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423B1 - Banknote counter - Google Patents
Banknote cou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3423B1 KR100613423B1 KR1020040068698A KR20040068698A KR100613423B1 KR 100613423 B1 KR100613423 B1 KR 100613423B1 KR 1020040068698 A KR1020040068698 A KR 1020040068698A KR 20040068698 A KR20040068698 A KR 20040068698A KR 100613423 B1 KR100613423 B1 KR 1006134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banknote
- bill
- ultraviolet
- guid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291 magne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664 Pneumon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1700 light absor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5653 pneumoconi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M—COUNTING MECHANISMS; COUNTING OF OBJE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M7/00—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 G06M7/02—Counting of objects carried by a conveyor wherein objects ahead of the sensing element are separated to produce a distinct gap between successive objects
- G06M7/06—Counting of flat articles, e.g. of sheets of paper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03—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security element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권종의 합산 계수가 가능한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폐를 검출할 수 있는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counter capable of adding up counts of different winding typ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knote counter capable of detecting counterfeit.
이러한 본 발명은 공급되는 지폐들을 각 장씩 이송시키기 위한 지폐 이송 롤러 수단과; 상기 지폐 이송 롤러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과; 상기 가이드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 이송 롤러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일면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자외선을 센싱하는 제 1 자외선 센서(UV Sensor: Ultra Violet sensor)와; 상기 지폐 이송 롤러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타면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자외선을 센싱하는 제 2 자외선 센서와; 기기 전반을 제어하며, 센싱되는 값에 따라 위폐 여부를 판별 및/또는 권종을 판별하여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bill conveying roller means for conveying each sheet of bills supplied; A guide plate for guiding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conveyed by the banknote conveying roller means; A first ultraviolet sensor (UV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uide plate and configured to sense ultraviolet rays reflected by one surface of the banknote conveyed by the banknote conveying roller means; A second ultraviolet sensor for sensing ultraviolet rays reflected by the other surface of the banknote conveyed by the banknote conveying roller means; And a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overall device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unterfei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nsed value, and / or determines the swelling type and performs the corresponding process.
지폐 계수기, 박리위폐, 자외선 센서.Banknote Counter, Peel Off Counterfeit, UV Sensor.
Description
도 1는 일반적인 지폐 계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eneral banknote count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anknote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nknote count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센서들이 배치되는 가이드판을 도시한 도면.4 illustrates a guide plate on which a plurality of sensors are disposed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 조작부 120 : 표시부110: operation unit 120: display unit
130 : 지폐 투입부 140 : 지폐 배출부130: bill input portion 140: bill discharge portion
143 : 회전체 145 : 걸림턱143: rotating body 145: locking jaw
160 : 지폐 이송 롤러 수단 170 : 가이드판160: banknote feed roller means 170: guide plate
180 : 센서판180: sensor plate
200 : 제 1 자외선 센서 201 : 제 2 자외선 센서200: first ultraviolet sensor 201: second ultraviolet sensor
210 : 제 1 자기 센서 211 : 제 2 자기 센서210: first magnetic sensor 211: second magnetic sensor
220 : 제 1 컬러 센서 221 : 제 2 컬러 센서220: first color sensor 221: second color sensor
230 : 제 1 이미지 센서 231 : 제 2 이미지 센서230: first image sensor 231: second image sensor
240 : 제 1 은선 감지 센서 241 : 제 2 은선 감지 센서240: first hidden line detection sensor 241: second hidden line detection sensor
250 : 사이즈 센서250: size sensor
251a : 제 1 사이즈 수광 센서 251b : 제 1 사이즈 발광 센서251a: First size
253a : 제 2 사이즈 수광 센서 253b : 제 2 사이즈 발광 센서253a: second size
300 : 제어부 400 : 메모리300: control unit 400: memory
본 발명은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위폐를 검출할 수 있는 지폐 계수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nknote coun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nknote counter capable of detecting counterfeit.
일반적으로 지폐 계수기는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폐 뿐만 아니라 수표 등과 같은 유가증권을 계수하는 데에도 사용된다.Generally, a bill counter is used to automatically count bills using a mechanical device, and is also used to count not only bills but also securities such as checks.
지폐 계수기는 일반적으로 지폐를 계수하기 위하여 그 내부에 지폐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와, 공급된 지폐를 이송하는 급지 롤러와, 공급 롤러와 급지 롤러에 의해 공급된 지폐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롤러와, 공급 롤러, 급지롤러 및 반출 롤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이와 같은 롤러를 통해 이송된 지폐를 계수하는 계수부로 구성된다.The paper money counter generally includes a supply roller for supplying paper money therein for counting paper money, a paper feed roller for transporting the supplied paper money, a transport roller for transporting the paper money supplied by the supply roller and the paper feed roller, and a supply.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roller, the paper feed roller, and the carrying out roller, and a counting unit for counting bills transferred through such a roller.
