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4824B1 -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824B1
KR100614824B1 KR1020060016151A KR20060016151A KR100614824B1 KR 100614824 B1 KR100614824 B1 KR 100614824B1 KR 1020060016151 A KR1020060016151 A KR 1020060016151A KR 20060016151 A KR20060016151 A KR 20060016151A KR 100614824 B1 KR100614824 B1 KR 10061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or
optical cable
optical
otd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6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홍기
Original Assignee
(주)폼가드
전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폼가드, 전홍기 filed Critical (주)폼가드
Priority to KR1020060016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8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824B1/ko
Priority to US11/533,284 priority patent/US20070194915A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1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83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 G08B13/18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act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by interruption of a radiation beam or barrier using light guides, e.g. optical fibr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 G08B13/122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 G08B13/124Mechanical actuation by the breaking or disturbance of stretched cords or wires for a perimeter fence with the breaking or disturbance being optically detected, e.g. optical fibers in the perimeter fe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97Arrangements wherein non-video detectors generate an alarm themselv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으로,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부(10)와, 상기 센서부(10)의 감지를 전달받는 지역감시통제기(20)와, 상기 지역감시통제기(20)를 제어하는 중앙감시통제기(50)를 포함하며, 신뢰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날씨 등 환경에 따른 영향이 적고 각종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광, 광케이블, 센서펜스, 감시통제기, 경보부, OTDR(Optical Time Domain Reflectometerr), RFI(radio frequency interference),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Description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SENSING SYSTEM USING OPTICAL FIBER CABLE}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도,
도 3은 도 2의 OTDR유닛에 대한 블록도,
도 4는 센서펜스의 확대도,
도 5는 광케이블의 절곡에 의한 파형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
도 6은 광케이블의 절단에 의한 파형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센서부 20 : 지역감시통제기
30 : 카메라부 40 : 경보부
50 : 중앙감시통제기
본 발명은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신뢰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날씨 등 환경에 따른 영향이 적고 각종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감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입자의 침투나 파괴, 또는 노후화나 충격에 의한 파괴 등의 감시는 많은 수의 인원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또한, 감시자가 잠시 부주의 하거나 자리를 비울 때 경계에 실패할 수도 있으며, 악천후나 시계가 불완전한 야간의 경우에는 침투의 감시가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군사경계나 중요 시설물의 인력에 의한 감시의 보조수단 또는 이 보다는 덜 주요한 시설물에 대한 감시수단으로 센서를 이용한 자동감시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적외선 카메라나 폐쇠회로 텔레비젼(TV) 등이 등장하였으나, 감시점의 수에 비례하여 카메라와 모니터의 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한계가 있고 모니터 요원의 상주를 요할 뿐만아니라 잠시 자리를 비우거나 부주의하면 감시에 실패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도 사용되고 있으나, 정전이 일어나거나 침입자에 의하여 광케이블에 절곡이나 절단이 일어나면 보수가 완료될 때까지 시스템이 완전히 마비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 광케이블 이외의 요소를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경우에도 시스템을 정지시켜야 하므로 이 기간 중에는 감지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신뢰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날씨 등 환경에 따른 영향이 적고 각종 지역을 구분하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한 감지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를 전달받는 지역감시통제기와 상기 지역감시통제기를 제어하는 중앙감시통제기를 포함하는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하나의 광케이블을 다수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한 센서펜스와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감시통제기는 내부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앙처리유닛과, 상기 중앙처리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의 감지센서의 센싱을 감지하고 카메라부, 경보부 및 온도감지부를 제어하는 주변장치제어유닛과, 상기 센서부의 센서펜스에 연결되어 광케이블의 절곡 및 절단을 감지하여 광측정데이터 및 경보데이터를 생성하는 OTDR유닛과, 상기 중앙처리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주변장치제어유닛 및 OTDR유닛에서 감지 또는 생성한 광측정데이터 및 경보데이터를 중앙감시통제기에 전송하는 통신부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각 유닛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역감시통제기는 자신의 제어에 따라 해당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부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부는 디지털, 아날로그 카메라 및 CCTV를 각각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경보부는 경보등, 사이렌, 알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서펜스와 상기 OTDR유닛과의 세부연결은 OTDR유닛에 광커넥터가 연결되고 광커넥터에 상기 센서펜스의 광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에는 유사시에 상기 광커넥터를 대신하여 상기 OTDR유닛에 연결되는 마감커넥터가 구비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지역감시통제기와 상기 중앙감시통제기를 연결하는 통신망은 이더넷, 인터넷, 랜, 네트워크 등이나, 이더넷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2의 OTDR유닛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4는 센서펜스의 확대도이다. 도 5는 광케이블의 절곡에 의한 파형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이고, 도 6은 광케이블의 절단에 의한 파형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은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부(10)가 설치되고, 센서부(10)의 감지를 전달받는 지역감시통제기(20)가 설치되어 센서부(10)와 연결되며, 지역감시통제기(20)와 연결되어 지역감시통제기(20)를 제어하는 중앙감시통제기(50)가 설치된다.
