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0852B1 -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852B1
KR100610852B1 KR1020040052433A KR20040052433A KR100610852B1 KR 100610852 B1 KR100610852 B1 KR 100610852B1 KR 1020040052433 A KR1020040052433 A KR 1020040052433A KR 20040052433 A KR20040052433 A KR 20040052433A KR 100610852 B1 KR100610852 B1 KR 100610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flow path
runners
duc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2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526A (ko
Inventor
박대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2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852B1/ko
Priority to JP2004374857A priority patent/JP2006022802A/ja
Priority to US11/024,863 priority patent/US20060005537A1/en
Priority to CN2004101036295A priority patent/CN1719005B/zh
Priority to DE102004063237A priority patent/DE102004063237B4/de
Publication of KR20060003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85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10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exhaust manif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한 차량에서도 채용이 가능한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는, 서로 분리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형성되는 배기덕트(exhaust duct); 및 상기 배기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배기구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개의 런너(plurality runners);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일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것이다.
자동차, 배기, 매니폴드, 덕트

Description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OF VEHICL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Ⅰ-Ⅰ단면도.
도 4는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Ⅱ-Ⅱ단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은, 복수개의 실린더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를 선택적으로 배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 매니폴드(1)와, 머플러(2)로 크게 구별된다.
특히, 종래의 배기 매니폴드(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배기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배기 파이프(11)와, 제2 배기 파이프(12)와, 제3 배기 파이프(13)와, 그리고 제4 배기 파이프(14)를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배기 매니폴드(1)는, 상기 제1 배기 파이프(11)와 제3 배기 파이프(13)를 연결시켜 상기 제1 배기 파이프(11)의 배기가스와 상기 제3 배기 파이프(13)의 배기가스를 한데 모아 안내하는 제1 연결관(21)과, 그리고 상기 제2 배기 파이프(12)와 제4 배기 파이프(14)를 연결시켜 상기 제2 배기 파이프(12)의 배기가스와 상기 제4 배기 파이프(14)의 배기가스를 한데 모아 안내하는 제2 연결관(22)을 더 포함한다.
이와 함께, 상기 배기 매니폴드(1)는, 상기 제1 연결관(21)과 상기 제2 연결관(22)을 연결시켜 상기 제1 연결관(21)의 배기가스와 상기 제2 연결관(22)의 배기가스를 한데 모아 머플러(M)로 안내하는 통합덕트(3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행정에 따른 시간차를 두고 홀수번째 배기구를 각각 통과한 배기가스는, 이에 연결된 제1, 3 배기 파이프(11, 13)를 따라 제1 연결관(21)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1 연결관(21)을 따라 통합덕트(30)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머플러(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행정에 따른 시간차를 두고 짝수번째 배기구를 각각 통과한 배기가스는, 이에 연결된 제2, 4 배기 파이프(12, 14)를 따라 제2 연결관(22)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2 연결관(22)을 따라 통합덕트(30)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머플러(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하지만, 종래의 배기 매니폴드는, 레이아웃 측면에 있어서 공간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한 차량인 경우, 제1, 2, 3, 4 배기 파이프가 차지해야 될 공간과, 제1, 2 연결관이 차지해야 될 공간과, 그리고 통합덕트가 차지해 야 될 공간을 모두 확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룸의 공간이 협소한 차량에서도 채용이 가능한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는, 서로 