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2945B1 -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945B1
KR100602945B1 KR1020040032076A KR20040032076A KR100602945B1 KR 100602945 B1 KR100602945 B1 KR 100602945B1 KR 1020040032076 A KR1020040032076 A KR 1020040032076A KR 20040032076 A KR20040032076 A KR 20040032076A KR 100602945 B1 KR100602945 B1 KR 10060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adhesive
film
double
sided ta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6972A (ko
Inventor
홍광은
Original Assignee
홍광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광은 filed Critical 홍광은
Priority to KR1020040032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945B1/ko
Publication of KR2005010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94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2Devices or implements resting on the floor for removing mud, dirt, or dust from footwear
    • A47L23/26Mats or gratings combined with brushes ; Mats
    • A47L23/266Mat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권취되어 있는 양면테이프용 필름의 일면에 제 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접착층을 소정 간격의 비접착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벗겨 내는 단계와, 상기 비접착 라인이 형성된 제 1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양면테이프용 필름과 상하 양면이 비접착면으로 된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양면테이프용 필름의 반대측 일면에 제 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접착층이 상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복수의 적층 시트의 최하부를 향하게 하여 복수의 적층시트에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트, 먼지

Description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A cleaning mat manufacturing method}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매트를 바닥에 부착한 후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공정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먼지제거용 매트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먼지제거용 매트로서 복수의 접착 필름을 적층 형성한 매트가 제안되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이 접착면으로 된 다수의 필름 을 층상 적층하고 적층된 최상부에는 상하 비접착면으로 된 필름을 적층하고 최하부에는 양면이 접착면으로 된 필름을 적층한 구조의 먼지제거용 매트(10)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매트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상에서 볼 때에는 하나의 매트로 보인다. 그런데 이러한 매트는 복수의 필름이 다수 적층되어 있으며 이들 필름은 한 장 한 장 뜯어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매트의 최하면에는 양면이 비접착면으로 된 필름이 존재하는데 이를 제거하면 그 다음의 필름은 양면이 접착면으로 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 필름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양면 테이프 필름의 하면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도 1a 와 같은 매트를 원하는 장소의 바닥에 부착하고 최상부의 상하 비접착면으로 된 필름(12)을 제거하여 상부면에만 접착층이 형성된 복수의 적층시트(14) 구조가 노출되게 하여 이러한 적층시트(14)을 이용하여 매트를 밟고 이동하는 동안에 신발 바닥 등의 먼지가 제거되게 하는 것이다. 나아가 상부면이 접착면으로 된 필름이 다수 적층되어 있으므로 상부면의 접착력이 약해지면 필름을 하나씩 제거하여 다시 그 밑의 적층시트 필름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먼지를 제거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먼지제거용 매트는 바닥에 부착되는 양면 테이프 필름의 하부면 전체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바닥에 밀착하여 부착하는 동안에 공기가 바닥과 매트 사이에 갇히게 된다. 그러면 매트의 상측에는 갇힌 공기로 인하여 돌출된 부위가 생기게 되며 전체적으로 봤을 때 매트 표면에 현저한 굴곡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 상측으로 불규칙한 올록 볼록한 무늬가 형성되게 되어 미관을 현저하게 해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여 바닥과의 사이에서 기포가 갇히지 않도록 공기 통로를 형성한 먼지제거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과의 사이에 기포가 갇히지 않음으로써 바닥에 전면이 밀착 가능한 먼지제거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과의 사이에 기포가 갇히지 않음으로써 불규칙한 기포 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외관이 미려한 먼지제거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권취되어 있는 양면테이프용 필름의 일면에 제 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접착층을 소정 간격의 비접착 라인을 형성하기 위해 벗겨 내는 단계와, 상기 비접착 라인이 형성된 제 1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양면테이프용 필름과 상하 양면이 비접착면으로 된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양면테이프용 필름의 반대측 일면에 제 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접착층이 상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복수의 적층 시트의 최하부를 향하게 하여 복수의 적층시트에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필름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매트의 형상을 갖고 있다. 