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8830B1 -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830B1
KR100608830B1 KR1020040091038A KR20040091038A KR100608830B1 KR 100608830 B1 KR100608830 B1 KR 100608830B1 KR 1020040091038 A KR1020040091038 A KR 1020040091038A KR 20040091038 A KR20040091038 A KR 20040091038A KR 100608830 B1 KR100608830 B1 KR 100608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pring finger
ground spring
ground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1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2455A (ko
Inventor
함인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1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830B1/ko
Priority to CNB2005100718658A priority patent/CN100448248C/zh
Publication of KR20060042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7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1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엘시디모듈과;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게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2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피씨비와; 일측은 상기 엘시디모듈 및 상기 플렉시블피씨비 중 어느 하나의 접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엘시디모듈 및 상기 플렉시블피씨비 중 다른 하나의 접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접지 연결 시 열에 기인한 패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GROUND-SPRING-FINGER}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엘시디패널과 플렉시블피씨비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엘시디패널과 플렉시블피씨비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지스프링핑거의 결합 전 상태의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결합 후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지스프링핑거의 결합 전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접지스프링핑거의 결합 후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 : 엘시디모듈 23 : 제1커넥터
31 : 플렉시블피씨비 33 : 제2커넥터
41 : 핑거고정부 43 : 접지스프링핑거
45 : 후크 47 : 후크걸림턱
48 : 안내경사면
본 발명은,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접지 연결 시 열에 기인한 패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도록 한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엘시디패널과 플렉시블피씨비의 연결 상태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엘시디패널과 플렉시블피씨비의 연결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부(10)와, 본체부(10)에 대해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0)의 전면에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키(13)가 형성되어 있으며, 키(13)의 일측에는 음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이크(15)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부(10)의 배면에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배터리(17)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폴더부(20)에는 시각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엘시디모듈(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엘시디모듈(21)의 일측에는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리시버(27)가 마련되어 있다.
엘시디모듈(21)의 배면에는 일단이 본체부(10)의 메인피씨비(미도시)에 연결 된 플렉시블피씨비(31)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제1커넥터(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시블피씨비(31)에는 제1커넥터(23)와 접속가능하게 제2커넥터(3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엘시디모듈(21)과 플렉시블피씨비(31)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커넥터(23) 및 제2커넥터(33)를 사용하여 연결함에 있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낙하테스트 시 제1커넥터(23) 및 제2커넥터(33)가 서로 분리되는 현상과, 이에스디(ESD) 테스트 시 엘시디모듈(21)의 접지 연결 부족이 고질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일부에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시디모듈(21)의 배면의 접지면에 플렉시블피씨비(31)의 접지선(35)을 인출하여 접지선(35)의 단부를 납땜하여 납땜부(37)를 형성하여 접지시키는 방법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피씨비(31) 및 엘시디모듈(21) 중 어느 하나의 접지면으로부터 다른 하나의 접지면을 향해 돌출된 접지돌기부(39)를 형성하여 이 접지돌기부(39)의 접촉에 의해 접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땜부(37)를 형성하여 접지를 실시할 경우, 납땜 시 발열에 의해 엘시디모듈(21)의 패널부(미도시)에 악영향이 가해질 우려가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돌기부(39)를 형성할 경우 접지돌기부(39)의 길이가 길어질 경우 접지돌기부(39)에 의해 제1커넥터(23) 및 제2커넥터(33)의 삽입이 충분치 못하게 되어 결합력이 약해지고 이에 기인하여 작은 외력에도 제1커넥터(23) 및 제2커넥터(33)가 쉽게 분리되는 현상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 연결 시 열에 기인한 패널의 악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넥터의 분리를 억제할 수 