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4792B1 - 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Transmitter and Receiver - Google Patents

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Transmitter and Recei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792B1
KR100604792B1 KR1019990049951A KR19990049951A KR100604792B1 KR 100604792 B1 KR100604792 B1 KR 100604792B1 KR 1019990049951 A KR1019990049951 A KR 1019990049951A KR 19990049951 A KR19990049951 A KR 19990049951A KR 100604792 B1 KR100604792 B1 KR 100604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urrent
voltage
output
bia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9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10029411A (en
Inventor
이재훈
문병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09/666,218 priority Critical patent/US7209178B1/en
Publication of KR20010029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4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792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5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 H04B10/2507Arrangements specific to fibre transmission for the reduction or elimination of distortion or disp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01Structural aspects
    • H04B10/503Laser transmitters
    • H04B10/505Laser transmitters using external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50Transmitters
    • H04B10/516Details of coding or modulation
    • H04B10/548Phase or frequency modulation
    • H04B10/556Digital modulation, e.g. differential phase shift keying [DPSK] or frequency shift keying [FSK]
    • H04B10/5561Digital phase 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60Receivers
    • H04B10/66Non-coherent receivers, e.g. using direct detection
    • H04B10/69Electrical arrangements in the receiver
    • H04B10/697Arrangements for reducing noise and distor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광 전송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광 전송 시스템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변환된 광 신호를 원래의 비디오 신호로 복원하는 광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제어기, 송신 장치, 송신용 광 다이오드, 광 전송로, 수신용 광 다이오드 및 수신 장치를 구비한다. 비디오 제어기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색 신호와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의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색 신호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송신 장치는, 비디오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들을 스큐 보상 및 압축하고, 압축된 신호를 구동 전류로 변환한다. 송신용 광 다이오드는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류를 광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광 신호를 출력한다. 광 전송로는 소정 수의 채널로 구성되어 광 신호를 전송한다. 수신용 광 다이오드는 광 전송로를 통하여 인가되는 광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류 신호를 출력한다. 수신 장치는, 전류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압축 해제 및 스큐 보상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LCD모니터의 데이타를 광 전송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타 전송이 수행될 수 있고, 전자기 방해(EMI) 노이즈가 제거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omprising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is disclosed. In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onverts an externally applied video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and restores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to an original video signal. A video controller, a transmission device, a transmission photodiode, an optical transmission path, a reception photodiode, and a reception device are provided. The video controller separates the color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from the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color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data enable signal and a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transmitting device skews and compresses the signals applied from the video controller and converts the compressed signal into a drive current. The transmission photodiode converts the drive current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into an optical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The optical transmission path is composed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nnels to transmit optical signals. The receiving photodiode converts an optical signal applied through an optical transmission path into a current and outputs the converted current signal. The receiving device converts the current signal into a voltage, decompresses and skews the converted signal to restore the origin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igh-speed data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by optically transmitting data of the LCD monitor, and there is an effect that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noise can be eliminated.

Description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광 전송 시스템{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Transmitter and Receiver}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Transmitter and Receiv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 전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ransmitting devi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hown in FIG.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송신 장치의 광학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optical driver of the transmitting apparatus shown in FIG. 2.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드라이버의 밴드 갭 회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FIG. 4 is a circuit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band gap circuit of the optical driver illustrated in FIG. 3.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드라이버의 레이저 드라이버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FIG.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laser driver of the optical driver shown in FIG. 3.

도 6(a)~6(c)는 도 5에 도시된 레이저 드라이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이다. 6 (a) to 6 (c) are waveform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driver shown in FIG.

도 7(a)~7(c)는 도 5에 도시된 레이저 드라이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파형도들이다. 7 (a) to 7 (c) are other waveform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driver shown in FIG.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광 전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receiv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hown in FIG. 1.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광학 수신기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FIG. 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tical receiver of the receiving device illustrated in FIG. 8.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ptical receiver shown in FIG.

도 11(a) 및 11(b)는 도 10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의 입출력 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들이다. 11A and 11B are waveform diagrams illustrating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optical receiver illustrated in FIG. 10.

도 12(a)~12(d)는 도 10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이다. 12A to 12D are waveform diagrams for describing an operation of the optical receiver illustrated in FIG. 10.

도 13(a)~13(c)는 도 10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파형도들이다. 13 (a) to 13 (c) are other waveform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receiver shown in FIG.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ion unit of the recep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8.

도 15 (a) 및 15(b)는 도 14에 도시된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에 인가되는 워드 클럭 신호 및 직렬 데이타의 파형도들이다.15 (a) and 15 (b) are waveform diagrams of word clock signals and serial data applied to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ion unit shown in FIG.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장치를 이용한 데이타 복원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FIG. 1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data restoration method using the apparatus shown in FIG. 14.

도 17은 워드 클럭 신호 및 클럭 신호 발생부로부터 출력되는 제1 ∼ 제9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의 파형도들이다.17 are waveform diagrams of first through ni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output from a word clock signal and a clock signal generator.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제1래치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FIG. 18 is a circuit diagram specifically illustrating a first latch unit illustrated in FIG. 14.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동기화부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1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in detail the synchronization unit illustrated in FIG. 14.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제540 단계의 세부적인 플로우차트이다.20 is a detailed flowchart of operation 540 of FIG. 16.

본 발명은 데이타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광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일반적으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이하, CRT) 모니터는 아날로그 방식에 의해 제어된다. 그러나,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evice:이하, LCD) 모니터는 디지탈 신호를 구동 신호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본체와 연결되지 않고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는 LCD 모니터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 내부에서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탈 신호에 의해 데이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노트북 컴퓨터의 LCD 모니터는 본체로부터 디지탈 신호 자체를 수신하고, 이에 따른 데이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디지탈 신호를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경우에는, 신호의 간섭이나 노이즈에 의한 영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저전압 차동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이하, LVDS)를 이용한 패널 링크 칩 등을 이용하여 신호 형태를 변화시킨 후 LCD패널로 전송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cathode ray tube (CRT) monitors are controlled by analog methods. However,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nitors use digital signals as drive signals. For example, an LCD monitor, which is not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is provided externally, converts an analog video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inside the monitor using a digital / analog converter, and displays the data on the screen by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 In addition, the LCD monitor of the notebook computer receives the digital signal itself from the main body, and displays the data on the screen accordingly. However, in the case of transmitting and displaying the digital signal in this way, the influence of the interference or noise of the signal may occur. Therefore, a method of changing a signal type using a panel link chip using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 (LVDS) or the like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a LCD panel is widely used.

그러나, 디지탈 방식을 이용하는 종래의 LCD모니터는 데이타 전송 시에 동축 케이블을 사용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사용함에 따라 가격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를 위한 해상도가 점점 더 증가됨에 따라 전송 속도 상승과 같은 특별한 대책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동축 케이블로 데이타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신호 전송 거리에 따른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케이블 길이가 증가하면, 케이블에 따른 노이즈가 발생되어 장거리 전송 이 어렵게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간에 전자기 방해 (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I) 현상이 발생되어 전송 데이타의 품질이 떨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However, conventional LCD monitors using the digital system use coaxial cables for data transmission. In such a case, the price can be increased by using an analog / digital converter. In addition, as resolutions for displays are increasingly increased, special countermeasures such as increased transfer rates are requir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a coaxial cabl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imitation depending on the signal transmission distance may occur. That is, if the cable length is increased, noise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the cable, making long distance transmission difficult.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henomenon between the cables can be generated and the quality of the transmission data may be degraded.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1기술적 과제는, 고속 전송이 가능하고, 케이블 간의 전자기 방해 현상을 없앨 수 있는,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광 전송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first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having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capable of high-speed transmission and eliminating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between cables.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2기술적 과제는, 상기 광 전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구비되는 광학 드라이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A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driver provided in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3기술적 과제는, 상기 광 전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에 구비되는 광학 수신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The third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ptical receiver provided in the receiving devi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제4기술적 과제는, 상기 수신 장치에서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된 데이타와 워드 클럭 신호 사이의 스큐를 보상하여 원래의 정보 데이타를 안정적으로 복원해낼 수 있는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 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A fourth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 capable of stably restoring original information data by compensating for skew between data transmitted through a transmission channel and a word clock signal in the receiving apparatus. To provid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5기술적 과제는, 상기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 회로에서 수행되는 데이타 복원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A fifth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ata restor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data restoration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

상기 제1과제를 이루기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광 전송 시스템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전 송하고, 변환된 광 신호를 원래의 비디오 신호로 복원하는 광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비디오 제어기, 송신 장치, 송신용 광 다이오드, 광 전송로, 수신용 광 다이오드 및 수신 장치를 구비한다. 비디오 제어기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색 신호와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의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색 신호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전송한다. 송신 장치는, 비디오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들을 스큐 보상 및 압축하고, 압축된 신호를 구동 전류로 변환한다. 송신용 광 다이오드는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구동 전류를 광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광 신호를 출력한다. 광 전송로는 소정 수의 채널로 구성되어 광 신호를 전송한다. 수신용 광 다이오드는 광 전송로를 통하여 인가되는 광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류 신호를 출력한다. 수신 장치는, 전류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압축 해제 및 스큐 보상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rst object,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 transmitting device and a recei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n externally applied video signal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to the original video signal.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for restoring a light source, comprising: a video controller, a transmission device, a transmission photodiode, an optical transmission path, a reception photodiode, and a reception device. The video controller separates the color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from the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color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data enable signal and a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The transmitting device skews and compresses the signals applied from the video controller and converts the compressed signal into a drive current. The transmission photodiode converts the drive current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into an optical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The optical transmission path is composed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nnels to transmit optical signals. The receiving photodiode converts an optical signal applied through an optical transmission path into a current and outputs the converted current signal. The receiving device converts the current signal into a voltage, decompresses and skews the converted signal to restore the original signal.

상기 제2과제를 이루기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구비되는 광학 드라이버는, 소정의 채널 데이타를 광 전송로를 통하여 광 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장치(Transmitter)의 광학 드라이버에 있어서, 바이어스 및 변조 저항 가변부, 밴드 갭 회로 및 레이저 드라이버를 구비한다. 바이어스 및 변조 저항 가변부는, 저항 값이 가변되는 바이어스 저항과 변조 저항을 포함하고, 바어어스 저항과, 변조 저항 값의 변화에 의해 출력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킨다. 밴드 갭 회로는, 외부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밴드 갭 기준 전압을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 전압과, 바이어스 저항 및 변조 저항에 의한 전류 변화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 또는 변조 전류를 가변시킨다. 레이저 드라이버는, 각 채널 데이타를 받아들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고, 밴드 갭 회로에서 발생되는 변조 전류와, 바이어스 전류를 전류 신호와 더하여 외부 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로서 출력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second object, the optical driver included in the transmission device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n optical driver of a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predetermined channel data as an optical signal through an optical transmission path. A bias and modulation resistance variable part, a band gap circuit, and a laser driver are provided. The bias and modulation resistance variable part includes a bias resistor and a modulation resistor whose resistance value is varied, and changes the bias resistance and the amount of current output by the change of the modulation resistance value. The band gap circuit sets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that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regardless of external changes, and varies the bias current or modulation current by the set reference voltage and the current change by the bias resistor and the modulation resistor. The laser driver receives each channel data, converts it into a current signal, and outputs the modula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band gap circuit and the bias current as a driving current for driving an external optical element by adding the current signal.

상기 제3과제를 이루기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에 구비되는 광학 수신기는, 외부의 광 수신용 다이오드에서 전류 신호로 변환된 채널 데이타를 수신하여 디지탈의 신호로 복원하는 수신 장치의 광학 수신기에 있어서, 바이어스 회로, 전류/전압 변환부, 증폭부, 듀티 보상부 및 레벨 변환부를 구비한다. 바이어스 회로는, 전원 전압으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공급받아 제1바이어스 전류 및 제2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한다. 전류/전압 변환부는,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고, 광 수신용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차동의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증폭부는,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고, 차동 전압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된 결과를 제1차동 출력 신호와 제2차동 출력 신호로서 생성한다. 듀티 보상부는,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며 출력 전류가 서로 더해지는 전류 서밍(summing) 구조의 비교기들로 구현되고, 제1차동 출력 신호와 제1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제2차동 출력 신호와 제2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는 제1, 제2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레벨 변환부는, 제2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며, 듀티 보상부에서 출력되는 제1출력 신호와 제2출력 신호의 전압 레벨을 디지탈화하고, 디지탈화된 신호를 출력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third object, the optical receiver provid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hannel data converted from the external optical receiving diode into a current signal and restores the digital signal to a digital signal. An optical receiver comprising: a bias circuit, a current / voltage converter, an amplifier, a duty compensator, and a level converter. The bias circuit receives a predetermined current from a power supply voltage to generate a first bias current and a second bias current.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sources the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nd converts the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receiving diode into a differential voltage signal. The amplifier unit sources the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mplifies the differential voltage signal, and generates the amplified result as the first differential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differential output signal. The duty compensator is implemented by comparators having a current summing structure in which the current is sourced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nd the output current is added to each other, and the first differential output signal is compared with the first reference voltage, and the second differential The output signal is compared with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result. The level converter sources the current in response to the second bias current, digitizes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duty compensator, and outputs the digitized signal.

상기 제4과제를 이루기위해,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에 구비되는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 회로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소정 오프셋을 갖는 제1 ∼ 제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을 발생하는 위상 동기 루프를 구비하고, 각각 n(여기서, n은 1이상의 양의 정수)비트의 동기 신호와 정보 데이타가 멀티플렉싱되어 전송 채널을 통하여 직렬 전송되는 데이타를 제1∼제n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복원하는 수신 장치의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 회로에 있어서, 제1래치부, 제2래치부 및 동기화부를 구비한다. 제1래치부는, 수신된 직렬 전송 데이타를 제1 ∼ 제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병렬로 n+N-1(여기서, N은 3이상의 양의 정수)비트 단위로 래치하고, 서로 간에 소정 오프셋의 시간차를 가지며 각각이 래치된 n비트로 이루어진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출력한다. 제2래치부는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제1 ∼ 제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중 타이밍 마진이 가장 큰 제X(1≤X≤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병렬로 래치한다. 동기화부는, 소정의 동기 존재 신호와 제X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제2 래치부에서 래치된 데이타들중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상태 데이타를 복원된 상기 정보 데이타로서 출력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fourth object,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 provided in the receiving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ase for generating first to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having a predetermined offset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A synchronization loop, each of n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of 1 or more), and multiplexed synchronization signals and information data to serially transmit data through the transmission channel to the first through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A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 of a receiving device which restores in response, comprising a first latch unit, a second latch unit, and a synchronization unit. The first latch unit latches the received serial transmission data in units of n + N−1 bits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of 3 or more) in parallel in response to the first through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and N state data consisting of n bits each latched with a time offset of a predetermined offset are output. The second latch unit latches N state data in parallel in response to an X (1 ≦ X ≦ n) non-overlapping clock signal having the largest timing margin among the first to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The synchronization unit outputs, as the information data, the state data for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among the data latched in the second latch unit in response to the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existence signal and the X-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

상기 제5과제를 이루기위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 회로의 데이타 복원 방법은, 전송 채널을 통해 클럭 신호와 함께 직렬로 전송되며 각각이 n(여기서, n은 1이상의 양의 정수)비트인 동기 신호와 정보 데이타가 멀티플렉싱된 직렬 전송 데이타로부터 정보 데이타를 복원해내는 데이타 복원 방법에 있어서, (a) ~(e)단계를 구비한다. (a)단계는, 서로가 겹치지 않도록 소정 오프셋을 갖는 제1 ∼ 제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을 클럭 신호를 기준으로 발생한다. (b)단 계는 수신한 직렬 전송 데이타를 제1 ∼ 제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을 이용하여 병렬로 n+N-1(여기서, N은 3이상의 양의 정수)비트 단위로 래치한다. (c) 단계는 서로간에 소정 오프셋의 시간차를 가지며 각각이 래치된 n비트로 이루어진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발생한다. (d)단계는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제1 ∼ 제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중 타이밍 마진이 가장 큰 제X(1≤X≤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동기시켜 병렬로 래치한다. (e)단계는 직렬 전송 데이타가 동기 신호일 때, 래치된 상태 데이타들중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상태 데이타를 복원된 상기 정보 데이타로서 결정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fifth task, the data recovery method of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ransmitted in series with a clock signal through a transmission channel, where n is n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of 1 or more). A data recovery method for recovering information data from serial transmission data multiplexed with a bit-synchronous signal and information data, comprising steps (a) to (e). In step (a), first to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having a predetermined offset are generated based on the clock signal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Step (b) latches the received serial transmission data in units of n + N-1 bits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of 3 or more) in parallel using the first through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Step (c) generates N state data of n bits each having a time offset of a predetermined offset from each other. In step (d), the N state data are latched in parallel in synchronization with the Xth (1 ≦ X ≦ n) nonoverlapping clock signal having the largest timing margin among the first through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In step (e), when the serial transmission data is a synchronization signal, the state data for which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among the latched state data is determined as the restored information data.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송신 장치와 수신 장치를 구비하는 광 전송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clud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전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광 전송 시스템은 비디오 제어기(10), 송신 장치(12), 송신용 광 다이오드(14), 광 전송로(15), 수신용 광 다이오드(16), 수신 장치(17)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이하, TFT) LCD 패널(19)이 함께 도시된다. 본 발명의 광 전송 시스템은 LCD 모니터와 PC사이에 적용될 수 있으며, 그 밖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 기기들 사이에도 적용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includes a video controller 10, a transmission device 12, a transmission photodiode 14, an optical transmission path 15, a reception photodiode 16, and a reception device 17.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thin film transis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FT) LCD panel 19 is shown together.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between an LCD monitor and a PC, and can be applied between other display devices and external devices.

비디오 제어기(10)는 PC 본체 또는 외부에서 PCI(Programmable Communication Bus) 시스템 버스를 통하여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로부터 R/G/B 색 신호와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 VSYNC)를 분리한다. 또한, 비디오 제어기 (10)는 외부에서 인가된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DE)와 클럭 신호(CLK)에 응답하여 상기 R/G/B 색 신호 또는 동기 신호(HSYNC/VSYNC)를 전송한다. 한 예로써 R/G/B 색 신호는 각각 8비트의 디지탈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The video controller 10 separates the R / G / B color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 signal (HSYNC, VSYNC) from a video signal applied through a programmable communication bus (PCI) system bus from the PC main body or the outside. In addition, the video controller 10 transmits the R / G / B color signal or the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 VSYNC in response to an externally enabled data enable signal DE and a clock signal CLK. As an example, the R / G / B color signals may be implemented as 8-bit digital signals, respectively.

송신 장치(Transmitter)(12)는 비디오 제어기(10)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탈 신호를 스큐 보상 및 압축하고, 압축된 신호를 이용하여 광 송신용 다이오드(1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를 생성한다. The transmitter 12 skew-compensates and compresses the digital signal applied from the video controller 10, and generates a driving current for driving the optical transmission diode 14 using the compressed signal.

송신용 광 다이오드(14)는 일반적으로 표면 광 레이저(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VCSEL)와 같은 레이저 다이오드로 구현된다. 또한, 송신용 광 다이오드(14)는 송신 장치(12)로부터 인가되는 구동 전류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The transmitting photodiode 14 is typically implemented with a laser diode such as a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VCSEL). In addition, the transmission photodiode 14 converts the drive current applied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12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s it.

광 전송로(Plastic Optical Fiber:POF)(15)는 송신용 광 다이오드(14)에서 변환된 광 신호를 수신측의 수신용 광 다이오드(16)로 전송한다. The optical optical fiber (POF) 15 transmits the optical signal converted by the transmitting optical diode 14 to the receiving optical diode 16 on the receiving side.

