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9009B1 - Two 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 Google Patents

Two 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009B1
KR100609009B1 KR1020060030196A KR20060030196A KR100609009B1 KR 100609009 B1 KR100609009 B1 KR 100609009B1 KR 1020060030196 A KR1020060030196 A KR 1020060030196A KR 20060030196 A KR20060030196 A KR 20060030196A KR 100609009 B1 KR100609009 B1 KR 100609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shoe
elevator
guide rail
emergency stop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덕 규 김
Original Assignee
덕 규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 규 김 filed Critical 덕 규 김
Priority to KR1020060030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0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00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adapted for treating the charge in vacuum or special atmosphere
    • F27B9/042Vacuum furn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74Methods of treatment in inert gas, controlled atmosphere, vacuum or pulverul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정지시 가이드레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guide rail during the emergency stop of the elevator car,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uide rail to quickly emergency stop the elevator car.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에 있어서, 클램핑조립체는, 미들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한 바디와; 레일홈 일측에 고정한 클램프와; 클램프 일면 상, 하부에 슬라이딩 이동되는 롤러조립체와; 롤러조립체를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과; 롤러조립체 일면에 구비하여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이동브레이크슈와; 이동브레이크슈 전면을 커버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레일홈 타면에 돌출되게 고정시킨 고정브레이크슈와; 바디의 이송을 제한하고 바디를 복귀시키는 역할의 클램핑조립체 안전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in an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the clamping assembly includes: a bod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middle plate to be transportable; A clamp fixed to one side of the rail groove; A roller assembly which is slidably moved on and below the clamp on one surface;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roller assembly; A moving brake sho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roller assembly to press the guide rail; A guide plate covering the front of the movable brake shoe; A fixed brake shoe fixed to protrude from the other surface of the rail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mping assembly safety device that serves to limit the transfer of the body and return the body.

상기한 구성에 따라, 마찰면이 매끄럽고 마찰력이 좋은 이동브레이크슈를 통해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므로, 가이드레일의 손상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성능을 향상시켜 신속하고 정확하게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since the friction surface is smooth and the guide rail is pressurized through the moving brake shoe having good frictional for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of the guide rail and to prevent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and also to improve the braking performance of the elevator car. It also has the effect of stopping the elevator car quickly and accurately.

엘리베이터, 이동브레이크슈, 가이드레일, 가압, 롤러. Elevator, moving brake shoe, guide rail, pressurization, roller.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Safety device for an elevator}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registered by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도 2a, 2b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Figure 2a, 2b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registered and registered by the present applicant,

도 3a, 3b, 3c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된 다른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3a, 3b, 3c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the elevator is registered and filed by the applicant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의 클램핑조립체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the clamping assembly of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6b, 6c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6a, 6b, 6c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 7b는 도 6a, 6b에 따른 클램핑조립체 안전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ure 7a, 7b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amping assembly safety device according to Figures 6a, 6b,

도 8a, 8b는 도 6a, 6b의 평면도,8A and 8B are plan views of FIGS. 6A and 6B,

도 9a, 9b는 본 발명에 의한 링크장치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9a and 9b are front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linkag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s *

100 : 정지장치 240 : 미들플레이트100: stop device 240: middle plate

250 : 측면부 260 : 결합구멍250: side portion 260: coupling hole

300 : 바디 310 : 레일홈300: body 310: rail groove

312 : 이동홈 314 : 둔턱312: moving groove 314: obtuse

320 : 클램프 325 : 스프링홈320: clamp 325: spring groove

330 : 롤러조립체 332 : 연결프레임330: roller assembly 332: connecting frame

334 : 롤러 336 : 지지봉334: roller 336: support rod

337 : 고리홈 340 : 리턴스프링337: ring groove 340: return spring

350 : 이동브레이크슈 352 : 가이드핀350: moving brake shoe 352: guide pin

354 : 스토퍼블록 360 : 가이드플레이트354: stopper block 360: guide plate

362 : 가이드홈 370 : 고정브레이크슈362: guide groove 370: fixed brake shoe

380 : 고정플레이트 390 : 판스프링380: fixed plate 390: leaf spring

400 : 조작링크 410 : 가위형 링크400: operation link 410: scissors type link

410a, 410b : 상, 하부다리 412 : 유동구멍410a, 410b: upper and lower legs 412: flow hole

414 : 스토퍼핀 420 : 리턴스프링414: stopper pin 420: return spring

430 : 간격유지링크 440 : 브래킷430: spacing link 440: bracket

500 : 연결바 510 : 상부조절플레이트500: connecting bar 510: upper adjustment plate

520 : 하부조절플레이트 530 : 압축스프링520: lower adjustment plate 530: compression spring

600 : 조속기 G : 가이드레일600: governor G: guide rail

R : 로프 B : 볼트R: Rope B: Bolt

N : 너트N: Nu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정지시 가이드레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가이드레일의 수명을 연장하고,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보다 확실하고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bi-directional emergency stop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guide rail during emergency stop of the elevator car, to extend the life of the guide rail, improve the friction force with the guide rail to make the elevator car more reliable A bidirectional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is provided for quickly stopping the emergency.

일반적으로, 승강기로도 불리우는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통로를 수직으로 승, 하강하면서 승객 또는 화물을 운반시키는 것으로, 그 편리함으로 인해 각 건물에 보편적으로 설치되어 있다.In general, an elevator car, also called an elevator, carries a passenger or a cargo while vertically raising and lowering an elevator aisle, and is generally installed in each building due to its convenience.

이러한, 엘리베이터 카는 로프에 의해 승하강되는 특성상 로프의 파손이나 모터의 고장, 또는 엘리베이터 제동장치 등의 결함 등에 의해 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급격하게 승, 하강되거나 추락하여 커다란 인명사고를 초래하게 된다. When the elevator car is not braked due to the breakage of the rope, the failure of the motor, or the defect of the elevator braking device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being lifted up and down by the rope, the elevator car is suddenly raised, lowered, or falls, causing a great casualty. do.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카의 저면 양측에는 비상시 엘리베이터 카를 강제로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 정지장치가 설치되어 엘리베이터 카의 추락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emergency stop devices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to forcibly stop the elevator car in an emergency to prevent the accident of falling of the elevator car.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2b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결정된 국내 등록실 용신안 등록번호 제326832호(명칭: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에 대한 것으로, 크게 상부플레이트(200), 하우징(300), 판스프링(400), 가이드블록(50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 웨지(800) 등으로 구성된다. 1 to 2B are for the Korean Registered Room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26832 (name: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which is filed and determined by the applicant, and is mainly an upper plate 200, a housing 300, The leaf spring 400, the guide block 500, the front and rear guide plates 600, 610, the wedge 800, and the like.