있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1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엘시디모듈과;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게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2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피씨비와; 상기 엘시디모듈 및 상기 플렉시블피씨비 중 어느 하나의 접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엘시디모듈 및 상기 플렉시블피씨비 중 다른 하나의 접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접지스프링핑거는 상기 엘시디모듈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지스프링핑거의 단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피씨비에는 상기 접지면과 도통되고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후크와 맞물림되어 상기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후크걸림턱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후 크의 결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걸림턱에 면접촉되게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접지스프링핑거는 상기 플렉시블피씨비에 일체로 고정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시디모듈에는 상기 접지스프링핑거의 단부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상기 엘시디모듈의 접지면으로부터 도통되게 돌출된 수직구간부와, 수직구간부에 대해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한 핑거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접지스프링핑거의 단부에는 상기 절곡부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면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지스프링핑거의 결합 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각각 결합 후 측면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1커넥터(23)가 형성되어 있는 엘시디모듈(21)과, 제1커넥터(23)와 결합될 수 있게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2커넥터(33)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피씨비(31)와, 일측은 엘시디모듈(21) 및 플렉시블피씨비(31) 중 어느 하나의 접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엘시디모듈(21) 및 플렉시블피씨비(31) 중 다른 하나의 접지면에 접촉되어 제1커넥터(23)와 제2커넥터(33)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 하는 접지스프링핑거(4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내부에 메인피씨비(미도시)가 수용되는 본체부(10)와, 엘시디모듈(21)을 구비하여 본체부(10)에 대해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부(20)를 구비한 소위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로 구현되어 있다.
본체부(10)는 신호의 입력을 위한 키(13)와,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17)가 구비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메인피씨비가 수용된다.
폴더부(20)에는 시각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엘시디모듈(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에는 음향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리시버(27)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엘시디모듈(21)의 배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1커넥터(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시블피씨비(31)의 일측 판면에는 제1커넥터(23)에 접속될 수 있도록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2커넥터(33)가 구비되어 있다.
제1커넥터(23)의 일측 접지면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핑거고정부(41)가 형성되어 있으며, 핑거고정부(41)에는 한 쌍의 접지스프링핑거(43)가 폭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어 있다. 각 접지스프링핑거(43)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도전성부재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접지스프링핑거(43)의 일측은 핑거고정부(41)에 일체로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은 플렉시블피씨비(31)의 폭에 대응되게 엘시디모듈(21)의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된 후 소정 길이로 상향 절곡되고 다시 엘시디모듈(21)의 폭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절곡되어 있다. 각 단부영역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일측으로 소정 돌출되게 절곡되어 후크(45)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엘시디모듈(21)의 판면으로부터 각 후크(45)까지의 거리는 제1커넥터(23)와 제2커넥터(33)의 결합시 이들이 서로 분리되지 아니하게 후크(45)에 의해 플렉시블피씨비(31)가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가압될 수 있는 정도로 형성하면 된다.
플렉시블피씨비(31)의 제2커넥터(33)의 대향측 판면에는 접속 시 각 접지스프링핑거(43)의 후크(45)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후크걸림턱(4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후크걸림턱(47)은 후크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후크의 형상에 대응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각 후크걸림턱(47)의 일측에는 각 후크의 결합시 결합이 원할하게 될 수 있도록 안내경사면(4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엘시디모듈(21)에 플렉시블피씨비(31)를 결합하고자 할 때는, 먼저 플렉시블피씨비(31)를 기울여 일측의 접지스프링핑거(43)의 후크(45)와 후크걸림턱(47)이 맞물림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커넥터(23)와 제2커넥터(33)가 서로 접속되도록 한다. 다음, 나머지 접지스프링핑거(43)를 외측으로 살짝 벌려 탄성변형되게 한 상태에서 제1커넥터(23)와 제2커넥터(33)가 완전히 결합되도록 한다. 