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0374B1 -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374B1
KR100610374B1 KR1020050134735A KR20050134735A KR100610374B1 KR 100610374 B1 KR100610374 B1 KR 100610374B1 KR 1020050134735 A KR1020050134735 A KR 1020050134735A KR 20050134735 A KR20050134735 A KR 20050134735A KR 100610374 B1 KR100610374 B1 KR 100610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uide
roller
cable drum
dr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4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규
석광현
강지원
최형배
홍재성
고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피이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피이,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피이
Priority to KR1020050134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03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37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9/00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 B62D59/04Trailers with driven ground wheels or the like driven from propulsion unit on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6Guiding, or otherwise ensuring winding in an orderly manner, of ropes, cables, or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며 트레일러에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에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을 이동할 때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케이블 드럼을 하차하지 않고 공급 속도에 따라서 드럼을 회전시켜 가면서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8)이 적재되는 로울러 몸체(11)의 양측에서 케이블 드럼(8)을 회전시키는 구동 로울러(17)가 설치된 케이블 공급장치(10)와;
상기 케이블 드럼(8)의 일측으로 설치된 전체 안내대(31)의 상측으로 높이 안내대(32)가 설치되고 이 높이 안내대(32)의 상측에 리어 가이드 로울러(36)가 설치핀(35)으로 연결된 로울러 설치대(34)를 갖는 조절 안내대(33)로 이루어진 케이블 안내장치(30)와;
상기 로울러 몸체(11)가 설치된 트레일러(2)의 전방에 캐타필라(3)가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8)이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9)이 포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트레일러, 케이블, 케이블 드럼, 캐타필라

Description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A spreader system and that method}
도 1 은 본 발명을 견인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케이블 공급장치에 대한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케이블 공급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구동 로울러에 대한 구동상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케이블 공급장치에 대한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케이블 공급장치 중 스프링 쿠션에 대한 단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케이블 안내장치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하부 전력구 홀에 케이블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업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케이블을 공급하는 도 9의 평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인도화단 전력구 홀에 케이블을 공급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업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케이블을 공급하는 도 11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견인차량 2 : 트레일러
3 : 캐타필라 4 : 작업발판
5 : 리모콘 6 : 가이드 받침대
7 : 전력구 홀더 8 : 케이블 드럼
9 : 케이블 10 : 케이블 공급장치
11 : 로울러 몸체 12 : 연결축
13 : 스프링 쿠션 브라켓 14 : 모터
15 : 기어 16 : 회전축
17 : 구동 로울러 18, 18' : 스프링 쿠션 홀더
19 : 스톱퍼 20 : 스크링 쿠션
21 : 스프링 22 : 받침대
30 : 케이블 안내장치 31 : 전체 안내대
32 : 높이 안내대 33 : 조절 안내대
34 : 로울러 설치대 35 : 설치핀
36 : 리어 가이드 로울러
본 발명은 견인차량에 의해 견인되며 트레일러에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에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을 이동할 때 안전하고 견고하게 고정되며, 케이블 드럼을 하차하지 않고 공급 속도에 따라서 드럼을 회전시켜 가면서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초고압 케이블 지중 송전 선로의 경우 송전 용량의 증가 및 도심지 교통량 증가 등의 여건 변화로 직매, 관로식에서 전력구식으로 건설되고 있으며 전력구도 개착식에서 NATM. 쉴드 전력구로 지하 30∼50미터에 위치하고 있고, 지중화 율이 높아짐에 따라 기 설치된 케이블로 인한 작업 공간 협소 등으로 케이블 포설의 난이도가 점점 높아가고 있으며 국내 초고압 시공 업체는 일반적인 관로 및 수직구를 포함한 전력구에 케이블 설치 공사를 수행할 수 있으나 교통량 첨가 포설, 장조장 포설 등 특수 공법이 소요되는 선로의 경우 공법 개발 연구가 필요한 현황이다.
케이블 포설 작업은 케이블 및 포설 장비 등의 중량물을 취급하는 작업으로 인력을 위주로 수행하는 현 포설 방법 중 인력이 소요되는 공정을 기계화로 적용하는 성역화공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며 표준 경간(400∼500미터) 적용에 따른 선로 계획으로 경과지 환경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표준 경간 적용으로 이중 포설 등 공사 효율이 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도로법 또는 도로교통법에 의해 총중량 40톤 이하, 너비 2.5m이하, 높이 4m이하, 길이 16.7m이하로 차량 운행을 제한하고 있으며 제한 초과 시 제한 차량 운행 허가를 얻어 운행 가능하나 총중량에 대해서는 제한을 불변으로 하고 있다.
