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566B1 - Housing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 Google Patents
Housing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5566B1 KR100605566B1 KR1020040024041A KR20040024041A KR100605566B1 KR 100605566 B1 KR100605566 B1 KR 100605566B1 KR 1020040024041 A KR1020040024041 A KR 1020040024041A KR 20040024041 A KR20040024041 A KR 20040024041A KR 100605566 B1 KR100605566 B1 KR 1006055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actuator
- housing
- flexible cable
- cable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븐 터미널과 오드 터미널을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하고 플렉시블 케이블과 각 터미널을 견고하게 접속할 수 있도록 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using for a flexible cable connector that can stably install an even terminal and an odd terminal for rotatably supporting an actuator, and can be firmly connected to a flexible cable and each terminal.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은, 전방측에는 FPC/FFC가 안착되는 안착슬롯이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이븐 터미널 및 오드 터미널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제1,2터미널 삽입부가 교대로 형성된 하우징 본체, 및 하우징 본체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액츄에이터의 후단부 양측이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housing for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ing slot on which the FPC / FFC is seated on the front 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terminal insertion parts on which the even terminal and the odd terminal are inserted and fixed on the rear side. And a seating arm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body, and a seating arm on which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actuator are rotatably seated.
안착슬롯, 하우징 본체, 안착암Seating slot, housing body, seating arm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cable connector provided with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츄에이터가 개방된 상태의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with the actuator shown in FIG. 1 open;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with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Ⅳ-Ⅳ 선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3.
도 5는 도 3의 Ⅴ-Ⅴ 선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V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을 나타낸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for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을 나타낸 평면도.7 is a plan view showing a housing for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Ⅷ-Ⅷ 선단면도.8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7.
도 9는 도 7의 Ⅸ-Ⅸ 선단면도.9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7.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사시도.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평면도.11 is a plan view of an actu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도 11의 ⅩⅡ-ⅩⅡ 선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XIII of FIG. 11.
도 13은 도 11의 ⅩⅢ-ⅩⅢ 선단면도.1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I-XIII of FIG.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븐 터미널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ve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드 터미널의 사시도.1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dd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내지 도 16h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과정을 보인 단면도.16A to 16H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flexible cable connector with a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에 FPC/FFC를 삽입 고정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17A to 17D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inserting and fixing an FPC / FFC to a flexible cable connector provided with a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9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분해사시도.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우징 11 : 하우징 본체10
12 : 안착슬롯 13 : 제1터미널 삽입부12: seating slot 13: terminal 1 insertion portion
14 : 제2터미널 삽입부 15 : 안착암14: terminal 2 insertion portion 15: seating arm
18 : 제1스토퍼 19 : 제2스토퍼18: first stopper 19: second stopper
20 : 액츄에이터 21 : 안착돌기20: actuator 21: seating protrusion
22 : 제1빔 삽입홈 23 : 제2빔 삽입홈22: first beam insertion groove 23: second beam insertion groove
24 : 회전축 25 : 걸림턱24: rotating shaft 25: locking jaw
30 : 이븐 터미널 31 : 기부30: Even Terminal 31: Donation
32 : 피벗빔 33 : 접속빔32: Pivot Beam 33: Connection Beam
34 ; 연결빔 35 ; 용접부34; Connecting
40 : 오드 터미널 41 : 기부40: Aether Terminal 41: Donation
42 : 지지빔 43 : 접속빔42: support beam 43: connection beam
44 : 용접부44: weld
본 발명은 플렉시블 케이블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븐 터미널과 오드 터미널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플렉시블 케이블과 각 터미널이 견고히 접속하도록 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using for a flexible cable connector to which the flexible cable is detachably fixed. More specifically, an even terminal and an odd terminal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actuator are stably installed and the flexible cable and each terminal are firmly installed. A housing for a flexible cable connector adapted to be connected.
일반적으로, 플렉시블 케이블은 FPC(Flexible Printed Cable)타입과 FFC(Flexible Flat Cable)타입으로 구분되어진다.In general, a flexible cable is classified into a flexible printed cable (FPC) type and a flexible flat cable (FFC) type.
