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6336B1 - 다목적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목적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336B1
KR100606336B1 KR1020050121762A KR20050121762A KR100606336B1 KR 100606336 B1 KR100606336 B1 KR 100606336B1 KR 1020050121762 A KR1020050121762 A KR 1020050121762A KR 20050121762 A KR20050121762 A KR 20050121762A KR 100606336 B1 KR100606336 B1 KR 100606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elastic band
band
main elastic
pai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순구
Original Assignee
강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순구 filed Critical 강순구
Priority to KR102005012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종류의 근육이나 장기를 단련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력 및 운동자세에 따라 운동 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무한 루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탄력밴드와, 상기 메인 탄력밴드의 내주면에 양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는 대향부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다수 쌍의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운동기구, 다목적, 전신운동, 휴대성

Description

다목적 운동기구{Multipurpose Sporting Goods}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강도 조절시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를 이용한 목 운동과 다리 운동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를 이용한 허리 운동과 복근 운동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10,20: 메인 탄력밴드 2~7,11~18: 연결부
8: 선택결합부 9,19,21~28: 봉제부
21a~28a: 관통구멍 100,200,300: 다목적 운동기구
X,Y: 제1 및 제2 부분 Z: 중앙부
본 발명은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러 종류의 근육이나 장기를 단련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력 및 운동자세에 따라 운동 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가 운동을 하는 목적은 나이에 따라 그 사람의 현재 몸 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예를들어, 유년기나 취학전의 아동에게는 비만 아동의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경우 특별한 운동기구가 필요없고 놀이 그 자체가 신체 발육을 위한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기는 건강한 신체의 발달을 위해서, 중년기는 각종 성인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 노년 또는 장년기에 있어서는 각종 근육과 장기의 기능 퇴화를 최소화하고 막기 위하여 종합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더욱이, 각종 운동선수들의 경우는 각각의 종목에 필요한 특정부위의 근육을 키우기 위하여, 각종 상해 또는 장애 환자인 경우는 손상되거나 기능이 저하된 신체 근육의 보강 또는 재활을 위하여 재활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각종 운동은 크게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 및 혼합운동으로 나누어질 수 있으며, 유산소 운동은 운동수행에 요구되는 대부분의 에너지공급을 유산소성 대사로서 이루어질 수 있는 운동을 말하며, 무산소운동은 유산소운동과는 반대로 산소의 이용없이 에너지를 생산하는 운동을 말하며, 혼합운동은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이 혼합된 운동을 말한다.
유산소 운동은 걷기, 단전호흡, 에어로빅, 조깅, 마라톤, 수영, 싸이클, 등산과 같이 강도가 낮고, 오랜 시간동안 운동이 이루어지며, 율동성이 강한 운동으 로서 심폐기능을 강화시켜서 젊음을 유지하고, 노화를 지연시키며, 지방을 에너지로 사용하기 때문에 비만을 치료하는 데 적합한 운동이다.
무산소 운동은 중량(weight)운동, 잠수, 투척, 역도나 단거리(100m) 달리기처럼 단시간에 큰 힘을 내는 운동으로서 근력, 근지구력이 향상(민첩성, 유연성)되며, 심박수가 상당히 높아지고 운동강도가 높으며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므로 에너지 생성 과정에서 젖산(=피로물질)이 많이 쌓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산소 운동, 무산소 운동 및 혼합운동은 각각의 특징이 있기 때문에 어떤 운동은 나쁘고 어떤 운동은 좋은 운동이라고 할 수 없고, 사용자의 운동 목적에 따라 어느 하나 또는 두가지 운동을 혼합하여 실시하거나 혼합운동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오랜 기간동안 나쁜 식습관이나 생활습관을 통하여 표준 체형에서 벗어나게 되면, 소위 비만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러한 상태를 방치하게 되면 심장병ㆍ고혈압ㆍ당뇨병 등의 각종 성인병 및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거나, 생활하는 데 장애가 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비만치료를 위한 운동과 다이어트를 하여야 한다.
특히, 비만을 초래하는 요인으로는 나쁜 식습관, 운동 부족, 심리적 요인, 유전적 요인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단기적으로 에너지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에 의해서 초래된다.
