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0410B1 - 미싱제어박스 - Google Patents

미싱제어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410B1
KR100610410B1 KR1020000005691A KR20000005691A KR100610410B1 KR 100610410 B1 KR100610410 B1 KR 100610410B1 KR 1020000005691 A KR1020000005691 A KR 1020000005691A KR 20000005691 A KR20000005691 A KR 20000005691A KR 100610410 B1 KR100610410 B1 KR 100610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cover
cover
support shaft
main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614A (ko
Inventor
코타키히로유키
와다미노루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6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41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3/00Casings
    • D05B73/04Lower casing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5/00Frames, stands, tables, or other furniture adapted to carry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7/00Covers, or portable enclosures, for sew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싱제어박스는 본체부(100A)에 대하여 지지축(21a)(21a)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커버(10)와, 이 개폐커버(10)를 개방할 때에 개폐커버(10)에 접촉하는 접촉부(25)(25)를 갖는 후방커버(20)를 구비한 미싱제어박스(100)이다. 접촉부(25)(25)는 지지축(21a)(21a)의 축방향으로 지지축으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개폐커버(10) 및 후방커버(20) 중 최소한 한쪽은 탄성을 갖는 수지재로 형성된다. 또, 개폐커버(10)를 폐쇄할 때, 개폐커버(10)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개폐커버가 필요없을 때에 벗겨지고, 개폐커버가 부착될 때에 개폐커버의 힌지결합부분이 파손되는 문제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개폐커버에서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미싱제어박스{SEWING MACHINE CONTROL BOX}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싱제어박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미싱제어박스를 구성하는 후방커버의 이면도.
도 3은 도 2의 후방커버의 저면도.
도 4는 도 1의 미싱제어박스를 구성하는 개폐커버의 평면도.
도 5는 도 2의 후방커버와 도 4의 개폐커버의 결합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개폐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A방향으로부터 후방커버와 개폐커버의 결합부분을 볼 때의 도면.
도 7은 도 2의 후방커버에 설치된 지지축의 단면도.
도 8은 도 4의 개폐커버에 설치된 지지팔 선단의 측면도.
도 9는 도 1의 미싱제어박스를 구성하는 최상부커버의 평면도.
도 10은 도 9의 최상부커버의 정면도.
도 11은 도 4의 개폐커버를 폐쇄할 때의 개폐커버와, 도 9의 최상부커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도 12는 종래 미싱제어박스가 부착되어 있는 미싱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의 미싱전체의 측면도.
도 14는 종래 힌지구조의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지지팔 11a : 개구부(탈출경로)
12 : 계지편(제2계지부) 13 : 돌출부(위치결정수단)
20 : 후방커버(지지부재) 21 : 지지축부
21a : 지지축 25 : 접촉부
30 : 최상부커버 32 : 계지구멍(제1계지부)
33 : 안내홈(위치결정수단) 100 : 제어박스
100A : 본체부 100B : 개폐커버
본 발명은 본체부에 대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커버를 갖는 미싱제어박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업용 미싱에 있어서, 예를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같이 모터를 구비한 미싱(1)의 제어에 사용되는 각종 전기부품을 수납하는 제어박스(200)를 미싱테이블(2)의 아랫면에 부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미싱의 제어박스(200)에는 통상 미싱(1)의 제어용 커넥터를 착탈하거나 미싱(1)의 기능설정 변경 등의 메인티넌스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13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체부(200A)에 대해서 회전가능한 상태로 개폐커버(201)가 부착된다.
종래, 개폐커버를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일본특허공개공보 평9-19589호 공보에 개시된 부착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 부착구조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같이 본체부B에 지지축P을 고정설치하는 동시에 수지성의 상부덮개C에 2지창형태의 베어링부H를 형성하고, 베어링부H에 설치된 지지홈G에 지지축P을 결합시키고, 상부덮개C를 본체부B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방된 상태의 상부덮개C가 다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경우에는 상부덮개C와 접촉하는 접촉부O를 지지점으로하여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지지축O이 수지성의 베어링부H를 탄성변형시키고, 지지홈G을 눌러확대하면서 이탈함으로써 상부덮개C가 본체부B로부터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덮개C가 통상 이상으로 회전조작되어, 상부덮개C와 본체부B의 힌지결합부분에 큰 힘이 가해져도 베어링부H 선단으로 일시적인 탄성변형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힌지결합부분이 파손되거나 항구적인 변형이 발생할 수도 있다.
