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8101B1 -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 - Google Patents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101B1
KR100608101B1 KR1020040019807A KR20040019807A KR100608101B1 KR 100608101 B1 KR100608101 B1 KR 100608101B1 KR 1020040019807 A KR1020040019807 A KR 1020040019807A KR 20040019807 A KR20040019807 A KR 20040019807A KR 100608101 B1 KR100608101 B1 KR 100608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memory
usb
memory device
memory devices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618A (ko
Inventor
송재명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9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101B1/ko
Priority to US11/027,957 priority patent/US7257747B2/en
Priority to TW094100247A priority patent/TWI253503B/zh
Priority to CN200510005298A priority patent/CN100585414C/zh
Priority to DE102005005373A priority patent/DE102005005373A1/de
Publication of KR2005009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317Testing of digital circuits
    • G01R31/3181Functional testing
    • G01R31/319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 G01R31/31903Tester hardware, i.e. output processing circuits tester configuration
    • G01R31/31905Interface with the device under test [DUT], e.g. arrangements between the test head and the DUT, mechanical aspects, fixtu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56External testing equipment for static stores, e.g. automatic test equipment [ATE]; Interface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9/00Checking stores for correct operation ; Subsequent repair; Testing stores during standby or offline operation
    • G11C29/56External testing equipment for static stores, e.g. automatic test equipment [ATE]; Interfaces therefor
    • G11C29/56016Apparatus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00Testing or measuring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Reliability measurements, i.e. testing of parts without further processing to modify the parts as such; Structural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 Manipulator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트레이 승강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됨과 아울러 트레이 로더/언로더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레이와, XY 갠트리에 의해 X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트레이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케이스를 제1픽커로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킴과 아울러 USB 메모리장치를 진공흡착시 USB 커넥터를 제2픽커로 진공흡착한 후 진공압력 변동을 이용하여 USB 커넥터의 장착방향을 감지하는 로딩/언로딩 픽킹수단과, 로딩/언로딩 픽핑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USB 커넥터가 돌출되도록 장착되면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상측면이 플런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셔틀이송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셔틀수단과, 셔틀이송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셔틀수단에서 돌출된 USB 커넥터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USB 포트(port)로 이루어진 테스트 소켓이 장착되는 테스트 보드로 구성하여, USB 메모리장치를 자동으로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핸들러, 트레이, 셔틀, USB 메모리, 자동 테스트

Description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Test Handler and Picking Apparatus for USB Memory Device}
도 1은 일반적인 USB 메모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의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트레이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노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노즐의 저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USB 메모리장치의 제2픽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되 셔틀의 사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셔틀과 테스트보드의 측면도,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플런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USB 커넥터 2: 케이스
10: USB 메모리장치 20: 트레이
30: 로딩/언로딩 픽킹수단 40: 셔틀수단
60: 테스트보드
본 발명은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면 다수개의 유에스비 메모리장치를 동시에 자동으로 전기적 특성을 테스트(test)할 수 있는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이하, USB로 칭함)포트(port)는 컴퓨터 주변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protocol)로 사용되며, USB포트는 모든 컴퓨터 주변기기들이 동일한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컴퓨터에서 완벽한 플러그 앤 플레이(play and plug)기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USB포트의 표준 프로토콜이 적용된 장비를 컴퓨터에 추가했을 때 별도의 시스템 설정 없이 컴퓨터의 운영체제에서 새로운 주변기기로 자동으로 인식하여 추가하게 된다. 이러한 USB포트를 이용한 주변기기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출력할 수 있는 USB 메모리장치가 사용된다.
USB 메모리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케이스(2)의 내측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도시않음)에 USB 클라이언트 칩(client chip)과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장착된 후, 인쇄회로기판과 USB 커넥터(connector)(1)가 USB 클라이언트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후 인쇄회로기판을 케이스(2)를 감싸 조립하여 USB 메모리장치(10)를 조립하게 된다.
여기서, USB 커넥터(1)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홀(hole)(1a)이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절연부재(1b)가 삽입되고, 그 내측에는 절연부재(1b)가 설치되며, 절연부재(1b)의 상측면에는 다수개의 리드(lead)(도시않음)가 설치되고, 다수개의 리드는 USB 커넥터(1)가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할 때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된 USB 클라이언트 칩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조립된다.