분리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형성되는 배기덕트(exhaust duct); 및 상기 배기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배기구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개의 런너(plurality runners);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일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홀수번째의 런너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짝수번째의 런너는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단일 격벽에 의해 분리구획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Ⅰ-Ⅰ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요부를 나타낸 Ⅱ-Ⅱ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된 제1 유로(210)와 제2 유로(220)가 형성되는 배기덕트(100; exhaust duct)와, 그리고 상기 배기덕트(100)와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배기구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개의 런너("O", "E" 참조; plurality runners)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런너("O", "E" 참조) 중 일부는 상기 제1 유로(210)와 연통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유로(220)와 연통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210) 및 상기 제2 유로(220)는, 상기 배기덕트(100)의 내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됨에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홀수번째의 런너("O")는 상기 제1 유로(210)와 연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짝수번째의 런너("E")는 상기 제2 유로(220)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런너를 구비하기 위해 별도의 관을 사용하는 것보다 상기와 같이 배기덕트(100) 자체에 복수개의 런너("O", "E" 참조)를 형성시켜 사용하는 것이 레이아웃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수번째의 런너("O") 각각은, 도 2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100)에 그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유로(110)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짝수번째의 런너("E") 각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덕트(100)에 그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 유로(220)와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그 관통되는 형상은 도 3의 그것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1 유로(210)와 상기 제2 유로(220)는 단일 격벽(300)에 의해 분리구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1 유로(210)와 제2 유로(220)를 구분하기 위해 이중 격벽을 사용하거나, 상기 배기덕트(100) 내부에 별도의 또 다른 관을 삽입시키는 구조보다, 상기 배기덕트(100)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레이아웃 측면에서 유리하기 때문이다.
그 다른 이유는, 폭발순서에 따른 기통간 배기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는 다음과 같이 배기가스를 안내하게 된다.
설명에 앞서, 편의상, 상기 홀수번째의 런너("O")는 제1 런너(110)와 제3 런너(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상기 짝수번째의 런너("E")는 제2 런너(120)와 제4 런너(140)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하지만 엔진의 기통수에 따라 상기한 런너의 수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폭발순서에 따라 기통간 배기되는 순서는 다르다. 즉, 실린더 헤드에 형성된 배기구 각각으로 배기되는 순서는 서로 다르다.
먼저, 행정에 따른 시간차를 두고 제1, 3 배기구를 각각 통과한 배기가스는, 이에 연결된 제1, 3 런너(110, 130)를 따라 제1 유로(210)에 유입되게 된다, 그리고 제1 유로(210)를 따라 통합덕트(도 1의 30참조)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머플러(도 1의 2참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행정에 따른 시간차를 두고 제2, 4 배기구를 각각 통과한 배기가스는, 이에 연결된 제2, 4 런너(120, 140)를 따라 제2 유로(210)에 유입된다, 그리고 제2 유로(210)를 따라 통합덕트(도 1의 30참조)로 유입된 배기 가스는 머플러(도 1의 2참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는, 폭발순서에 따른 기통간 배기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레이아웃 측면에서도 유리하게 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런너와 일체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유로가 형성된 단일 형상의 배기덕트를 구비함에 따라, 레이아웃 측면에서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배기덕트 내부를 제1 유로와 제2 유로로 분리시킴에 따라, 폭발순서에 따른 기통간 배기 간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언급된 모든 효과를 포함한다.