또한, 케이블 포설을 위하여 드럼을 상, 하차해야 하며, 이때 50톤 정도의 크레인을 사용하게 되고 도로 2차선을 점용하는 문제점과, 드럼 장착형 언더 로울러의 경우 바닥형으로 도로작업시 드럼 장착 후 포설 작업시 수평 유지(도로:인도 방향으로 경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현재 시공 중인 표준 긍장 400∼500미터의 케이블 포설을 긍장 700미터 내외의 장조장 케이블의 시공 가능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을 트레일러에 적재한 상태로 이동한 후 하차하지 않고 케이블의 포설 속도에 맞추어 케이블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케이블 드럼이 적재되는 로울러 몸체의 양측에서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 로울러가 설치된 케이블 공급장치와;
상기 케이블 드럼의 일측으로 설치된 전체 안내대의 상측으로 높이 안내대가 설치되고 이 높이 안내대의 상측에 리어 가이드 로울러가 설치핀으로 연결된 로울러 설치대를 갖는 조절 안내대로 이루어진 케이블 안내장치와;
상기 로울러 몸체가 설치된 트레일러의 전방에 캐타필라가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이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이 포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상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트레일러(2)를 케이블 드럼(8)을 2개 적재하던 길이보다 짧고 낮게 하여 하나의 케이블 드럼(8)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견인차량(1)에 의해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트레일러(2)의 전방 상측에는 캐타필라(3)가 설치되어 케이블(9)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양측으로 작업발판(4)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타필라(3)는 리모콘(5)에 의하여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케이블 드럼(8)을 적재하여 케이블 공급장치(10) 상부에서 고정된다.
상기 케이블 드럼(8)을 고정하는 케이블 공급장치(10)는 연결축(12)에 의하여 양측이 대칭되게 연결되며, 로울러 몸체(11)의 양측으로 각각 구동 로울러(17)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 로울러(17)는 한 쌍의 기어(15)를 통하여 모터(14)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도록 하며, 구동 로울러(17)의 상측에는 케이블 드럼(8)의 날개(8')가 올려져서 회전속도가 제어된다.
상기 로울러 몸체(11)의 한 부분에는 스프링 쿠션 브라켓(13)으로 연결된 부분에 스톱퍼(19)를 설치하여 케이블 드럼(8)의 운반시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울러 몸체(11)의 양쪽 선단 4곳에는 스프링 쿠션(20)과 이 스프링 쿠션(20)을 지지하는 스프링 쿠션 홀더(18, 18')가 설치되며, 스프링 쿠션(20)은 스프링(21)에 의하여 받침대(22)에 지지가 되어 로울러 몸체(11)에 쿠션이 제공된다.
상기 케이블 드럼(8)에는 케이블(9)이 700미터 정도 감겨 있으며, 트레일러(2)의 후방에는 케이블 안내장치(30)가 설치되어 케이블(9)의 공급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케이블 안내장치(30)는 트레일러(2)의 상부 양측에 전체 안내대(31)가 설치되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전체 안내대(31)의 상측에는 높이 안내대(32)가 설치되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높이 안내대(32)의 상측에는 조절 안내대(33)를 설치하여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조절 안내대(33)의 전방에는 설치핀(35)에 의하여 로울러 설치대(34) 양측에 리어 가이드 로울러(36)가 설치되어 케이블(9)을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케이블(9)을 감아 저장하는 케이블 드럼(8)을 트레일러(2)에 상차해서 날개(8')가 사면의 구동 로울러(17) 상측에 올려 지도록 한다.
상기 날개(8')가 구동 로울러(17)의 상측에 올려지며 케이블 드럼(8)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스톱퍼(19)를 구동시켜 양측에서 날개(8')를 고정한다.
스톱퍼(19)가 날개(8')를 고정하면 트레일러(2)를 견인차량(1)에 연결시켜 이동할 때 케이블 드럼(8)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며, 사면에서 날개(8')를 지지하는 구동 로울러(17) 역시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며 케이블 드럼(8)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별도의 케이블 드럼(8)을 고정할 장치가 필요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드럼(8)을 적재한 트레일러(2)를 견인차량(1)에 연결하여 운반할 수 있으며, 트레일러(2)는 높이와 폭, 길이를 짧게 성형한 것이므로 도로법이나 도로교통법에 위배 됨이 없이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작업 장소에 도착하게 되면 트레일러(2)를 그대로 두고 견인차량(1) 만 이동하게 되며, 트레일러(2)를 작업할 공간인 전력구 홀더(7)의 한 부분에 위치한다.