따라서, 비만치료를 위해서는 조절된 식사와 적당한 운동이 필요하며, 식이 요법으로 적절한 영양소와 칼로리를 섭취하고, 혈관 속의 지방을 태우는 유산소 운동과 근력강화 운동을 하여 몸의 체지방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시일 내에 급격한 체중감소를 시도할 경우 변비, 설사, 저혈압, 탈수, 간기능 장애, 면역활동 저하, 심장 부정맥, 단백질 불균형 등의 부작용으로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이른바 '요요현상'을 피하면서 안전하게 비만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치료 등을 통한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유산소운동의 경우, 초기 몇 분간은 근육내에 저장된 소량의 ATP와 CrP, 또 글리코겐(Glycogen)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고 그 후에는 혈중 글루코스(Glucose)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많이 내게 되고 지속적인 운동을 계속하게 되면 소비열량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져서 운동시작 후 30분 정도가 지나야 지방이 연소되어 운동을 위한 에너지를 주게 된다. 따라서, 다이어트를 원한다면, 지방을 소모하고 싶다면 스트레칭, 웨이트 트레이닝과 더불어 유산소운동을 하는데 반드시 30분 이상 1시간 정도는 해야 지방을 소모할 수 있게 된다.
젊은 사람이라면 유산소 운동과 함께 무산소 운동을 적절히 혼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특허 제177530호에는 좌우대칭방향 즉, 전신을 S자형 횡축방향으로 흔들어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근육을 운동시켜 주는 저강도 유산소 운동을 이용하여 비만인의 체중을 조절할 수 있는 좀 더 정확하게는 비만인의 체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슬라이더식 저강도 유산소 운동기구가 제안되어 있다.
한편, 현대인에게 운동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면서 각종 운동기구가 제공되고는 있으나, 지금까지 제공되고 있는 각종 운동기구는 근육을 키우거나 풀어주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운동기구의 경우 올바른 자세를 통한운동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신체에 무리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오히려 척추나 근육에 역효과가 발생되는 심각한 문제가 따른다.
또한, 종래 운동기구의 경우 신체의 국부적인 근육의 단련이 이루어짐으로서 편향된 운동이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러닝머신과 같이 전신운동이 가능한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별도의 모터를 이용한 동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품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증가와 전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여러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81130호에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유산소 운동을 할 수 있는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웰빙 문화가 유행함에 따라 많은 사람들은 운동으로 건강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운동기구 또는 헬스기구가 많이 제작되고 있는데, 그 중 런닝 머신은 좁은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산소 운동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달리기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가정이나 피트니스 센터(fitness center)나 헬스클럽 등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벤치 프레스 기구(역기)는 바벨을 들어올려 근육을 발달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무산소 운동의 대표적인 헬스 기구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런닝 머신 및 벤치 프레스 기구는 각각 별도로 제조되기 때문에 이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입해야하므로 제조 및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실용신안등록 제396991호에는 런닝 머신의 프레임에 바벨세트와 철봉을 설치하여 런닝과 벤치 프레스싱 및 턱걸이 운동을 겸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콘트롤러에 산소발생기를 일체로 하며 런닝 머신의 일측으로 참숫을 수용하는 참숫저장부를 갖는 런닝 머신 및 벤치 프레스 기구 겸용 헬스 기구를 제안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유산소 운동 및 무산소 운동기구들은 대부분 어느 한가지의 운동을 하기에 적합하고, 또한 상기 운동기구들은 어느 한 부위의 근육이나 장기를 단련하기 위한 운동에 적합하고 여러 종류의 근육이나 장기를 단련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은 없거나 고가의 구입비용과 설치장소를 요구하며, 휴대성이 나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여러 종류의 근육이나 장기를 단련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실시할 수 있고 사용자의 체력 및 운동자세에 따라 운동 강도를 선택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중량의 웨이트 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부 담을 주지 않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하나의 기구로 허리뿐만 아니라 팔, 다리, 어깨 및 무릎 등의 기능을 강화하거나 이들을 유지하는 근육이 뭉친 것을 풀어주어서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다양한 전신운동에 이용할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부담을 주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웨이트를 이용한 운동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신체의 장기, 관절과 근육을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을 실시할 때 자연스럽게 운동자세가 잡혀지게 되어 운동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운동의 강도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무동력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무한 루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탄력밴드와, 상기 메인 탄력밴드의 내주면에 양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는 대향부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다수 쌍의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사용한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탄력밴드와, 상기 탄력밴드의 양측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밴드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메인 탄력밴드에 연결된 다수 쌍의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사용한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탄력밴드와, 상기 탄력밴드의 양측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밴드의 폭방향으로 각각 손 또는 발을 삽입할 수 있는 다수 쌍의 관통구멍과, 상기 다수 쌍의 관통구멍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주변에 보강재를 부착시킨 다수 쌍의 보강 봉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에서는 상기 메인 탄력밴드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를 사용자의 양팔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탄력밴드에는 밴드의 인장시에 소요되는 힘의 강도를 1/2로 줄이도록 밴드의 중앙부분에 매직 테이프를 사용한 선택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탄력밴드는 폴리우레탄과 나일론으로 교편교직된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테이프의 신도가 150%일 때 상기 메인 탄력밴드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140~150cm 범위로 설정된다.