또, 상기와 같은 힌지 결합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개폐부재를 폐쇄상태로 유지하는 계지구조로서는 예를들면 본체부에 설치된 계지홈에 개폐부재에 설치된 갈고리형의 계지편을 휘게한 상태로 결합시키고, 이 휘어짐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를 패쇄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평9-19589호의 공보에 기재된 미싱 상부덮개의 부착구조에서는 예를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개폐커버(201)와 같이 아래방향으로 열리는 개폐부재에 적용된 경우에는 개폐부재가 간단하게 본체부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들면 자체중력에의해 회전력으로 개폐부재가 본체부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를들면 베어링부H의 지지홈G을 지지축P보다 충분히 작게하여 벗어남을 방지한 경우에는 개폐부재를 본체부에 부착할 때 큰 힘이 필요하게 되어 베어링부의 파손 또는 항구적인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또, 전술한 계지구조를 예를들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제어박스(200)의 개폐커버(201)에 적용한 경우에는 미싱(1)의 진동에 의해 개폐커버(201)로부터 발생하는 덜거덕 소리를 방지하기 위해 도 12에서의 개폐커버(201)의 좌우양측에 상기 계지편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2개의 계지편의 탄성변형량은 균형을 이루는 것이 이상적이며, 이것을 위해 개폐커버(20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해야 한다. 즉, 힌지결합부분에서 축방향의 유극(덜거덕)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같이 힌지결합부분에 축방향의 유극을 설치한 경우에 있어서 예를들면 힌지결합부분에 지지축의 반경방향의 유극을 작게하면 개폐커버(201)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렵게되고, 개폐커버(201)를 폐쇄할 때에 각 계지편의 탄성변위량에 치우침이 발생하기 쉬우며, 그 결과 미싱(1)의 진동에 의해 개폐커버(201)의 계지편부근으로부터 덜거덕소리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가 있다.
반대로 힌지결합부분에 지지축의 반경방향의 유극을 크게하면 개폐커버(201) 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 쉬워지고, 개폐커버(201)의 계지편부근으로부터 덜거덕소리가 저감되지만 개폐커버(201)의 힌지결합부분으로부터 덜거덕소리가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개폐커버가 필요하지 않을 때에 분리시키고, 개폐커버가 부착될 때 개폐커버의 힌지결합부분이 파손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개폐커버에서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 미싱제어박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은 미싱 테이블 아래에 고정되어 전기부품을 지지한 본체부와, 상기 전기부품을 피복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지지가능한 개폐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한쪽에 설치된 베어링과 다른 쪽에 설치된 지지축으로 되고,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또는 지지축 중 최소한 한쪽이 수지부재로 형성되는 미싱제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개방한 때에 상기 개폐커버에 접촉하여 상기 개폐커버의 회전을 저지가능하게 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위치로부터 다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축을 탈출시키는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청구항 2기재의 발명은 미싱 테이블 아래에 고정되어 전기부품을 지지한 본체부와, 상기 전기부품을 피복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지지가능한 개폐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한쪽에 설치된 베어링과 다른 쪽에 설치된 지지축으로 되고,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또는 지지축 중 최소한 한쪽이 수지부재로 형성되는 미싱제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개방한 때에 상기 개폐커버에 접촉하여 상기 개폐커버의 회전을 저지가능하게 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위치로부터 다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축을 탈출시키는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은 그 둘레방향에 있어서, 상기 탈출시에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지 않는 부분의 지름이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지름 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예를들면 상기 지지축의 단면형상은 원의 일부를 소정량 절결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외주직경이 큰부분과 작은부분을 설치할 수도 있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상기 본체부에 제1계지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커버에 상기 제1계지부와 계합하여 이 계합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 기 개폐커버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제2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커버를 폐쇄한 때에 상기 개폐커버의 위치결정를 행하는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제어박스.
