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565B1 - Slide type mobile terminal switchgear - Google Patents
Slide type mobile terminal switchge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3565B1 KR100613565B1 KR1020040064017A KR20040064017A KR100613565B1 KR 100613565 B1 KR100613565 B1 KR 100613565B1 KR 1020040064017 A KR1020040064017 A KR 1020040064017A KR 20040064017 A KR20040064017 A KR 20040064017A KR 100613565 B1 KR100613565 B1 KR 1006135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lead screw
- opening
- type mobile
- clos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개폐를 완전 자동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수동으로도 작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can provide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e-type terminal fully automatically and can also be operated manually. .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제1본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제1본체의 일측면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나선홈이 형성된 리드 스크류; 제2본체가 고정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선홈에 밀려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제2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이동편; 및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first body of the terminal; A lead screw that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and is disposed in a slide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has a spiral groove; A slide moving piece having a second main body fixed thereto and being pushed by the spiral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ad screw to linearly move in the slide direction and slide the second main body; And it provides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comprising a driv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e motor.
이동통신 단말기, 슬라이드 부재, 이동편, 슬라이드 돌기, 리드 스크류, 가이드 바, 구동모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lide member, moving piece, slide protrusion, lead screw, guide bar, driving motor
Description
도1은 일반적인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후면도.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a slide type mobil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a는 상기 도2의 실시예에서 케이스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3a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cas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the embodiment of FIG.
도3b는 상기 도2의 실시예에서 케이스가 수동으로 개폐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Figure 3b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case is opened and closed manually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도4a 및 4b는 상기 도2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폐하는 과정을 도시한 후면도.4A and 4B are rear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에 의해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과정을 도시한 정면도.Figures 5a and 5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ed and closed by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제1본체 20 : 제2본체10: first body 20: second body
110 : 구동모터 120 : 리드 스크류110: drive motor 120: lead screw
121 : 나사홈 130 : 이동편121: screw groove 130: moving piece
132 : 슬라이드 돌기 140 슬라이드 부재132:
150 : 가이드 바150: guide bar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개폐 동작을 위한 힘을 들이지 않고 자동으로 케이스를 개폐할 수 있으며, 수동으로도 단말기의 개폐가 가능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device that can open and close a case automatically without applying force f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nd can also open and close a terminal manually. It is about.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폐 방식에 따라 폴더형, 플립형, 슬라이드형 등으로 구분된다. 이중, 슬라이드형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제1본체와 메인 인쇄회로기판과 키패드가 구비된 제2본체가 서로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개폐된다.In gener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classified into a folding type, a flip type, a slide type, and the like according to an opening and closing method. In the dual terminal, the first main body having the display unit and the second main body having the main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keypad are opened and closed relative to each other.
이하, 도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구조와 개폐 과정을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ning / closing process of the slide-typ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ypical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 방식의 단말기는 키패드, 인쇄회로기판 등이 구비되는 하부 본체(20)와; 상기 하부 본체(20) 상부에서 직선으로 왕복 이동하여 키패드부를 개폐하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상부 본체(1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부 본체(20) 상에서 상부 본체(10)가 이동되게 하기 위한 슬라이드 기술도 발전하고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lide type terminal includes a lower
종래에는 이러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를 위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밀어서 상부 본체(10)를 하부 본체(20) 상에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되게 하였다. 이러한 수동 개폐는 완전 개방 또는 완전 밀폐 되는 위치에서 슬라이드 부품에 충격이 가해져 파손 또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open and close such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user manually pushes the upper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프링과 고정후크를 이용한 반자동 방식으로 충격을 완화시키기도 하였으나, 이러한 반자동 기구들은 항상 탄성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기구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lthough the shock was alleviated in a semi-automatic manner using a spring and a fixed hook, these semi-automatic mechanisms have a problem that the durability of the mechanism is lowered because they are always subjected to elastic force.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개폐를 완전 자동식으로 구현할 수 있고, 또한 수동으로도 작동할 수 있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that can implement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lide-type terminal to be fully automatic and can also be operated manually. There is th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제1본체에 구비되 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제1본체의 일측면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나선홈이 형성된 리드 스크류; 제2본체가 고정되며, 상기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나선홈에 밀려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제2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이동편; 및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 drive motor provided in the first body of the terminal; A lead screw that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and is disposed in a slide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and has a spiral groove; A slide moving piece having a second main body fixed thereto and being pushed by the spiral groov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ead screw to linearly move in the slide direction and slide the second main body; And it provides a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comprising a driv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e motor.