USB 메모리장치의 조립이 완료되면 전기적인 특성이 양호한지 여부를 테스트하게 되는데 컴퓨터를 이용하여 테스트를 실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작업자가 직접 USB 메모리장치를 테스트용 컴퓨터의 USB 포트에 삽입한 후 그 결과를 점검하여 조립이 완료된 USB 메모리장치의 전기적 특성이 불량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종래와 같이 USB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기 위해 작업자가 USB 메모리장치를 직접 컴퓨터의 USB 포트에 삽입하여 전기적 특성을 테스트하는 경우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테스트 작업의 생산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테스트 작업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이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를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으로 픽킹(picking)하여 테스트 소켓(test socket)에 직접 삽입하여 자동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트레이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를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으로 픽킹(picking)하여 셔틀(shuttle)로 이송한 후 셔틀에 장착된 USB 메모리장치를 테스트 소켓(test socket)에 삽입하여 자동으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를 동시에 테스트할 수 있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전기적인 특성을 동시에 검사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USB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는 트레이(tray), 로딩/언로딩 픽킹(loading/unloading picking)수단, 셔틀(shuttle)수단 및 테스트보드(test boar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레이는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트레이 승강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됨과 아울러 트레이 로더/언로더(tray loader/unloader)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고,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은 XY 갠트리에 의해 X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트레이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케이스(case)를 제1픽커(picker)로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킴과 아울러 USB 메모리장치를 진공흡착시 USB 커넥터(connector)를 제2픽커로 진공흡착한 후 진공압력 변동을 이용하여 USB 커넥터의 장착방향을 감지하며, 셔틀수단은 로딩/언로딩 픽핑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USB 커넥터가 돌출되도록 장착되면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상측면이 플런저(plunger)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셔틀이송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며, 테스트보드는 셔틀이송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셔틀수단에서 돌출된 USB 커넥터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USB 포트(port)로 이루어진 테스트 소켓(test socket)이 장착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USB 메모리장치의 핸들러는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가 장착된 상태에서 트레이 승강장치(11)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됨과 아울러 트레이 로더/언로더(14, 15)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레이(20)와, XY 갠트리(12, 13)에 의해 X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트레이(20)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제1픽커(31: 도 4에 도시됨)로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킴과 아울러 USB 메모리장치(10)를 진공흡착시 USB 커넥터(1)를 제2픽커(33: 도 4에 도시됨)로 진공흡착한 후 진공압력 변동을 이용하여 USB 커넥터(1)의 장착방향을 감지하는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과, 로딩/언로딩 픽핑수단(3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의 USB 커넥터(1)가 돌출되도록 장착되면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의 상측면이 플런저(53: 도 8에 도시됨)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셔틀이송장치(5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셔틀수단(40)과, 셔틀이송장치(5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셔틀수단(40)에서 돌출된 USB 커넥터(1)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USB 포트(61a: 도 8에 도시됨)로 이루어진 테스트 소켓(61: 도 8에 도시됨)이 장착되는 테스트보드(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1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3 내지 도 7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레이(20)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가 장착된 상태에서 트레이 승강장치(11)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됨과 아울러 트레이 로더/언로더(14, 15)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된다. 트레이 승강장치(11)는 트레이(20)를 수직방향 즉, 도 2에 도시된 트레이(10)가 도면을 뚫고 지나는 아래나 위방향으로 승/하강시키며, 트레이 로더/언로더(14, 15)는 트레이(20)를 수평방향 즉,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A'가 지시하는 Y축방향으로 트레이(2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트레이 승강장치(11) 및 트레이 로더/언로더(14, 15)는 테스트 핸들러(100)에서 트레이(20)를 승/하강시커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반적인 기구가 적용된다.
트레이 승강장치(11) 및 트레이 로더/언로더(14, 1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거나 Y축방향으로 이동시 트레이(20)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가 이송 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장착홈(21)이 형성된다. 다수개의 제1장착홈(21)이 형성된 트레이(20)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100)의 일측에 소정 간격으로 인접되도록 각각 복수개가 배치되어 하나는 테스트될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가 장착되며, 나머지 하나는 테스트가 완료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가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복수개가 배치된 트레이(10)에 장착된 USB 메모리장치(10)를 테스트 위치로 로딩하거나 테스트가 완료된 USB 메모리장치(10)를 언로딩하기 위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은 볼스크류(ball screw) 등으로 구성되는 직선이동기구인 XY 갠트리(12, 13)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점선(30a)으로 그려진 영역 내에서 X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트레이(20)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이송시킨다. 이를 위해 로딩/언로딩픽킹수단(30)은 USB 메모리장치(10)를 픽킹하기 위해 제1픽커(31)와 제2픽커(33)로 구성된다.