여기서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는 예를들면 선단에 걸게를 설치한 계지편과, 이 계지편을 휘게한 상태로 계지편에 계합가능한 계지구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위치결정수단은 예를들면 개폐커버와 본체부 중 어느 한쪽으로 철부를 다른 쪽으로 철부와 계합가능한 요부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은 청구항 3기재의 미싱제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상기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커버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1 ∼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미싱제어박스(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주 프레임(50), 후방커버(20), 최상부커버(30), 각종 전기부품으로서 페달의 밟는 양을 검출하는 페달센서(44) 및 미싱본체에 배치된 각종 액튜에이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트랜스(45), 그리고 제어기판(41)(42)(43) 등으로된 본체부(100A)와, 본체부(100A)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부착된 개폐커버(100B)로 구성된다.
주프레임(50)은 예를들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에 의해 형성되고, 그 상단이 미싱테이블(도시안됨)의 하면에 부착된다.
제어기판(41)에는 미싱모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회로 등이 탑재되고, 제어기판(42)에는 미싱의 기능설정을 행하기위한 각종 스위치나 미싱제어신호용의 커넥터 등이 배치된다.
후방커버(20), 최상부커버(30) 및 개폐커버(100B)는 주프레임(50)에 배치되는 각종 전기부품(41)(42)(43)(44)(45)를 덮어서 보호 및 차단을 행하기 위한 커버로서 다양한 종류의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후방커버(20) 및 최상부커버(30)는 나사에 의해 주프레임(50)에 부착된다.
도 1 ∼ 도 3에 나타낸 바와같이, 후방커버(20)는 그 하면에 좌우 한쌍으로 설치된 지지부(21) 및 접촉부(25)를 가지고 있다.
각 지지부(21)는 각각 후방커버(20)의 하면 내측으로 평행하게 입설하는 한쌍의 리브(21b)와, 각 리브(21b)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1c)와, 각 공간부(21c)에 위치하여 양단을 리브(21b)에 고정한 지지축(21a)으로 된다.
양 지지축(21a)은 좌우방향을 따라서 동일 직선상에 배치된다.
한편, 개폐커버(100B)에는 상기 양쪽 지지부(21)와 힌지결합되는 베어링으로서의 한쌍의 지지팔(11)이 개폐커버(100B) 하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된다. 양쪽 지지팔(11)은 도 8에 나타낸 바와같이 선단에 지지축(21a)을 결합 가능하게 하는 원호형의 베어링부(11b)와 베어링부(11b)에 지지축(21a)을 출입시키기기위한 개구부(11a)가 형성된다.
지지축(21a)은 그 외주지름이 지지팔(11)의 개구부(11a)(도 8)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지지팔(11)이 탄성변형하지 않는한 지지팔(11)의 베어링부(11b)로부터 탈출하지 않는 크기가 된다. 한쌍의 지지축(21a)이 양쪽 지지팔(11)의 베어링부(11b)에 각각 삽입됨으로써 지지부(21)와 지지팔(11)이 힌지결합되고, 개 폐커버(100B)가 후방커버(20)(본체부100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태가 된다.
또, 지지축(21a)이 베어링부(11b)에 삽입 또는 이탈할 때에 지지팔(11)에 가해지는 응력에 의해 지지팔(11)이 파손되지 않도록 베어링부(11b)와 개구부(11a)의 폭은 미리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도 5의 상태로부터 개폐커버(100B)가 다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경우에 지지팔(11)의 베어링부(11B)에서 지지축(21a)이 탈출하기 용이하도록 개구부(11a)는 도 5의 테두리부(15)를 중심으로한 원호선과의 근접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또, 지지팔(11)은 그 폭길이(도 4의 좌우방향의 길이)가 공간부(21c)의 폭길이 보다도 짧으므로 베어링부(11b)에 지지축(21a)을 삽입하여 개폐커버(100B)를 후방커버(20)에 부착한 상태에 있어서 개폐커버(100B)를 축방향으로 소정량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또, 지지축(21a)은 도 7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단면형상이 원의 일부를 소정량 절단한 형상으로 되어있다. 즉, 도 7의 b1의 방향으로부터 지지축(21a)을 베어링부(11b)로 출입하는 것이 용이하며, 도 7의 b2방향으로부터 지지축(21a)을 베어링부(11b)에 출입하는 것이 곤란한 형상이 된다.
