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4520B1 - 카메라 폰 - Google Patents

카메라 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520B1
KR100604520B1 KR1020040020135A KR20040020135A KR100604520B1 KR 100604520 B1 KR100604520 B1 KR 100604520B1 KR 1020040020135 A KR1020040020135 A KR 1020040020135A KR 20040020135 A KR20040020135 A KR 20040020135A KR 100604520 B1 KR100604520 B1 KR 100604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emergency
electronic shutter
camera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4699A (ko
Inventor
허종범
배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0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52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4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4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04M1/7242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with automatic activation of emergency service functions, e.g. upon sensing an ala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geographic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셔터의 노출 시간을 다르게 하여 다수의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폰과 그 폰에서의 피사체 촬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카메라 폰은 입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전자 셔터를 포함하며 그 전자 셔터를 통해 입사되는 빛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CCD 촬영부를 기본 구성으로 포함하되,
상기 전자 셔터의 노출 시간을 다르게 하여 피사체를 반복 촬상하는 카메라 제어부와;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반복 촬상된 영상신호를 각각 표시 가능한 영상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촬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촬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그 기록 영상중 임계치 이상의 휘도레벨을 가지는 영상을 독출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의해 독출된 영상을 표시 포맷에 맞게 사이즈 조절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노출 보정, 긴급상황, 휘도.

