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2562B1 - Opening/clo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doors - Google Patents

Opening/clo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do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2562B1
KR100612562B1 KR1020040089460A KR20040089460A KR100612562B1 KR 100612562 B1 KR100612562 B1 KR 100612562B1 KR 1020040089460 A KR1020040089460 A KR 1020040089460A KR 20040089460 A KR20040089460 A KR 20040089460A KR 100612562 B1 KR100612562 B1 KR 100612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gear portion
opening
door
doo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4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42741A (en
Inventor
후쿠오미치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50042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27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56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Hin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과제) 회전기어 및 이것과 관련된 부재나 기어의 손상 혹은 파손의 우려를 없게 하여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Problem) Improve the quality and reliability by eliminating the risk of damage or breakage of the rotary gear and its related members and gears.

(해결수단) 도어체(3)를 상자형상 기체(2)에 대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도어개폐기구에 있어서, 도어체(3)는 지지용 암부(31)를 돌출형성하고, 이 암부(31)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37) 및 이 기어부(37)의 대략 원호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7)를 가지고 있다. 기체(2)는 기어부(37)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내치 기어형의 제 1 기어부(28) 및 탄성위치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7)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9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어체(3)가 제 1 기어부(28)에 대한 기어부(37) 및 제 2 기어부(9b)에 대한 회전기어(7)의 각 맞물림을 통해서 제 1 기어부(28)에 대응한 궤적으로 회동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폐쇄위치에서 외부로부터 기체(2)의 저면방향으로 하중을 받았을 때, 이 하중에 기인하여 회전기어(7)에 가해지는 부하를 제 2 기어부(9b)의 탄성위치변위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Solution means) In th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which rotates the door body 3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box-shaped base body 2, the door body 3 protrudes and forms the support arm part 31, It has the arc-shaped gear part 37 formed in this arm part 31, and the rotary gear 7 attached to the substantially circular arc center of this gear part 37. As shown in FIG. The base 2 has an internal gear type first gear portion 28 formed so as to engage with the gear portion 37 and a second gear portion 9b that is elastically displaceable and engages with the rotary gear 7. have. Then, the door body 3 is connected to the first gear portion 28 through respective engagements of the gear portion 37 with respect to the first gear portion 28 and the rotary gear 7 with respect to the second gear portion 9b. The second gear portion 9b receives a load applied to the rotary gear 7 due to the load when the load is changed from the outside to the corresponding trajectory while being rotated to the corresponding trajectory. It can be absorbed by the elastic position displacement of.

Description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OPENING/CLO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DOORS}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device {OPENING / CLO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DOORS}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박스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composition of the box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도 1의 박스를 도어체의 폐쇄위치에서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 FIG. 2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box of FIG. 1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oor; FIG.

도 3은 도 1의 박스를 도어체의 폐쇄위치에서 나타내는 측면도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box of FIG. 1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oor;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도 1의 기어커버에 제 2 기어부를 조립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며, (b)는 (a)의 B-B선 단면도, (c)와 (d)는 (a)의 C-C선 단면도 Fig. 5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gear portion is assembled to the gear cover of Fig. 1, (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a), and (c) and (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a).

도 6은 상기 박스를 도어체의 폐쇄위치에서 나타내는 작동도 6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box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oor;

도 7은 상기 박스를 도어체의 개방위치에서 나타내는 작동도 7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box in the open position of the door;

도 8은 종래의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 8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device;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박스(도어개폐장치) 2 - 상자형상 기체(基體)1-box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2-box-shaped body (基 體)

3 - 도어체 31 - 암부3-door body 31-arm

34 - 걸어맞춤편 4 - 로크수단(푸시ㆍ푸시걸림기구)34-LOCKERS 4-Locking means (push and push mechanism)

5 - 탄지수단 6 - 댐퍼수단5-Tangier means 6-Damper means

7 - 회전기어 8b - 축부(가이드수단) 7-Rotary gear 8b-Shaft part (guide means)

9 - 가동체 9a - 가동체 본체9-movable body 9a-movable body

9b - 제 2 기어부 9c - 탄성부9b-2nd gear part 9c-elastic part

10 - 기어커버 28 - 제 1 기어부10-Gear Cover 28-First Gear

29a - 안내벽부(가이드수단) 37 - 원호형상 기어부29a-guide wall part (guide means) 37-arc-shaped gear part

본 발명은 상자형상 기체에 대해서 도어체를 개폐하는 도어개폐기구 및 이것을 사용한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상자형상 기체(基體)"는 각종의 수용체나 하우징 등을 포함하고, "도어체"는 덮개체나 차폐체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것을 나타낸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a door body with respect to a box-shaped gas,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ing the sam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box-shaped base body" contains various container, a housing | casing, etc., and a "door body" shows the thing of a wide meaning including a cover body, a shielding body, etc.

종래의 도어개폐기구는 상자형상 기체의 개구부에 대해서 도어체를 회전축 등을 통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구성이고, 상기 개방위치에서 도어체가 상자형상 기체로부터 크게 돌출됨으로써 볼품이 없거나 외관이 나빠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이었다. The conventional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is configured to rotate the door body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opening of the box-shaped gas through a rotation shaft or the like. The problem was that it got worse.

도 8에 나타내는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이 개발한 것이다(특허문헌 1). Th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and the device shown in FIG. 8 have been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Patent Document 1).

이러한 도어개폐기구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체(3)를 개방위치방향 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5)과, 이 탄지수단(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도어체(3)를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로크수단(4)과, 제동용 댐퍼수단(6)을 구비한 도어개폐장치로서의 박스(1)에 채용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holds the door body 3 in a closed posi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ing means 5 holding the door body 3 in the open position direction, and the holding means 5. Is employed in the box 1 as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provided with a locking means 4 for releasable locking and a damper means 6 for braking.

여기서, 상자형상 기체(2)는 상면측이 개방되어 있고, 이 상면측 개구부의 주연부를 따라서 플랜지부(26)가 형성되고, 양 측벽부(23)는 후방 측벽부(23a)가 전방 측벽부(23b)에 비해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후방 측벽부(23a)와 전방 측벽부(23b)간의 단차면에 상자형상 기체(2)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창부를 형성하고 있다. 도어체(3)는 상자형상 기체(2)의 내측에서 상기 창부를 통해서 외측으로 배치되는 지지용 암부(31)을 가지고 있으며, 댐퍼수단(6)을 이 지지용 암부(31)의 원판부(32)측에 부착하고 있다. 로크수단(4)은 누름조작에 의해서 도어체(3)의 걸어맞춤편(34)을 걸어 고정하고, 재차 누름조작에 의해서 그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탄지수단(5)은 그 일단이 상자형상 기체(2)의 걸림돌기(29)에 걸려 고정되고, 타단이 지지용 암부(31)의 축부(35)에 걸려 고정된다. Here, the box-shaped base body 2 is open at the upper surface side, and a flange portion 26 is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upper surface side opening, and both side wall portions 23 have the rear side wall portion 23a at the front side wall portion. It protrudes outward compared with 23b, and forms the window part which communicates inside and outside of the box-shaped base body 2 in the step surface between the rear side wall part 23a and the front side wall part 23b. The door body 3 has a support arm portion 31 disposed outwardly through the window portion inside the box-shaped base 2, and the damper means 6 is attached to the disc portion of the support arm portion 31 ( It is attached to the 32) side. The locking means 4 hangs and locks the engagement piece 34 of the door body 3 by the pressing operation, and the locking state is released again by the pressing operation. One end of the holding means 5 is fixed to the locking projection 29 of the box-shaped base 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shaft portion 35 of the support arm 31.

