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8382B1 -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 Google Patents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382B1
KR100608382B1 KR1020050053636A KR20050053636A KR100608382B1 KR 100608382 B1 KR100608382 B1 KR 100608382B1 KR 1020050053636 A KR1020050053636 A KR 1020050053636A KR 20050053636 A KR20050053636 A KR 20050053636A KR 100608382 B1 KR100608382 B1 KR 10060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able signal
clock
delay
output
d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36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50053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38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38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Landscapes

  • Dr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클럭 대비 DLL 클럭의 딜레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고속 동작의 메모리 장치에서도 안정된 동작을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에 관한 것이다. 메모리 장치의 내부 리드 명령과 지연 고정 루프로부터 제공되는 DLL 클럭을 조합하여, 카스 레이턴시(CL)에 맞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를 발생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가 제공되며: 이 회로는, 상기 내부 커맨드를 수신하여, 외부 클럭에 동기된 제 1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 동일 지연량을 갖는 다수의 서브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서브 체인의 수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DLL 클럭을 각기 다른 지연량을 갖는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로 출력하는 등 간격 딜레이 수단; 상기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 중 하나를 제 2 클럭 신호로 출력하는 다수의 제 1 먹스 수단; 상기 다수의 제 2 클럭 신호를 구동 클럭으로 하며, 상기 제 1 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트하여, 각기 지연량이 다른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which efficiently adjusts a delay of a DLL clock relative to an external clock and performs stable operation even in a high speed memory device.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is provided that combines an internal read command of a memory device and a DLL clock provided from a delay locked loop to generate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that matches the cas latency (CL): An enable signal generator which receives the internal command and outputs a first enable signal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b chains having the same delay amount, and outputs the DLL clock as a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by varying the number of the sub chains selected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CL) Equal interval delay means; A plurality of first mux means for rece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and outputt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as a second clock signal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CL); The shift register includes a plurality of second clock signals as driving clocks and shifts the first enable signal to output a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Description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Circuit for generating of output enable signal}Circuit for generating of output enable signal

도 1은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데이터 컨트롤 회로의 간략도.1 is a simplified diagram of a typical data control circuit used in a memory device.

도 2에는 종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의 간략도를 도시한다.2 shows a simplified diagram of a conventional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도 3은 종래 출력신호 발생부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ventional output signal generato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의 간략도.4 is a simplified diagram of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신호 발생부의 내부 구성도.5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utput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 체인의 내부 구성도.6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ub cha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어스 전압 발생회로의 내부 구성도.7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bias voltage gener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먹스 수단의 내부 구성도.8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rst mux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카스 레이턴시(CL)가 '6'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의 동작 파형도.9 i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cade latency CL is '6'.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500: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 600: 출력신호 발생부500: enable signal generator 600: output signal generator

610: 등 간격 딜레이 수단 630: 쉬프트 레지스터610: equal interval delay means 630: shift register

640: 서브 체인 620,700: 먹스 수단640: sub-chain 620, 700: mux means

800: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800: bias voltage generator

본 발명은 메모리 장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클럭 대비 DLL 클럭의 딜레이를 효율적으로 조절하여, 고속 동작의 메모리 장치에서도 안정된 동작을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of a memory devic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that efficiently adjusts a delay of a DLL clock relative to an external clock and performs stable operation even in a high speed memory device. It is about.

도 1은 메모리 장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데이터 컨트롤 회로의 간략도이다.1 is a simplified diagram of a typical data control circuit used in a memory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컨트롤 회로는, 제어신호 발생부(100),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00), 출력 드라이버(300), 및 지연 고정 루프(400)로 구성된다.As shown, the data control circuit includes a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200, an output driver 300, and a delay locked loop 400.