Description

카메라 폰{CAMERA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폰의 일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촬영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촬영방법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카메라 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셔터의 노출 시간을 다르게 하여 다수의 영상 촬영이 가능한 카메라 폰에 관한 것이다.
일명 카메라 폰으로 불리우고 있는 휴대폰은 음성통화, 무선 인터넷 접속 기능 이외에 디지털 카메라의 기능이 추가된 이동 통신 단말기로서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폰은 초기에 단순히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야간 및 어두운 환경에서 촬영된 영상을 식별할 수 없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카메라 폰이 소개되기에 이르렀다.
대표적인 것이 바로 조도감지센서를 내장한 카메라 폰이다. 이러한 카메라 폰은 주위 조도에 따라 전자 셔터의 노출 시간을 자동 조절하여 피사체를 촬영한다. 따라서 어두운 곳에서 피사체를 촬영하더라도 초기 모델 보다는 밝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 하나의 예로서 적외선 카메라를 추가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폰이다. 이 역시 적외선 카메라를 사용하는 관계로 어두운 곳에서도 밝은 영상 화면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예시한 카메라 폰들은 납치와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에 그 주변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한다는 측면에서 유용성을 갖는다.
그러나 예시한 두 가지의 카메라 폰은 일반 카메라 폰과 대비하여 볼 때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 즉 조도감지센서 혹은 적외선 카메라를 구비해야 하는 관계로 그에 따른 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도감지센서의 구비 없이 어두운 곳에서도 밝은 영상의 피사체 화면을 얻을 수 있는 카메라 폰을 제공함에 있으며,
더 나아가 긴급상황 발생시에도 피아식별 가능한 밝은 영상의 피사체 화면을 획득하여 무선 전파할 수 있는 카메라 폰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폰은 기본적으로, 입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전자 셔터를 포함하며 그 전자 셔터를 통해 입사되는 빛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CCD 촬영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자 셔터의 노출 시간을 다르게 하여 피사체를 반복 촬상하는 카메라 제어부와;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반복 촬상된 영상신호를 각각 표시 가능한 영상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촬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촬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그 기록 영상중 임계치 이상의 휘도레벨을 가지는 영상을 독출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의해 독출된 영상을 표시 포맷에 맞게 사이즈 조절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긴급상황 전파명령을 수신 받기 위한 긴급상황 전파 수신부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의해 독출된 영상을 긴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지정 단말기로 무선 송출하는 긴급상황 무선 송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사진 촬영시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얻어진 복수개의 피사체 영상중 휘도 레벨이 높은 영상만이 자동 선택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설령 어두운 곳에서 촬영을 하더라도 보다 밝은 촬영 화면을 얻을 수 있으며, 화면 밝기 조절을 위한 별도 키 조작 없이도 자동 밝기 조절된 것과 같은 영상화면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폰의 일부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폰은 CCD 촬영부(10), 촬상신호 처리부(20), 메모리 제어부(30), 메모리(40), 긴급상황 무선 송출부(50), 긴급상황 전파 수신부(60), 카메라 제어부(70) 및 표시부(80)를 포함하며,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GPS 수신부(90)를 추가 포함한다.
CCD 촬영부(10)는 입사되는 영상을 소정의 크기로 변환하는 촬영 렌즈(12)와, 상기 촬영 렌즈(12)에 의해 크기 변환된 광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CCD 촬상소자(16)와, 후술하는 카메라 제어부(70)에 의해 셔터 스피드가 제어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입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게 되는 전자 셔터(14)를 포함한다.
촬상신호 처리부(20)는 상기 CCD 촬영부(1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형태의 촬상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를 표시 가능한 영상신호(Y,U,V)로 처리하여 출력한다.
메모리 제어부(30)는 일반 사진촬영모드 혹은 긴급상황 전파모드에서 상기 촬상신호 처리부(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메모리(40) 지정영역에 기록하고, 그 기록 영상중 임계치 이상의 휘도레벨을 가지는 영상을 독출하여 후술할 긴급상 황 무선 송출부(50) 혹은(및) 표시부(80)로 출력하여 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메모리(40)의 지정영역에 기록되는 영상은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반복 촬상된 각각의 영상을 일컫는다.
상기 메모리 제어부(30)는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반복 촬상된 각 영상의 동일 위치 화소들에 대하여 그 화소의 휘도 레벨을 미리 등록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하나의 영상을 독출한다. 일반적으로 얼굴 영상이 화면 중앙에 오도록 유도하면서 촬영하는 바, 휘도 레벨 비교하기 위한 화소의 위치는 촬상 영상중 중앙의 화소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참고적으로 등록된 임계치 이상의 휘도 레벨을 가지는 영상이 복수개 검출된다면 그중 가장 밝은 휘도를 가지는 영상이 독출되도록 프로그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긴급상황 무선 송출부(50)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30)에 의해 독출된 영상을 긴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지정 단말기로 무선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긴급상황 무선 송출부(50)는 일반적인 카메라 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폰 제어부와 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블록이다. 상기 지정 단말기는 방제센터의 컴퓨터 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이동 통신 단말기일 수도 있다. 지정 단말기의 식별정보와 긴급상황 메시지는 폰 제어부에서 관장하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관리된다.
긴급상황 전파 수신부(60)는 긴급상황 전파명령 혹은 카메라 촬영명령을 수신 받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폰의 일반 키패드 혹은 폰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특수 키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긴급상황 전파명령을 수신 받아 후술할 카메라 제어 부(70)로 전달하여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카메라 제어부(70)는 상기 긴급상황 전파 수신부(60)를 통해 긴급상황 전파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전자 셔터(14)의 노출 시간을 다르게 하여 피사체를 반복 촬상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카메라 제어부(70)는 서로 다른 노출 시간값이 등록되어 있는 테이블을 구비한다.
표시부(80)는 상기 메모리 제어부(30)에 의해 독출된 영상을 LCD와 같은 표시장치의 표시 포맷에 맞게 사이즈 조절하여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표시부(80)는 예를 든 LCD와 비디오 인코더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카메라 폰에서의 피사체 촬영방법을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촬영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사체 촬영방법에 의해 획득한 영상을 이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폰에 장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찍고자 하는 사용자가 촬영명령을 내리면 이는 긴급상황 전파 수신부(60)를 통해 카메라 제어부(70)로 인가된다. 이에 카메라 제어부(70)는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자 셔터의 스피드를 다르게 하여 피사체를 반복 촬상(110단계)한다.
피사체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영상신호는 촬상신호 처리부(20)에서 신호 처리되어 메모리 제어부(30)에 인가됨으로서, 메모리 제어부(30)는 상기 반복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필드 단위의 영상신호 각각을 메모리(40)의 지정 영역에 저장(120단 계)한다. 상기 지정 영역은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반복 촬상되는 영상을 각기 저장하기 위한 영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분류된 지정 영역에 각각의 영상이 저장 완료되면 메모리 제어부(30)는 각 저장영상의 휘도레벨을 검출(130단계)한다. 위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휘도레벨 검출되는 화소의 위치는 각 영상의 중심에 위치하는 화소이다.
각 저장영상의 휘도레벨을 검출한 메모리 제어부(30)는 이후 검출된 휘도 레벨을 임계치와 비교(140단계)하고, 임계치 이상의 휘도레벨을 가지는 영상을 독출(150단계)하여 표시부(80)로 인가해 줌으로서 독출 영상이 표시(160단계)되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상기 임계치는 영상의 피아식별이 가능한 휘소 레벨값을 갖아야 하며, 만약 두 개 이상의 영상에서 추출된 휘도 레벨값이 상기 임계치를 모두 초과하면 그중 밝은 값을 가지는 영상이 선택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단순히 피사체를 찍는 경우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촬상된 다수의 화면중 밝은 화면만이 선택되어 표시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휘도 조절을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피아식별 가능한 밝은 영상화면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조도감지센서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도 노출 자동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긴급상황시 자신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전송하는 경우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긴급상황을 전파하고자 하는 자가 폰에 장착된 긴급상황 전파키를 누르 면 이는 긴급상황 전파 수신부(60)를 통해 카메라 제어부(70)로 인가된다. 이에 카메라 제어부(70)는 내부 메모리에 등록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전자 셔터의 스피드를 다르게 하여 피사체를 반복 촬상(210단계)한다.
피사체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영상신호는 촬상신호 처리부(20)에서 신호 처리되어 메모리 제어부(30)에 인가됨으로서, 메모리 제어부(30)는 상기 반복 촬상에 의해 얻어지는 필드 단위의 영상신호 각각을 메모리(40)의 지정 영역에 저장(220단계)한다.
각 영상이 지정 영역에 저장 완료되면 메모리 제어부(30)는 각 저장영상의 휘도 레벨을 검출(230단계)하고 검출된 휘도 레벨을 임계치와 비교(240단계)한다. 만약 휘도 레벨이 임계치 이상의 값을 가지면 그 화소가 포함된 영상을 독출(250단계)하여 긴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지정 단말기(방재센터의 단말기 혹은 지정된 통신 단말기 등)로 무선 송출(260단계)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납치 등에 의해 어두운 실내에 단말기 사용자가 감금되어 있을 경우,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촬상된 다수의 화면중 밝은 화면을 긴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방재센터로 전송하여 주기 때문에, 방재센터 등에서는 보다 밝은 화면을 통해 피감금자를 식별할 수 있음은 물론, 피감금자의 현재 상태를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언급하지 않았지만 긴급상황 전파시 GPS 수신부(90)를 통해 획득한 위치정보를 함께 전송하여 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지정된 화소 지점의 휘도 레벨을 추출하여 임계치와 비교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전체 영상의 휘도 레벨 평균치를 임계치와 비교하는 방법을 통해 밝은 영상화면을 선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순히 피사체를 찍는 경우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촬상된 다수의 화면중 밝은 화면만을 선택하여 표시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휘도 조절을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피아식별 가능한 밝은 영상화면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조도감지센서와 같은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 없이도 노출 자동 보정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두운 환경속에서도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피사체를 반복 촬상하고 그중 밝은 화면만을 긴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방재센터로 전송하여 주기 때문에, 긴급상황 전파자의 피아식별이 용이함은 물론 그 상황 전파자의 상황을 보다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유용성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입사되는 빛의 광량을 조절하는 전자 셔터를 포함하며 그 전자 셔터를 통해 입사되는 빛에 의해 촬상되는 피사체의 영상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CCD 촬영부를 구비하는 카메라 폰에 있어서,
    촬영명령을 수신받기 위한 긴급상황 전파 수신부와;
    상기 명령에 따라 전자 셔터의 노출 시간을 다르게 하여 피사체를 반복 촬상하는 카메라 제어부와;
    노출 시간을 달리하여 반복 촬상된 영상신호를 각각 표시 가능한 영상신호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촬상신호 처리부와;
    상기 촬상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영상신호를 메모리에 기록하고, 그 기록 영상중 임계치 이상의 휘도레벨을 가지는 영상을 독출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와;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의해 독출된 영상을 표시 포맷에 맞게 사이즈 조절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전파 수신부로부터 긴급상황 전파명령이 수신될 경우 상기 메모리 제어부에 의해 독출된 영상을 긴급상황 메시지와 함께 지정 단말기로 무선 송출하는 긴급상황 무선 송출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메시지에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추가 전송하기 위한 GPS 수신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상황 전파 가능한 카메라 폰.
KR1020040020135A 2004-03-24 2004-03-24 카메라 폰 KR100604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135A KR100604520B1 (ko) 2004-03-24 2004-03-24 카메라 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135A KR100604520B1 (ko) 2004-03-24 2004-03-24 카메라 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99A KR20050094699A (ko) 2005-09-28
KR100604520B1 true KR100604520B1 (ko) 2006-07-24