Claims (3)

  1. 서로 분리된 제1 유로와 제2 유로가 형성되는 배기덕트(exhaust duct); 및
    상기 배기덕트와 일체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배기구와 각각 연통되는 복수개의 런너(plurality runners);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일부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홀수번째의 런너는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복수개의 런너 중 짝수번째의 런너는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단일 격벽에 의해 분리구획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KR1020040052433A 2004-07-06 2004-07-06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433A KR100610852B1 (ko) 2004-07-06 2004-07-06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JP2004374857A JP2006022802A (ja) 2004-07-06 2004-12-24 自動車用排気マニホールド
US11/024,863 US20060005537A1 (en) 2004-07-06 2004-12-28 Exhaust manifold for a vehicle
CN2004101036295A CN1719005B (zh) 2004-07-06 2004-12-29 车辆的排气歧管
DE102004063237A DE102004063237B4 (de) 2004-07-06 2004-12-29 Abgassammler für ein Fahrze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2433A KR100610852B1 (ko) 2004-07-06 2004-07-06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526A KR20060003526A (ko) 2006-01-11
KR100610852B1 true KR100610852B1 (ko) 2006-08-08

Family

ID=35530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4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852B1 (ko) 2004-07-06 2004-07-06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005537A1 (ko)
JP (1) JP2006022802A (ko)
KR (1) KR100610852B1 (ko)
CN (1) CN1719005B (ko)
DE (1) DE10200406323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49986B2 (ja) * 2013-04-18 2016-02-03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触媒付き排気管構造
CN105275563A (zh) * 2015-11-13 2016-01-27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直列五缸柴油发动机的中排气歧管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8667A (en) * 1954-01-05 1958-11-04 Studebaker Packard Corp Water cooled exhaust manifold
US3888081A (en) * 1973-04-19 1975-06-10 Hekma Advanced Machine Company Exhaust manifold assembly
DE3940946A1 (de) * 1989-12-12 1990-11-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Gegossener zylinderkopf fuer hubkolbenmaschinen
US5148675A (en) * 1991-04-26 1992-09-22 Inman Frederick R Marine exhaust manifold and header pipe system
US5233832A (en) * 1992-05-14 1993-08-10 Soundwich, Inc. Damped heat shield
DE4342572C1 (de) * 1993-12-14 1994-11-24 Mtu Friedrichshafen Gmbh Abgasanlage für eine aufgeladene Brennkraftmaschine
JP3279162B2 (ja) * 1995-12-26 2002-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エキゾーストマニホルドの排気集合部構造
US5881554A (en) * 1998-03-23 1999-03-16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Integrated manifold, muffler, and catalyst device
JP3521895B2 (ja) * 2000-12-07 2004-04-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マニホルド
JP2002276356A (ja) * 2001-03-19 2002-09-25 Mazda Motor Corp 車載用エンジンの排気構造
DE10142979C1 (de) * 2001-09-01 2003-05-28 Porsche Ag Abgaskrümmer einer Abgas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S6742332B2 (en) * 2002-01-24 2004-06-01 David L. Piekarski Exhaust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parallelogram-shaped cross-section
JP2004003444A (ja) * 2002-03-27 2004-01-08 Yumex Corp 排気マニホールド集合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4063237A1 (de) 2006-02-02
KR20060003526A (ko) 2006-01-11
DE102004063237A8 (de) 2007-02-08
CN1719005A (zh) 2006-01-11
CN1719005B (zh) 2012-06-27
US20060005537A1 (en) 2006-01-12
JP2006022802A (ja) 2006-01-26
DE102004063237B4 (de) 2008-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0558B1 (en) Cylinder hea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integrated exhaust manifold and subgroups of exhaust conduits merging into manifold portions which are superimpos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JP4463210B2 (ja) 集合型排気ポートが形成されたシリンダヘッドを備える多気筒内燃機関
US6571911B2 (en) Muffler for an engine
JP2011169323A (ja) 消音器
JPH1037738A (ja) 自動二輪車用マフラー
US20070045041A1 (en) Muffler for an exhaust system
US6209501B1 (en) Suc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610852B1 (ko) 자동차의 배기 매니폴드
US6575141B2 (en) Monocoque manifold assembly
US20150152770A1 (en) Exhaust system component
JP2009097452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JP2007107481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US7900442B2 (en) Engine including secondary air supply apparatus
JPH0561449B2 (ko)
KR101668510B1 (ko) 내연기관용 배출가스 매니폴드
EP1101921A2 (en) Cylinder head for a multi-cylinder in-line combustion engine having a secondary air supply system
JP2008115711A (ja) エンジンの排気装置
JP2006002612A (ja) エンジンの消音器
JP2005009380A (ja) V型エンジン
KR100508168B1 (ko) 브이형 엔진의 플렉시블 튜브 연결구조
KR100340105B1 (ko) 브이형 엔진의 배기장치
JP2006132339A (ja) エンジンの排気マフラ
WO2020129823A1 (ja) シリンダヘッド
JP2538080Y2 (ja) 車両用マフラー
JP2009156149A (ja) 吸気マニホール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