이하 설명하면, 엘리베이터 카 양측 저면에 상부플레이트(200)가 고정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200) 하부에는 하우징(300)이 용접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00) 내부에는 상기한 판스프링(400), 가이드블록(500),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 웨지(800) 등이 수용되는데, 먼저 판스프링(400)은 하우징(300)의 양 측면부(310)에 관통 설치된 가이드블록(500)에 의해 가이드 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500)은 상부플레이트(200)에 접촉된 상태로 하우징(300) 내측면에 각각 고정된다.Hereinafter, the upper plate 200 is fixed to both bottom surfaces of the elevator car, and the housing 300 is wel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00. In addition, the housing 300 is accommodated in the leaf spring 400, the guide block 500, the front and rear guide plates 600, 610, the wedge 800, etc. First, the leaf spring 400 Is installed to be guided by guide blocks 500 installed through both side portions 310 of the housing 300, the guide block 500 being in contact with the upper plate 200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300. Each is fixed.

또한, 상기 가이드블록(500)의 전면과 후면에는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가 각각 결합되고, 상기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 사이에는 로울러(700)가 삽입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 가이드플레이트(600)와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10) 사이에는 웨지(800)를 로울러(700)와 접촉되는 상태로 결합시키고, 상기 웨지(800) 저면에는 로드(R)를 연결시킨다.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guide plates 600 and 610 ar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guide block 500, respectively, and the roller 700 is disposed between the front guide plate 600 and the rear guide plate 610. Insert is installed. The wedge 800 is coupled between the front guide plate 600 and the rear guide plate 610 in contact with the roller 700, and a rod R is connec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wedge 800.

즉, 비상시 로드(R)가 상방향으로 당겨지게 되면, 로드(R)와 결합된 웨지(800)는 로울러(700)와 프런트 및 리어 가이드플레이트(600)(610)의 안정된 가이드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송되고, 이에 따라 웨지(800)가 가이드레일(G)을 강하게 클램핑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emergency rod (R) is pulled upward, the wedge 800 coupled with the rod R is upward by the roller 700 and the stable guides of the front and rear guide plates 600 and 610. The wedge 800 is thereby clamping the guide rail (G) strongly, it is possible to stop the elevator car.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급하 강 또는 추락시에 급제동시킬 수 있는 효과는 있었으나, 엘리베이터의 모터 이상 및 오작동 등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카가 급 상승하는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카를 정지시킬 수 없었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안전을 장담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has the effect of sudden braking at the time of falling or falling of the elevator car, but the elevator car can be stopped when the elevator car suddenly rises due to the motor abnormality or malfunction of the elevator car. Therefor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guarantee the safety of the passengers using the elevator.

첨부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 등록받은 특허 제506789호(명칭: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에 대한 것으로, 크게 클램핑조립체와, 롤링장치부와, 링크장치부로 구성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FIGS. 3A to 3C are for Patent No. 506789 (name: Bi-directional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filed and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re largely clamping assemblies and rolling device parts. And a link device section.

설명하면, 먼저 클램핑조립체는 롤러(41)의 가압에 의해 브레이크슈(34)를 가이드레일(G)에 마찰시키는 것으로, 미들플레이트(24)에 바디(30)를 이송 가능하게 장착하고, 상기 바디(30) 중앙에 형성된 레일홈(31) 내측 일면 중앙에 클램프(33)를 각각 장착하며, 상기 레일홈(31) 내측 타면에 브레이크슈(34)를 돌출되게 설치한다.In detail, the clamping assembly first frictionally brakes the brake shoe 34 to the guide rails G by pressing the roller 41, and the body 30 is mounted on the middle plate 24 so as to be transportable. (30) Mount the clamps 33 in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groove 31 formed in the center, respectively, and install the brake shoes 34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ail groove 31.

롤링장치부는 상기 클램핑조립체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켜 가이드레일(G)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로프(R)의 양단을 조작링크(42)에 걸고, 상기 조작링크(42) 중앙에 링크(43)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며, 상기 링크(43) 단부에 가이드플레이트(4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0) 상, 하부에는 상기 클램프(33)를 따라 이송할 수 있게 롤러(41)를 각각 설치하여, 롤러(41)의 이동시 가이드레일(G)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The rolling device unit serves to press the guide rails G by moving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lamping assembly, and hooks both ends of the rope R to the operation link 42, and links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ink 42. The 43 is rotatably mounted, and the guide plate 40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link 43. In addition, the rollers 41 are provided on the guide plate 40 so that the rollers 41 may be transported along the clamp 33 to press the guide rails G when the rollers 41 move.

링크장치부(도시 생략)는 엘리베이터 카 양측에 구비된 가이드레일(G)을 동 시에 클램핑할 수 있도록 양측에 설치된 롤링장치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양쪽에 동일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The link device portion (not shown) connects the rolling device portions provided at both sides to clamp the guide rails G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at the same time, thereby exhibiting the same braking performance on both sides.

즉, 엘리베이터 카가 급하강 및 급상승하는 경우에, 로프가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당겨지는 작용이 발생하게 되면서, 롤러는 돌출된 클램프를 따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송되어 가이드레일을 강하게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에 밀착 및 가압되는 롤러의 작용에 의해 바디가 소정 간격 측부로 이동되면서 가이드레일의 반대면은 브레이크슈에 밀착되어 엘리베이터 카가 급추락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급상승하는 경우에도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elevator car descends and rises, the action of pulling the rope upward or downward occurs, and the roller is conveyed upward or downward along the protruding clamp to strongly press the guide rail. . Therefore, the body is moved to the predetermined interval side by the action of the roll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guide rail and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rai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brake shoes to quickly emergency stop even when the elevator car suddenly as well as suddenly rises It can be.

그러나, 상기한 다른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는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롤러의 특성상 마찰력 향상을 위해 롤러 외주면에 널링 가공이 필수적으로 수행이 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정지시 롤러의 널링면에 의해 가이드레일 일면에 치명적이 손상이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is essentially knurled processing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oller in order to improve the frictional forc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ller for pressing the guide rail. Therefore, there was a closed end where fatal damage occurred on one surface of the guide rail by the knurled surface of the roller during the emergency stop of the elevator car.

아울러, 상기와 같이 널링면에 의해 가이드레일 일면에 손상이 발생하게 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운행시나 추후의 또 다른 비상 정지작용시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의 원인이 되는 문제도 있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damage to one surface of the guide rail is caused by the knurling surface, thereby causing a problem of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or car or during another emergency stop action.