수신용 광 다이오드(16)는 일반적으로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로 구현된다. 또한, 수신용 광 다이오드(16)는 수신된 광 신호를 전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receiving photodiode 16 is generally implemented as a photodiode. In addition, the receiving photodiode 16 converts the received optical signal into a current signal and outputs it.

수신 장치(17)는 수신용 광 다이오드(16)로부터 인가되는 전류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압축 해제 및 스큐 보상하여 원래의 디지탈 신호를 복원한다. 이 때, 복원된 신호는 클럭 신호(CLK)와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 (DE)에 응답하여 LCD패널(19)에 디스플레이된다. The receiving device 17 converts the current signal applied from the receiving photodiode 16 into a voltage, decompresses and skews the converted signal to restore the original digital signal. At this time, the restored signal is displayed on the LCD panel 19 in response to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data enable signal DE.

먼저, 도 1에 도시된 광 전송 시스템의 송신 장치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First, the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신 장치(12)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송신 장치(12)는 스큐 보상부(200), 스크램블러(220), 데이타 직렬화부(240), 위상 동기 루프(Phase Locked Loop:이하, PLL)(270) 및 광학 드라이버(260)를 포함한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transmitting device 12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2, the transmitting device 12 includes a skew compensator 200, a scrambler 220, a data serializer 240, a phase locked loop (PLL) 270, and an optical driver ( 260).

PLL(270)은 비디오 제어기(10)(도 1참조)에서 클럭 신호(CLK)를 입력하여 이에 동기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클럭 신호를 각각의 블럭들로 제공한다. 여기에서, PLL(270)은 기가(Giga) Hz급의 전송 속도를 갖는 고속 전송인 경우에 25MHz~112MHz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CLK)를 입력으로 한다. 또한, PLL (270)은 동기된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타 직렬화부(240)에서 수행되는 데이타 압축을 위한 논 오버랩핑(non-ovelapping) 클럭 신호들(CKP)을 생성한다. The PLL 270 receives a clock signal CLK from the video controller 10 (see FIG. 1) to generate a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clock signal CLK, and provides the generated clock signal to each of the blocks. Here, the PLL 270 inputs a clock signal CLK having a frequency of 25 MHz to 112 MHz in the case of a high speed transmission having a Giga Hz transmission rate. In addition, the PLL 270 generates non-ovelapping clock signals CKP for data compression performed by the data serialization unit 240 using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스큐 보상부(200)는 동기된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비디오 제어기 (10)로부터 소정 비트의 채널 데이타들을 받아들이고, 상기 클럭 신호에 대하여 채널 데이타들 사이에서 발생되는 스큐(SKEW)를 보상한다. 여기에서, 스큐는 데이타들 간의 전송 시간이 기준 클럭에 대하여 서로 어긋나는 것을 말한다. 즉, 스큐 보상부(200)는 데이타 전송의 기준이 되는 클럭 신호에 대해 복수 데이타 라인 간의 어긋남을 보상한다. 만일, 데이타 채널 간의 스큐가 허용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비디오 데이타가 틀어지거나 동기 신호가 검출되지 않아 화면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스큐 보상부(200)는 데이타 비트스트림의 시작과 끝을 알 수 있도록 특정 비트 스트림을 설정한다. 또한, 설정된 임의의 시점을 중심으로, 각 데이타 비트스트림의 시작이 정렬되도록 한다. 도 2에서, 각 R/G/B 신호는 8 비트(n-1)로 구현되고, 제어 신호(CON)는 4비트(m)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수평/수직 동기 신호(HSYNC/VSYNC)와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DE)는 하나의 제어 신호 입력 단자 CON를 통하여 인가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The skew compensator 200 receives channel data of a predetermined bit from the video controller 10 in response to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and compensates for the skew generated between the channel data with respect to the clock signal. Here, skew means that the transmission time between data is shifted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lock. That is, the skew compensator 200 compensates for a shift between a plurality of data lines with respect to a clock signal that is a reference for data transmission. If the skew between the data channels exceeds the allowable value, the picture may be abnormal because video data is distorted or no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To prevent this, the skew compensator 200 sets a specific bit stream so that the start and end of the data bit stream can be known. It also allows the start of each data bitstream to be aligned around any set point in time. In FIG. 2, each R / G / B signal may be implemented with 8 bits (n−1), and the control signal CON may be implemented with 4 bits (m).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 VSYNC and the data enable signal DE are applied through one control signal input terminal CON.

도 2의 스크램블러(220)는 동기된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스큐 보상된 채널 데이타들의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갯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정보를 직류 밸런스 정보로서 각 채널 데이타에 부가한다. 즉, 스크램블러(220)에서 부가되는 직류 밸런스 정보는 디지탈 전송에서 각 데이타 비트의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균형이 맞는지를 나타낸다. 따라서, 직류 밸런스 정보는 수신측에서 데이타를 복원할 때 데이타의 레벨을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 예를 들어, 전원 전압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 전원과 접지의 변화로 인해, 수신되는 데이타에서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을 판별하는데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데이타의 전송시 하이/로우 레벨 구간이 균형이 맞지 않으면 기준 전위가 비례하여 변화된다. 이로 인해, 수신 측에서 데이타의 하이, 로우 레벨을 판별하는데 에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크램블러(220)는 한 캐릭터 내의 하이 레벨 구간과, 로우 레벨 구간의 갯수를 카운팅한다. 상기 카운팅된 결과는 전송될 데이타의 선두에 실려서 수신측으로 전송된다. 예를 들어, 스크램블러(220)에 입력되는 캐릭터의 데이타 비트가 8비트라 가정할 때, 출력되는 데이타 비트는 직류 밸런스 정보가 부가된 9비트가 된다. The scrambler 220 of FIG. 2 counts the number of high and low levels of skew-compensated channel data in response to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and adds the counted information to each channel data as DC balance information. That is, the DC balance information added by the scrambler 220 indicates whether the high level and the low level of each data bit are balanced in the digital transmission. Therefore, the DC balance information serves as a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level of data when restoring data on the receiving side. For example, if the power supply voltage is overloaded, a change in power supply and ground may cause an error in determining a high level and a low level in the received data. Also, if the high / low level sections are not balanced during data transfer, the reference potential changes proportionally. For this reason, an error may occur in determining the high and low levels of data at the receiving side. To this end, the scrambler 220 counts the number of high level sections and low level sections within a character. The counted result is sent to the receiving side on top of the data to be transmitted. For example, assuming that data bits of a character input to the scrambler 220 are 8 bits, the output data bits are 9 bits to which DC balance information is added.

도 2의 데이타 직렬화부(240)는 PLL(270)에서 생성되는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CKP)에 응답하여 스크램블러(220)에서 출력되는 각 채널의 병렬 데이타들을 압축한다. 상기 압축된 결과는 1비트씩의 채널 데이타로 생성된다. 여기에서, 채널 데이타는 R/G/B 색 신호와, 제어 신호(CON)가 될 수 있다. 만일, 데이타가 압축 전송되지 않는다면, 각 R/G/B 색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수만큼의 채널과, 제어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수 만큼의 채널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데이타를 압축하여 전송한다면, 채널 수가 줄어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데이타의 압축 시에 압축되는 비율만큼 데이타 전송 속도도 비례하여 증가된다. 예를 들어, 9비트의 병렬 데이타를 1비트의 신호로 압축하는 경우에는 전송 속도가 9배로 빨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데이타 압축 비율에 따라서 1.008Gbps, 및 1.458Gbps의 전송 속도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타 직렬화부(240)는 고속의 전송에 적합하도록, 게이팅 시간이 빠른 소자들로 구현된다. The data serializer 240 of FIG. 2 compresses parallel data of each channel output from the scrambler 220 in response to the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CKP generated by the PLL 270. The compressed result is generated with channel data of 1 bit. Here, the channel data may be an R / G / B color signal and a control signal CON. If the data is not compressed and transmitted, channels of the number of bits constituting each R / G / B color signal and channels of the number of bits constituting the control signal are required. However, if data is compressed and transmitt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umber of channels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data transfer rate is increased proportionally by the rate of compression when the data is compressed. For example, when 9-bit parallel data is compressed into a 1-bit signal, the transmission speed may be 9 times faster. As such,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ransmission rates of 1.008 Gbps and 1.458 Gbps depending on the data compression ratio. The data serializer 240 is implemented with devices having a fast gating time so as to be suitable for high speed transmission.

광학 드라이버(Optical Driver)(260)는 외부의 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해 압축된 채널 데이타 및 상기 클럭 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채널 데이타로 받아들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광학 드라이버(260)는 밴드 갭 기준 전압과 외부 변조(modulation) 저항 및 바이어스(bias) 저항 값에 의해 변조 전류 및 바이어스 전류를 변화시킨다. 또한, 광학 드라이버(260)는 채널 데이타를 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변조 전류와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채널 데이타에 반영하여 구동 전류를 생성한다. 도 2의 RDL_OUT, GLD_OUT, BLD_OUT은 각각 광 신호로 변환된 R/G/B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CONLD_OUT과 CLKLD_OUT은 각각 광 신호로 변환된 제어 신호(CON)와 클럭 신호(CLK)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의 출력 세기는 외부에서 조정될 수 있다. 광학 드라이버(260)에 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The optical driver 260 receives the compressed channel data and the clock signal into different channel data, converts them into current signals, and outputs the converted current signals to drive an external optical device. In addition, the optical driver 260 changes the modulation current and the bias current by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and the external modulation resistance and bias resistance values. In addition, the optical driver 260 converts the channel data into a current, and generates a driving current by reflecting the modulation current and the bias current in the channel data. RDL_OUT, GLD_OUT, and BLD_OUT in FIG. 2 represent R / G / B signals converted to optical signals, respectively. Also, CONLD_OUT and CLKLD_OUT represent a control signal CON and a clock signal CLK, which are converted into optical signals, respectively. Here, the output intensity of the current for driving the optical element can be adjusted externally. The optical driver 26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학 드라이버(260)를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학 드라이버(260)는 밴드 갭 회로(300), 바이어스 및 변조 저항 가변부(360) 및 레이저 드라이버(34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외부 기생 소자부(370) 및 레이저 다이오드(14)가 함께 도시된다. 3 is a block diagram for describing the optical driver 260 shown in FIG. 2. Referring to FIG. 3, the optical driver 260 includes a band gap circuit 300, a bias and modulation resistance variable unit 360, and a laser driver 34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external parasitic element unit 370 and the laser diode 14 are shown together.

도 3의 밴드 갭 회로(300)는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와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320)를 포함한다. 밴드 갭 회로(300)는 내부 밴드 갭 기준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외부 광 다이오드 구동 전류를 발생시킨다. 바이어스 및 변조 저항 가변부(360)는 외부에 구비되어 바이어스 저항 값과, 변조 저항 값을 변화시켜 바이어스 전류(VBIA) 및 변조 전류(VMOD)를 가변한다. 여기에서, 변조 전류(VMOD)는 실제로 전송되는 광 신호의 스윙(SWING) 범위를 가변하기 위한 전류로 정의된다. 또한, 바이어스 전류(VBIA)는 출력되는 광 신호의 직류 레벨을 제어하기 위한 전류로 정의된다. 바이어스 전류는 레이저 다이오드의 온/오프 경계에서 설정되어 레이저 다이오드의 온/오프에 따른 데이타의 전송 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and gap circuit 300 of FIG. 3 includes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and a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320. The band gap circuit 300 generates an external photodiode driving current based on the internal band gap reference voltage. The bias and modulation resistance variable unit 360 is externally provided to change the bias resistance value and the modulation resistance value to vary the bias current VBIA and the modulation current VMOD. Here, the modulation current VMOD is defined as the current for varying the swing range of the optical signal actually transmitted. In addition, the bias current VBIA is defined as a current for controlling the DC level of the optical signal to be output. The bias current is set at the on / off boundary of the laser diode to prevent the data transfer rate due to the on / off of the laser diode from decreasing.

전술한 바와 같이,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는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구동 전류를 결정하기 위한 밴드 갭 기준 전압을 내부적으로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밴드 갭 기준 전압은 공정 상의 문제, 외부 온도, 전원 또는 노이즈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고 항상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된다. 또한,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는 외부의 변조 저항에 의해서 발생되는 변조 전압과, 바이어스 저항에 의해 발생되는 바이어스 전압을 연산 증폭한다. 여기에서, 연산 증폭된 각각의 출 력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internally generates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for determining a driving current for driving the laser diode. Here,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is always unaffected by process problems, external temperature, power supply or noise and is always kept constant. In addition,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amplifies the modulation voltage generated by the external modulation resistor and the bias voltage generated by the bias resistor. Here, each output of the operation amplified is kept constant.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320)는 밴드 갭 기준 전압 설정부(310)에서 출력되는 연산 증폭 출력(VO1, VO2)을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로 피드백시켜 출력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320)는 외부에서 가변되는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에 상응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 전류를 가변시킨다. The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320 feeds the operational amplification outputs VO1 and VO2 output from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setting unit 310 to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to keep the output voltage constant at all times. do. In addition, the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320 may vary the laser diode driving current according to an externally varying bias and modulation current.

도 3의 바이어스 및 변조 저항 가변부(360)는 바이어스 전압(RBIA)과 접지(GND)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저항(R30)과 커패시터(C30) 및 변조 전압(RMOD)과 접지(GND)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31)과, 커패시터(C31)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저항(R30)은 외부에서 바이어스 저항 값을 가변하기 위한 저항이다. 따라서, 저항(R30)의 값에 의하여,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바이어스 전류가 결정된다. 또한, 저항(R31)은 외부에서 변조 저항 값을 가변하기 위한 저항이다. 따라서, 저항(R31)의 값이 변화됨에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의 스윙 폭이 결정된다. 또한, 커패시터들(C30, C31)은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영향을 줄이기 위해 부가적으로 구비된다. The bias and modulation resistance variable part 360 of FIG. 3 includes a resistor R30 and a capacitor C30 connected between a bias voltage RBIA and a ground GND and a capacitor C30 and a modulation voltage RMOD and a ground GND. It includes a resistor (R31) and a capacitor (C31) connected. Here, the resistor R30 is a resistor for varying the bias resistor value externally. Therefore, the bias current for driving the laser diode is determined by the value of the resistor R30. In addition, the resistor R31 is a resistor for varying the modulation resistance value externally. Therefore, as the value of the resistor R31 is changed, the swing width of the current for driving the laser diode is determined. In addition, the capacitors C30 and C31 are additionally provided to reduce the influence of external noise.

레이저 드라이버(340)는 각 채널 데이타(SIN)를 받아들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고, 밴드 갭 회로(300)에서 발생되는 변조 전류(VMOD)와, 바이어스 전류 (VBIAS)를 더하여 구동 전류(LD_OUT)를 발생시킨다. 레이저 드라이버(340)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The laser driver 340 receives each channel data SIN and converts the channel data SIN into a current signal. The laser driver 340 adds the modulation current VMOD generated by the band gap circuit 300 and the bias current VBIAS to add the driving current LD_OUT. Generate. The laser driver 34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또한, 도 3의 외부 기생 소자부(370)는 저항들(R32, R33), 커패시터(C32, C33), 코일(L31, L32), 저항(R34), 커패시터(C34)로 구성된다. 즉, 외부 기생 소자부(370)는 레이저 드라이버(340)의 출력과, 레이저 다이오드(14) 사이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생 소자들이 모델링된 형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집적 회로의 패드에 의한 기생 커패시터 성분과, 칩의 본딩 와이어 두께 또는 면적에 의한 기생 성분들이 모델링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와 같이 압축된 데이타가 1.5Gbps의 고속 주파수로 전송되는 경우에는, 기생 소자에 의한 영향이 무시될 수 없으므로 회로 설계 시에 이러한 기생 성분이 고려되어야 한다. In addition, the external parasitic element unit 370 of FIG. 3 includes resistors R32 and R33, capacitors C32 and C33, coils L31 and L32, resistors R34, and capacitors C34. That is, the external parasitic element unit 370 represents a model in which parasitic elements that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output of the laser driver 340 and the laser diode 14 are modeled. For example, parasitic capacitor components by pads of integrated circuits and parasitic components by bonding wire thickness or area of a chip may be modeled. In other words, when the compressed data is transmitted at a high frequency of 1.5 Gbp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such parasitic components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signing a circuit since the influence of parasitic elements cannot be ignored.

도 3에 도시된 광학 드라이버(260)는 각 채널 별로 구비된다. 즉, R/G/B 각 색 신호를 위한 3개의 채널과, 제어 신호(CON)와 클럭 신호(CLK)를 위한 2개의 채널에 대한 5개의 드라이버 회로가 구비된다. 여기에서, 회로 설계 방식에 따라서 채널 수는 다소 변경될 수 있다. The optical driver 260 illustrated in FIG. 3 is provided for each channel. That is, five driver circuits are provided for three channels for each of the R / G / B color signals and two channels for the control signal CON and the clock signal CLK. Here, the number of channels may change somewhat depending on the circuit design scheme.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드라이버(260)의 밴드 갭 회로(300)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회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 갭 회로(300)는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320) 및 파워 세이브 제어부(330)를 포함한다. FIG. 4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band gap circuit 300 of the optical driver 260 shown in FIG. 3. Referring to FIG. 4, the band gap circuit 300 includes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a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320, and a power save controller 330.

도 4의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는 전압 생성부(312)와 연산 증폭부 (314)를 포함한다.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에 있어서, 전압 생성부(312)는 전원 전압(VCC)을 입력받아 외부의 변화에도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밴드 갭 기준 전압(REF)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전압 생성부(312)는 PMOS트랜지스터들 (MP10, MP11, MP13, MP14), PNP 트랜지스터들(QN11~QN19), 저항들(R10~R19) 및 커 패시터들(C10, C11)을 포함한다.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of FIG. 4 includes a voltage generator 312 and an operational amplifier 314. In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the voltage generator 312 receives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generates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REF that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even when an external change occurs. To this end, the voltage generator 312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PMOS transistors MP10, MP11, MP13, and MP14, the PNP transistors QN11 to QN19, the resistors R10 to R19, and the capacitors C10 and C11. Include.