따라서, 개폐커버(100B)가 개방되어 개폐커버(100B)의 테두리부(15)가 접촉부(25)에 접촉한 도 5의 상태에 있어서는 개구부(11a)가 b1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지지팔(11)의 베어링부(11b) 에서 벗어나기 어렵고, 또 그 밖에도 개폐커버(100B)의 회전위치, 예를들면 도 5의 상태로부터 개폐커버(100B)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위치에 있어서는 개구부(11a)가 b2방향을 따르기 때문에 지지팔(11)의 베어링부(11b)에 결합되기 쉽다.
접촉부(25)는 도 2,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폐커버(100B)를 개방시킬 때에 개폐커버(100B)의 테두리부(15)가 접하는 위치에서, 또한 지지축(21a)의 축방향으로 지지축(21a)으로부터 소정량 분리된 위치에 설치된다. 또, 접촉부(25)는 후방커버(20)의 외측면으로부터 약간 돌출하고, 후방커버와는 일체로 형성된다.
이 접촉부(25)는 도 5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폐커버(100B)를 개방할 때에 개폐커버(100B)의 테두리부(15)에 접촉하여 개폐커버(100B)를 지지한다.
이 도5의 상태로부터 개폐커버(100B)를 다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면 접촉부(25)와 개폐커버(100B)의 테두리부(15)를 지지점으로 하여 시계방향(도 5)으로 회전력이 발생하고, 이 회전력에 의해 지지축(21a)이 개구부(11a)를 눌러 확대하면서 통과하여 베어링부(11b)로부터 탈출한다. 이것에 의해 지지팔(11)과 지지부(21)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개폐커버(100B)와 후방커버(20)가 분리된다.
그 때문에 개폐커버(100B)를 큰힘으로 개방조작하면서 도 5의 위치로부터 개폐커버(100B)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큰힘을 가하여도 상기한 바와같이 개구부(11a)는 테두리부(15)를 중심으로 한 원호선으로 근접하는 방향을 따르므로 개폐커버(100B)가 본체부(100A)에서 벗어날 때에 지지팔(11)의 선단으로 일시적인 탄성변형이 발생할 뿐이고, 개폐커버(100B)와 후방커버(20)의 힌지결합부분이 파손되거나 항구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또, 접촉부(25)가 지지축(21a)의 축방향으로 지지축(21a)으로부터 소정량 떨 어진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개폐커버(100B)가 접촉부(25)에 접촉하는 도 5의 상태로부터 개폐커버(100B)를 다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는 도 6의 2점쇄선(a1)(a2)에 나타낸 바와같이, 수지재에 의해 형성된 개폐커버(100B) 및 후방커버(20)가 휘어진 상태가 되어 지지축(21a) 이나 지지팔(11)에 가해진 응력이 완충된다.
그 때문에 개폐커버(100B)는 자체중력에 의해 회전하는 정도의 힘으로는 간단히 벗겨지지 않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개폐커버(100B)가 필요하지 않을 때에 벗겨져 지면으로 낙하하고, 이 낙하에 의해 개폐커버(100B)가 파손되는 문제를 줄이 수 있다.
개폐커버(100B)에는 개폐커버(100B)를 폐쇄할 때에 최상부커버(30)의 계지구멍(32)에 계합하는 제2계지부로서의 한쌍의 계지편(12), 개폐커버(100B)를 폐쇄할 때에 최상부커버(30)의 안내홈(33)에 계합하는 돌출부(13)가 설치된다.