더욱이, 상기한 다른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는 엘리베이터 카의 정지 작용이 브레이크슈와 다소 마찰력이 떨어지는 롤러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보다 확실하게 신속한 비상 정지 작용이 대두되는 문제도 있었다.Moreover, the above-mentioned other conventional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s has a problem that the emergency stop action of the elevator car is made by the roller which is somewhat frictional with the brake shoe, so that the emergency emergency stop action more reliably arises.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 로,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정지시 가이드레일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가이드레일의 수명을 연장하고,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 발생 원인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minimize the damage of the guide rail during emergency stop of the elevator car to extend the life of the guide rail,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vibration of the elevator car in advance. To provide a two-way emergency stop for an elevato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를 비상 정지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과의 마찰력을 향상시켜 엘리베이터 카를 보다 확실하고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improving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guide rail for emergency stop the elevator car to make the elevator car more reliably and quickl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상, 하단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된 미들플레이트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되, 롤러의 가압에 의해 브레이크슈를 가이드레일과 마찰시키는 클램핑조립체와, 엘리베이터 카의 급격한 승, 하강에 따른 로프의 정지에 따라 클램핑조립체의 상부 또는 하부로 롤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이동장치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조립체는,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결합구멍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되 중앙에 레일홈을 형성한 바디와; 상기 레일홈 일측에 고정하되, 일면 상, 하부에 스프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일면의 중앙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돌출 경사지게 형성한 클램프와;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클램프 일면 상, 하부에 각각 면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롤러조립체와; 양단을 스프링홈 내부와 상기 롤러조립체에 각각 연결 고정시켜 이동된 롤러조립체를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각각의 롤러조립체 일면에 상,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하여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각각의 이동브레이크슈와; 상기 이동브레이크슈 전면을 커버할 수 있게 설치 하되, 상, 하부 일측에 가이드홈을 각각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동브레이크슈에 형성된 가이드핀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레일홈 타면에 돌출되게 고정시켜 가이드레일 타면에 마찰되는 고정브레이크슈와;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작동되되, 바디의 이송을 제한하는 동시에 이송된 바디를 복귀시키는 역할의 클램핑조립체 안전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upled to the middle plate fix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so as to be transported, the clamping assembly for rubbing the brake shoe with the guide rail by the pressure of the roller, elevator car In the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comprising a moving device for pressing the guide rail by sliding the roller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lamp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stop of the rope according to the sudden rise and fall of the clamping assembly, the middle plate A body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ody so as to be transported, and having a rail groove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A clamp fixed to one side of the rail groove, wherein a spring groove is formed on one side and a bottom thereof, and the protrusion is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one surface; A roller assembly which is slidably moved in surface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clamp on one side of the clamp; A return spring returning the moved roller assembly by fixing both ends to the spring groove and the roller assembly, respectively; A respective brake brake configured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on one surface of each roller assembly to press the guide rail; A guide plate which is installed to cover the front of the movable brake shoe, and guides guide pins formed on the movable brake shoe by inclining guide grooves on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 fixed brake shoe fixed to protrude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ail groove to be rubb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guide rail; Operated only when a certain force or more is appli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amping assembly safety device that serves to limit the transfer of the body and at the same time return the transferred body.

그리고, 상기 바디는 레일홈 일측 상, 하부에 이동홈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이동홈 사이에 둔턱을 돌출 성형하고, 상기 이동브레이크슈는 저면 단부에 스토퍼블록을 각각 돌출 형성하여, 상기 둔턱에 스토퍼블록이 걸려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is formed on the rail groove one side, the bottom of each of the moving grooves formed by forming a projection between the moving grooves, the moving brake shoe is formed by protruding each stopper block at the bottom end, the stopper block on the barri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caught.

또한, 상기 롤러조립체는 양 연결프레임 사이에 롤러와 지지봉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다수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지지봉 중 어느 하나의 지지봉 중앙 둘레에 고리홈을 형성하여 리턴스프링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oller assembl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ers and support rods sequentially and sequentially between both connecting frames,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ing the ends of the return spring by forming a ring groove around the center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rods do.

더욱이, 상기 이동장치부는, 로프의 양단이 연결되는 조작링크와; 상기 조작링크 중앙에 상, 하부다리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상, 하부다리의 일측 단부가 이동브레이크슈의 가이드핀에 각각 연결되는 가위형 링크와; 상기 상, 하부다리 타측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핀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된 상, 하부다리를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과; 상기 조작링크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스토퍼핀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링크와; 상기 간격유지링크가 그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미들플레이트의 측면부에 고정하되 간격유지링크 단부와 연결되는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more, the moving device unit includes an operation link to which both ends of the rope are connected; Upper and lower legs rotatably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ink, wherein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legs is connected to guide pins of the moving brake shoe, respectively; A return spring connected between the stopper pin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legs to return the rotated upper and lower legs; A gap retaining link rotatably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ink, the gap retaining link maintaining a gap between the stopper pins; The gap retaining link is fixed to the side portion of the middle plate so as to rotate about its e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connected to the gap retaining link e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h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내지 도 9b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크게 상, 하단플레이트(200)(220) 사이의 미들플레이트(240)와, 클램핑조립체와, 이동장치부와, 링크장치부로 구성된다.4 to 9b illustrate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iddle plate 240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lates 200 and 220, the clamping assembly, the moving unit, and the linkage device. It consists of wealth.

먼저, 미들플레이트(240)는 대략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단플레이트(200)와 하단플레이트(220) 사이에 고정되는데, 상기 상단플레이트(200)는 엘리베이터 카 저면 양측에 고정 결합된다.First, the middle plate 240 is formed in an approximately "c" shape, and is fixed between the upper plate 200 and the lower plate 220, the upper plate 200 is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

이러한, 상기 미들플레이트(240) 정면에는 후술되는 클램핑조립체가 결합되는 결합구멍(260)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구멍(260)은 클램핑조립체가 소정 간격만큼 좌, 우로 이송 가능하도록 그 구멍의 횡방향(좌, 우) 길이를 다소 길게 형성한다.The front of the middle plate 240 is formed with a coupling hole 260 is coupled to the clamping assembly to be described later, the coupling hole 260 is a transverse direction of the hole so that the clamping assembly can be transferred to the left, righ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L, R) Make the length somewhat longer.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중 하나인 클램핑조립체는 롤러(334)의 가압에 의해 브레이크슈를 가이드레일(G)과 마찰시키는 것으로, 다시 바디(300)와, 클램프(320)와, 롤러조립체(330)와, 리턴스프링(340)과, 이동브레이크슈(350)와, 가이드플레이트(360)와, 고정브레이크슈(370)와, 클램핑조립체 안전장치부로 구성된다.The clamping assembly, which is one of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riction the brake shoe with the guide rails G by the pressurization of the roller 334, and the body 300, the clamp 320, and the roller assembly 330 again. And a return spring 340, a movable brake shoe 350, a guide plate 360, a fixed brake shoe 370, and a clamping assembly safety device.

도 5 내지 도 7b를 통하여 설명하면, 바디(300)는 미들플레이트(240)의 결합구멍(260)에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바디(300) 중앙에는 가이드레일(G)이 통과되는 레일홈(310)을 형성하고, 상기 레일홈(310) 일측에는 클램프(3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클램프(320) 일측면 상, 하부에는 스프링홈(325)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홈(325)의 사이는 중앙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돌출 경사지게 형성한다.5 to 7b, the body 30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60 of the middle plate 240 so as to be movab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the guide rail G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ody 300. A rail groove 310 is formed, and a clamp 320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rail groove 310 to fix the rail groove 310. At this time, on one side of the clamp 320, the bottom is formed with a spring groove 325, respectively, between the spring groove 325 is formed to be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center.