상기한 도어개폐기구의 특징은, 도 8의 (b)에 확대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체(3)의 지지용 암부(31)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37) 및 이 원호형상 기어부(37)의 원호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7)를 가지고 있는 것, 회전기어(7)가 댐퍼수단(6)을 구성하고 있는 것, 상자형상 기체(2)가 활형상의 리브(27)에 형성되며 원호형상 기어부(37)와 맞물리는 내치 기어형의 제 1 고정 기어부(27a) 및 이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측에 형성되며 회전기어(7)와 맞물리는 제 2 고정 기어부(28)를 가지고 있는 것 등에 있다. The characteristic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is an arc-shaped gear portion 37 formed in the support arm portion 31 of the door body 3 and the arc-shaped gear portion (as shown in enlarged view in Fig. 8B). 37 having a rotary gear 7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arc of the arc, the rotary gear 7 constituting the damper means 6, and the box-shaped base 2 being provided on the rib 27 A first fixed gear portion 27a of an internal gear type, which is formed and engaged with the arc-shaped gear portion 37, and a second fixed portion formed inside the first fixed gear portion 27a and engaged with the rotary gear 7; It has a gear part 28, etc.

이상의 도어개폐기구에서는, 도어체(3)가 원호형상 기어부(37)와 제 1 고정 기어부(27a) 및 회전기어(7)와 제 2 고정 기어부(28)의 각 맞물림에 의해서 유지되고,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치 기어형의 기어부분을 따르는 궤적으로 동작한다. 그리고, 도어체(3)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또는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전환될 때, 도어체(3)의 회동 지지점이 제 1 고정 기어부(27a)의 내치 기어형의 기어부분{및 제 2 고정 기어부(28)의 기어부분}에 대응하여 하측 또는 상측으로 회동함으로써, 개방위치에서 도어체(3)의 상자형상 기체(2) 내에서의 돌출량을 억제할 수 있고, 회동전환되는 과정에서는 댐퍼수단(6)의 제동과 함께 기어끼리의 맞물림에 기인한 양호한 작동을 얻을 수 있다. In the abov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the door body 3 is held by engagement between the arc-shaped gear part 37, the first fixed gear part 27a, and the rotary gear 7 and the second fixed gear part 28. And a trajectory along the gear portion of the internal gear type of the first fixed gear portion 27a. Then, when the door body 3 is rotat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or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pivot support point of the door body 3 is an internal gear type gear portion of the first fixed gear portion 27a. By rotating to the lower side or the upper side corresponding to {and the gear portion of the second fixed gear portion 28}, the amount of protrusion in the box-shaped base 2 of the door body 3 in the open position can be suppressed, In the course of rotation switching, good operation due to the engagement of the gears together with braking of the damper means 6 can be obtained.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3-129742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3-129742

상기한 도어개폐기구 및 장치에서는, 도어체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상측으로부터 큰 하중(F)을 받으면, 이 하중이 상자형상 기체측의 제 2 고정 기어부(28)와 맞물려 있는 회전기어(7)에 가해지게 됨으로써 기어의 맞물림부나 회전기어(7)의 지지부가 손상될 우려가 있고, 또 회전기어(7)가 댐퍼수단(6)의 출력축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댐퍼 본체 내에 충전되어 있는 오일이 누출될 우려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도어체(3) 위에 물체를 얹어놓거나 떨어뜨리는 경우 이외에도, 도어체(3)를 암레스트나 간이 테이블 등으로서 구성하는 태양에 있어서 현저하게 된다. In the abov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and the device, when the door receives the large load F from the upper side when the door is in the closed position, the load gear is engaged with the second fixed gear portion 28 on the box-shaped base side. If the gear is engaged with the gear and the support of the rotary gear 7 may be damaged, and the rotary gear 7 is mounted on the output shaft of the damper means 6, the oil filled in the damper body There is a risk of leakage. This problem is remarkable in the aspect which constitutes the door body 3 as an armrest, a simple table, etc.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an object is placed or dropped on the door body 3.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여, 회전기어 및 이것과 관련된 부재나 기어의 손상 혹은 파손의 우려를 없게 하여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용도적인 제약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의 내용 설명에서 명백하게 한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eliminate the risk of damage or damage to the rotating gear and its related members and gears, to improve quality and reliability, and to avoid application restrictions. have. Other objects are apparen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도어체를 상자형상 기체에 대해서 이 기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도어개폐기구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는 지지용 암부를 돌출형성하고, 이 암부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 및 이 기어부의 대략 원호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를 가지고, 상기 기체는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내치 기어형의 제 1 기어부 및 탄성위치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를 가지고, 상기 도어체가 상기 제 1 기어부에 대한 원호형상 기어부 및 상기 제 2 기어부에 대한 회전기어의 각 맞물림을 통해서 상기 제 1 기어부에 대응한 궤적으로 회동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폐쇄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기체의 저면방향으로 하중을 받았을 때, 이 하중에 기인하여 상기 회전기어에 가해지는 부하를 상기 제 2 기어부의 탄성위치변위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탄성위치변위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게"란 제 2 기어부가 그 설치개소나 위치를 탄성적으로 가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1,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turning the door body into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base body and an opening position for opening th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box-shaped base body, wherein the door body has a supporting arm portion. A protruding, arcuate gear portion formed in the arm portion and a rotary gear attached to an approximately arcuate center of the gear portion, wherein the body is formed of an internal gear type first gear portion and an elastic position formed to engage the arcuate gear portion; A second gear portion which is installed to be displaceable and engages with the rotary gear, and the door body has the first gear through each engagement of an arc-shaped gea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gear portion and a rotation ge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gear portion; When rotation is switched to the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negative part and when a load is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bottom direction of the gas in the closed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rotary gear can be absorbed by the elastic position displacement of the second gear portion due to the heavy load. Here, "absorbable by elastic position displacement" means that the second gear portion is formed to elastically vary its installation location or position.

이상의 도어개폐기구에 의하면, 도어체가 상자형상 기체측의 제 1 기어부에 대한 원호형상 기어부의 맞물림과 제 2 기어부에 대한 회전기어의 맞물림을 통해서 지지되고,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또는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회동전환될 때, 도어체의 회동 지지점이 제 1 기어부의 내치 기어형의 기어부분(및 제 2 기어부의 기어부분)에 대응하여 회동되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은 이점, 즉 개방위치에서 도어체의 상자형상 기체 내에서의 돌출량을 억제하여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고, 회동전환되는 과정에서는 급격한 회동을 기어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 억제하여 작동 특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고, 이것에 더하여, 도어체가 폐쇄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상자형상 기체의 저면방향의 하중을 받았을 때, 이 하중에 기인하여 회전기어에 가해지는 부하를 이 회전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 2 기어부의 탄성위치변위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기어 및 제 2 기어의 맞물림부나 회전기어의 지지부 등의 손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described above, the door body is supported through engagement of an arc-shaped gea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gear portion on the box-shaped base side and rotation ge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gear portion, an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or the open position. When the rotational support point of the door body is rota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inner gear type gear portion (and the gear portion of the second gear portion) of the first gear portion, when it is switch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the same advantages as those shown in FIG. In the open position, the protrusion amount in the box-shaped body of the door body is suppressed to improve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and in the process of rotation switching,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by suppressing abrupt rotation by engaging the gears together. In addition, when the door body receives a load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box-shaped body from the outside in the closed position, it is applied to the rotary gear due to this load. Since the load can be absorbed by the elastic position displacement of the second gear portion engaged with the rotary gear,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damage to the engaging portion of the rotary gear and the second gear, the support portion of the rotary gear, and the like.

