at the shape of the
이러한 형상을 갖는 클립 고정부(47)는 종래의 절연블럭과 비교했을 때 레일클립(44)의 타단을 감싸 안듯 요홈으로 이루어져, 종래의 절연블럭에서 발생하는 레일클립(44)의 미끄럼을 방지하고, 그 접촉면적을 더욱 확대시킨다.The
또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요홈으로 끼워지는 레일클립(44)의 타단은 그 접촉면적이 더욱 확대되므로 당연히 절연면적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절연 성능이 탁월하게 향상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한편, 상기 요홈의 형상으로 형성된 클립 고정부(47)를 에워싸면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레일클립(44)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48)이 그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두께를 가지면서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rojected upward while enclosing the
이것은 레일클립(44)을 더욱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종래의 레일클립에서 종종 발생하는 미끄럼을 완벽히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우천 후 레일클립(44)과 클립 고정부(47) 사이에 남아 있는 수분이 요홈을 따라 흐르도록 하는 역할과 절연블럭(46)의 상면에 남아 있는 수분이 걸림턱(48)에 의해 요홈으로 유입되지 못 하도록 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This is for more firmly coupling the
또한, 상기 클립 고정부(47)의 길이 방향으로는 수분의 배수를 원활히 하도록, 상기 클립 고정부(47)보다 낮은 경사 구배로 연장된 배수홈(49)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것은 클립 고정부(47)를 따라 흐르는 수분을 도상으로 급속히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각도로 경사 구배져 있음을 그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수홈(49)을 에워싸면서 상기 걸림턱(48)보다 낮은 위치로 마련된 배수홈 플렌지(49a)가 그 외주연에 형성된다.This is for rapidly discharging the water flowing along the
이것 역시, 전술한 걸림턱(48)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나, 걸림턱(48)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걸림턱(48)에 의하여 배출되지 못한 수분을 도상으로 재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절연블럭(46)과 레일클립(44)을 완벽하게 절연시킨다.This, too, performs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described
다음에는 이러한 절연블럭(40)이 절연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Next, the process of insulating the
우천 후 빗물 등으로 인한 수분은 대체로 절연블럭(46)과 레일클립(44) 사이에 고여 소정의 도체 역할을 하게 되어 레일(10)로 흐르는 전류의 누전 원인이 된다.Moisture caused by rain or the like after raining is generally accumulated between the
이러한 수분은 신속히 증발되거나, 배출되어야 함은 당연하고, 특히 신속히 배출되어야 한다.It is natural that such water must evaporate or be released quickly, especially in particular.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절연블럭(46)은 그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클립 고정부(47)와 배수홈(49)을 통해서 레일클립(44) 사이에 있는 수분을 신속히 배출시켜 수분으로 인한 레일(10)과 노상의 누전을 예방한다.To this end, the insulating
즉, 고인 수분은 당연히 중력에 의해서 하향으로 흐르게 되고, 본 발명에 따른 클립 고정부(47)와 배수홈(49)은 흐르는 수분을 안내하여 도상에 이르게 하여 완벽한 절연이 되도록 한다.That is, the accumulated moisture naturally flows downward by gravity, and the
즉, 전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지듯이, 본 발명은 표면에 남아 있는 수분을 신속히 배출하는 절연블럭을 제공하여, 레일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누전을 완전하게 방지하며, 이로 인해 누전으로 인한 지상, 지하의 시설물에 피해를 예방한다.That is, as will be clear from the electric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ulation block for quickly discharging the moisture remaining on the surface, thereby completely preventing the leakage of current flowing along the rail, thereby resulting in ground and underground facilities due to the leakage. To prevent damage.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This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various forms, without deviating from the mind or main characteristic. For this reaso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merely examples in all respect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limited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scope of the claims, which are not limited by the specification text. Again, all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ing to the equivalent scope of the claim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있어서, 그 밖에 여러 가지 변형예가 가능한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전기철도 뿐만 아니라 일반철도에도 적용하는 것도, 본 발명으로부터 일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참정신 및 범위내에 존재하는 변형례는, 모두 특허청구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the application to not only electric railroad but also general railroad as needed does not deviate from this invention. Accordingly, all modifications exist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claims.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철도용 절연블럭에 의하면, 레일로부터 흐르는 누설전류 및 간섭전류를 저감하고, 지상, 지하에 설치된 시설물을 보호하며, 선로 연변의 통신시설에 발생하는 유도장애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레일을 귀선으로 하는 철도 전력공급회로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종래의 절연블럭보다 절연면적을 증대시킨다. 