그리고, 경사진 상기 클램프(320) 상, 하부 일면에는 면 접촉 상태로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롤러조립체(330)를 구비하고, 상기 롤러조립체(330) 일부와 스프링홈(325) 내부에는 리턴스프링(34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이동된 롤러조립체(330)를 다시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inclined clamp 320 has a roller assembly 330 which is slidably moved upwards or downwards in a surface contact state on one side of the inclined clamp 320, and a part of the roller assembly 330 and the spring groove 325 are returned. Both ends of the spring 34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return the moved roller assembly 330 to its original position.

여기서, 상기 롤러조립체(330)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 후에 연결프레임(332)을 각각 구비하고, 상기 양 연결프레임(332) 사이에 롤러(334)와 지지봉(336)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다수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지지봉(336) 중 스프링홈(325)에 근접된 어느 하나의 지지봉(336) 중앙 둘레에 고리홈(337)을 형성하여 리턴스프링(340)의 일단을 걸어 연결함으로써, 롤러조립체(330)를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roller assembly 3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roller frame 334 and the support rod 336 are sequentially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ng frame 332 before and after the connecting frame 332, respectively. Repeatedly provided with a large number. And, by forming an annular groove 337 around the center of any one of the support rods 336 adjacent to the spring groove 325 of the plurality of support rods 336 by hooking one end of the return spring 340, the roller assembly 330 can be restored.

이때, 상기 지지봉(336) 일측의 롤러(334) 중 리턴스프링(340) 방향으로 설치된 어느 하나의 롤러(334)는 리턴스프링(340)의 원활한 탄성 작용을 위해 설치하지 않는 것이 적절하다.At this time, one of the rollers 334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return spring 340 of the roller 334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336 is not installed for smooth elastic action of the return spring 340.

계속해서, 상기 각각의 롤러조립체(330)의 타면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가이드레일(G)을 마찰할 수 있는 이동브레이크슈(350)를 각각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각각의 이동브레이크슈(350) 전면에는 중앙 부분과 단부에 복수의 가이드핀(352)을 각각 돌출 형성하여 후술되는 가위형 링크(410)의 단부에 연결시킨다.Subsequently, the other surfaces of the respective roller assemblies 330 are provided with movable brake shoes 350 which can slide upward or downward to rub the guide rails G, respectively. Such, each of the mobile brake shoe 350 is formed to protrude a plurality of guide pins 352 in the central portion and the end, respectively, to b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cissors link 410 to be described later.

그리고, 상기 이동브레이크슈(350) 저면 단부에는 스토퍼블록(354)을 형성하고, 전술한 바디(300)의 레일홈(310) 일측 상, 하부에는 이동홈(31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이동홈(312) 사이에 둔턱(314)을 성형함으로써, 상기 이동브레이크슈(350)의 상, 하부 이동시 각각의 스토퍼블록(354)이 둔턱(314)에 걸려지게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 stopper block 354 is formed at an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ing brake shoe 350, and a moving groove 312 is formed on one side and a lower side of the rail groove 310 of the body 300, respectively. By forming the barrier 314 between the 312, each stopper block 354 may be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barrier 314 when the mobile brake shoe 350 moves up and down.

또한, 상기 이동브레이크슈(350) 전면에는 상기 이동브레이크슈(350) 뿐만 아니라 클램프(320) 및 롤러조립체(330)를 커버할 수 있게 가이드플레이트(360)를 설치한다.In addition, a guide plate 360 is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ovable brake shoe 350 to cover not only the movable brake shoe 350 but also the clamp 320 and the roller assembly 330.

이러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360) 일측 상, 하부에는 클램프(320) 일면의 경사도와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진 가이드홈(36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가이드홈(362)에 이동브레이크슈(350)에 형성된 가이드핀(352)을 끼우게 됨으로써, 상기 이동브레이크슈(350)의 상, 하부 이동을 안내하고, 이동브레이크슈(35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guide plate 36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360, the lower side of the guide groove 362 inclined at the same inclination of the surface of the clamp 320, the movable brake shoe 350 in the guide groove 362 By inserting the guide pin 352 formed, it guides th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of the brake brake 350, and serves to prevent the movable brake shoe 350 is separated to the outside.

계속해서, 상기 레일홈(310) 타면 내측에는 고정브레이크슈(370)의 일부를 돌출되게 고정시켜 롤러조립체(330)에 의해 이동브레이크슈(350)가 가이드레일(G)의 일면을 가압하는 경우, 상기 고정브레이크슈(370)에 가이드레일(G)의 타면이 마찰될 수 있도록 하였다.Subsequently, a part of the fixed brake shoe 37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other side of the rail groove 310 so that the movable brake shoe 350 presses one surface of the guide rail G by the roller assembly 330. On the fixed brake shoe 370, the other surface of the guide rail G may be rubbed.

이 때, 상기 바디(3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브레이크슈(350)가 가이드레일(G)을 가압하여 결합구멍(260)의 간격 내에서 이송하게 되는데, 상기 바디(300)와 미들플레이트(240) 사이에는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작동하되, 바 디(300)의 이송을 제한하고, 이와 동시에 이송된 바디(300)를 복귀시키는 역할의 클램핑조립체 안전장치부를 설치한다.At this time, the body 300, as described above, the moving brake shoe 350 presses the guide rail (G) to be transported within the gap of the coupling hole 260, the body 300 and the middle plate ( The operation between 240, but on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applied, restricts the transfer of the body 300, and at the same time install a clamping assembly safety device for the role of returning the transferred body 300.

도 7a와 도 7b를 통하여 클램핑조립체 안전장치부를 설명하면, 바디(300)와 함께 미들플레이트(240)의 정면 내측에 고정플레이트(380)가 볼트(B) 결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380)에는 판스프링(390)이 장착된다. 이 때, 상기 판스프링(390)은 텐션 상태로 미들플레이트(240) 측면부(250) 내측에 접촉 구비됨으로써, 지속적으로 바디(300)에 인장력을 가하게 되어 상기 바디(300)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한하는 동시에 이송된 바디(300)를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7A and 7B, the clamping assembly safety device will be described. A fixing plate 380 is bolted to the inside of the front side of the middle plate 240 together with the body 300, and the fixing plate 380 is attached to the fixing plate 380. The leaf spring 390 is mounted. At this time, the leaf spring 390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of the middle plate 240 side portion 250 in a tensioned state, thereby continuously applying a tensile force to the body 300 to limit the free movement of the body 30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turn the transferred body 300.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중 다른 하나인 이동장치부는 엘리베이터 카의 급격한 승, 하강에 따른 로프(R)의 정지에 따라 클램핑조립체의 상부 또는 하부로 슬라이딩 이송시켜 가이드레일(G)을 가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다시 조작링크(400)와, 가위형 링크(410)와, 리턴스프링(420)과, 간격유지링크(430)와, 브래킷(440)으로 구성된다.Next, the moving device unit,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ses the guide rails G by slidingly moving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lamp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stop of the rope R according to the sudden rise and fall of the elevator car. To play a role, it is composed of the operation link 400, the scissors link 410, the return spring 420, the space maintaining link 430, and the bracket 440.