최상부커버(30)에는 도 1,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개폐커버(100B)의 계지편(12)과 계합하는 한쌍의 계지홈(32) 이나 상기 개폐커버(100B)의 돌출부(13)와 계합하는 안내홈(33) 등이 설치된다.
계지편(1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폐커버(100B)의 양측부 상단에 설치되고, 개폐커버(100B)와 일체로 성형된다. 계지편(12)의 선단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하는 삼각형의 계지걸게(12a)가 형성된다.
계지구멍(32)은 도 1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폐커버(100B)의 계지편(12)과 대응하는 위치로 설치되고, 그 개구부의 둘레 에지에는 각각 내측방 향으로 돌출하는 삼각형의 계지걸게(32a)가 형성된다.
개폐커버(100B)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계지편(12)이 계지구멍(32)에 들어오고,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이 결합한 상태가 된다. 이 때 계지편(12)이 약간 휘어진 상태로 되고, 계지편(12)의 계지걸게(12a)와 계지구멍(32)의 계지걸게(32a) 와의 사이에는 상호 눌려서 합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한 상태가 된다. 이 탄성력에 의해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과의 결합상태가 유지되고, 개폐커버(100B)가 폐쇄된 상태로 유지된다. 동시에 미싱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덜거덕 소리가 방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계지편(12)을 각각 내측방향으로 누르면 계지편(12)의 계지걸게(12a)와 계지구멍(32)의 계지걸게(32a)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개폐커버(100B)가 개방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 계지편(12)의 계지걸게(12a) 및 계지구멍(32)의 계지걸게(32a)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같이 모두 선단부분이 예각으로 형성되어 개폐커버(100B)의 폐쇄 및 결합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돌출부(13)는 도 1, 도 4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폐커버(100B)의 상단에 설치되고, 개폐커버(100B)와 일체로 형성된다. 돌출부(13)는 다소 위치가 어긋나도 안내홈(33)에 삽입되도록 목귀가 형성되어있다. 또, 돌출부(13)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같이 개폐커버(100B)의 중앙보다도 덜거덕소리의 발생이 쉬운측, 즉 개폐커버(100B)의 두께가 얇은 측 부근 위치에 형성되어 미싱의 진동에 의한 덜거덕소리의 발생을 저감하도록 되어 있다.
안내홈(33)은 도 9 ∼ 도 11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부커버(30) 하단에서 개폐커버(100B)의 돌출부(13)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안내홈(33)과 돌출부(13)에서와 같이 개폐커버(100B)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수단이 구성된다.
개폐커버(100B)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돌출부(13)가 안내홈(33)으로 들어오고, 돌출부(13)와 안내홈(33)이 결합한 상태가 된다. 이 때 계지구멍(32)에 대한 계지편(12)의 위치결정이 되어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이 미리 정해진 위치로 결합한다.
따라서, 각각의 계지편(12)에 작용하는 탄성력도 일정하게되고, 미싱의 진동 등에 의해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의 계합부분에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과의 계합위치가 어긋나는 것에 의해 계지편(12)이나 계지구멍(32)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후방커버(20)나 상부커버(30)의 조합위치에 다소의 어긋남이 발생하여도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을 미리 정해진 위치로 계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안내홈(33)과 돌출부(13)로된 개폐커버(100B)의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기 때문에 베어링부(11b)와 지지축(21a)의 축지름방향(지지축21a의 반경방향)의 유극을 작게하여도 개폐커버(100B)를 폐쇄할 때에 개폐커버(100B)가 지지축(21a)의 축방향, 즉 상기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각각의 계지편(12)의 탄성변형량이 균등화된다. 즉, 지지팔(11)의 베어링부(11b)와 지지축(21a)의 축지름방향 유극을 아주 작게하면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의 계 합부분에서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증대시키지 않고 힌지결합부에서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미싱제어장치(100)에 의하면 접촉부(25)가 지지축(21a)의 축방향으로 지지축(21a)으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위치로 설치되고, 개폐커버(100B) 및 후방커버(20)가 각각 수지재(탄성부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개폐커버(100B)가 접촉부(25)를 가압할 때에는 개폐커버(100B)와 후방커버(20)의 양쪽이 휘어진 상태로되어 지지축(21a) 이나 지지팔(11)에 가해진 응력이 완충된다. 따라서, 지지축(21a) 이나 지지팔(11)의 파손, 또는 항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개폐커버(100B)를 폐쇄할 때, 개폐커버(100B)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안내홈(33)과 돌출부(13)로된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기 때문에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을 항상 미리 정해진 위치로 계합시킬 수 있다.