지역감시통제기(20)에는 자신의 제어에 따라 해당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30), 경보를 발하는 경보부(40) 및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70)가 설치된다.
지역감시통제기(20)는 광측정데이터 및 경보데이터를 중앙감시통제기(50)에 전송하고, 중앙감시통제기(50)는 지역감시통제기(20)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침입위치를 파악한다. 경보부(40)는 지역감시통제기(20) 또는 중앙감시통제기(50)에 설치되어 지역감시통제기(20) 또는 중앙감시통제기(50)의 제어에 따라 경보를 발한다.
온도감지부(70)는 지역감시통제기(20)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여 지역감시통제기(20)를 통하여 중앙감시통제기(50)에 전송하며 중앙감시통제기(50)에서는 전송받은 온도가 지역감시통제기(20)를 해칠 수 있는 온도라고 판단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한편, 중앙감시통제기(50)는 지역감시통제기(20)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PC(51)와 모니터(53)를 구비하고, 이 PC(51)에 센서펜스(13)의 이상 광신호를 분석하는 소프웨어가 탑재되어 있어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고 경보를 발할 수 있다. 또한, 중앙감시통제기(50)는 상위보안시스템(60)과 연계하여 대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위보안시스템(60)은 보안경비업체 또는 경찰서 등이다.
센서부(10)는 광(라이트웨이브펄스)을 입사시켜 절곡 및 절단을 감지하는 하나의 광케이블(15)로 이루어진 센서펜스(13)와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11)로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펜스(13)는 원하는 경계지역에 다수의 지주(1)를 설치하고, 이 지주(1)에 하나의 광케이블(15)과 다수의 연결부재(16)를 사용하여 망 형상의 블록으로 형성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다수의 지주(1)를 설치하여 여러 블록의 센서펜스(13)를 설치할 수도 있다. 단위블록의 센서펜스(13)의 높이는 약 2.5 미터 정도, 폭은 약 400 미터 정도로 하며, 센서펜스(13)의 단위 블록마다 카메라부(30)를 설치한다. 센서펜스(13)의 광케이블(15)의 일단은 지역감시통제기(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롭게 두거나 마감커넥터(19)를 이용하여 마감한다.
감지센서(11)는 센서펜스(13)를 설치하지 못하는 위치에 주로 설치하며, 적외선센서, 광센서, 압력센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을 혼용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펜스(13) 및 감지센서(11)와 카메라부(30)는 지역감시통제기(20)에 의해 제어되며, 지역감시통제기(20)는 통신망을 통하여 중앙감시통제기(50) 또는 상위보안시스템(60)에 연결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역감시통제기(20)는 내부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앙처리유닛(21)이 구비되고, 중앙처리유닛(21)에는 센서부(10)의 감지센서(11)의 센싱을 감지하고 카메라부(30)와 경보부(40) 및 온도감지부(70)를 제어하는 주변장치제어유닛(23)이 연결되고, 주변장치제어유닛(23)에는 센서부(10)의 센서펜스(13)에 연결되어 광케이블의 절곡 및 절단을 감지하여 광측정데이터 및 경보데이터를 생성하는 OTDR유닛(100)이 연결된다.