제1픽커(31)는 도 4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배열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진공흡착함과 동시에 제1픽커(31)의 각각의 전 단에 USB 메모리장치(10)의 USB 커넥터(1)를 진공흡착하도록 다수개의 제2픽커(33)가 설치된다. 제1픽커(31)와 제2픽커(33)는 각각 USB 메모리장치(10)의 케이스(2)와 USB 커넥터(1)를 각각 흡착하도록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USB 메모리장치(10)를 이송시킴과 동시에 제2픽커(33)의 제2노즐(nozzle)(34)에 흡착되는 진공압력 변동을 이용하여 USB 커넥터(1)의 장착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2노즐(34)를 통해 진공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진공압력센서 및 제어기(도시 않음)를 이용하게 된다.
USB 메모리장치(10)를 수평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해 케이스(2)의 상측면을 흡착하는 제1픽커(31)는 그 일단에 제1노즐(32)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제1노즐(32)의 내측은 장공의 형상을 갖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원형상을 갖는 노즐(35a)이 복수개가 설치되어 구성되며, USB 메모리장치(10)의 장착방향을 감지하기 위한 제2픽커(33)는 도 6에서와 같이 USB 커넥터(1)로 광을 조사한 후 반사되는 광이미지를 이용하여 USB 커넥터(1)의 장착방향을 감지하는 영상감지장치(36)가 적용될 수 있다.
영상감지장치(36)는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의 다수개의 제1픽커(31)의 정면에 설치되어 발광장치(36b)에서 USB 커넥터(1)로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광이 반사되어 형성되는 광이미지를 발광장치(36b)의 일측에 설치된 비젼장치(36a)에서 수신받아 USB 커넥터(1)의 장착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비젼장치(36a)는 카메라가 적용되며, 발광장치(36b)는 발광다이오드 등이 적용된다.
로딩/언로딩 픽핑수단(30)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다수개의 USB 메모리 장치(10)가 USB 커넥터(1)가 돌출되도록 셔틀수단(40)으로 이송된다. 셔틀수단(40)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B'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셔틀이송장치(51)에 의해 수평방향 즉 Y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때, 셔틀수단(40)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가 이송 중에 이탈되지 않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2장착홈(41)이 형성된다.
다수개의 제2장착홈(41)에 장착된 USB 메모리장치(1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의 상측면이 플런저(53: 도 8에 도시됨)에 의해 지지하게 되고, 플런저(53)는 도 9a에 도시된 USB 메모리장치(10)와 같이 USB 커넥터(1)를 보호하기 위해 노브(nob)(10a)와 가이드홈(10b)이 구비된 경우에 가이드홈(10b)을 따라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되는 노브(10b)를 도 9b에서와 같이 USB 메모리장치(10)에서 USB 커넥터(1)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지지할 수 있도록 노브(10a)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53a)가 그 일측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USB 메모리장치(10)를 지지하는 플런저(53)는 셔틀수단(4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셔틀수단(40)에 위치한 USB 메모리장치(10)를 지지하기 위해 일반적인 수평 및 수직이동장치(도시 않음)가 적용된다. 즉, 셔틀수단(40)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셔틀수단(40)에 USB 메모리장치(10)가 장착된 후 셔틀수단의 상측을 덮어 USB 메모리장치(10)를 지지하기 위해 볼스크류(ball screw) 등과 같은 수평 및 수직이동장치가 적용된다.
