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937B1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Google Patents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2937B1 KR100602937B1 KR1020030101068A KR20030101068A KR100602937B1 KR 100602937 B1 KR100602937 B1 KR 100602937B1 KR 1020030101068 A KR1020030101068 A KR 1020030101068A KR 20030101068 A KR20030101068 A KR 20030101068A KR 100602937 B1 KR100602937 B1 KR 1006029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ing
- manufacturing
- floating gate
- memory device
- nonvolatile memo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41/0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 H10B41/30—Electrically erasable-and-programmable ROM [EEPROM] devices comprising floating gates characterised by the memory core region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223—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having source and drain regions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self-aligned to sides of the gate
- H10D30/0227—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having source and drain regions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self-aligned to sides of the gate having both lightly-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regions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doped drain [LDD] MOSFET or double-diffused drain [DDD] MOSFET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30/00—Field-effect transistors [FET]
- H10D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30/02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 H10D30/0411—Manufacture or treatment of FETs having insulated gates [IGFET] of FETs having floating gates
Landscapes
- Non-Volatile Memo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SAS 공정이나 SA-STI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최소의 면적을 가지면서 제조공정이 종래의 플로팅 게이트 소자를 사용하는 NOR 플래시 셀보다 훨씬 간단하여 제조 단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적층 산화막 노어 플래시 셀을 구현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NOR flash cell in which a manufacturing process uses a conventional floating gate device while having a minimum area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SAS process or a SA-STI proces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 stacked oxide NOR flash cell, which is much simpler and can effectively reduce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 실리콘, 버퍼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 산화막, 제1플로팅 게이트를 열 방향으로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제1플로팅 게이트의 측벽에 제1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에 제1실리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제1플로팅 게이트 사이를 갭필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ONO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폴리 실리콘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콘트롤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플로팅 게이트, 제2플로팅 게이트 및 콘트롤 게이트의 측벽에 제2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롤 게이트에 선택적으로 제2실리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rising: forming a tunnel oxide film, a floating gate polysilicon, and a buffer oxide film on a front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Patterning the buffer oxide layer and the first floating gate in a column direction; Forming a first sidewall spacer on a sidewall of the first floating gate; Forming a source / drain region in the substrate; Forming a first silicide in the source / drain region; Forming an insulating film on the substrate and planariz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floating gates; Forming an ONO layer on the substrate; Depositing and patterning polysilicon on the substrate to form a control gate; And forming a second sidewall spacer on sidewalls of the first floating gate, the second floating gate, and the control gate, and selectively forming a second silicide on the control gate. It is achiev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따라서,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자 분리막 공정을 따로 진행하지 않고 P웰과 공통 소오스/드레인, 적층 게이트에 의해 자체적으로 분리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SAS 공정이나 SA-STI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노어 플래시 셀이 차지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경우 비트 콘택이 없는 노어 플래시 셀을 효과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난드 플래시 셀이 차지하는 면적만큼 줄일 수 있다. 또한 공통 소오스/드레인으로 사용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킴으로써 공통 소오스/드레인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할 수 있는 워드 라인수를 더욱 늘릴 수 있어 밀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SAS process or the SA-STI process by allowing the separator to be formed by the P well, the common source / drain, and the stacked gate without performing the device isolation process separately. It can effectively reduce the area occupied by NOR flash cell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 NAND flash cell by effectively implementing a NOR flash cell without bit contact. In addition, by selectively forming silicide in a region used as a common source / drain, the common source / drain resistance can be effectively reduced, so that the number of word lines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bit line can be further increased,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density. It works
NOR Flash, Buffer 산화막, 제1플로팅 게이트, 제2플로팅 게이트, FG S/W Oxide Spacer, Gap Fill 산화막NOR Flash, Buffer Oxide, First Floating Gate, Second Floating Gate, FG S / W Oxide Spacer, Gap Fill Oxide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플래시 메모리 셀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flash memory cel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종래의 노어 플래시 유니트 셀의 면적과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유니트 셀의 면적을 비교한 도면.2 is a view comparing the area of a conventional NOR flash unit cell with the area of a unit cell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레이아웃과 셀 어레이를 회로로 나타낸 도면.3A and 3B are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 cell array layout and a cell array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의 공정단면도.4A to 4G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SAS(Self-Aligned Source) 공정이나 SA-STI(Self-Aligned STI)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최소의 면적(4F2)을 가지면서 제조공정이 종래의 플로팅 게이트 소자를 사용하는 NOR 플래시 셀보다 훨씬 간단하여 제조 단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적층 산화막 노어 플래시 셀을 구현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minimize the area (4F 2 )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Self-Aligned Source (SAS) process or a Self-Aligned STI (SA-STI) proc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a stacked oxide NOR flash cell having a manufacturing process much simpl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NOR flash cell using a floating gate device.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크게 휘발성 메모리(volatile memory)와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로 구분된다. 휘발성 메모리의 대부분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RAM이 차지하고 있으며, 전원 인가시 데이타의 입력 및 보존이 가능하지만, 전원 제거시 데이타가 휘발되어 보존이 불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반면에, ROM(Read Only Memory)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는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도 데이타가 보존되는 특징을 가진다.In gener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are classified into volatile memory and non-volatile memory. Most of volatile memory is occupied by RAM such as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and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and data can be input and stored when power is applied, but data cannot be saved because of volatilization when power is removed. Has On the other hand, nonvolatile memory, which is mostly occupied by ROM (Read Only Memory), is characterized in that data is preserved even when power is not applied.