상기한 도어개폐기구는, 상기 기체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기어부를 탄성위치변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기어커버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2). 이것은, 제 2 기어부를 상자형상 기체에 탄성변위 가능하게 형성하여도 되지만 기어커버에 부설하는 것이 보다 간이하고, 게다가 실시예와 같이 상자형상 기체측의 제 1 기어부와 도어체측의 원호형상 기어부 및 회전기어, 즉 기어 기구부를 기어커버로 덮음으로써 외관 특성이나 작동 특성 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has a gear cover attached to the base and supporting the second gear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displaceable (claim 2). Although the second gear portion may be elastically displaced in the box-shaped base, it is easier to attach it to the gear cover. Furthermore, as in the embodiment, the first gear unit on the box-shaped base side and the arc-shaped gear part on the door body side as in the embodiment. And the outer gear, that is, the gear mechanism part with the gear cover, can maintain appearance characteristics, operating characteristics and the like.

이 경우, 상기 제 2 기어부가 상기 기어커버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가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3). 이것은, 제 2 기어부가 기어커버에 가동체를 통해서 설치됨으로 써, 예를 들면, 제 2 기어부의 탄성 지지력을 적당한 크기로 확보하거나 슬라이드 이동 지지구조를 간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gear part is provided in the movable body which is slidably moved with respect to the said gear cover, and is supported by one direction (claim 3). This is because the second gear portion is provided in the gear cover via the movable body, so that, for example, the elastic support force of the second gear portion can be secured to an appropriate size or the slide movement support structure can be simplified.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이상의 도어개폐기구를 장치로서 잡은 것으로서, 도어체가 상자형상 기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과 이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로크수단과 로터리식 댐퍼수단을 구비한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체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어개폐기구에 의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댐퍼수단이 상기 암부에 댐퍼 본체를 부착하고 또한 이 댐퍼 본체의 출력축에 상기 도어개폐기구의 회전기어를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invention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s held as an apparatus, and the door body is rotated to a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box-shaped gas and to an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pening, and held in the open position direction. A door opening / closing device comprising a finger holding means and a locking means and a rotary damper means, which are releasably hooked and fixed in the closed position to resist the elastic force of the finger holding means, wherein the door body is any one of claims 1 to 3. It is switched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b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described in the above, and the damper means attaches a damper body to the arm portion, and the rotary gear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is attach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damper body. Doing.

이상의 도어개폐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도어개폐기구에 의한 이점에 더하여, 도어체를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의해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전환하거나, 도어체를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전환할 때의 동작을 댐퍼수단에 의해서도 부드럽게 할 수 있으며, 또 댐퍼수단이 출력축에 도어개폐기구의 회전기어를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조립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e door body is switch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ing means, or the door body is moved from the open position to the closed posi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The operation at the time of switching can be made smooth by the damper means, and since the damper means is equipped with the rotary gear of th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on the output shaft, the assembly can be simplified.

상기한 도어개폐장치는, 상기 댐퍼수단의 댐퍼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과 반대측인 본체 저면에 돌출형성된 축부와, 상기 기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어부와 거의 같은 궤적으로 이루어지는 원호형상의 안내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체의 회동전환과정에서 상기 축부가 상기 안내벽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청구항 5). 이것은, 도어개폐장치가 가이드수단에 의해서도 도어체의 회동전환작동을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includes an axial portion protruding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output shaft in the damper main body of the damper means, and an arc-shaped guide protruding from the base and having a trajectory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irst gear portion. It is made of a wall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ft portion has a guide means for sliding the slide along the guide wall in the process of turning the door (claim 5). This is becaus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an more stably maintain the rotation switching operation of the door body by the guide means.

(발명의 실시형태)Embodiment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최량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도 8의 종래품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체의 개요를 설명한 후, 실시예에 의거하여 요부를 명백하게 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The be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xamples shown in the drawings. In addition, in FIG. 1-7, the same code | symbol is attached | subjected about the member similar or similar to the prior art of FIG.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fter explaining the whole outline, a main part is made clear based on an Example.

(개요)(summary)

본 실시예의 도어개폐장치는 상자형상 기체(2)와 이 상자형상 기체(2)의 상면측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체(3)로 이루어지는 박스(1)를 일례로 하고 있으며, 도어체(3)를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5)과, 도어체(3)를 상기 탄지수단(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면측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로크수단(4)과, 제동용 댐퍼수단(6)과, 회동용 가이드수단(8b,29a)을 구비하며, 도어체(3)가 본 발명의 도어개폐기구에 의해서 개방위치와 폐쇄위치로 회동전환된다.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this embodiment has an example of a box 1 composed of a box body 2 and a door body 3 which opens and closes an upper surface side opening of the box body 2, and the door body 3 To the retentive means 5 which is held in the direction of the open position from the closed position, and the door body 3 to be releasably locked in a closed position that closes the upper side opening by resi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touched means 5. And a locking means 4, a braking damper means 6, and a rotation guide means 8b, 29a. The door body 3 is rotated to an open position and a closed position by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witched.

상기 도어개폐기구는, 도어체(3)는 지지용 암부(31)를 돌출형성하고, 이 암부(31)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37) 및 이 기어부(37)의 대략 원호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7)를 가지고 있는 점, 회전기어(7)가 댐퍼수단(6)의 일부 구성을 겸용하고 있는 점, 상자형상 기체(2)에는 상기 암부(31)를 상면측 개구부에서 대응하는 측벽부(23)의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하는 창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점, 상자형상 기체(2)는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37)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내치 기어형의 제 1 기어부(28)와 탄성위치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어(7)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9b)를 가지고 있는 점, 제 2 기어부(9b)가 가동체(9)에 형성되고, 상자형상 기체(2)에 부착되는 기어커버(10)에 대해서 가동체(9)를 통해서 탄성변위되는 점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주된 부재인 상자형상 기체(2), 도어체(3), 가동체(9), 기어커버(10)는 모두 수지 성형품이다.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e door body 3 protrudes from the support arm portion 31, and is attached to the arc-shaped gear portion 37 formed in the arm portion 31 and approximately the center of the arc of the gear portion 37. A point having a rotary gear 7, a point where the rotary gear 7 shares a part of the damper means 6, and the box-shaped base 2 corresponds to the arm portion 31 at an upper surface side opening. The window portion 24 is formed so as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23, the box-shaped base 2 is a first gear portion of the internal gear type formed to engage with the arc-shaped gear portion 37 ( 28 and a second gear portion 9b, which is provided to be resilient in position and engages with the rotary gear 7, the second gear portion 9b is formed in the movable body 9, and has a box shape. The gear cover 10 attached to the base 2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elastically displaced through the movable body 9. In addition, the box-shaped base body 2, the door body 3, the movable body 9, and the gear cover 10 which are main members are all resin molded articles.

