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495B1 - 이지 자동 콘테이너 적재 창고 - Google Patents
이지 자동 콘테이너 적재 창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4495B1 KR100614495B1 KR1020050105917A KR20050105917A KR100614495B1 KR 100614495 B1 KR100614495 B1 KR 100614495B1 KR 1020050105917 A KR1020050105917 A KR 1020050105917A KR 20050105917 A KR20050105917 A KR 20050105917A KR 100614495 B1 KR100614495 B1 KR 100614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frame
- loading
- rack
- fun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07—Storage devices mechanical using stacker cra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Floor-to-roof stacking devices, e.g. "stacker cranes", "retri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6은 철 구조물 랙의 콘테이너 받침대와 레일의 구성을 표현한 좌측면도.
도 7은 도 6의 중요 부분 확대도.
도 3-4의 좌우측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철구조물 랙(10)을 설치하는 데 있어서, 스프레더가 전후 상하 자유자재로 이동 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작업 공간을 양쪽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다단 연립식으로 설치하며, 각각 랙의 기둥에는 스프레더의 외장 외장프레임(1)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의 로드(8)가 사방으로 인입하여 스프레더를 안전하게 고정 되도록 튼튼한 인입구(15)를 각 랙에 사방으로 알맞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랙에는 콘테이너를 장치할 수 있는 "ㄷ" 자 모양처럼 상단 콘테이너 받침대(11)와 일체가 된 내장 프레임(2)의 구동바퀴(4)가 원활히 출입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하단 구동바퀴 레일(12)을 양쪽 좌우 대칭으로 설치하여 콘테이너 적재 및 이송이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스프레더의 작업 공간을 사이에 둔 양쪽 랙의 상단에는 크레인의 트롤리(9)가 전후로 이동될 수 있도록 양쪽 좌우대칭으로 레일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내장프레임(2)의 이동 작업시에는 중심이동으로 인한 불안정과 기울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 시작 전에는 외장프레임(1)이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양쪽 사방의 랙 기둥의 인입구(15)에 연결 고정할 수 있는 양쪽 좌우 대칭의 잠금 장치 유압 실린더(8)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양쪽 랙과 스프레더(내, 외장프레임)는 어느 정도의 공간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있어서, 상기 내장프레임이 이동 작업시에는 외장프레임의 레일(14)과 랙 쪽에 설치된 레일(12)이 서로 떨어져 있는 공간을 이어주어야 한다.
따라서,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외장 프레임에 고정된 레일에 연결된 접이식 레일(14)을 조성하고 유압 실린더(14A)를 이용하여 접었다 폈다 하는 기능을 이용해 사이 공간을 변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장프레임을 형성하는 데 있어, 좌우 대칭으로 유압모터(3) 또는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구동바퀴(4)를 연립구성하여 좌우의 철 구조물 랙의 하단 레일(12)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을 구성한다,
또한, 내장 프레임(2) 동서남북 사방에 90도 회전 로터리식 유압 실린더(5)를 국제 규격화된 콘테이너(7) 견인 직사각형 인입구(7A)에 맞도록 설치하여, 콘테이너를 자유롭게 탈착 견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때 중요한 것은 랙의 상단 콘테이너 받침대(11)와 콘테이너(7) 하단부분은 몇 센티미터의 사이 공간이 콘테이너(7) 이동에 필수적인 관계로 콘테이너 탈착시 이 사이 공간을 보상하여야 함에 따라 로터리식 실린더(5)는 피스톤 로드를 하단까지 내려 콘테이너를 안전하게 정착시킨 후에 90도 회전으로 잠근 장치를 풀고 회전 각을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다시 원래의 상단으로 복귀하여 다음 반복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며, 콘테이너 견인작업시에는 역순의 방법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상세한 방법은 도 3 에 별도 유압 실린더(5)의 확대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5A)을 실린더 내부의 피스톤 로드 상단에 부착하고 실린더 내부 하단에 90도 각을 유지하는 고정판 2개를(5B) 부착하여 피스톤 로드가 하단으로 내려와 회전판 실내를 형성하면 별도의 유압 공급과 흡입을 작동하여 상기와 같이 90도 회전 운동을 얻을 수 있으며, 다시 역순으로 흡입과 공급을 하면 역순으로 90도 회전하므로 반복 회전운동을 하는 것을 자체 실험결과 확인된 사항이기도 하다.
Claims (3)
- 항만 수출입 콘테이너를 다단 연립식 랙에 적재와 견인 방법에 있어서;크레인의 트롤리에 연결 사용하는 콘테이너 견인 스프레더(Spreader)는 외장 프레임(1)과 내장 프레임(2)이 요철처럼 한 쌍의 구조로서, 외장 프레임 내부에 콘테이너를 탈착 견인하거나 좌우 수평 이동하며 입출 할 수 있는 별도의 내장 프레임 기능이 조합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 스프레더를 양쪽 대칭으로 설치된 다단 연립식 랙 사이에서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하며, 선별된 작업위치에서는 외장 프레임의 고정장치로 안전하게 고정되어, 내장 프레임이 다단 연립식 랙에 연결하여 이동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다단 연립식 랙에 콘테이너를 적재 및 견인 할 수 있는 방법.