도 3b는 실시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복수의 적층시트의 상부면에는 양면 모두 비접착면으로 되어 있는 필름(30)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생산 및 유통 경로에 있어 매트가 포장지 등의 외부 물질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필름(30)의 아래쪽에는 복수 매의 시트로 구성된 복수의 적층시트(32)가 적층되어 있는데 각각의 상부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를 통해 그 위쪽의 적층시트와 접착되어 있다. 한편 도 3b에 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복수의 적층시트(32)의 적층 구조의 최하부에는 상하 양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양면 테이프 필름이 적층되어 있다. 양면테이프 필름의 하부면에도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이유는 이를 통해 본 매트를 바닥에 부착하기 위함이다. 양면테이프 필름의 하측에도 상하 양면에 모두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비접착 필름이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또한 생산 및 유통 과정의 편의를 위해서이며 나아가 바닥에 접착되는 양면 테이프 필름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접착층의 접착력을 보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각각의 필름은 시중에서 통상 비닐로 통칭되는 얇은 두께의 합성수지재를 의미하는데 부직포 등도 배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양면 테이프 필름의 하부면에는 접착층이 제거된 복수의 라인 즉 복수의 비접착 라인이 형성된다. 도 4는 양면테이프 필름을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 필름의 하부면에는 전체에 고르게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접착층이 존재하는 영역(42)과 접착층이 제거된 비접착 라인(40)이 번갈아 가면서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층의 너비는 0.7 내지 1.5 ㎝, 비접착라인의 너비는 0.2 내지 0.3 ㎝ 정도로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복수의 적층시트(52)의 상측에는 상하 비접착면으로 형 성된 필름(50)이 적층되고, 복수의 적층시트의 최하부에에는 상하 양면에 접착층(55, 56)이 형성된 양면 테이프 필름(54)이 적층되고, 양면 테이프 필름(54)의 하측에는 상하 비접착면으로 형성된 비접착 필름(58)이 적층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양면 테이프 필름(54)의 하부면에 형성된 접착층(56)에는 접착물질이 제거된 복수의 라인(60)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먼지제거용 매트를 바닥에 부착할 때 비접착 필름(58)을 제거하고 접착층(56)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바닥에 부착한다. 그러면 바닥과 매트의 사이에는 접착층(56)라인에 의하여 접착되는 동시에 접착층 라인의 사이 사이에 비접착 라인(60)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부착시 매트와 바닥사이에 갇히게 될 공기가 비접착 라인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므로 매트와 바닥 사이에 공기가 갇히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갇힌 공기로 인하여 매트 표면에 볼록하게 형성되는 도 2의 무늬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매트는 양면 테이프용 필름의 일면에 접착층(56)을 형성하고 접착층(56)의 일부를 스크래칭(scratching)하여 제거함으로써 복수의 비접착라인(60)을 형성하고 접착층(56)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상하 양면이 비접착면으로 된 비접착 필름(58)과 합지하고, 다시 양면 테이프용 필름의 반대쪽 면 전체에 접착층(55)을 형성한 후 이를 상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복수의 적층시트의 하부면에 합지함으로써 완성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의 매트는 일측의 접착층에는 비접착 라인이 형성되어 상하 양면이 비접착면으로 된 필름과 합지되어 있고 타 일면에는 접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양면테이프 필름과 각각의 필름 시트의 상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복수의 적층시트를 각각 제조하여 이를 합지하여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매트 제조에 사용되는 양면 테이프 필름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권취되어 있는 양면테이프용 필름(60)을 롤러(62)를 통해 일면에 접착액(64)을 도포하여 제 1 접착층을 형성하고 제 1 접착층을 일정 간격의 라인으로 제거하여 소정 간격으로 비접착 라인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70)에 복수의 스크래칭 부재(72)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결합되어 형성된 장치를 여 제 1 접착층에 접촉시킨 후 일단에서 타 일단까지 접착층을 긁어 벗겨냄으로써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비접착라인을 형성한다. 그 후 비접착라인이 형성된 제 1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양면 테이프 필름(60)과 상하 양면이 비접착면으로 된 비접착 필름(66)을 합지시킨다. 그 후 양면 테이프 필름의 반대측 일면에도 접착액(68)을 도포하여 제 2 접착층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양면테이프 필름을 제 2 접착층의 접착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적층 시트의 최하부에 합지함으로써 매트가 완성된다.