스톱퍼(19)가 날개(8')를 고정하고 있어서 케이블(9)의 공급이 안 되므로 스톱퍼(19)를 회전시켜 날개(8')로부터 분리되도록 한다.
케이블 드럼(8)에 감겨있는 케이블(9)은 케이블 안내장치(30)의 리어 가이드 로울러(36)의 후방을 통과하여 캐타필라(3)에 공급되고 다시 전력구 홀더(7)에 공급하는 것이며, 캐타필라(3)는 리모콘(5)에 의하여 케이블(9)의 공급 속도에 따라서 속도를 조절하여 케이블(9)을 공급하여 포설한다.
상기 캐타필라(3)가 구동되는 경우에는 모터(14)의 구동으로 구동 로울러(17)를 회전시켜 케이블 드럼(8)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모터(14)의 구동력이 한 쌍의 기어(15)를 통하여 감속된 후 회전축(16)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4개의 구동 로울러(17)가 사면에서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구동 로울러(17)가 회전되면서 외측에 올려진 케이블 드럼(8)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캐타필라(3)에 공급되는 케이블(9)의 공급 속도에 따라서 회전 속도가 달라 진다.
이때 스프링 쿠션 홀더(18, 18')에 설치된 스프링 쿠션(20)은 스프링(21)의 탄성력을 받으며 하측의 받침대(22)에 지지가 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케이블 드럼(8)이 움직이려 하는 경우 적절한 탄성력을 제공하여 케이블 드럼(8)을 통하여 전달되는 하중이 로울러 몸체(11)에서 상쇠 되도록 한다.
또한, 케이블 안내장치(30)는 케이블(9)이 감겨있는 위치에 따라서 설치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전체 안내대(31)는 실린더 또는 스크류축 형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이나 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구동시켜 좌, 우측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며, 높이 안내대(32)는 전체 안내대(31)의 상측에서 자동이나 핸들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구동시켜 상, 하측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고, 조절 안내대(33)는 높이 안내대(32)의 상측에서 자동이나 핸들을 이용한 수동으로 구동시켜 전,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체 안내대(31)는 높이 안내대(32)와 조절 안내대(33)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구동시켜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며, 높이 안내대(32)는 조절 안내대(33) 또는 리어 가이드 로울러(36)의 높이를 조절할 때 사용하고, 조절 안내대(33)는 리어 가이드 로울러(36)를 조금씩 전, 후방으로 이동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결국, 리어 가이드 로울러(36)의 일측으로 케이블(9)이 걸리도록 하여 공급하는 것이며, 케이블(9)의 공급시 리어 가이드 로울러(36)에 걸린 상태에서 안내되 므로 케이블(9)이 일정한 힘으로 당겨주면서 적당한 탄성을 갖고 안정되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리어 가이드 로울러(36)는 설치핀(35)을 축으로 양측에서 설치되어 있어서 케이블(9)을 텐션으로 잡아주게 되고, 조절 안내대(33)의 제어를 통하여 케이블(9)이 케이블 드럼(8)에 감긴 깊이에 따라서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다.
그리고 리어 가이드 로울러(36)는 케이블 드럼(8)의 폭에 해당되는 만큼 설치되어 있어서 케이블(9)이 어떤 위치에서도 자유롭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전력구 홀더(7)와 같이 직접 하부 전력구 홀더(7)에 캐타필라(3)를 통하여 케이블(9)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11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도 및 화단에 전력구 홀더(7)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90° 용 가이드 받침대(6)를 활용하여 케이블(9)을 절곡하여 공급할 수 있는 것이므로 선로의 특성(장대교, 장조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케이블(9)의 포설 작업이 종료되는 경우에는 스톱터(19)를 구동시켜 케이블 드럼(8)을 고정한 후 견인차량(1)을 이용하여 트레일러(2)를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설 과정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케이블 드럼 적재단계
케이블 드럼(8)에 케이블(9)을 감아 보관하고, 케이블 드럼(8)을 크레인으로 이동하여 트레일러(2)에 적재시켜 스톱퍼(19)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2) 견인 및 해제단계
트레일러(2)를 견인차량(1)에 연결한 후 견인하여 포설할 위치에 이동하고 견인차량(1)과 트레일러(2)를 분리하며 케이블 드럼(8)을 고정한 스톱퍼(19)를 해제하는 것이다.
(3) 케이블 안내장치 구동단계
케이블 드럼(8)이 트레일러(2)에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9)이 리어 가이드 로울러(36)를 통과하여 장력이 유지되도록 케이블 안내장치(30)를 구동한다.
