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8722B1 -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722B1
KR100608722B1 KR1020030084166A KR20030084166A KR100608722B1 KR 100608722 B1 KR100608722 B1 KR 100608722B1 KR 1020030084166 A KR1020030084166 A KR 1020030084166A KR 20030084166 A KR20030084166 A KR 20030084166A KR 100608722 B1 KR100608722 B1 KR 100608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accommodating part
portable terminal
opening
sl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0431A (ko
Inventor
추지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722B1/ko
Publication of KR20050050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72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서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모터의 구동력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전동 개방부와, 상기 전동 개방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동 개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에는 래크기어가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맞물려 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으로 개방 구동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SLIDE OPEN/CLOS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 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닫힌 상태에서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열린 상태에서 보인 부분 절결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모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성 및 작용 설명도.
도 6 및 도 7은 종래 휴대폰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휴대용 단말기 본체 110 : 제1 수용부
120 : 제2 수용부 200 : 전동 개방부
210 : 모터 220 : 구동기어
230 : 래크기어 300 : 모터 구동 조작부
310 : 슬라이드 스위치 311 : 스위치 본체
312 : 작동부 313 : 요홈
320 : 가이드 330 : 작동돌기
본 발명은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딩 폰(sliding phone)에서 개폐(Open/Close) 메커니즘에 전동기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개폐(open & close) 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실내 또는 실외에서 사용할 수 있을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사용할 수 있는 무선 이동 통신기기로서, 그 형태에 따라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등으로 구분된다.
도 6 및 도 7은 종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구조 및 작용을 보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버튼들이 전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본체(1)와, 그 단말기 본체(1)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단말기 본체(1)에 대하여 개,폐되며 단말기 본체(1)를 보호하고 상대방을 화상으로 볼 수 있는 화면(2)을 구비하는 덮개(3)와, 상기 단말기 본체(1)의 후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충방전이 되는 배터리(4)와, 상기 단말기 본체(1)의 상단부 일측에 설치되어 전파를 송수신하는 안테나(5)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이동시에는 본체(1)에 덮개(3)가 닫힌상태로 손으로 파지하거나 호주머니에 넣은 상태로 이동을 하고, 음성송수신 및 기타의 용도로 사용할때는 도 7에서와 같이 덮개(3)를 힌지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동시켜서 열고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폴더 타입 휴대용 단말기나 슬라드 타입 휴대 단말기 등의 어느 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각기 개발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된 단말기를 소유하고 싶은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지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소비자의 욕구를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와 본체부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딩 폰(sliding phone)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드 방식 휴대용 단말기는 수동으로 작동하며, 사용자가 일일이 열고 닫는 작업을 해야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 및 결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는 슬라이딩 폰(sliding phone)에서 개폐(Open/Close) 메커니즘에 전동기를 장착하여 자동으로 개폐(open & close) 되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 드 개폐장치는 휴대용 단말기 본체의 서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와, 상기 제1 수용부와 제2 수용부를 모터의 구동력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전동 개방부와, 상기 전동 개방부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전동 개방부는 상기 제2 수용부에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수용부에는 래크기어가 중간부에 구비되어 상기 모터의 축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맞물려 구성되며, 상기 구동기어에는 모터가 작동되지 않을 때 외력에 의해 무단히 개폐되지 않도록 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 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닫힌 상태에서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고,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 장치가 채용된 휴대용 단말기를 열린 상태에서 보인 부분 절결 평면도 및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모터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스위치의 구성 및 작용 설명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 본체(100)의 서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제1 수용부(110) 및 제2 수용부(120)와, 상기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를 모터(210)의 구동력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전동 개방부(200)와, 상기 전동 개방부(20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조작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수용부(110)에는 예를 들어 액정판과 같은 디스플레이(111)와 키버튼(112)이 설치되고, 제2 수용부(120)에는 다수개의 키버튼(121)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수용부(110)에는 안내홈(131)이 형성되고, 제2 수용부(120)에는 안내돌부(130)가 구비되어 제1 수용부(110)가 안내돌부(130)와 안내홈(131)에 의해 길이방향 상,하측으로 개폐된다.
이러한 제1 수용부(110)가 제2 수용부(120)에 대하여 상,하측으로 직선이동하여 개폐되는 구조는 이외에 통상의 슬라이드 구조를 이용한 다른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전동 개방부(200)는 상기 제2 수용부(120)에 모터(21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10)의 축에는 구동기어로서 웜(220)이 고정되며, 상기 제1 수용부(110)에는 상기 웜(220)에 맞물리는 래크기어(230)가 중간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제1 수용부(110)가 모터(210)의 구동력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웜(220)와 웜기어형 래크기어(230)는 익히 알려지고 있는 바와 같이 웜(220) 동력이 래크기어(230)로는 전달되나, 반대로 래크기어(230)의 동력이 웜(220)으로는 전달되지 않고 로킹되므로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모터 구동 조작부(30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구동 조작부(300)는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스위치 본체(311)에 작동부(312)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되어 (a)와 같이 조작노브(312)가 중간부에 있는 경우에는 오프되고, (b),(c)와 같이 상,하측으로 이동된 경우에는 온되는 3단 슬라이드 스위치(310)가 모터(2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210)가 가이드(320)에 지지되어 일정간격 범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210)의 일측에 고정된 작동돌기(330)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310)의 작동부(312)에 형성된 요홈(313)에 삽입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의 작 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가 닫혀 있는 상태 에서 제1 수용부(110)를 개방하고자 할 때에는 제1 수용부(slider)를 위쪽으로 조금만 밀면 제1 수용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기어(230)가 모터(210)의 웜(220)을 물고 있기 때문에 모터(210) 자체가 가이드(320)를 따라 움직이게 되고, 모터(210) 측에 형성된 작동돌기(330)가 슬라이드 스위치(310)의 작동부(312)를 도 5 (b)와 같이 상측으로 밀어 슬라이드 스위치(310)가 온되며, 이 때부터 모터(210)가 회전하여 모터(210)의 구동력이 웜(220)과 래크기어(230)로 전달됨에 따라 제1 수용부(110)가 도 3 및 도 4와 같이 개방된다.
