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10171B1 -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 및 그 수지를 사용한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 Google Patents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 및 그 수지를 사용한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171B1
KR100610171B1 KR1020000048952A KR20000048952A KR100610171B1 KR 100610171 B1 KR100610171 B1 KR 100610171B1 KR 1020000048952 A KR1020000048952 A KR 1020000048952A KR 20000048952 A KR20000048952 A KR 20000048952A KR 100610171 B1 KR100610171 B1 KR 100610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thylene
blow molded
resin
measured
low dens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8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173A (ko
Inventor
이와마사겐지
가게야마후미오
Original Assignee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0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7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or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with aliphatic 1-olefins containing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는 밀도(ASTM D 1505)가 0.930 g/㎤ 이하,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6 dl/g 이상,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4이상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 된 것이다.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예를 들어,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을 2 단계 중합함으로서 얻어진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본 발명에서 상술한 수지로 된 층을 갖는다.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는 샥스킨이 없는 양호한 외관과 뛰어난 낙하 내충격성을 가진 단층 또는 다층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예, 연질 병)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상기 수지로 된 층을 가지므로 샥스킨이 없는 양호한 외관과 뛰어난 낙하 내충격성을 가져서 마요네즈 등의 식품 용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틸렌 수지, 블로우 성형, 블로우 성형체

Description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 및 그 수지를 사용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RESIN FOR POLYETHYLENE BLOW MOLDED ARTICLE AND POLYETHYLENE BLOW MOLDED ARTICLE USING THE RESIN}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 및 그 수지를 사용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뛰어난 낙하 내충격성과 샥스킨(sharkskin)이 없는 외관을 가져서 마요네즈용 연질 병과 같은 식품 용기로 바람직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와 그 수지를 사용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에 관한 것이다.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지글러-나타 촉매의 존재 하에서 탄소수 3 이상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을 일단계로 공중합하여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병은, 마요네즈용 병과 같은 식품 용기로써 지금까지 널리 이용되어왔다.
그러나,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병는 낙하 내충격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한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한 병는 샥스킨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한 외관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깊이 연 구해왔고, 그 결과, 지금까지 알려진 지글러 촉매와 같은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의 2 단계 중합으로 얻은, 밀도(ASTM D 1505)가 0.930 g/㎤ 이하,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6 dl/g 이상,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4 이상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부터 좋은 외관과 뛰어난 낙하 내충격성을 가진 연질 병을 형성할 수 있음을 알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에 관한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연질 병과 같은 단층 또는 다층 용기로써 바람직하며 뛰어난 외관과 낙하 내충격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다른 목적은 상기 수지로부터 제조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는 밀도(ASTM D 1505)가 0.930 g/㎤ 이하,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6 dl/g 이상,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4 이상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 된 것이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의 2단계 중합으로 얻은 선형 저밀도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라도 좋고; 또는 밀도(ASTM D 1505)가 0.860~0.975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0.01~1.80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1.0~6.0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5~95 중량%와, 밀도(ASTM D 1505)가 0.860~0.975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 1.81~10.0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1.0~6.0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5~95 중량%의 블랜드 물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18℃의 분위기에서 5회 반복 낙하 시험 시, 병 내에 채워진 에틸렌 글리콜이 누수되지 않는 낙하 높이가 1.5m 이상인 단층 병(내부 용적:780㎖, 병 무게:25g)를 블로우 성형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상기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로 된 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다층 구조를 가져도 좋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식품 용기로써 적합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압축 성형에 의해 제조된 두께 2mm의 압축 시트의 인장 항복 응력(ASTM D 638)이 15 MPa 이하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 된 층을 하나 갖고, 블로우 성형체를 구성하는 모든 층의 총 두께가 0.6mm이하인 한 부분을 가져도 좋다. 이와 같은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일반적으로 연질 병이라 불린다.
본 발명에 의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와 그 수지를 사용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를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는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 된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각각 특정 범위의 밀도, 고유 점도, 분자량 분포(Mw/Mn)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 된 층을 갖는다. 블로우 성형체는 단층 구조 또는 2개 이상의 층을 갖는 다층 구조를 가져도 좋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탄소수 3~20의 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이며, 밀도(ASTM D 1505)가 0.930 g/㎤ 이하, 통상 0.860~0.930 g/㎤, 바람직하게는 0.900~0.93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0.915~0.925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6 dl/g이상, 통상 1.6~10.0 dl/g, 바람직하게는 1.6~4.0 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1.8~2.5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4.0이상, 통상 4~20, 바람직하게는 4.5~13, 더욱 바람직하게는 5.0~10.0 이다. 상기 범위의 밀도, 고유 점도, 분자량 분포(Mw/Mn)를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을 사용하면, 양호한 외관과 뛰어난 낙하 내충격성을 갖는 연질 병 등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분자량 분포(Mw/Mn)는 밀리포어사에서 제조한 GPC-150을 이용하여 다음 방식으로 측정한다.