또한, 상기 다목적 운동기구는 양측의 다수 쌍의 연결부가 연결된 메인 탄력 밴드의 제1 및 제2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부분 사이의 중앙부의 길이는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강도 조절시의 사용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무한 루프 형태의 메인 탄력밴드(1)와, 상기 탄력밴드(1)의 내주면에 양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는 대향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다수 쌍의 연결부(2~7)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상기 메인 탄력밴드(1)는 예를들어, 폴리우레탄(스판덱스)과 나일론으로 교편교직되어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신도가 약 150%인 것이 바람직하나, 다수 쌍의 연결부(2~7)를 적절하게 배치함에 의해 탄력밴드(1)의 신도는 150% 이하 또는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여성 사용자와 같이 남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밴드를 당기거나 미는 힘이 적은 경우는 신도가 작은 것도 사용 가능하다.
상기 메인 탄력밴드(1)는 키가 170cm인 성인을 기준으로 할 때 루프 길이가 약 280~300cm, 폭이 약 7~10cm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탄력밴드(1)는 도 4a와 같이 목에 걸칠 경우 사용자의 팔각도가 약 120도 전/후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가 적당하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100)는 양측의 다수 쌍의 연결부(2,3,6;4,5,7)가 연결된 메인 탄력밴드(1)의 제1 및 제2 부분(X,Y)과, 제1 및 제2 부분(X,Y) 사이의 중앙부(Z)의 길이 비율은 대략 동일하게 설정하여 각각 약 50cm로 하거나, 또는 X:Y:Z=4:4:5의 비율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1 및 제2 부분(X,Y)은 비신축성 밴드로 이루어지고, 중앙부(Z)만이 탄력밴드로 구성하여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하는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다수 쌍의 연결부(2~7)는 비신축성 재질, 예들들어, 가죽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4)와 메인 탄력밴드(1)와 동일하게 신축력을 갖는 탄력밴드로 이루어진 연결부(5,6)로 구성될 수 있고, 다수 쌍의 연결부(2~7)를 모두 비신축성 재질 또는 신축성 재질의 소재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비신축성 재질의 소재는 가죽 이외에도 면이나 합성섬유로 이루어진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2~4)는 예를들어, 약 25~30cm, 연결부(5,6)는 각각 약 14cm 길이로 설정될 수 있으며, 연결부(2~4)는 메인 탄력밴드(1)와 견고한 연결을 위해 양단으로부터 각각 3~3.5cm씩 봉제부(9)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메인 탄력밴드(1)와 연결부(2~7)는 사용자의 키에 따라 더 길게 또는 짧게 이루어질 수 있고, 연결부(2~7)의 개수도 가감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탄력밴드(1)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양손으로 양단부 또는 제1단 내지 제3단 연결부(2,5;3,4;6,7)를 잡고 스트레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용자의 양팔 사이의 길이 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최외각의 제1단 연결부(2,5)는 도 4a의 운동 자세를 가질 때 팔의 각도가 약 90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탄력밴드(1)에는 밴드의 한 부분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밴드의 인장시에 소요되는 힘의 강도를 1/2로 줄이도록 밴드의 일부분에 매직 테이프를 사용한 선택결합부(8)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는 상기한 제1실시예의 구성 대신에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2 및 제3 실시예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먼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200)는 제1실시예와 다르게 메인 탄력밴드(10)가 무한 루프 형태 대신에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다수 쌍의 