그리고, 제1 수용부(110)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는 작용, 반작용에 의해 모터(210)가 반대쪽으로 움직이게 되어, 슬라이드 스위치(310)가 도 5 (a)와 같이 중립 상태로 원위치되고, 이에 따라 모터(210)의 동작이 정지되고, 제1 수용부(11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 제1 수용부(110)를 닫고자 할 때에는 제1 수용부(slider)를 아래쪽으로 조금만 밀면 제1 수용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래크기어(230)가 모터(210)의 웜(220)을 물고 있기 때문에 모터(210) 자체가 가이드(320)를 따라 아래쪽으로 움직이게 되고, 모터(210) 측에 형성된 작동돌기(330)가 슬라이드 스위치(310)의 작동부(312)를 도 5 (c)와 같이 상측으로 밀어 슬라이드 스위치(310)가 온되며, 이 때부터 모터(210)가 회전하여 모터(210)의 구동력이 웜(220)과 래크기어(230)로 전달됨에 따라 제1 수용부(110)가 도 1 및 도 2와 같이 닫히게 된다.
그리고, 제1 수용부(110)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작용, 반작용에 의해 모터(210)가 반대쪽으로 움직이게 되어, 슬라이드 스위치(310)가 도 5 (a)와 같이 중립 상태로 원위치되고, 이에 따라 모터(210)의 동작이 정지되고, 제1 수용부(110)의 열린 상태가 유지된다.
종래에는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자의 힘으로 열고 닫았으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초기 스위치 작동까지만 사용자가 동작시키고 그 후 완전 개방까지는 전동기와 기계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동작되며, 닫을 때에도 초기만 사용자에 의하고 완전히 닫힐 때 까지는 자동 동작되므로 휴대용 단말기를 간편하게 개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조작부(300)는 다른 예로서 제1 수용부(110)에 구비된 개폐용 키버튼(112)에 의해 제1 수용부(110) 내측에 설치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여 모터(210)를 온,오프시키는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때에는 모터(210)가 한 위치에 상,하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형태로 적용되며, 이와 같은 형태를 적용하면 제1 수용부(110)가 외력에 의해 무단 개폐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는 모터의 구동력으로 개방 구동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하는 이점이 있고, 제품을 차별화시켜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용 단말기 본체(100)의 서로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제1 수용부(110) 및 제2 수용부(120)와, 상기 제1 수용부(110)와 제2 수용부(120)를 모터(210)의 구동력으로 개방시키기 위한 전동 개방부(200)와, 상기 전동 개방부(200)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 조작부(300)가 구비되며, 상기 전동 개방부(200)는 상기 제2 수용부(120)에 모터(21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210)의 축에 웜(220)이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제1 수용부(110)에는 상기 웜(220)에 맞물리는 래크기어(23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 조작부(300)는 스위치 본체(311)에 작동부(312)가 슬라이드식으로 결합된 3단 슬라이드 스위치(310)가 모터(210)의 일측에 고정되고, 상기 모터(210)가 가이드(320)에 지지되어 일정간격 범위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모터(210)의 일측에 고정된 작동돌기(330)가 상기 슬라이드 스위치(310)의 작동부(312)에 형성된 요홈(313)에 삽입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20030084166A 2003-11-25 2003-11-25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08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166A KR100608722B1 (ko) 2003-11-25 2003-11-25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166A KR100608722B1 (ko) 2003-11-25 2003-11-25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431A KR20050050431A (ko) 2005-05-31
KR100608722B1 true KR100608722B1 (ko) 2006-08-04

Family

ID=3866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16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8722B1 (ko) 2003-11-25 2003-11-25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7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431A (ko) 200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1012B1 (en) An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ing lid
KR100531880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 장치
US20050064921A1 (en) Sliding-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liding movement in the same
KR200174766Y1 (ko)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10060872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0312546B1 (ko) 외면에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덮개가 슬라이딩개폐되는 폴더형휴대폰
US7030818B2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 device
KR20050056794A (ko) 슬라이드 폰 자동개폐 장치
KR1006192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스윙 모듈
KR100974678B1 (ko) 슬라이드형 휴대 단말기
KR100326771B1 (ko)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10099275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50484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100664128B1 (ko) 회동 가능한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773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253146Y1 (ko) 휴대단말기의 이어폰세트 장착구 개폐장치
KR100511312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1166265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84398B1 (ko) 폴더/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100877303B1 (ko) 스윙형단말기의 슬라이드 스윙 장치
KR20050118006A (ko) 휴대용 단말기의 반자동 슬라이드 개폐장치
KR20050041271A (ko) 자동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전자 단말기
KR100994331B1 (ko) 슬라이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690765B1 (ko) 폴더 및 슬라이드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7876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안테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