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7572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572B1
KR100607572B1 KR1020030067928A KR20030067928A KR100607572B1 KR 100607572 B1 KR100607572 B1 KR 100607572B1 KR 1020030067928 A KR1020030067928 A KR 1020030067928A KR 20030067928 A KR20030067928 A KR 20030067928A KR 100607572 B1 KR100607572 B1 KR 10060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cover
manhole
height adjustment
adjustment r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7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1690A (ko
Inventor
황의철
Original Assignee
(주) 시흥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시흥,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 시흥
Priority to KR1020030067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572B1/ko
Publication of KR2005003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02D29/1409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adjustable in height or incl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1Heigh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보수공사등에 의하여 지면을 덧씌우게 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맨홀뚜껑의 위치에 비례하여 지면의 높이가 높아져 요철부를 형성하여 차량 주행시 대형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상기 맨홀틀과 맨홀뚜껑의 사이에 높이 조절링을 회전식으로 체결함으로서 지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맨홀뚜껑의 위치를 간단하게 지면과 수평으로 조절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공된 높이 조절링은 상측에 측벽이 위치하고 하측에는 끼움벽이 위치하며 상기 측벽 하부와 끼움벽 상부에는 별도의 단턱으로 연결된 2단의 절곡부를 갖는 것으로 단턱의 내주연과 끼움벽의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경사진 가이드 돌기를 돌출 형성하여 맨홀틀의 내주연과 맨홀뚜껑의 하부 외주연에 등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회전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발명한 것이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The manhole cover that the level control is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지면에 매립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4는 높이 조절링의 일측을 임의로 절개한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저면 분리 사시도
도 6은 맨홀뚜껑과 걸고리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복수개의 높이 조절링을 적층한 실시예
도 8은 높이 조절링의 측벽을 연장시킨 상태의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맨홀 10-맨홀뚜껑 11,21,31,31'-가이드 돌기
12-멈춤돌기 13-연결공 14-걸고리
20-맨홀틀 30-높이 조절링 32-측벽
33-끼움벽 34-단턱
본 발명은 도로상에 위치한 맨홀을 보다 안전하게 관리하고 지면을 덧씌우는 도로의 보수공사시 기존에 사용되던 맨홀뚜껑과 맨홀틀사이에 높이 조절링을 체결하여 간단하게 맨홀뚜껑의 위치를 지면과 수평으로 조절 가능한 높이 조절링을 구비한 맨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제공된 높이 조절링은 상측에 측벽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끼움벽을 형성하며 상기 측벽의 하단부로부터 내측 수직방향으로 단턱이 연결되고 단턱의 내경 하부에는 역시 수직방향으로 끼움벽을 형성한 구조로서 상기 높이 조절링이 맨홀뚜껑과 맨홀틀사이에 용이하게 회전식으로 체결키 위하여 단턱의 내주연과 끼움벽의 외주연에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맨홀뚜껑 하부의 가이드 돌기 및 맨홀틀 내주연의 가이드 돌기와 각각 회전식으로 체결토록 발명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종래에 사용되어 오던 대부분의 맨홀은 맨홀틀과 맨홀뚜껑의 외측에 복수개의 볼트체결공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체결공을 수직선상에 맞춘상태에서 볼트로 체결하는 구조와, 맨홀틀의 내주연에 소정의 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홈부와 체결가능한 걸림턱을 맨홀뚜껑의 하부에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을 맨홀틀에 끼운상태에서 맨홀뚜껑을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맨홀뚜껑을 고정하는 구조등이 주된 종래의 기술내용이다.