셔틀수단(40)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910)가 플러저(5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테스트보드(60)로 이동되면 테스트보드(60)에 장착된 테스트 소켓(61: 도 8에 도시됨)에 구비된 다수개의 USB 포트(61a: 도 8에 도시됨)로 셔틀수단(40)에서 돌출된 USB 커넥터(1)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에 통해 테스트보드(60)는 USB 메모리장치(10)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USB 메모리장치(10)의 작용을 첨부된 도 2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와 같이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100)의 전단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트레이 승강장치(11)가 설치되고, 일측에 설치된 트레이 승강장치(11)에 테스트될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가 장착된 트레이(20)가 장착되면, 트레이 로더/언로더(14, 15)가 트레이 승강장치(11)가 위치한 곳으로 수평 이동하면, 트레이 승강장치(11)에 장착된 트레이(10)를 수직방향으로 상승시켜 트레이 로더/언로더(14, 15)가 트레이(10)를 홀딩(holding)하여 로딩위치로 이송한다. 여기서 로딩위치는 트레이로더(14)가 위치한 곳이며, 트레이(10)가 로딩위치로 이송되면 로딩/언로딩픽킹수단(30)의 제1픽커(31) 및 제2픽커(33)가 소정 개수의 USB 메모리장치(10)를 픽킹하여 셔틀수단(40)으로 이송시킨다.
셔틀수단(40)은 USB 메모리장치(10)를 이송시킬 때 제1픽커(31)는 USB 메모리장치(10)의 케이스(2)를 흡착하고, 제2픽커(14)는 USB 커넥터(33)를 흡착한다. 제2픽커(14)가 USB 커넥터(33)를 흡착시 USB 커넥터(1)의 양측면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홀(1a: 도 1에 도시됨) 중 어느 하나는 절연부재(1b: 도 1에 도시됨)에 의해 막히게 되어 진공흡착의 압력이 서로 다르게 되어 진공흡착 압력의 변동에 의해 USB 메모리장치(10)가 원하는 소정의 방향으로 트레이(2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예를들어, 제2픽커(33)가 USB 커넥터(1)에서 절연부재(1b)에 의해 막힌 복수개의 홀(1a)이 형성된 면을 흡입하는 경우와 그 반대측면을 흡입하는 경우에 제2픽커(33)에 형성되는 압력의 차이가 발생되어 이를 이용하여 USB 메모리장치(10)의 장착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여기서 물론 판단여부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100)에 적용된 제어부(도시 않음)에 의해 판단하고, 판단결과로 USB 메모리장치(10)가 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지 않으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은 원하지 않은 방향으로 트레이(20)에 장착된 USB 메모리장치(10)를 버퍼장치(16)으로 이송시킨다.
트레이(20)에 원하지 않은 방향으로 장착되지 않은 USB 메모리장치(10)가 제거되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은 나머지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셔틀수단(40)으로 이송한다. 셔틀수단(40)은 도 2에서와 같이 X축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배치되며, 각각의 셔틀수단(40)으로 소정의 USB 메모리장치(10)가 장착되면 셔틀수단(40)의 상측면을 화살표 'C' 및 'D'으로 이동되는 플런저(53)가 감싸 USB 메모리장치(10)를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셔틀수단(40)은 셔틀 이송장치(51)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시켜 셔틀수단(40)의 일측으로 돌출된 USB 커넥터(1)를 테스트 보드(60)의 테스트 소켓(61)에 설치된 USB 포트(61a)에 삽입하여 USB 메모리장치(10)를 테스트하게 된다.
USB 커넥터(1)가 USB 포트(61a)로 삽입시 삽입되는 힘에 의해 USB 메모리장치(10)가 셔틀수단(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런저(53)가 USB 메모리장치(10)를 지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테스트가 완료되면 셔틀수단(40)은 다시 반대방향으로 이송된 후 불량이 발생된 USB 메모리장치(10)는 버퍼장치(16)로 분류되고 나머지 정상적인 USB 메모리장치(10)는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에 의해 언트레이 언로더(15)가 위치한 로딩 위치로 이송된 후 트레이 승강장치(11)로 이송되어 배출되어 USB 메모리장치(10)를 테스트하게 된다. 여기서, 트레이 승강장치(11), 트레이 로더/언로더(14, 15), 셔틀이송장치(51) 및 플런저 이송장치(도시 않음) 등은 직선운동기구인 볼스크류 등이 적용되어 트레이(20), 셔틀수단(40) 및 플런저(51)를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셔틀수단(40)을 이용하지 않고 USB 메모리장치(10)를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을 이용하여 도 8에 도시된 테스트 보드(60)의 테스트 소켓(61)에 설치된 USB 포트(61a)에 직접 삽입하여 USB 메모리장치(10)를 테스트하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을 이용하여 테스트 소켓(61)에 설치된 USB 포트(61a)에 삽입하기 위해 먼저, USB 메모리장치(10)를 도 2에서와 같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장착한 상태에서 트레이(10)는 트레이 승강장치(11)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됨과 아울러 트레이 로더/언로더(14,15)에 도 3에 도시된 화살표 'A'방향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이 USB 메모리장치(10)를 픽킹할 수 있는 위치로 로딩된다.