또, 중앙처리유닛(21)에는 주변장치제어유닛(23) 및 OTDR유닛(100)에서 감지 또는 생성한 광측정데이터 및 경보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감시통제기(50)에 전송하는 통신부(29)가 연결되고, OTDR유닛(100)에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각 유닛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27)이 연결된다. 한편, 주변장치제어유닛(23) 및 OTDR유닛(100)은 각각 필요한 수만큼 설치된다.
여기서, 중앙처리유닛(21)은 통신부(29), 주변장치제어유닛(23), OTDR유닛(100) 및 전원공급유닛(27)을 제어한다. 그리고, 전원공급유닛(27)은 사용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절체되는 이중전원장치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지역감시통제기(20)는 핫스왑(HOT SWAP)방식을 채용하여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고장이 난 주변장치제어기 또는 OTDR 등을 교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OTDR유닛(100)은 광을 발생시키는 광다이오드(111)와, 광다이오드(111)를 구동시키는 펄스생성기(113)와, 광다이오드(111)의 온도를 제어하는 송신부온도제어기(115)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광송신부(110)가 구비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포토다이오드(151)와, 포토다이오드(151)에서 입력되는 전기신호를 증폭시키는 전치증폭기(153)와, 전치증폭기(153)에서 증폭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155)와, 포토다이오드(151)의 온도를 제어하는 수신부온도제어기(157)가 상호 연결되어 이루어진 광수신부(150)가 구비된다.
위의 광송신부(110) 및 광수신부(150)는 광을 분배하는 광분배기(130)에 연결되며, 광분배기(130)는 광송신부(110)에서 발생되는 광과 광수신부(150)에서 수신하는 광을 분배한다. 또, 광분배기(130)와 센서부(10)의 센서펜스(13)를 연결하는 광커넥터(131)가 구비되어 광송신부(110)의 광을 센서부(10)의 센서펜스(13)로 전송하고 센서펜스(13)에서 반송되는 광을 광수신부(150)로 전송한다.
또, 광송신부(110) 및 광수신부(150)에 연결되어 광수신부(150)의 A/D변환기(155)에서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고속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자료화하는 디지털신호처리기(171)와, 디지털신호처리기(17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연산 및 역산하는 연산부(175) 및 역산부(177)와 디지털신호처리기(171)에서 전송되는데이터가 어느 커넥터를 통해 전송되는지 감지하는 감지부(179)를 갖으며, 송신부온도제어기(115) 및 수신부온도제어기(157)를 제어하는 주프로세서(173)로 이루어진 프로세서부(170)가 구비된다.
또한, 프로세서부(170)에 연결되어 전원공급유닛(27)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인터페이스(18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OTDR유닛(100)의 작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OTDR유닛(100)의 펄스생성기(113)에 의해 광다이오드(111)가 광을 발생시키면 광분배기가(130)가 광커넥터(131)를 통하여 광케이블(15)에 광을 송신한다. 이때, 송신부온도제어기(115)가 광다이오드(111)의 온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센서펜스(13)에서 이상이 발생되어 외곡된 광이 광수신부(150)의 포토다이오드(151)에 전기신호로 수신되면, 전치증폭기(153)에서 수신된 전기신호를 증폭시키고, 증폭된 전기신호는 A/D변환기(155)에 의해 아날로그신호에서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수신부온도제어기(157)가 포토다이오드(151)의 온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프로세서부(170)의 디지털신호처리기(171)가 고속으로 처리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디지털신호처리기(171)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주프로세서(173)의 연산부(175) 또는 역산부(177)에서 연산 또는 역산하여 거리를 계산하여 침입지역을 파악한다. 이때, 주프로세서(173)는 디지털신호처리기(171)와 및 송/수신부온도제어기(115)(157)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OTDR유닛(100)은 광케이블(15)의 절곡에 의한 변형된 파형과 절단에 의한 광손실을 측정하여 외부인의 침투위치를 파악한다. 즉, OTDR유닛(100)은 후방 산란법을 이용하는 것으로, 광섬유를 도파하는 광신호는 레일리산란, 파단점 출구측 경면효과 등에 의해 산란 및 반사되어 후진한다. 이 후진한 광신호성를 입력광신호와 비교함으로써 광손실의 측정이 가능하다.