직경 72mm, 길이 600mm 사이즈의 칼럼을 갖는 TSK GNH HT의 분리용 칼럼으로, 칼럼 온도 140℃ 조건 하에서 산화 방지제로써 BHT 0.025 중량%, 이동상으로써 o-디클로로벤젠(Wako Junyaku kogoyo K.K로부터 구입 가능)을 사용하여, 시료 500 ㎕를 주입하여, 속도 1.0㎖/min으로 시료(농도: 0.1 중량%)를 이동시켰다. 검출기로는, 시차 주사열량계를 사용하였다. 표준 폴리스티렌으로, Mw<1000 및 Mw>4×106 에 대해서는 TOSOH K.K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였고, 1000≤Mw ≤4×106 에 대해서는 Pressure Chemical Co.제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였다.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의 예로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2-메틸-1-부텐, 3-메틸-1-부텐, 1-헥센, 3-메틸-1-펜텐, 4-메틸-1-펜텐, 3,3-디메틸-1-부텐, 1-헵텐, 메틸-1-헥센, 디메틸-1-펜텐, 트리메틸-1-부텐, 에틸-1-펜텐, 1-옥텐, 메틸-1-펜텐, 디메틸-1-헥센, 트리메틸-1-펜텐, 에틸-1-헥센, 메틸에틸-1-펜텐, 디에틸-1-부텐, 프로필-1-펜텐, 1-데센, 메틸-1-노넨, 디메틸-1-옥텐, 트리메틸-1-헵텐, 에틸-1-옥텐, 메틸에틸-1-헵텐, 디에틸-1-헥센, 1-도데센과 1-헥사도데센을 들 수 있다.
이러한 α-올레핀은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에틸렌/1-펜텐 공중합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에틸렌/4-메틸-1-펜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이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에서, 에틸렌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는 통상 65~99 중량%, 바람직하게는 70~98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5~96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탄소수 3~20의 α-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는 통상 1~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2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 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의 조성은, 통상 10mm 직경의 시료 튜브에서 헥사클로로부타디엔 1㎖에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약 200㎎을 균일하게 용해시켜 얻은 시료의 13C-NMR 스펙트럼을, 측정 온도 120℃, 측정 주파수 25.05MHz, 스펙트럼 폭 1500Hz, 펄스 반복 시간 4.2 sec와 펄스 폭 6μsec의 조건 하에서, 측정함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특성을 갖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종래 공지의 지글러 촉매와 같은 올레핀 중합 촉매의 존재 하에서, 탄소수 3~20 α-올레핀과 에틸렌을 공중합 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상기와 같이 얻은 2종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을 블랜딩 함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공중합체의 블랜딩은 압출기를 이용하여 실시 할 수 있고, 중합 반응기에서 2 단계 중합으로 2 종류 이상의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연속적으로 제조함으로서 행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그 후 압출기에 의해 과립화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예를 들면, 밀도(ASTM D 1505)가 0.860~0.975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0.01~1.80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1.0~6.0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5~95 중량% 와,
밀도(ASTM D 1505)가 0.860~0.975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 유 점도[η]가 1.81~10.0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1.0~6.0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의 5~95 중량%의 블랜드물이 바람직하다.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는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해도 좋고, 또한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는 단독으로 또는 2 종류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은, -18℃의 분위기 하에서 5회 반복 낙하 시험 시, 용기 내에 채워진 에틸렌 글리콜이 누수되지 않는 낙하 높이가 1.5m 이상인 단층 병(내부 용적:780㎖, 병 무게; 25g)을 블로우 성형 할 수 있다. 상기 낙하 시험에서, 에틸렌 글리콜을 함유하는 병의 밑을 아래로 하여 동일한 높이에서 바닥으로 5번 반복하여 낙하하여 에틸렌 글리콜이 누수되지 않을 경우, 그 병은 낙하 시험에서 통과된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에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해도 좋다.