종래에, FPC나 FFC를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Conventionally, flexible cable connectors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an FPC or FFC to a printed circuit board are shown in FIGS. 18 and 19.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고정되며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후방에서 하우징(10) 내로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터미널(20)과, 하우징(10)의 전방으로 삽입되는 FPC/FFC를 하우징(10)에 고정시키는 액츄에이터(30), 및 액츄에이터(30)를 터미널(20)의 피벗홈(20a)에 삽입하기 위해 상승시키는 피팅네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8 and 19,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이 때, 하우징(10)의 전단부에는 FPC/FFC가 안착 고정되는 안착슬롯(12)이 형성되고, 하우징(10)의 후단부내에는 터미널(20)이 삽입 고정되는 터미널 삽입부(12)가 형성되며, 하우징(10)의 양측에는 고정암(13)이 각각 형성되고, 고정암(13)의 내측에는 액츄에이터(30)의 양단부가 고정되는 고정홈(13a)이 형성된다.In this case, a
그리고, 액츄에이터(30)의 후단부 양측에는 고정암(13)의 내측에 형성된 고정홈(13a)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돌기(31)가 돌출되며, 액츄에이터(30)의 전단부 양측에는 액츄에이터(30)를 폐쇄 위치에 위치시킬 때 하우징(10)의 전면부 양측에 걸려 액츄에이터(30)가 회전되지 않도록 록킹하는 록킹돌부(32)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한편, 액츄에이터(30)의 후단부에는 터미널(20)의 피벗홈(20a)에 삽입되어 액츄에이터(3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33)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액츄에이터(30)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그 후단부를 고정암(13)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돌기(31)가 하우징(10)의 고정홈(13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한 다음, 다수의 터미널(20)을 터미널 삽입부(12)에 각각 삽입하고, 피팅네일(40)을 하우징(10)의 양측에 각각 삽입하여 액츄에이터(30)의 회전축(33)을 터미널(20)의 피벗홈(20a)에 삽입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In the conventional flexible cable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rear end portion is inserted between the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커넥터 상에 FPC/FFC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액츄에이터(30)를 회전시켜 개방 위치에 위치시키고, FPC/FFC의 단부를 하우징(10) 의 안착슬롯(12)에 안착시킨 후, 마지막으로 액츄에이터(30)를 회전시켜 폐쇄 위치에 위치시킨다.In order to connect the FPC / FFC on the assembled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액츄에이터가 폐쇄 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전단부 양측에 돌출된 록킹돌부에 의해서만 록킹되도록 이루어지므로, 고정력이 약하여 FPC/FFC를 터미널에 접속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의 전단부를 위로 조금만 잡아당기거나 하우징에 충격을 주게 되면 액츄에이터의 록킹상태가 쉽게 해제될 우려가 있으며, 결국 FPC/FFC를 고정해주는 고정력이 약하되어 FPC/FFC와 터미널의 접속력이 약해지거나 완전 해제될 염려가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lexible cable connecto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only locked by the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on both sides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actuator while the actuator is located in the closed position, so that the fixing force is weak so that the FPC / FFC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If the front end of the actuator is pulled up a little or the shock is applied to the housing in a state, the locking state of the actuator may be easily released.In the end, the fixing force that fixes the FPC / FFC is weakened, so that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FPC / FFC and the terminal It may be weak or completely released.
또한, 액츄에이터를 상승시켜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을 터미널의 피벗홈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피팅네일을 구비해야 하므로, 그만큼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aise the actuator to insert the rotary shaft of the actuator into the pivot groove of the terminal must be provided with a fitting nai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is additionally required.