상기 리드 스크류와는 타측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가이드 바; 및 상기 이동편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바와 리드 스크류에 의해 가이드 되며, 단말기의 제2본체를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lide guide ba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lead screw and disposed in a slide direction; And a slide member fixed to the movable piece, guided by the guide bar and a lead screw, and fixed to the second body of the terminal to move.
상기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리드 스크류가 삽입되는 링 또는 후크 형태의 가이드 부를 구비할 수 있고, 가이드 바가 삽입되는 링 또는 후크 형태의 가이드 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slide member may include a guide portion in the form of a ring or a hook into which the lead screw is inserted, and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in the form of a ring or a hook into which the guide bar is inserted.
또한, 상기 이동편은 상기 리드 스크류의 나사홈에 삽입되어, 리드 스크류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홈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 돌기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본체와 제2본체를 반대방향으로 밀어 소정 크기의 힘 이상이 적용되면, 슬라이드 돌기가 나사홈에 역으로 힘을 가하는 경우, 리드 스크류가 회전될 수 있도록 리드 스크류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oving piece may be inserted into the screw groove of the lead screw, it may be provided with a slide projection for linear movement along the screw groove by the rotation of the lead screw. At this time, i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in the opposite direction by applying a force of a predetermined magnitude or more, when the slide projection is applied to the screw groove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ead screw is manually rotated so that the lead screw can be rotated It is desirable to make it possible.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리드 스크류에 전달하며, 그 속도를 조절하는 기어박스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gearbox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to the lead screw, and adjusts the speed.
이하, 도2 내지 도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 기 개폐구조의 일 실시예 구성을 설명한다.2 to 5b, an embodiment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의 일 실시예 구성을 도시한 후면도이고, 도3a는 도2의 실시예에서 케이스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3b는 도2의 실시예에서 케이스가 수동으로 개폐되는 경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Figure 2 is a rear view showing an embodiment configuration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a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case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Figure 3b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case is manually opened and closed in the embodiment of FIG. 2.
도2 내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단말기의 제1본체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10); 상기 구동모터(110)에 의해 회전하며 제1본체의 일측면에 슬라이드 방향으로 배치되며 나선홈(121)이 형성된 리드 스크류(120);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나선홈(121)을 따라 슬라이드 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제2본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이동편(130); 및 상기 구동모터(110)를 작동시키는 구동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2 to 3b,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본 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스크류와는 타측면에 배치되어 슬라이드 방향으로 배치되는 슬라이드 가이드 바(150); 상기 이동편(130)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 바(150)와 리드 스크류(120)에 의해 가이드되며, 단말기의 제2본체를 고정하여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부재(140)를 더 구비한다.A
상기 슬라이드 부재(140)는 상기 리드 스크류(120)와 가이드 바(150)에 의해 가이드 되기 위해, 상기 리드 스크류(120) 및/또는 가이드 바(150)가 삽입되는 링 또는 후크 형태의 가이드 부(141, 142)를 구비한다.The
상기 이동편(130)은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나사홈(121)에 삽입되어 리드 스크류(120)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홈(121)을 따라 직선운동하는 슬라이드 돌기 (132)를 구비한다. The
사용자가 수동으로 제1본체 상부에서 이동하는 제2본체를 이동시키려 하는 경우, 사용자의 힘이 소정치가 되면, 슬라이드 돌기(132)가 나사홈(121)에 힘을 가하게 되고, 따라서, 이동하려는 방향으로 상기 리드 스크류(120)가 수동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2본체가 이동되는 것이다.When the user attempts to manually move the second body moving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body, when the user's force reaches a predetermined value, the
상기 이동편(130)은 판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져 소정 하중 이상의 강한 충격이 가해지면, 다음 나사홈(121)으로 이동하여 장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상기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은 기어박스(111)에 의해 리드 스크류(120)에 전달된다.The rotational force of the
이하, 도4a 내지 도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에 의한 단말기 개폐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process by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4a to 5b.