트레이(10)가 픽킹 위치로 로딩되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은 XY 갠트리(12,13: 도 2에 도시됨)에 의해 X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되어 트레이(10)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다수개의 제1픽커(31: 도 4에 도시됨)로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킴과 아울러 USB 메모리장치(10)를 진공흡착시 USB 커넥터(1)를 제2픽커(33: 도 4에 도시됨)로 진공 흡착한 후 진공압력 변동을 이용하여 USB 커넥터(1)의 장착방향을 감지한다.
감지 결과,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에 커모두 바르게 픽킹되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은 픽킹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테스트 소켓(61: 도 8에 도시됨)에 설치된 USB 포트(61a: 도 8에 도시됨)에 USB 커넥터(1)를 삽입하여 테스트하게 된다. 이를 위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은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픽킹시 USB 커넥터(1)가 USB 포트(61a)을 향하도록 픽킹하며, 제2픽커(33)는 USB 커넥터(1)의 장착방향이 감지되면 USB 커넥터(1)의 흡착상태를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제1픽커(31)가 USB 메모리장치(10)을 진공흡착 한 후 XY 갠트리(12,13)에 의해 X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되어 USB 커넥터(1)를 USB 포트(61a)에 삽입하게 되고, 만일, USB 메모리장치(30)의 픽킹시 장착방향이 바르지 않은 것이 감지되면, 올바르게 픽킹되지 않은 USB 메모리장치(30)를 버퍼장치(16: 도 2에 도시됨)로 이송한다.
이와 같이 셔틀수단(40)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USB 포트(61a)에 삽입하기 위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에 의해 픽킹된 USB 메모리장치(10)의 USB 커넥터(1)의 수직높이는 USB 포트(61a)의 수직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픽킹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테스트하기 위해 픽킹하는 픽킹장치에 있어서, 제1픽커(31: 도 4에 도시됨)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USB 메모리장치(10)를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키며, 이송된 USB 메모리장치의 USB 커넥터를 제2픽커(33: 도 4에 도시됨)에 의해 진공 흡착하게 된다. 제2 픽커(33)는 제1픽커(31)가 USB 메모리장치(10)를 흡착시 동시에 흡착하거나 제1픽커(31)에 의해 흡착된 상태에서 이송 중에 제2픽커(33)가 USB 메모리장치(10)의 장착방향을 감지하기 위해 USB 커넥터(1)를 흡착하고 그 흡착되는 압력을 압력센서(도시 않음)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측정결과를 제어기(도시 않음)로 전송하여 따라 USB 커넥터의 장착방향을 감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자동으로 다수의 USB 메모리장치(10)를 테스트하는 경우에 보다 신속하고 대량으로 USB 메모리장치(10)를 테스트하기 위해 도 8에서와 같이 셔틀수단(40)을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로딩/언로딩 픽킹수단(30)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USB 포트(61a)에 삽입하여 테스트함으로써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10)를 자동으로 보다 신속하게 테스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를 로딩/언로 픽킹수단을 이용하여 셔틀수단에 이송시킨 후 테스트하거나 셔틀수단 없이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을 이용하여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를 직접 테스트 소켓에 삽입하여 테스트함으로써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를 자동으로 보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테스트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1)

  1. USB 메모리장치를 테스트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트레이 승강장치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됨과 아울러 트레이 로더/언로더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트레이; 및
    XY 갠트리에 의해 X 및 Y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트레이에 장착된 상기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를 제1픽커로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킴과 아울러 USB 메모리장치를 진공흡착시 USB 커넥터를 제2픽커로 진공흡착한 후 진공압력 변동을 이용하여 USB 커넥터의 장착방향을 감지하는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가 장착되어 지지되도록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장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픽커는 상기 USB 커넥터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USB 커넥터의 장착방향을 감지하는 비젼장치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장치는 상기 USB 커넥터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 상기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USB 커넥터가 돌출되도록 장착되면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의 상측면이 플런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셔틀이송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셔틀수단; 및