도 4는 OTDR유닛(100)에 연결된 센서펜스(13)를 보인 도면으로, 하나의 광케이블(15)을 다수의 연결부재(16)를 이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연결하여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광케이블(15)의 일단은 OTDR유닛(1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자유롭게 두어도 된다. 그러나, 광케이블(15)의 타단을 연장시켜 OTDR유닛(100)의 가까운 부분에 위치시키고, 이 광케이블(15)의 타단에 별도의 마감커넥터(19)를 이용하여 마감처리하는 것이 좋다.
이 마감커넥터(19)는 OTDR유닛(100)과 광케이블(15)을 연결하는 광커넥터(131)를 대신하는 여분의 커넥터이다. 즉, 광커넥터(131)에 가까운 광케이블(15)에 파손되면, 광케이블(15)의 타단에 연결된 마감커넥터(19)를 OTDR유닛(100)에 연결시켜 사용한다.
광케이블(15)이 절단된 경우에는 주프로세서(173)의 연산부(175)에서 반송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거리를 계산하여 침입지역을 파악하며, 마감커넥터(19)를 OTDR유닛(100)에 연결한다. 이 상태에서 재차 광케이블(15)의 절단이 발생하면 주프로세서(173)의 역산부(177)에서 거리를 역으로 계산하여 두 번째 침투지역을 파악한다. 이때, 주프로세서(173)의 감지부(179)에 의해 광커넥터(131)인지 마감커넥터(19)인지가 구분된다. 이를 위해 광커넥터(131)를 연결하는 부분과 마감커넥터(19)를 연결하는 부분을 달리한다.
이와 같이 광커넥터(131)에 가까운 쪽에서 광케이블(15)이 파손되면, 광케이블(15)의 타단에 연결된 마감커넥터(19)를 OTDR유닛(100)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절단된 광케이블(15)의 나머지부분을 감시하면서 절단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다.
도 5는 광케이블의 절곡에 의한 파형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로써, 외력 즉 당김 또는 구부러짐 등의 절곡에 의한 파형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즉,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파형그래프가 흐르다가 어느 구간(점선부분)에서 파형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광케이블(15)의 특정 부분에 절곡이 발생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감시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설정된 곡률반경 이하로 광케이블(15)이 절곡되면 광신호가 왜곡되게 되므로, 이에 의해 광케이블(15)이 절곡된 부분을 감지하게 된다.
도 6은 광케이블의 절단에 의한 파형변화를 표시하는 그래프로써, 절단에 의한 파형의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다가 오른쪽 끝에서 아래로 다운되는 파형그래프는 광케이블(15)이 정상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왼쪽에서 시작되자마자 아래로 다운되는 파형그래프는 광케이블(15)이 절단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감시자가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센서펜스(13)에 침입자가 침입하여 센서펜스(13)의 광케이블(15)을 가압하거나 절단하면 OTDR유닛(100)이 이를 감지하고 OTDR유닛(100)과 연결된 주변장치제어유닛(23)이 카메라부(30)와 경보부(40)를 작동시킨다. 또한, OTDR유닛(100)은 통신부(29)를 통하여 센서펜스(13)에서 감지한 위치데이터를 중앙감시통제기(50)에 전송한다.