제어신호 발생부(100)는, 외부 클럭 및 커맨드를 조합하여 내부 클럭, 리드 명령(readp), 및 리드 종료 명령(bstendbp)을 발생한다. 여기서, 리드 명령(readp)은 외부 커맨드(RAS,CAS,..)에 조합에 의해 발생되는 하이레벨의 펄스이며, 리드 종료 명령(bstendbp)는 버스트 엔드(burst end) 즉, 리드 동작 종료시 발생하는 로우레벨 펄스이다.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combines an external clock and a command to generate an internal clock, a read command readp, and a read end command bstendbp. Here, the read command readp is a high level pulse generated by the combination of the external commands RAS, CAS, .., and the read end command bstendbp is generated at the burst end, that is, at the end of the read operation. Low level pulse.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00)는 제어신호 발생부(100)의 출력신호(readp,bstendbp)와 지연 고정 루프(400)로부터 제공되는 DLL 클럭(rclk,fclk)을 조합하여, 카스 레이턴시(CL)에 맞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를 발생한다. The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200 combines the output signals readp and bstendbp of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and the DLL clocks rclk and fclk provided from the delay lock loop 400 to provide a cascade latency CL. Generates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지연 고정 루프(400)는, 출력 드라이버(300)의 딜레이(tDO)를 보상하여, 외부 클럭의 에지(edge)에 출력 데이터를 정렬(align)시키기 위해 외부 클럭 대비 '-tDO'만큼 래그(lag)된 DLL 클럭(rclk,fclk)을 발생한다.The delay locked loop 400 compensates for the delay tDO of the output driver 300 and lags with '-tDO' relative to the external clock to align the output data at the edge of the external clock. Generate DLL clocks (rclk and fclk).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데이터 컨트롤 회로는, 구성요소 각각의 동작에 따른 특정 딜레이 값을 갖는다. 이를 살펴보면, 'tCMD'는 리드 명령(readp) 또는 리드 종료 명령(bstendp)을 만드는 딜레이; 'tDA'는 제어신호 발생부(100)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00) 까지의 라인 딜레이; 'tDO'는 출력 드라이버(300)의 딜레이; 'tDD' 지연 고정 루프(400)에서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00)까지의 라인 딜레이를 지칭한다.The conventional data control circuit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specific delay valu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Looking at this, 'tCMD' is a delay for creating a read command (readp) or a read end command (bstendp); 'tDA' is a line delay from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100 to the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200; 'tDO' is the delay of the output driver 300; 'DDD' refers to a line delay from the delay locked loop 400 to the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200.

도 2에는 종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의 간략도를 도시한다.2 shows a simplified diagram of a conventional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200)는, 리드 명령(readp) 및 리드 종료 명령(bstendbp)을 수신하고, 외부 클럭에 동기된, 인에이블 신호(oe00)를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210); 인에이블 신호(oe00)를 dll 클럭(rclk,fclk)에 동기시키기 위한 출력신호 발생부(220); 및 카스 레이턴시(CL)에 대응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를 발생하는 먹스 수단(2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nventional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200 receives a read command readp and a read end command bstendbp, and outputs an enable signal oe00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Able signal generator 210; An output signal generator 220 for synchronizing the enable signal oe00 with the dll clocks rclk and fclk; And mux means 230 for generating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correspon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출력신호 발생부(220)의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3,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output signal generator 220 will be described.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신호 발생부(220)는, 다수의 D 플리플롭으로 구성된 쉬프트 레지스터(221); 인에이블 신호(oe00)와 DLL 클럭과의 딜레이 차이인 'tTOT(tCMD+tDA-tDD+tDO)'를 보상하고, 카스 레이턴시(CL)에 대응하는 딜레이를 인가하기 위한 다수의 딜레이 라인(222) 및 먹스 수단(223)으로 구성된다. As shown, the output signal generator 220 includes a shift register 221 composed of a plurality of D flip-flops; Multiple delay lines 222 for compensating 'tTOT (tCMD + tDA-tDD + tDO)', which is a delay difference between the enable signal oe00 and the DLL clock, and for applying a delay correspon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And mux means 223.

