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5257B1 -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257B1
KR100605257B1 KR1020040057111A KR20040057111A KR100605257B1 KR 100605257 B1 KR100605257 B1 KR 100605257B1 KR 1020040057111 A KR1020040057111 A KR 1020040057111A KR 20040057111 A KR20040057111 A KR 20040057111A KR 100605257 B1 KR100605257 B1 KR 100605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front panel
operation button
support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7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416A (ko
Inventor
홍신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7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257B1/ko
Priority to US11/156,664 priority patent/US7019237B2/en
Priority to CNB2005100874266A priority patent/CN100353471C/zh
Publication of KR20060008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25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1/24Operating parts, e.g. handle biased to return to normal position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01H2001/5811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both fixed and movable contacts being formed by blank stamping and mounted or soldered on printed circuit board without any other hou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는, 전자기기 본체 내에 설치된 기판에 마련된 택트스위치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을 지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에 있어서, 본체에 결합되며, 노출구멍이 형성된 프런트 패널과; 대략 중앙에 형성된 탄성변형부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프런트패널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탄성변형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버튼리브와, 회동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노출구멍으로 노출되는 노브와, 회동부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택트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조작버튼과; 프런트패널의 배면에서 소정 높이로 마련되며, 버튼리브의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리브와; 노출구멍과 지지리브 사이에 위치되게 프런트패널의 배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버튼리브를 접촉 지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Operating button supporting apparatus for electric device}
도 1a는 종래의 조작버튼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도 1b는 도 1a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확대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작버튼 지지장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조작버튼을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측면도.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조작버튼의 정면도.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프런트패널의 분리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요부를 발췌하여 나타내 보인 요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기기본체 107..DVD 데크
110..기판 112..택트스위치
120..조작버튼 지지장치 130..프런트패널
131..외측패널 133..내측패널
133a..융착보스 133b..지지리브
133c..접촉리브 140..조작버튼
141..버튼리브 143..노브
145..가압부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그를 채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VD 플레이어, VCR, 디지털 오디오 디스크 장치, 비디오 디스크 장치 등과 같은 전자기기는, 매체의 출입을 위한 프런트패널의 정면에 각종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을 비롯하여, 기능에 따라 다수의 조작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버튼은 통상적으로 전방으로부터 가해진 가압력에 의해 후방으로 회동하여 메인기판에 설치된 택트스위치의 접점을 단속함으로서 기기의 모드를 전환하거나 기능이 설정되도록 한다.
이 때, 기기의 조작버튼은 기능에 따른 프런트 패널과의 결합과정에서 각 노브가 프런트패널의 정면을 통해 돌출되도록 프런트 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상기 노브의 조작에 따라서 접점이 연결되도록, 택트스위치는 전자기기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기판의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따라서, 조작버튼은 상기 노브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을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택트 스위치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조작버튼은 배면 하부에 장방형의 가 압부를 수평방향으로 형성시켜서 노브에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부가 후방의 하방으로 회동함으로서 택트 스위치의 접점과 밀착된다.
한편, 최근의 조작버튼은 노브와 가압부 등을 하나의 리브상에 연속 형성하여 프런트패널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프런트패널과의 결합과정에서 프런트패널과 조작버튼의 접촉면을 공유시킴으로서 제한된 프런트패널의 내부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기기의 프런트패널에 설치된 조작버튼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전자기기 본체(10) 내에 기판(11)이 수평상태로 놓여져 있다. 기판(11) 위에는 수직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동작되는 접점(12a)을 가지는 택트스위치(1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프런트패널(20)이 결합된다. 이 프런트패널(20)은 통상적으로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패널(21)와, 내측에 감추어지는 내측패널(23)이 결합되어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조작버튼(30)은 내측패널(23)의 배면과 대략 나란한 버튼리브(31)와, 버튼리브(31)에서 프런트패널(20)의 전방으로 노출되게 연장되는 노브(33)와, 버튼리브(3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택트스위치(12)의 접점(12a)을 가압하는 가압부(35)를 가진다.