이 때, 접지스프링핑거(43)의 가압 상태를 해제하면 접지스프링핑거(43)는 자체의 탄성력으로 후크(45)의 일측이 안내경사면(48)을 따라 내측으로 이동된 후 해당 후크걸림턱(47)과 맞물림됨과 아울러 각 후크(45)는 두께방향을 따라 플렉시블피씨비(31)를 가압함으로써 제1커넥터(23) 및 제2커넥터(33)의 결합이 더욱 공고하게 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접지스프링핑거의 결합 전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접지스프링핑거의 결합 후 상태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1커넥터(23)가 형성되어 있는 엘시디모듈(21)과, 제1커넥터(23)와 결합될 수 있게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2커넥터(33)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피씨비(31)와, 일측은 엘시디모듈(21) 및 플렉시블피씨비(31) 중 어느 하나의 접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엘시디모듈(21) 및 플렉시블피씨비(31) 중 다른 하나의 접지면에 접촉되어 제1커넥터(23)와 제2커넥터(33)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접지스프링핑거(5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엘시디모듈(21)의 배면에는 플렉시블피씨비(31)가 접속될 수 있도록 제1커넥터(23)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렉시블피씨비(31)의 일측 면에는 제2커넥터(33)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플렉시블피씨비(31)의 제2커넥터(33)의 대향측 판면에는 접지면에 연결된 한 쌍의 접지스프링핑거(53)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접지스프링핑거(53)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도전성부재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은 중앙에 접지면과 연결되는 핑거고정부(51)에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접지스프링핑거(53)는 폭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하향 절곡된 후 다시 내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절곡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각 접지스프링핑거(53)는 플렉시블피씨비(31)의 접지면과 엘시디모듈(21)의 접지면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함과 아울러 결합 시 제1커넥터(23)와 제2커넥터(33)가 서로 삽입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접지스프링핑거(53)의 각 단부에는 후술할 핑거결합부에 면접촉이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된 면접촉부(5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엘시디모듈(21)의 배면에는 각 접지스프링핑거(53)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두께방향을 따라 맞물림될 수 있도록 각 접지스프링핑거(53)에 대응되는 위치에 핑거결합부(5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핑거결합부(55)는 엘시디모듈(21)의 접지면에 각각 연결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소정 돌출되는 수직구간부(56)와, 수직구간부(56)로부터 절곡되어 각 외측으로 판면방향을 소정 길이로 연장되는 절곡부(57)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절곡부(57)의 단부 상면에는 각 접지스프링핑거(53)의 결합 시 결합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향 경사진 안내경사면(5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엘시디모듈(21)과 플렉시블피씨비(31)를 연결하고자 할 때는, 제1커넥터(23)의 상측에 제2커넥터(33)가 위치되도록 하면 각 접지스프링핑거(53)의 단부는 해당 핑거결합부(55)의 단부의 안내경사면(58)에 접촉된 상태가 된다. 이 때, 플렉시블피씨비(31)를 하향 가압하면 제1커넥터(23)는 제2커넥터(33)에 삽입결합되고, 각 접지스프링핑거(53)의 단부는 핑거결합부(55)의 안내경사면(58)을 따라 하향 이동되면서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제1커넥터(23) 및 제2커넥터(33)의 결합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각 접지스프링핑거(53)의 단부는 안내경사면(58)의 끝단을 통과한 후,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면접촉부(54)가 절곡부(57)의 내면을 따라 이동되어 탄성적으로 면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제1커넥터(23) 와 제2커넥터(33)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제1커넥터(23) 및 제2커넥터(33)의 분리를 방지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1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엘시디모듈과, 제1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게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2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피씨비와, 일측은 엘시디모듈 및 플렉시블피씨비 중 어느 하나의 접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엘시디모듈 및 플렉시블피씨비 중 다른 하나의 접지면에 접촉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접지선의 납땜 작업을 배제할 수 있어 납땜 시 발열에 기인한 엘시디모듈의 악영향을 배제할 수 있고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커넥터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8)

  1.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1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엘시디모듈과;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게 일측에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제2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플렉시블피씨비와; 일측은 상기 엘시디모듈 및 상기 플렉시블피씨비 중 어느 하나의 접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엘시디모듈 및 상기 플렉시블피씨비 중 다른 하나의 접지면에 접촉되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서로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스프링핑거는 상기 엘시디모듈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스프링핑거의 단부에는 두께방향을 따라 돌출된 후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렉시블피씨비에는 상기 접지면과 도통되고 판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후크와 