이와 같은 구성의 통해, 기존의 회로는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른 고유의 딜레이를 갖는 각각의 딜레이 라인(222)을 수단으로, DLL 클럭에 동기된 인에이블 신호(dll_clk_oe)를 발생하고, 이를 통해 리드 명령(readp)을 래치한다. Through such a configuration, the existing circuit generates an enable signal dll_clk_oe synchronized to the DLL clock by means of each delay line 222 having a unique delay accor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Latch a read command readp.

그러나, 기존의 회로는 고속동작에서 리드 명령(readp)의 인에이블 펄스 구간을 래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메모리 장치의 고속화가 진행되면서, 리드 명령(readp)의 인에이블 펄스 구간이 짧아지게 되므로, 이를 래치하기 위해, 다수의 딜레이 라인(222) 각각의 정확한 딜레이 조절이 어렵다. 또한, 쉬프트 레지스터(221)에 사용된 D 플립플롭은 출력노드를 일정레벨로 유지하기 위한 래치회로(도시안됨)가 구비되어야만 하므로, 고속 동작에서 셋업/홀드(setup/hold) 마진의 한계를 갖는다.However, the conventional circuit may have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latch the enable pulse section of the read command (readp) in the high speed operation. That is, as the speed of the memory device increases, the enable pulse section of the read command is shorten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adjust the delay of each of the plurality of delay lines 222 to latch it. In addition, since the D flip-flop used in the shift register 221 must be provided with a latch circuit (not shown) for maintaining the output node at a constant level, there is a limit of setup / hold margin in high speed operation. .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딜레이 라인과 쉬프트 레지스터의 구조를 변경하여 높은 주파수에서도 안정된 동작을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를 제공함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delay line and the shift register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stable operation at high frequency In providing.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메모리 장치의 내부 리드 명령과 지연 고정 루프로부터 제공되는 DLL 클럭을 조합하여, 카스 레이턴시(CL)에 맞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를 발생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가 제공되며: 이 회로는, 상기 내부 커맨드를 수신하여, 외부 클럭에 동 기된 제 1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 동일 지연량을 갖는 다수의 서브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서브 체인의 수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DLL 클럭을 각기 다른 지연량을 갖는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로 출력하는 등 간격 딜레이 수단; 상기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 중 하나를 제 2 클럭 신호로 출력하는 다수의 제 1 먹스 수단; 상기 다수의 제 2 클럭 신호를 구동 클럭으로 하며, 상기 제 1 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트하여, 각기 지연량이 다른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matching the cas latency (CL) is combined by combining an internal read command of a memory device and a DLL clock provided from a delay locked loop. A generated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is provided, the circuit comprising: an enable signal generator for receiving the internal command and outputting a first enable signal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It includes a plurality of sub chains having the same delay amount, and outputs the DLL clock as a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by varying the number of the sub chains selected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CL) Equal interval delay means; A plurality of first mux means for rece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and outputt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as a second clock signal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CL); And a shift register configured to output the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by shifting the first enable signal by using the plurality of second clock signals as driving clocks.

상기 구성에서, 상기 등 간격 딜레이 수단은, 직렬 연결된 상기 서브 체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서브 체인의 접속 노드에는 데이터 출력을 위한 버퍼가 구비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qual interval delay means is constituted by the sub-chains connected in series, and a connection node of the sub-chain is provided with a buffer for outputting data.

상기 구성에서, 상기 서브 체인은, 전원 전압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CMOS 버퍼 및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ub chain is composed of a CMOS buffer and an NMOS transis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and ground, and receives a bias voltage to the gate terminal of the NMOS transistor.

상기 구성에서, 상기 서브 체인은,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상기 CMOS 버퍼로 입력되는 신호의 지연량이 조절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delay amount of the signal input to the CMOS buffer is adjusted by the bias voltage.

상기 구성에서,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다수의 다이나믹(DYNAMIC) D 플리플롭으로 구성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hift regist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YNAMIC D flip-flops.