첨가제의 예로는 충전제, 내후 안정제, 내열 안정제, 대전 방지제, 미끄럼 방지제, 방무제, 윤활제, 색소, 염료, 핵제, 가소제, 난연제, 염산 흡수제를 포함한다.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 된 층을 가지며,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이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단층 구 조의 블로우 성형체는 단층 용기로서 사용되고, 다층 구조 블로우 성형체는 다층 용기로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층 용기가, 예를 들어 3층 구조 인 경우, 용기의 내측과 외측의 표층을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 형성하고, 이들 표층사이의 중간층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와 같은 수지로 형성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공지된 블로우 성형법으로 제조된다. 다양한 블로우 성형 방법이 있으며, 그 방법은 압출 블로우 성형법, 2단계 블로우 성형법, 사출 성형법으로 넓게 나누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압출 블로우 성형법이 특히 바람직하게 채택된다.
실시예
본 발명을 아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의 제조
중합반응기에서, 2종류의 폴리에틸렌(a1)과 폴리에틸렌(b1)을 용액 중합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과립화하여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2.1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5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을 얻었다.
폴리에틸렌(a1)은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0.5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2.3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였다.
폴리에틸렌(b1)은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3.6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2.8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였다.
폴리에틸렌(b1)에 대한 폴리에틸렌(a1)의 중량 비((a1)/(b1))는 50/50이다.
제조예 2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2))의 제조
중합반응기에서, 2 종류의 폴리에틸렌(a2)과 폴리에틸렌(b2)을 용액 중합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과립화하여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8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5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LLDPE(2))를 얻었다.
폴리에틸렌(a2)은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0.5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2.3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였다.
폴리에틸렌(b2)은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3.1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2.8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였다.
폴리에틸렌(b2)에 대한 폴리에틸렌(a2)의 중량비((a2)/(b2))는 50/50이다.
제조예 3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3))의 제조
중합반응기에서, 2 종류의 폴리에틸렌(a3)과 폴리에틸렌(b3)을 용액 중합에 의해 연속적으로 제조하고, 과립화하여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6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4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LLDPE(3))를 얻었다.
폴리에틸렌(a3)은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0.5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2.3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였다.
폴리에틸렌(b3)은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2.7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2.5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였다.
폴리에틸렌(b3)에 대한 폴리에틸렌(a3)의 중량비((a3)/(b3))는 50/50이다.
제조예 4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4))의 제조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8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3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4))을 용액 중합으로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5)) 제조
밀도(ASTM D 1505)가 0.935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2.1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5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 렌(LLDPE(5))을 용액 중합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을 아래 성형 조건 하에서 압출 블로우 성형기(니폰 세이코 K.K., 모델:JEB-15)를 사용하여 블로우 성형하여 내부 용적 780㎖와 중량 25g을 갖는 병(단층 블로우 성형체)을 얻었다.
블로우 성형 조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의 수지 온도: 200℃
수지압력: 320 ㎏/㎡
수지 압출 속도: 50 ㎏/hr
금형 온도: 20℃
상기에서 얻는 용기를 아래 방법으로 반복 낙하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시험 방법
내부 용적 780㎖, 중량 25g 인 단층 병을 에틸렌 글리콜로 채웠다. -18℃의 분위기에서, 상기 병의 밑이 아래로 되게 하여, 일정 높이에서 5회 반복하여 낙하시켰다. 5회 반복 낙하 시험에서, 에틸렌 글리콜의 누수가 없는 최고 낙하 높이를 측정하였고, 이 최고 낙하 높이를 상기 병의 낙하 내충격성의 지표로 하였다. 상기 병이 낙하되는 바닥은 두께 2mm 이상인 철판을 콘크리트 바닥에 수평으로 놓은 것이었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으로 ASTM D1928에 따라 2mm 두께의 압축 시트를 압축 성형하였다. 압축 시트의 인장 항복 응력을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얻은 병는 샥스킨이 없었으며 외관이 좋았다.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 대신에 제조예 2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블로우 성형하여, 내부 용적 780㎖와 중량 25g인 병(단층 블로우 성형체)을 얻었다.
압출 블로우 성형 조건은 아래와 같다.
블로우 성형 조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2))의 수지 온도:200℃
수지압력: 280 ㎏/㎡
수지 압출 속도: 50 ㎏/hr
금형 온도: 20℃
상기에서 얻은 병을 상술한 방법대로 반복 낙하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낸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2))으로 ASTM D1928에 따라 두께 2mm인 압축 시트를 압축 성형하였다. 압축 시트의 인장 항복 응력을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얻은 병은 샥스킨이 없었으며 외관이 좋았다.
실시예 3
제조예 1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 대신에 제조예 3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3))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블로우 성형하여, 내부 용적 780㎖와 중량 25g인 병(다층 블로우 성형체)을 얻었다.