도 5 내지 도 6c를 통하여 설명하면, 먼저 조작링크(400) 상, 하 양단에는 조속기와 연결된 로프(R)의 양단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조작링크(400) 중앙에는 가위형 링크(410)를 구성하는 상, 하부다리(410a)(410b)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 일측 단부에는 유동구멍(412)이 각각 성형되어 이동브레이크슈(350) 중앙의 가이드핀(352)에 각각 삽입 장착된다.5 to 6c, first, both ends of the rope R connected to the governo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ration link 400, and the scissors link 410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ink 400.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constituting each of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are rotatably mounted, respectively, and the flow holes 412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respectively. It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guide pins 352.

이때,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에 형성된 유동구멍(412)은 그 길이를 좌, 우 방향으로 다소 길게 성형하여,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의 회전 작용 시 가이드핀(352)이 유동구멍(412) 내에서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flow holes 412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are formed to be somewhat long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guides are rotated when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are rotated. The fin 352 can be freely flowed in the flow hole 412.

그리고,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 타측 단부에는 스토퍼핀(414)을 각각 장착하고, 상기 스토퍼핀(414)에는 리턴스프링(420)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여, 회전 작용된 상, 하부다리(410a)(410b) 및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에 연결되어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된 이동브레이크슈(350)를 작용 전의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The stopper pins 414 are mounted at the other ends of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return springs 420 are connected to the stopper pins 414, respectively. The moving brake shoe 350 connected to the lower legs 410a and 410b and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and moved upward or downwar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before the action.

또한,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 타측 단부 전면의 스토퍼핀(414) 사이에는 간격유지링크(430)를 구비하되, 상기 간격유지링크(430)의 일단부를 조작링크(400)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한다. 이때, 미들플레이트(240)의 측면부(250)에는 브래킷(440)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상기 간격유지링크(430)의 타단부를 브래킷(440)에 선회 가능하게 결합시킨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410b) between the stopper pin 414 of the other end front surface is provided with a gap maintaining link 430, one end of the gap maintaining link 430 is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ink 400 It is mounted rotatably in At this time, the bracket 440 is fixed to the side part 250 of the middle plate 240, and the other end of the gap maintaining link 43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440.

링크장치부는 엘리베이터 카 양측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G)을 동시에 클램핑할 수 있도록 양측에 설치된 이동장치부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연결바(500)와 연결바안전장치부로 구성된다.The linkage unit serves to connect the mobile unit installed on both sides so as to simultaneously clamp the guide rail (G)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it is composed of a connection bar 500 and the connection bar safety device.

도 8a, 8b와 도 9a, 9b를 통하여 설명하면, 상기 연결바(500)는 양측에 설치된 간격유지링크(430) 단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간격유지링크(430)의 선회 작용과 함께 선회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연결바(500)는 사각의 각형으로 성형 구비하게 된다.8A, 8B and 9A and 9B, the connecting bar 500 is fixed to an end portion of the gap maintaining link 430 provided at both sides thereof, and can be pivoted together with the pivoting action of the gap maintaining link 430. Is configured. At this time, the connecting bar 500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shape.

그리고, 상기 연결바(500)에는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작동되되, 연결바(500)의 회전을 제한하는 동시에 회전되는 상기 연결바(500)를 복귀시키 는 역할의 연결바안전장치부를 더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bar 500 is operated on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applied, the connection bar safety device portion of the role of restoring the connection bar 500 is rotated at the same time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connection bar 500 Will install more.

상기 연결바안전장치부에 대해 설명하면, 미들플레이트(240) 측면부(250)에 고정된 브래킷(440) 일부에 상, 하부조절플레이트(510)(520)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상, 하부조절플레이트(510)(520) 사이에는 연결바(500)의 상, 하단을 각각 접촉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상, 하부조절플레이트(510)(520) 단부에는 볼트(B) 및 너트(N)를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볼트(B)는 그 길이가 긴 것을 사용하여 결합하게 된다.When explaining the connection bar safety device,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lates 510 and 520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a part of the bracket 440 fixed to the side plate 250 of the middle plate 240 and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nnection bar 500 are provided between the plates 510 and 520, respectively. Then, the upper and lower adjustment plates 510 and 520 are coupled to the ends using bolts B and nuts N. At this time, the bolts B are coupled using long ones. .

그리고, 상기 너트(N)와 하부조절플레이트(520) 사이의 볼트(B) 부분에는 텐션 상태로 압축스프링(530)을 삽입함으로써, 각형의 연결바(500)를 지속적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n, by inserting the compression spring 530 in the tension state in the bolt (B) portion between the nut (N) and the lower adjustment plate 520, it was possible to continuously press the connection bar 500 of the squar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100)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구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급하강 및 추락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도 3에 도시된 조속기(600)에 연결된 로프(R)는 멈추게 되고 엘리베이터 카는 계속하여 하강함으로써, 첨부 도면 도 6b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에 의해 조작링크(400)는 위로 당겨지게 된다.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descent and fall of an elevator car occurs in the structure of an elevator in which an elevator bidirectional emergency stop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the rope R connected to the governor 600 shown in FIG. As the elevator car continues to descend, the operation link 400 is pulled up by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r as shown in FIG. 6B.

이와 같은 작용이 일어나게 되면, 상기 조작링크(400)와 결합된 간격유지링크(430)는 브래킷(440)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을 들어올리게 되면서 가위형 링크(410)를 상승시키고, 가이드핀(352)과 연결된 상, 하부다리(410a)(410b)는 가이드홈(362)을 따라 상방향으로 오므려지게 되면서 하부의 이동브레이크슈(350)는 롤러조립체(330)의 일면을 따라 상부로 신속하게 슬라이딩 이동된다.When such an action occurs, the gap maintaining link 430 coupled with the operation link 400 lifts the other end with respect to one end coupled to the bracket 440 and raises the scissors link 410 and guides the guide.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connected to the pins 352 are bunched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s 362, and the lower moving brake shoe 350 is upper along one surface of the roller assembly 330. As soon as it is sliding sliding.

이때, 상기 롤러조립체(330)는 클램프(320)의 경사진 면에 구비되므로, 하부의 이동브레이크슈(350)는 롤러조립체(330)와 가이드레일(G) 사이에 끼워져 점차적으로 가이드레일(G)을 강한 힘으로 가압하면서 마찰을 일으키게 되는데, 상기 이동브레이크슈(350) 중앙의 가이드핀(352)이 가이드홈(362)에 걸려지게 되므로, 이동브레이크슈(350)는 과도하게 상부로 이동되지 않고 가이드레일(G)을 원활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roller assembly 330 is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clamp 320, the lower moving brake shoe 350 is sandwiched between the roller assembly 330 and the guide rail (G) and gradually guide rail (G). The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while pressing a strong force. Since the guide pin 352 at the center of the movable brake shoe 350 is caught by the guide groove 362, the movable brake shoe 350 is not excessively moved upward. It is possible to smoothly press the guide rail (G) without.