그러나 상기 전자의 맨홀뚜껑은 볼트로 체결하여 맨홀뚜껑을 고정함에 따라 장기간 방치한 상태에서 맨홀뚜껑을 개방코자 볼트를 해지시 볼트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구성됨에 따라 부식되기 쉬어 볼트의 해지 작업이 난해한 단점이 제기되고 후자의 맨홀뚜껑 역시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제공됨에 따라 이물질이 맨홀뚜껑의 홈부와 그 주변에 쉽게 끼워지게 되어 개폐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제기되는 것이며 상기 양자간의 맨홀뚜껑들은 도로상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에 의하여 맨홀뚜껑을 개방한 상태에서 작업 후 맨홀뚜껑을 맨홀틀에 체결시 별도의 잠금작업을 진행함에 따라 불필요한 시간과 인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코자 발명된 것이 등록실용신안 제 298716호로서 상기 선출원된 발명은 맨홀틀의 하부 내주연에 약 3.5도의 경사각을 갖는 가이드 돌기가 6개로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와 회전식으로 체결가능하도록 맨홀뚜껑의 하부 외주연에 역시 3.5도의 경사각을 갖는 가이드 돌기가 6개 구비되어 상호 회전식으로 체결함에 따라 체결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문제점과 회전식으로 맨홀뚜껑이 개방됨에 따라 개방시 발생하는 문제점등을 해소하였으며 상기 맨홀틀의 가이드 돌기 하부에는 멈춤돌기를 형성하여 맨홀뚜껑을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체결시 상기 멈춤돌기에 의하여 맨홀뚜껑의 회전이 자체적으로 정지가능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발명된 맨홀 역시 도로상에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에 따른 아스팔트를 덧씌우는 도로포장내지 보수작업시 지면의 높이가 기존보다 높아져 지면과 맨홀뚜껑간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차량주행시 각종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맨홀틀 자체를 재설치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것으로 상기 작업은 차량의 통행지연과 공사기간의 장기화에 따른 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유발하나 상기 선출원된 발명은 그에 대한 대응이 부적절하여 별도의 해결방안이 요 원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코자 상측에 측벽이 위치하고 하측에는 끼움벽이 위치하며 상기 측벽 하부와 끼움벽 상부에는 별도의 단턱으로 연결된 2단의 절곡부를 갖는 높이 조절링을 안출한 것으로 상기 높이 조절링의 단턱 내주연과 끼움벽 외주연에는 맨홀틀과 맨홀뚜껑에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가이드 돌기와 체결가능한 가이드 돌기가 각각 제공되어 맨홀틀의 내주연에 높이 조절링의 끼움부를 체결하고 측벽의 내주연에 맨홀뚜껑을 체결함으로서 맨홀뚜껑의 위치를 간단하게 지면과 수평으로 조절가능한 높이 조절링을 안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맨홀틀(20)과 맨홀뚜껑(10)사이에 체결하여 맨홀뚜껑(1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성된 높이 조절링(30)은 상부에 측벽(32)이 종방향으로 위치하고 측벽(32)의 하부 내측에는 횡방향으로 2단의 절곡부가 형성된 단턱(34)이 위치하며 상기 단턱(34)의 내측 하부에는 종방향으로 끼움벽(33)을 형성하는 중앙이 관통된 링형상으로서, 상기 측벽(32)의 내경은 맨홀뚜껑(10)을 수용가능한 직경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턱(34)의 내주연에는 등간격으로 6개의 가이드 돌기(31)가 약 3.5도 경사진 각도로 돌출 형성되며, 끼움벽(33)의 외주연은 맨홀틀(20)의 하부 내경에 수용가능한 직경으로 구성하고 상기 끼움벽(33)의 외주연에는 역시 등간격으로 6개의 가이드 돌기(31')가 약 3.5도 경사진 각도로 돌출 형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높이 조절링(30)의 측벽(32) 내주연에는 맨홀뚜껑(10)이 체결되고 끼움벽(33)의 외주연에는 맨홀틀(20)과 각각 체결키 위하여 상기 맨홀뚜껑(10)의 하측 외주연과 맨홀틀(20)의 내주연에는 높이 조절링(3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21)와 각각 대응 가능한 가이드 돌기(31,31')를 형성하여 회전식으로 체결하는 것이며, 상기 높이 조절링(30)은 측벽(32)의 높이를 연장하거나 복수개의 높이 조절링(30)을 적층함에 따라 종속적으로 체결되는 맨홀뚜껑(1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맨홀뚜껑(10)의 상부 일측에 이동구 연결공(13)을 형성하고 임의의 가이드 돌기(11) 상측에는 멈춤돌기(12)를 형성하여 도 3의 결합상태 단면구조에서 보는 것과 같이, 맨홀틀(10)에 대해 회전 체결되어 높이 조절된 높이 조절링(30)으로 맨홀뚜껑(10)을 체결하면 상기 높이 조절링(30)의 측벽(32) 내주연에 회전식으로 상기 맨홀뚜껑(10)의 회전 체결되며, 이때 맨홀뚜껑(10)은 멈춤돌기(12)에 의하여 높이 조절링(30)과 동일 높이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맨홀뚜껑(10)의 가이드돌기(11)가 높이 조절링(30)의 가이드돌기(21)를 따라 안내되어 회전 체결되면서 상기 맨홀뚜껑(10)에 형성된 멈춤돌기(12)에 의해 더이상 회전이 진행되지 않고 일정 위치에서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물론 멈춤돌기(12)에 의한 상기 맨홀뚜껑(10)과 높이 조절링(30) 간의 체결높이가 동일 선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품의 성형이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아울러 도면에서는 생략되었으나 이들 구성요소들 간에 외부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충격 흡수 및 기밀을 유지할 수 있는 패킹수단이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구조적인 특성상 패킹수단 없이도 외부 충격에 대해 별다른 하자 없이 유동되지 않고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맨홀틀(20)과 높이 조절링(30) 및 맨홀뚜껑(10)을 각각 분리한 상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맨홀틀(20)과 맨홀뚜껑(10)사이에 높이 조절링(30)이 체결된 상태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3은 맨홀틀(20)이 지면에 매립된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높이 조절링(30)의 일측을 임의로 절개한 절개사시도이다.