그리고, 액츄에이터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개방할 경우, 액츄에이터의 고정돌기가 하우징의 고정홈으로부터 쉽게 이탈될 우려가 있다.And, when the actuator is rotated to the rear to open, there is a fear that the fixing projection of the actuato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fixing groove of the housing.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츄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븐 터미널과 오드 터미널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고 플렉시블 케이블과 각 터미널이 견고히 접속될 수 있는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even terminal and the odd terminal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actuator can be stably installed and the flexible cable and each terminal can be firmly connecte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housing for a flexible cable connector.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 터용 하우징은, 전방측에는 FPC/FFC가 안착되는 안착슬롯이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이븐 터미널 및 오드 터미널이 삽입 고정되는 다수의 제1,2터미널 삽입부가 교대로 형성된 하우징 본체; 및 하우징 본체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액츄에이터의 후단부 양측이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housing for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ating slot on which the FPC / FFC is seated on the front side, and a plurality of first slots to which the even terminal and the odd terminal are inserted and fixed to the rear side. A housing body in which two terminal insertion portions are alternately formed; And a seating arm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main body, the seating arm being rotatably se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end of the actuator.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1터미널 삽입부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후단부에는 이븐 터미널을 전방에서 제1터미널 내로 삽입할 때 이븐 터미널이 하우징 본체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1스토퍼가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first terminal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form of open front and rear, an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terminal insertion portion to restrict the even terminal is not expos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body when the even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from the front One stopper is formed.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2터미널 삽입부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오드 터미널을 후방에서 제2터미널 삽입부 내로 삽입할 때 오드 터미널이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가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second terminal insertion portion is formed to be opened in the front and rear, and inside the second stopper for limiting the excessive insertion of the odd terminal when inserting the odd terminal into the second terminal insertion portion from the rear Is formed.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제1터미널 삽입부의 바닥 및 제2스토퍼의 상면에는, 이븐 터미널과 오드 터미널로부터 돌출된 쐐기가 삽입 고정되는 쐐기 고정홈이 각각 형성된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terminal insertion por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topper are formed with wedge fixing grooves in which wedges protruding from the even terminal and the odd terminal are inserted and fix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eatures and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roug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ousing for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FPC/FFC(100)가 안착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FPC/FFC(100)를 고정하고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액츄에이터(20)와, 하우징(10)에 이격 설치되어 액츄에이터(2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이븐 터미널(Even Terminal)(30), 및 이븐 터미널(30) 사이에 설치되어 액츄에이터(20)를 열림 또는 닫힘 상태로 유지시키는 오드 터미널(Odd Terminal)(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to 5, a flexible cable connector with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은 절연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된 것으로, 전방측에는 상부 및 전방으로 개방되어 FPC/FFC(100)의 단부가 착탈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슬롯(12)이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이븐 터미널(30)과 오드 터미널(40)이 각각 삽입 고정되는 제1,2터미널 삽입부(13)(14)가 교대 형성된 하우징 본체(11)와, 하우징 본체(11)의 양측에 연장 형성되어 액츄에이터(20)의 후단부 양측이 회동 가능하고 탈거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암(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 6 to 9, the