이로인해, 유전(流電) 물질을 차단시켜 절연성능이 월등하게 향상되는 작용효과가 있고, 절연면적의 확대로 인한 레일클립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요홈 형상의 클립 고정부로 인하여 레일클립을 더욱 견고히 고정시켜 열차의 운행에 따른 진동의 저감에도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according to the insulating block for electric railwa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ducing the leakage current and interference current flowing from the rail, to protect the facilities installed on the ground, underground, induced obstacles occurring in the communication facilities along the line At the same time, the efficiency of the railway power supply circuit with the rails back is increased, and the insulation area is increased over the conventional insulation block. As a result, the dielectric material is blocked and the insulation performance is greatly improved, and the life of the rail clip can be extended due to the expansion of the insulation area. By fixing more firmly, it shows excellent performance even in reducing vibration caused by train operatio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6857A KR100614949B1 (en) | 2004-06-23 | 2004-06-23 | Insulation Block for Electric Railw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46857A KR100614949B1 (en) | 2004-06-23 | 2004-06-23 | Insulation Block for Electric Railway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17816U Division KR200362574Y1 (en) | 2004-06-23 | 2004-06-23 | Insulation block for electric railwa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21783A KR20050121783A (en) | 2005-12-28 |
KR100614949B1 true KR100614949B1 (en) | 2006-08-25 |
Family
ID=37293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685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4949B1 (en) | 2004-06-23 | 2004-06-23 | Insulation Block for Electric Railw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494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32423B2 (en) | 2020-05-08 | 2023-08-22 | Progress Rail Services Corporation | Spring anchor assembly for track rail and spring anchor insulator for same |
-
2004
- 2004-06-23 KR KR1020040046857A patent/KR1006149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20040046857 - 599749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32423B2 (en) | 2020-05-08 | 2023-08-22 | Progress Rail Services Corporation | Spring anchor assembly for track rail and spring anchor insulator for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21783A (en) | 2005-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Niasati et al. | Overview of stray current control in DC railway systems | |
KR100614949B1 (en) | Insulation Block for Electric Railway | |
KR200362574Y1 (en) | Insulation block for electric railway | |
White | AC/DC railway electrification and protection | |
RU118931U1 (en) | DEVICE FOR INSTALLING THROTTLE TRANSFORMER | |
KR200222355Y1 (en) | the high tension a cable protection device | |
AU770816B2 (en) | Electrically insulating rail pad | |
CN2170963Y (en) | Insulating apparatus for rail | |
KR101736803B1 (en) | Embedded rail track with insulating enhancements | |
US2314750A (en) | Combined rail anchor and ballast tamper | |
Memon et al. | Use of rail boot and collection mat to control the electrolysis of rail and utilities in DC powered transit agencies | |
KR102639590B1 (en) | Protection tube for protecting electricity feeder | |
US1665629A (en) | Bootleg | |
Dekker | Stray current control-an overview of options | |
RU170723U1 (en) | DEVICE FOR INSTALLING THROTTLE TRANSFORMER | |
Ross | A survey of Western European AC electrified railway supply substation and catenary system techniques and standards | |
US287466A (en) | Electrical connection for railway-signals | |
CN110758181B (en) | Drainage system and rail transit line for rail transit | |
JP2000144605A (en) | Rail electrical insulation cover | |
US1815044A (en) | Insulator | |
Todd | BART Stray Current Prevention | |
US929284A (en) | Third-rail or other electrical conductor. | |
US1770049A (en) | Railway bootleg | |
Fromme et al. | use of rail boot and collection mat to control the electrolysis of rail and utilities in DC powered transit agencies | |
US1747417A (en) | Railroad tie and fastener for use therewi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80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