계속하여, 전압 생성부(312)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전압 생성부(312)는, 외부의 변화, 예를 들어, 저항의 산포, 전원 전압 변화, 온도 변화 또는 트랜지스터의 특성 변화에 의해 밴드 갭 기준 전압(REF)이 변화되는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보상한다. 전압 생성부(312)에서 기준이 되는 제1노드(N1)는 트랜지스터(MP14)의 게이트에 걸리는 전압에 의해 전위가 결정된다. 또한, 트랜지스터(MP14)에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MP14)의 게이트와 소스간 전압에 의해 제어된다. 밴드 갭 기준 전압(REF)은 제1노드(N1)의 전압이 저항(R18)과 저항(R20)에 의해 분배된 값으로 결정된다. 또한, 외부 저항(R30, R31)에 걸리는 전압(RMOD, RBIA)은 연산 증폭기(46, 48)에 의해 피드백 루프가 형성되어 항상 일정한 레벨로 보상된다. 만일, 전원 전압, 온도, 트랜지스터의 증폭 계수 변화 및 저항 산포가 변화되면 제1노드(N1)의 전압이 변화된다. 이 때, 일측이 제1노드(N1)와 연결되는 저항들(R16, R17)의 각 타측에 베이스가 연결되는 트랜지스터들(QN11, QN12)은 상기 각 변화량을 감지하여 변화량만큼 보상한다. 즉, 트랜지스터들(QN11, QN12)에서 변화량이 감지되면, PMOS트랜지스터(MP11)의 게이트 -소스간 전압(Vgs)이 변화된다. 이 때, 변화된 만큼의 게이트-소스 간 전압을 ΔV라 가정하면, 상기 ΔV에 의해 NPN트랜지스터(QN15)의 베이스와 에미터 간 전압 이 변화된다. 이로 인해, 제3노드(N3)의 전위가 변화되고, 결과적으로 ΔV에 의해 제3노드(N3)의 전압이 변화된다. 이 때, 제3노드(N3)의 전압은 PMOS트랜지스터 (MP13)의 게이트로 인가되므로, 제3노드(N3)의 전압이 변화되면 MP13에 흐르는 전류도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MP13의 소스와 연결된 제2노드(N2)의 직류 전위가 변화된다. 제2노드(N2)는 PMOS트랜지스터(MP14)의 게이트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노드(N2)의 직류 전위가 변화되면, 트랜지스터(MP14)의 게이트와 소스 간 전압이 변화된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MP14)의 드레인과 연결되는 제1노드(N1)의 전위는 제2노드(N2)의 변화량에 대응하여 보상된다. 결과적으로, 저항 산포, 전원 전압, 온도 변화 또는 트랜지스터의 증폭 계수에 의한 영향으로 변화되는 제3노드(N2)의 전압은 제2노드(N2)와 제1노드(N1)를 거치면서 변화량만큼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밴드 갭 기준 전압(REF)은 제1노드(N1)의 전압이 보상됨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전압으로 유지된다. Subsequently, the voltage generator 312 is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voltage generator 312 detects the change in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REF due to an external change, for example, a distribution of a resistance, a change in power supply voltage, a change in temperature, or a change in characteristics of a transistor. To compensate. The potential of the first node N1, which is a reference in the voltage generator 312, is determined by the voltage across the gate of the transistor MP14.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 MP14 is controlled by the voltage between the gate and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MP14.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REF is determined by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by the resistor R18 and the resistor R20. In addition, the voltages RMOD and RBIA applied to the external resistors R30 and R31 are always compensated to a constant level by forming a feedback loop by the operational amplifiers 46 and 48. If the power supply voltage, the temperature, the amplification coefficient change and the resistance distribution of the transistor change,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changes. At this time, the transistors QN11 and QN12 having a bas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resistors R16 and R17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1 sense the respective amounts of change and compensate for the amount of change. That is, when the amount of change is sensed in the transistors QN11 and QN12, the gate-source voltage Vgs of the PMOS transistor MP11 is changed. At this time, assuming that the changed gate-source voltage is ΔV, the voltage between the base and emitter of the NPN transistor QN15 is changed by ΔV. As a result, the potential of the third node N3 is changed, and as a result,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is changed by ΔV. At this time, since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is applied to the gate of the PMOS transistor MP13, when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is changed, the current flowing in the MP13 may also change. Therefore, the DC potential of the second node N2 connected to the source of MP13 is changed. Since the second node N2 is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PMOS transistor MP14, when the DC potential of the second node N2 is changed, the voltage between the gate and the source of the transistor MP14 is changed. Therefore, the potential of the first node N1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transistor MP14 is compensated in response to the change amount of the second node N2. As a result,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2, which is changed due to the resistance distribution, the power supply voltage, the temperature change, or the amplification coefficient of the transistor, is compensated by the amount of change through the second node N2 and the first node N1. Can be. Therefore,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REF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voltage by compensating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연산 증폭부(314)는 전압 생성부(312)에서 생성되는 밴드 갭 기준 전압 (REF)과, 외부 바이어스 저항(R30)에 걸리는 전압(RBIA) 및 변조 저항(R31)에 걸리는 전압(RMOD)을 각각 연산 증폭하여 제1출력 전압(VO1) 및 제2출력 전압 (VO2)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연산 증폭부(314)는 PMOS트랜지스터들(MP15, MP16)과, 연산 증폭기들(46, 48)을 포함한다.The operational amplifier 314 is configured to determine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REF generated by the voltage generator 312, a voltage RBIA applied to the external bias resistor R30, and a voltage RMOD applied to the modulation resistor R31. Operationally amplification is performed to generate a first output voltage VO1 and a second output voltage VO2. To this end, the operational amplifier 314 includes PMOS transistors MP15 and MP16 and operational amplifiers 46 and 48.

계속하여, 연산 증폭부(314)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밴드 갭 기준 전압(REF)은 연산 증폭기(46, 48)의 각 정입력 단자로 인가된다. 외부 바이어스 저항(R30)에 걸리는 전압(RBIA)은 연산 증폭기 (46)의 부입력 단자로 인가된다. 또한, 외부 변조 저항(R31)에 걸리는 전압(RMOD) 은 연산 증폭기(48)의 부입력 단자로 인가된다. 제1연산 증폭기(46)에서 연산 증폭된 결과(VO1)와 제2연산 증폭기(46)에서 연산 증폭된 결과는 다시 각각의 부입력 단자로 피드백되어 출력 전압(VO1, VO2)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로 인해, 바이어스 전압(RBIA)과 변조 전압(RMOD)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외부 바이어스 저항(R30) 또는 변조 저항(R31)의 저항 값이 가변되면, 단자들(RBIA, RMOD)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량이 변화된다. 따라서, 연산 증폭기(46 또는 48)를 통하여 출력되는 전류량이 가변될 수 있다. 여기에서, PMOS트랜지스터들(MP15, MP16)은 전압 생성부(312)의 제2노드(N2)의 전압에 따라서 게이트와 소스 간 전압이 변화된다. 트랜지스터들(MP15, MP16)의 각 드레인에 흐르는 전류는 연산 증폭기(46, 48)의 바이어스 전류로서 인가된다. Subsequently, the operational amplifier 314 is described in detail.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REF is applied to each positive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s 46 and 48. The voltage RBIA applied to the external bias resistor R30 is applied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46. In addition, the voltage RMOD applied to the external modulation resistor R31 is applied to the negative in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48. The result of the operational amplification VO1 in the first operational amplifier 46 and the result of the operational amplification in the second operational amplifier 46 are fed back to the respective sub-input terminals to keep the output voltages VO1 and VO2 constant. . For this reason, the bias voltage RBIA and the modulation voltage RMOD are always kept constant. However, wh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xternal bias resistor R30 or the modulation resistor R31 is changed,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erminals RBIA and RMOD is changed. Therefore, the amount of current output through the operational amplifier 46 or 48 can be varied. Here, in the PMOS transistors MP15 and MP16, the voltage between the gate and the source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of the voltage generator 312. Current flowing through each drain of the transistors MP15 and MP16 is applied as a bias current of the operational amplifiers 46 and 48.

도 4의 밴드 갭 회로(300)에 있어서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320)는 상기 제1, 제2출력 전압(VO1, VO2)을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로 피드백시킨다. 따라서, 제1, 제2출력 전압(VO1, VO2)은 일정하게 유지되고, 변조 전압(RMOD)과 바이어스 전압(RBIA)도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바이어스 저항 또는 변조 저항의 저항 값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VBIA) 및 변조 전류(VMOD)가 가변된다. In the band gap circuit 300 of FIG. 4, the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320 feeds back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oltages VO1 and VO2 to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oltages VO1 and VO2 are kept constant, and the modulation voltage RMOD and the bias voltage RBIA are also kept constant. In addition, the bias current VBIA and the modulation current VMOD are varied by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bias resistor or the modulation resistor.

계속하여,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32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320)에서 바이어스 저항(R30)의 값이 변화되는 경우에, 연산 증폭기(48)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달라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MP20)의 베이스 전류가 가변된다.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QN20과 QN2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량이 가변되어 트랜지스터(MP17)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량이 변화된다. 따라서, 레이저 드라이버(340)로 출력되는 바이어스 전류(VBIA)가 달라진다. 또한, 변조 저항(R31)이 변화되는 경우에, 연산 증폭기(46)에서 출력되는 전류가 달라진 다. 이 때, 트랜지스터(QN22)의 베이스 전류가 가변되어 트랜지스터(QN22, QN23)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변화된다. 이로 인해, 트랜지스터(MP20)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량이 변화됨으로써 레이저 드라이버(340)(도 3 참조)로 인가되는 변조 전류(VMOD)가 가변된다. 본 발명에서 전원 전압(VCC)은 저전압용으로 설계되어 3.3V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밴드 갭 기준 전압(REF)은 1V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바이어스 저항 또는 변조 저항의 저항 값이 10KΩ이라면 VBIA 또는 VMOD를 통하여 전송되는 전류는 약 100uA가 된다. Subsequently, the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320 is described in detail. When the value of the bias resistor R30 is changed in the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320, the current output from the operational amplifier 48 is changed. Thus, the base current of the transistor MP20 is variable. As a resul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s QN20 and QN21 is varied to change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 MP17. Therefore, the bias current VBIA output to the laser driver 340 is different. In addition, when the modulation resistor R31 is changed, the current output from the operational amplifier 46 is changed. At this time, the base current of the transistor QN22 is varied so that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s QN22 and QN23 is changed. As a result,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 MP20 is changed so that the modulation current VMOD applied to the laser driver 340 (see FIG. 3) is vari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may be designed for low voltage and implemented as 3.3V, and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REF may be set to about 1V. At this time, if the resistance value of the external bias resistor or the modulation resistor is 10KΩ, the current transmitted through the VBIA or VMOD is about 100uA.

도 4의 파워 세이브 제어부(330)는 파워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외부에서 인가되는 파워 세이브 제어 신호(PDB)에 응답하여 밴드 갭 회로(300)를 슬립 모드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파워 세이브 제어부(330)는 직렬 연결된 인버터들(42, 44)과 PMOS트랜지스터(MP12, MP18, MP19)를 포함한다. In orde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the power save controller 330 of FIG. 4 converts the band gap circuit 300 to the sleep mode in response to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ave control signal PDB. To this end, the power save control unit 330 includes inverters 42 and 44 and PMOS transistors MP12, MP18 and MP19 connected in series.

예를 들어, 외부에서 인가되는 파워 세이브 제어 신호(PDB)가 하이 레벨로 인액티브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들(MP12, MP18, MP19)이 턴오프된다. 또한, 파워 세이브 제어 신호(PDB)가 로우 레벨로 액티브된 경우에는, 상기 트랜지스터들(MP12, MP18, MP19)이 턴온된다. 이와 같이, 파워 세이브 제어 신호(PDB)가 액티브되면, 제3노드(N3)와 각 전류 출력 노드(VBIA, VMOD)는 하이 레벨로 고정된다. 이로 인해,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310)와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320)는 동작하지 않고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된다. For example, when the power save control signal PDB applied from the outside is inactive at a high level, the transistors MP12, MP18, and MP19 are turned off. In addition, when the power save control signal PDB is activated at a low level, the transistors MP12, MP18, and MP19 are turned on. As such, when the power save control signal PDB is activated, the third node N3 and each of the current output nodes VBIA and VMOD are fixed to a high level. As a result,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310 and the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320 do not operate and are switched to the sleep mode.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드라이버(260)의 레이저 드라이버(340)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레이저 드라이버(340)는 데이타 분리 부(50)와, 전압/전류 변환 및 전류 구동부(55)를 포함한다. FIG. 5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the laser driver 340 of the optical driver 260 of FIG. 3 in detail. Referring to FIG. 5, the laser driver 340 includes a data separator 50 and a voltage / current converter and a current driver 55.

도 5의 데이타 분리부(50)는 각 채널 데이타를 비반전 신호와 반전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결과를 비반전 출력 신호 및 반전 출력 신호로서 생성한다. 이를 위해, 데이타 분리부(50)는 인버터(51)와, 제1분리부(52) 및 제2분리부(53)를 포함한다. The data separator 50 of FIG. 5 separates each channel data into a non-inverted signal and an inverted signal, and generates the separated results as a non-inverted output signal and an inverted output signal. To this end, the data separator 50 includes an inverter 51, a first separator 52, and a second separator 53.

여기에서, 인버터(51)는 PMOS트랜지스터(MP30)와 NMOS트랜지스터(MN30)로 구성된다. 또한, 입력된 채널 데이타(SIN)를 반전시키고 반전된 결과를 출력한다. 제1분리부(52)는 원래의 데이타(SIN)에 대해서 위상이 반전된 데이타(NSIN)를 얻기 위해, 6개의 직렬 연결된 인버터들(52a~52f)로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들 (52a~52f)은 각각 하나의 PMOS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N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Here, the inverter 51 is composed of a PMOS transistor MP30 and an NMOS transistor MN30. In addition, the input channel data SIN is inverted and the inverted result is output. The first separator 52 includes six series-connected inverters 52a to 52f to obtain the data NSIN whose phase is inverted with respect to the original data SIN. The inverters 52a to 52f each consist of one PMOS transistor and one NMOS transistor.

제2분리부(53)는 원래의 입력 데이타(SIN)와 동일한 위상을 갖는 비반전 신호(PSIN)를 얻기 위해, 5개의 직렬 연결된 인버터들(53a~53e)로 구성된다. 상기 인버터들(53a~53e)은 각각 하나의 PMOS트랜지스터와 하나의 PMOS트랜지스터로 구현된다. 이와 같이, 데이타 분리부(50)에서 입력 데이타(SIN)를 비반전 신호와, 반전 신호로 분리함으로써 데이타의 상승/하강 시간 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 second separator 53 includes five series-connected inverters 53a to 53e to obtain the non-inverting signal PSIN having the same phase as the original input data SIN. The inverters 53a to 53e are each implemented with one PMOS transistor and one PMOS transistor. As described above, the data separator 50 may separate the input data SIN into a non-inverted signal and an inverted signal, thereby improving the rise / fall time characteristics of the data.

여기에서, 데이타 분리부(50)의 제1분리부(52)와 제2분리부(53)는 내부의 인버터의 수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데이타 전송이 고속으로 이루어지고, 두 분리부 간의 지연 시간은 서로 같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제1분리부(52)와 제2분리부 (53)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사이즈와 속도의 비율을 고려하여 트랜지스터 채널의 폭과 길이가 설정된다. 따라서, 입력 데이타(SIN)의 주파수가 저주파수에서 고주파수에 이르기까지 시간 지연이 매칭되도록 구현된다. Here, the number of inverters in the first separator 52 and the second separator 53 of the data separator 50 may be different. However, data transfer is made at high speed, and the delay time between the two separators is designed to be equal to each other. Therefore, the width and length of the transistor channel ar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ratio of the size and the speed of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first separator 52 and the second separator 53. Therefore, the time delay from the low frequency to the high frequency of the input data SIN is implemented to match.

도 5의 전압/전류 변환 및 전류 구동부(55)는 데이타 분리부(50)에서 분리된 비반전 출력 신호와 반전 출력 신호의 전압 차를 구하고, 전압 차에 상응하는 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를 바이어스 전류 및 변조 전류와 더하여 구동 전류(LD_OUT)로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전압/전류 변환 및 전류 구동부(55)는 PMOS트랜지스터들(MP42~MP46), NMOS트랜지스터들(MN42, MN43), NPN트랜지스터들 (QN32~ QN33), 저항들(R30~R35)을 포함한다. The voltage / current conversion and current driver 55 of FIG. 5 obtains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non-inverted output signal and the inverted output signal separated by the data separator 50, generates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and generates the generated current. Is added as a bias current and a modulation current and output as a drive current LD_OUT. To this end, the voltage / current conversion and current driver 55 includes PMOS transistors MP42 to MP46, NMOS transistors MN42 and MN43, NPN transistors QN32 to QN33, and resistors R30 to R35. do.

전압/전류 변환 및 전류 구동부(55)에 있어서, NMOS트랜지스터들(MN42, MN43)은 비교기를 구성한다. 즉, 데이타 분리부(50)에서 출력되는 반전 출력 신호(NSIN)와 비반전 출력 신호(PSIN)는 NMOS트랜지스터 (MN42, MN43)에 의해 비교되어 전압 차가 구해진다. 이 때, 구해진 전압 차는 전류로 변환되어 전류 미러 구조의 PMOS트랜지스터들(MP44, MP45)을 통하여 미러링된다. 예를 들어, 제1분리부(52)에서 출력된 데이타의 전압 레벨이 제2분리부(53)의 출력보다 더 높으면 상기 레벨 차만큼 PMOS트랜지스터(MP43)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된다. 또한, 제2분리부(53)에서 출력된 데이타의 전압 레벨이 제1분리부(52)에서 출력된 데이타의 전압 레벨보다 높으면, 레벨 차만큼 PMOS 트랜지스터(MP44)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된다. 이 때, 입력 데이타(SIN)에 의해 결정되는 전류는 밴드 갭 회로(300)에서 구해지는 변조 전류(VMOD) 또는 바이어스 전류(VBIA)에 의해 제어되며 최종적인 구동 전류(LD_OUT)로서 출력된다. In the voltage / current conversion and current driver 55, the NMOS transistors MN42 and MN43 constitute a comparator. In other words, the inverted output signal NSIN and the non-inverted output signal PSIN output from the data separator 50 are compared by the NMOS transistors MN42 and MN43 to obtain a voltage difference. At this time, the obtained voltage difference is converted into current and mirrored through the PMOS transistors MP44 and MP45 of the current mirror structure. For example, if the voltage level of the data output from the first separator 52 is higher than the output of the second separator 53,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MOS transistor MP43 is increased by the level difference. In addition,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data output from the second separator 53 is high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data output from the first separator 52,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MOS transistor MP44 is increased by the level difference. At this time, the current determined by the input data SIN is controlled by the modulation current VMOD or the bias current VBIA obtained by the band gap circuit 300 and is output as the final driving current LD_OUT.

계속하여, 레이저 드라이버(34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변조 전류(VMOD)는 PMOS트랜지스터(MP42)에 전달되고, MP42의 트랜지스터의 사이즈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른다. 또한, 바이어스 전류(VBIA)는 트랜지스터(MP46)에 전달되고, 트랜지스터(MP46)의 사이즈에 비례하는 전류가 흐른다. 만일, 저항(R31)이 저항(R33)보다 두 배 정도 큰 저항 값을 갖고, PMOS 트랜지스터(MP45)가 트랜지스터(MP44)의 5배 큰 사이즈를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때, 저항(R31)의 저항 값이 저항(R33)의 저항 값의 2배이므로, 트랜지스터 (QN32)에 흐르는 전류는 QN31에 흐르는 전류의 2배가 된다. QN31을 통하여 2배 증가된 전류는 PMOS트랜지스터(MP44)를 통하여 전달된다. 여기에서, MP44에 전달되는 전류는 5배의 사이즈를 갖는 PMOS트랜지스터(MP45)에 의해서 전류의 크기가 5배로 증가된다. 따라서, 변조 전류(VMOD)에 의해 구해지는 입력 데이타(SIN)의 전류 스윙폭 즉, PMOS트랜지스터(MP45)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VMOD에 비해 10배 증가된 전류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변조 전류는, 바이어스 전류(VBIA)에 의해 PMOS트랜지스터(MP46)의 사이즈에 비례하여 흐르는 DC전류와 혼합되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 전류(LD_OUT)로서 출력된다. Subsequently, the laser driver 340 is described in detail. The modulation current VMOD is transmitted to the PMOS transistor MP42, and a current flowing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transistor of the MP42 flows. In addition, the bias current VBIA is transmitted to the transistor MP46, and a current flowing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transistor MP46 flows. It is assumed that the resistor R31 has a resistance value about twice as large as the resistor R33, and the PMOS transistor MP45 has a size five times larger than the transistor MP44. At this time, sinc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31 is twice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or R33,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 QN32 becomes twic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QN31. The current doubled through QN31 is delivered through the PMOS transistor MP44. Here, the current delivered to the MP44 is increased by five times by the PMOS transistor MP45 having a five times size. Therefore, the current swing width of the input data SIN obtained by the modulation current VMOD, that i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MOS transistor MP45 is output as a 10 times increase in current compared to the VMOD. This modulation current is mixed with the DC current flowing in proportion to the size of the PMOS transistor MP46 by the bias current VBIA and output as the laser diode driving current LD_OUT.