상기 구성에서,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는, 상기 다수의 제 4 인 에이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 중 하나를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로 출력하는 제 2 먹스 수단;을 더 구비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receives the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and outputs one of the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based on the cas latency CL. and a second mux means for outputting to the outen.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의 간략도를 도시한다.4 shows a simplified diagram of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리드 명령(readp) 및 리드 종료 명령(bstendbp)을 수신하고, 외부 클럭에 동기된, 인에이블 신호(oe00)를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500); 인에이블 신호(oe00)를 dll 클럭(rclk,fclk)에 동기시키기 위한 출력신호 발생부(600); 카스 레이턴시(CL)에 대응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를 발생하는 먹스 수단(700); 및 출력신호 발생부(600)에 바이어스 전압(BIAS)을 제공하는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800)를 구비한다.As illustrated, the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read command readp and a read end command bstendbp, and outputs an enable signal oe00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Generating unit 500; An output signal generator 600 for synchronizing the enable signal oe00 with the dll clocks rclk and fclk; Mux means 700 for generating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correspon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And a bias voltage generator for providing a bias voltage BIAS to the output signal generator 600.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신호 발생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output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력신호 발생부(600)는,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입력되는 DLL 클럭(dll_clk)을 각기 다른 지연량을 갖는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clk_CL)로 출력하는 등간격 딜레이 수단(610);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clk_CL)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 중 하나를 제 2 클럭 신호(dll_clk_oe)로 출력하는 다수의 먹스 수단(620); 및 상기 다수의 제 2 클럭 신호(dll_clk_oe)를 구동 클럭으로 하며, 상기 제 1 인에이블 신호(oe00)를 쉬프트하여, 각기 지연량이 다른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oe10~oe90)을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630)을 구비한다.As shown, the output signal generator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utputs the DLL clock dll_clk input accor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as a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clk_CL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Equal interval delay means (610); A plurality of mux means 620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clk_CL and outputt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as a second clock signal dll_clk_oe accor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And shifting the first enable signal oe00 to output the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oe10 to oe90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respectively, by using the plurality of second clock signals dll_clk_oe as a driving clock and shifting the first enable signal oe00. A register 630 is provided.

등 간격 딜레이 수단(610)은, 동일한 딜레이를 갖는 다수의 서브 체인(640) 직렬 연결되어 구성되고, 다수의 서브 체인(640) 각각의 접속 노드는 신호 출력을 위한 버퍼(650)가 구비된다. 여기서, 등 간격 딜레이 수단(610)의 전체 딜레이는 도 1에서 설명한 인에이블 신호(oe00)와 DLL 클럭과(dll_clk)의 딜레이 차이인 'tTOT(tCMD+tDA-tDD+tDO)'의 딜레이를 갖는다. 아울러, 도 6을 참조하여, 서브 체인(6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서브 체인(640)은 전원 전압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CMOS 버퍼(641) 및 NMOS 트랜지스터(642)로 구성되며, NMOS 트랜지스터(642)의 게이트 단자로 입력되는 바이어스 전압(BIAS)의 전압레벨에 따라, 입력신호(in)에 소정의 딜레이를 인가한다. 이 때, 바이어스 전압(BIAS)은 다수의 서브 체인(640)에 공통으로 입력되므로, 각각의 서브 체인(640)은 동일 딜레이를 갖는다. 한편, 바이어스 전압 발생부(8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선택신호(sel<0>~sel<n>)를 통해 바이어스 전압(BIAS)의 전압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선택신호 'sel<0>'이 인에이블되면, 바이어스 전압(BIAS)은 최저 레벨을 가지며, 선택신호 'sel<n>'이 인에이블되면, 바이어스 전압(BIAS)은 최고 레벨을 갖는다. 아울러, 선택신호(sel<0>~sel<n>) 모두가 디세이블되면 바이어스 전압(BIAS)은 전원전압(VDD) 레벨을 갖는다.The equal interval delay means 610 is configured in series with a plurality of sub chains 640 having the same delay, and a connection no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 chains 640 is provided with a buffer 650 for signal output. Here, the total delay of the equal interval delay means 610 has a delay of 'tTOT (tCMD + tDA-tDD + tDO)' which is a delay difference between the enable signal oe00 and the DLL clock dll_clk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6, the configuration of the sub chain 640 includes a CMOS buffer 641 and an NMOS transistor 642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ground, and an NMOS transistor ( A predetermined delay is applied to the input signal in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of the bias voltage BIAS input to the gate terminal of 642. At this time, since the bias voltage BIAS is input to the plurality of sub chains 640 in common, each sub chain 640 has the same delay. On the other hand, the bias voltage generator 800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 and can adjust the voltage level of the bias voltage BIAS through the selection signals sel <0> to sel <n>. That is, when the selection signal 'sel <0>' is enabled, the bias voltage BIAS has the lowest level, and when the selection signal 'sel <n>' is enabled, the bias voltage BIAS has the highest level. In addition, when all of the selection signals sel <0> to sel <n> are disabled, the bias voltage BIAS has a power supply voltage VDD level.