(실시예)(Example)

상자형상 기체(2)는, 상면측이 개방되어 있고, 그 내부(21)가 전방 중간부의 로크수단용 배치부(22) 및 플랜지(26) 등에 의해서 구획 형성되고, 양 측벽부(23)는 후방 측벽부(23a)에 대해서 전방 측벽부(23b)가 내부(21)측으로 일단(一段) 들여 놓여지고, 이 들여 놓여진 단차부의 단면에 창부(24)가 형성되고, 전벽부(25)가 상기 배치부(22)에 대응한 공간부(25a)를 가지고 있다. The box-shaped base body 2 is open at the upper surface side, and its inner portion 21 is partitioned by the locking means placing portion 22 and the flange 26 at the front middle portion, and both sidewall portions 23 are formed. The front side wall part 23b is onc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ear side wall part 23a, and the window part 24 is formed in the end surface of this stepped part, and the front wall part 25 is It has the space part 25a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art 22. As shown in FIG.

플랜지부(26)는 도어체(3)가 폐쇄위치에서 수용되도록 전측 및 양측을 돌출시킨 상태로 상면측 개구부를 에워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내부(21)는 도어체(3)를 배면측에 세운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다. 배치부(22)에는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부착구멍에 로크수단(4)이 장착되어 있다. 로크수단(4)은 특허문헌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푸시ㆍ푸시 걸림기구, 즉 도어체(3)를 폐쇄위치방향으로 누르면서 회동시키면 걸려 고정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재차 누루면서 손을 떼면 걸림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단, 로크수단(4)은 상기한 것 이외의 기구이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자형상 기체(2)가 차실 내의 인스트러먼트 패널이나 센터 콘솔의 오목부에 플랜지부(26) 이하의 하측 부분이 끼워지는 상태로 설치된다. The flange portion 26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upper surface side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front side and both sides protrude so that the door body 3 is accommodated in the closed position. The interior 21 is sized to accommodate the door body 3 in a standing state on the back side. The mounting part 22 is provided with the attachment hole, The locking means 4 is attached to this attachment hole. The locking means 4 is locked by being pushed and pushed by a push and push mechanism such as that shown in Patent Document 1, i.e., the door 3 in the closed position direction, and is locked by pressing again in the same direction. It becomes the structure that becomes. However, the locking means 4 may be a mechanism other than the above.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box-shaped base body 2 is provided in the state which the lower part below the flange part 26 fits in the recessed part of the instrument panel or center console in a compartment.

양 측벽부(23)는 동일한 형상이고, 전방 측벽부(23b)가 후방 측벽부(23a)보다 내측으로 들여 놓여져 있고, 전방 측벽부(23b)와 후방 측벽부(23a)간의 단차면에 형성되어 상자형상 기체(2)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창부(24)를 가지고 있다. Both side wall portions 23 have the same shape, and the front side wall portion 23b is indented inward from the rear side wall portion 23a, and is formed on the step surface between the front side wall portion 23b and the rear side wall portion 23a. It has the window part 24 which communicates inside and outside of the box-shaped base body 2.

전방 측벽부(23b)에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부(24)의 전방으로 대략 원호형상의 부착용 리브(27)와 가이드용 리브(29)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1 and FIG.6, the front side wall part 23b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window part 24 in the substantially arc-shaped attachment rib 27 and the guide rib 29. As shown in FIG.

부착용 리브(27)는 제 1 기어부(28)를 형성하고 있는 원호형상부(27a)와, 이 원호형상부(27a)의 하측에 연결되어 있는 대략 L자 형상의 연결부(27b)와, 이 연결부(27b)의 수평부분에서 돌출되어 있는 걸어맞춤구멍을 가진 걸어맞춤편(27c)으로 이루어진다. 제 1 기어부(28)는 연속한 기어를 형성하고 있는 내치 기어형이고, 전방을 향해서 볼록하고 또한 상하로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The attaching rib 27 includes an arc-shaped portion 27a which forms the first gear portion 28, an approximately L-shaped connecting portion 27b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arc-shaped portion 27a, and It consists of an engaging piece 27c which has an engaging hole which protrudes from the horizontal part of the connection part 27b. The 1st gear part 28 is an internal gear type which forms continuous gear, and is convex toward the front, and is arrange | positioned up and down.

가이드용 리브(29)는 상기 부착용 리브(27)의 원호 내에 위치하며 원호형상부(27a)와 거의 같은 중심을 가지는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는 안내벽부(29a)와, 이 안내벽부(29a)의 하단에 대략 중간부를 연결한 상태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는 걸림벽부(29b)와, 걸림벽부(29b)의 상단측에 있어서 소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대략 원통형상의 지지축부(29c)로 이루어진다. 안내벽부(29a)는 후술하는 보스(8)의 축부(8b)를 원호의 내면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상단측이 상기 축부(8b)를 내측에서 받아 들일 수 있도록 형성되고{도 6의 (b) 참조}, 하 단측이 걸림벽부(29b)에 대해서 점차 간격을 좁히는 상태로 연결되어 축부(8b)의 하향 이동을 걸림벽부(29b)와의 사에에서 규제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7의 (b) 참조}. 지지축부(29c)는 탄지수단(5)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즉, 탄지수단(5)은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코일부분이 지지축부(29c)에 끼워져 유지되고, 코일 스프링의 일단(5a)이 걸림벽부(29b)에 걸려 고정되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5b)이 탄성력을 증대시키면서 상기 축부(8b)에 걸려 고정된다. 또한, 탄지수단(5)은 도어체(3)를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는 요건을 만족시키면 되기 때문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The guide rib 29 is located in the arc of the attachment rib 27 and has a guide wall portion 29a which has an arc shape having a center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arc shape portion 27a, and the lower end of the guide wall portion 29a. The locking wall part 29b extended inclined in the state which connected the substantially intermediate part to the support part, and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support shaft part 29c which hold | maintain a predetermined space | interval on the upper end side of the locking wall part 29b. The guide wall portion 29a is a portion for guiding the shaft portion 8b of the boss 8 to be described later so as to slide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arc, and the upper end side is formed to receive the shaft portion 8b from the inside (Fig. 6 (b)}, the lower end side is connected in a state where the gap is gradually narrowed with respect to the locking wall portion 29b, so that downward movement of the shaft portion 8b can be regulated between the locking wall portion 29b and the locking wall portion 29b. {See FIG. 7 (b)}. The support shaft part 29c is a part which supports the finger holding means 5. That is, the gripping means 5 is made of a coil spring, the coil portion is fitted to the support shaft portion 29c, and the one end 5a of the coil spring is fixed to the locking wall portion 29b,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 5b) is caught and fixed to the shaft portion 8b while increasing the elastic force. In addition, since the holding means 5 only needs to satisfy the requirement for holding the door 3 in the open position direction, the holding means 5 may have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8.

상기 부착용 리브(27)에는 가동체(9)가 조립된 기어커버(10)가 부착된다. A gear cover 10 having a movable body 9 assembled thereon is attached to the attachment rib 27.