- 청구 1 항의 내,외장 프레임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외장 프레임(1)에서 내장 프레임(2)이 수평 이동시, 하중 중심 이동으로 인하여 불안정 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한 구동과 안전을 위하여, 외장 프레임에는 사방의 고정장치가 필수적인 것으로서, 외장 프레임(1) 좌우 대칭 양쪽 방향에 유압 실린더(8)를 설치하고 내장 프레임(2)이 작동 전 다단 연립식 랙에 사방으로 연결하여 안전 장치와 고정 장치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
- 청구 1항의 내장 프레임(2)에 연결된 콘테이너 탈착 견인 기술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국제 규격화된 콘테이너의 상단 부위 인입구(7A)는 장공 형태로서, 화살표와 같은 요철(7B)을 인입구에 맞추어 인입한 후 90도 회전하여 락(lock)상태가 된 후 콘테이너를 견인 이동 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복동식 실린더(5) 내부에 피스톤 로드와 함께 회전할 수 있는 회전판(5A)을 피스톤 로드 상단에 부착하며, 실린더 내부 하단에 두 개의 고정판(5B)을 부착하여, 피스톤 로드가 하단까지 작동을 하면, 별도의 로터리식 실린더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 공간을 이용하여 로터리식 실린더의 기능으로 전환하여 회전운동을 얻는 것이며, 따라서 피스톤 로드와 일체로 형성된 요철(7B)을 콘테이너 상단 인입구(7A)에 인입 한 후 90도 회전운동을 하여 락 상태에서 복동식으로 전환하여 상승함으로서, 콘테이너를 상승 견인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한 몸체의 유압 실린더를 복동식과 로터리식으로 병행하며 목적하는 기능인 콘테이너를 상승과 하강을 조절하며 다단 연립식 랙에 적재 또는 견인할 수 있는 방법. .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917A KR100614495B1 (ko) | 2005-11-07 | 2005-11-07 | 이지 자동 콘테이너 적재 창고 |
PCT/KR2006/004622 WO2007066903A1 (en) | 2005-11-07 | 2006-11-07 | Automated container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105917A KR100614495B1 (ko) | 2005-11-07 | 2005-11-07 | 이지 자동 콘테이너 적재 창고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14495B1 true KR100614495B1 (ko) | 2006-08-22 |
Family
ID=3760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105917A Active KR100614495B1 (ko) | 2005-11-07 | 2005-11-07 | 이지 자동 콘테이너 적재 창고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4495B1 (ko) |
WO (1) | WO2007066903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816B1 (ko) * | 2007-11-29 | 2014-05-29 | 주식회사 두산 | 리치 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흔들림 저감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25290B (zh) * | 2014-02-19 | 2018-06-01 | 德商Sms邏輯系統股份有限公司 | 將高架倉中的貨櫃入倉、出倉或轉倉的方法與裝置 |
JP6061206B2 (ja) * | 2014-06-13 | 2017-01-18 | 株式会社ダイフク | コンテナ昇降搬送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4663B1 (ko) | 2003-12-29 | 2005-10-31 | 정경자 |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설비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338722A (ja) * | 1992-06-08 | 1993-12-21 | Nippon Steel Corp | 自動立体倉庫 |
JPH09255112A (ja) * | 1996-03-26 | 1997-09-30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自走式スプレッダのツイストロック装置 |
KR100524664B1 (ko) * | 2003-12-29 | 2005-10-31 | 정경자 | 컨테이너 적재설비용 고정장치 |
-
2005
- 2005-11-07 KR KR1020050105917A patent/KR100614495B1/ko active Active
-
2006
- 2006-11-07 WO PCT/KR2006/004622 patent/WO200706690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24663B1 (ko) | 2003-12-29 | 2005-10-31 | 정경자 | 타워식 컨테이너 적재설비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816B1 (ko) * | 2007-11-29 | 2014-05-29 | 주식회사 두산 | 리치 타입 지게차의 마스트 흔들림 저감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07066903A1 (en) | 2007-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60123439T2 (de) | Transportverbandrahmen | |
US20130223962A1 (en) | Pallet transportation assembly and processes of transporting pallets using the same | |
CN208471468U (zh) | 一种有利于减少木栈板使用的物流叉车 | |
WO2004040073A1 (en) | Collapsible containerized shelter transportable by self-loading vehicles | |
US8308417B1 (en) | Method and system for transporting, loading, and unloading various types of goods | |
US9932058B2 (en) | Scaffolding transport cart | |
KR20170033259A (ko) | 컨테이너를 위한 중간 보관 영역을 구비한 스태커 크레인 | |
US10472166B2 (en) | Transportable container with subfloor for use with a roll-off truck | |
WO2020225755A1 (en) | Vehicle stacking crate | |
CN111605592A (zh) | 多功能履带式自动爬楼搬运车 | |
KR100614495B1 (ko) | 이지 자동 콘테이너 적재 창고 | |
US20150117994A1 (en) | Front-end Carrier for a Prime Mover | |
CN211140372U (zh) | 一种港口码头用集装箱 | |
KR20110041781A (ko) | 컨테이너 적재 장치 | |
CN201236032Y (zh) | 运输箱及由其组装而成的房子 | |
CN211663267U (zh) | 一种用于转运军用充气帐篷的双杆位推车 | |
CN205076302U (zh) |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中的固定式连接机构 | |
US9908723B2 (en) | Modular transporta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 |
WO1995000419A1 (en) | A container and a vehicle and container system | |
CN211569186U (zh) | 一种军用充气帐篷转运系统 | |
CN207645082U (zh) | 一种野外移动式药品存放方舱 | |
CN210027194U (zh) | 一种轿运车顶部蓬布遮挡机构 | |
JP5346570B2 (ja) | 運搬台車 | |
CN205060518U (zh) | 机械式集装箱装卸转运工具中的行走组件 | |
FI80410B (fi) | Laosanord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7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3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0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5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1031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