한편 위폐 기술이 발달하면서 지폐 계수기에도 위폐를 검출하기 위한 기능이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위폐 검출 기능이 지폐 계수기에 접목되어 짐에 이르렀다. 지폐 계수기는 기본적으로 카운터 센서를 포함한다. 카운터 센서는 발광 및 수광 적외선 센서로 구성되어, 적외선을 이용하여 이송되는 지폐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지폐의 두께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카운터 센서는 주지 관용의 기술이다.Meanwhile, as the counterfeit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various counterfeit detection function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the bill counter as the counter for counterfeit has been required. The banknote counter basically includes a counter sensor. The counter sensor is composed of a light-emitting and a light-receiving infrared sensor, counting the number of bills transferred using infrared light and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bills. Such a counter sensor is a well-known and common technique.
그리고 지폐 계수기는 대부분 지폐의 위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자외선 (UV : Ultra Violet) 센서를 구비한다. 지폐 계수기는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지폐 일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위폐 여부를 감지한다. 참고로 지폐는 통상 목화지가 사용되며, 이는 다른 위조된 지폐 재질들과는 자외선 흡수량에서 차이가 난다. 이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자외선 센서를 통해 지폐의 위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And most bill counters are equipped with an ultraviolet (UV) sensor to detect whether banknotes are counterfeit. The banknote counter detects the counterfei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one side of the banknote being transferred using an ultraviolet sensor. For reference, bills are usually cotton paper, which differs in the amount of ultraviolet light absorbed from other counterfeit bill materials. Accordingly, the banknote counter can detect whether the banknote is counterfeit through the ultraviolet sensor.
현재 지폐 계수기는 이송되는 지폐의 일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위폐 여부를 감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지폐 일면만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위폐 여부를 감지하게 되면 위폐를 진폐로 인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특히 지폐가 그 일면만 진폐이고 타면이 위폐인 경우(이를 이하 '박리위폐'라 한다) 이송되는 지폐의 일면에만 자외선 조사하게 되면, 지폐의 위폐 여부를 정확히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지폐는 반으로 나누어 잘라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으로 나누어진 지폐의 위조 가능한 면에 위조된 종이를 결합함으로써, 박리위폐를 만들어 낼 수 있다.Currently, the bill counter detects the counterfeit by irradiating ultraviolet light on one side of the bill. However, if the detection of the counterfei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nly on one side of the bill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case where the counterfeit may be recognized as pneumonia. In particular, if one side of the banknote is pneumoconiosis and the other side is counterfe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eeling forgery') when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only on one side of the bill to be transported,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ct whether the banknote is counterfeit. Since the banknote can be cut in half, the peeling forgery can be produced by combining the forged paper with the forged side of the banknote divided in half.
이에 따라 지폐 계수기에서 박리 위폐가 인입되어 이송되는 경우, 지폐의 위폐 여부를 정확히 감별해 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나날이 교묘해지는 위폐 기술에 대한 복합적인 위폐 여부 검출을 위한 기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Accordingly, when the peeling counterfeit is introduced and transferred from the banknote count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accurately discriminate whether the counterfeit is counterfeit. In addition,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for detecting whether there is a complex counterfeit for a counterfeit technique that is increasingly sophisticat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폐 계수시 위폐 여부를 보다 정확히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ore accurately detect whether the counterfeit bi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지폐 계수기는 공급되는 지폐들을 각 장씩 이송시키는 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들의 일면뿐만 아니라 그 타면의 자외선 흡수량을 검출한다.The banknote count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detects the amount of ultraviolet light absorption of not only one side of the bills conveyed by the roller for conveying the supplied bills each sheet.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박리 위폐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detect peeling forgery.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자기 센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magnetic sensor.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에 형성된 마그네틱을 검출하여 위폐 여부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further detect whether the counterfeit by detecting the magnetic formed on the banknot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의 컬러 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컬러 센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color sensor for detecting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banknote.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컬러 정보를 통해 지폐의 위폐 여부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may further detect whether the banknote is counterfeit through color information.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에 형성된 이미지를 검출하는 이미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n image sensor for detecting an image formed on the banknote.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의 이미지 정보를 통해 위폐 여부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further detect whether the counterfei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of the banknot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에 형성된 은선을 검출하기 위한 은선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includes a hidden line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hidden lines formed in the banknote.