도 6(a)~6(c) 및 도 7(a)~7(c)는 도 5에 도시된 레이저 드라이버(3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로서, 도 6(a) 및 7(a)는 입력되는 채널 데이타(SIN)를 나타낸다. 도 6(b) 및 7(b)는 각각 데이타 분리부(50)의 제1, 제2분리부(52,53)에서 출력되는 신호(NSIN, PSIN)의 변화를 나타낸다. 또한, 도 6(c) 및 7(c)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 전류(LD_OUT)의 변화를 나타낸다. 6 (a) to 6 (c) and 7 (a) to 7 (c) are waveform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laser driver 340 shown in FIG. 5, and FIGS. 6 (a) and 7 ( a) represents the input channel data SIN. 6 (b) and 7 (b) show changes in signals NSIN and PSIN output from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52 and 53 of the data separator 50, respectively. 6C and 7C show changes in the laser diode driving current LD_OUT.

도 6(b)와 7(b)의 참조 부호 62, 72는 제1분리부(52)의 출력 신호(NSIN)를 나타내고, 64, 74는 제2분리부(53)의 출력 신호(PSIN)를 나타낸다. 또한, 도 6(c)와 7(c)의 L65, L75는 구동 전류(LD_OUT)의 스윙 범위를 나타내고, L67, L77은 구동 전류(LD_OUT)의 바이어스 레벨을 나타낸다. 6 (b) and 7 (b), reference numerals 62 and 72 denote output signals NSIN of the first separator 52 and 64 and 74 denote output signals PSIN of the second separator 53. Indicates. 6 (c) and 7 (c), L65 and L75 denote swing ranges of the drive current LD_OUT, and L67 and L77 denote bias levels of the drive current LD_OUT.

도 6을 참조하면, 도 6은 레이저 드라이버(340)에서 1.429Gbps의 듀티 클럭을 입력 데이타(SIN)로 받아들인 경우를 나타낸다. 이 때, 입력 데이타(SIN)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0.7ns의 듀티 폭을 갖는다. 또한, 입력 데이타(SIN)의 상승/하강 시간은 0.1ns의 마진을 갖는 것으로 설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6(b)는 각각 제1, 제2분리부(52, 53)의 출력 신호이므로 두 신호(62, 64)는 서로 반전된 위상을 갖는다.Referring to FIG. 6, FIG.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laser driver 340 receives a duty clock of 1.429 Gbps as input data SIN. At this time, the input data SIN has a duty width of 0.7 ns as shown in FIG. 6. In addition, the rise / fall time of the input data SIN is set to have a margin of 0.1 ns. As described above, FIG. 6 (b) is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and second separators 52 and 53, respectively, so that the two signals 62 and 64 have inverted phases.

도 7을 참조하면, 즉, 도 7은 2Gbps의 듀티 클럭을 입력 신호(SIN)로 받아들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7(a)에서 상기 클럭은 0.5ns의 듀티 폭을 갖는다. 이와 같이, 입력 데이타(SIN)는 바이어스 전류(VBIA)와 변조 전류(VMOD)에 의해 직류 바이어스 레벨과 전류 스윙 폭이 결정된다. Referring to FIG. 7, that is, FIG. 7 illustrates a case where a duty clock of 2 Gbps is received as the input signal SIN. In FIG. 7A, the clock has a duty width of 0.5 ns. As described above, the DC bias level and the current swing width of the input data SIN are determined by the bias current VBIA and the modulation current VMO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 전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Hereinafter, a receiving apparatus of an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광 전송 시스템의 수신 장치(17)를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수신 장치(17)는 광학 수신기(80),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 디스크램블러(84) 및 위상 동기 루프(PLL)(88)를 포함한다. FIG. 8 is a block diagram specifically showing a receiving device 17 of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8, the reception device 17 includes an optical receiver 80, a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or 82, a descrambler 84, and a phase locked loop (PLL) 88.

광학 수신기(80)는 포토 다이오드와 같은 광 수신용 다이오드로부터 전류로 변환되어 인가되는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듀티 보상 및 레벨 변환하여 디지탈 화된 신호로서 출력한다. 이 때, 출력되는 신호는 각 R/G/B 색 신호와 제어 신호(CON) 및 클럭 신호(CLK)가 될 수 있다. The optical receiver 80 converts a signal that is converted into a current from an optical receiving diode such as a photodiode into a voltage, duty compensated, and level-converted and output as a digitalized signal. In this case, the output signal may be each R / G / B color signal, a control signal CON, and a clock signal CLK.

PLL(88)은 광학 수신기(80)로부터 클럭 신호(CLK)를 입력하여, 이에 동기 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클럭 신호를 각각의 블럭들로 제공한다. 또한, PLL(88)은 동기된 클럭 신호(CLK)를 이용하여,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에서 수행되는 데이타 압축 해제를 위한 논 오버랩핑(non-ovelapping) 클럭 신호들(CKP)을 생성한다. The PLL 88 inputs a clock signal CLK from the optical receiver 80 to generate a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clock signal CLK, and provides the generated clock signal to each of the blocks. In addition, the PLL 88 uses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CLK to generate non-ovelapping clock signals CKP for data decompression and data decompression performed by the skew compensator 82. Create

데이타 복원(Deserializer) 및 스큐 보상부(82)는 송신 장치(12)(도 1 참조)에서 압축되어 직렬화된 데이타를, PLL(88)에서 출력되는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원래의 신호 즉, 병렬 신호로 해제하고, 스큐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보상한다. 즉,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는 압축된 데이타를 소정 비트의 병렬 데이타로 복원하여 출력한다. The data deserializer and skew compensator 82 converts the serialized data compressed and transmitted by the transmitting apparatus 12 (see FIG. 1) into an original signal in response to a non-overlapping clock signal output from the PLL 88. In this case, the signal is released in parallel and compensated if skew occurs. That is,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or 82 recovers the compressed data into parallel data of a predetermined bit and outputs the parallel data.

디스크램블(Descramble)부(84)는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에서 복원된 소정 비트의 신호들을 입력하고, 상기 데이타 비트의 선두에 실린 DC 밸런스 정보에 의해서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 구간을 정확히 판별한다. 디스크램블부(84)에서 출력되는 데이타는 각각 R/G/B 출력 신호(R_OUT, G_OUT, B_OUT), 제어 신호(CON_OUT)와, 클럭 신호(CLK_OUT)라 할 수 있다. The descrambler 84 inputs signals of a predetermined bit restored by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or 82, and accurately decodes the high level and low level sections by the DC balance information loaded at the head of the data bit. Determine. The data output from the descrambler 84 may be referred to as R / G / B output signals R_OUT, G_OUT and B_OUT, control signal CON_OUT, and clock signal CLK_OUT, respectively.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8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광학 수신기(80)는 전류/전압 변환부(920), 증폭부(930), 듀티 보상부(940), 파워 다운 제어부(950), 바이어스 회로(960), 레벨 변환부(970) 및 버퍼부(98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포토 다이오드부(900)와 기생 소자부(910)가 함께 도시된다.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tical receiver 80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9, the optical receiver 80 includes a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an amplifier 930, a duty compensator 940, a power down controller 950, a bias circuit 960, and a level converter. 970 and a buffer unit 980.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hotodiode 900 and the parasitic element 910 are shown together.

도 9에 도시된 포토 다이오드부(900)는 광 전송로(15)(도 1 참조)를 통하여 송신 장치(12)(도 1참조)로부터 인가되는 광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기생 소자부(910)는 외부의 포토 다이오드부(900)에서 내부에 전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기생 소자들이 모델링된 블럭을 나타낸다. The photodiode 900 shown in FIG. 9 converts an optical signal applied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12 (see FIG. 1) into an electr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path 15 (see FIG. 1). The parasitic element unit 910 represents a block in which parasitic elements that are predicted when the external photodiode 900 transmits a current signal therein are modeled.

도 9의 광학 수신기(80)에 있어서, 바이어스 회로(960)는 전원 전압으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공급받아 제1바이어스전류(B1) 및 제2바이어스 전류(B2)를 생성한다. In the optical receiver 80 of FIG. 9, the bias circuit 960 receives a predetermined current from a power supply voltage to generate a first bias current B1 and a second bias current B2.

전류/전압 변환부(920)는 제1바이어스 전류(B1)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고, 포토 다이오드(90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 신호를 차동의 전압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도 9의 N1과 N2는 각각 전류/전압 변환부(920)의 차동 전압 신호 출력 선을 나타낸다.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sources the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B1, and converts and outputs a current signal applied through the photodiode 900 to a differential voltage signal. N1 and N2 of FIG. 9 represent differential voltage signal output lines of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respectively.

증폭부(930)는 제1바이어스 전류(B1)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고, 차동 신호로 변환된 입력 신호를 증폭하여 차동 증폭 신호를 출력한다. 도 9의 N3와 N4는 증폭부(930)의 차동 증폭 신호 출력 선을 나타낸다. The amplifier 930 sources the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B1, amplifies an input signal converted into a differential signal, and outputs a differential amplified signal. N3 and N4 in FIG. 9 represent differential amplified signal output lines of the amplifier 930.

듀티 보상부(940)는 제1바이어스 전류(B1)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며, 상기 증폭부(930)의 출력 신호와 소정의 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는 차동의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즉, 듀티 보상부(940)는 전류 서밍 (summing) 구조의 비교기로 구성되어 입력 신호의 듀티를 보상한다. 여기에서, 듀티 보상부(940)의 출력 신호는 한 입력 신호와 상기 입력 신호의 반전된 신호로 나타나는 차동 출력 신호가 된다. 이는, 트랜지스터의 드레스홀드 전압이 온도 및 기타조건에 변화되는 경우에 스위칭 포인트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출력 신호의 듀티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9의 N5와 N6는 각각 듀티 보상부(940)의 차동 출력 신호 선을 나타낸다. The duty compensator 940 sources the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B1, compares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930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oltage, and outputs a differential output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Create That is, the duty compensator 940 is configured as a comparator having a current summing structure to compensate for the duty of the input signal. Here, the output signal of the duty compensator 940 becomes a differential output signal represented by one input signal and an inverted signal of the input signal. This is to prevent a change in the duty of the output signal because the switching point can be changed when the dresshold voltage of the transistor changes with temperature and other conditions. N5 and N6 of FIG. 9 respectively represent differential output signal lines of the duty compensator 940.

레벨 변환부(970)는 제2바이어스 전류(B2)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한다. 또한, 레벨 변환부(970)는 듀티 보상부(94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2출력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디지탈화된 TTL(Transistor-Transistor Logic)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도 9의 N7는 레벨 변환부(970)의 출력 신호 선을 나타낸다 The level converter 970 sources the current in response to the second bias current B2. In addition, the level converter 970 converts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output from the duty compensator 940 and outputs a digitalized TTL (Transistor-Transistor Logic) level signal. N7 in FIG. 9 represents an output signal line of the level converter 970.

버퍼부(980)는 레벨 변환부(97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버퍼링하여 디지탈화된 출력 신호(OUT)를 생성한다. 이때, 버퍼부(980)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소정 레벨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여 출력 드라이빙 능력을 향상시킨다. 여기에서, 버퍼부(980)의 출력 신호(OUT)는 R,G,B, 제어 신호(CON) 또는 클럭 신호(CLK)가 될 수 있다. The buffer unit 980 buffers the signal output from the level converter 970 to generate a digitalized output signal OUT. In this case, the buffer unit 980 outputs a signal amplified by a predetermined level with respect to the input signal to improve the output driving capability. The output signal OUT of the buffer unit 980 may be R, G, B, a control signal CON, or a clock signal CLK.

또한, 파워 다운 제어부(95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파워 다운 제어 신호 (PDIN)에 응답하여 바이어스 회로(960)가 구동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파워 다운 모드에서는 다른 전체 블럭들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여 파워 소모를 줄인다.In addition, the power down controller 950 controls the bias circuit 960 not to be driven in response to a power down control signal PDIN applied from the outside. Therefore, in the power down mode, other entire blocks are not operated to reduce power consumption.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80)의 상세한 회로도이다. FIG. 10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optical receiver 80 shown in FIG.

도 10에 도시된 포토 다이오드부(900)는 실제적인 광 수신용 다이오드 예를 들어, 포토 다이오드가 모델링된 것이다. 즉, 도 10의 펄스 발생기(P90)는 포토 다 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류와 같은 형태의 전류를 생성한다. 펄스 발생기(P90)의 양단에 연결된 커패시터(C46)는 포토 다이오드의 기생 커패시터 성분을 나타낸다. 전압원(VBAT)은 포토 다이오드가 실제로 전원 전압(VCC)과 연결되기 때문에, VCC와 동일한 레벨의 전압으로 설정된다. The photodiode 900 shown in FIG. 10 is a model of an actual light receiving diode, for example, a photodiode. That is, the pulse generator P90 of FIG. 10 generates a current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current output from the photodiode. Capacitor C46 connected across the pulse generator P90 represents the parasitic capacitor component of the photodiode. The voltage source V BAT is set to a voltage at the same level as VCC because the photodiode is actual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기생 소자부(910)의 각 커패시터들(C40~C42, C45), 저항들(R40, R41) 및 코일 (L40)은 외부의 포토 다이오드부(900)에서 내부에 전류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예측되는 기생 소자들이 모델링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수 Gbps의 속도로 데이타가 처리되는 시스템에서는 기생 성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하여 회로가 설계된다. 또한, 커패시터(C45)는 신호가 입력되는 패드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기생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그러나, 실제적인 회로 설계 시에는 입력 전류로부터 차동의 전압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입력 패드와 동일하게 구현되는 더미 패드로서 구현된다. 이와 같이, 기생 소자부(910)는, 수신용 칩이 집적화되는 경우에, 패키지 조립 상태에서의 리드 프레임, 본딩 와이어 또는 패드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생 성분들이 모델링된 것이다. The capacitors C40 to C42 and C45, the resistors R40 and R41, and the coil L40 of the parasitic element unit 910 are predicted when an external photodiode 900 transmits a current signal therein. The resulting parasitic elements represent the modeled results.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systems where data is processed at a rate of several Gbps, the circuit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n parasitic components. In addition, capacitor C45 represents a parasitic capacitor that may be represented by a pad to which a signal is input. In practical circuit design, however, it is implemented as a dummy pad that is implemented identically to the input pad to generate a differential voltage signal from the input current. As described above, the parasitic element unit 910 is a model in which parasitic components that may appear in the lead frame, the bonding wire, or the pad in the package assembly state when the receiving chip is integrated.

도 10의 전류/전압 변환부(920)는 포토 다이오드부(900)에서 기생 소자부 (91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 신호를 차동의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전류/전압 변환부(920)는 NPN트랜지스터들(QN50~QN55, QN58)과, 저항들(R50~R62), 및 커패시터(C50)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들(QN52, QN53)은 전류 신호를 차동 전압으로 출력한다. 즉, 저항(R54)을 통하여 인가되는 입력 전류에 의해 QN52의 콜렉터 전류가 가변되고, 이로 인해 제1노드(N1)의 전압이 가변된다. 여기에서, 트랜지스 터(QN53)는 제1노드(N1)의 전압에 상응하는 차동 신호를 생성하기 위해 기준 신호를 생성한다. 도 10의 제2노드(N2)의 전압이 곧 기준 신호가 된다. 여기에서, 저항(R54)은 ESD(Electric Static Discharge) 보호를 위해 구비된다. 커패시터(C50)는 포토 다이오드부(900)의 커패시터(C46)와 매칭되도록 하기위해 구비된다. 트랜지스터(QN52)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QN50)의 에미터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R53)은 전류/전압 변환 시에 이득을 결정한다. 또한, 트랜지스터 (QN53)의 베이스에 연결된 저항들(R52, R55)은 각각 저항들(R54, R53)과 매칭된다. 트랜지스터들(QN50, QN51)은 전원 전압(VCC)과 트랜지스터(QN54)의 콜렉터 사이에 연결되어 전원 전압(VCC)으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공급받는다. 증폭부(930)로 입력되는 신호의 직류 레벨은 저항(R50, R51)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들 (QN54,QN55 및 QN58)은 바이어스 회로(960)로부터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B1)에 응답하여 기준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 소스의 역할을 한다.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of FIG. 10 converts the current signal applied through the parasitic element unit 910 from the photodiode 900 to a differential voltage signal. To this end,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includes NPN transistors QN50 to QN55 and QN58, resistors R50 to R62, and a capacitor C50. Transistors QN52 and QN53 output a current signal as a differential voltage. That is,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QN52 is changed by the input current applied through the resistor R54, thereby changing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Here, the transistor QN53 generates a reference signal to generate a differenti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in FIG. 10 becomes a reference signal. Here, the resistor R54 is provided for ESD protection. The capacitor C50 is provided to match the capacitor C46 of the photodiode portion 900. A resistor R53 coupled between the base of transistor QN52 and the emitter of transistor QN50 determines the gain during current / voltage conversion. In addition, the resistors R52 and R55 connect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N53 match the resistors R54 and R53, respectively. The transistors QN50 and QN51 are connected between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and the collector of the transistor QN54 to receive a predetermined current from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The DC level of the signal input to the amplifier 930 is determined by the resistors R50 and R51. Transistors QN54, QN55 and QN58 serve as current sources for flowing a reference current in response to bias current B1 applied from bias circuit 960.

도 10의 증폭부(930)는 저항들(R64~R72)과 NPN트랜지스터들(QN56~QN63)로 구성된다. 증폭부(930)에 있어서 NPN트랜지스터(QN56)와 NPN트랜지스터(QN57)는 각각 제1노드(N1)와 제2노드(N2)의 전압을 베이스로 입력하여 차동 증폭한다. 이 때, 증폭된 결과는 각각 트랜지스터(QN63, QN62)를 통하여 제3노드(N3)와 제4노드(N4)로 출력된다. The amplifier 930 of FIG. 10 includes resistors R64 to R72 and NPN transistors QN56 to QN63. In the amplifier 930, the NPN transistor QN56 and the NPN transistor QN57 input the voltages of the first node N1 and the second node N2 as a base and differentially amplify them. At this time, the amplified result is output to the third node N3 and the fourth node N4 through the transistors QN63 and QN62, respectively.

예를 들어, 제1노드(N1)의 전압이 제2노드(N2)의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QN56의 콜렉터 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 때, QN57의 콜렉터 전압은 이전보다 높아져서 QN62의 베이스-에미터간 전압을 증가시키고, 제4노드(N4)의 전압은 높 아지게 된다. 반대로, 제2노드(N2)의 전압이 제1노드(N1)의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는 QN57의 콜렉터 전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 때, QN56의 콜렉터 전압은 이전보다 높아져서 QN63의 베이스-에미터간 전압이 증가되고, 제3노드(N3)의 전압은 높아진다. 여기에서, 저항(R64)은 저항(R66)과 함께 증폭부(930)의 증폭 이득을 결정한다. 즉, QN56의 콜렉터 전압에 대한 증폭 이득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is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the collector voltage of QN56 is relatively low. At this time, the collector voltage of QN57 is higher than before, increasing the base-emitter voltage of QN62, and increasing the voltage of fourth node N4. On the contrary, when the voltage of the second node N2 is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N1, the collector voltage of QN57 is relatively low. At this time, the collector voltage of QN56 is higher than before, so that the base-emitter voltage of QN63 is increased, and the voltage of third node N3 is increased. Here, the resistor R64 together with the resistor R66 determines the amplification gain of the amplifier 930. That is, the amplification gain with respect to the collector voltage of QN56 can be expressed as follows.

Figure 111999014723298-pat00001
Figure 111999014723298-pat00001

여기에서, req56은 NPN트랜지스터(Q56)의 에미터 저항을 나타낸다. 또한, 증폭부(930)에 있어서의 트랜지스터들(QN59~QN61)과, 저항들(R67~R72)은 바이어스 회로(960)에서 발생되는 바이어스 전류(B1)에 의해서 전류 소스를 형성한다. Here, r eq56 represents the emitter resistance of the NPN transistor Q56. In addition, the transistors QN59 to QN61 and the resistors R67 to R72 in the amplifier 930 form a current source by the bias current B1 generated in the bias circuit 960.