이와 같은 가압 작용에 의해 미들플레이트(240)의 결합구멍(260)에 결합된 바디(300)는 소정 간격만큼 횡방향으로 이송이 된다. 따라서, 도 8b와 같이 바디(300) 양측에 구비되는 이동브레이크슈(350)와 고정브레이크슈(370)에 가이드레일(G)이 강하게 마찰되면서, 급하강 및 추락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By the pressing action, the body 30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60 of the middle plate 240 is transferr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fore, as shown in FIG. 8B, while the guide rail G is strongly rubbed on the moving brake shoe 350 and the fixed brake shoe 37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300, the emergency car can be rapidly stopped by falling and falling. It can be.

한편, 엘리베이터 카가 급상승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조속기(60)에 연결된 로프(R)는 멈추게 되고 엘리베이터 카는 계속하여 상승함으로써, 첨부 도면 도 6c와 같이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중량에 의해 조작링크(400)는 아래로 당겨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elevator car suddenly rises, the rope R connected to the governor 60 shown in FIG. 4 is stopped and the elevator car continues to ascend, thereby operating by the weight of the elevator car as shown in FIG. 6C. Link 400 is pulled down.

이와 같은 작용이 일어나게 되면, 상기 조작링크(400)와 결합된 간격유지링크(430)는 브래킷(440)에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타단을 떨어뜨리게 되면서 가위형 링크(410)를 하강시키고, 가이드핀(352)과 연결된 상, 하부다리(410a)(410b)는 가이드홈(362)을 따라 하방향으로 오므려지게 되면서 상부의 이동브레이크슈(350)는 롤러조립체(330)의 일면을 따라 하부로 신속하게 슬라이딩 이동된다.When such an action occurs, the gap maintaining link 430 is coupled to the operation link 400 is dropped to the other end around the one end coupled to the bracket 440 while lowering the scissors link 410, the guide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connected to the pins 352 are bunched downward along the guide grooves 362 and the upper movable brake shoe 350 is lowered along one surface of the roller assembly 330. As soon as it is sliding sliding.

이 후에, 상부의 이동브레이크슈(350)는 전술한 엘리베이터 카의 급하강 및 추락 때와 같이 동일한 작용으로 가이드레일(G)을 가압하게 되고, 이와 같은 가압 작용에 의해 바디(300)가 이송되어 도 8b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G)에 이동브레이크슈(350)와 고정브레이크슈(370)가 강하게 마찰이 된다. 따라서, 급상승하는 엘리베이터 카를 신속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after, the upper moving brake shoe 350 presses the guide rails G by the same action as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descent and fall of the elevator car, and the body 300 is transferred by the pressing action. As shown in FIG. 8B, the mobile brake shoe 350 and the fixed brake shoe 370 are strongly rubbed to the guide rail G. Therefore, the rapidly rising elevator car can be quickly stopped.

이와 같이, 가이드레일(G)을 클램핑하는 비상 정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카 양측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G)을 동시에 클램핑하게 된다. 즉, 도 8a 내지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 양측에 설치된 간격유지링크(430) 사이에 연결바(50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시켜 일측의 비상 정지장치(100)가 작동되는 경우 타측의 비상 정지장치(100) 또한 함께 작동되도록 한 것이다.As such, the emergency stop device 100 for clamping the guide rails G simultaneously clamps the guide rails G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That is, as shown in Figures 8a to 9b, when the emergency stop device 100 of one side is operated by rotatably fixing the connection bar 500 between the space maintaining link 43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Emergency stop device 100 is also to be operated together.

또한, 상기 비상 정지장치(100)에는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작동시켜 정지장치(100)가 오작동되지 않고, 또한 작동된 부품을 다시 복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안전장치부를 설치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mergency stop device 100 is operated on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applied, and thus the stop device 100 is not malfunctioned, and a plurality of safety devices are installed so that the operated parts can be restored again.

즉, 도 6a 내지 도 6c와 같이, 클램프(320)의 스프링홈(325)과 롤러조립체(330) 사이에 리턴스프링(340)을 텐션 상태로 장착함으로써, 롤러조립체(330)의 무분별한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비상시 슬라이딩 이송된 롤러조립체(330)를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6a to 6c, by mounting the return spring 340 in a tension state between the spring groove 325 and the roller assembly 330 of the clamp 320, indiscriminate sliding movement of the roller assembly 330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turn the roller assembly 330 sliding conveyed in an emergency.

또한, 가위형 링크(410)를 구성하는 상, 하부다리(410a)(410b) 일측 사이에 텐션 상태로 리턴스프링(420)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에 연결된 이동브레이크슈(350)의 무분별한 슬라이딩 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비상시 슬라이딩 이동된 이동브레이크슈(350)를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attaching the return spring 420 in a tension state betwee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constituting the scissors link 410, a movement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discriminate sliding movement of the brake shoe 350 and at the same time smoothly return the movable brake shoe 350 which is slid and moved in an emergency.

또, 도 7a와 도 7b와 같이, 미들플레이트(240)의 측면부(250) 내측과 고정플레이트(380) 사이에 판스프링(390)을 텐션 상태로 장착함으로써, 바디(300)의 무분별한 횡방향 이송을 방지하는 동시에 비상시 이송된 바디(300)를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a and 7b, by mounting the leaf spring 390 in a tension state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side portion 250 and the fixed plate 380 of the middle plate 240, indiscriminat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body 300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turn the body 300 is transferred in an emergency while preventing.

또, 도 9a와 도 9b와 같이 연결바(500)에 접촉되도록 미들플레이트(240)의 측면부(250)에 고정된 브래킷(440) 외측에 압축스프링(530)을 텐션 상태로 장착함으로써, 연결바(500)의 자유로운 회전 작용을 방지하는 동시에 비상시 회전된 연결바(500)를 원활하게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9a and 9b by connecting the compression spring 530 to the outside of the bracket 440 fixed to the side portion 250 of the middle plate 240 so as to contact the connecting bar 500, the connecting bar, It is possible to smoothly return the connection bar 500 rotated in an emergency while preventing free rotation of the 500.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100)는 이동브레이크슈(350)의 상, 하부 이동에 따라 가이드레일(G)에 이동브레이크슈(350) 및 고정브레이크슈(370)를 강하게 마찰되게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를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고, 또한 조속기(60)와 연결된 로프(R)를 조작링크(400)의 상, 하 양단에 각각 고정시키므로 엘리베이터카의 급하강 및 급상승시에 엘리베이터 카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100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strongly rubs the moving brake shoe 350 and the fixed brake shoe 370 on the guide rail G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brake shoe 350. In this case, the elevator car can be quickly stopped, and the rope R connected to the governor 60 is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ration link 400, respectively, so that the elevator car can be quickly stopped and dropped. It can be stopped safely and safely.