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의 은선에 대한 정보를 통해 위폐 여부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further detect whether the counterfeit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 hidden line of the banknot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 크기를 검출하기 위한 사이즈 센서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size sensor for detecting the banknote size.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 사이즈에 대한 정보를 통해 위폐 여부를 추가로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further detect whether the counterfeit through the information on the banknote size.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이러한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further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일반적인 지폐 계수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계수기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조작부(110)와,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체 상부측에 지폐를 투입하기 위한 지폐 투입부(130)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다량의 지폐들을 지폐 투입부(130)에 위치시키고 조작부(120) 조작을 통해 계수 명령을 실행하면, 지폐 투입부(130)에 위치한 지폐들을 각 장씩 내부로 이송되고, 계수 수단(바람직하게 전술한 주지된 구성인 카운터 센서가 사용된다)(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계수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eneral banknote counter. As shown, the banknote counter includes an
계수 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지폐는 지폐 배출부(140)로 이송된다. 지폐 배 출부(140)는 이송되는 지폐를 외부로 송출시키기 위하여 복수개의 날개를 갖는 회전체(143)와, 회전체(143)의 회전에 의해서 외부로 분리 송출되는 지폐를 손으로 잡기 용이한 상태로 적층시키는 걸림턱(145)을 포함한다. The bills counted by the counting means are transferred to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폐 계수기 개략적인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계수기는 공급되는 지폐들을 각 장씩 이송시키기 위한 다수의 롤러들(이하 '지폐 이송 롤러 수단(160)'이라 한다)을 포함한다. 지폐 이송 롤러 수단(1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지폐 투입부(130)로부터 공급되는 지폐를 각 장씩 공급하는 공급 롤러와, 공급된 지폐를 이송하는 급지 롤러와, 공급 롤러와 급지 롤러에 의해 공급된 지폐를 반출하기 위한 반출 롤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2 is a schematic internal configuration of a banknote coun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banknote counter includes a plurality of rolle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per conveying roller means 160') for conveying the banknotes supplied sheet by sheet. As described above, the bill conveying roller means 160 is basically provided by a supply roller for supplying each sheet of bills supplied from the
지폐 이송 롤러 수단(16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는 가이드판(170)을 통해 가이드되어 회전체 방향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판(170)에는 이송되는 지폐의 위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판(170)은 다수의 센서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갖추어야 한다.Banknotes conveyed by the banknote conveying roller means 160 are guided through the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판(170)에 마주보는 위치에 센서판(180)이 더 구비되며, 이 센서판(180)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센서들이 설치된다. 센서판(180) 또한 다수의 센서들이 설치될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가이드판(170) 및 센서판(180)에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들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위폐 검출 및 이권종 합산이 가능한 지폐 계수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 계수기는 공급되는 지폐들을 각 장씩 이송시키기 위한 지폐 이송 롤러 수단(160)(도 2 참조)과, 지폐 이송 롤러 수단(16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판(170)과, 가이드판(17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지폐 이송 롤러 수단(16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일면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자외선을 센싱하는 제 1 자외선 센서(UV Sensor: Ultra Violet sensor)(200)와, 지폐 이송 롤러 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 타면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자외선을 센싱하는 제 2 자외선 센서(201)와, 기기 전반을 제어하며, 센싱된 값에 따라 위폐 여부를 판별 및/또는 권종을 판별하여 해당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anknote counter capable of detecting counterfeit and sum of two boo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banknote counter is a guide for guid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banknote conveyed by the banknote conveying roller means 160 (refer to FIG. 2) for conveying the banknotes supplied sheet by sheet, and the banknote conveying roller means 160. A first ultraviolet sensor (UV Sensor: Ultra Violet senso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지폐 이송 롤러 수단(16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공급 롤러, 급지 롤러, 반출 롤러를 포함하며,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가이드판(170) 역시 도 2를 참조로 상술한 바와 같이, 지폐 이송 롤러 수단(160)에 의해 이송되는 지폐의 이송 방향을 가이드하며,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banknote conveying roller means 160 basically includes a feed roller, a paper feed roller, and a take-out roller as described above,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ure 2, the
제 1 자외선(UV) 센서(200) 및 제 2 자외선 센서(201)는 이송되는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위폐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이다. 제 1 자외선 센서(200)는 가이드판(17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이송되는 지폐 일면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자외선을 센싱한다. 제 2 자외선 센서(201)는 이송되는 지폐 타면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자외선을 센싱한다. 바람직하게 제 2 자외선 센서(201)는 도 2에서 상술한 센서판(18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지폐 타면에 조사하여 반사되는 자외선을 센싱한다.The first ultraviolet (UV)
이와 같은 자외선 센서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으로, 참고적으로 설명하면 지폐는 빛의 파장대역 중 단파장의 빛에 대한 반사율이 높은 특성이 있기 때문에, 지폐 계수기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자외선 센서를 통해 지폐에 자외선을 조사 후 광량을 계측하여 지폐에 함유된 형광물질 및 지질을 분석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Such an ultraviolet sensor is a known technical configuration, and for reference, the banknote has a high reflectance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short wavelength among the wavelength bands of the light. Afte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he amount of light is measured to analyze the fluorescent material and lipids contained in the banknote, thereby distinguishing whether the banknote is true or false.