상기 기어커버(10)는, 도 1,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기어부(28), 가이드용 리브(29), 탄지수단(5) 등을 덮음과 아울러, 후측부를 잘라낸 절결부(10a)를 통해서 상기 도어체(3)의 암부(31)를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가동체(9)에 대응하여 형성된 대략 중앙의 개구부(11)와, 부착용 리브(27)의 원호형상부(27a)에 대응하는 전방 가장자리에 돌출형성된 부착부(13)와, 하벽의 내측 단부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 설편(14)을 가지고 있다. 개구부(11)의 양 내측면에는 걸림편(12)이 대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1, 4, and 5, the gear cover 10 covers the first gear portion 28, the guide ribs 29, the holding means 5, and the like, and the rear side portion. It is a shape which can insert the arm part 31 of the said door body 3 inside through the cut-out part 10a cut out, The opening part 11 of the substantially center formed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body 9, and for attachment It has the attachment part 13 which protruded in the front edge corresponding to the arc-shaped part 27a of the rib 27, and the tongue piece 14 which protruded downward from the inner end of the lower wall. On both inner side surfaces of the opening 11, the locking pieces 1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가동체(9)는 가동체 본체(9a)와, 이 가동체 본체(9a)의 전면 상측에 돌출형성된 제 2 기어부(9b)와, 상기 가동체 본체(9a)의 저면에 형성된 탄성부(9c)를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 가동체 본체(9a)는 대략 직사각형 틀체를 이루고 있으며, 양 측틀에 있어서의 전면측 가장자리가 약간 돌출되고, 이 돌출부분과 약간 의 간격을 두고서 걸림돌조(9d)를 돌출형성하고 있다{도 5의 (b) 참조}. 제 2 기어부(9b)는 원기둥의 외주에 기어를 연속하게 형성한 평기어의 구성이고, 제 1 기어부(28)의 대략 원호 중심에 배치되어 회전기어(7)와 맞물린다. 탄성부(9c)는 활형상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동체 본체(9a)가 하측 방향으로 부하를 받으면 공동부(空洞部)를 축소하도록 탄성변형된다. The movable body 9 includes a movable body 9a, a second gear portion 9b protruding above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body 9a, and an elastic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body 9a. 9c) is integrally formed. Moreover, the movable body main body 9a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frame, and the front edge at both side frames slightly protrudes, and protrudes the locking projection 9d at a slight distance from the protruding portion. 5 (b)}. The 2nd gear part 9b is a structure of the spur gear which continuously forms the gear in the outer periphery of a cylinder, and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ubstantially circular arc center of the 1st gear part 28, and meshes with the rotary gear 7. The elastic part 9c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w or U-shape, and is elastically deformed so that the cavity part may be reduced when the movable body main body 9a is loa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이상의 가동체(9)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커버(10)의 개구부(11)에 대해서 기어커버(10)의 내측에서의 삽입조작에 의해서 조립된다. 즉, 가동체(9)를 기어커버(10)의 내측에서 개구부(11) 내로 압입하면, 각 걸림돌조(9d)가 상기 개구부(11) 내의 대응하는 걸림편(12)을 탄성적으로 타고 넘음으로써 상기한 돌출부분과 걸림돌조(9d)와의 사이에 걸림편(12)이 끼워지며, 이 끼움상태에서 가동체(9)가 개구부(11)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지지상태에서는 제 2 기어부(9b)가 기어커버(1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5, the movable body 9 is assembled to the opening 11 of the gear cover 10 by an insertion operation inside the gear cover 10. That is, when the movable body 9 is press-fitted into the opening 11 from the inside of the gear cover 10, each locking protrusion 9d elastically rides over the corresponding locking piece 12 in the opening 11. As a result, the locking piece 12 is fitt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9d, and the movable body 9 is slidably supported in the opening portion 11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e fitted state. In this supporting state, the second gear portion 9b protrudes into the gear cover 10.

한편, 기어커버(1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자형상 기체(2)의 측벽부(23)에 대해서 부착부(13)를 부착용 리브(27)의 대응부에 겹쳐놓고, 또한 설편(14)을 부착용 리브(27)의 걸어맞춤편(27c)의 걸어맞춤구멍에 걸어맞춘 상태로 위치결정되도록 배치하고서,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서 부착된다.On the other hand, the gear cover 10 overlaps the attachment part 13 with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attachment rib 27 with respect to the side wall part 23 of the box-shaped base body 2, as shown in FIG. ) Is positioned so as to be positioned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engagement hole of the engagement piece 27c of the attachment rib 27, and is attached by a screw or the like not shown.

이것에 대해서, 도어체(3)는 그 상면이 커버재(30)로 피복된 평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후방 양측에 돌출형성된 지지용 암부(31)와, 이 지지용 암부(31)의 선단에 형성된 원판부(32)를 가지고 있다. 지지용 암부(31)는 상자형상 기체(2)의 창부(24)를 통해서 외부로, 즉 측벽부(23)의 전방 측벽부(23b)로 돌출 가능하게 되 어 있다. 원판부(32)는 그 외주에 기어부(37)가 형성되어 있으며, 댐퍼수단용의 단차형상 부착부(33)와, 이 부착부(33)의 중심을 관통하는 끼워맞춤구멍(33a)을 가지고 있다. 끼워맞춤구멍(33a)은 후술하는 보스(8)에 대응하여 부착부(33)측의 큰 구멍 및 그 내측의 작은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On the other hand, the door 3 has a flat plate shape,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covered with the cover material 30, and is provided at the tip of the support arm portion 31 and the support arm portion 31 protruding from both rear sides thereof. It has the formed disc part 32. The supporting arm portion 31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ndow portion 24 of the box-shaped base 2, that is, to the front side wall portion 23b of the side wall portion 23. The disc portion 32 has a gear portion 37 formed on its outer circumference, and has a stepped attachment portion 33 for damper means and a fitting hole 33a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attachment portion 33. Have. The fitting hole 33a is formed of a large hole on the side of the attachment portion 33 and a small hole inside thereof, corresponding to the boss 8 described later (see FIG. 4).

상기 부착부(33)에는 댐퍼수단(6)이 장착된다. 댐퍼수단(6)은 주지되어 있는 로터리식의 오일댐퍼 등으로 이루어지며, 댐퍼 본체(6a) 내에 충전된 작동유의 저항을 받는 출력축 및 이 출력축에 장착된 회전기어(7)을 가지고 있다. 또, 이 구조에서는 댐퍼 본체(6a)의 출력축과 반대측인 본체 저면에 보스(8)가 연결된다. 이 보스(8)는 큰 지름로 된 부착부(8a)와 이 부착부(8a)보다 작은 지름으로 된 통형상의 축부(8b)를 가지고 있으며, 댐퍼 본체(6a)의 저면에 대해서 부착부(8a)를 통해서 적당한 방법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댐퍼수단(6)은, 상기 축부(8b)를 끼워맞춤구멍(33a)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에서 그 댐퍼 본체(6a)가 부착부(33) 내에 배치되며, 도시하지 않은 나사 등에 의해서 부착된다. 이 부착상태에서는 축부(8b)가 암부(3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용 리브(29)의 안내벽부(29a)의 원호 내면에 가볍게 맞닿게 되고, 회전기어(7)는 암부(31)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동체(9)의 제 2 기어부(9b)의 기어와 맞물리게 된다. The attachment portion 33 is equipped with a damper means (6). The damper means 6 consists of a well-known rotary oil damper etc., and has the output shaft which receives the resistance of the hydraulic oil filled in the damper main body 6a, and the rotary gear 7 attached to this output shaft. In this structure, the boss 8 is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main body on the side opposite to the output shaft of the damper main body 6a. The boss 8 has a large diameter attachment portion 8a and a cylindrical shaft portion 8b having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the attachment portion 8a. The boss 8 has an attachment portion (8)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damper body 6a. Through 8a). In the damper means 6, the damper main body 6a is disposed in the attachment portion 33 in a state where the shaft portion 8b protrudes outward from the fitting hole 33a. Attached. In this state of attachment, the shaft portion 8b protrudes into the arm portion 31 to lightl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arc of the guide wall portion 29a of the guide rib 29, and the rotary gear 7 is arm portion 31. It protrudes outward and engages with the gear of the second gear portion 9b of the movable body 9.