특히,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는 가이드레일(G)을 가압하는 작용이 종래와 같이 널링 가공된 롤러가 아닌 이동브레이크슈(350)가 가압하게 됨으로써, 널링 자국에 의해 가이드레일(G)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actuation of pressing the guide rail (G) is not the knurled roller conventionally pressurized by the brake brake 350, the guide rail (G) by the knurled marks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또한, 상기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의 비상 정지시에도 가이드레일(G)이 손상되지 않게 됨으로써, 추후의 또 다른 비상 정지 작용시에도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이나 흔들림 없이 엘리베이터 카를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rail G is not damaged even during the emergency stop of the elevator car, so that the elevator car can be stopped more reliably and accurately without any vibration or shaking of the elevator car even during another emergency stop action. will be.

더욱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는 가이드레일(G)을 가압하고 마찰하는 작용이 상기와 같이 마찰력이 좋은 이동브레이크슈(350) 및 고정브레이크슈(370)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성능을 향상시키고, 엘리베이터 카를 보다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sing and rubbing the guide rail (G) is made simultaneously by the moving brake shoe 350 and the fixed brake shoe 370 with good friction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The braking performance of the car can be improved and the elevator car can be stopped more quickly.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100)는 엘리베이터 카 저면 양측에 설치되는 각각의 비상 정지장치(100) 사이에 링크장치부를 설치하여 양측의 가이드레일(G)을 동시에 클램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이나 어느 한방향으로의 치우침 없이 정지시킬 수 있어 보다 뛰어난 제동 성능을 발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승객들의 불안감을 줄여 또 다른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100 for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amped by the guide rail (G) on both sides by installing a link device between each emergency stop device 10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elevator car bottom.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stop the elevator car without vibrating or biasing in one direction, thereby exhibiting superior braking performance, thereby reducing the anxiety of the passengers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nother accident in advance.

게다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100)는 다수의 안전장치부를 설치하여 운행 중의 미세한 진동이나 작동에 의해 정지장치(100)가 민감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정지장치(100)의 오작동을 줄여 엘리베이터를 보다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승객들의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100 for the elev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plurality of safety devices to prevent the stop device 100 is operated sensitively by the slight vibration or operation during operation, the stop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levator more smoothly by reducing malfunctions of the elevator, thereby minimizing complaints of passengers using the elevator.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ly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examples described above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atural that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elong to the appended claims.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작용이 종래와 같이 널링 가공된 롤러가 아닌 이동브레이크슈가 가압하게 됨으로써, 널링 자국에 의해 가이드레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이드레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또한 가이드레일의 손상 방지에 따라 추후의 또 다른 비상 정지 작용시에 엘리베이터 카의 진동이나 흔들림 없이 엘리베이터 카를 보다 확실하고 정확하게 비상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ssurize the guide rail is not a knurled roller as in the prior art by pressing the moving brake sho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uide rail from being damaged by the knurled marks to extend the life of the guide rail In addition, the prevention of damage to the guide rail also allows the elevator car to be stopped more reliably and accurately without any vibration or shaking of the elevator car during another emergency stop action.

더욱이, 상기와 같이 가이드레일을 가압하고 마찰하는 작용이 마찰력이 우수한 이동브레이크슈 및 고정브레이크슈에 의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엘리베이터 카의 제동성능을 향상시키고, 이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act of pressurizing and rubbing the guide rail is simultaneously performed by the mobile brake shoe and the fixed brake shoe having excellent frictional force, thereby improving the braking performance of the elevator car, and thereby stopping the elevator car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ere is also an effect.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안전장치부를 설치하여 운행 중 미세한 진동이나 작동에 의해 정지장치가 민감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정지장치의 오작동을 줄여 엘리베이터를 보다 원활하게 운행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엘리베이터 이용 승객들의 불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number of safety devices to prevent the operation of the stop device sensitively by a slight vibration or operation during ope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malfunction of the stop device to operate the elevator more smoothly, according to the elevator It also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passenger complaints.

Claims (4)

엘리베이터 카 저면 양측에 상단플레이트를 고정 결합하는 한편, 상기 상단플레이트와 하단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된 미들플레이트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되 롤러의 가압에 의해 브레이크슈를 가이드레일과 마찰시키는 클램핑조립체와, 엘리베이터 카의 급격한 승, 하강에 따른 로프의 정지에 따라 클램핑조립체의 상부 또는 하부로 롤러를 슬라이딩 이동시켜 가이드레일을 가압하는 이동장치부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용 비상 정지장치에 있어서,Clamping assembly for coupling the upper plate to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elevator car, while being coupled to the middle plate fix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plate so as to transport the brake shoe to the guide rail by pressing the roller, and the elevator car In the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comprising a moving device for pressing the guide rail by sliding the roller to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clamping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stop of the rope according to the sudden rise and fall of, 상기 클램핑조립체는,The clamping assembly is, 상기 미들플레이트(240)의 결합구멍(260)에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되 중앙에 레일홈(310)을 형성한 바디(300)와;A body 30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60 of the middle plate 240 so as to be transported, and having a rail groove 310 formed in the center thereof; 상기 레일홈(310) 일측에 고정하되, 일면 상, 하부에 스프링홈(325)을 형성하고, 상기 일면의 중앙을 향하여 점차적으로 돌출 경사지게 형성한 클램프(320)와;A clamp 320 fixed to one side of the rail groove 310 and having a spring groove 325 formed on one side and a bottom thereof, and gradually inclined to protrude toward the center of the one surface;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클램프(320) 일면 상, 하부에 각각 면접촉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롤러조립체(330)와;A roller assembly 330 which is slidably moved in surface contact with a lower surface of the clamp 320, which is formed to be inclined; 양단을 스프링홈(325) 내부와 상기 롤러조립체(330)에 각각 연결 고정시켜 이동된 롤러조립체(330)를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340)과;A return spring 340 for returning the moved roller assembly 330 by fixing both ends to the spring groove 325 and the roller assembly 330, respectively; 상기 각각의 롤러조립체(330) 일면에 상, 하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구비하여 가이드레일(G)을 가압하는 각각의 이동브레이크슈(350)와;A respective movement brake shoe 350 provided to slide upward and downward on one surface of each roller assembly 330 to press the guide rail G; 상기 이동브레이크슈(350) 전면을 커버할 수 있게 설치하되, 상, 하부 일측에 가이드홈(362)을 각각 경사지게 형성하여 이동브레이크슈(350)에 형성된 가이드핀(352)을 안내하는 가이드플레이트(360)와;The guide plate which is installed to cover the front of the mobile brake shoe 350, the guide groove 362 is inclined on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respectively, to guide the guide pin 352 formed on the mobile brake shoe 350 ( 360; 상기 레일홈(310) 타면에 돌출되게 고정시켜 가이드레일(G) 타면에 마찰되는 고정브레이크슈(370)와;A fixed brake shoe 370 which is fixed to protrude on the other surface of the rail groove 310 to be rubb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guide rail G; 일정한 힘 이상이 가해지는 경우에만 작동되되, 바디(300)의 이송을 제한하는 동시에 이송된 바디(300)를 복귀시키는 역할의 클램핑조립체 안전장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The elevator is operated only when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is applied, the two-way emergency stop device for an elevator comprising a clamping assembly safety device that serves to limit the transfer of the body 300 and at the same time return the transferred body (30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300)는 레일홈(310) 일측 상, 하부에 이동홈(312)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이동홈(312) 사이에 둔턱(314)을 돌출 성형하고, 상기 이동브레이크슈(350)는 저면 단부에 스토퍼블록(354)을 각각 돌출 형성하여, 상기 둔턱(314)에 스토퍼블록(354)이 걸려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According to claim 1, The body 300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rail groove 310, the moving groove 312 in the lower portion to protrude and form the barrier 314 between the moving groove 312, the movement The brake shoe 350 is formed by protruding stopper blocks 354 at the bottom end, so that the stopper block 354 can be hung on the barrier 3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조립체(330)는 양 연결프레임(332) 사이에 롤러(334)와 지지봉(336)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다수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지지봉(336) 중 어느 하나의 지지봉(336) 중앙 둘레에 고리홈(337)을 형성하여 리턴스프링(340)의 단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oller assembly 33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roller 334 and the support rod 336 by sequentially repeating between the two connecting frame 332,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pport rods 336 An elevator bidirectional emergency stop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necting the end of the return spring 340 by forming a ring groove (337) around the center of the support bar (33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장치부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moving unit 로프(R)의 양단이 연결되는 조작링크(400)와;An operation link 400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rope R; 상기 조작링크(400) 중앙에 상, 하부다리(410a)(410b)를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의 일측 단부가 이동브레이크슈(350)의 가이드핀(352)에 각각 연결되는 가위형 링크(410)와;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are rotatably mounted in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ink 400, and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is guide pins of the movable brake shoe 350. Scissors-links 410 respectively connected to 352; 상기 상, 하부다리(410a)(410b) 타측에 각각 형성된 스토퍼핀(414) 사이에 연결되어 회전된 상, 하부다리(410a)(410b)를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420)과;A return spring 420 connected between the stopper pins 414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to return the rotated upper and lower legs 410a and 410b; 상기 조작링크(400)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스토퍼핀(414)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링크(430)와;A gap maintaining link 430 mounted rotatably at the center of the operation link 400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stopper pins 414; 상기 간격유지링크(430)가 그 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미들플레이트(240)의 측면부(250)에 고정하되 간격유지링크(430) 단부와 연결되는 브래킷(4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비상 정지장치.The gap maintaining link 430 is fixed to the side portion 250 of the middle plate 240 so as to rotate about its e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racket 44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gap maintaining link 430 Two 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KR1020060030196A 2006-04-03 2006-04-03 Two 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Expired - Fee Related KR1006090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196A KR100609009B1 (en) 2006-04-03 2006-04-03 Two 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196A KR100609009B1 (en) 2006-04-03 2006-04-03 Two 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9009B1 true KR100609009B1 (en) 2006-08-09