이하,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른 출력신호 발생부(600)의 구동 방법을 살펴 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driving method of the output signal generator 600 accor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will be described.

예컨데, 카스 레이턴시(CL)가 '9'인 경우, 등 간격 딜레이 수단(610)은 다수의 서브 체인(640)을 8등분하여, 등분된 서브 체인(640)의 출력단으로부터, DLL 클럭(dll_clk)을 딜레이시킨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clk_CL91~clk_CL97,dll_clkd)를 출력한다. 이 때, 제 1 클럭 신호(clk_CL91~clk_CL97,dll_clkd) 중, 입력되는 DLL 클럭(dll_clk)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서브 체인(64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클럭 신호(clk_CL91)는 전술한 'tTOT(tCMD+tDA-tDD+tDO)'의 딜레이를 가진다. 한편, 입력되는 DLL 클럭(dll_clk)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쪽의 제 1 클럭 신호(dll_clkd)는 DLL 클럭(dll_clk)과 동일 딜레이를 가진다.For example, when the cascade latency CL is '9', the equal interval delay means 610 divides the plurality of subchains 640 into eight equal parts, and the DLL clock dll_clk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divided subchains 640. A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clk_CL91 to clk_CL97 and dll_clkd are delayed. At this time, among the first clock signals clk_CL91 to clk_CL97, dll_clkd, the first clock signal clk_CL91 output from the sub-chain 640 farthest from the input DLL clock dll_clk is referred to as' tTOT (tCMD +). tDA-tDD + tDO) '. On the other hand, the first clock signal dll_clkd nearest to the input DLL clock dll_clk has the same delay as the DLL clock dll_clk.

참고적으로, 카스 레이턴시(cl)가 '6'인 경우, 등 간격 딜레이 수단(610)은 다수의 서브 체인(640)을 6등분하여, 등분된 서브 체인(640)의 출력단으로부터, 제 1 클럭 신호(clk_CL61~clk_CL64,dll_clkd)를 출력한다. 물론, 제 1 클럭 신호 중, 입력되는 DLL 클럭(dll_clk)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서브 체인(64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클럭 신호(clk_CL61)는 전술한 'tTOT(tCMD+tDA-tDD+tDO)'의 딜레이를 가진다. 또한, 입력되는 DLL 클럭(dll_clk)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쪽의 제 1 클럭 신호(dll_clkd)는 DLL 클럭(dll_clk)과 동일 딜레이를 가진다. For reference, when the cascade latency cl is '6', the equal interval delay means 610 divides the plurality of subchains 640 into six equal parts, and thus, the first clock from the output terminal of the divided subchains 640. The signals clk_CL61 to clk_CL64 and dll_clkd are output. Of course, the first clock signal clk_CL61 output from the sub-chain 640 farthest from the input DLL clock dll_clk among the first clock signals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tTOT (tCMD + tDA-tDD + tDO)'. Has a delay. The first clock signal dll_clkd nearest to the input DLL clock dll_clk has the same delay as the DLL clock dll_clk.