상기 버튼리브(31)는 내측패널(23)의 배면에 형성된 융착보스(23a)에 끼워져 고정된다. 그리고, 버튼리브(31)는 융착보스(23a)에 의해 지지된 하부와 노브(33) 가 마련된 상부 사이에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부(31a)를 가진다. 상기 노브(33)를 후방(A)으로 가압하면, 탄성변형부(31a)가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그 탄성변형부(31a)를 중심으로 버튼리브(31)의 상부가 회동됨으로서 가압부(35)가 접점(12a)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성에서 상기 노브(33)를 프런트패널(20)에 형성된 노출구멍(20a)의 대략 중앙에서 편심되지 않게 위치시키기 위해서, 내측패널(23)의 배면으로 돌출부(23b)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버튼리브(31)의 상단부가 돌출부(23b)에 접촉된 상태로 지지됨으로써, 노브(33)는 노출구멍(20a)의 중앙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20)은 기기 본체(10)와는 달리 통상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몰드물로 제작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탄성변형 가능하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기기의 슬림화를 추구함에 따라서, 프런트패널(20)의 두께가 얇아지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프런트패널(20)의 상부와 하부를 손으로 잡았을 때, 프런트패널(20)에는 도 1a의 화살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다. 이 힘에 의해 프런트패널(20)의 중앙부위가 탄성 변형된다. 이와 같이, 프런트패널(20)의 중앙부위가 탄성 변형되면, 돌출부(23b)가 버튼리브(31)를 후방으로 미는 가압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노브(33)를 조작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프런트패널(20)의 탄성변형에 의해 버튼리브(31)에 가압력에 작용함으로서 택트스위치(12)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작버튼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이를 채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는, 전자기기 본체 내에 설치된 기판에 마련된 택트스위치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을 지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노출구멍이 형성된 프런트 패널과; 대략 중앙에 형성된 탄성변형부를 중심으로 일단부는 상기 프런트패널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탄성변형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버튼리브와, 상기 회동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출구멍으로 노출되는 노브와, 상기 회동부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택트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조작버튼과;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에서 소정 높이로 마련되며, 상기 버튼리브의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리브와; 상기 노출구멍과 상기 지지리브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리브를 접촉 지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버튼리브의 탄성변형부를 접촉 지지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지지리브와 동일높이로 마련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프런트패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에는 복수의 융착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버튼리브의 일단부에는 상기 융착보스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노출구멍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프런트패널은, 외측으로 노출되는 외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리브 및 접촉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내측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동작되는 택트스위치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패널과;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에 일단이 고정되며, 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택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버튼과;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버튼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리브와;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기 조작버튼의 탄성변형부와 상기 고정된 일단 사이의 소정 위치를 접촉 지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지지리브에 결합되는 결합공을 가지는 고정부와,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변형시 상기 탄성변형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부를 가지는 버튼리브와; 상기 회동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력을 받는 노브와; 상기 회동부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시 상기 택트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 및 조작버튼 지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는 광디스크에 정보를 기록/재생하기 위한 DVD 플레이어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전자기기는 기기 본체(100)와, 기기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기판(110)과, 기기본체(100) 전방에 결합되는 조작버튼 지지장치(120)를 구비한다.
상기 기기 본체(100)는 금속재질의 프레임들이 서로 박스형태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 기기 본체(100)는 베이스프레임(101)과, 커버프레임(103) 및 리어프레임(105)으로 구성된다. 베이스프레임(101)에는 기록/재생유닛의 일예로서, DVD 데크(107)가 설치된다. 그리고, DVD 데크(107)의 구동을 위한 기판(110)이 베이스 프레임(101) 상에 설치된다. 상기 기판(110)에는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고, 모드 및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택트스위치(111)가 설치된다. 이 택트스위치(111)는 수직방향으로 가압되어 동작되는 접점(112)를 가진다.
상기 조작 버튼 지지장치(120)는 프런트패널(130)과, 조작 버튼(140)을 구비한다.
상기 프런트패널(130)은 전방으로 노출되는 외측패널(131)과, 내측으로 숨겨지는 내측패널(133)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 및 내측패널(131,133) 각각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몰드물이다.
상기 내측패널(133)은 외측패널(131)의 배면에 밀착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프런트패널(130)은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의 출입을 위한 출입구(130a)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조작버튼(140)은 상기 택트스위치(111)를 동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내측패널(133)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조작버튼(14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패널(133)의 배면에 결합되는 버튼리브(141)와, 상기 버튼리브(141)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노브(143)와, 노브(143)의 반대방향으로 리브(141)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압부(145)를 가진다. 상기 버튼리브(141)는 구체적으로, 일단의 고정부(141a)와, 타단의 회동부(141c) 및 대략 중앙의 탄성지지부(141b)를 가진다.