또, 개폐커버(100B)를 폐쇄할 때, 개폐커버(100B)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안내홈(33)과 돌출부(13)로 되는 위치결정수단를 설치하기 때문에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를 항상 미리 정해진 위치로 계합할 수 있다.
따라서,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과의 계합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도 일정하게 되고, 미싱의 진동에 의해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과의 계합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낮출 수 있다.
또, 후방커버(20)가 상기 탄성력의 작용방향으로 개폐커버(100B)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개폐커버(100B)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대하여 균형을 이룰 수 있다. 그 결과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과의 계합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다시 줄일 수 있고, 또, 개폐커버(100B)의 본체부(100A)로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본 실시형태의 나타낸 미싱제어박스(1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에 대하여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개폐커버(즉 개폐부재)를 갖는 것이면 그 밖의 제어박스, 수납상자, 또는 각종 장치의 틀체 등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커버(100B)에 지지팔(11)를 설치하고, 후방커버(20)에 지지부(21)를 설치하는 구성이지만 후방커버(20)에 지지팔을, 개폐커버(100B)에 지지축부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지지팔이나 지지축부를 설치하는 위치나 수량도 임의이다. 마찬가지로 계지편(12)과 계지구멍(32)이나 돌출부(13)와 안내홈(33) 등에 대해서도 배치를 역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개폐커버(100B)의 부착위치를 제어박스(100)의 전면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측면이나 하면 또는 상면으로 하여도 좋다.
또, 개폐커버(100B)의 회전방향에 대해서도 임의이고, 그 밖에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접촉부가 지지축의 축방향으로 지지축으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지지축 또는 베어링 중 최소한 한쪽이 탄성부 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개폐커버가 접촉부를 가압할 때에는 지지축 또는 베어링 중 최소한 한쪽이 휘어진 상태로 되어 지지축이나 이 지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에 가해지는 응력이 완충된다.
따라서, 지지축이나 베어링의 파손, 또는 항구적인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탈출시에 개구부에 대향하지 않는 부분지름이 개구부와 대향하는 부분의 지름 보다 작아지도록 지지축이 형성되기 때문에 탈출시의 개폐커버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지지축은 베어링과 같이 벗어나기 어렵게 되며, 한편 그 밖의 개폐커버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지지축은 베어링에 부착되기 쉽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개폐커버를 폐쇄할 때 개폐커버의 위치결정을 행하는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기 때문에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를 항상 미리 정해진 위치로 계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의 계합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도 일정하게 되고, 미싱의 진동에 의해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의 계합부분으로부터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의 계합위치가 어긋나는 것에 의해 제1계지부나 제2계지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지지축과 이 지지축을 지지하는 베어링의 축방향 유극을 아주 작게하여, 지지축과 베어링의 결합부분에서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줄일 수도 있다.
청구항 4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가 탄성력의 작용방향으로 개폐커버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개폐커버에 작용하는 탄성력에 대하여 균형을 취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계지부와 제2계지부의 계합부분에서 발생하는 덜거덕소리를 더욱 줄일 수 있고, 또, 개폐커버의 본체부에 대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미싱 테이블 아래에 고정되어 전기부품을 지지한 본체부와,
    상기 전기부품을 피복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지지가능한 개폐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한쪽에 설치된 베어링과 다른 쪽에 설치된 지지축으로 되고,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또는 지지축 중 최소한 한쪽이 수지부재로 형성되는 미싱제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개방한 때에 상기 개폐커버에 접촉하여 상기 개폐커버의 회전을 저지할 수 있도록 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위치로부터 다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축을 탈출시키는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지지축의 축방향으로 상기 지지축으로부터 소정량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제어박스.
