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8643B1 -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643B1
KR100608643B1 KR1019990055463A KR19990055463A KR100608643B1 KR 100608643 B1 KR100608643 B1 KR 100608643B1 KR 1019990055463 A KR1019990055463 A KR 1019990055463A KR 19990055463 A KR19990055463 A KR 19990055463A KR 100608643 B1 KR100608643 B1 KR 100608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llable
fundamental frequency
pattern
sentence
acc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592A (ko
Inventor
이준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5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643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64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8Text analysis or generation of parameters for speech synthesis out of text, e.g. grapheme to phoneme translation, prosody generation or stress or intonation determination
    • G10L13/10Prosody rules derived from text; Stress or into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3/00Speech synthesis; Text to speech systems
    • G10L13/02Methods for producing synthetic speech; Speech synthesisers
    • G10L13/027Concept to speech synthesisers; Generation of natural phrases from machine-based concep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화자 및 적용 분야에 대해서도 화자 고유의 억양 패턴을 구현하여 합성음의 자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한 문장씩 분리하여 그 분리된 문장 단위로 구문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근거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언어처리부와; 상기 언어처리부에서 분석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을 학습된 성조 패턴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음절별 성조패턴을 결정하고, 그 음절별 성조패턴을 기본 주파수 궤적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궤적을 생성하는 억양예측부와; 상기 억양예측부에서 생성된 기본 주파수 궤적을 이용하여,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오버랩 애드(Overlap Add)를 행하여 그에 따른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Description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PITCH MODEL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VOICE SYNTHESIZING SYSTEM}
도1은 종래 음성 합성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2는 본 발명 음성 합성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은 도2에 있어서, 억양예측부의 성조 및 기본 주파수 궤적모델링에 대한 흐름도.
도4는 도2에 있어서, 억양예측부의 틸트 모델의 요소를 보인 개락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언어처리부 200:억양예측부
300:합성부
본 발명은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화자 및 적용 분야에 대해서도 화자 고유의 억양 패턴을 구현하여 합성음의 자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성합성은 임의의 텍스트 문장에 대해 언어처리와 신호처리과정을 거쳐 자연스럽고 명료한 합성음을 생성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억양은 사람 마다 고유한 패턴과 레벨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동일한 화자라 할지라도 발성하는 문장의 성격에 따라 문장의 특징이 달라지고, 이렇게 달라지는 억양패턴을 특정화자의 패턴으로 음성합성으로 일반화하여 합성음을 발생할 때 자연성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때, 상기 음성합성은 임의의 텍스트 문장에 대해 언어처리와 신호처리 과정을 거쳐 자연스럽고 명료한 합성음을 생성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종래 음성 합성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기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일반적인 음성 합성 시스템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한 문장씩 분리하여 한 문장 단위로 구문을 분석하여 음성학적인 표현으로 변환하는 언어처리부(10)와; 상기 언어처리부(10)에서 분석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에 따라 피치와 음절의 길이등의 운율정보를 생성하는 운율처리 부(20)와; 상기 운율처리부(20)에서 추출한 운율정보를 이용하여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오버랩 애드(Overlap Add)를 행하여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언어합성부(30)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언어처리부(10)는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입력받아 이를 문장 단위로 분리하여 구문을 분석하여 음성학적인 표현으로 변환한다.
상기에서 문장단위로 처리하는 이유는 구문분석을 할 수 있는 단위가 문장이기 때문으로, 여기에서 문장단위라 함은 하나의 완결된 사상과 감정을 담고 있는 문법 단위로서 하나의 문장을 주어부와 서술부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상기 문장내의 문자중 한글이 아닌 문자를 한글로 바꾸어 주는데, 즉 특수문자와 영자는 영어발음사전과 특수어 발음사전을 탐색하여 그에 해당하는 한글로 바꾸어 주며, 숫자 또한 숫자를 읽는 방식에 따라 한글로 변환하여 준다.
상기와 같이 언어처리부(10)에서 문장에 대한 분석 및 처리가 완료되면 운율처리부(20)에서 분석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에 따라 피치와 음절길이등의 운율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면, 언어합성부(30)는 상기 운율처리부(20)에서 추출한 운율정보를 이용하여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오버랩 애드(Overlap Add)를 행하여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음성DB는 한국어의 음소에 따라 무성음과 유성음으로 구분하여, 무성음의 경우에는 pcm의 형태로 저장하고, 유성음의 경우에는 한 주기 단위의 PSE(Power Spectrum Envelope)를 생성하여 이를 시간 축상의 데이터로 변환한후 저 장한다.