이상의 도어체(3)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요령으로 상자형상 기체(2)에 조립된다. 우선, 탄지수단(5)을 그 일단(5a)이 걸림벽부(29b)에 걸리도록 배치하면서 코일부분을 지지축부(29c)에 끼워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암부(31)를 대응하는 창부(24)를 통해서 돌출시켜 그 기어부(37)를 제 1 기어부(28)와 맞닿게 한 후, 탄 지수단(5)의 타단(5b)을 탄성력을 증대시키면서 축부(8b)에 걸어 고정한다. 이어서, 가동체(9)를 조립한 기어커버(10)를 상술한 요령으로 상자형상 기체(2)에 부착한다. 이 때, 가동체(9)의 제 2 기어부(9b)가 회전기어(7)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어체(3)는 상자형상 기체(2)에 대해서 기어부(37)와 제 1 기어부(28), 회전기어(7)와 제 2 기어부(9b)의 각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을 통해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The door body 3 is assembled to the box-shaped base body 2 in the following manner, for example. First, while holding the coiling means 5 so that the one end 5a may be caught by the latching wall portion 29b, the coil portion is held by the support shaft portion 29c. In this state, the arm part 31 protrudes through the corresponding window part 24 to bring the gear part 37 into contact with the first gear part 28, and then the other end 5b of the holding means 5 is opened. It is fixed to the shaft portion 8b while increasing the elastic force. Next, the gear cover 10 which assembled the movable body 9 is attached to the box-shaped base body 2 by the above-mentioned method. At this time, the second gear portion 9b of the movable body 9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otary gear 7. In this case, the door body 3 is formed with respect to the box-shaped base body 2, and the gear parts of the gear part 37 and the first gear part 28, the rotary gear 7 and the second gear part 9b are each other. It is rotatably supported through its engagement.

또한, 본 발명의 도어개폐기구는 상기한 댐퍼수단(6)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회전기어(7)와 같은 회전기어가 원판부(32)에 회동 가능하게 부설되고, 또 보스(8)가 원판부(32)의 대응부에 부설되게 된다.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omit the damper means 6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for example, a rotary gear such as the rotary gear 7 is attached to the disc part 32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boss 8 is attached to the corresponding part of the disc part 32.

(작동)(work)

계속해서, 상기 도어체(3)의 개폐동작을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6에 있어서, (a)는 도어체(3)가 폐쇄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b)는 이 폐쇄위치에서의 보스(8) 및 탄지수단(5)의 태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7에 있어서, (a)는 도어체(3)가 개방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b)는 이 개방위치에서의 보스(8) 및 탄지수단(5)의 태양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기어 기구부가 기어커버(10)에 의해서 보이지 않기 때문에, 기어커버(10), 가동체(9), 탄지수단(5) 등을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Subsequently,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6, (a)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in which the door body 3 was arrange | positioned in the closed position, (b) is the boss 8 and the holding means 5 of this closed posi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ed the sun typically. In addition, in FIG. 7, (a) is a side view which shows typically the state in which the door body 3 was arrange | positioned in the open position, (b) is the boss 8 and the holding means 5 of this open position. It is a figure which showed the sun typically. In addition, in each figure, since the gear mechanism part is not seen by the gear cover 10, the gear cover 10, the movable body 9, the holding means 5, etc. are shown by the virtual line.

도 6은 도어체(3)가 상자형상 기체(2)의 개구부를 완전히 폐쇄하는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폐쇄위치에서는 도어체(3)가 로크수단(4)에 의해서 탄지수단(5)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로크되어 있다. 기어부(37)는 제 1 기어부(28)의 내치 기어 중 상측의 기어와 맞물리고, 회전기어(7)는 제 2 기어부(9b)의 외치 기어 중 상측의 기어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도어체(3)를 개방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도어체(3)의 전측을 하측으로 누르고서{이것은 도어체(3)의 폐쇄위치에서 도어체(3)를 재차 같은 방향으로, 즉 폐쇄위치방향으로의 누름조작이 된다} 손을 뗀다. 이와 같이 하면, 도어체(3)의 걸어맞춤편(34)이 로크수단(4)에 의한 걸림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도어체(3)가 탄지수단(5)의 탄성력에 의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FIG. 6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body 3 is in the closed position which completely closes the opening of the box-shaped base body 2. In this closed position, the door body 3 is locked by the locking means 4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ing means 5. The gear part 37 meshes with an upper gear among the internal gears of the first gear part 28, and the rotary gear 7 meshes with an upper gear among the outer gears of the second gear part 9b. Then, when switching the door body 3 to the open positi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body 3 is pushed downward (this means that the door body 3 is again in the same direction, namely, in the closed position of the door body 3. It will be pushed in the closed position.} Release. In this case, since the engaging state 34 of the door body 3 is released by the locking means 4, the door body 3 is moved in the open position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ing means 5. Will be rotated.

도 7의 개방위치에 도달하는 과정에서는, 기어부(37)는 제 1 기어부(28)의 내치 기어와 맞물리면서 상측의 기어에서 하측의 기어로 하향 이동한다. 동시에, 회전기어(7)는 제 2 기어부(9b)의 외치 기어와 맞물리면서 이 제 2 기어부(9b)의 주위를 회전, 즉 상기 기어부(37)에 연동하여 상측의 기어에서 하측의 기어로 하향 이동한다. 즉, 이 구조에서는, 기어부(37)가 제 1 기어부(28)의 내치 기어의 궤적을 따라서 회전이동하고, 회전기어(7)가 제 2 기어부(9b)를 중심으로 하는 유성운동과 유사한 동작을 얻음으로써, 도어체(3)가 하향 이동을 수반하면서 개방위치방향으로 회동전환된다. 이 회동전환되는 과정에서는 상기한 각 기어부끼리의 맞물림에 의해서 속도가 완화되며, 또한 댐퍼수단(6)에 의한 제동도 받게 된다. 따라서, 도어체(3)는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까지 항상 거의 정속으로 이동하게 된다.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open position of FIG. 7, the gear portion 37 moves downward from the upper gear to the lower gear while meshing with the internal gear of the first gear portion 28. At the same time, the rotary gear 7 meshes with the outer gear of the second gear portion 9b and rotates around the second gear portion 9b, ie, in conjunction with the gear portion 37, the lower gear in the upper gear. Move down to. That is, in this structure, the gear part 37 rotates along the trajectory of the internal gear of the first gear part 28, and the rotary gear 7 has a planetary motion centering on the second gear part 9b. By obtaining a similar operation, the door body 3 is rotated in the open position direction with downward movement. In this rotation switching process, the speed is alleviated by the engagement of the gear parts described above, and the braking by the damper means 6 is also received. Therefore, the door 3 always moves at almost constant speed from the clo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도 7의 개방위치에서는 도어체(3)의 하향 이동에 의해서 상기 도어체(3)가 상자형상 기체(2) 내에서 돌출되는 돌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외관 특성도 양호하 게 된다. In the open position of FIG. 7,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door body 3 protruding from the box-shaped base body 2 by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door body 3 can be reduced, and appearance characteristics are also good.