이후, 다수의 먹스수단(620)은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clk_CL91~clk_CL97,dll_clkd)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clk_CL91~clk_CL97,dll_clkd)를 제 2 클럭 신호(dll_clk_oe10~dll_clk_oe80)로 출력한다. Thereafter, the plurality of mux means 620 receives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clk_CL91 to clk_CL97 and dll_clkd, respectively, and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clk_CL91 to clk_CL97 and dll_clkd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Is output as the second clock signal dll_clk_oe10 to dll_clk_oe80.

쉬프트 레지스터(630)는 상기 다수의 제 2 클럭 신호(dll_clk_oe10~ dll_clk_oe80)를 구동 클럭으로 하며, 제 1 인에이블 신호(oe00)를 쉬프트하여, 각기 지연량이 다른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oe10~oe90)를 출력한다. 여기서, 쉬프트 레지스터(630)는, 각각의 제 2 클럭 신호(dll_clk_oe10~ dll_clk_oe80)를 구동 클럭으로 하며, 직렬 연결된 다수의 다이나믹(dynamic) D 플립플롭(631)으로 구성된다. 즉, 외부클럭에 동기된 제 1 인에이블 신호(oe00)는 주기가 서로 다른 제 2 클럭신호 (dll_clk_oe10~ dll_clk_oe80)에 동기되어 지연량이 다른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oe10~oe80)로 출력되며, 마지막 단의 D 플립플롭(631)에서 출력되는 제 4 인에이블 신호(oe80)는 DLL 클럭(dll_clk)에 동기되어 출력된다.The shift register 630 uses the plurality of second clock signals dll_clk_oe10 to dll_clk_oe80 as driving clocks, and shifts the first enable signal oe00 so that a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oe10 to different delay amounts are provided. output oe90). Here, the shift register 630 uses each of the second clock signals dll_clk_oe10 to dll_clk_oe80 as a driving clock, and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dynamic D flip-flops 631 connected in series. That is, the first enable signal oe00 synchronized to the external clock is output as a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oe10 to oe80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econd clock signals dll_clk_oe10 to dll_clk_oe80 having different periods. The fourth enable signal oe80 output from the D flip-flop 631 of the last stage is output in synchronization with the DLL clock dll_clk.

먹스 수단(70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oe10~oe80)을 수신하고, 논리 조합에 의해 카스 레이턴시(CL)에 대응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를 발생한다. 따라서, 먹스수단(700)은 카스 레이턴시(CL)가 '9'인경우, 제 4 인에이블 신호(oe80)를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로 출력한다.The mux means 700 receives a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oe10 to oe80 as shown in FIG. 8, and outputs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corresponding to the cascade latency CL by a logical combination. Occurs. Therefore, the mux means 700 outputs the fourth enable signal oe80 as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when the cas latency latencies CL is '9'.