제어부(30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조작부(110) 조작에 따라 지폐 계수기 전반을 제어하며, 센싱된 값에 따라 메모리(400)를 참조하여 위폐 여부를 판별 및/또는 권종을 판별하여 해당 처리를 수행한다. 메모리(400)는 지폐의 진위 여부를 구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각국의 지폐에 대한 정보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화하여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지폐에 대한 정보 데이타는 지폐의 자외선 흡수량, 그리고 후술하는 바에 따른 본 발명의 특징적인 양상에 따라 마그네틱의 유무 및 그 수, 지폐의 크기, 컬러 정보, 이미지 정보, 은선(security thread) 정보 등 위폐 판별에 필요한 모든 자료를 포함하며, 또한 지폐의 권종을 구분하기 위한 자료를 포함한다.The
제어부(300)가 메모리(400)를 참조하여 제 1 자외선 센서(200) 및 제 2 자외선 센서(201)로부터 센싱되는 값에 따라 위폐를 판별하게 되면, 바람직하게 지폐 계수 동작을 정지시키고, 위폐 판별에 대한 에러 메시지를 표시부(120)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300)는 부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위폐 검출에 대한 부 저음을 출력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검출된 위폐를 지폐 계수기로부터 제거한다.When the
제어부(300)는 바람직하게 소정 시간 동안 지폐 계수 동작을 정지시킨 후, 다시 지폐 계수 동작이 되도록 처리한다. 표시부(120)는 지폐 계수되는 동안 계속하여 계수되는 지폐의 개수를 표시하며, 모든 지폐가 계수되면 최종 계수된 지폐 수를 표시한다. 이 때, 물론 표시된 수 중 위폐 수는 포함되지 않도록 처리된다.The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 양면에 자외선 조사를 통해 보다 용이한 위폐 여부를 검출할 수 있으며, 특히 박리위폐인 경우에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detect whether the counterfeit is easier through ultraviolet irradiation on both sides of the bill, and in particular, the peeling counterfeit can be easily detected.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투과형 자외선 센서를 더 포함한다. 전술한 제 1 자외선 센서(200) 및 제 2 자외선 센서(201)는 지폐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자외선을 통해 위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수발광 소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나, 이와 달리 추가적인 양상에 따른 자외선 센서는 지폐에 조사되어 투과되는 자외선을 통해 위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가 별도로 구현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transmissive ultraviolet sensor. The first
즉, 지폐 계수기는 가이드판(17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광 자외선 센서(271) 및 수광 자외선 센서(273)와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광 자외선 센서(273) 및 발광 자외선 센서(271)를 포함한다. 도 2에는 설명의 편의상 가이드판(170)에 수광 자외선 센서(273)만이 설치되고, 그와 대향되는 위치인 센서판(180) 상의 소정 위치에 발광 자외선 센서(271)만이 설 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양측 판(170, 180)에 발광 자외선 센서(271)와 수광 자외선 센서(273)가 모두 설치됨이 바람직함을 명시한다. 이와 같은 투과형의 자외선 센서를 사용하는 이유는 예를 들어 달러의 경우에는 자외선에 대한 반사율보다는 투과율이 높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투과형 자외선 센서는 공지된 기술적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at is, the banknote counter is at least one light-emitting
이와 같이 지폐 계수기는 기존과 달리 지폐 양면에 모두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지폐 일면에만 자외선을 조사하여 검출할 수 없게 되는 경우의 위폐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nknote counter can easily detect forgery in the case where the banknote is irradiated with ultraviolet rays on both sides of the banknote, so that the banknote cannot be detect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nly on one side of the banknot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제 1 자기 센서(210)를 더 포함한다. 제 1 자기 센서(210)는 가이드판(170)의 소정 위치에 바람직하게 직사각형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어, 이송되는 지폐 일면에 분포 형성된 마그네틱을 센싱한다. 바람직하게 제 1 자기센서(210)는 가이드판(170)상에 가로 방향으로 일정범위까지 형성되어 있어 지폐에 분포 형성된 마그네틱을 용이하게 센싱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first