또, 도어체(3)를 다시 폐쇄위치로 전환할 경우에는, 도어체(3)의 돌출부분을 탄지수단(5)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잡아 당긴다. 이와 같이 하면, 이번에는 기어부(37)가 제 1 기어부(28)의 내치 기어에 맞물리면서 하측의 기어에서 상측의 기어로 상향 이동한다. 동시에, 회전기어(7)는 제 2 기어부(9b)의 외치 기어와 맞물리면서 이 제 2 기어부(9b)의 주위를 회전, 즉 상기 기어부(37)에 연동하여 하측의 기어에서 상측의 기어로 상향 이동한다. 폐쇄위치에서는 걸어맞춤편(34)이 로크수단(4)에 의해서 걸려 고정된다.Moreover, when switching the door body 3 back to a closed position, the protrusion part of the door body 3 is pulled out, resi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finger holding means 5. In this way, this time, the gear part 37 meshes with the internal gear of the 1st gear part 28, and moves upward from a lower gear to an upper gear. At the same time, the rotary gear 7 meshes with the outer gear of the second gear portion 9b while rotating around the second gear portion 9b, ie, in conjunction with the gear portion 37, the upper gear in the lower gear. Move up to. In the closed position, the engaging piece 34 is caught and fixed by the locking means 4.

이상의 기본 작동은 특허문헌 1과 거의 같다. 이 구조에서는 특허문헌 1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작동이 얻어지는 점에서 우수하다. The above basic operation is almost the same as in Patent Document 1. This structure is excellent in that the following operation | movement is obtained compared with patent document 1.

① 도어체(3)가 도 6의 폐쇄위치에 있을 때, 하향의 큰 하중(F)을 받으면, 기어 기구부 중에서 특히 회전기어(7) 및 제 2 기어부(9b)에 부하가 가해진다. 즉, 도 5의 (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기어부(9b)가 회전기어(7)측으로부터의 하향의 부하(Y)를 받으면, 가동체(9)가 탄성부(9c)의 탄성변위를 수반하여 상대적으로 하측으로 위치변위된다. 이 결과, 회전기어(7)는 상기 제 2 기어부(9b)가 탄성부(9c)의 탄성위치변위에 의해서 부하를 흡수하여 완화시키기 때문에 기어의 맞물림부 및 출력축 등에 과대한 부하를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댐퍼수단(6)의 출력축이나 기어끼리의 맞물림부를 손상시키거나 댐퍼 본체(6a)로부터의 오일 누출의 우려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1) When the door body 3 is in the closed position of Fig. 6, when a large downward load F is received, a load is applied to the rotary gear 7 and the second gear part 9b, among the gear mechanism parts. That is, as shown in (c) and (d) of FIG. 5, when the second gear portion 9b receives the downward load Y from the rotary gear 7 side, the movable body 9 is the elastic portion. The positional displacement is relatively lowered along with the elastic displacement of 9c. As a result, the rotary gear 7 absorbs and relaxes the load due to the elastic position displacement of the elastic portion 9c, so that the rotary gear 7 is not subjected to excessive load on the meshing portion of the gear and the output shaft. . Therefore, in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risk of oil leakage from the damper main body 6a by damaging the output shaft of the damper means 6 and the engagement portion between the gears.

② 이 구조에서는 도어체(3)가 상기한 각 기어끼리의 맞물림을 통해서 회동 하게 된다. 이 회동과정에서는 댐퍼 본체(6a)에 결합된 축부(8b)가 안내벽부(29a)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박스(1)가 상하방향의 진동을 받더라도 각 기어끼리의 맞물림을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2) In this structure, the door body (3) is rotated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gears described above. In this rotation process, since the shaft portion 8b coupled to the damper body 6a slides along the guide wall portion 29a, even if the box 1 is subjected to vibratio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he engagement between the gears can be stably maintained. have.

③ 이 구조에서는, 안내벽부(29a)의 상단측이 축부(8b)를 내측에서 받아 들일 수 있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체(3)가 폐쇄위치에서 상기 한 하향 하중(F)를 받으면, 안내벽부(29a)의 상단부분 및 축부(8b)의 통형상에 의한 충격흡수도 얻어진다{도 6의 (b) 참조}. 또, 안내벽부(29a)의 하단측이 걸림벽부(29b)에 대해서 점차 간격을 좁히도록 형성되어, 도어체(3)가 개방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축부(8b)의 하향 이동을 안내벽부(29a)의 하단측과 걸림벽부(29b)와의 사이에 의해서 규제하기 때문에, 도어체(3)가 개방위치에서 쓸대없이 요동하는(덜거덕거리는) 일도 없게 된다{도 7의 (b) 참조}. (3) In this structure, since the upper end side of the guide wall portion 29a is formed in a curved shape capable of accepting the shaft portion 8b from the inside, the door body 3 receives the above downward load F in the closed position. On receiving, the shock absorption by the cylindrical shape of the upper end part of the guide wall part 29a and the shaft part 8b is also obtained (refer FIG. 6 (b)). Moreover, the lower end side of the guide wall part 29a is formed so that the space | interval may be gradually narrowed with respect to the latching wall part 29b, and when the door body 3 reaches the open position,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shaft part 8b is guided. Since it restricts by between the lower end side of 29a) and the engaging wall part 29b, the door body 3 does not loosely stumble in the open position (refer FIG. 7 (b)).

④ 또한, 상기 ①∼③의 작동은 상자형상 기체(2)를 본 실시예의 세로배치 대신에 가로배치로 한 경우, 즉 개구부를 전후방향으로 설정하는 경우에도 같게 기능한다. 또, 도어체(3)가 암레스트부나 간이 테이블부로서 겸용되는 사양에서도 본 발명의 기구 및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4) The above operations (1) to (3) function in the same manner when the box-shaped base body 2 is set to the horizontal arrangement instead of the vertical arrangement of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opening is set in the front-rear direction. Moreover, the mechanism and apparatus of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also to the specification by which the door body 3 serves as an armrest part and a simple table p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어개폐기구 및 도어개폐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지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도어개폐기구로서 제 2 기어부를 탄성위치변 위 가능하게 설치함에 의해서 과제로서 열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단번에 해소할 수 있으며, 따라서 특허문헌 1의 것에 비해서 품질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어체를 암레스트부나 간이 테이블 등으로서 겸용, 즉 도어체가 큰 하중을 받게 되는 설계에서도 적용 가능하게 되어 용도확대를 꾀할 수 있다. 이상의 기구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2의 경우는 탄성위치변위 가능한 제 2 기어부를 기어커버를 통해서 간이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경우는 제 2 기어부의 지지구조로서 가동체를 개재함으로써 더욱 간이화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described in claim 1, by providing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so that the second gear portion can be elastically displaced, the problems listed as problems can be solved at once, thus improving the quality and reliability compared to that of Patent Document 1. Can be. For example, the door body can be used as an armrest part, a simple table, or the like, that is, the door body can be applied even in a design in which a large load is applied, thereby expanding the use of the door body. In the above mechanism invention, in the case of claim 2, the second gear portion capable of elastic positioning can be realized with a simple configuration through the gear cover. In the case of Claim 3, it can further simplify by interposing a movable body as a support structure of a 2nd gear part.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탄지수단, 로크수단, 댐퍼수단을 구비하는 도어개폐장치로서, 상기한 도어개폐기구의 이점에 더하여, 이 도어개폐기구의 회전기어를 댐퍼수단의 것으로 대용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서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거나 코스트의 저감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의 장치발명에 있어서, 청구항 5의 경우는 가이드수단에 의해서 회동전환특성을 보다 안정화할 수 있다.