연결부(11~18)가 밴드의 양측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밴드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메인 탄력밴드(10)에 봉제부(19)를 통하여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메인 탄력밴드(1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신축성을 갖는 밴드로 이루어지고, 약 140~150cm 정도의 길이와 약 7~10cm 정도의 폭으로 설정되고, 밴드의 다수 쌍의 연결부(11~18)는 제1실시예의 연결부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손 또는 발이 들어갈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300)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길이의 메인 탄력밴드(20)를 구비하고, 다수 쌍의 연결부 대신에 각각 손 또는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다수 쌍의 관통구멍(21a~28a) 이 다수 쌍의 봉제부(21~28)에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상기 제3실시예에서 메인 탄력밴드(20)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며, 다수 쌍의 봉제부(21~28)는 예를들어, 가죽 또는 탄력 밴드 소재를 사용하여 제2실시예의 연결부 위치에 보강함에 의해, 다수 쌍의 관통구멍(21a~28a)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의 메인 탄력밴드(20)는 제2실시예와 유사하게 동일한 길이와 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의 다목적 운동기구(200,300)에서 제1 및 제2 부분(X1,Y1)과 중앙부(Z1)의 길이비율은 상기한 제1실시예의 제1 및 제2 부분(X,Y)과 중앙부(Z)의 길이비율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의 다목적 운동기구(200,300)는 제1실시예의 다목적 운동기구(100)와 비교할 때 메인 탄력밴드가 단일 또는 이중 밴드인 점에서 차이가 있어, 제2 및 제3 실시예의 다목적 운동기구(200,300)는 상대적으로 팔 또는 다리 힘이 달리는 여성 사용자에게 적합한 타입이다.
이하에 상기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100)의 작용을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100)를 이용하여 목과 어께 및 등 부분에 위치한 승모근과 목 부분 근육을 풀어줌에 의해 뇌로 전달되는 신경계통의 압박을 완화시켜 주고 뇌에 대한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여 산소의 공급량을 정상화하며, 팔을 지지하고 있는 삼각근, 상완근 및 손목신근 등을 강화하기 위한 운동방법 을 설명하기 위한 자세이다.
이 자세는 사용자가 무릅을 꿇거나 또는 바로선 자세에서 다목적 운동기구(100)의 중간부분 즉, 메인 탄력밴드(1)의 중간부분이 사용자의 승모근을 둘러싼 후, 어께를 통하여 밑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탄력밴드(1)의 양단부 또는 다수 쌍의 연결부(2~7) 중에서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있는 어느 한쌍의 연결부, 예를들어, 최외각의 제1단 연결부(2,5)를 선택하여 양손으로 잡고 몸 뒤쪽으로 스트레칭하여 뻗어 내리는 동작이다.
이러한 자세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이 상태에서 목을 좌/우, 전/후 또는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목운동을 실시하면 메인 탄력밴드(1)의 중간부분이 사용자의 승모근을 둘러싸면서 압박하게 되어 사용자가 스스로 승모근을 압박하여 풀어주기 힘든 부위에 대한 지압이 가능하고, 지압의 강도를 메인 탄력밴드(1)의 신도가 적절한 것을 선택하거나, 또는 스트레칭 작용점을 제1단 연결부(2,5) 대신에 제2단 연결부(3,4) 또는 제3단 연결부(6,7)로 변경함에 의해 적당한 지압의 강도를 선택할 수 있어 목 교정, 두통 완화, 폐 기능 강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자세로 목 운동을 실시하면 양 어께, 승모근 및 경추의 안정을 주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목 운동을 하면서도 경추에 대한 상해를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자세를 반복하여 실시하면 팔을 지지하고 있는 삼각근, 상완근 및 손목신근 등이 강화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더욱이 이러한 운동자세를 가슴을 활짝 편 상태에서 예를들어, 주지된 단전호흡 방식으로 호흡을 실 시하게 되면 폐활량을 최대로 확장할 수 있는 자세가 안정적으로 확보/유지되어 폐활량의 증가와 함께 단전에 기를 모으는 수련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된다.