즉,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의 운율처리에 있어서, 코퍼스 구축의 자동화가 어렵고 또한 다양한 억양의 다양한 변화에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다양한 화자및 적용분야에 대하여 음절별 성조 패턴을 예측하고, 기본 주파수 궤적을 예측하는 것을 자동화하여 화자 고유의 억양 패턴을 구현함으로써 합성음의 자연성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한 문장씩 분리하여 그 분리된 문장 단위로 구문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근거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언어처리부와;
상기 언어처리부에서 분석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을 학습된 성조 패턴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음절별 성조패턴을 결정하고,
그 음절별 성조패턴을 기본 주파수 궤적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궤적을 생성하는 억양예측부와;
상기 억양예측부에서 생성된 기본 주파수 궤적을 이용하여,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오버랩 애드(Overlap Add)를 행하여 그에 따른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한 문장씩 분리하여 한 문장 단위로 구문을 분석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의 구문분석 결과를 틸트(Tilt) 모델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형태를 계수화시켜 성조 패턴을 예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성조 패턴을 기본 주파수 궤적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궤적을 예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예측된 기본주파수 궤적으로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그에 따른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에 대한 작용과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 음성 합성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에 대한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한 문장씩 분리하여 한 문장 단위로 구문을 분석하여 음성학적인 표현으로 변환하는 언어처리부(100)와; 상기 언어처리부(100)에서 분석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을 학습된 성조 패턴 예측용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음절별 성조패턴을 결정한후, 이 음절별 성조패턴을 기본 벡터 예측용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궤적을 생성하는 억양예측부(200)와; 상기 억양예측부(200)의 기본주파수 궤적으로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오버랩 애드 (Overlap Add)를 행하여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합성부 (300)로 구성하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언어처리부(100)는 종래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는데, 즉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한 문장씩 분리하여 한 문장 단위로 구문을 분석하여 음성학적인 표현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억양예측부(200)는 상기 언어처리부(100)에서 분석된 문장성분과 음 운변동을 학습된 성조 패턴 예측용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음절별 성조패턴을 결정한후, 이 음절별 성조패턴을 기본 벡터 예측용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궤적을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성조 패턴의 모델링은 음절별 기본 주파수를 계수화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데, 기본 주파수 궤적의 계수화를 위해 영어권에서 악센트 위치에서의 기본 주파수 모델링을 위해 제안된 틸트(Tilt) 모델을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틸트(Tilt) 모델은 도4와 같이 기본 주파수 궤적은 시작 레벨(ABS), 주파수 궤적의 변이 정도를 나타내는 진폭변이(A), 주파수 궤적의 경사도를 나타내는 틸트(Tilt)로 가능한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Figure 111999016506435-pat00001
Figure 111999016506435-pat00002
Figure 111999016506435-pat00003
Figure 111999016506435-pat00004
삭제
삭제
삭제
삭제
Figure 112006017556688-pat00021

여기서, 기본 주파수 벡터 길이: L=D1 +D2, 기본 주파수 진폭변이:A=A1+A2, 기본 주파수 경사도:-1.0 ≤Tilt ≤1.0
이때, 상기 틸트(Tilt) 모델은 소수의 실변수를 이용해서 비교적 정확한 기본 주파수궤적 모델링이 가능하고 궤적의 레벨뿐만 아니라 형태의 표현 또한 가능한 장점이 있은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틸트(Tilt) 계수를 성조 패턴정보로 도입한다.
즉, 모델링된 음절별 성조 패턴은 적절히 선정된 문장 구조 정보와 구문 분석 결과를 입력으로 하는 회귀 나무구조를 통해 학습되고, 음절별 기본 주파수 궤적은 벡터화되고, 문장구문구조와 구문 분석결과와 성조패턴을 입력으로 하는 회귀 나무 구조를 통해 학습되며, 이 학습된 성조 패턴 예측용 회귀 나무구조와 기본 주파수 벡터 예측용 회귀 나무구조는 합성시스템의 억양예측부(200)에서 결합되어 상기 언어처리부(100)에서 얻어지는 문장의 구문 구조와 구분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성조패턴이 예측된후, 이들을 이용하여 최종적인 기본 주파수 궤적을 얻게된다.