도4a는 도2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개방된 상태에서 폐쇄하는 과정을 도시한 슬라이딩 구조의 후면도이고, 도4b는 도2의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하는는 과정을 도시한 슬라이딩 구조의 후면도이며,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에 의해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과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Figure 4a is a rear view of the sliding structure showing the process of closing the terminal in the open stat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Figure 4b is a sliding view showing the process of opening the terminal in the closed state in the embodiment of Figure 2 5A and 5B are front views illust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process of a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is opened and closed by a slide type mobile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a 및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본체(10)에는 리드 스크류(120)와 가이드 바(150)가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120)의 나사홈(121)에는 이동편(130)의 슬라이드 돌기(132)가 삽입된 상태이며, 제2본체는 상기 이동편(130)과 연결된 슬라이드 부재(140)에 고정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5A, a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 제1본체(10)는 제2본체(20) 상부에서 슬라이드 되며,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상부본체이고, 제2본체(20)는 키패드, 메인 인쇄회로기판 등을 구비한 하부본체이다.In the drawing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00)가 구동되면, 리드 스크류(120)가 회전하고 기어박스(111)는 리드 스크류(120)의 속도를 조절한다. 리드 스크류(120)의 회전에 의해 나사홈(121)이 회전하면서 슬라이드 돌기(132)가 리드 스크류(120)를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이동편(130)과 슬라이드 부재(140)가 이동하면서, 제2본체(20)가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 바(150)와 리드 스크류(120)에 끼워진 가이드 부(141, 142)는 슬라이드 부재(14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 한다.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슬라이드 구조는 도4a의 상태에서 도4b의 상태로 슬라이드 부재(140)가 이동되며, 단말기가 도5a의 상태에서 도5b의 상태로 개방된다.As shown in FIG. 4A, when the
상기 구동모터(110)가 반대로 회전하면, 리드 스크류(120)가 반대로 회전하며, 상기 슬라이드 돌기(132)가 나사홈(121)을 따라 도4b의 상태에서 도4a의 상태로 반대로 이동하며 이동편(130)과 슬라이드 부재(140)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단말기가 도5b의 개방된 상태에서 도5a의 상태로 폐쇄된다.When the driving
또한, 상기와 같이 자동으로 단말기를 개폐하는 방법 외에도, 수동으로 제1본체(10)와 제2본체(20)를 반대 방향으로 밀면, 소정의 힘 이상이 적용되고, 상기 슬라이드 돌기(132)가 역으로 나사홈(121)을 밀어 리드 스크류(120)를 역으로 회전시키면서 슬라이드 돌기(132)가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제2본체(20)가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를 수동으로도 개폐할 수 있고, 최대 개방 위치 또는 최대 폐쇄 위치에 한꺼번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th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by manually pushing the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은 단말기 외부의 버튼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소프트 웨어 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may be driven by a button outside the terminal, or may be controlled by softwar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개폐구조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폐구조는 완전 자동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단말기를 개폐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간단하다. 즉, 수동 또는 반자동의 경우에는 단말기 개폐를 위하여 제1본체와 제2본체를 두손으로 밀고 당기거나, 손가락으로 밀고 당겨야 하기 때문에 조작이 까다로웠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모터를 구동시키면 되기 때문에, 버튼, 센서 등을 사용하여 원터치로 개폐동작을 구현할 수 있어서, 개폐조작이 간단해 진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slide-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completely automatically, the user's operatio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erminal is simple. That is, in the case of manual or semi-automatic operatio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re pushed and pulled with both hands or pushed and pulled with the fingers to open and close the terminal, but the operation is difficult,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riving motor is drive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can be implemented by one-touch using a button, a sensor, etc., thereby simplifying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또한, 제1본체(10) 및 제2본체(20)에 반대방향으로 소정치 이상의 힘이 작용하여 밀면 서로 반대로 이동하여 개폐될 수 있기 때문에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when a force of a predetermined value or more is applied