In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4,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omprising the gripping means, the locking means, and the damper means, in addition to the advantages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the rotary gear of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can be substituted for the damper means. As a result, the assembly properties can be improved or the cost can be reduced. In the above device invention, in the case of claim 5, the rotation switching characteristic can be further stabilized by the guide means.

Claims (5)

도어체를 상자형상 기체에 대해서 이 기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하는 도어개폐기구에 있어서,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rotating the door body to the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gas and the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pening with respect to the box-shaped gas, 상기 도어체는 지지용 암부를 돌출형성하고, 이 암부에 형성된 원호형상 기어부 및 이 기어부의 대략 원호 중심에 부설된 회전기어를 가지고,The door body protrudes a supporting arm portion, and has an arc-shaped gear portion formed in the arm portion and a rotary gear attached to an approximately arc center of the gear portion. 상기 기체는 상기 원호형상 기어부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내치 기어형의 제 1 기어부 및 탄성위치변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어와 맞물리는 제 2 기어부를 가지고, The base has a first gear portion of the internal gear type formed to engage the arc-shaped gear portion and a second gear portion that is installed to be elastically displaceable and engages with the rotary gear, 상기 도어체가 상기 제 1 기어부에 대한 원호형상 기어부 및 상기 제 2 기어부에 대한 회전기어의 각 맞물림을 통해서 상기 제 1 기어부에 대응한 궤적으로 회동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폐쇄위치에서 외부로부터 상기 기체의 저면방향으로 하중을 받았을 때, 이 하중에 기인하여 상기 회전기어에 가해지는 부하를 상기 제 2 기어부의 탄성위치변위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The door body is pivotally switched to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first gear portion through respective engagements of the arc-shaped gear por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gear portion and the rotary gear with respect to the second gear portion, and from the outside in the closed position. And a load applied to the rotary gear due to this load when absorbed in the bottom direction of the gas, by the elastic position displacement of the second gear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기체에 부착되며, 상기 제 2 기어부를 탄성위치변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기어커버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And a gear cover attached to the base, the gear cover supporting the second gear portion so as to be elastically displaceable. 청구항 2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상기 제 2 기어부가 상기 기어커버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한 일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는 가동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기구. And the second gear portion is formed on the movable body which is slidably attached to the gear cover and is supported in one direction. 도어체가 상자형상 기체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위치로 회동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개방위치방향으로 탄지하고 있는 탄지수단과 이 탄지수단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폐쇄위치에서 해제 가능하게 걸어 고정하는 로크수단과 로터리식 댐퍼수단을 구비한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The door body is rotated to the closed position for closing the opening of the box-shaped gas and the open position for opening the opening, and released from the closed position in response to the holding means held in the open position direction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holding means. In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ving a locking means and a rotary damper means to be fixed by hanging, 상기 도어체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도어개폐기구에 의해서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전환됨과 아울러, 상기 댐퍼수단이 상기 암부에 댐퍼 본체를 부착하고 또한 이 댐퍼 본체의 출력축에 상기 도어개폐기구의 회전기어를 장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The door body is switched to the closed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d the damper means attaches a damper body to the arm portion, and the door is connected to an output shaft of the damper body. A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mounting a rotating gear of the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댐퍼수단의 댐퍼 본체에 있어서의 상기 출력축과 반대측인 본체 저면에 돌출형성된 축부와, 상기 기체에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 1 기어부와 거의 같은 궤적 으로 이루어지는 원호형상의 안내벽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체의 회동전환과정에서 상기 축부가 상기 안내벽부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수단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개폐장치. A shaft portion protruding on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opposite to the output shaft in the damper main body of the damper means, and an arc-shaped guide wall portion protruding from the base and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trajectory as the first gear portion; And said shaft portion has a guide means for slidingly moving along said guide wall portion in the rotation switching process of the sieve.
KR1020040089460A 2003-11-04 2004-11-04 Opening/clo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doors Expired - Fee Related KR1006125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74246A JP3984216B2 (en) 2003-11-04 2003-11-04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and device
JPJP-P-2003-00374246 2003-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2741A KR20050042741A (en) 2005-05-10
KR100612562B1 true KR100612562B1 (en) 2006-08-11

Family

ID=34686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460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2562B1 (en) 2003-11-04 2004-11-04 Opening/clo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door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984216B2 (en)
KR (1) KR10061256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3287B2 (en) 2005-06-24 2011-06-15 株式会社ニフコ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5091499B2 (en) * 2007-02-14 2012-12-0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Door device
JP5965166B2 (en) * 2012-03-14 2016-08-03 株式会社ニフコ Storage device
FR3067576B1 (en) * 2017-06-16 2019-10-11 Albea Services CASE FOR COSMETIC PRODUCT
CN116575823B (en) * 2023-07-14 2023-10-20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Lifting mechanism for fully-hidden cover pl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139624A (en) 2005-06-02
JP3984216B2 (en) 2007-10-03
KR20050042741A (en)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1419B2 (en) Door operating mechanism and unit
KR100489964B1 (en) Opening/closing assembly for door members and switchgear utilizing the same
US7743464B2 (en) Withdrawing mechanism
KR100562576B1 (en) Open tray
US20030071047A1 (en) Damping mechanism of opening and closing member, and container holder and automobile door including the same
JP5965166B2 (en) Storage device
US8430440B1 (en) Console door that pivots and stows
WO2006025149A1 (en) Door closing device for sliding door
US7017956B2 (en) Lock mechanism and opening-closing device
KR100612562B1 (en) Opening/closing assembly and apparatus for doors
CN112867837B (en) Locking device for opening/closing body
EP4443082A1 (en) Storage box and refrigerator
JP4297493B2 (en) Lid opening / closing mechanism and apparatus therefor
US20050167300A1 (en) Storage box
JP2006044506A (en) Vehicle storage device
JP2006142892A (en) Overhead console
WO2012128156A1 (en) Display device
JP4265727B2 (en) Door opening / closing mechanism
KR102335393B1 (en) Variable hidden cup holder for vehicle
JP2008247134A (en) Vehicular console box
JP2006328790A (en) Operating mechanism of movable body and storage device for automobile
JP4415262B2 (en) Vehicle storage device
JPH09136577A (en) Taking-in-and-out device for small storage cabinet
KR0155656B1 (en) Hood link device of vehicle
KR100795525B1 (en) Automotive Oil Dam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