도 4b는 대퇴근을 강화시키기 위한 스쿼드(squat) 자세로서, 도 4a와 유사하게 메인 탄력밴드(1)의 중간부분이 사용자의 승모근을 둘러싼 후, 어께를 통하여 밑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탄력밴드(1)의 양단부 또는 다수 쌍의 연결부(2~7) 중에서 양단으로부터 동일한 위치에 있는 어느 한쌍의 연결부를 선택하여 양손으로 잡고 양발을 어께 넓이로 벌리고 가슴을 활짝 편 후, 하측으로 양손을 스트레칭하여 뻗어 내린 상태에서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100)를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스쿼드 자세를 실시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스쿼드 자세가 잡혀지게 되는 이점과 함께 대퇴근과 무릎 및 허리를 강화시켜주게 된다. 또한, 상기 스쿼드 자세는 웨이트를 이용한 스쿼드와 비교할 때 자신의 몸 상태에 맞지 않는 무리한 중량으로 인한 부상의 위험이 없어 안전하여 여성 또는 노약자 등이 부담없이 실시할 수 있는 운동이다.
이 자세는 웨이트의 부담이 없기 때문에 무릎을 구부린 상태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한 후 서는 방법으로 활용하면 대퇴근과 장단지의 근육을 강화하고 군살을 제거하는 미용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팔을 지지하고 있는 삼각근, 상완근 및 손목신근 등이 강화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를 이용한 허리 운동과 복근 운동자세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a의 허리 운동 자세는 메인 탄력밴드(1)의 중간부분이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싼 후, 밴드(1)의 양 단부에 양 발을 넣고 벋은 자세에서 허리를 좌/우로 돌리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100)를 허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허리 운동을 실시하게 되면, 허리와 척추의 근육을 풀어주어 허리를 유연하게 하고 무릎 관절을 교정 강화시켜주며, 장단지와 내괄근을 강화시켜서 미용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이 자세에서 사용자의 허리를 앞으로 숙이는 자세를 실시하게 되면, 복부 지방을 감소시키며, 허리를 유연하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한편, 도 5b의 복근 운동 자세는 상기한 허리 운동 자세에서 메인 탄력밴드(1)의 제1단 연결부(2,5), 제2단 연결부(3,4) 및 제3단 연결부(6,7) 중 어느 한쌍의 연결부를 양손으로 잡고 상체의 체중을 이용하여 탄력밴드(1)가 신장되도록 상체가 지면에 닿을 정도로 뒤로 눕히는 자세이다. 이 자세에서는 양 발과 양손 및 허리 사이에 신장된 탄력밴드(1)가 지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 자세를 일정 시간동안 유지하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면 우선 복부와 허리에 관련된 복직근 및 외복사근이 긴장하게 되어 복부 및 허리의 근육이 단련되면서 복부와 허리의 지방 성분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신장된 탄력밴드(1)의 복원을 억제하고 있는 양 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양 발 및 다리의 대퇴근과 장단지의 근육과, 탄력밴드(1)의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연결부(2~7)를 잡고 있는 양 팔을 지지하고 있는 상완이두근 및 전환굴근 등 을 근육을 긴장시킴에 따라 이들을 강화하는 부수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복근 운동 자세는 한쌍의 연결부의 위치를 이동시켜서 양손으로 잡고 양 발과 등을 지면으로부터 들어올리는 자세로 변형시킴에 의해 운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체중을 이용하여 운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동강도가 높게 되며, 신체의 많은 근육이 이와 관련되어 있어 다양한 부위의 근육을 단련할 수 있고 내장을 지지하고 있는 각종 근육 또한 긴장시켜 각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효과를 얻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100)는 상기한 운동자세 이외에도 탄력밴드(1)의 양단에 양발을 끼고 양발 벌리기 자세, 양손에 한쌍의 연결부(2~7)를 잡고 있는 양 팔을 앞에서 양 옆으로 벌리는 가슴운동 등의 다양한 운동에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전신 운동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명상을 위하여 결가부좌 자세에서 메인 탄력밴드(1)의 중간부분이 사용자의 허리를 둘러싼 후, 밴드(1)의 양 단부에 양 발을 걸게 되면, 자세가 안정되고 허리가 절로 도움을 받아 전신에 순환이 자유롭게 되며, 특히 밴드(1)가 양 발을 들어주기 때문에 결가부좌 자세를 오랜 시간동안 유지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다리 저림 현상을 억제시켜서 오랜 시간동안 명상 수련을 실시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운동을 통하여 여러 종류의 근육이나 장기를 단련할 수 있고,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체력 및 운동자세를 고려하여 양 발과 양 손의 위치를 이동함에 의해 운동 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100)는 