압출 블로우 성형 조건은 아래와 같다.
블로우 성형 조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3))의 수지 온도:200℃
수지압력: 250 ㎏/㎡
수지 압출 속도: 50 ㎏/hr
금형 온도: 20℃
상기에서 얻은 병을 상술한 방법으로 반복 낙하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낸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3))으로 ASTM D1928에 따라 두께 2mm인 압축 시트를 압축 성형하였다. 압축 시트의 인장 항복 응력을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얻은 병은 샥스킨이 없었으며 외관이 좋았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 대신에 밀도(ASTM D 1505)가 0.920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3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5인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HPLDPE)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블로우 성형하여, 내부 용적 780㎖와 중량 25g을 갖는 병(단층 블로우 성형체)을 얻었다.
압출 블로우 성형 조건은 아래와 같다.
블로우 성형 조건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HPLDPE)의 수지 온도:200℃
수지압력: 300 ㎏/㎡
수지 압출 속도: 50 ㎏/hr
금형 온도: 20℃
상기에서 얻은 병을 상술한 방법으로 반복 낙하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고압 저밀도 폴리에틸렌(HPLDPE)은 ASTM D1928에 따라 2mm 두께의 압축 시트를 압축 성형하였다. 이 압축 시트의 인장 항복 응력을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얻은 용기는 샥스킨이 없었으며 외관이 좋았다.
비교예 2
제조예 1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 대신에 제조예 4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4))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블로우 성형하여, 내부 용적 780㎖와 중량 25g을 갖는 병(단층 블로우 성형체)을 얻었다.
압출 블로우 성형 조건은 아래와 같다.
블로우 성형 조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4))의 수지 온도:210℃
수지압력: 400 ㎏/㎡
수지 압출 속도: 50 ㎏/hr
금형 온도: 20℃
상기에서 얻은 병을 상술한 방법으로 반복 낙하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4))으로 ASTM D1928에 따라 2mm 두께의 압축 시트를 압축 성형하였다. 이 압축 시트의 인장 항복 응력을 ASTM D 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얻은 병은 샥스킨이 있었다.
비교예 3
제조예 1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1)) 대신에 제조예 5에서 얻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5))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압출 블로우 성형하여, 내부 용적 780㎖와 중량 25g을 갖는 병(단층 블로우 성형체)을 얻었다.
압출 블로우 성형 조건은 아래와 같다.
블로우 성형 조건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5))의 수지 온도:200℃
수지압력: 320 ㎏/㎡
수지 압출 속도: 50 ㎏/hr
금형 온도: 20℃
상기에서 얻은 병을 상술한 방법으로 반복 낙하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5))으로 ASTM D1928에 따라 2mm 두께의 압축 시트를 압축 성형하였다. 이 압축 시트의 인장 항복 응력을 ASTM D 638에 다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얻은 용기는 샥스킨이 없었으며 외관이 좋았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저밀도 폴리에틸렌 종류 밀도(g/㎤) 고유 점도(dl/g) Mw/Mn 인장 항복 응력(*)[MPa] LLDPE(1) 0.920 2.1 5 11 LLDPE(2) 0.920 1.8 5 11 LLDPE(3) 0.920 1.6 4 11 HPLDPE 0.920 1.3 5 10 LLDPE(4) 0.920 1.8 3 11 LLDPE(5) 0.935 2.1 5 16
블로우 성형 조건 수지 온도(℃) 수지 압력(kg/㎡) 수지 압출 속도(kg/hr) 200 320 50 200 280 50 200 250 50 200 300 50 210 400 50 200 320 50
병의 외관 좋음 좋음 좋음 좋음 샥스킨 좋음
낙하 내충격성(-18℃에서) 최고 낙하 높이(m) 2.0 1.8 1.5 1.1 1.6 0.8
병의 최소 두께(mm) 0.3 0.3 0.3 0.3 0.3 0.3
(*)인장 항복 응력: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압축 성형에 의해 얻은 두께 2mm인 압축 시트의 인장 항복 응력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에 의하면, 샥스킨이 없어 외관이 양호하고 뛰어난 낙하 내충격성을 갖는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예, 연질 병)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본 발명의 상기 수지로 된 층을 갖기 때문에 샥스킨이 없어 외관이 좋고, 뛰어난 낙하 내충격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는 마요네즈, 케찹, 와사비 페이스트 또는 머스타드 페이스트와 같은 식품의 용기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밀도(ASTM D 1505)가 0.860∼0.975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0.01∼1.80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1.0∼6.0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a) 5∼95 중량%와,
    밀도(ASTM D 1505)가 0.860∼0.975 g/㎤,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81∼10.0 dl/g,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1.0∼6.0인 선형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b) 5∼95 중량%로 되는 블랜드물이며,
    밀도(ASTM D 1505)가 0.860∼0.930 g/㎤ 이며, 135℃ 데카린 용매 중에서 측정한 고유 점도[η]가 1.6∼10.0 dl/g 이며, GPC로 측정한 분자량 분포(Mw/Mn)가 4∼20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A)으로 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기재된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로 된 층을 갖는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5. 제 4항에 있어서,