상기 도시된 도면과 같이 맨홀틀(20)의 내주연에는 약 3.5도의 각도를 갖는 6개의 가이드 돌기(21)를 형성한 것이며 맨홀뚜껑(10)의 하부 외주연은 맨홀틀(20)과 원할히 체결가능코자 맨홀틀(20)의 내주연보다 적은 직경으로 구성하며 상기 외 주연에는 약 3.5도의 각도를 갖는 6개의 가이드 돌기(11)를 등간격으로 돌출 형성하고 상기 임의의 가이드 돌기(11) 상측에는 멈춤돌기(12)를 돌출 형성하여 상호 가이드 돌기(11,21)가 회전식으로 체결가능하며 일정부분 회전시는 상기 멈춤돌기(12)에 의하여 맨홀뚜껑(10)의 회전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체결되는 통상적인 맨홀(1)에 있어서 맨홀뚜껑(10)의 위치를 상승시코자 제공되는 높이 조절링(30)의 측벽(32) 및 단턱(34) 내주연은 맨홀틀(20)의 내주연과 동일하게 구성하며 끼움벽(33)의 외주연은 맨홀뚜껑(10)의 하부 외주연과 동일하게 구성하여 상기 맨홀틀(20) 내주연에 높이 조절링(30)의 끼움벽(33)을 회전식으로 체결하고 상기 높이 조절링(30)의 단턱(34) 내주연에는 맨홀뚜껑(10)이 회전식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구조를 보조키 위하여 내외주연에 위치한 가이드 돌기(11,21,31,31')가 상호 맞물린 상태에서 경사부를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첨부된 도 5는 맨홀뚜껑(10)을 맨홀틀(20) 및 높이 조절링(30)과 분리한 상태를 저면에서 도시한 저면상태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맨홀뚜껑(10)과 걸고리(14)를 도시한 사용상태도로서 맨홀뚜껑(10)에 위치한 임의의 가이드 돌기(11) 상부 일측에 멈춤돌기(12)를 형성하고 맨홀뚜껑(10)의 상측면에는 상기 맨홀뚜껑(10)을 회전 및 이동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 이동구 연결공(13)을 형성한 것이며, 상기 연결공(13) 하부에 도시한 걸고리(14)는 맨홀뚜껑(10)을 이동하거나 높이 조절링(30)에 체결 또는 분리시 편리를 제공키 위한 것으로 연결공(13)에 끼워 회전함으로서 높이 조절링(30)의 단턱(34) 내주연에 맨홀뚜껑(10)을 체결 또는 분리하는 것이고, 상기 멈춤돌기(12)에 의하여 맨홀뚜껑(10)이 높이 조절링(30)의 가이드 돌기(31)와 체결시 적정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며 도 7은 복수개의 높이 조절링(30)이 연속적으로 적층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높이 조절링(30)의 측벽(32) 내주연의 직경은 타 높이 조절링(30)의 끼움벽(33) 외주연의 직경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의 직경을 유지하는 것이며 상기 내주연과 외주연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돌기(31,31')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회전식으로 체결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이며 도 8은 높이 조절링(30)의 측벽(32)을 연장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측벽(32)의 높이를 연장함에 따라 다수개의 높이 조절링(30)을 축적할 필요가 없이 단수개의 높이 조절링(30)을 이용하여 맨홀뚜껑(10)의 높이를 지면과 수평으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로의 자체적인 결함이나 보수공사등에 의하여 지면을 덧씌우게 되는 경우 기존에 설치된 맨홀뚜껑의 위치에 비례하여 지면의 높이가 높아져 요철부를 형성하여 대형사고의 발생우려가 제기되는 것으로 이를 보수하기 위하여 종전과 같이 맨홀틀 자체를 재설치하는 경우 차량의 통행지연 및 공사기간의 장기화에 따른 공사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던 것을 본원 발명에서 기술된 높이 조절링을 이용하여 맨홀틀과 맨홀뚜껑사이에 체결하여 맨홀뚜껑의 위치를 지면과 수평으로 제공함으로서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불필요한 인력낭비를 절감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발명된 맨홀뚜껑의 가이드 돌기 상측에 멈춤돌기를 형성함으로서 맨홀뚜껑이 맨홀틀내지 높이조절링과 회전체결시 멈춤돌기에 의하여 맨홀뚜껑의 회전이 정지하는 것으로 상기 멈춤돌기를 맨홀뚜껑에 형성함으로서 사용자의 부주의등에 의하여 멈춤돌기가 파손시에도 종래와 같이 멈춤돌기가 구비된 맨홀틀을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간단히 맨홀뚜껑만 교체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맨홀틀(20)과 맨홀뚜껑(10)으로 구성되어지는 맨홀(1)에 있어서,