도 10의 듀티 보상부(940)는 저항들(R73, R74), NPN트랜지스터들(QN66~ QN71), 저항들(R75, R76), 및 전류 소스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QN64, QN65, QN72~QN74)과 저항들(R77~R86)을 포함한다. 즉, 듀티 보상부(940)에 있어서 트랜지스터들(QN64,QN65,QN72~QN74)과 저항들(R77~R86)은 바이어스 전류(B1)를 입력하는 전류 소스의 역할을 한다. 또한, 트랜지스터들(QN66, QN67)과, 트랜지스터들(QN68, QN69)은 각각 전류 합산(SUMMING) 구조의 서로 다른 두 개의 비교기를 구성한다. The duty compensator 940 of FIG. 10 includes the resistors R73 and R74, the NPN transistors QN66 to QN71, the resistors R75 and R76, and the transistors QN64, QN65 and QN72 to form a current source. QN74) and resistors R77 to R86. That is, in the duty compensator 940, the transistors QN64, QN65, QN72 ˜ QN74 and the resistors R77 ˜ R86 serve as current sources for inputting the bias current B1. In addition, the transistors QN66 and QN67 and the transistors QN68 and QN69 each constitute two different comparators having a current summating structure.

여기에서, 증폭기(93)의 출력인 제3노드(N3)의 전압과 제4노드(N4)의 전압은 각각 QN66의 베이스와 QN69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또한, 제3노드(N3)의 전압은 저항(R75)과 커패시터(C75)에 의해 적분되어 제1기준 전압으로서 트랜지스터 (QN67) 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기준 전압은 노드(N3a)에 걸리는 전압으로 정의된다. 마찬가지로, 제4노드(N4)의 전압은 저항(R76)과 커패시터(C76)에 의해 적분되어 제2기준 전압으로서 트랜지스터(QN68)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마찬가지로, 제2기준 전압은 노드(N4a)에 걸리는 전압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에서는 Gbps의 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시정수를 결정하는 R, C값은 상기 속도에 상응하여 적절하게 설정된다. 특히, 커패시터들(C75, C76)은 40pF이상의 값을 갖도록 설정된다. Here,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and the voltage of the fourth node N4, which are outputs of the amplifier 93, are applied to the base of QN66 and the base of QN69,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is integrated by the resistor R75 and the capacitor C75 and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N67 as the first reference voltage. Referring to FIG. 10, the first reference voltage is defined as a voltage applied to the node N3a. Similarly, the voltage of the fourth node N4 is integrated by the resistor R76 and the capacitor C76 and applied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QN68 as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Similarly,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is defined as the voltage across the node N4a. Since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at a speed of Gbps, the R and C values for determining the time constant are appropriately set in correspondence with the speed. In particular, the capacitors C75 and C76 are set to have a value of 40 pF or more.

이와 같이, 각 비교기의 비교 전압은 입력 신호에 대한 적분치로 설정되어 다양한 입력 신호에 비례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제1비교기의 출력을 베이스 입력으로 하는 트랜지스터(QN70)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6노드(N6)로 인가한다. 마찬가지로, 제2비교기의 출력을 베이스 입력으로 하는 트랜지스터 (QN71)는 출력 신호를 생성하여 제5노드(N5)로 인가한다. As such, the comparison voltage of each comparator is set to an integral value for the input signal and is set to be proportional to the various input signals. In addition, the transistor QN70 having the output of the first comparator as a base input generates an output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sixth node N6. Similarly, the transistor QN71 having the output of the second comparator as its base input generates an output signal and applies it to the fifth node N5.

보다 구체적으로 듀티 보상부(940)의 동작에 관하여 기술된다. 우선, 듀티 보상부(930)의 제1전류(I1)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of the duty compensator 940 is described. First, the first current I1 of the duty compensator 930 may b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1999014723298-pat00002
Figure 111999014723298-pat00002

여기에서, ICQN66는 QN66의 콜렉터 전류를 나타내고, ISQN66은 트랜지스터 (QN66)의 포화 전류를 나타낸다. 또한, VBEQN66 은 QN66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전압을 나타낸다. Q68에 대한 변수도 같은 방식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I1는 QN66 의 콜렉터 전류와, QN68의 콜렉터 전류의 합으로 정의된다. Here, I CQN66 represents the collector current of QN66 , and I SQN66 represents the saturation current of the transistor QN66. V BEQN66 also represents the voltage between the base and emitter of QN66. The variables for Q68 are defined in the same way. Thus, I1 is defined as the sum of the collector current of QN66 and the collector current of QN68.

또한, 전류(I2)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he current I2 can b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1999014723298-pat00003
Figure 111999014723298-pat00003

여기에서, ICQN67는 QN67의 콜렉터 전류를 나타내고, ISQN67은 트랜지스터 (QN67)의 포화 전류를 나타낸다. 또한, VBEQN67 은 QN67의 베이스와 에미터 사이의 전압을 나타낸다. Q67에 대한 변수도 같은 방식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I2는 QN67의 콜렉터 전류와 QN69의 콜렉터 전류의 합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저항(R73)에 걸리는 전압 즉, 트랜지스터(QN70)의 베이스 전압과 저항(R74)에 걸리는 전압은 각각 다음과 같이 구해질 수 있다. Here, I CQN67 represents the collector current of QN67 , and I SQN67 represents the saturation current of the transistor QN67. V BEQN67 also represents the voltage between the base and emitter of QN67. The variables for Q67 are defined in the same way. As such, I2 is defined as the sum of the collector current of QN67 and the collector current of QN69. Accordingly,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or R73, that is, the base voltage of the transistor QN70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resistor R74 may be obtained as follows.

Figure 111999014723298-pat00004
Figure 111999014723298-pat00004

이와 같이, R73과 R74에 걸리는 전압은 전류 값(I1, I2)에 따라서 달라진다. 따라서, 트랜지스터들(QN70, QN71)의 베이스-에미터 간의 전압도 변화된다. 즉, 전류(I1, I2)에 의해 출력 노드(N6, N5)의 전위가 달라진다는 것은 자명하다. As such, the voltage across R73 and R74 varies depending on the current values I1 and I2. Thus, the voltage between the base-emitter of the transistors QN70 and QN71 also changes. In other words, it is obvious that the potentials of the output nodes N6 and N5 vary depending on the currents I1 and I2.

예를 들어, 제3노드(N3)의 전압이 제4노드(N4)의 전압보다 높은 레벨이면, 전류(I1)는 대부분 트랜지스터(QN66)를 통하여 흐른다. 이 때, QN66의 콜렉터 전압은 낮아지고, 반면, QN69의 콜렉터 전압은 상대적으로 높아진다. 따라서, QN71을 통하여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되어 제5노드(N5)의 전압은 높아진다. 반면, 제4노드(N4)의 전압이 제3노드(N3)의 전압보다 높은 레벨을 가지면, 전류(I2)는 대부분 트랜지스터(Q67)를 통하여 흐른다. 이 때, QN69의 콜렉터 전압은 낮아지고, QN66의 콜렉터 전압이 높아진다. 따라서, 제6노드(N6)의 전압이 높아진다. 또한, 듀티 보상부(940)는 차동 신호들을 이용함으로써 출력 신호의 듀티가 정확히 보상되도록 구현된다. For example, if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is at a level higher than that of the fourth node N4, the current I1 mostly flows through the transistor QN66. At this time, the collector voltage of QN66 is lowered, while the collector voltage of QN69 is relatively high. Therefore, more current flows through QN71, resulting in a higher voltage at the fifth node N5. On the other hand, when the voltage of the fourth node N4 has a higher level than the voltage of the third node N3, the current I2 mostly flows through the transistor Q67. At this time, the collector voltage of QN69 is low and the collector voltage of QN66 is high. Therefore, the voltage of the sixth node N6 is increased. In addition, the duty compensator 940 is implemented such that the duty of the output signal is accurately compensated by using the differential signals.

도 10의 바이어스 회로(960)는 저항들(R87~R91), NMOS트랜지스터들(MN71, MN72), NPN트랜지스터들(QN76~QN78)로 구성된다. 즉, 전원이 인가되면 파워 다운 제어 신호(PDIN)가 로우 레벨이 아닌 경우에, NMOS트랜지스터들(MN71, MN72)이 동작하여 트랜지스터(QN75)가 턴온된다. 즉, 트랜지스터(QN75)의 에미터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N77)를 통하여 전달된다. 트랜지스터(QN77)의 콜렉터 전류는 제1바이어스 전류(B1)로서 생성된다. 또한, QN77에 흐르는 전류는 QN77과 전류 미러 구조를 갖는 트랜지스터(QN76)에 미러링된다. 한편, 트랜지스터(MN71) 에 흐르는 전류는 트랜지스터(QN78)에 미러링되며, 이 때, QN78에 흐르는 전류는 제2바이어스 전류(B2)가 된다. 제2바이어스 전류(B2)는 저항(R92)을 통하여 레벨 변환부(970)의 바이어스 전류로서 인가된다. The bias circuit 960 of FIG. 10 includes resistors R87 to R91, NMOS transistors MN71 and MN72, and NPN transistors QN76 to QN78. That is, when power is applied, when the power-down control signal PDIN is not at the low level, the NMOS transistors MN71 and MN72 operate to turn on the transistor QN75. That i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mitter of transistor QN75 is transmitted through transistor QN77. The collector current of transistor QN77 is generated as first bias current B1. In addition, the current flowing through QN77 is mirrored to transistor QN76 having a current mirror structure with QN77.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ransistor MN71 is mirrored to the transistor QN78, and at this tim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QN78 becomes the second bias current B2. The second bias current B2 is applied as a bias current of the level converter 970 through the resistor R92.

또한, 본 발명에서는 트랜지스터의 주파수 응답 특성이 최대로 나타날 수 있도록 바이어스 전류가 설정된다. 즉, 트랜지스터는 전류량이 어떻게 설정되는가에 따라서 주파수 응답 특성이 나타난다. 따라서, 각각의 바이어스 전류(B1, B2)를 입력으로 하는 각 블럭의 전류 소스들은 각 블럭의 기능에 따라 요구되는 전류를 흐 르게 하도록 트랜지스터의 사이즈가 결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고속으로 동작하기 위해서는 , 트랜지스터 자체의 특성이 최대로 나타날 수 있도록 각 트랜지스터들의 베이스 저항과, 에미터 저항 값이 설정되어 전류값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ias current is set so that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 of the transistor can be maximized. In other words, the frequency respons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stor depend on how the amount of current is set. Accordingly, the transistors are sized so that the current sources of each block that input the bias currents B1 and B2 flow the required current according to the function of each block. In addition, in order to operate at a high speed 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resistance and the emitter resistance of each transistor are set so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stor itself can be maximized so that the current value is maximized.

도 10의 레벨 변환부(970)는 PMOS트랜지스터들(MP70~MP73), NPN 트랜지스터들(QN79~QN84) 및 저항들(R92~R96)로 구성된다. 또한, 레벨 변환부(970)는 아날로그의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처리하기 위해, 신호의 레벨을 디지탈화하여 TTL레벨로 변환한다. 레벨 변환부(970)의 저항(R92,R93)과 트랜지스터(QN79)는 바이어스 회로(960)로부터 인가되는 바이어스 전류(B2)를 반복하는 전류 소스의 역할을 한다. 또한, 레벨 변환부(970)의 NPN 트랜지스터들 (QN80, QN81)은 듀티 보상부(940)로부터 제5노드(N5)와 제6노드(N6)의 전압을 입력하는 차동 구조를 갖는다. PMOS 트랜지스터(MP70, MP71)는 전류 미러 구조를 가지며, QN80의 콜렉터 전압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된다. 또한, MP72와 MP73도 전류 미러 구조를 가지며, QN81의 콜렉터 전압에 의해 스위칭 온/오프된다. 또한, 트랜지스터(QN82, QN83 및 QN84)와 저항들(R94~R96)은 MP71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서 소정의 전류를 접지(GND)로 흐르게 한다. The level converter 970 of FIG. 10 includes PMOS transistors MP70 to MP73, NPN transistors QN79 to QN84, and resistors R92 to R96. In addition, the level converter 970 digitalizes the level of the signal and converts the signal into a TTL level in order to process the analog signal as a digital signal. The resistors R92 and R93 of the level converter 970 and the transistor QN79 serve as current sources for repeating the bias current B2 applied from the bias circuit 960. In addition, the NPN transistors QN80 and QN81 of the level converter 970 have a differential structure for inputting voltages of the fifth node N5 and the sixth node N6 from the duty compensator 940. The PMOS transistors MP70 and MP71 have a current mirror structure and are switched on / off by the collector voltage of QN80. In addition, MP72 and MP73 also have a current mirror structure, and are switched on / off by the collector voltage of QN81. In addition, the transistors QN82, QN83 and QN84 and the resistors R94 to R96 cause a predetermined current to flow to the ground GND according to the current flowing in the MP71.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벨 변환부(970)는 차동 입력 신호를 인가받아 하나의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입력 신호를 차동 형태로 받아들이는 것은 트랜지스터의 드레스홀드 전압이 온도 및 기타 조건에 대해 변화되는 경우에, 스위칭 포인트가 변경되어 출력 신호의 듀티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 때, 스위칭된 출력은 PMOS트랜지스터(MP72, MP73)를 온/오프 시킴으로써 출력 전압을 생성한다. 도 10의 제7노드(N7)는 레벨 변환부(970)의 출력 노드를 나타낸다. As described above, the level converter 970 receives the differential input signal and generates one output signal. Accepting the input signal in differential form here is intended to prevent the switching point from changing the duty of the output signal when the transistor's dresshold voltage changes over temperature and other conditions. At this time, the switched output generates the output voltage by turning on / off the PMOS transistors MP72 and MP73. The seventh node N7 of FIG. 10 represents an output node of the level converter 970.

먼저, 제5노드(N5)의 전압이 제6노드(N6)의 전압보다 높은 경우에, 레벨 변환부(970)의 QN80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된다. 따라서, QN80의 콜렉터 전위는 낮아지고, PMOS트랜지스터(MP70, MP71)가 턴온된다. 이 때, MP71를 통하여 흐르는 전류는 NPN트랜지스터들(QN82, QN83, QN84)에 의해 소정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따라서, 제7노드(N7)의 전압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 이와 반대로, 제6노드(N6)의 전압(VN6)이 제5노드(N5)의 전압(VN5)보다 높은 경우에, 레벨 변환부(970)의 QN81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가 증가된다. 따라서, QN80의 콜렉터 전위는 낮아지고, PMOS트랜지스터(MP72, MP73)가 턴온된다. 이 때, MP73의 드레인과 연결되는 출력 노드(N7)의 전압은 높아진다. First, when the voltage of the fifth node N5 is higher than the voltage of the sixth node N6,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QN80 of the level converter 970 is increased. Therefore, the collector potential of QN80 is lowered, and the PMOS transistors MP70 and MP71 are turned on. At this time,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MP71 causes a predetermined current to flow by the NPN transistors QN82, QN83, and QN84. Therefore, the voltage of the seventh node N7 becomes relatively low. On the contrary, when the voltage VN6 of the sixth node N6 is higher than the voltage VN5 of the fifth node N5,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QN81 of the level converter 970 is increased. Thus, the collector potential of QN80 is lowered, and the PMOS transistors MP72 and MP73 are turned on. At this time, the voltage of the output node N7 connected to the drain of the MP73 becomes high.

도 10의 파워 다운 제어부(950)는 직렬 연결된 인버터들(952, 954)로 구성된다. 또한, 파워 다운 제어부(95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파워 다운 제어 신호(PDIN)에 응답하여 스위칭된다. 즉, 파워 다운 모드에서 광학 수신기(80)의 회로 전체는 파워 다운 제어 신호(PDIN)에 응답하여 슬립 모드로 설정되며, 전원 전압의 소모는 최소화된다. 즉, 정상 동작하는 경우에 파워 다운 제어 신호(PDIN)는 하이 레벨로 설정되고, 바이어스 회로(960)의 NMOS 트랜지스터들 (MN70, MN71)은 턴온되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파워 다운 제어 신호(PDIN)가 로우 레벨로 설정되면 MN70, MN71이 턴오프되므로 바이어스 회로(960)는 정상 동작할 수 없다. 따라서, 바이어스 전류(B1,B2)를 생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회로 전체는 슬립 모드 로 전환된다.The power down controller 950 of FIG. 10 includes inverters 952 and 954 connected in series. In addition, the power down controller 950 is switched in response to a power down control signal PDIN applied from the outside. That is, in the power down mode, the entire circuit of the optical receiver 80 is set to the sleep mode in response to the power down control signal PDIN, and the consumption of the power supply voltage is minimized. That is, in the normal operation, the power down control signal PDIN is set to the high level, and the NMOS transistors MN70 and MN71 of the bias circuit 960 are turned on to perform normal operation. However, when the power down control signal PDIN is set to the low level, the bias circuit 960 cannot operate normally because the MN70 and the MN71 are turned off. Therefore, since the bias currents B1 and B2 cannot be generated, the entire circuit is switched to the sleep mode.

도 10의 버퍼부(970)는 직렬 연결된 인버터들(91~95)을 포함한다. 도 10에서는 5개의 인버터들로 구성되어 버퍼부(970)의 입력에 대해서 역 위상을 갖는 신호로서 출력된다. 그러나, 광학 수신기(80) 자체의 입력 신호에 대해서는 동상 신호로서 출력된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인버터들(91~95)을 구성하는 내부의 트랜지스터 사이즈는 각각 전단의 인버터(91)에 대해서 점차 2배수로 사이즈가 증가되도록 구성하여 출력 신호의 드라이브 능력을 향상시킨다.The buffer unit 970 of FIG. 10 includes inverters 91 to 95 connected in series. In FIG. 10, five inverters are output as signals having an inverse phase with respect to the input of the buffer unit 970. However, the input signal of the optical receiver 80 itself is output as an in-phase signal. 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illustrated, internal transistor sizes constituting the inverters 91 to 95 are configured to increase in size by two times with respect to the inverter 91 at the front end, thereby improving the drive capability of the output signal. .

이와 같이, 광학 수신기(80)는 디지탈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포토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전압으로 가변한다. 또한, 광학 수신기(80)는 최종적인 출력이 전원 전압에 대해서 풀 스윙하는 TTL 레벨로 변환되고 버퍼링된다. 게다가, 광학 수신기(80)는 기생 소자의 영향이 고려되도록 회로가 설계되어 전류 입력에 대한 동적 범위(DYNAMIC RANGE)가 확장된다. 또한, 파워 절감을 위해, 광학 수신기(80)는 저전압용으로 설계되고, 전류/전압 전환 시에 상승/하강 시간 및 듀티 마진이 고려된다. 또한, 도 10의 광학 수신기(80)에서 전원 전압 및 접지(GND)에 의한 노이즈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류/전압 변환부(920)와 증폭부(930) 사이의 전원전압(VCC)과 접지(GND)가 서로 분리된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바이어스 회로(960)도 제1바이어스 전류(B1) 생성을 위한 회로와, 제2바이어스 전류(B2) 생성을 위한 회로에서 사용되는 전원 전압(VCC) 라인과 접지(GND) 라인이 분리된다. As such, the optical receiver 80 varies the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photodiode to a voltage to enable digital processing. In addition, the optical receiver 80 is converted and buffered to a TTL level where the final output is full swing with respect to the supply voltage. In addition, the optical receiver 80 is designed so that the influence of parasitic elements is taken into account so that the dynamic range (DYNAMIC RANGE) for the current input is extended. In addition, for power saving, the optical receiver 80 is designed for low voltage and the rise / fall time and duty margin are taken into account during current / voltage switching. 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noise generated by the power supply voltage and the ground GND in the optical receiver 80 of FIG. 10, the power supply voltage VCC between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and the amplifier 930. And ground (G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For the same reason, the bias circuit 960 also includes a power supply voltage (VCC) line and a ground (GND) line used in the circuit for generating the first bias current B1 and the circuit for generating the second bias current B2. Are separated.