복수의 적층시트는 필름의 일면에 접착층을 형성하고 이를 거대한 권취 틀을 통해 복수매 권취함으로써 제조되는데 이는 종래의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먼지제거용 매트와 바닥의 사이에 공기가 갇히지 않도록 공기 통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양면테이프 필름의 하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한 복수의 비접착 라인을 형성하여, 매트를 바닥에 밀착되게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매트 표면에 불규칙적인 기포 무늬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권취되어 있는 양면테이프용 필름의 일면에 제 1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접착층을 소정 간격으로 벗겨 내어 복수의 비접착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접착 라인이 형성된 제 1 접착층의 접착력에 의해 상기 양면테이프용 필름과 상하 양면이 비접착면으로 된 비접착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와,
    상기 양면 테이프용 필름의 반대측 일면에 제 2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접착층이 상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복수의 적층 시트의 최하부를 향하게 하여 상기 양면 테이프용 필름과 복수의 적층시트를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
KR1020040032076A 2004-05-07 2004-05-07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60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076A KR100602945B1 (ko) 2004-05-07 2004-05-07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076A KR100602945B1 (ko) 2004-05-07 2004-05-07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972A KR20050106972A (ko) 2005-11-11
KR100602945B1 true KR100602945B1 (ko) 2006-07-19

Family

ID=37283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0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2945B1 (ko) 2004-05-07 2004-05-07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94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765U (ko) * 1978-12-18 1980-06-19
JPS5874475U (ja) * 1981-11-11 1983-05-1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除じんシ−ト積層体
KR900008494U (ko) * 1988-10-10 1990-05-03 삼보화학 주식회사 신발 바닥의 먼지 제거 적층 점착판
KR20040110910A (ko) * 2003-06-21 2004-12-31 주)한크린 접착면이 바깥으로 형성된 크리닝 테이프 및 그것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8765U (ko) * 1978-12-18 1980-06-19
JPS5874475U (ja) * 1981-11-11 1983-05-1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除じんシ−ト積層体
KR900008494U (ko) * 1988-10-10 1990-05-03 삼보화학 주식회사 신발 바닥의 먼지 제거 적층 점착판
KR20040110910A (ko) * 2003-06-21 2004-12-31 주)한크린 접착면이 바깥으로 형성된 크리닝 테이프 및 그것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6972A (ko) 2005-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54144A (ja) 粘着加工シート及び粘着剤付剥離紙
KR100602945B1 (ko) 먼지제거용 매트 제조방법
HU226505B1 (en) Self-adhesive film
JP2979213B2 (ja) 粘着施工用内装材
JP4025145B2 (ja) 縁材
JP6514878B2 (ja) タイルシート及び該タイル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9167368A (ja) 接着シート
JP3548931B2 (ja) 粘着式シートの製造方法
JPH0972081A (ja) ロール状巾木材とその製造方法
JP3517149B2 (ja) 薄畳の敷設構造及びその方法
JP5802467B2 (ja) 階段被覆材及び階段被覆工法
JPH09209546A (ja) タイルユニツ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095568B2 (ja) 外壁ボード継目処理材
JPS60234803A (ja) 化粧材の製造方法
JP2003286769A (ja) 床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4399201B2 (ja) 貼布用シート及び貼布方法
JPH10169148A (ja) コーナ部材及びそれの製造方法
JP3391760B2 (ja) 薄畳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3176495A (ja) ガラス防災保護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1094B2 (ja) 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JP2003328536A (ja) タイルユニッ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タイルユニット用粘着シート
JP3658455B2 (ja) 建物内の施工方法
JPS6132978Y2 (ko)
JPH0111772Y2 (ko)
JP2004003379A (ja) 薄畳の敷設構造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7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