    상기 맨홀틀(20)의 하부 내주연과 맨홀뚜껑(10)의 하부 외주연에는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11,21)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맨홀틀(20)과 맨홀뚜껑(10)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21)와 체결 가능하도록 높이 조절링(30)의 단턱(34) 내주연과 끼움벽(33)의 외주연에 복수개의 가이드 돌기(31,31')가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어 이들 맨홀뚜껑(10) 및 높이 조절링(30)이 회전하면서 맨홀틀(20)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높이 조절링(30)은 상측에 그 내경이 맨홀뚜껑(10)을 수용 가능한 직경으로 구성되는 측벽(32)이 위치하며, 하측에는 그 외경이 맨틀홀(20)의 내주연에 수용 가능한 직경으로 구성되는 끼움벽(33)이 위치하고, 상기 측벽(32) 하부와 끼움벽(33) 상부에는 2단의 절곡부가 형성된 단턱(34)으로 연결되며,
    상기 맨홀뚜껑(10)의 상부 일측에는 이동구 연결공(13)이 형성되고, 하부 외주연에 형성된 임의의 가이드 돌기(11) 상부 일측에는 멈춤돌기(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2. 삭제
  3. 삭제
KR1020030067928A 2003-09-30 2003-09-30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KR100607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928A KR100607572B1 (ko) 2003-09-30 2003-09-30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7928A KR100607572B1 (ko) 2003-09-30 2003-09-30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0843U Division KR200337106Y1 (ko) 2003-09-30 2003-09-30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690A KR20050031690A (ko) 2005-04-06
KR100607572B1 true KR100607572B1 (ko) 2006-08-03

Family

ID=37236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7928A KR100607572B1 (ko) 2003-09-30 2003-09-30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937B1 (ko) * 2007-07-19 2008-06-09 김진오 맨홀뚜껑 결합장치
KR100907040B1 (ko) * 2008-08-22 2009-07-09 김경호 높이조절형 맨홀
KR102210527B1 (ko) 2019-04-08 2021-01-29 이정민 맨홀용 거상 지지 조립체
US11053658B2 (en) 2019-09-19 2021-07-06 Trevor Brien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 manhole assembly and manhole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1690A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28152A (en) Adjustable manhole cover support with shield
US6695526B2 (en) Adjustable manhole apparatus
KR10060757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KR200337106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맨홀뚜껑
KR100336293B1 (ko) 맨홀
KR100362512B1 (ko) 뚜껑의 용이한 이탈방지 수단을 갖는 철개
KR102134641B1 (ko) 맨홀뚜껑 인상용 링
KR200417562Y1 (ko) 높이조절식 교체맨홀
KR20220063671A (ko) 스크류를 이용한 맨홀덮개 개폐 구조
KR20090001343A (ko) 잠금장치를 갖는 맨홀조립체
KR101873320B1 (ko) 잠금 안내링을 이용한 맨홀용 잠금장치
KR100845570B1 (ko) 우수유입 방지용 맨홀커버
KR100942727B1 (ko) 높이조절용 맨홀뚜껑
KR20130035403A (ko) 맨홀뚜껑 잠금장치를 구비한 맨홀 조립체
KR101606836B1 (ko) 안전망 결합구조와 뚜껑의 잠금장치로 이루어진 맨홀
KR101280274B1 (ko) 소음 및 이탈방지수단이 구비된 맨홀뚜껑의 결합장치
KR200221892Y1 (ko) 맨홀
KR200309979Y1 (ko)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KR20210001841U (ko) 맨홀 인상링
KR200371881Y1 (ko) 맨홀 철개 뚜껑 높이 조절용 인상링
KR200383421Y1 (ko) 맨홀뚜껑의 고정장치
KR101350472B1 (ko) 잠금장치를 가지고 있는 맨홀뚜껑 및 맨홀틀
KR200274875Y1 (ko) 맨홀뚜껑의 개폐장치
KR20010067025A (ko) 뚜껑 이탈방지용 체결구가 형성된 철개
KR200309994Y1 (ko) 이탈방지 수단이 구비된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0607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1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