이때, 보안담당자는 중앙감시통제기(50)의 모니터(53)에 표시되는 도 5 및 도 6의 그래프를 통하여 광케이블(15)에서 절곡 또는 절단이 발생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보안담당자는 단독으로 또는 상위보안시스템(60)과 연계하여 침입자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경사, 굴곡, 암반, 모래, 평지, 산악지형 등 각종 지역에 설치할 수 있고, 블록 단위로 형성된 다수의 센서펜스(13)를 연속적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센서펜스(13)를 각각의 OTDR유닛(100)과 연결하면 넓은 지역을 감시할 수 있다. 또 광케이블(15)은 그 심선이 유리재질이므로 광케이블(15)이 절단된 경우 절단된 광케이블(15)의 양단을 융착기(미도시)로 융착시켜 연결할 수 있어 광케이블(15)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위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그 기술사상을 바탕으로 여러 가지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하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광케이블 망을 이용하는 감지시스템으로 침입의 감지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신뢰도가 높고 날씨 등 환경에 따른 영향이 적은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평지나 산악지형 등 각종 지역에 설치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 본 발명은 광커넥터에 가까운 쪽에서 광케이블이 파손되더라도 타단에 연결된 마감커넥터를 OTDR유닛에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어 나머지부분을 감시하면서 절단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역감시통제기는 핫스왑(HOT SWAP)방식을 채용하여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도 고장난 OTDR 등 부품을 보수할 수 있고, 전원공급유닛은 사용전원에 이상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절체되는 이중전원장치이어서 무정전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감지를 전달받는 지역감시통제기와 상기 지역감시통제기를 제어하는 중앙감시통제기를 포함하는 감지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하나의 광케이블을 다수의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그물망 형상으로 형성한 센서펜스와 외부의 침입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지역감시통제기는 내부의 모든 데이터를 처리하고 시스템을 관리하는 중앙처리유닛과; 상기 중앙처리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의 감지센서의 센싱을 감지하고 카메라부, 경보부 및 온도감지부를 제어하는 주변장치제어유닛과; 상기 센서부의 센서펜스에 연결되어 광케이블의 절곡 및 절단을 감지하여 광측정데이터 및 경보데이터를 생성하는 OTDR유닛과; 상기 중앙처리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주변장치제어유닛 및 OTDR유닛에서 감지 또는 생성한 광측정데이터 및 경보데이터를 중앙감시통제기에 전송하는 통신부와;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각 유닛에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역감시통제기가 자신의 제어에 따라 해당지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부와 경보음을 발하는 경보부와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OTDR유닛에는 광커넥터가 연결되고 상기 광커넥터에는 상기 센서펜스의 광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광케이블의 타단에는 유사시에 상기 광커넥터를 대신하여 상기 OTDR유닛에 연결되는 마감커넥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6. 삭제
KR1020060016151A 2006-02-20 2006-02-20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061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151A KR100614824B1 (ko) 2006-02-20 2006-02-20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US11/533,284 US20070194915A1 (en) 2006-02-20 2006-09-19 Sensing system using optical fiber c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6151A KR100614824B1 (ko) 2006-02-20 2006-02-20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824B1 true KR100614824B1 (ko) 2006-08-22

Family

ID=3760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61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4824B1 (ko) 2006-02-20 2006-02-20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94915A1 (ko)