맞물림되어 상기 후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후크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걸림턱의 일측에는 상기 후크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후크의 결합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안내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상기 후크걸림턱에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스프링핑거는 상기 플렉시블피씨비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엘시디모듈에는 상기 접지스프링핑거의 단부와 맞물림될 수 있도록 상기 엘시디모듈의 접지면으로부터 도통되게 돌출된 수직구간부와, 수직구간부에 대해 절곡된 절곡부를 구비한 핑거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스프링핑거의 단부에는 상기 절곡부와 면접촉될 수 있도록 면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40091038A 2004-11-09 2004-11-09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8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038A KR100608830B1 (ko) 2004-11-09 2004-11-09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NB2005100718658A CN100448248C (zh) 2004-11-09 2005-05-25 带有接地弹簧夹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1038A KR100608830B1 (ko) 2004-11-09 2004-11-09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455A KR20060042455A (ko) 2006-05-15
KR100608830B1 true KR100608830B1 (ko) 2006-08-09

Family

ID=36760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1038A KR100608830B1 (ko) 2004-11-09 2004-11-09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8830B1 (ko)
CN (1) CN10044824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717B1 (ko) * 2010-07-08 2017-01-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CN102752985A (zh) * 2011-04-20 2012-10-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固定装置
JP5966731B2 (ja) * 2012-07-30 2016-08-10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4466540B (zh) * 2013-09-13 2016-07-06 町洋机电(中国)有限公司 Pcb电连接器模组的接地结构
JP6613766B2 (ja) * 2015-09-30 2019-12-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
KR101895034B1 (ko) * 2017-02-21 2018-10-04 에이아이비트 주식회사 논-포고 타입 커넥터를 포함하는 프로브 검사 장치
KR102659421B1 (ko) * 2018-11-20 2024-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커넥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571A (ja) 2000-04-26 2001-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の実装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100570444B1 (ko) 2004-10-19 2006-04-12 주식회사 팬택 엘씨디 노이즈의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9876A (en) * 1997-08-15 2000-07-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lip connector
FR2814858B1 (fr) * 2000-10-02 2002-12-20 Cit Alcatel Connecteur a ressort pour la connexion electrique de pistes d'un ecran d'affichage avec un circuit electriqu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571A (ja) 2000-04-26 2001-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の実装構造および電子機器
KR100570444B1 (ko) 2004-10-19 2006-04-12 주식회사 팬택 엘씨디 노이즈의 제거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74003A (zh) 2006-05-17
KR20060042455A (ko) 2006-05-15
CN100448248C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5450B1 (en) Internal battery holding structure in mobile equipment
JP4889243B2 (ja) コネクタ装置
JP4179624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4082571B2 (ja) コネクタの嵌脱構造
US7021969B2 (en) Connector allowing reduction in thickness of an apparatus to which the connector is to be mounted
CN101584086A (zh) 具有预载荷盖的边缘连接器
TW201421820A (zh) 低剖面背板連接器
US20070270004A1 (en) Card edge connector
KR100608830B1 (ko)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481252Y1 (ko) 일체형 이엠씨패드를 갖는 양면 마이크로 유에스비 소켓 커넥터
US6699066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00203747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embossed contact engaging portion
CN104868311B (zh) 连接器及连接器组装件
US6948964B2 (en) Electronic card connector with fixed lateral arms
US7153155B1 (en) Receptacle connector
CN104600508A (zh) 卡连接器
TWM499690U (zh) 電連接器
KR101598943B1 (ko) Ffc 커넥터
KR200471031Y1 (ko)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KR20060077693A (ko)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이동통신단말기
KR20110004171A (ko) 배터리 커넥터
KR200370937Y1 (ko) 다기능 통신용 플러그와 리셉터클
JP2019016609A (ja) 携帯端末の製造方法及び携帯端末
JP6469348B2 (ja) 接触端子構造及びコネクタ
JP4563250B2 (ja) 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並びに、携帯型無線端末又は小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