이후, 합성부(300)는 상기 억양예측부(200)의 최종 기본주파수 궤적으로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오버랩 애드 (Overlap Add)를 행하여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틸트(Tilt) 계수를 이용한 성조 패턴 모델링 및 예측 기법외에도 음절별 기본주파수의 평균레벨을 이용한 성조 패턴을 모델링하는 방법과, 운율구 비경계 음절인 경우에 어절에서의 상대적 레벨을 이용하고 경계음절인 경우에 틸트(Tilt) 모델의 진폭변이와 틸트(Tilt) 계수를 이용한 성조 패턴 모델링 또한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성조 패턴 추출과 기본 주파수 궤적 예측을 자동화시킴으로 인하여 성조 패턴 추출에 요구되던 인력과 시간 소모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화자 고유의 억양 패턴을 구현함으로써 음성 합성 시스템의 자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한 문장씩 분리하여 그 분리된 문장 단위로 구문을 분석하고, 그 분석결과에 근거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언어처리부와;
    상기 언어처리부에서 분석된 문장성분과 음운변동을 학습된 성조 패턴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음절별 성조패턴을 결정하고,
    그 음절별 성조패턴을 기본 주파수 궤적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궤적을 생성하는 억양예측부와;
    상기 억양예측부에서 생성된 기본 주파수 궤적을 이용하여,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오버랩 애드(Overlap Add)를 행하여 그에 따른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별 성조 패턴은
    운율구 경계음절과 비경계음절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3. 임의의 입력 텍스트를 한 문장씩 분리하여 한 문장 단위로 구문을 분석하는 제1 단계와;
    제1 단계의 구문분석 결과를 틸트(Tilt) 모델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형태를 계수화시켜 성조 패턴을 예측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의 성조 패턴을 기본 주파수 궤적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 나무구조에 적용하여 기본 주파수 궤적을 예측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예측된 기본주파수 궤적으로 음성DB로부터 합성단위의 데이터를 읽어들여 그에 따른 합성음의 파형을 생성하는 제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방법.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성조패턴은
    상기 문장 구조 정보와 구문 분석 결과를 입력으로 하는 회귀 나무구조를 통해 학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성조패턴은
    음절별 기본 주파수의 평균레벨을 이용하여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방법.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성조패턴은
    운율구 비경계 음절인 경우에 어절에서의 상대적 레벨을 이용하여 예측되고, 운율구 경계음절인 경우에는 틸트(Tilt) 모델의 진폭변이와 틸트(Tilt) 계수를 이용하여 예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방법.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Tilt) 모델을 이용한 기본 주파수 궤적은,
    아래의 수학식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방법.
    Figure 112006017556688-pat00022
    여기서,
    Figure 112006017556688-pat00013
    Figure 112006017556688-pat00014
    Figure 112006017556688-pat00015
    Figure 112006017556688-pat00016
    기본 주파수 벡터 길이: L=D1 +D2
    기본 주파수 진폭변이:A=A1+A2
    기본 주파수 경사도:-1.0 ≤Tilt ≤1.0
    i는 틸트 모델을 위한 프로그램상의 일종의 변수
KR1019990055463A 1999-12-07 1999-12-07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08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463A KR100608643B1 (ko) 1999-12-07 1999-12-07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463A KR100608643B1 (ko) 1999-12-07 1999-12-07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592A KR20010054592A (ko) 2001-07-02
KR100608643B1 true KR100608643B1 (ko) 2006-08-09

Family

ID=19623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463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8643B1 (ko) 1999-12-07 1999-12-07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6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457B1 (ko) * 2002-09-17 2005-05-03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Cart를 이용한 자연어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592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sewon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xt to speech conversion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JP3408477B2 (ja) フィルタパラメータとソース領域において独立にクロスフェードを行う半音節結合型のフォルマントベースのスピーチシンセサイザ
US20050119890A1 (en) Speech synthesis apparatus and speech synthesis method
CN111681641B (zh) 基于短语的端对端文本到语音(tts)合成
KR102168529B1 (ko)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가창음성 합성 방법 및 장치
JPH10116089A (ja) 音声合成用の基本周波数テンプレートを収容する韻律データベース
JP2002258885A (ja) テキスト音声合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Black et al. The festival speech synthesis system, version 1.4. 2
Hoffmann et al. Analysis of verbal and nonverbal acoustic signals with the Dresden UASR system
KR100373329B1 (ko) 음운환경과 묵음구간 길이를 이용한 텍스트/음성변환 장치 및그 방법
JP2006030609A (ja) 音声合成データ生成装置、音声合成装置、音声合成データ生成プログラム及び音声合成プログラム
Gujarathi et al. Review on unit selection-based concatenation approach in text to speech synthesis system
JP2021148942A (ja) 声質変換システムおよび声質変換方法
Chettri et al. Nepali text to speech synthesis system using esnola method of concatenation
US6829577B1 (en) Generating non-stationary additive noise for addition to synthesized speech
KR100608643B1 (ko) 음성 합성 시스템의 억양 모델링 장치 및 방법
O'Shaughnessy Design of a real-time French text-to-speech system
JP2001034284A (ja) 音声合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文音声変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aghmare et al. Analysis of pitch and duration in speech synthesis using PSOLA
Wang et al. Improved generation of fundamental frequency in HMM-based speech synthesis using generation process model.
Santos et al. Text-to-speech conversion in Spanish a complete rule-based synthesis system
Ng Survey of data-driven approaches to Speech Synthesis
EP1589524B1 (en) Method and device for speech synthesis
JP2703253B2 (ja) 音声合成装置
EP16409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speech synthe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2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