고중량의 웨이트 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 으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부담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기구는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웨이트를 이용한 운동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 설명에서는 탄력밴드(1)의 중앙부(Z)가 이중으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을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매직 테이프를 사용한 선택결합부(8)를 분리시킴에 의해 메인 탄력밴드(1)의 인장시에 소요되는 힘의 강도를 1/2로 줄여서 여성 및 노약자가 이용하기 적합한 상태로 변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도 4a 내지 도 5b를 참고한 실시예 설명에서는 제1실시예의 다목적 운동기구(100)를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운동기구(200,300)의 경우도 단지 탄력밴드(10,20)가 단일로 이루어져 있어 제1실시예와 비교할 때 인장시에 적은 힘이 소요된다는 점을 제외하고 동일하게 다양한 운동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제1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는 웨이트 트레이닝, 단전호흡이나 요가를 위한 각종 수련시에 준비운동이나 정리운동 또는 본 수련시에 이용하여도 좋은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는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하나의 기구로 허리뿐만 아니라 팔, 다리, 어깨 및 무릎 등의 기능을 강화 하거나 이들을 유지하는 근육이 뭉친 것을 풀어주어서 혈액순환을 촉진할 수 있고, 유산소 및/또는 무산소 운동을 통하여 비만 치료를 위한 다이어트와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전신운동에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는 고중량의 웨이트 기구 또는 각종 유산소 또는 무산소 운동기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휴대와 사용이 간편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부담을 주지 않을 뿐 아니라 또한,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에 무리한 부담을 주지 않아 안전하면서도 웨이트를 이용한 운동방법과 동일 또는 유사한 운동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목적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각종 운동을 실시하는 경우 밴드의 탄력에 의해 운동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근골을 잡아주기 때문에 운동(수련)자세가 안정되어 상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폴리우레탄과 나일론으로 교편교직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사용하여 무한 루프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탄력밴드와,
    상기 메인 탄력밴드의 내주면에 양단부로부터 일정한 간격으로 마주보는 대향부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비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 쌍의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2. 폴리우레탄과 나일론으로 교편교직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사용한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탄력밴드와,
    상기 탄력밴드의 양측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밴드의 폭방향으로 양단부가 메인 탄력밴드에 연결된 비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진 다수 쌍의 연결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3. 폴리우레탄과 나일론으로 교편교직되어 길이방향으로 신축성이 있는 테이프를 사용한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는 메인 탄력밴드와,
    상기 탄력밴드의 양측단부로부터 일정간격으로 밴드의 폭방향으로 각각 손 또는 발을 삽입할 수 있는 다수 쌍의 관통구멍과,
    상기 다수 쌍의 관통구멍이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관통구멍을 포함하는 주변에 비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진 보강재를 부착시킨 다수 쌍의 보강 봉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탄력밴드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의 양팔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탄력밴드에는 밴드의 인장시에 소요되는 힘의 강도를 1/2로 줄이도록 밴드의 중앙부분에 매직 테이프를 사용한 선택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의 신도가 150%일 때 상기 메인 탄력밴드의 양단부 사이의 거리는 140~150cm 범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운동기구.