KR (1) KR100614824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559B1 (ko) * 2008-08-20 2009-07-14 서교정보통신 주식회사 울타리 침입 검지와 감시 영상 수집이 가능한 무인 경계 단말장치, 상기 무인 경계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경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82729A3 (ko) * 2009-01-19 2010-09-30 Jung Dae Jong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KR101487923B1 (ko) * 2013-08-01 2015-02-03 이완구 광섬유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CN104574732A (zh) * 2015-02-09 2015-04-29 四川西南交大铁路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振动光纤技术的周界入侵监测系统
KR20160011255A (ko) * 2014-07-21 2016-02-01 한국공항공사 경고음 테이프 및 경고음 테이프 작동 방법
KR20160055392A (ko) 2014-11-09 2016-05-18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보안펜스 침입 감지장치
KR20170022101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광섬유 케이블망의 제조방법
KR20170022102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비절단형 광섬유 케이블망
KR101853903B1 (ko) * 2017-08-07 2018-05-02 김은주 Cctv, 드론 및 광펜스를 포함한 침입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902422B1 (ko) 2017-12-15 2018-10-01 (주)파워닉스 광 지장물 검지 장치
CN111915828A (zh) * 2020-08-05 2020-11-10 应急管理部信息研究院 一种高压电缆管理装置及系统
KR102351502B1 (ko) * 2020-11-26 2022-01-17 지아이시스템 주식회사 이기종 센서 기반에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비인가자의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7437733A (zh) * 2023-12-20 2024-01-23 云南保利天同水下装备科技有限公司 探测网及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42692A1 (en) * 2006-12-18 2008-06-19 Lee Lanny R Intelligent tripwire system
JP4774391B2 (ja) * 2007-08-24 2011-09-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伝送システムおよび信号速度変換装置
CN102542707A (zh) * 2010-12-09 2012-07-04 北京航天长峰科技工业集团有限公司 一种陆地电子围栏监测系统
FR2986067B1 (fr) * 2012-01-24 2015-05-15 Inoxys S A Systeme de detection de tentative d'intrusion a l'interieur d'un perimetre delimite par une cloture
ES2536027B1 (es) * 2013-10-16 2016-02-25 Proytecsa Security, S.L. Dispositivo detector de intrusión en vallas de seguridad
CN103606236B (zh) * 2013-12-02 2016-08-24 上海波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分布式光纤入侵报警单元的实时安全监测系统
ES2549073B1 (es) * 2015-04-15 2016-07-28 Proytecsa Security, S.L. Sistema sensor para vallado protector
US9838580B2 (en) * 2015-10-16 2017-12-05 Hyundai Infracore, Inc. Optically connectable closed-circuit television camera apparatus using passive optical devices and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
DE102016114722A1 (de) * 2016-08-09 2018-02-15 Fibre Optics Ct Gmbh Einbruch-Alarmmeldevorrichtung
CN106970564B (zh) * 2017-04-21 2018-08-31 国家电网公司 一种电缆井沟在线监测系统及方法
KR101949825B1 (ko) * 2017-11-24 2019-02-19 (주) 승재 침입 감지 방법
CN113765543B (zh) * 2021-08-10 2023-04-18 邹平市供电有限公司 一种电力通信光缆故障监测装置及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969A (ja) * 1992-02-25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ファイバセンサー
KR950034005A (ko) * 1994-05-09 1995-12-26 김기훈 광망경비시스템
KR970029233A (ko) * 1995-11-16 1997-06-26 예윤해 광섬유를 이용한 감지시스템
JP2001134851A (ja) 1999-11-02 2001-05-18 Home Aiai To Keibi Kiki:Kk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利用した侵入監視センサ
JP2004145382A (ja) 2002-10-21 2004-05-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センサを利用した監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3021B1 (en) * 2000-05-09 2002-01-29 Floyd L. Williamson Universal input/output power supply with inherent near unity power factor
US7184907B2 (en) * 2003-11-17 2007-02-27 Fomguard Inc. Apparatus and method to detect an intrusion point along a security fence
US7123785B2 (en) * 2004-10-15 2006-10-17 David Iffergan Optic fiber security fence system
US7332728B2 (en) * 2004-11-05 2008-02-19 Tamperproof Container Licensing Corp. Tamper-proof contain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33969A (ja) * 1992-02-25 1993-09-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光ファイバセンサー