제어부(300)는 메모리(400)를 참조하여 제 1 자기 센서(210)에서 센싱된 마그네틱 분포가 기준분포 미만이면, 위폐 검출을 알리는 표시부(120)를 통한 에러 메시지 및/또는 부저음을 출력하게 된다.If the magnetic distribution sensed by the first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자기 센서를 통해 추가적으로 위폐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additionally detect whether the counterfeit through a magnetic senso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제 1 컬러 센서(220)를 더 포함한다. 제 1 컬러 센서(220)는 가이드판(17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이송되 는 지폐 일면의 컬러 정보를 센싱한다. 컬러 센서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빛을 발광시키는 백색광 다이오드에서 지폐의 특정 부분으로 발광되어 반사되는 빛을 지폐의 삼원색(블루, 레드, 그린)으로 이루어진 컬러 센서 다이오드에서 이 빛을 수광하여 컬러 정보, 즉 색상을 센싱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300)는 이와 같이 제 1 컬러 센서(220)에서 센싱된 컬러 정보로부터 지폐의 권종 구분 뿐만 아니라 위변조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지폐 권종 구분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우선 제어부(300)는 초기에 맨 처음 이송되는 지폐의 권종 데이타를 설정치로 저장하고 그와 다른 권종이 이송되는 경우에, 센싱된 값에 따라 이를 검출한다. 필요한 경우에 제어부(300)는 표시부(120) 및/또는 부저음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제어부(300)는 소정 시간 계수 동작을 멈추도록 한 후에 다시 계수 동작을 진행 처리하며, 권종 별로 계수되는 지폐의 합산 처리를 한다. 이와 같은 기술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ly describing the banknote classification, first, the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컬러 센서를 통한 지폐 권종 구분 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위변조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detect not only the banknote classification but also additional forgery through the color senso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제 1 이미지 센서(230)를 포함한다. 제 1 이미지 센서(230)는 가이드판(17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지폐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 이미지를 센싱하며, 바람직하게 지폐 일면의 전체 이미지를 센싱한다. 이미지 센서는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CIS(Contact Image Sensor)가 될 수 있다. CIS는 지폐 일면의 적어도 일부분 이미지를 센싱하 여 지폐의 권종 구분을 할 수 있으며, 특히 지폐 이미지 중 고유한 일련번호를 센싱하여 지폐의 일련번호를 구별하도록 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omprises a
참고로 CIS는 그 유닛(Unit)의 유리면에 밀착된 대상물(Document등)을 스캔하여 데이터화하는 소형 화상입력장치이다. 이 CIS는 200dpi 이상의 해상도를 가지며 광원(RGB light source), 렌즈(Rod lens), 포토센서(Sensor Chip) 그리고 비디오 신호(Video Signal)를 출력하는 기타 전자부품이 내장되어 있다.For reference, the CIS is a small image input device that scans an object (Document, etc.) adhered to the glass surface of the unit and converts the data into a data. The CIS has a resolution of more than 200 dpi and includes a light source (RGB light source), a lens (Rod lens), a photo sensor (Sensor Chip)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that output a video signal.