(4) 케이블 공급단계
케이블(9)이 캐타필라(3)를 관통하여 전력구 홀더(7)에 공급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5) 케이블 포설단계
모터(14)를 구동시키면 구동 로울러(17)가 회전되면서 케이블(9)의 포설 속도에 따라서 케이블(9)이 공급되어 포설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현 시공중인 표준 긍장의 케이블 포설을 긍장 700미터 내외의 장조장 케이블의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선로에 특성(장대교, 장조장 등)에 따라 다양하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며 다양한 포설 방법을 개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장조장 포설로 발생하는 접속 개소의 감소로 선로의 워크-포인트(Weak Point)를 그만큼 감소시키는 결과로 안정적 전력 공급과 접속에 장기간 소요되는 공기 단축으로 발생하는 민원의 최소화의 효과와 선로 경과지 특성에 맞는 다양한 조장의 선택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레일러에 케이블 드럼을 적재한 상태로 이송할 때 구동 로울러로 잡아주면서 스톱퍼로 고정시켜 안정된 적재상태를 유지하며, 케이블 드럼을 적재한 상태로 케이블 포설공사를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공급장치에 의하여 케이블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케이블을 공급 속도에 맞추어 공급하며, 후방의 케이블 안내장치가 케이블을 항상 일정한 텐션으로 안정되게 공급하면서 전방의 캐타필라를 통하여 정확한 케이블 포설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공급장치의 로울러 몸체 양측에서 스프링과 스프링 쿠션에 의하여 적절한 쿠션을 제공하여 케이블이 안정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6)

  1. 케이블(9)이 감긴 케이블 드럼(8)을 회전시켜 캐타필라(3)를 통하여 전력구 홀더(7)에 케이블(9)을 공급하여 포설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드럼(8)이 적재되는 로울러 몸체(11)의 양측에서 케이블 드럼(8)을 회전시키는 구동 로울러(17)가 설치된 케이블 공급장치(10)와;
    상기 케이블 드럼(8)의 일측으로 설치된 전체 안내대(31)의 상측으로 높이 안내대(32)가 설치되고 이 높이 안내대(32)의 상측에 리어 가이드 로울러(36)가 설치핀(35)으로 연결된 로울러 설치대(34)를 갖는 조절 안내대(33)로 이루어진 케이블 안내장치(30)와;
    상기 로울러 몸체(11)가 설치된 트레일러(2)의 전방에 캐타필라(3)가 설치되어 케이블 드럼(8)이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9)이 포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
  2. 케이블(9)이 감긴 케이블 드럼(8)을 회전시켜 캐타필라(3)를 통하여 전력구 홀더(7)에 케이블(9)을 공급하여 포설함에 있어서,
    케이블 드럼(8)을 트레일러(2)에 적재시켜 스톱퍼(19)로 고정하는 단계;
    트레일러(2)를 견인차량(1)으로 견인하여 포설할 위치에 이동한 후 케이블 드럼(8)을 고정한 스톱퍼(19)를 해제하는 단계;
    케이블 드럼(8)이 트레일러(2)에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9)이 리어 가이드 로울러(36)를 통과하여 장력이 유지되도록 케이블 안내장치(30)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케이블(9)이 캐타필라(3)를 관통하여 전력구 홀더(7)에 공급되는 단계;
    모터(14)를 구동시켜 구동 로울러(17)를 회전시켜 케이블(9)의 포설 속도에 따라서 케이블(9)이 공급되어 포설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장 포설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공급장치(10)는 로울러 몸체(11)의 일측으로 스프링 쿠션 브라켓(13)으로 연결된 부분에 스톱퍼(19)를 설치하여 케이블 드럼(8)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로울러 몸체(11)의 양측을 스프링(21)으로 지지하는 스프링 쿠션(20)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구동 로울러(17)는 로울러 몸체(11)에 설치되는 회전축(16)을 통하여 한 쌍의 기어(15)가 모터(14)와 연결되어 케이블 드럼(8)을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케이블 드럼(8)은 트레일러(2)에 적재된 상태로 케이블(9)이 포설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조장 포설 시스템.