안착슬롯(12)의 바닥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한 이븐 터미널(30)의 접속빔(33)과 연결빔(34)이 수용되는 제1수용홈(16)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 제1수용홈(16)은 접속빔(33)의 접속돌부(33a)가 안착슬롯(12)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전방측은 후술할 이븐 터미널(30)의 용접부(35)가 하우징(10)의 하부로 노출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용접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도 개방된다.At the bottom of the
그리고, 제1수용홈(16) 사이에는 오드 터미널(40)의 접속빔(43)이 삽입되는 다수의 제2수용홈(17)이 형성되는데, 이 제2수용홈(17)은 접속빔(43)의 단부에 형성되는 접속돌부(43a)가 안착슬롯(12)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receiving
제1터미널 삽입부(13)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후단부 상측에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븐 터미널(30)이 전방에서 제1터미널 삽입부(13) 내로 삽입될 때 필요 이상으로 삽입되어 하우징(10)의 후방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1스토퍼(18)가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first
그리고, 제1터미널 삽입부(13)의 바닥에는 후술할 이븐 터미널(30)의 기부(31) 저면에 형성된 쐐기(31a)가 삽입 고정되는 제1쐐기 고정홈(13a)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first
제2터미널 삽입부(14)는 전후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측에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드 터미널(40)이 후방으로부터 제2터미널 삽입부(14)에 삽입될 때 지나치게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스토퍼(19)가 형성되는데, 이 제2스토퍼(19)는 후술할 오드 터미널(40)의 지지빔(42)과 접속빔(43) 사이에 개재되어 오드 터미널(40)의 삽입을 제한하게 된다.The second
이러한 제2스토퍼(19)의 상면에는 후술할 지지빔(42)의 저면에 형성된 쐐기(42a)가 삽입 고정되는 제2쐐기 고정홈(19a)이 형성된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각 안착암(15)의 내측면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0)의 후단부 양측이 각각 회동 가능하고 탈거 가능하게 안착되는 액츄에이터 안착홈(15a)이 각각 형성되는데, 이 액츄에이터 안착홈(15a)은 상방 및 후 방으로만 개방되어 있고 전방으로는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20)가 전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안착홈(15a)이 후방으로 개방되어 있더라도, 안착슬롯(12)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하우징(10)의 후방측에 의해 액츄에이터(20)는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S. 6 and 7, an inner side of each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액츄에이터(20)는 하우징(10)의 안착슬롯(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FPC/FFC(100)를 안착슬롯(12)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으로, 그 후단부 양측에는 하우징(10)의 안착암(15)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안착돌기(21)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그 후단부에는 이븐 터미널(30)의 피벗빔(32) 단부 및 오드 터미널(40)의 지지빔(42) 단부가 삽입되는 다수의 제1,2빔 삽입홈(22)(23)이 교대로 형성된다.10 and 11, the above-described
이 때, 이븐 터미널(30)의 피벗빔(32) 단부가 삽입되는 제1빔 삽입홈(22)에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빔(32)의 피벗홈(32a)에 삽입되어 액츄에이터(2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회전축(24)이 양측벽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first
그리고, 오드 터미널(40)의 지지빔(42) 단부가 삽입되는 제2빔 삽입홈(23)의 바닥에는, 액츄에이터(20)가 열림상태에 있을 때 지지빔(42)의 단부가 걸려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액츄에이터(20)가 회동하지 않고 열림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걸림턱(25)이 형성된다.The bottom of the second
한편, 액츄에이터(20)의 후단은 회전축(24)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이다.On the other hand, the rear end of the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이븐 터미널(30)은 하우징(10)에 이격 설치되어 액츄에이터(20)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며 FPC/FFC(100)와 전기적으로 접속 되는 것으로, 제1터미널 삽입부(13)에 삽입 고정되는 기부(31)와, 기부(31)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단부 저면에 피벗홈(32a)이 형성된 피벗빔(32)과, 기부(31)의 중심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단부 상면에 FPC/FFC(100)와 접촉되는 접속돌부(33a)가 형성된 접속빔(33), 및 기부(31)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연결빔(3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인쇄회로기판에 용접되는 용접부(35)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4, the above-described even terminal 30 is spaced apart from the
이 때, 기부(31)의 저면에는 제1터미널 삽입부(13)의 바닥에 형성된 제1쐐기 고정홈(13a)에 삽입 고정되는 쐐기(31a)가 돌출 형성되므로, 이븐 터미널(30)은 제1터미널 삽입부(13)에 견고히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그리고, 접속빔(33), 연결빔(34) 및 용접부(3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홈(16)에 수용되고, 접속빔(33)의 접속돌부(33a)는 FPC/FFC(10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안착슬롯(12)으로 노출되며, 용접부(35)의 하부는 하우징(10)의 하부로 노출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용접된다.And, the connecting