Family

ID=37184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19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9009B1 (en) 2006-04-03 2006-04-03 Two 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009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86B1 (en) 2006-08-23 2008-04-11 (주)광덕산업 Two way emergency stop device in elevator
CN102372209A (en) * 2011-09-29 2012-03-14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Safety device for elevator overhaul
KR101265672B1 (en) 2011-12-15 2013-05-22 (주) 진흥엘리베이터 Emergency brake for elevator
KR101273041B1 (en) * 2011-02-25 2013-06-10 덕 규 김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N103224176A (en) * 2012-01-26 2013-07-3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An emergency braking device used for an elevator and an elevator
CN103395667A (en) * 2013-08-21 2013-11-20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Safety protection mechanism for accidental moving of elevator car
CN103663037A (en) * 2013-12-16 2014-03-26 河北东方富达机械有限公司 Two-way brake safety tongs
CN104477727A (en) * 2014-12-08 2015-04-01 苏州莱茵电梯制造有限公司 Safety clamp for curvilinearly-running elevator
CN117775920A (en) * 2024-02-02 2024-03-29 伟龙意程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Elevator safety tongs aggregate uni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882A (en) 1989-08-30 1992-02-11 Hitachi, Ltd. Elevator apparatus provided with guiding device used for preventing passenger cage vib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6882A (en) 1989-08-30 1992-02-11 Hitachi, Ltd. Elevator apparatus provided with guiding device used for preventing passenger cage vibratio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086B1 (en) 2006-08-23 2008-04-11 (주)광덕산업 Two way emergency stop device in elevator
KR101273041B1 (en) * 2011-02-25 2013-06-10 덕 규 김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CN102372209A (en) * 2011-09-29 2012-03-14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Safety device for elevator overhaul
KR101265672B1 (en) 2011-12-15 2013-05-22 (주) 진흥엘리베이터 Emergency brake for elevator
CN103224176A (en) * 2012-01-26 2013-07-31 株式会社日立制作所 An emergency braking device used for an elevator and an elevator
CN103395667A (en) * 2013-08-21 2013-11-20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Safety protection mechanism for accidental moving of elevator car
CN103395667B (en) * 2013-08-21 2015-07-29 上海微频莱机电科技有限公司 Safety protection mechanism for accidental
CN103663037A (en) * 2013-12-16 2014-03-26 河北东方富达机械有限公司 Two-way brake safety tongs
CN104477727A (en) * 2014-12-08 2015-04-01 苏州莱茵电梯制造有限公司 Safety clamp for curvilinearly-running elevator
CN104477727B (en) * 2014-12-08 2016-07-06 苏州莱茵电梯股份有限公司 The dynamic apparatus for lift of curve motion
CN117775920A (en) * 2024-02-02 2024-03-29 伟龙意程智能科技(江苏)有限公司 Elevator safety tongs aggregate un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009B1 (en) Two 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KR20070049534A (en) Catch system for a gradual bidirectional safety device
JP4601682B2 (en) Elevator equipment
EP2695842B1 (en) Elevator device
CN111712455B (en) Emergency stop device and elevator
JP5973316B2 (en)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KR200440345Y1 (en) One-way emergency stop for elevator
CN113479817A (en) Safety anti-falling device for cargo carrying platform of middle and high-rise light-duty stacker
JP6286330B2 (en) Elevator and emergency stop device provided therefor
CN101357727B (en) Elevator cage fixture mechanism
JP2007084290A (en) Upward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KR100889280B1 (en) Rope Braking System of Elevator
KR100506789B1 (en)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KR100820086B1 (en) Two way emergency stop device in elevator
US20180208433A1 (en) Safety block for elevator
KR200437138Y1 (en) Elevator brake device
KR101698546B1 (en)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KR101646393B1 (en) Emergency multi-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
KR101273041B1 (en)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KR20140022484A (en) An apparatus for falling prenent of elevator
KR200401386Y1 (en) Safety device for an elevator
KR102009999B1 (en) Unidirectional emergency braking apparatus for elevators
JP6597422B2 (en) Elevator equipment
JP5186771B2 (en) Elevator emergency stop device
JP3099659B2 (en) Elevator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6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3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