KR1020050134735A 2005-12-30 2005-12-30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Active KR100610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735A KR100610374B1 (ko) 2005-12-30 2005-12-30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4735A KR100610374B1 (ko) 2005-12-30 2005-12-30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0374B1 true KR100610374B1 (ko) 2006-08-09

Family

ID=37185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4735A Active KR100610374B1 (ko) 2005-12-30 2005-12-30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037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64B1 (ko) 2009-03-16 2009-06-25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초고압케이블 멀티 대용량 포설 시스템
KR101026840B1 (ko) * 2010-05-20 2011-04-06 대덕전력 주식회사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20150103393A (ko) * 2014-03-03 2015-09-11 흡 윤 표면결함 탐지가 가능한 케이블 포설 시스템
KR102029182B1 (ko) * 2019-07-16 2019-10-08 대한전선 주식회사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KR20230081296A (ko) 2021-11-30 2023-06-07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3207U (ko) * 1977-09-21 1979-04-12
JPH05316618A (ja) * 1992-05-11 1993-11-26 Central Japan Railway Co ケーブル布設車
KR970000839Y1 (ko) * 1994-03-09 1997-02-10 주식회사 수산특장 우회 송전용 케이블 드럼차
JP2004096879A (ja) 2002-08-30 2004-03-25 Mitsubishi Cable Ind Ltd 移動体搭載のケーブル巻取繰出装置
KR100485254B1 (ko) 1997-02-17 2006-02-02 프란츠 플라세 바흔바우마쉬넨-인두스트리게젤샤프트 엠. 베. 하 가공선의접선을설치하기위한기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53207U (ko) * 1977-09-21 1979-04-12
JPH05316618A (ja) * 1992-05-11 1993-11-26 Central Japan Railway Co ケーブル布設車
KR970000839Y1 (ko) * 1994-03-09 1997-02-10 주식회사 수산특장 우회 송전용 케이블 드럼차
KR100485254B1 (ko) 1997-02-17 2006-02-02 프란츠 플라세 바흔바우마쉬넨-인두스트리게젤샤프트 엠. 베. 하 가공선의접선을설치하기위한기계
JP2004096879A (ja) 2002-08-30 2004-03-25 Mitsubishi Cable Ind Ltd 移動体搭載のケーブル巻取繰出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64B1 (ko) 2009-03-16 2009-06-25 주식회사 청우에스이 초고압케이블 멀티 대용량 포설 시스템
KR101026840B1 (ko) * 2010-05-20 2011-04-06 대덕전력 주식회사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3상 배전케이블 자동 풀링 장치
KR20150103393A (ko) * 2014-03-03 2015-09-11 흡 윤 표면결함 탐지가 가능한 케이블 포설 시스템
KR101594396B1 (ko) * 2014-03-03 2016-02-16 윤흡 표면결함 탐지가 가능한 케이블 포설 시스템
KR102029182B1 (ko) * 2019-07-16 2019-10-08 대한전선 주식회사 케이블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케이블 포설 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 방법
KR20230081296A (ko) 2021-11-30 2023-06-07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KR102590667B1 (ko) * 2021-11-30 2023-10-19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21B1 (ko) 트레버스 해소장치를 이용한 장조장 포설 시스템
KR100976843B1 (ko) 케이블 드럼용 구동장치
CN103243634B (zh) 摊铺机及利用摊铺机喷绘道路标线的方法
CN110344490A (zh) 一种市政道路下水道管道施工设备及方法
KR100610374B1 (ko) 장조장 포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03964B1 (ko) 초고압케이블 멀티 대용량 포설 시스템
CN113620181B (zh) 一种市政建设道路施工用管道铺设装置
ITTO20040129A1 (it) Metodo e apparato per il cambio automatico della bobina di film estensibile, nelle macchine avvolgitrici per l'imballaggio di carichi palettizzati.
CN213622619U (zh) 一种放线架装置
CN107893430A (zh) 预制综合管廊拼装用的安装车
CN109112990A (zh) 一种用于道路桥梁宽度限行装置
CN118554335A (zh) 一种电缆敷设用支架
CN105200922A (zh) 一种钢桁梁节段地面拼装运输装置和运输方法
CN210108206U (zh) 一种道路桥梁施工测量装置
CN111856683B (zh) 一种基于通信设计的地下光缆走线装置及地下走线方法
CN107130506B (zh) 市政道路快速修补结构及其施工方法
CN209977888U (zh) 一种市政路灯
CN211283163U (zh) 一种电力工程放线缆车
CN207311666U (zh) 软轴推送装置及其系统
CN215764220U (zh) 一种智能安防监控立杆
CN105174093A (zh) 起重机
KR200386093Y1 (ko) 원목 운반용 캐리어
CN209601947U (zh) 大型混凝土预制构件起吊装置
JP2020138839A (ja) 集材装置
CN205132993U (zh) 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6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31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