도 9는 카스 레이턴시(CL)가 '6'일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의 동작 파형도를 나타낸다.9 illustrates an operation waveform diagram of the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ascade latency CL is '6'.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명령(READ)이 인가되면, 인에이블 신호(oe00)는 외부클럭(CLK)에 동기되어 'tCMD+tDA' 딜레이 후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500)로부터 출력된다. 이 후, 출력신호 발생부(600)는 인에이블 신호(oe00)와 DLL 클럭과(dll_clk)의 딜레이 차이인 'tTOT(tCMD+tDA-tDD+tDO)'의 딜레이를 보상하고, 최종적으로, 인에이블 신호(oe00)를 DLL 클럭(rclk_dll,fclk_dll)에 동기시킨 제 4 인 에이블 신호(oe50)을 출력한다. 다음, 제 1 먹스 수단(700)은 카스 레이턴시(CL6)에 의해 제 4 인에이블 신호(oe50)을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로 출력하고, 이 신호를 수신한 출력 드라이버(도시안됨)는 외부 클럭(CLK)을 기준으로, 리드 명령(READ)명령이 인가된지 6 클럭 후에(eclk6) 데이터(DQ)를 출력한다.As shown, when the read command READ is applied, the enable signal oe00 is output from the enable signal generator 500 after a 'tCMD + tDA' delay in synchronization with the external clock CLK. Thereafter, the output signal generator 600 compensates for the delay of 'tTOT (tCMD + tDA-tDD + tDO)', which is a delay difference between the enable signal oe00 and the DLL clock dll_clk. The fourth enable signal oe50 is output by synchronizing the enable signal oe00 with the DLL clocks rclk_dll and fclk_dll. Next, the first mux means 700 outputs the fourth enable signal oe50 as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by the CAS latency CL6, and the output driver (not shown) receiving the signal is external. The data DQ is output 6 clocks after the read command READ command is applied (eclk6) based on the clock CLK.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부는, 기존의 회로에 구비된 다수의 딜레이 라인을 대신하여 등 간격 딜레이 수단(610)을 구비하였다. 이는, 동일한 딜레이를 갖는 다수의 서브 체인으로 구성됨으로써, 메모리 장치의 고속 동작에서도, 카스 레이턴시에 따른 정확한 딜레이 조절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 회로는, 고속 동작의 메모리 장치에서도, 정확한 딜레이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리드 명령(readp)의 짧은 펄스 구간을 정확히 래치할 수 있다. 또한, 쉬프트 레지스터(630)에 사용된 일반적인 D 플립플롭을 대신하여, 대기상태시 출력노드를 플로팅 상태로 유지하는 다이나믹 D 플립플롭(631)을 사용함으로써, 고속동작에 유리하다.As described above, the output enable signal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qual interval delay means 610 in place of a plurality of delay lines provided in the existing circuit. This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 chains having the same delay, so that even in high-speed operation of the memory device, accurate delay adjustment according to cas latency can be performed. In other words, the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curately latch a short pulse section of a read command as the delay can be adjusted accurately even in a high-speed memory device. In addition, instead of the general D flip-flop used in the shift register 630, by using the dynamic D flip-flop 631, which keeps the output node in a floating state in the standby state, it is advantageous for high speed operation.

본 발명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높은 주파수에서도 안정된 딜레이 조절에 가능함에 따라, 리드 명령의 짧은 펄스 구간을 정확히 래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latch the short pulse section of the read command a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able delay even at a high frequency.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사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so limited, and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readily appreciate that the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Claims (6)

메모리 장치의 내부 커맨드와 지연 고정 루프로부터 제공되는 DLL 클럭을 조합하여, 카스 레이턴시(CL)에 맞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를 발생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combining an internal command of the memory device with the DLL clock provided from the delay locked loop to generate an output enable signal (outen) suitable for the cascade latency (CL); 상기 내부 커맨드를 수신하여, 외부 클럭에 동기된 제 1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인에이블 신호 발생부; An enable signal generator which receives the internal command and outputs a first enable signal synchronized with an external clock; 동일 지연량을 갖는 다수의 서브 체인을 포함하며,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선택되는 상기 서브 체인의 수를 달리함으로써, 상기 DLL 클럭을 각기 다른 지연량을 갖는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로 출력하는 등 간격 딜레이 수단;It includes a plurality of sub chains having the same delay amount, and outputs the DLL clock as a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by varying the number of the sub chains selected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CL) Equal interval delay means; 상기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1 클럭 신호 중 하나를 제 2 클럭 신호로 출력하는 다수의 제 1 먹스 수단;A plurality of first mux means for receiving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and outputting one of the plurality of first clock signals as a second clock signal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CL); 상기 다수의 제 2 클럭 신호를 구동 클럭으로 하며, 상기 제 1 인에이블 신호를 쉬프트하여, 각기 지연량이 다른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는 쉬프트 레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An output enable signal comprising a plurality of second clock signals as driving clocks, shift shifting the first enable signal, and outputting a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having different delay amounts; Generating circui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등 간격 딜레이 수단은,The equal interval delay means, 직렬 연결된 상기 다수의 서브 체인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서브 체인의 접속 노드 각각에는 데이터 출력을 위한 버퍼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And a plurality of sub-chains connected in series, each of the access nodes of the plurality of sub-chains being provided with a buffer for outputting dat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서브 체인은, The sub chain, 전원 전압과 접지 사이에 직렬 연결된 CMOS 버퍼 및 NMOS 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로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And a CMOS buffer and an NMOS transistor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power supply voltage and a ground, and receiving a bias voltage through a gate terminal of the NMOS transisto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서브 체인은, The sub chain, 상기 바이어스 전압에 의해 상기 CMOS 버퍼로 입력되는 신호의 지연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인에이블 생성회로.And a delay amount of a signal input to the CMOS buffer by the bias voltag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쉬프트 레지스터는, The shift register, 다수의 다이나믹(dynamic) D 플리플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인에이블 생성회로.And an output enable generation circuit comprising a plurality of dynamic D flip-flops.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는,The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상기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카스 레이턴시(CL)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 4 인에이블 신호 중 하나를 상기 출력 인에이블 신호(outen)로 출력하는 제 2 먹스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인에이블 신호 생성회로.Second mux means for receiving the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and outputting one of the plurality of fourth enable signals as the output enable signal (outen) according to the cas latency (CL); And a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comprising:
KR1020050053636A 2005-06-21 2005-06-21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Expired - Fee Related KR1006083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636A KR100608382B1 (en) 2005-06-21 2005-06-21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3636A KR100608382B1 (en) 2005-06-21 2005-06-21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8382B1 true KR100608382B1 (en) 2006-08-08