상기 고정부(141a)는 버튼리브(141)의 하단에 해당되는 부위로서, 내측패널(133)에 형성된 융착보스(133a)가 끼워져 융착되는 복수의 결합공(141d)이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부(141b)는 고정부(141a)와 회동부(141c) 사이에 두께를 주위보다 얇게 형성시켜 마련된다.
상기 회동부(141c)는 탄성변형부(141b)의 상측에 해당되는 부위이다. 이 회동부(141c)의 전방으로 상기 노브(143)가 돌출 형성되고, 후방으로 가압부(145)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노브(143)에 전방으로부터 화살표 A 방향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면, 탄성변형부(141b)가 탄성 변형됨에 따라서 회동부(141c)는 탄성변형부(141b)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버튼리브(141)는 하단이 내측패녈(133)에 고정된 상태로 상부가 회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노브(143)는 버튼리브(141)와 일체로 형성되며, 프런트패널(130)에 형성된 노출구멍(130b)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노출구멍(130b) 주 위에는 종래와는 달리 회동부(141c)를 접촉 지지하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상기 가압부(145)는 회동부(141c)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며, 회동부(141c)가 탄성변형부(141b)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될 때, 택트스위치(111)의 접점(112)를 접촉 가압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내측패널(133)의 배면에는 상기 융착보스(133a)가 형성되는 지지리브(133b)가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133b)는 내측패널(133)의 배면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버튼리브(141)의 결합공들(141d)을 융착보스(133a)에 끼운 상태에서, 지지리브(133b)에 밀착시키면, 노브(143)가 노출구멍(130b)의 대략 중앙부위에 위치되도록 버튼리브(141)의 자세를 잡아줄 수 있다. 그리고, 버튼리브(141)가 지지리브(133b)에 밀착되어 내측패널(133)의 배면과 나란한 상태가 되면, 융착보스(133a)의 융착작업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내측패널(133)의 배면에는 상기 버튼리브(141)가 내측패널(133)의 배면과 소정간격을 유지하도록 접촉 지지하기 위한 접촉리브(133c)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리브(133c)는 버튼리브(141)의 회동중심 즉, 탄성변형부(141b)로부터 아래쪽을 접촉 지지하는 것이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리브(133c)는 탄성변형부(141b)를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리브(133b)와 노출구멍(130b)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접촉리브(133c)는 내측패널(133)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거리로 형성됨으로서, 버튼리브(141)에 형성된 한 쌍의 탄성변형부(141b) 각 각을 동시에 접촉 지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조작버튼(140)의 버튼리브(141)의 고정부(141a)는 내측패널(133)에 고정된다. 그리고, 조작버튼(140)의 회동중심 역할을 하는 탄성변형부(141b)를 접촉리브(133c)가 접촉 지지한다. 따라서, 노브(143)가 노출구멍(130b)의 중앙에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버튼리브(141)를 내측패널(133)의 배면에 안정된 자세로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노브(143)를 후방으로 가압할 경우, 탄성변형부(141b)가 변형됨으로써 버튼리브(141)의 회동부(141c)가 회동되고, 가압부(145)는 택트스위치(111)의 접점(112)를 눌러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a에서 도면부호 135는 프런트패널(131)과 내측패널(133) 사이에 설치되는 기능키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면부호 131b는 프런트패널(131)에 형성되어 내측패널(133)의 소정부위에 로킹결합되는 로킹부를 타나낸다.