to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vident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단말기를 구동모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어서 사용상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수동으로 개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ide-type terminal can be opened and closed automatically by using a driving motor,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in use, and, if necessary, opening and closing manuall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4017A KR100613565B1 (en) | 2004-08-13 | 2004-08-13 | Slide type mobile terminal switchge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4017A KR100613565B1 (en) | 2004-08-13 | 2004-08-13 | Slide type mobile terminal switchge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5167A KR20060015167A (en) | 2006-02-16 |
KR100613565B1 true KR100613565B1 (en) | 2006-08-16 |
Family
ID=3712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40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3565B1 (en) | 2004-08-13 | 2004-08-13 | Slide type mobile terminal switchge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356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6356B1 (en) * | 2006-02-28 | 2013-03-21 | 주식회사 케이티 | Sliding Terminal |
KR101045083B1 (en) * | 2009-06-04 | 2011-06-29 |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 Switchgear for mobile phon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414365B1 (en) | 1989-08-24 | 1996-12-18 | Nokia Mobile Phones (U.K.) Limited | Portable radio telephone |
KR20050027654A (en) * | 2003-09-16 | 2005-03-21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
KR20050056794A (en) * | 2003-12-10 | 2005-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slide phone |
KR20050098626A (en) * | 2004-04-08 | 2005-10-12 | 삼성전기주식회사 | Automatic or semiautomatic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2004
- 2004-08-13 KR KR1020040064017A patent/KR1006135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414365B1 (en) | 1989-08-24 | 1996-12-18 | Nokia Mobile Phones (U.K.) Limited | Portable radio telephone |
KR20050027654A (en) * | 2003-09-16 | 2005-03-21 |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slide type |
KR20050056794A (en) * | 2003-12-10 | 2005-06-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uto open and close apparatus for slide phone |
KR20050098626A (en) * | 2004-04-08 | 2005-10-12 | 삼성전기주식회사 | Automatic or semiautomatic 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5167A (en) | 2006-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814041B2 (en) | Portable terminal | |
EP1691532B1 (en) | Slide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50006932A (en) | Sliding device in sliding type mobile phone | |
KR20050062263A (en) | Slide typ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ing magnet | |
KR100613565B1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switchgear | |
KR20070006236A (en) |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JP4785786B2 (en) | Slide mechanism | |
KR101016523B1 (en) | Slide switch of portable terminal | |
KR100674826B1 (en) | Automatic or semi-automatic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100963125B1 (en) | Slide device | |
KR100619270B1 (en) | Sliding-swing module of portable terminal | |
KR200338310Y1 (en) | Sliding module for slide type portable handheld radiotelephone | |
KR100677310B1 (en) | Slide switch of portable terminal | |
KR20070011814A (en) | Slide switch of portable terminal | |
KR100761447B1 (en) | 2-way switch | |
KR20110064956A (en) | Hinge module of bidirectional slide type mobile terminal | |
KR20050119399A (en) | Semi- automatic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of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JP2004080151A (en) | Mobile terminal with camera | |
KR100801162B1 (en) | Slide switch for communication terminal | |
KR101107122B1 (en) | Mobile devices | |
KR100842601B1 (en) | Portable terminal with sliding module | |
KR200374462Y1 (en) | Portable phone and sliding assembly for portable phone | |
KR100608722B1 (en) | Slide switch of portable terminal | |
KR101012368B1 (en) | Semi-Automatic Slide Mobile Terminal | |
KR200405346Y1 (en) | Slide opening and closing drive of sliding mobile ph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