광원(RGB light source)에서 유리면 위에 설정된 초점으로 빛을 쏘아주며, 그 유리면 위의 지폐에 반사되어 나온 빛은 렌즈(Rod lens)를 통하여 Unit의 내부로 향하게 된다. 그 빛은 포토센서(Sensor Chip)에 이르게 되며, 포토센서와 마이크로프로세서(제어부(300)를 뜻한다)가 설치된 회로기판(PCB)에서 아날로그 형식의 전기적 신호로 변화되어 출력된다.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탈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300)로 입력된다.Light is emitted from the RGB light source to the focal point set on the glass surface, and the light reflected from the banknote on the glass surface is directed into the unit through the lens. The light reaches a photo sensor (Sensor Chip), and is converted into an electrical signal of an analog type on a circuit board (PCB) provided with a photo sensor and a microprocessor (which means the control unit 300). The output analog signal is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nd input to the
제어부(3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모리(400)를 참조하여 지폐의 권종 구분 및 추가적인 위폐 여부를 검출하여 그에 따른 제어 처리를 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이미지 센서를 통해 위폐 판별을 할 수 있으며, 또한 권종 구분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determine counterfeit through the image sensor, it is also possible to classify the winding.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제 1 은선 감지 센서(240)를 더 포함한다. 제 1 은선 감지 센서(240)는 지폐에 형성된 은선(Security Thread)을 센싱하기 위한 수단이다. 은선은 지폐 속에 세로로 넣는 폭 0.5 ~ 3㎜ 정도의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된 얇은 띠 형태의 선으로 위조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위조 방지에 상당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참고로 구권에는 단순 금속 증착은선이 삽입되어 있으며 새로이 발행된 신권에는 홀로그램 은선이 삽입되어 있다.In accordance with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first hidden
은선은 만원권에 들어있는 것과 같이 부분적으로 노출(Windowed thread, 부분노출 은선)시키거나 완전히 종이 속으로 묻혀진 형태(Embedded thread, 은폐 은선)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밖에 은선은 제조 방법 및 기능 부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미세문자 은선, 부분적으로 금속층을 제거한 은선, 유색 문자 조합 은선, 초박막 금속 + 유색 은선 등이 있다.Hidden wires can be manufactured in partially exposed (windowed thread) or completely embedded in paper (hidden hidden wire), as in the full circle. In addition, there are various forms of the hidden line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function provision, and there are fine letter hidden line, silver line partially removed metal layer, colored letter combination silver line, ultra thin metal + colored silver line.
은선 감지 센서는 Metal Thread Sensor 혹은 Security Sensor라고 불리우며, 지폐에 형성된 은선의 표면에 도포된 형광 또는 자성 물질을 센싱하거나,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의 인쇄된 패턴의 차이를 센싱할 수 있다. 아니면 은선의 간격, 문양, 글자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은선의 진위 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인 은선 감지 센서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hidden line detection sensor, called a metal thread sensor or a security sensor, can sense a fluorescent or magnetic material applied to the surface of a hidden line formed on a bill, or sense a difference in a printed pattern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Or you can sense the spacing, patterns, letters, etc. of hidden lines. Since the hidden line detection sensor, which is a means for detecting the authenticity of the hidden line, is a known configuratio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은선 감지 센서를 통해 추가적으로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further determine whether the counterfeit through a hidden line sensor.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사이즈 센서(250)를 더 포함한다. 사이즈 센서(250)는 이송되는 지폐의 크기를 센싱하기 위해 가이드판(17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그와 대향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사이즈 수광/발광 센서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일 실시예에 따라 사이즈 센서(250)는 바람직하게 가이드판(170)의 소정 위치에 가로 방향으로 해서 일렬로 다수개의 수광 센서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의 제 1 사이즈 수광 센서(251a)와 제 2 사이즈 발광 센서(253b)를 포함하며, 그와 대향되는 위치에 제 1 사이즈 발광 센서(251b) 및 제 2 사이즈 수광 센서(253a)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 가이드판(170)에 설치되는 제 1 사이즈 수광 센서(251a) 및 제 2 사이즈 발광 센서(253b)와 각각 대향되게 위치하는 제 1 사이즈 발광 센서(251b) 및 제 2 사이즈 수광 센서(253a)는 센서판(180)에 설치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사이즈 센서(250)는 지폐의 가로 크기를 검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의 사이즈 센서(250)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이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사이즈 센서(250)를 통해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특히 유로화 같은 경우에 크기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에는 권종 구분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The
도 4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다수의 센서들이 배치되는 가이드판(17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17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카운터 센서(IR로 도시된 부분), 제 1 자외선 센서(200), 제 1 자기 센서(210), 발광 자외선 센서(271), 수광 자외선 센서(273), 제 1 컬러 센서(220), 제 1 이미지 센서(230), 제 1 은선 감지 센서(240), 사이즈 센서(250) 중 일 예에 따라 제 1 사이즈 수광 센서(251a) 및 제 2 사이즈 발광 센서(253b)들이 배치된다.4 illustrates a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센서판(180)과 제 2 자기 센서(211)를 더 포함한다. 센서판(18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170)의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그리고 제 2 자기 센서(211)는 센서판(18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자외선 센서(201) 또한 바람직하게 따라 센서판(18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제 2 자기 센서(211)는 가이드판(170)을 따라 이송되는 지폐 타면의 마그네틱을 센싱한다. 이하 처리 과정은 상술한 제 1 자기 센서(210)측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second