도 11(a) 및 11(b)는 도 10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80)의 입출력 신호를 설 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1(a)는 포토 다이오드부(900)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 신호를 나타내고, 11(b)는 최종적으로 버퍼부(980)를 통하여 출력되는 TTL 레벨의 전압 신호를 나타낸다. 11 (a) and 11 (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input and output signals of the optical receiver 80 shown in FIG. FIG. 11A illustrates a current signal applied through the photodiode unit 900, and FIG. 11B illustrates a voltage signal having a TTL level output through the buffer unit 980.

도 11(a)를 참조할 때, 입력 전류는 0~100uA의 피크치를 갖는 소스 클럭 신호로서 파형이 깨끗하지 않은 것은 광 다이오드의 기생 커패시터 성분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1(b)는 기생 소자들에 의한 영향이 정형되어 노이즈가 제거된 파형으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Referring to Fig. 11A, the input current is a source clock signal having a peak value of 0 to 100uA, and the waveform is not clean, which indicates that the parasitic capacitor component of the photodiode is affected. FIG. 11B shows that the influence of parasitic elements is shaped and output as a waveform from which noise is removed.

도 12(a)~12(d)는 도 10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8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들로서, 12(a)는 기생 소자부(910)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12(b)는 전류/전압 변환부(920)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12(c)와 12(d)는 증폭부(930)의 출력 신호와 상기 출력 신호의 적분된 신호를 나타낸다. 12 (a) to 12 (d) are waveform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receiver 80 shown in FIG. 10, where 12 (a) shows an output signal of the parasitic element unit 910, and FIG. b) shows the output signal of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and 12 (c) and 12 (d) shows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930 and the integrated signal of the output signal.

도 13(a)~13(c)는 도 10에 도시된 광학 수신기(8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파형도들로서, 도 13(a)는 듀티 보상부(940)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도 13(b)는 레벨 변환부(970)의 출력 신호를 나타내고, 도 13(c)는 버퍼부(980)의 출력 신호를 나타낸다. 13 (a) to 13 (c) are other waveform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optical receiver 80 shown in FIG. 10, FIG. 13 (a) shows an output signal of the duty compensator 940, FIG. 13B illustrates an output signal of the level converter 970, and FIG. 13C illustrates an output signal of the buffer unit 980.

도 10~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수신기(80)가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우선, 포토 다이오드부(900)로부터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류 신호가 인가되면 기생 소자부(910)는 리드 프레임 또는 패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기생 성분에 의해 도 12(a)에서와 같이 정형되지 않은 파형으로 나타난다. 즉, 포토 다이오드부(900)에서 일차적으로 기생 커패시터(C46)에 의해 영향을 받은 전류 신호가 기생 소자부(910)에 의해 다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입력되는 파형은 최악의 형태로서 나타난다.10 to 13, an optical receiver 8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more detail. First, when a current signal as shown in FIG. 10 (a) is applied from the photodiode unit 900, the parasitic element unit 910 is shown in FIG. 12 (a) by a parasitic component that may be generated in a lead frame or a pad. It appears as an unshaped waveform like That is, since the current signal that is primarily affected by the parasitic capacitor C46 in the photodiode 900 is again affected by the parasitic element 910, the input waveform appears as the worst form.

이 때, 도 12(a)에 도시된 전류 신호는 전류/전압 변환부(920)로 인가되어 도 12(b)와 같은 차동의 입력 신호로서 생성된다. 도 12(a)의 VN1은 트랜지스터 (QN50)의 에미터 즉, 제1노드(N1)에 걸리는 전압을 나타낸다. 또한, 도 12(a)의 VN2는 입력 신호(VN1)에 대해서 차동 입력을 만들어내기 위한 기준 신호를 나타낸다. 즉, 도 12(b)에 나타난 입력 신호(VN1)와 기준 신호(VN2)는 전류/전압 변환부(920)에서 차동의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러한 차동 신호는 증폭부(930)에서 차동 증폭되어 각각 제3노드(N3)와, 제4노드(N4)로 출력된다. 제3노드(N3)와 제4노드(N4)는 각각 증폭부(930)의 NPN트랜지스터(QN63)의 에미터와 QN62의 에미터 전압을 나타낸다. At this time, the current signal shown in FIG. 12 (a) is applied to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and is generated as a differential input signal as shown in FIG. 12 (b). VN1 in FIG. 12A shows a voltage across the emitter of the transistor QN50, that is, the first node N1. In addition, VN2 in Fig. 12A shows a reference signal for generating a differential input with respect to the input signal VN1. That is, the input signal VN1 and the reference signal VN2 shown in FIG. 12B are output as differential signals from the current / voltage converter 920. The differential signal is differentially amplified by the amplifier 930 and output to the third node N3 and the fourth node N4, respectively. The third node N3 and the fourth node N4 represent emitters of the NPN transistor QN63 of the amplifier 930 and emitter voltage of QN62, respectively.

이러한 제3노드(N3)의 전압(NV3)과 제4노드(N4)의 전압(VN4)은 듀티 보상부(940)의 두 비교기의 각 입력 신호로서 인가된다. 도 12(c)의 전압 파형(VN3)은 듀티 보상부(940)의 NPN트랜지스터(QN66)의 베이스 입력으로 인가되는 제1증폭 출력을 나타낸다. 도 12(d)의 전압 파형(VN4)은 듀티 보상부(940)의 NPN트랜지스터(QN67)의 베이스로 인가되는 제2증폭 출력을 나타낸다. 도 12(c)를 참조하면 전압 파형(VN3a)은 제3노드(N3)의 전압(VN3)을 저항(R75)과 커패시터(C75)에 의해 적분한 결과로서 제1비교기의 기준 전압이 된다. 또한, 도 12(d)를 참조하면 전압 파형(VN4a)은 제4노드(N4)의 전압(VN4)을 저항(R76)과, 커패시터(C76)에 의해 적분한 결과로서 제2비교기의 기준 전압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 신호의 적분된 값이 기준 전압으로 설정됨으로써 다양한 입력 신호에 기준 레벨이 비례하도록 구현된다. 도 12(c) 및 12(d)에 도시된 입력 신호와 기준 전압은 각각 서로 다른 비교기에서 비교되어 각각 제5노드(N5)와 제6노드(N6)에서 출력된다. 도 13(a)의 전압 파형들(VN5와 VN6)은 각각 듀티 보상부(940)의 NPN트랜지스터(QN71)와 QN70의 에미터 전압을 나타낸다. 도 12(c), 12(d)와 도 13(a)를 참조하면, 제3노드(N3)의 전압(VN3)과 제5노드(N5)의 전압(VN5)이 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두 전압 신호(VN5, VN6)는 서로 중간 지점의 레벨을 중심으로 크로싱(CROSSING)된다. 즉, 광학 수신기(80)의 출력 신호는, 듀티 보상부(940)에서 차동으로 출력되는 두 신호의 크로싱되는 위치에 의해 출력 신호의 듀티가 결정된다. 따라서, 차동 신호들이 정확히 중심점에서 크로싱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듀티 보상부(940)에서 차동 신호에 의해 상대적인 비교가 행해짐으로써 출력 신호의 듀티가 정확히 판단된다. 도 13(a)와 같이 서로 크로싱되는 듀티 보상부(940)의 출력 신호(N5,N6)는 레벨 변환부(970)의 입력 트랜지스터들(QN80, QN81)의 베이스로 각각 인가된다. 도 13(b)는 레벨 변환부(970)의 출력 신호가 시뮬레이션된 결과를 나타내며, 제7노드(N7)의 전압(VN7)을 나타낸다. 따라서, 도 13(a)의 크로싱 포인트를 기준으로 제5노드(N5)의 전압(VN5)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면, 도 13(b)에 도시된 제7노드(N7)의 전위는 낮아진다. 이와 반대로, 도 13(a)의 크로싱 포인트를 기준으로 제6노드(N6)의 전압(VN6)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면, 도 13(b)에 도시된 제7노드(N7)의 전위는 높아진다. 이와 같이, TTL레벨로 변환된 신호는 버퍼부(980)를 거쳐서 버퍼링되고, 드라이빙 능력이 향상되어 도 13(c)의 파형과 같이 나타난다.The voltage NV3 of the third node N3 and the voltage VN4 of the fourth node N4 are applied as respective input signals of the two comparators of the duty compensator 940. The voltage waveform VN3 of FIG. 12C shows the first amplified output applied to the base input of the NPN transistor QN66 of the duty compensator 940. The voltage waveform VN4 of FIG. 12D shows the second amplified output applied to the base of the NPN transistor QN67 of the duty compensator 940. Referring to FIG. 12C, the voltage waveform VN3a becomes a reference voltage of the first comparator as a result of integrating the voltage VN3 of the third node N3 by the resistor R75 and the capacitor C75. 12 (d), the voltage waveform VN4a is a reference voltage of the second comparator as a result of integrating the voltage VN4 of the fourth node N4 by the resistor R76 and the capacitor C76. Becomes 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grated value of the input signal is set to the reference voltage, so that the reference level is proportional to the various input signals. The input signal and the reference voltage shown in FIGS. 12 (c) and 12 (d) are respectively compared in different comparators and output from the fifth node N5 and the sixth node N6, respectively. The voltage waveforms VN5 and VN6 of FIG. 13A represent emitter voltages of the NPN transistor QN71 and QN70 of the duty compensator 940, respectively. 12 (c), 12 (d) and 13 (a),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 VN3 of the third node N3 and the voltage VN5 of the fifth node N5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 Referring to FIG. 13A, the two voltage signals VN5 and VN6 are crossed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the intermediate point. That is, the duty of the output signal of the output signal of the optical receiver 80 is determined by the crossing position of two signals differentially output from the duty compensator 940.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the differential signals be designed so that they cross exactly at the center point.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ve comparability is performed by the differential signal in the duty compensator 940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uty of the output signal. As shown in FIG. 13A, the output signals N5 and N6 of the duty compensator 940 that cross each other are applied to the bases of the input transistors QN80 and QN81 of the level converter 970, respectively. FIG. 13B illustrates a simulation result of the output signal of the level converter 970 and illustrates the voltage VN7 of the seventh node N7. Therefore, when the voltage VN5 of the fifth node N5 remains high based on the crossing point of FIG. 13A, the potential of the seventh node N7 illustrated in FIG. 13B is lowered. On the contrary, when the voltage VN6 of the sixth node N6 remains high based on the crossing point of FIG. 13A, the potential of the seventh node N7 shown in FIG. 13B becomes high. . In this way, the signal converted to the TTL level is buffered through the buffer unit 980, and the driving capability is improved to appear as a waveform of FIG. 13 (c).

결과적으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 수신기(80)에 인가되는 아날로그의 전류 신호는 최종적인 TTL레벨의 신호로 변환되어 디지탈화된 출력으로 전환된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analog current signal applied to the optical receiver 80 is converted into a final TTL level signal and converted into a digitalized output.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수신 장치의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는 제1,제2 래치부들(400, 410) 및 동기화부(420)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위상 동기 루프(88)가 함께 도시된다. FIG. 1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ata restoration and skew compensator 82 of the reception apparatus illustrated in FIG. 8.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ion unit 82 includes first and second latch units 400 and 410 and a synchronization unit 420. The phase locked loop 88 is shown together for ease of explanation.

위상 동기 루프(88)는 광학 수신기(80)를 통하여 클럭 신호(CLK)를 입력하고, 겹치지 않도록 서로 간에 소정 오프셋을 갖는 제1~제n 논-오버랩핑(non-overlapping) 클럭 신호들을 생성한다. 여기에서, n은 9로 가정될 수 있다. The phase locked loop 88 inputs the clock signal CLK through the optical receiver 80 and generates first to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having a predetermined offse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overlap. . Here, n can be assumed to be nine.

제1래치부(400)는 수신한 상기 직렬 데이타를 n개의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병렬로 래치하여 n비트의 병렬 데이타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n이 9라 가정하면, 9비트의 병렬 데이타는 1워드(word)로 가정될 수 있다. 또한, 래치된 병렬 데이타는 서로간에 소정 오프셋의 시간차를 갖는 상태 데이타로서 출력된다. 여기에서, 상태 데이타는 각 R/G/B 색 신호와, 동기 신호를 포함한 제어 신호(CON)를 위한 4개 채널의 데이타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R/G/B 색 신호는 정보 데이타로 명명하기로 한다.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서, 상태 데이타들의 종류는 4개가 아닌 N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latch unit 400 latches the received serial data in parallel in response to n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to generate n bits of parallel data. For example, if n is 9, 9 bits of parallel data may be assumed to be 1 word. The latched parallel data is also output as state data having a time difference of a predetermined offset from each other. Here, the status data may be data of four channels for each R / G / B color signal and a control signal CON including a synchronization signal. In addi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R / G / B color signal will be referred to as information data. Depending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the type of state data may be implemented in N instead of four.

제2래치부(410)는 제1래치부(400)에서 출력되는 상태 데이타들을, n개의 각 오버래핑 클럭 신호들 중 타이밍 마진이 가장 큰 하나의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병렬로 래치한다. 여기에서, 상기 타이밍 마진이 큰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는 제X(0≤X≤n)번째 클럭 신호 즉, CKPX로 정의된다. The second latch unit 410 latches the state data output from the first latch unit 400 in parallel in response to one non-overlapping clock signal having the largest timing margin among the n overlapping clock signals. The non-overlapping clock signal having a large timing margin is defined as an X (0 ≦ X ≦ n) th clock signal, that is, CKPX.

동기화부(420)는 제2 래치부(410)에서 래치된 데이타들을 입력하고, 소정의 동기 존재 신호와, 제X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상태 데이타를 복원된 정보 데이타로서 출력한다. 여기에서, 동기 존재 신호(DATA/SYNC)는 입력되는 데이타에 동기 신호가 존재하는가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외부에서 인가된다. The synchronization unit 420 inputs the data latched by the second latch unit 410, and restores state data from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existence signal and an X-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 Output as data. Here, the synchronization existence signal DATA / SYNC is applied from the outside a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a synchronization signal exists in the input data.

즉, 도 14에 도시된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는 도 1의 송신 장치(12)에서 압축된 데이타를 원래의 병렬 데이타로 해제한다. 또한,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는 광 전송로(15)를 통하여 수신된 채널 데이타에 스큐가 발생되는 경우에 이를 보상한다. That is,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or 82 shown in FIG. 14 releases the data compressed by the transmitter 12 of FIG. 1 into original parallel data. In addition,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or 82 compensates for the occurrence of skew in the channel data received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path 15.

도 15 (a) 및 (b)는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파형도들로서, 도 15(a)는 광학 수신기(80)를 통하여 수신된 클럭 신호(CLK)를 나타내고, 도 15(b)는 광학 수신기(80)를 통하여 수신된 직렬의 채널 데이타(DATAIN)를 나타낸다. 15A and 15B are waveform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shown in FIG. 14, and FIG. 15A illustrates a clock signal CLK received through the optical receiver 80. b) represents the serial channel data DATAIN received via the optical receiver 80.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타 복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복원 방법은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직렬 데이타(DATAIN) 및 클럭 신호(CLK)를 이용하여 구하는 단계(제500∼제520 단계), 어느 상태 데이타에서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가를 결정하는 단계(제530 및 제540 단계)로 이루어진다.FIG. 16 is a flowchart for describing a data restoration method performed in the apparatus shown in FIG. 14. The method for recovering dat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obtaining N state data using serial data DATAIN and a clock signal CLK (steps 500 to 520), and determining which state data a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from. Steps 530 and 540 are performed.

도 14~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 및 상기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82)에서 수행되는 데이타 복원 방법에 관하여 기술된다. A data restoration and skew compensation unit 82 and a data restoration method performed by the data restoration and skew compensation unit 8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4 to 16.

먼저, 도 1에 도시된 PLL(88)는 광학 수신기(80)를 통하여 도 15(a)에 도시된 클럭 신호(CLK)를 수신한다. 또한, PLL(88)은 서로 겹치지 않도록 서로 간에 소정 오프셋을 갖는 n개의 논 오버랩핑(non-overlapping)(여기서, M은 1이상의 양의 정수) 클럭 신호들을 클럭 신호(CLK)를 기준으로 발생한다(제500단계). 여기서, 소정 오프셋은 도 15 (b)에 도시된 직렬 데이타에서 단위 비트의 폭(P18)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는 도 15 (a)에 도시된 클럭 신호(CLK)와 위상 및 주기가 동일하다. 또한, 제2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는 제1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가 단위 비트의 폭(P18)만큼 위상 쉬프트된 신호로서 정의된다. 이와 같이, PLL(88)은 제1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를 소정 오프셋 간격으로 위상 쉬프트시켜 서로 간에 오프셋 만큼의 위상차를 갖는 n개의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을 발생할 수 있다. First, the PLL 88 shown in FIG. 1 receives the clock signal CLK shown in FIG. 15A through the optical receiver 8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PLL 88 generates n non-overlapping (where M is a positive integer of 1 or more) clock signals having a predetermined offset from each other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lock signal CLK. (Step 500). Here, the predetermined offset may correspond to the width P18 of the unit bits in the serial data shown in FIG. 15B. For example, as described below, the first non-overlapping clock signal has the same phase and period as the clock signal CLK shown in FIG. 15A. Also, the second non-overlapping clock signal is defined as a signal in which the first non-overlapping clock signal is phase shifted by a width P18 of unit bits. As such, the PLL 88 may phase shift the first non-overlapping clock signal at a predetermined offset interval to generate n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having a phase difference equal to an offset from each other.

제510 단계 후에, 제1 래치부(400)는 도 15(b)에 도시된 직렬 데이타(DATAIN)를 n개의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병렬로 n+N-1(여기서, N은 3이상의 양의 정수)비트 단위로 래치한다(제520단계). 여기서, 직렬 데이타(DATAIN)는 각각이 n비트인 동기 신호(sync word)와 R/G/B 색 신호에 대한 정보 데이타가 멀티플렉싱된 데이타를 의미한다. 따라서, 직렬 데이타(DATAIN)는 클럭 신호(CLK)와 함께 광학 수신기(80)를 통하여 직렬로 전송된다. 여기에서, 동기 신호는 각 수평 동기 신호와 수직 동기 신호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데이타(DATAIN)는 n비트(d0 d1 ... dn-3 dn-2 dn-1)의 정보 데이타(P20)와 n비트의(d0 d1 ... dn-3 dn-2 dn-1) 동기 신호(22)가 멀티플렉싱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동기 신호(P22)는 소정 수개의 정보 데이타마다 하나씩 삽입된다.After operation 510, the first latch unit 400 performs n + N−1 in parallel with the serial data DATAIN illustrated in FIG. 15B in response to n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A positive integer of 3 or more) is latched in units of bits (step 520). Here, serial data DATAIN means data in which information data for a sync word and an R / G / B color signal, each of which is n bits, is multiplexed. Therefore, serial data DATAIN is transmitted in series through the optical receiver 80 together with the clock signal CLK. Here, the synchronization signal represents each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B, the serial data DATAIN is composed of information data P20 having n bits (d 0 d 1 ... D n-3 d n-2 d n-1 ). The n-bit (d 0 d 1 ... d n-3 d n-2 d n-1 ) synchronization structure 22 has a structure multiplexed. Therefore, one synchronization signal P22 is inserted for every predetermined number of pieces of information data.