Family

ID=37275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135A KR100604520B1 (ko) 2004-03-24 2004-03-24 카메라 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383B1 (ko) * 2004-10-01 2007-04-1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디지탈 촬상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 및 디지탈 찰영방법
KR101616469B1 (ko) 2015-05-22 2016-04-28 진호권 긴급구조용 휴대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구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4699A (ko) 2005-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452B1 (ko) 휴대 단말 및 그 통지 방법
JP5730439B2 (ja) 画像表示装置、撮影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6171116B2 (ja) 撮像装置、フリッカ検出方法、及びフリッカ検出プログラム
WO2020158070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57678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backlight in a mobile terminal with a camera
KR100663455B1 (ko) 주변 조도에 따른 영상 표시장치 및 방법.
EP392694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aptured preview image, and medium
JP2021192544A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0604520B1 (ko) 카메라 폰
JP2001320454A (ja) カメラ付き携帯電話機
JP398851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5191960A (ja) 撮像装置、同期撮影支援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042805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KR100600991B1 (ko) 플래시 자동 제어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방법
JP4031343B2 (ja) 撮影システムおよび撮影方法
KR100602722B1 (ko) 플래시 광량 자동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JP2006246383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撮影システム
JP5891391B2 (ja) 撮像装置
KR100613567B1 (ko) 플래시 적정노출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2000078545A (ja) テレビ電話装置
JP2001145097A (ja) 介護用カメラ装置
JP2003234932A (ja) パトローネ型撮像装置
JP2001045358A (ja) 撮像装置
JP2006279793A (ja) カメラ用クレードル及び撮影システム
CN112752010A (zh) 一种拍摄方法、装置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7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