바람직한 일 양상에 따라 가이드판(170)과 센서판(180) 중 적어도 일측 판에 설치되는 자기 센서는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판(170)에 설치되는 제 1 자기 센서(2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자기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중 윗부분에 위치한 3개의 자기 센서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MR 헤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자기 센서는 중앙에 위치한 하나의 코일 헤드 센서와 그 양측에 위치한 2개의 MR 헤드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에 위치한 직사각형의 길다란 자기 센서를 코일 헤드를 사용할 경우, 코일의 특성상 길다란 모양의 제작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복수로 설치되는 자기 센서는 필요에 따라 MR 헤드 및/또는 코일 헤드가 사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there is a plurality of magnetic sensors install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통상적으로 제 1 자기 센서(210)는 가운데 위치한 자기 센서만을 구비한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자기 센서(210)는 지폐의 양 사이드 부분측에 위치한 마그네틱은 검출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대한민국이나 중국 지폐의 경우에는 지폐 사이드 부분에 마그네틱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지폐에 형성된 마그네틱을 제대로 검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술한 바와 같은 양상에 따른 제 1 자기 센서(210)는 지폐에 형성된 마그네틱을 모두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Typically, the first
또한 센서판(180)에 설치되는 제 1 자기 센서(180)도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이송되는 지폐의 양면에 형마그네틱이 모두 형성되는 경우에, 이를 용이하게 검출하여 보다 정확히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can easily detect the counterfeit if the mold magnetic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ill to be transferred, more easily by detecting it.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제 2 컬러 센서(221)를 더 포함한다. 제 2 컬러 센서(221)는 센서판(18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지폐 타면의 컬러 정보를 센싱한다. 이하 제 1 컬러 센서(221)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 양면의 컬러 정보를 센싱하므로, 보다 정확히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senses color information on both sides of the banknote, so tha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unterfeit is more accurat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제 2 이미지 센서(231)를 더 포함한다. 제 2 이미지 센서(231)는 센서판(18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지폐 타면의 적어도 일부분 이미지를 센싱하며, 바람직하게 지폐 타면의 전체 이미지를 센싱한다. 이하 제 1 이미지 센서(230)에서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In accordance with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지폐 양면의 이미지를 센싱하므로, 보다 정확히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ill counter senses the image of both sides of the bill, it is possible to more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counterfeit.
본 발명의 추가적인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제 2 은선 감지 센서(241)를 더 포함한다. 제 2 은선 감지 센서(241)는 센서판(180)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지폐에 형성된 은선을 센싱하기 위한 센서이다. 통상 은선은 지폐 일면에만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 1 은선 감지 센서(240)만으로는 이송되는 지폐의 은선이 제대로 검출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제 2 은선 감지 센서(241)가 추가됨으로 인해 이송되는 지폐에 형성된 은선은 용이하게 검출될 수 있다.In accordance with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further comprises a second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양상에 따라 지폐 계수기는 이송되는 지폐에 형성된 은선을 용이하게 검출하게 되므로, 보다 정확히 위폐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nknote counter can easily detect the hidden line formed on the conveyed banknote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unterfeit is more accurate.
센서판(180)에 설치되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센서들은 가이드판(170)에 설치된 패턴과 유사 내지 동일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도면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lurality of sensors as described above installed 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 계수기는 지폐 양면의 자외선 흡수량을 검출함으로써, 박리위폐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nknote counter detects the amount of ultraviolet absorption on both sides of the banknot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etermine peeling forgery.
또한 본 발명은 위폐 기술의 발달로 인한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기 위해 다양한 추가적인 기술들을 통해 위폐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counterfeit through a variety of additional techniques for discriminating the authenticity of the bill due to the development of counterfeit technology.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which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8698A KR100613423B1 (en) | 2004-08-30 | 2004-08-30 | Banknote cou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8698A KR100613423B1 (en) | 2004-08-30 | 2004-08-30 | Banknote coun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9981A KR20060019981A (en) | 2006-03-06 |
KR100613423B1 true KR100613423B1 (en) | 2006-08-17 |
Family
ID=37127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869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3423B1 (en) | 2004-08-30 | 2004-08-30 | Banknote cou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342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9107A (en) * | 2021-12-27 | 2023-07-04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Medium stack method of the medium storage unit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5355B1 (en) * | 2007-05-29 | 2014-04-14 |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 Apparatus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kind distinction with the same |