제520 단계후에, 제1 래치부(400)는 서로간에 소정 오프셋의 시간차를 가지며 제510단계에서 래치된 n비트로 각각 이루어진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제2 래치부(12)로 출력한다(제28 단계). 여기서,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은 도 2 (a)에 도시된 클럭 신호(CLK)에 동기되는 제1 상태 데이타(DD), 제1 상태 데이타보다 위상이 지연된(lagging)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상태 데이타(DL), 제1 상태 데이타보다 위상이 빠른(leading)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상태 데이타(DE) 등으로 이루어진다.After operation 520, the first latch unit 400 outputs N state data each consisting of n bits latched in operation 510 to the second latch unit 12 having a time offset of a predetermined offset from each other (operation 28). ). Here, the N pieces of state data may include first state data DD synchronized with the clock signal CLK illustrated in FIG. 2A, and at least one second state data lagging in phase with the first state data. DL), at least one third state data DE, etc. leading in phase than the first state data.

제520 단계후에, 제2 래치부(410)는 제1 래치부(400)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n개의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CKP0 ∼ CKPn-1)중 타이밍 마진이 가장 큰 제X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동기시켜 병렬로 래치한다(제530단계). 이는, 제1래치부(400)로부터 출력되는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동시에 병렬로 동기화부(420)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즉, 도 14에 도시된 제1 래치부(400)는 n개의 논 오버랩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동작하지만, 제2 래치부(410) 및 동기화부(420)는 제X 논 오버랩 클럭 신호에 의해서만 동작한다. After operation 520, the second latch unit 410 outputs N state data output from the first latch unit 400, and has the largest timing margin among the n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CKP0 to CKPn-1. In synchronization with the X-non-non-overlapping clock signal, latching is performed in parallel (operation 530). This is to provide the n state data output from the first latch unit 400 to the synchronization unit 420 in parallel at the same time. That is, although the first latch unit 400 shown in FIG. 14 operates in response to n non-overlap clock signals, the second latch unit 410 and the synchronizer 420 may operate only by the X-th non-overlap clock signal. It works.

제530 단계후에, 동기화부(420)는 동기 존재 신호(DATA/SYNC)와 제X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X)에 응답하여, 제2래치부(410)에서 래치된 상태 데이타들 중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상태 데이타를 복원된 정보 데이타(DATAOUT)로서 결정한다(제540단계). 여기에서, 동기 존재 신호(DATA/SYNC)는 입력되는 데이타가 실제 R/G/B 색 신호와 같은 정보 데이타인지 수평 또는 수직 동기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신호로 정의된다. After operation 530, the synchronization unit 420 responds to the synchronization existence signal DATA / SYNC and the X-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X, and among the state data latched by the second latch unit 410. Is determined as the restored information data DATAOUT (step 540). Here, the synchronization existence signal DATA / SYNC is defined as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input data is information data such as an actual R / G / B color signal or a horizontal or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n=9라 가정하고 즉, 1워드를 9비트라 가정하고, N=3이라 가정하여, 도 14에 도시된 장치 및 도 16에 도시된 방법이 다음과 같이 기술된다.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ssuming that n = 9, that is, one word is 9 bits, and N = 3, the apparatus shown in FIG. 14 and the method shown in FIG. 16 are described as follows. do.

도 17은 클럭 신호(CLK) 및 도 14에 도시된 PLL(88)로부터 출력되는 제1 ∼ 제9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CKP0 ∼ CKP8)의 파형도를 각각 나타낸다.17 shows waveform diagrams of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first to ni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CKP0 to CKP8 output from the PLL 88 shown in FIG. 14, respectively.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제1 래치부(4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래치부(400)는 제1~제11플립플롭들(70a~70k), 제1~제3버퍼들(700, 710, 720)을 포함한다. FIG. 18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first latch unit 400 illustrated in FIG. 14. The first latch unit 400 includes first to eleventh flip-flops 70a to 70k and first to third buffers 700, 710, and 720.

도 18에 도시된 제1 ∼ 제11 플립플롭들(70a~70k) 각각은 수신한 직렬 전송 데이타(DATAIN)의 단위 비트를 데이타 입력단자(D)로 입력하고 제1 ∼ 제9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CKP0 ∼ CKP8) 각각을 클럭 단자(CK)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제1 플립플롭(70a)은 제1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0)를 클럭 단자(CK)로 입력하고, 직렬로 수신된 직렬 데이타(DATAIN)의 한 비트를 데이타 입력단자(D)로 입력한다.Each of the first to eleventh flip-flops 70a to 70k illustrated in FIG. 18 inputs a unit bit of the received serial transmission data DATAIN to the data input terminal D, and receives the first to ninth non-overlapping clocks. Each of the signals CKP0 to CKP8 is input to the clock terminal CK. For example, the first flip-flop 70a inputs the first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0 to the clock terminal CK, and inputs one bit of serially received data DATAIN to the data input terminal D. ).

제1버퍼(700)는 제1∼제9 플립플롭들(70a~70i)의 정출력(Q)들을 입력하여 버퍼링한다. 이 때, 버퍼링된 결과는 제2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1)에 응답하여 제2 상태 데이타(DL)로서 출력된다. 제2 버퍼(710)는 제2 ∼ 제10 플립플롭들(70b ∼70j)의 정출력(Q)들을 입력하여 버퍼링한다. 이 때, 버퍼링된 결과는 제1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0)에 응답하여 제1 상태 데이타(DD)로서 출력된다. 제3 버퍼(720)는 제3 ∼ 제11 플립플롭들(70c∼70k)의 정출력(Q)들을 입력하여 버퍼링한다. 이 때, 버퍼링된 결과는 제9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8)에 응답하여 제3 상태 데이타(DE)로서 출력된다. The first buffer 700 inputs and buffers the positive outputs Q of the first to ninth flip-flops 70a to 70i. At this time, the buffered result is output as the second state data DL in response to the second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1. The second buffer 710 receives and buffers the positive outputs Q of the second to tenth flip-flops 70b to 70j. At this time, the buffered result is output as the first state data DD in response to the first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0. The third buffer 720 inputs and buffers the positive outputs Q of the third to eleventh flip-flops 70c to 70k. At this time, the buffered result is output as the third state data DE in response to the ni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8.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0)는 클럭 신호(CLK)와 위상 및 주기가 일치하고, 제2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1)는 클럭 신호(CLK)보다 단위 비트 폭 만큼 위상이 느리고, 제9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8)는 클럭 신호(CLK)보다 단위 비트 주기 만큼 위상이 빠르다. 그러므로, 제1 상태 데이타(DD)는, 단위 비트 폭만큼, 제2 상태 데이타(DL)보다 위상이 앞서고 제3 상태 데이타(DE)보다 위상이 느려지게 된다. 이와 같이, 클럭 신호(CLK)의 단위 비트 폭만큼의 위상차를 갖는 제2 및 제3 상태 데이타(DL 및 DE)를 생성하는 이유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큐를 보상하기 위함이다. As shown in FIG. 17, the first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0 has a phase and a period identical to the clock signal CLK, and the second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1 is united than the clock signal CLK. The phase is slower by the bit width, and the ni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8 is faster in phase by a unit bit period than the clock signal CLK. Therefore, the first state data DD is out of phase with the second state data DL and is out of phase with the third state data DE by the unit bit width. As such, the reason for generating the second and third state data DL and DE having the phase difference by the unit bit width of the clock signal CLK is to compensate for the skew as described below.

도 19는 도 14에 도시된 동기화부(420)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동기화부(420)는 선택부(730),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 및 제4 버퍼(750)를 포함한다.19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synchronization unit 420 illustrated in FIG. 14. The synchronizer 420 includes a selector 730, a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and a fourth buffer 750.

도 19에 도시된 선택부(730)는 제2 래치부(410)로부터 출력되는 제1, 제2 및 제3 상태 데이타들(DD, DL 및 DE)중 하나를 선택 신호(S)에 응답하여 선택하고, 선택된 결과(DATAOUT)를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로 출력한다. 이 때,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는 동기 존재 신호(DATA/SYNC)에 응답하여, 제1, 제2 또는 제3 상태 데이타(DD, IDL 및 IDE)와 미리 저장하고 있는 동기 신호의 소정 비트 패턴을 비교한다. 또한,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는 상기 비교된 결과 및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상태 신호를 논리 조합하여, 선택 신호(S) 및 다음 상태를 나타내는 다음 상태 신호를 생성한다. 이 때, 선택 신호(S)는 선택부(730)로 인가되고, 다음 상태 신호는 제4버퍼(750)로 인가된다. 여기서, 선택 신호(S)에 의해서 선택부(730)는 초기 상태에서 제1 상태 데이타(DD)를 선택하고, 제1 상태 데이타(DD)와 소정 비트 패턴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상태 데이타(DL)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부(730)는 선택 신호(S)에 의해서 제2 상태 데이타(DL)와 소정 비트 패턴이 일치하지 않으면 제3 상태 데이타(DE)를 선택한다. 이를 위해,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는 제4 버퍼(750)로부터 출력되는 현재 상태 신호를 논리 조합하여 다음 상태 신호를 발생한다. The selector 730 shown in FIG. 19 responds to the select signal S by selecting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state data DD, DL, and DE output from the second latch unit 410. After the selection, the selected result DATAOUT is output to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At this time,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responds to the first, second or third state data DD, IDL and IDE and the previously stored sync signal in response to the sync present signal DATA / SYNC.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is compared. In addition,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logically combines the result of comparison and the present state signal representing the present state to generate the selection signal S and the next state signal representing the next state. In this case, the selection signal S is applied to the selection unit 730, and the next state signal is applied to the fourth buffer 750. Here, the selection unit 730 selects the first state data DD in the initial state by the selection signal S, and if the first state data DD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the second state data DL Select). Also, the selector 730 selects the third state data DE when the second state data DL and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do not coincide with the selection signal S. FIG. To this end,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logically combines the current state signal output from the fourth buffer 750 to generate the next state signal.

제4 버퍼(750)는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2)로부터 출력되는 다음 상태 신호를 제X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X), 예를 들면 제8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CKP7)에 응답하여 버퍼링한다. 제4버퍼(750)에서 버퍼링된 결과는 현재 상태 신호로서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로 인가된다. 이 때,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복원된 정보 데이타(DATAOUT)는 동기 신호와 소정 비트 패턴이 일치할 때 선택부(730)에서 선택된 상태 데이타에 해당된다. The fourth buffer 750 responds to the next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X, for example, the eigh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 CKP7, by outputting the next state signal output from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2. Buffer The result buffered by the fourth buffer 750 is applied to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as a current state signal. At this time, the restored information data DATAOUT corresponds to the state data selected by the selecting unit 730 when the synchronization signal and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match.

도 20은 도 16에 도시된 제540 단계의 상세한 플로우차트로서, 제540단계는 제1, 제2 및 제3 상태 데이타들(DD, DL 및 DE)과 동기 신호의 소정 비트 패턴을 비교하여 원래의 정보 데이타(DATAOUT)를 결정하는 단계들(제800∼제880단계)을 포함한다. 20 is a detailed flowchart of step 540 shown in FIG. 16. Step 540 is performed by comparing first, second and third state data DD, DL, and DE with a predetermined bit pattern of a synchronization signal. Determining the information data DATAOUT (steps 800 to 880).

먼저, 도 19에 도시된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는 전송 채널을 통해 전송된 직렬 전송 데이타(DATAIN)가 동기 신호이면, 제1 상태 데이타(DD)가 싱크 워드의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제800단계). 예를 들면, 직렬 전송 데이타(DATAIN)가 동기 신호이면 하이 레벨의 동기 존재 신호(DATA/SYNC)가 외부로부터 입력된다. 또한, 직렬 전송 데이타(DATAIN)가 정보 데이타이면 로우 레벨의 동기 존재 신호(DATA/SYNC)가 외부로부터 입력된다. 이 때,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는 하이 레벨의 동기 존재 신호(DATA/SYNC)가 입력될 때만 인에이블된다. 또한,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는 로우 레벨의 동기 존재 신호(DATA/SYNC)가 입력되면, 현재 상태 신호를 다음 상태 신호로서 바이 패스(bypass)시킨다.First, if the serial transmission data DATAIN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ssion channel is a synchronization signal,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shown in FIG. 19 matches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of the sync word.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tep 800). For example, when the serial transmission data DATAIN is a synchronization signal, a high level synchronization present signal DATA / SYNC is input from the outside. If the serial transmission data DATAIN is information data, a low level synchronization present signal DATA / SYNC is input from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is enabled only when the high level synchronization present signal DATA / SYNC is input. In addition,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bypasses the current state signal as the next state signal when the low level synchronization existence signal DATA / SYNC is input.

만일, 제1 상태 데이타(DD)가 동기 신호의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면, 제1 상태 데이타(DD)를 복원된 정보 데이타(DATAOUT)로서 결정한다(제860 단계).If the first state data DD coincides with a predetermined bit pattern of the synchronization signal, the first state data DD is determined as the restored information data DATAOUT (step 860).

그러나, 상태 및 선택 신호 발생부(740)는 제1 상태 데이타(DD)가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2 상태 데이타(DL)가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는가를 판단한다(제820단계). 만일, 제2 상태 데이타(DL)가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면, 제2 상태 데이타(DL)가 복원된 정보 데이타(DATAOUT)로서 결정된다(제870단계).However, if the first state data DD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the state and selection signal generator 740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state data DL matches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operation 820). . If the second state data DL matches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the second state data DL is determined as the restored information data DATAOUT (step 870).

한편, 제2 상태 데이타(DL)가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3 상태 데이타(DE)가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는가가 판단된다(제840단계). 만일, 제3 상태 데이타(DE)가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면, 제3 상태 데이타(DE)가 복원된 정보 데이타(DATAOUT)로서 결정된다(제880단계). 그러나, 제3 상태 데이타(DE)가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지 않으면, 제800 단계로 복귀된다. 또한, 제1, 제2 또는 제3 상태 데이타(DD, DL 또는 DE)가 복원된 정보 데이타로서 결정된 후에도 제1, 제2 또는 제3 상태 데이타(DD, DL 또는 DE)가 소정 비트 패턴과 일치하지 않게 되면 제800 단계로 진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second state data DL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third state data DE matches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step 840). If the third state data DE matches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the third state data DE is determined as the restored information data DATAOUT (step 880). However, if the third state data DE does not match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the process returns to operation 800. Further, even after the first, second or third state data DD, DL or DE is determined as recovered information data, the first, second or third state data DD, DL or DE matches the predetermined bit pattern. If no, the process proceeds to step 800.

결국, 직렬 전송 데이타(DATAIN)와 클럭 신호(CLK) 사이에 스큐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제1 상태 데이타(DD)가 복원된 정보 데이타로서 결정된다. 또한, 직렬 전송 데이타(DATAIN)와 클럭 신호(CLK) 사이에 ±1 비트 주기의 스큐가 존재하면, 제2 또는 제3 상태 데이타(DL 또는 DE)가 복원된 정보 데이타로서 결정된다.As a result, if there is no skew between the serial transmission data DATAIN and the clock signal CLK, the first state data DD is determined as the restored information data. Further, if there is a skew of ± 1 bit period between the serial transmission data DATAIN and the clock signal CLK, the second or third state data DL or DE is determined as recovered information data.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n=9 및 N=3이라 가정하였지만, n과 N을 가변시키면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직렬 전송 데이타(DATAIN)와 클럭 신호(CLK) 사이에 존재하는 ±2 비트 주기 이상의 스큐를 보상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it is assumed that n = 9 and N = 3. However, if n and N are varied,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has a ± present between the serial transmission data DATAIN and the clock signal CLK. Skew more than two bit periods may be compensated.

본 발명에 따르면, LCD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PC 사이의 데이타 전송을 광 전송으로 대체함으로써 고속의 데이타 전송이 수행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기적인 케이블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EMI 노이즈 또는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격을 상승시키지 않고도 장거리 전송이 수행 될 수 있으며, 고해상도급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간단히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생 소자에 의한 영향이 충분히 고려되어 회로가 설계됨으로써 입출력 신호가 매칭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igh-speed data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by replacing data transmission between a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monitor and a PC with optical transmission, but also the effects of EMI noise or interference that may be caused by electrical cables. The effect is that you can not receive. In addition, long distance transmiss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creasing the price, it can be easily applied to high-resolution display device.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put and output signals can be matched by designing the circuit with sufficient consideration of the influence of the parasitic elem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 신호와 정보 데이타가 멀티플렉싱되어 있는 직렬 전송 데이타가 송/수신될 때, 전송 채널에서 스큐가 발생하더라도 직렬 전송 데이타로부터 정보 데이타를 안정적으로 복원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erial transmission data in which synchronization signals and information data are multiplexed are transmitted / received, even if skew occurs in the transmission channel,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formation data can be stably recovered from the serial transmission data.

Claims (24)