  8. 삭제
KR1020050121762A 2005-12-12 2005-12-12 다목적 운동기구 KR100606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762A KR100606336B1 (ko) 2005-12-12 2005-12-12 다목적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1762A KR100606336B1 (ko) 2005-12-12 2005-12-12 다목적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6336B1 true KR100606336B1 (ko) 2006-07-28

Family

ID=3718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1762A KR100606336B1 (ko) 2005-12-12 2005-12-12 다목적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63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50Y1 (ko) 2006-12-20 2012-04-20 김종환 양 팔꿈치 운동기구
KR200470119Y1 (ko) 2013-05-07 2013-11-29 메디스포(주) 다기능 스포밴드
CN108883327A (zh) * 2016-03-29 2018-11-23 相原和子 健身环
WO2021236294A1 (en) * 2020-05-22 2021-11-25 Schepisi Rosemarie J Yoga band and method of using said yoga band to perform a yoga pose
KR20240141361A (ko) 2023-03-20 2024-09-27 주식회사 오짐 운동용 루프 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259U (ko) 1977-08-12 1979-03-10
US4735412A (en) 1984-05-21 1988-04-05 Jan Prsala Portable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KR900009769Y1 (ko) * 1987-09-11 1990-10-20 주충국 기처 체력 단련기
JP2003180867A (ja) * 2001-12-19 2003-07-02 Takuo Shimada ゴム製ストレッチ健康器具
KR20040037566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다용도 운동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7259U (ko) 1977-08-12 1979-03-10
US4735412A (en) 1984-05-21 1988-04-05 Jan Prsala Portable posture correcting apparatus
KR900009769Y1 (ko) * 1987-09-11 1990-10-20 주충국 기처 체력 단련기
JP2003180867A (ja) * 2001-12-19 2003-07-02 Takuo Shimada ゴム製ストレッチ健康器具
KR20040037566A (ko) * 2002-10-29 2004-05-07 주식회사 엔엠.이엔지 다용도 운동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5180867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950Y1 (ko) 2006-12-20 2012-04-20 김종환 양 팔꿈치 운동기구
KR200470119Y1 (ko) 2013-05-07 2013-11-29 메디스포(주) 다기능 스포밴드
WO2014182037A1 (ko) * 2013-05-07 2014-11-13 메디스포(주) 다기능 스포밴드
CN105339054A (zh) * 2013-05-07 2016-02-17 斯珀邦德有限公司 多功能运动带
CN108883327A (zh) * 2016-03-29 2018-11-23 相原和子 健身环
WO2021236294A1 (en) * 2020-05-22 2021-11-25 Schepisi Rosemarie J Yoga band and method of using said yoga band to perform a yoga pose
US11318344B2 (en) 2020-05-22 2022-05-03 R. Pizi Llc Yoga band and method of using said yoga band to perform a yoga pose
US11617911B2 (en) 2020-05-22 2023-04-04 R. Pizi Llc Yoga band and method of using said yoga band to perform a yoga pose
KR20240141361A (ko) 2023-03-20 2024-09-27 주식회사 오짐 운동용 루프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iler The pilates body: the ultimate at-home guide to strengthening, lengthening and toning your body-without machines
US7749146B2 (en) Fitness and rehabilitation apparatus
KR100606336B1 (ko) 다목적 운동기구
Menezes The complete guide to Joseph H. Pilates' techniques of physical conditioning: with special help for back pain and sports training
Couch The runner's yoga book: A balanced approach to fitness
Condron Swiss ball core workout
Alpers Everything Pilates
CN108939426B (zh) 一种俯背运动器
King et al. Pilates workbook for pregnancy: Illustrated Step-by-step Matwork techniques
Price The Ultimate Guide to Weight Training for Swimming
KR100971949B1 (ko) 하체단련 및 윗몸일으키기 운동기구
Keane Pilates for Core Strength: A Step-by-step Guide, Improve Core Strength and Stability, 30-minute Workouts
Martin Stretching
TWI779785B (zh) 能透過彈力繩實現阻力運動之訓練輔助台
Raţă et al. Alternative exercise in fighting obesity
Hutchinson 10-Minute Stretching: Simple Exercises to Build Flexibility Into Your Daily Routine
RU2326642C1 (ru) Способ оздоровления человека
Das Physical Exercises Technique
KR200437772Y1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Delorme The Mysterious Winging Scapula: A Recovery Plan for Therapists and their Patients
RU43468U1 (ru) Спортивно-оздоровительный тренажер для тренировки мышц ног и улучшения динамики кровообращения в тазобедренной области
Ahuja Strengthening the back muscles in mature women
KR20230000498U (ko) 탄력밴드를 이용한 전신 근력운동기구
Craig Abs on the ball: a Pilates approach to building superb abdominals
Pagano Strength training for women: tone up, burn calories, stay stro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