KR100879611B1 (en) * | 2007-05-15 | 2009-01-21 | 엘지엔시스(주) | Banknote Reading Device and Method of Reading Banknote |
US8548220B2 (en) | 2007-05-15 | 2013-10-01 | LG CNS Co. Ltd. | Apparatus for media recognition and method for media kind distinction with the same |
KR100813144B1 (en) * | 2007-08-29 | 2008-03-14 | (주)가림아이엔지 | Counterfeit Bill Differential Bill Counter |
KR101037696B1 (en) * | 2008-01-18 | 2011-05-30 | 이희영 | Control method of silver wire detection device |
KR101117359B1 (en) * | 2009-07-31 | 2012-03-07 | 엘지엔시스(주) |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um recognition |
KR101992387B1 (en) * | 2017-09-28 | 2019-06-24 | (주)넥스빌 | Integrated sensor module fo Bill counter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9194A (en) * | 1998-02-05 | 1999-09-06 | 함현철 | Banknote Recognition Device |
KR200215092Y1 (en) | 2000-09-15 | 2001-03-02 | 염명식 | Banknote counter |
KR200285318Y1 (en) | 2002-05-16 | 2002-08-13 | 기산전자시스템 주식회사 | Counterfeit Detector Using Infra Radiation |
KR200328153Y1 (en) | 2003-07-16 | 2003-09-26 | 노희옥 | Bill counting device which can discriminate counterfeit note from the bill and sum the denomination of the bill |
KR20030095769A (en) * | 2002-06-14 | 2003-12-24 | 염명식 | Bill counting device |
KR100416911B1 (en) | 2000-05-24 | 2004-01-31 | 로레루 머시너리 가부시끼 가이샤 | Bill counting machine |
-
2004
- 2004-08-30 KR KR1020040068698A patent/KR10061342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69194A (en) * | 1998-02-05 | 1999-09-06 | 함현철 | Banknote Recognition Device |
KR100416911B1 (en) | 2000-05-24 | 2004-01-31 | 로레루 머시너리 가부시끼 가이샤 | Bill counting machine |
KR200215092Y1 (en) | 2000-09-15 | 2001-03-02 | 염명식 | Banknote counter |
KR200285318Y1 (en) | 2002-05-16 | 2002-08-13 | 기산전자시스템 주식회사 | Counterfeit Detector Using Infra Radiation |
KR20030095769A (en) * | 2002-06-14 | 2003-12-24 | 염명식 | Bill counting device |
KR200328153Y1 (en) | 2003-07-16 | 2003-09-26 | 노희옥 | Bill counting device which can discriminate counterfeit note from the bill and sum the denomination of the bill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1019990069194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9107A (en) * | 2021-12-27 | 2023-07-04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Medium stack method of the medium storage unit |
WO2023128256A1 (en) * | 2021-12-27 | 2023-07-06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Medium stacking method of medium storage part |
KR102621273B1 (en) | 2021-12-27 | 2024-01-04 |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 Medium stack method of the medium storage u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9981A (en) | 2006-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16307A (en) | Currency paper verification and denomination device | |
EP0807904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 paper currency | |
JP4484211B2 (en) | Optical sensor device for detect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valuable paper | |
KR100661440B1 (en) | Paper feature detection device and paper feature detection method | |
JPWO2008050459A1 (en) | Paper sheet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 |
KR100613423B1 (en) | Banknote counter | |
EP3447740A1 (en) | Invisible-feature detection device, sheet recognition device, sheet handling device, print inspection device, and invisible-feature detection method | |
KR101992387B1 (en) | Integrated sensor module fo Bill counter | |
KR20050009503A (en) | Bill counting device which can discriminate counterfeit note from the bill and sum the denomination of the bill and mehtod thereof | |
JP2003296801A (en) | Paper money counter | |
KR20010009029A (en) |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tinguishing a counterfeit note | |
KR100857880B1 (en) | Banknote counter to detect the presence of magnetic ink | |
KR100813144B1 (en) | Counterfeit Bill Differential Bill Counter | |
KR101076322B1 (en) | Method for discriminating the authenticity of paper money by using a contact image sensor | |
KR100812254B1 (en) | Banknote discriminator | |
KR101166603B1 (en) | Forgery tester paper money of a counting machine using dual uv sensor | |
KR200394238Y1 (en) | Comptometer and high speed scanner for Paper money | |
KR20120069841A (en) | A banknote discrimination apparatus using contact image sensor module | |
JP2020113270A (en) | Image acquisition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bill processing device and image acquisition method | |
KR100603184B1 (en) | Banknote Counting Classification System for Differentiation of Counterfeit and Counterfeiting Using UV Sensor | |
KR200328153Y1 (en) | Bill counting device which can discriminate counterfeit note from the bill and sum the denomination of the bill | |
KR200394059Y1 (en) | Paper money comptometer | |
KR200399249Y1 (en) | Paper money counting apparatus having function of discriminating counterfeit note | |
EP3291186B1 (en) | A bank note handling machine | |
KR200303526Y1 (en) | Note count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8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1033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8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2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