    다층 구조를 갖는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식품 용기로써 이용되는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7. 삭제
KR1020000048952A 1999-09-01 2000-08-23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 및 그 수지를 사용한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47323 1999-09-01
JP24732399 1999-09-01
JP2000-234146 2000-08-02
JP2000234146A JP4430799B2 (ja) 1999-09-01 2000-08-02 ポリエチレン中空成形体用樹脂およびその樹脂を用いたポリエチレン中空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173A KR20010050173A (ko) 2001-06-15
KR100610171B1 true KR100610171B1 (ko) 2006-08-09

Family

ID=26538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89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0171B1 (ko) 1999-09-01 2000-08-23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 및 그 수지를 사용한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30799B2 (ko)
KR (1) KR100610171B1 (ko)
CN (1) CN1300233C (ko)
ID (1) ID29316A (ko)
TW (1) TW5539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69224B1 (en) * 2010-05-13 2014-06-11 Unilever N.V. Injection molded tube
CN106633325B (zh) * 2015-10-28 2019-04-1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聚乙烯组合物以及耐久性薄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071A (ko) * 1992-09-10 1994-04-26 고오사이 아끼오 에틸렌-α올리펜 공중합체, 및 그를 이용하여 성형된 성형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880A (ja) * 1983-07-08 1985-01-28 今野 富夫 断熱コンクリ−ト板の方法
JPH07116251B2 (ja) * 1985-03-11 1995-12-13 東ソー株式会社 改質されたポリエチレンの製造方法
JPH1180259A (ja) * 1997-09-10 1999-03-26 Tosoh Corp 大型ブロー成形用ポリエチレン樹脂及び製造方法並びに大型ブロー成形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7071A (ko) * 1992-09-10 1994-04-26 고오사이 아끼오 에틸렌-α올리펜 공중합체, 및 그를 이용하여 성형된 성형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39630A (ja) 2001-05-22
KR20010050173A (ko) 2001-06-15
TW553952B (en) 2003-09-21
ID29316A (id) 2001-08-16
JP4430799B2 (ja) 2010-03-10
CN1288910A (zh) 2001-03-28
CN1300233C (zh)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9536C (en) Lldpe blends with an ethylene-norbornene copolymer for resins of improved toughness and processibility for film production
EP1694767B1 (en) Thermoplastic olefinic compositions
US7396881B2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rotational molding
EP2885326B1 (en) Highly branched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6969741B2 (en) Polyethylene compositions for rotational molding
US7985804B2 (en) Rubber toughened compositions, articles, film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EP2460850A1 (en) Alpha-olefin-based polymer composition, molded product formed from the composition, and novel polymer
AU764796B2 (en) 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for rotational molding and rotational molded product using the composition
CN102575071A (zh) 基于乙烯的聚合物组合物
WO2006048253A1 (en) Polyethylene composition for injection moulded caps and closure articles
US6933346B2 (en) Sealant for polypropylene and easily openable hermetically sealed package including the same
JP5205340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
US11174356B2 (en) Polymer compositions for injection stretch blow molded articles
KR20120104436A (ko) 다층 블로우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5710B1 (ko) 투명성 및 내충격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BR112015004929B1 (pt) composição e artigo
CN115989275A (zh) 具有优异物理性能的高密度聚乙烯组合物
KR100610171B1 (ko) 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용 수지 및 그 수지를 사용한폴리에틸렌 블로우 성형체
JPS6341945B2 (ko)
JP2016150953A (ja) 成形体、食品容器本体及び食品容器用蓋
US8420741B2 (en) Ethylene based polymer composition and film
US20230220136A1 (en)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JP2004231919A (ja) プロピレン・α−オレフィン共重合体組成物、成形体およびその用途
JP3106834B2 (ja) 高光沢多層中空成形容器及びそれに好適なオレフィン重合体組成物
CN117529523A (zh) 具有改进的熔体强度和柔性的聚乙烯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9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8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