한편, 상기 프런트패널(130)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측 각각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할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경우, 상/하 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프런트패널(130)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그러면, 내측패널(133)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리브(133c)에는 전방 또는 부방으로의 가압력이 작용할 수 있다. 후방으로의 가압력은 접촉리브(133c)로부터 탄성변형부(141b)로 전달될 수 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작버튼(140)은 탄성변형부(141b)의 상부쪽 즉, 회동부(141c) 측에 가압력이 작용할 경우에만 탄성변형부(141b)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접촉리브(133c)에 의해 탄성변형부(141b)로 가압력이 전달되더라도, 탄성변형부(141b)는 회동부(141c)를 회동시킬 정 도로 탄성 변형되지 않게 된다. 즉, 접촉리브(133c)에 의한 가압력은 탄성변형부(141b)에서 흡수되고, 회동부(141c)의 회동운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탄성변형부(141b)를 기준으로 버튼리브(141)의 상측 즉, 회동부(141c)는 내측패널(133)과 소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내측패널(133)이 변형되면서 탄성변형부(141c)를 직접 접촉 가압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이를 가지는 전자기기에 따르면, 조작버튼이 회동되는 중심이 되는 탄성변형부 이하의 부위를 접촉리브를 형성시켜서 지지함으로써, 내측패널의 변형에 의한 가압력이 조작버튼의 회동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프런트패널이 변형되더라도, 조작버튼이 회동되어 택트스위치를 동작시켜 발생되는 오동작을 방지하여 제품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전자기기 본체 내에 설치된 기판에 마련된 택트스위치를 수직방향으로 가압하여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버튼을 지지하기 위한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노출구멍이 형성된 프런트 패널과;
    중심부에 형성된 탄성변형부를 기준으로 일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프런트패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타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탄성변형부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회동부를 가지는 버튼리브와, 상기 회동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노출구멍으로 노출되는 노브와, 상기 회동부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택트스위치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가지는 조작버튼과;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에서 소정 높이로 마련되며, 상기 버튼리브의 고정부를 고정시키는 지지리브와;
    상기 노출구멍과 상기 지지리브 사이에 위치되게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리브를 접촉 지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버튼리브의 탄성변형부를 접촉 지지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지지리브와 동일높이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프런트패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에는 복수의 융착보스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버튼리브의 일단부에는 상기 융착보스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 을 특징을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노출구멍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은,
    외측으로 노출되는 외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리브 및 접촉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내측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8. 전자기기 본체와;
    상기 전자기기 본체 내에 설치되며, 하방향으로의 가압력에 의해 동작되는 택트스위치를 가지는 기판과;
    상기 전자기기 본체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런트패널과;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에 일단이 고정되며, 전방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택트스위치를 동작시키는 조작버튼과;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버튼의 일단을 고정시키는 지지리브와;
    상기 프런트패널의 배면으로 소정 높이 돌출되며, 상기 조작버튼의 탄성변형부와 상기 고정된 일단 사이의 소정 위치를 접촉 지지하는 접촉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지지리브에 결합되는 결합공을 가지는 고정부와, 탄성변형부와, 상기 탄성변형부의 변형시 상기 탄성변형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회동부를 가지는 버튼리브와;
    상기 회동부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력을 받는 노브와;
    상기 회동부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부의 회동시 상기 택트스위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상기 노브가 삽입되는 노출구멍이 상기 지지리브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노출구멍과 상기 지지리브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전자기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리브는 상기 탄성변형부를 접촉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리브와 상기 지지리브는 동일한 높이로 상기 프런트패널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3. 제8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은,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패널과;
    상기 외측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며, 상기 접촉리브와 지지리브가 일체로 형성된 내측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40057111A 2004-07-22 2004-07-22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111A KR100605257B1 (ko) 2004-07-22 2004-07-22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US11/156,664 US7019237B2 (en) 2004-07-22 2005-06-21 Supporting device for control buttons of electronic instruments and electronic instruments adapting the same