외부에서 인가되는 비디오 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변환된 광 신호를 원래의 비디오 신호로 복원하는 광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In th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for converting the video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into an optical signal and transmitting, and restores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to the original video signal,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색 신호와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분리하고,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의 데이타 인에이블 신호 및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색 신호와 상기 수평/수직 동기 신호를 전송하는 비디오 제어기;A video controller separating the color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from the vide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color signal and the horizontal /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data enable signal and a clock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상기 비디오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들을 스큐 보상 및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신호를 구동 전류로 변환하는 송신 장치; A transmission device for skew compensation and compression of signals applied from the video controller and converting the compressed signal into a driving current; 상기 송신 장치에서 출력되는 상기 구동 전류를 광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광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용 광 다이오드;A transmission photodiode for converting the driving current output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into an opt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optical signal; 소정 수의 채널로 구성되어 상기 광 신호를 전송하는 광 전송로;An optical transmission path composed of a predetermined number of channels for transmitting the optical signal; 상기 광 전송로를 통하여 인가되는 광 신호를 전류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용 광 다이오드; 및A reception optical diode converting an optical signal applied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path into a current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current signal; And 상기 전류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압축 해제 및 스큐 보상하여 원래의 신호를 복원하는 수신 장치를 구비하며,Converting the current signal into a voltage and decompressing and skewing the converted signal to restore an original signal; 상기 송신 장치는, The transmitting device, 상기 외부에서 인가되는 클럭 신호에 동기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고, 데이타 전송을 위한 실제의 클럭 신호로서 상기 동기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A phase locked loop which generates a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externally applied clock signal and outputs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as an actual clock signal for data transmission; 데이타 전송의 기준이 되는 상기 동기된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비디오 제어기로부터 각 소정 비트로 표현되는 데이타를 다수의 채널 데이타로서 받아들이고, 상기 클럭 신호에 대하여 상기 채널 데이타 사이에서 발생되는 스큐를 보상하는 스큐 보상부;Skew compensation which receives data represented by each predetermined bit from the video controller as a plurality of channel data in response to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as a reference of data transmission, and compensates the skew generated between the channel data with respect to the clock signal. part; 상기 스큐 보상된 상기 각 채널 데이타들의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의 갯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카운팅된 정보를 직류 밸런스 정보로서 상기 각 채널 데이타에 부가하여 전송하는 스크램블러; A scrambler that counts the number of high and low levels of the skew-compensated respective channel data, and adds the counted information to each channel data as direct current balance information; 상기 동기된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스크램블된 채널 데이타를 압축하고, 상기 압축된 결과를 1비트 씩의 채널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데이타 직렬화부; 및A data serializer configured to compress the scrambled channel data in response to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and output the compressed result as channel data of one bit; And 상기 송신용 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압축된 채널 데이타 및 상기 클럭 신호를 각각 서로 다른 채널 데이타로 받아들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변환된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광학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시스템의 광 전송 시스템. And an optical driver for receiving the compressed channel data and the clock signal into different channel data, converting the compressed channel data into a current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current signal to drive the transmitting photodiode. Optical transmission system of optical transmission system.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드라이버는,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optical driver, 저항 값이 가변되는 바이어스 저항과 변조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바어어스 저항과, 상기 변조 저항 값의 변화에 의해 출력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바이어스 및 변조 저항 가변부;A bias and modulation resistance variable unit including a bias resistor and a modulation resistor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and varying the bias resistance and the amount of current output by the change of the modulation resistance value; 외부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밴드 갭 기준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 및 변조 저항에 의한 전류 변화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 또는 변조 전류를 가변시키는 밴드 갭 회로; 및A band gap circuit for setting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that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regardless of external changes, and varying a bias current or a modulation current by the set reference voltage and a change in current caused by the bias resistance and the modulation resistance; And 상기 각 채널 데이타를 받아들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밴드 갭 회로에서 발생되는 변조 전류와,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전류 신호와 더하여 외부 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로서 출력하는 레이저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시스템. And a laser driver which receives the respective channel data, converts it into a current signal, and outputs the modula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band gap circuit and the bias current with the current signal as a driving current for driving an external optical element. Light transmission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갭 회로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and gap circuit, 전압 설정의 기준이 되는 제1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보상하고, 상기 밴드 갭 기준 전압과 상기 변조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연산 증폭한 결과, 및 상기 밴드 갭 기준 전압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연산 증폭한 결과를 각각 제1출력 전압 및 제2출력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 Compensating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to be kept consta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which is a reference for setting the voltage, and calculating and amplify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and the modulation resistor, and the band gap.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result of the operation amplific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bias resistor as a first output voltage and a second output voltage, respectively; 상기 제1출력 전압 및 상기 제2출력 전압을 상기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로 피드백시켜 상기 제1, 제2출력 전압과, 상기 변조 저항 및 바이어스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변조 저항 또는 바이어스 저항 값에 의해 상기 변조 또는 바이어스 전류를 가변시키는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 및The first output voltage and the second output voltage are fed back to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to maintai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oltages and the voltages applied to the modulation resistors and the bias resistors, and the modulation resistors or A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configured to vary the modulation or bias current by a bias resistance value; And 외부에서 인가되는 파워 세이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들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와, 상기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를 슬립 모드로 변환시키는 파워 세이브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시스템. And one or more switches that are switched in response to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ave control signal, wherein the power save switch converts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and the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into a sleep mode by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es. And a control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는,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aser driver, 상기 채널 데이타를 비반전 신호와 반전 신호로 각각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결과를 비반전 출력 신호 및 반전 출력 신호로서 생성하는 데이타 분리부; 및A dat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channel data into non-inverted signals and inverted signals, respectively, and generating the separated results as non-inverted output signals and inverted output signals; And 상기 비반전 출력 신호 및 상기 반전 출력 신호의 전압 차를 구하여 상기 전압 차에 상응하는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류를 상기 바이어스 전류 및 상기 변조 전류와 더하여 상기 구동 전류로서 출력하는 전압/전류 변환 및 전류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시스템. A voltage / current conversion for obtain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non-inverted output signal and the inverted output signal to generate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current as the driving current in addition to the bias current and the modulation current. And a current driv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ceiving device, 상기 수신용 광 다이오드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 신호를 전압으로 변환하 고, 상기 변환된 전압으로부터 듀티 보상 및 레벨 변환하여 디지탈화된 신호를 각각의 채널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광학 수신기;An optical receiver for converting a current signal applied through the receiving photodiode into a voltage, and performing duty compensation and level conversion from the converted voltage to output a digitized signal as respective channel data; 상기 채널 데이타에 포함된 클럭 신호에 동기되는 클럭 신호를 발생시키고, 데이타 수신을 위한 실제의 클럭 신호로서 상기 동기된 클럭 신호를 출력하는 위상 동기 루프;A phase locked loop for generating a clock signal synchronized with the clock signal included in the channel data and outputting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as an actual clock signal for data reception;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 압축되어 전송되는 채널 데이타를 상기 동기된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해제하고, 상기 해제된 결과를 스큐 보상하여 소정 비트의 채널 데이타들로서 출력하는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 및 A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or releasing channel data compressed and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in response to the synchronized clock signal, skew-compensating the released result and outputting the channel data as a predetermined bit of channel data; And 상기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에서 출력되는 각 채널 데이타의 직류 밸런스 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채널 데이타의 로우 레벨과 하이 레벨의 균형이 맞도록 디스크램블링하는 디스크램블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시스템. And a descrambler configured to descramble a low level and a high level of the channel data in response to the DC balance information of each channel data output from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수신기는,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ptical receiver, 전원 전압으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공급받아 제1바이어스 전류 및 제2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회로; A bias circuit configured to receive a predetermined current from a power supply voltage to generate a first bias current and a second bias current; 상기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고, 상기 광 수신용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차동의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A current / voltage converter for sourcing a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nd converting a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receiving diode into a differential voltage signal; 상기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고, 상기 차동 전압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결과를 제1차동 출력 신호와 제2차동 출력 신호로서 생성하는 출력하는 증폭부;An amplifier for sourcing a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nd amplifying the differential voltage signal to generate the amplified result as a first differential output signal and a second differential output signal; 상기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며, 출력 전류가 서로 더해지는 전류 서밍(summing) 구조의 서로 다른 비교기들로 구현되고, 상기 제1차동 출력 신호와 제1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2차동 출력 신호와 제2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는 제1, 제2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듀티 보상부; Sourced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nd implemented with different comparators in a current summing structure in which output currents are added to each other, comparing the first differential output signal with a first reference voltage, A duty compensator for comparing first and second differential output signals with a second reference voltage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results; 상기 제2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며, 상기 듀티 보상부에서 출력되는 제1출력 신호와 제2출력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디지탈화하고, 상기 디지탈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변환부; 및A level converter for sourcing a current in response to the second bias current, converting and digitizing a voltage level of the first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duty compensator, and outputting the digitized signal; And 상기 레벨 변환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버퍼링 및 증폭하고, 상기 버퍼링된 결과를 상기 디지탈의 채널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버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 전송 시스템. And a buffer unit for buffering and amplify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evel converting unit, and outputting the buffered result as the channel data of the digital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수신기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optical receiver, 외부에서 인가되는 파워 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바이어스 회로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파워 다운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시스템. And a power dow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ias circuit not to operate in response to an externally applied power down control signa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복원 및 스큐 보상부는,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data recovery and skew compensation unit, 상기 광학 수신기로부터 직렬 전송되는 데이타를 소정의 제1 ∼ 제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에 응답하여 병렬로 n+N-1(여기서, N은 3이상의 양의 정수)비트 단위로 래치하고, 서로간에 상기 소정 오프셋의 시간차를 가지며 각각이 래치된 n 비트로 이루어진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출력하는 제1 래치부;The data transmitted serially from the optical receiver is latched in units of n + N−1 (where N is a positive integer of 3 or more) in parallel in response to predetermined first through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and A first latch unit having a time difference of the predetermined offset therebetween and outputting N state data each consisting of n bits latched; 상기 N개의 상태 데이타들을, 상기 제1 ∼ 제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중 타이밍 마진이 가장 큰 제X(1≤X≤n)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병렬로 래치하는 제2 래치부; 및A second latch unit configured to latch the N state data in parallel in response to an X (1 ≦ X ≦ n) non-overlapping clock signal having a largest timing margin among the first to n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s ; And 소정의 동기 존재 신호와 상기 제X 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 래치부에서 래치된 데이타들중 상기 동기 신호가 검출되는 상태 데이타를 복원된 상기 정보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동기화부를 구비하고,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synchronization existence signal and the X-th non-overlapping clock signal, a synchronization unit for outputting, as the information data, the state data in which the synchronization signal is detected among the data latched in the second latch unit; , 상기 제1~제n논 오버랩핑 클럭 신호들은 상기 위상 동기 루프에서 생성되어 서로가 겹치지 않도록 소정 오프셋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전송 시스템. And the first to nth non-overlapping overlapping clock signals have a predetermined offset such that they are generated in the phase locked loop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외부에서 인가되는 소정의 채널 데이타를 광 전송로를 통하여 광 신호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 장치(Transmitter)의 광학 드라이버에 있어서, In the optical driver of the transmitter (Transmitter)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channel data applied from the outside as an optical signal thr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path, 저항 값이 가변되는 바이어스 저항과 변조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바어어스 저항과, 상기 변조 저항 값의 변화에 의해 출력되는 전류량을 변화시키는 바이어스 및 변조 저항 가변부;A bias and modulation resistance variable unit including a bias resistor and a modulation resistor having a variable resistance value, and varying the bias resistance and the amount of current output by the change of the modulation resistance value; 외부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값으로 유지되는 밴드 갭 기준 전압을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기준 전압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 및 변조 저항에 의한 전류 변화에 의해 바이어스 전류 또는 변조 전류를 가변시키는 밴드 갭 회로; 및A band gap circuit for setting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that is always maintained at a constant value regardless of external changes, and varying a bias current or a modulation current by the set reference voltage and a change in current caused by the bias resistance and the modulation resistance; And 상기 각 채널 데이타를 받아들여 전류 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밴드 갭 회로에서 발생되는 변조 전류와, 상기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전류 신호와 더하여 외부 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전류로서 출력하는 레이저 드라이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드라이버. And a laser driver which receives the respective channel data, converts it into a current signal, and outputs the modulation current generated in the band gap circuit and the bias current with the current signal as a driving current for driving an external optical element. Optical driver,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 갭 회로는,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and gap circuit, 전압 설정의 기준이 되는 제1노드의 전압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1노드의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보상하고, 상기 밴드 갭 기준 전압과 상기 변조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연산 증폭한 결과, 및 상기 밴드 갭 기준 전압과 상기 바이어스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연산 증폭한 결과를 각각 제1출력 전압 및 제2출력 전압으로서 생성하는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 Compensating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to be kept constant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voltage of the first node, which is a reference for setting the voltage, and calculating and amplify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and the modulation resistor, and the band gap. A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configured to generate a result of the operation amplification of the reference voltage and the voltage applied to the bias resistor as a first output voltage and a second output voltage, respectively; 상기 제1출력 전압 및 상기 제2출력 전압을 상기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로 피드백시켜 상기 제1, 제2출력 전압과, 상기 변조 저항 및 바이어스 저항에 걸리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변조 저항 또는 바이어스 저항 값에 의해 상기 변조 전류 또는 바이어스 전류를 가변시키는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 및The first output voltage and the second output voltage are fed back to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to maintain the first and second output voltages and the voltages applied to the modulation resistors and the bias resistors, and the modulation resistors or A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configured to vary the modulation current or the bias current by a bias resistance value; And 외부에서 인가되는 파워 세이브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스위칭되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들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들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상기 밴드 갭 기준 전압 발생부와, 상기 바이어스 및 변조 전류 발생부를 슬립 모드로 변환시키는 파워 세이브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드라이버. And one or more switches that are switched in response to an externally applied power save control signal, wherein the power save switch converts the band gap reference voltage generator and the bias and modulation current generator into a sleep mode by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switches. An optical driver comprising a control uni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드라이버는,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aser driver, 상기 채널 데이타를 비반전 신호 및 반전 신호로 각각 분리하고, 상기 분리 된 결과를 비반전 출력 신호 및 반전 출력 신호로서 생성하는 데이타 분리부; 및A data separator for separating the channel data into non-inverted signals and inverted signals, respectively, and generating the separated results as non-inverted output signals and inverted output signals; And 상기 비반전 출력 신호 및 상기 반전 출력 신호의 전압 차를 구하여 상기 전압 차에 상응하는 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전류를 상기 바이어스 전류 및 상기 변조 전류와 더하여 상기 구동 전류로서 출력하는 전압/전류 변환 및 전류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드라이버.A voltage / current conversion for obtaining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the non-inverted output signal and the inverted output signal to generate a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difference,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current as the driving current in addition to the bias current and the modulation current. And a current driv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타 분리부는,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ata separator, 상기 비반전 출력 신호와 상기 반전 출력 신호가 동일한 지연 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드라이버. And the non-inverting output signal and the inverting output signal have the same delay time. 외부의 광 수신용 다이오드에서 전류 신호로 변환된 채널 데이타를 수신하여 디지탈의 신호로 복원하는 수신 장치의 광학 수신기에 있어서, An optical receiver of a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channel data converted into a current signal from an external optical receiving diode and restoring the digital signal to a digital signal. 전원 전압으로부터 소정의 전류를 공급받아 제1바이어스 전류 및 제2바이어스 전류를 생성하는 바이어스 회로;  A bias circuit configured to receive a predetermined current from a power supply voltage to generate a first bias current and a second bias current; 상기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고, 상기 광 수신용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차동의 전압 신호로 변환하는 전류/전압 변환부;A current / voltage converter for sourcing a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nd converting a current signal output from the light receiving diode into a differential voltage signal; 상기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고, 상기 차동 전압 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증폭된 결과를 제1차동 출력 신호와 제2차동 출력 신호로서 생성하는 출력하는 증폭부;An amplifier for sourcing a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nd amplifying the differential voltage signal to generate the amplified result as a first differential output signal and a second differential output signal; 상기 제1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며, 출력 전류가 서로 더해 지는 전류 서밍(summing) 구조의 서로 다른 비교기들로 구현되고, 상기 제1차동 출력 신호와 제1기준 전압을 비교하고, 상기 제2차동 출력 신호와 제2기준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는 제1, 제2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듀티 보상부; 및Source current in response to the first bias current, and are implemented with different comparators having a current summing structure in which output currents are added to each other, comparing the first differential output signal with a first reference voltage, A duty compensator configured to compare the second differential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reference voltage to generate first and second output signals corresponding to the compared result; And 상기 제2바이어스 전류에 응답하여 전류를 소싱하며, 상기 듀티 보상부에서 출력되는 제1출력 신호와 제2출력 신호의 전압 레벨을 변환하여 디지탈화하고, 상기 디지탈화된 신호를 출력하는 레벨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광학 수신기. Source level in response to the second bias current, and converting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output signal and the second output signal output from the duty compensator to digitalize and output the digitalized signal; Optical receiver characterized in tha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수신기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ptical receiver, 상기 레벨 변환부에서 출력된 신호를 버퍼링 및 증폭하고, 상기 버퍼링된 결과를 디지탈의 채널 데이타로서 출력하는 버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수신기. And a buffer unit for buffering and amplify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level converting unit and outputting the buffered result as digital channel data.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수신기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ptical receiver, 외부에서 인가되는 파워 다운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바이어스 회로가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파워 다운 제어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수신기. And a power down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bias circuit not to operate in response to an externally applied power down control signa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듀티 보상부는,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duty compensator, 상기 제1차동 출력 신호를 적분하여 제1기준 전압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차동 출력 신호를 적분하여 제2기준 전압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수신기. Integrating the first differential output signal to a first reference voltage and integrating the second differential output signal to a second reference voltag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부는,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buffer unit, 직렬 연결된 다수의 인버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버터들을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의 사이즈는 2K(여기에서, K는 0 이상의 자연수) 배수로 점차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수신기. And a plurality of inverters connected in series, wherein the size of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inverters is gradually increased in multiples of 2K, where K is a natural number greater than zero.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19990049951A 1999-09-21 1999-11-11 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Transmitter and Receiver Expired - Fee Related KR100604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666,218 US7209178B1 (en) 1999-09-21 2000-09-21 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0649 1999-09-21
KR19990040649 1999-09-2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991A Division KR100688593B1 (en) 1999-09-21 2006-06-09 Data Restoration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s and Data Restoration Method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411A KR20010029411A (en) 2001-04-06
KR100604792B1 true KR100604792B1 (en) 2006-07-26

Family

ID=196124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95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4792B1 (en) 1999-09-21 1999-11-11 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Transmitter and Receiver
KR10200600519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593B1 (en) 1999-09-21 2006-06-09 Data Restoration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s and Data Restoration Method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19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688593B1 (en) 1999-09-21 2006-06-09 Data Restoration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s and Data Restoration Method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60479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3796A (en) * 2001-08-09 2003-02-15 신현태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data by using light
KR101853736B1 (en) * 2011-09-22 2018-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Display apparatus
KR101671018B1 (en) 2015-04-22 2016-10-31 (주)이즈미디어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skew compensatoin
KR101853441B1 (en) 2016-09-23 2018-05-02 재단법인 실감교류인체감응솔루션연구단 Client device and local clock skew compensation method thereof
KR101881330B1 (en) * 2017-02-21 2018-07-24 (주)에이디테크놀로지 Data Buffer Capable of Compensating Data Skew on Common Data Bus and Buffering Method thereof
KR101881329B1 (en) * 2017-04-14 2018-07-24 (주)에이디테크놀로지 Data Buffer Capable of Compensating Data Skew on Common Data Bus and Buffering Method thereof
KR102022795B1 (en) * 2018-05-04 2019-09-18 (주)이즈미디어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data start point automatically
KR102800001B1 (en) * 2022-06-13 2025-04-28 주식회사 피델릭스 Data serializer for decreasing data duty skew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827A (en) * 1989-09-06 1992-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fibre communication link for connecting a peripheral device to a computer system
JPH10177437A (en) * 1996-12-16 1998-06-30 Sharp Corp Photoelectric complex link-type terminal and photoelectric complex link-type terminal system
KR19990048668A (en) * 1997-12-10 1999-07-05 윤종용 Computer signal transmitter
KR20010010135A (en) * 1999-07-16 2001-02-05 정진택 Cable for connecting computer and monitor
KR20010010136A (en) * 1999-07-16 2001-02-05 정진택 Cable assembly
KR20010010137A (en) * 1999-07-16 2001-02-05 정진택 Cable assembly transmitting data between computer and monito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827A (en) * 1989-09-06 1992-07-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ptical fibre communication link for connecting a peripheral device to a computer system
JPH10177437A (en) * 1996-12-16 1998-06-30 Sharp Corp Photoelectric complex link-type terminal and photoelectric complex link-type terminal system
KR19990048668A (en) * 1997-12-10 1999-07-05 윤종용 Computer signal transmitter
KR20010010135A (en) * 1999-07-16 2001-02-05 정진택 Cable for connecting computer and monitor
KR20010010136A (en) * 1999-07-16 2001-02-05 정진택 Cable assembly
KR20010010137A (en) * 1999-07-16 2001-02-05 정진택 Cable assembly transmitting data between computer and mon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3391A (en) 2006-07-20
KR20010029411A (en) 2001-04-06
KR100688593B1 (en)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593B1 (en) Data Restoration and Skew Compensation Circuits and Data Restoration Methods
US7228116B2 (en) Combined transmitter
US11430382B2 (en) Light-emitting diode driving apparatus and light-emitting diode driver
US6836149B2 (en) Versatile RSDS-LVDS-miniLVDS-BLVDS differential signal interface circuit
JP43350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line loss via a digital visual interface (DVI) link
US9455713B1 (en) Split resistor source-series terminated driver
US6560290B2 (en) CMOS driver and on-chip termination for gigabaud speed data communication
US7741880B2 (en) Data receiver and data receiving method
JP4816152B2 (en) Receiver circuit, differential signal receiver circuit, interface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20040246613A1 (en) Voltage mode current-assisted pre-emphasis driver
US10454580B2 (en) Threshold adjustment compensation of asymmetrical optical noise
US7176709B2 (en) Receiving device
US201900567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ock Signal Distribution
US7209178B1 (en) Optical transfer system hav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KR20220064032A (en) Display device, driving circuit and method for driving it
US8786321B2 (en) Power harvesting in open drain transmitters
US7256624B2 (en) Combined output driver
US8054303B2 (en) Transmitter and receiver capable of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nd signal lines for data transfer
KR20040081156A (en) Digital video processing devices
KR101621844B1 (en) Low voltage differentail signal transmitter
KR20220114056A (en) Duty cycle correction circuit and its application
WO2018070261A1 (en) Driver circuit,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CN102819999B (en) Multifunctional transmitter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KR100863127B1 (en) Differential Current Drive Data Transmission System
US9647699B1 (en) Dual supply voltage power harvesting in an open drain transmitter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1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08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1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6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