    상기 셔틀이송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셔틀수단에서 돌출된 상기 USB 커넥터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다수개의 USB 포트로 이루어진 테스트 소켓이 장착된 테스트보드를 추가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은 상기 테스트보드에서 테스트가 완료된 셔틀수단에 장착된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를 상기 트레이로 언로딩시킴과 아울러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판정된 USB 메모리장치를 버퍼장치로 이송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수단은 상기 로딩/언로딩 픽킹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다수개의 USB 메모리장치가 장착되도록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2장착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셔틀수단의 플런저는 상기 USB 메모리장치의 일측면에 상기 USB 커넥터를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노브가 설치된 경우에 상기 USB 커넥터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노브를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가 그 일측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9. USB 메모리장치를 픽킹 하는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한개 이상의 USB 메모리장치;
    상기 USB 메모리장치를 진공흡착하여 이송시키는 제1 픽커;
    상기 이송된 USB 메모리장치의 USB 커넥터를 진공 흡착하는 제2 픽커; 및 상기 제2 픽커가 흡착한 USB 커넥터의 진공압력을 측정하여 그 변동 여부에 따라 USB 커넥터의 장착방향을 감지하는 제어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픽킹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픽커는 상기 USB 커넥터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USB 커넥터의 장착방향을 감지하는 비젼장치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픽킹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비젼장치는 상기 USB 커넥터로 광을 조사하는 발광장치가 추가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USB 메모리장치의 픽킹장치.
KR1020040019807A 2004-03-23 2004-03-23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 KR100608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807A KR100608101B1 (ko) 2004-03-23 2004-03-23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
US11/027,957 US7257747B2 (en) 2004-03-23 2005-01-04 Apparatus for testing USB memory and method thereof
TW094100247A TWI253503B (en) 2004-03-23 2005-01-05 Apparatus for testing USB memory and method thereof
CN200510005298A CN100585414C (zh) 2004-03-23 2005-02-04 用于检测usb存储器的装置及其方法
DE102005005373A DE102005005373A1 (de) 2004-03-23 2005-02-05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Prüfung von USB-Speicher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9807A KR100608101B1 (ko) 2004-03-23 2004-03-23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18A KR20050094618A (ko) 2005-09-28
KR100608101B1 true KR100608101B1 (ko) 2006-08-02

Family

ID=34991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9807A KR100608101B1 (ko) 2004-03-23 2004-03-23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57747B2 (ko)
KR (1) KR100608101B1 (ko)
CN (1) CN100585414C (ko)
DE (1) DE102005005373A1 (ko)
TW (1) TWI2535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71B1 (ko) * 2005-06-30 2007-05-28 (주) 핸들러월드 메모리모듈 삽입분리장치
CN100458725C (zh) * 2005-12-23 2009-02-04 英业达股份有限公司 利用通用串行总线端口连接测试装置进行测试的方法
CN100498356C (zh) * 2006-05-30 2009-06-10 鸿劲科技股份有限公司 Ic检测机
CN100498355C (zh) * 2006-05-30 2009-06-10 鸿劲科技股份有限公司 记忆卡检测机
KR100828407B1 (ko) * 2007-03-13 2008-05-08 미래산업 주식회사 유에스비 메모리소자의 테스트 핸들러
CN101276304A (zh) * 2007-03-30 2008-10-0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Pcie 测试卡
US8095234B2 (en) * 2008-04-17 2012-01-10 Teradyne, Inc. Transferring disk drives within disk drive testing systems
CN101901634B (zh) * 2009-05-26 2013-01-02 鸿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usb存储器测试分类机
CN102194526B (zh) * 2010-03-02 2014-06-25 复格企业股份有限公司 检测系统及检测方法
JP5587112B2 (ja) * 2010-09-21 2014-09-10 中国電力株式会社 データ保存時間設定機能付き可搬型携帯記憶装置