한편, 액츄에이터(20)는 열리거나 닫힐 때 이븐 터미널(30)의 피벗빔(32)으로 인해 상방으로의 이탈이 방지되며, FPC/FFC(100)가 하우징(10)의 안착슬롯(11)에 안착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20)가 도 17d와 같이 닫힐 때 회전축(24)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된 액츄에이터(20)의 후단이 이븐 터미널(30)의 접속돌부(33a)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액츄에이터(20)는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닫힘상태를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오드 터미널(40)은 이븐 터미널(30) 사이 에 설치되어 액츄에이터(20)를 상승시킴으로써 이븐 터미널(3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고, 액츄에이터(20)가 열림상태에 있을 때 이를 록킹하여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열림상태를 유지시키며, FPC/FFC(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s shown in FIG. 15, the above-described odd terminal 40 is installed between the
이러한 오드 터미널(40)은, 제2터미널 삽입부(14)에 삽입 고정되는 기부(41)와, 기부(41)의 상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어 액츄에이터(20)가 열림상태에 있을 때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열림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빔(42)과, 기부(41)의 하측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 상면에 FPC/FFC(100)와 접촉되는 접속돌부(43a)가 형성된 접속빔(43), 및 기부(41)의 하측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인쇄회로기판에 용접되는 용접부(44)로 구성된다.The
이 때, 지지빔(42)의 저면에는 제2터미널 삽입부(14)의 제2스토퍼(19) 상면에 형성된 제2쐐기 고정홈(19a)에 삽입 고정되는 쐐기(42a)가 돌출 형성되므로, 오드 터미널(40)은 제2터미널 삽입부(14)에 견고히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는다.At this time, since the
그리고, 접속빔(43)은 제2수용홈(17)에 수용되며, 접속빔(43)의 접속돌부(43a)는 FPC/FFC(100)에 접촉될 수 있도록 안착슬롯(12)으로 노출된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한편, 오드 터미널(40)의 지지빔(42) 단부는 액츄에이터(20)가 개방된 상태일 때 즉, 도 4의 점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후방으로 기울어진 상태일 때 액츄에이터(20)의 회전축(24)보다 하방에 위치된 액츄에이터(20)의 걸림턱(25)을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액츄에이터(20)는 전방으로 회동되지 않는다. 또한, 액츄에이터(20)가 열림상태일 때 오드 터미널(40)의 지지빔(42) 단부가 액츄에이터(20)를 지지해주므로 액츄에이터(20)의 회전축(24)은 이븐 터미널(30)의 피벗홈(3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end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설치 및 케이블의 연결과정을 도 16a 내지 도 17d를 참고로 설명하기로 한다.A process of assembling / installing the cable and connecting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with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6A to 17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이 구비된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조립하기에 앞서,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FPC/FFC(100)를 하우징(10)에 고정하는 액츄에이터(20), 및 액츄에이터(20)를 고정 및 록킹시키고 FPC/FFC(10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각 터미널(30)(40)을 각각 별도 성형하는 과정이 선행된다.First, before assembling,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provided with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이와 같이, 각 구성요소들의 성형이 완료되면,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것처럼 이븐 터미널(30)을 하우징(10)의 전방을 통해 제1터미널 삽입부(13)에 완전히 삽입하면, 이븐 터미널(30)의 기부(31) 저면에 형성된 쐐기(31a)가 제1쐐기 고정홈(13a)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이븐 터미널(30)의 설치가 완료된다.As such, when molding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s completed, when the
이와 같이 이븐 터미널(3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6c 및 도 16d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20)를 수직으로 세우고, 그 후단부 양측에 형성된 안착돌기(21)를 안착암(15)의 액츄에이터 안착홈(15a)에 각각 삽입한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그리고 나서, 도 16e 및 도 16f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20)를 전방으로 완전히 회동시키고, 도 16g 및 도 16h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의 후방을 통해 오드 터미널(40)을 제2터미널 삽입부(14)에 완전히 삽입시키면, 오드 터미널(40)의 접속돌부(43a)에 의해 액츄에이터(20)가 상승하게 되고 액츄에이터(20)의 회전축(24)이 이븐 터미널(30)의 피벗홈(32a)에 삽입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이 완료된다.Then, fully rotate the
이와 같이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븐 터미널(30)의 용접부(35) 및 오드 터미널(40)의 용접부(44)를 인쇄회로기판에 각각 용접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된다.When the assembly of the flexible cable connector is completed as described above, the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립과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에 FPC/FFC(100)를 연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도 1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안착슬롯(12)을 개방하면, 오드 터미널(40)의 지지빔(42) 단부가 액츄에이터(20)의 회전축(24)보다 하방에 위치된 액츄에이터(20)의 걸림턱(25)을 전방으로 밀어주면서 액츄에이터(20)의 회전축(24)을 이븐 터미널(30)의 피벗홈(3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준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액츄에이터(20)는 화살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다.Looking at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PC /
이처럼, 안착슬롯(12)을 열고 도 17b 및 도 17c에 도시된 것처럼 FPC/FFC(100)의 단부를 안착슬롯(12)에 완전히 삽입하면, FPC/FFC(100)의 단부가 이븐 터미널(30)의 접속빔(33)과 피벗빔(32) 사이, 그리고 오드 터미널(40)의 접속빔(43)과 지지빔(42) 사이에 위치된다.As such, when the