KR950034005A (ko) * 1994-05-09 1995-12-26 김기훈 광망경비시스템
KR970029233A (ko) * 1995-11-16 1997-06-26 예윤해 광섬유를 이용한 감지시스템
KR100213800B1 (ko) * 1995-11-16 1999-08-02 예윤해 광섬유를 이용한 감지시스템
JP2001134851A (ja) 1999-11-02 2001-05-18 Home Aiai To Keibi Kiki:Kk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利用した侵入監視センサ
JP2004145382A (ja) 2002-10-21 2004-05-2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センサを利用した監視システ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02138000000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559B1 (ko) * 2008-08-20 2009-07-14 서교정보통신 주식회사 울타리 침입 검지와 감시 영상 수집이 가능한 무인 경계 단말장치, 상기 무인 경계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경계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0082729A3 (ko) * 2009-01-19 2010-09-30 Jung Dae Jong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KR101055142B1 (ko) * 2009-01-19 2011-08-08 정대종 무인외곽경비시스템의 침입감지망 및 그 직조기
KR101487923B1 (ko) * 2013-08-01 2015-02-03 이완구 광섬유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KR20160011255A (ko) * 2014-07-21 2016-02-01 한국공항공사 경고음 테이프 및 경고음 테이프 작동 방법
KR101675631B1 (ko) * 2014-07-21 2016-11-22 한국공항공사 경고음 테이프 및 경고음 테이프 작동 방법
KR20160055392A (ko) 2014-11-09 2016-05-18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보안펜스 침입 감지장치
CN104574732B (zh) * 2015-02-09 2017-09-01 四川西南交大铁路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振动光纤技术的周界入侵监测系统
CN104574732A (zh) * 2015-02-09 2015-04-29 四川西南交大铁路发展有限公司 一种基于振动光纤技术的周界入侵监测系统
KR20170022101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광섬유 케이블망의 제조방법
KR20170022102A (ko) 2015-08-19 2017-03-02 주식회사 시큐어닉스 비절단형 광섬유 케이블망
KR101853903B1 (ko) * 2017-08-07 2018-05-02 김은주 Cctv, 드론 및 광펜스를 포함한 침입 감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902422B1 (ko) 2017-12-15 2018-10-01 (주)파워닉스 광 지장물 검지 장치
CN111915828A (zh) * 2020-08-05 2020-11-10 应急管理部信息研究院 一种高压电缆管理装置及系统
KR102351502B1 (ko) * 2020-11-26 2022-01-17 지아이시스템 주식회사 이기종 센서 기반에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비인가자의 침입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7437733A (zh) * 2023-12-20 2024-01-23 云南保利天同水下装备科技有限公司 探测网及其制作方法
CN117437733B (zh) * 2023-12-20 2024-06-04 云南保利天同水下装备科技有限公司 探测网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94915A1 (en) 200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824B1 (ko) 광케이블을 이용한 감지시스템
US7068166B2 (en) Break-in detection system
US20100117830A1 (en) Fault-tolerant distributed fiber optic intrusion detection
CN102737462A (zh) 光纤分布式扰动与视频联动长距离周界安全监控系统
CN102279995A (zh) 基于物联网的安防预警系统
CN102982639A (zh) 视频监控光纤围栏系统及使用方法
CN107452177B (zh) 一种通信光缆安全预警系统
CN103780883A (zh) 一种可与视频联动的全光纤周界安全监控设备
CN109360361A (zh) 一种铁路站台端部入侵检测预警系统
CN110053651A (zh) 铁路列车检修区域内平交道口的安全防护系统及方法
CN111882802A (zh) 一种生物质安全管控智能一体化系统
JP6688093B2 (ja) 火災及び侵入の検知並びに報知システム
CN105225381A (zh) 一种基于光纤栅栏的入侵检测系统
JP2001134851A (ja) 光ファイバケーブルを利用した侵入監視センサ
KR20180058919A (ko) 가상 펜스용 감지장치
CN104881940A (zh) 户外变压器机柜防盗系统
CN104574732A (zh) 一种基于振动光纤技术的周界入侵监测系统
KR20070088242A (ko) 설비의 상태 및 이벤트의 실시간 원격 감시 방법 및 시스템
JP2005032224A (ja) 侵入検知システム
US7830253B2 (en) FSOC/radio intrusion detection system
CN202916936U (zh) 视频监控光纤围栏系统
CN209657134U (zh) 一种厂房综合监控系统
KR101819446B1 (ko) 광 선로 감시 시스템
JP6630170B2 (ja) 火災、侵入、漏水等の検知及び照明手段を備えた検知および報知システム
CN207867646U (zh) 一种安检设备防入侵监测装置及安检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5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