Family

ID=37184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36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8382B1 (en) 2005-06-21 2005-06-21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38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1296A (en) 1998-08-17 2000-05-09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ple data clock activation with programmable delay for use in multiple CAS latency memory devices
JP2002271181A (en) 2001-03-14 2002-09-20 Denso Corp Shift clock generating unit
KR20030047028A (en) * 2001-12-07 2003-06-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device
JP2004023462A (en) 2002-06-17 2004-01-22 Nec Electronics Corp Pll circuit and phase difference detecting circu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1296A (en) 1998-08-17 2000-05-09 Vanguard International Semiconductor Corporation Multiple data clock activation with programmable delay for use in multiple CAS latency memory devices
JP2002271181A (en) 2001-03-14 2002-09-20 Denso Corp Shift clock generating unit
KR20030047028A (en) * 2001-12-07 2003-06-1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device
JP2004023462A (en) 2002-06-17 2004-01-22 Nec Electronics Corp Pll circuit and phase difference detecting circu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9683B1 (en) Timing circuit for command path in a memory device
US11087806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djusting delay of command signal path
US10290336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including command delay adjustment circuit
KR100832007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6333959B1 (en) Cross feedback latch-type bi-directional shift register in a delay lock loop circuit
US8115529B2 (en)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evice
US8536914B2 (en) DLL including 2-phase delay line and duty correction circuit and duty correction method thereof
US7675797B2 (en) CAS latency circuit an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745044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increased domain crossing margin
US20070069777A1 (en) DLL driver control circuit
US10636463B2 (en) Techniques for command synchronization in a memory device
US9601170B1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djusting a delay of a command signal path
US6815985B2 (en) Clock divider and method for dividing a clock signal in a DLL circuit
KR19980018654A (en) Semiconductor Devices, Semiconductor Systems, and Digital Delay Circuits
KR100543937B1 (en) Data output control circuit
US7298189B2 (en) Delay locked loop circuit
US7154311B2 (en) Delay locked loop i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locking method thereof
US723353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data output timing of memory device and device therefor
US9373374B2 (en) Semiconductor apparatus capable of self-tuning a timing margin
KR20080043562A (en) DLL circuit and its control method
US7884661B2 (en) Clock generator circuit, method of clock generating, and data output circuit using the clock 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KR100608382B1 (en) Output Enable Signal Generation Circuit
US7508271B2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having phase locked loop
KR20030080534A (en) Synchronous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6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