이와 같이, FPC/FFC(100)가 안착슬롯(12)에 안착되면 도 17d에 도시된 것처럼 액츄에이터(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시켜 안착슬롯(12)을 폐쇄시킨다.As such, when the FPC /
이 때, 액츄에이터(20)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FPC/FFC(100)의 상면을 가압함으로써, FPC/FFC(100)의 단자가 이븐 터미널(30) 및 오드 터미널(40)의 각 접속돌부(33a)(43a)에 접촉됨에 따라 FPC/FFC(100)는 각 터미널(30)(40)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액츄에이터(20)가 도 17d의 화살표 방향으로 완전히 회동하면, 회전축(24)보다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된 액츄에이터(20)의 후단이 이븐 터미널(30)의 접속돌부(33a)에 의해 상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액츄에이터(20)는 외부로부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닫힘상태를 유지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따라서, FPC/FFC(100)가 안착슬롯(12)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FPC/FFC(100)와 각 터미널(30)(40) 사이의 접속력이 견고히 유지된다.Thus, since the FPC /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housing for a flexible cable 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detail here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가요성 케이블 커넥터용 하우징에 따르면, 하우징 본체 내에 형성되는 제1,2터미널 삽입부와, 제1,2스토퍼 및 쐐기 등에 의해 액츄에이터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이븐 터미널과 오드 터미널이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FPC/FFC가 하우징 본체의 안착슬롯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FPC/FFC와 각 터미널이 안정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housing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insertion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main body, and the even terminal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actuator by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and wedges; Since the Aode terminal is made to be stably fixed, the FPC / FFC can be firmly fixed to the seating slot of the housing main body, and thus the FPC / FFC and each terminal can be stably connect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4041A KR100605566B1 (en) | 2004-04-08 | 2004-04-08 | Housing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4041A KR100605566B1 (en) | 2004-04-08 | 2004-04-08 | Housing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8611A KR20050098611A (en) | 2005-10-12 |
KR100605566B1 true KR100605566B1 (en) | 2006-07-31 |
Family
ID=3727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40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566B1 (en) | 2004-04-08 | 2004-04-08 | Housing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556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2554A (en) | 2021-02-04 | 2022-08-11 | 이미경 | Connector for FFC |
-
2004
- 2004-04-08 KR KR1020040024041A patent/KR10060556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2554A (en) | 2021-02-04 | 2022-08-11 | 이미경 | Connector for FFC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8611A (en) | 2005-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572885B1 (en) | Flexible Board Connectors | |
JP4834147B2 (en) | Electronic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 |
US7074067B2 (en) | Card edge connector with latching arms | |
KR950012748B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4843669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 |
KR101692210B1 (en) | Electric connector for circuit substrate | |
KR100532135B1 (en) | Housing for flexibility cable connector | |
JP3328764B2 (en) | Edge connector | |
JPH11297403A (en) | Pressure contact connector | |
KR100490250B1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exible flat cable | |
KR100514596B1 (en) | Actuator for flexibility cable connector | |
KR100605566B1 (en) | Housing for flexible cable connector | |
KR100562774B1 (en) | Actuator for flexible cable connectors | |
KR100562773B1 (en) | Flexible cable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US6371789B1 (en) | Connection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locking mechanism for maintaining a connection state | |
KR100562776B1 (en) | Flexible cable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JP4380428B2 (en) | connector | |
JPH11135179A (en) | Connector socket | |
WO2008004756A1 (en) | An fpc/ffc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 |
US20240186751A1 (en) | Connector with TPA | |
JP3677596B2 (en) |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 |
KR100513837B1 (en) | Fitting nail for flexibility cable connector | |
JP3121799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board | |
EP1750332A1 (en) | Connector for cable | |
KR102560489B1 (en) | Connector for FFC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