CNB2005100874266A CN100353471C (zh) 2004-07-22 2005-07-22 电子设备的控制按钮的支承装置和使用该装置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7111A KR100605257B1 (ko) 2004-07-22 2004-07-22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416A KR20060008416A (ko) 2006-01-26
KR100605257B1 true KR100605257B1 (ko) 2006-07-28

Family

ID=35655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11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5257B1 (ko) 2004-07-22 2004-07-22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019237B2 (ko)
KR (1) KR100605257B1 (ko)
CN (1) CN1003534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50798B (en) * 2004-10-19 2006-03-01 Coretronic Corp Pushbutton protection device of electronic product
JP2006221845A (ja) * 2005-02-08 2006-08-24 Funai Electric Co Ltd 面押しボタン及び電子機器
TW200642563A (en) * 2005-05-16 2006-12-01 Benq Corp Electric device with switches having high precision
TWI275024B (en) * 2005-08-15 2007-03-01 Asustek Comp Inc A kinetic passing element applied to a button structure
JP2007115499A (ja) * 2005-10-20 2007-05-10 Orion Denki Kk 押し釦装置
CN2842688Y (zh) * 2005-10-24 2006-11-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按键装置
CN100493306C (zh) * 2005-12-22 2009-05-27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具有按键结构的壳体装置
CN2886781Y (zh) * 2006-02-10 2007-04-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按键模组结构
JP4839969B2 (ja) * 2006-06-08 2011-12-21 ヤマハ株式会社 鍵盤装置
JP2009043100A (ja) * 2007-08-09 2009-02-26 Fujitsu Ltd 媒体ドライブ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CN101668396B (zh) * 2008-09-02 2011-08-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按键组合
CN102376479A (zh) * 2010-08-27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结构及具该按键结构的便携式电子装置
EP3648558A1 (en) * 2018-11-05 2020-05-06 Koninklijke Philips N.V. Housing with internal locking arrangement
JP1685892S (ko) * 2020-10-01 2021-05-24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3133A (en) * 1989-01-27 1991-03-26 Clarion Corporation Ltd. Multistage pushbutton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H06232570A (ja) 1993-02-05 1994-08-19 Hitachi Ltd 操作釦取付け構造
KR950020945A (ko) 1993-12-20 1995-07-26 한동렬 브라운관 퍼널연마 시스템
JP3604772B2 (ja) * 1995-06-07 2004-12-22 三菱電機株式会社 押しボタン装置
JP3551587B2 (ja) 1995-12-14 2004-08-11 三菱電機株式会社 押しボタン装置
JPH09306291A (ja) * 1996-05-21 1997-11-28 Mitsubishi Electric Corp 押しボタン装置
JP3555349B2 (ja) 1996-08-26 2004-08-18 三菱電機株式会社 押しボタン装置
WO1999050845A1 (en) * 1998-03-27 1999-10-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push-button construction
KR20000003756A (ko) 1998-06-29 2000-01-25 김영환 박막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MY122430A (en) * 1999-12-08 2006-04-29 Sony Corp Electronic equipment and transmission device of button device used therein
JP2001345030A (ja) * 2000-05-31 2001-12-14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ノブ及びスイッチノブの製造方法
JP2002190233A (ja) * 2000-12-19 2002-07-05 Pioneer Electronic Corp スイッチ操作体
JP2002324461A (ja) * 2001-04-24 2002-11-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押ボタンスイッチ装置
JP2004103490A (ja) * 2002-09-12 2004-04-02 Orion Denki Kk 電気機器の操作ボタン取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16675A1 (en) 2006-01-26
KR20060008416A (ko) 2006-01-26
CN100353471C (zh) 2007-12-05
US7019237B2 (en) 2006-03-28
CN1725403A (zh) 200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257B1 (ko) 전자기기의 조작버튼 지지장치 및 전자기기
KR100762391B1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
US7430751B2 (en) Data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with an improved structure for securely supporting a front panel
JP3820655B2 (ja) 押釦スイッチ
US20040174688A1 (en) Panel structure
TWM577588U (zh) 按鍵組件
KR20030005819A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
JPH0520968A (ja) キーボタンスイツチ装置
KR20030005826A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
JP2000021149A (ja) 記録媒体装置の取り出し構造、及びその構造に用いられる機器本体又はアダプター
KR0123528Y1 (ko) 노브체 변형 방지구조
JPH1051154A (ja) 押しボタン機構及びロック解除押しボタン機構
KR19990013807U (ko) 브이씨알용 노브
JPH11159226A (ja) 蓋体の開閉機構及びこれが設けられた記録再生装置
KR100582961B1 (ko) 영상 기록재생장치의 스위치장치
KR100220519B1 (ko) 브이씨알용 노브의 결합구조
KR200163937Y1 (ko) 전자제품의 노브 이탈 방지구조
JP3982065B2 (ja) 電子機器
JP2008066218A (ja) レバースイッチ
KR20030005825A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
KR20030005845A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
KR20030005844A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의 절환레버조립체
KR20030005824A (ko) 휴대형 디스크 재생장치의 스피커 조립체
TWM578872U (zh) 按鍵組件
JP2000106064A (ja) 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