  2. 미싱 테이블 아래에 고정되어 전기부품을 지지한 본체부와,
    상기 전기부품을 피복하도록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지지가능한 개폐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한쪽에 설치된 베어링과 다른 쪽 에 설치된 지지축으로 되고,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베어링 또는 지지축 중 최소한 한쪽이 수지부재로 형성되는 미싱제어박스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개폐커버를 개방한 때에 상기 개폐커버에 접촉하여 상기 개폐커버의 회전을 저지가능하게 접촉부가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개폐커버가 상기 접촉부와의 접촉위치로부터 다시 개방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지지축을 탈출시키는 방향을 따라 개구하는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지지축은 그 둘레방향에서, 상기 탈출시에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지 않는 부분의 지름이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지름 보다 작게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제어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제1계지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커버에 상기 제1계지부와 계합하여 이 계합에 의해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개폐커버를 폐쇄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제2계지부를 설치하고,
    상기 개폐커버를 폐쇄한 때에 상기 개폐커버의 위치결정를 행하는 위치결정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제어박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상기 탄성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상기 개폐커버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제어박스.
KR1020000005691A 1999-02-12 2000-02-08 미싱제어박스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4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4627 1999-02-12
JP11034627A JP2000233091A (ja) 1999-02-12 1999-02-12 ミシンの制御ボック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614A KR20000076614A (ko) 2000-12-26
KR100610410B1 true KR100610410B1 (ko) 2006-08-09

Family

ID=1241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6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410B1 (ko) 1999-02-12 2000-02-08 미싱제어박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233091A (ko)
KR (1) KR100610410B1 (ko)
CN (1) CN115386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36012A (ja) * 2006-08-03 2008-02-21 Juki Corp ミシンの制御ボックス
JP2011045616A (ja) * 2009-08-28 2011-03-10 Brother Industries Ltd ミシン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238U (ko) * 1975-12-26 1977-07-04
JPS5384453U (ko) * 1976-12-15 1978-07-12
JPS63169093U (ko) * 1987-04-21 1988-11-02
JPH0919589A (ja) * 1995-07-04 1997-01-21 Brother Ind Ltd ミシ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9238U (ko) * 1975-12-26 1977-07-04
JPS5384453U (ko) * 1976-12-15 1978-07-12
JPS63169093U (ko) * 1987-04-21 1988-11-02
JPH0919589A (ja) * 1995-07-04 1997-01-21 Brother Ind Ltd ミシ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864C (zh) 2004-06-16
CN1263179A (zh) 2000-08-16
KR20000076614A (ko) 2000-12-26
JP2000233091A (ja) 2000-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05926B2 (ja) カバーのヒンジ装置
US5651063A (en) Hinge apparatus for a foldable telephone
KR940025398A (ko) 플렉시블기판용 전기 커넥터
JP3645786B2 (ja) 機器ユニット係止装置
KR840004291A (ko) 테이프 카세트
US6593999B1 (en) Original cover closer
JP2009013724A (ja) ハンドル装置
KR100610410B1 (ko) 미싱제어박스
JP2012115042A (ja) 電気接続箱
US6430776B1 (en) Hinge mechanism
JP4261076B2 (ja) カバー
JP3052383B2 (ja) 回転支点構造
US5659928A (en) Openable structure for housing
JPH10269759A (ja) 軸受への軸取付構造
JPH0517034Y2 (ko)
JP2010036714A (ja) 蓋体の取付け構造
JP4443950B2 (ja) スイッチ装置
JP3494882B2 (ja) ステアリング用電気接続装置
JP2948128B2 (ja) 電子機器の扉開閉機構
US7227718B2 (en) Front shutter attaching structure and flexible disk drive having the same
JPH03191995A (ja) 洗濯機の蓋装置
JPH04355083A (ja) コネクタ
JPH03121098A (ja) 洗濯機等の蓋装置
KR970004887Y1 (ko) 스위치장치
JP3835110B2 (ja) 収納ボックス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9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