US8651884B1 (en) * 2012-04-10 2014-02-18 Google Inc. Ejectable memory card tray in a universal serial bus (USB) connector
CN102818727B (zh) * 2012-07-31 2015-07-29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usb测试公头
KR20140111146A (ko) 2013-03-08 201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검사 장치
KR20160137865A (ko) * 2015-05-22 2016-12-0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의 메모리 검사 장치
KR102464227B1 (ko) * 2016-03-02 2022-11-0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KR20180061854A (ko) *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카메라 모듈용 소켓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장치
CN106872734B (zh) * 2017-02-27 2019-05-14 上海晨骏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usb插头检测治具
US11754622B2 (en) 2020-10-22 2023-09-12 Teradyne, Inc. Thermal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ed test system
US11867749B2 (en) 2020-10-22 2024-01-09 Teradyne, Inc. Vision system for an automated test system
US11899042B2 (en) 2020-10-22 2024-02-13 Teradyne, Inc. Automated test system
US11754596B2 (en) 2020-10-22 2023-09-12 Teradyne, Inc. Test site configuration in an automated test system
US11953519B2 (en) 2020-10-22 2024-04-09 Teradyne, Inc. Modular automated test system
US12007411B2 (en) 2021-06-22 2024-06-11 Teradyne, Inc. Test socket having an automated li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5547A (en) * 1996-11-26 1999-11-30 Ericsso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between cellular bit streams and wireline waveforms
US6343260B1 (en) 1999-01-19 2002-01-29 Sun Microsystems, Inc. Universal serial bus test system
EP1217426B1 (en) * 2000-07-03 2007-05-16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transmission screen and transmission screen
JP2002071154A (ja) * 2000-08-30 2002-03-08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3821763B2 (ja) * 2001-12-27 2006-09-13 コクヨ株式会社 綴じ具
KR200305901Y1 (ko) * 2002-12-06 2003-03-03 주식회사 텔사인 Usb 하드 드라이브를 이용한 차량 데이터 수집 및차량 진단 시스템
US7913242B2 (en) * 2003-11-04 2011-03-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Low cost, open approach for vehicle software installation/updating and on-board diagnostics
US8743432B2 (en) * 2004-02-05 2014-06-0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SB device with PictBridge cap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18A (ko) 2005-09-28
CN100585414C (zh) 2010-01-27
TW200532221A (en) 2005-10-01
DE102005005373A1 (de) 2005-10-20
US7257747B2 (en) 2007-08-14
TWI253503B (en) 2006-04-21
CN1673760A (zh) 2005-09-28
US20050216811A1 (en) 2005-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101B1 (ko) 유에스비 메모리장치의 테스트 핸들러 및 픽킹장치
KR101278010B1 (ko) 전자 부품 장착기 및 장착 방법
KR100226096B1 (ko) 반도체장치 반송처리장치
KR100747078B1 (ko) 반송장치 및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CN110211889B (zh) 检查系统
TWI445976B (zh) 模組積體電路分選機及模組積體電路分選機的上載方法
WO2012077881A1 (ko) 엘이디 칩 검사장치
JP4999502B2 (ja) 部品移載装置及び表面実装機
JP4401616B2 (ja) 電子部品検査装置
JP2916447B2 (ja) Icパッケージのリードピン検査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28407B1 (ko) 유에스비 메모리소자의 테스트 핸들러
KR101766594B1 (ko) 어댑터 유닛 내장 로더실
US20080157807A1 (en) Picker for use in a handler and method for enabling the picker to place packaged chips
JP2008153458A (ja) 電子部品の移載装置及び表面実装機
KR101187306B1 (ko) 반송장치 및 전자부품 핸들링 장치
JP2003262658A (ja) 電子部品検査装置
JP3971214B2 (ja) 電子部品検査装置
JP3254644B2 (ja) 半田ボール供給装置
JP3368577B2 (ja) ハンドラの恒温槽内のデバイス搬送機構
CN211440073U (zh) 用于机械臂的吸附头的位置校准装置
JP2607752Y2 (ja) 自動テストハンドラー用ピック・プレース装置
JP4675833B2 (ja) 部品の厚み測定方法、実装方法、部品の厚み測定装置、および、部品実装機
JP2985532B2 (ja) Icデバイスの移載方法
KR20240163030A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테스트소켓
JP2003262659A (ja) 電子部品検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