현재, 공정기술 측면에서 비휘발성 메모리 장치는 플로팅 게이트(Floationg Gate) 계열과 두 종류 이상의 유전막이 2중 또는 3중으로 적층된 MIS(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계열로 구분된다.At present, in terms of process technology, a nonvolatile memory device is classified into a floating gate series and a metal insulator semiconductor (MIS) series in which two or more dielectric layers are stacked in two or three layers.
플로팅 게이트 계열의 메모리 장치는 전위 우물(potential well)을 이용하여 기억 특성을 구현하며, 현재 플래시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으로 가장 널리 응용되고 있는 단순 적층 구조의 ETOX(EPROM Tunnel Oxide) 구조와 하나의 셀에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구비된 채널 분리(Split gate) 구조를 들 수 있다.Floating gate-type memory devices realize potential memory characteristics using potential wells, and are a simple stack-type EPROM (EPROM Tunnel Oxide) structure that is currently widely used as flash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And a split gate structure in which one transistor includes two transistors.
반면에 MIS 계열은 유전막 벌크, 유전막-유전막 계면 및 유전막-반도체 계면에 존재하는 트랩(trap)을 이용하여 기억 기능을 수행한다. 현재 플래시 EEPROM으로 주로 응용되고 있는 MONOS/SONOS(Metal/Silicon ONO Semiconductor)구조가 대표적인 예이다.On the other hand, the MIS series performs a memory function by using traps present at the dielectric bulk, the dielectric film-dielectric film interface, and the dielectric film-semiconductor interface. A typical example is the MONOS / SONOS (Metal / Silicon ONO Semiconductor) structure, which is mainly used as a flash EEPROM.
종래 기술의 플래시 메모리 셀의 제조 방법을 도 1 에서 간략하게 설명하면, 소자 분리막(11)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10) 상부에 게이트 산화막(12)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제 1 폴리실리콘층(13)을 형성하여 플로팅 게이트로 사용한다. 이 플로팅 게이트(13) 상부에 유전체층(15)과 제 2 폴리실리콘층(16)을 형성하여 이 제 2 폴리실리콘층(16)을 콘트롤 게이트로 사용한다. 이 콘트롤 게이트(16) 상부에 금속층(17)과 질화막(18)을 형성하고 셀 구조로 패터닝하여 플래시 메모리 셀을 형성한다.A method of manufacturing a flash memory cell of the prior art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he
현재의 NOR 플래시 메모리 제조 공정경우 NOR 플래시 유니트 셀 면적을 최소로 만들기 위해 SAS 공정이나 SA-STI 공정을 주로 사용한다. 또한 SAS 공정이나 SA-STI 공정 또는 이 두가지 공정을 모두다 사용하는 경우에도 비트 콘택을 형성시켜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플래시 메모리에 주로 사용하는 NAND 플래시 셀의 최소 면적(4F2)만큼 줄일 수 없다.In the current NOR flash memory manufacturing process, the SAS process or SA-STI process is mainly used to minimize the NOR flash unit cell area. In addition, even if the SAS process, the SA-STI process, or both processes are used, bit contact must be formed so that the minimum area (4F 2 ) of the NAND flash cell mainly used for data flash memory is not reduc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 로, 종래의 SAS 공정이나 SA-STI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 최소의 면적(4F2)을 가지면서 제조공정이 종래의 플로팅 게이트 소자를 사용하는 NOR 플래시 셀보다 훨씬 간단하여 제조 단가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a conventional floating gate device while having a minimum area (4F 2 ) without using a conventional SAS process or SA-STI proc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which is much simpler than a NOR flash cell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의 전면에 터널 산화막, 플로팅 게이트용 폴리 실리콘, 버퍼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버퍼 산화막, 제1플로팅 게이트를 열 방향으로 패터닝하는 단계; 상기 제1플로팅 게이트의 측벽에 제1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판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소오스/드레인 영역에 제1실리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절연막을 형성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제1플로팅 게이트 사이를 갭필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ONO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에 폴리 실리콘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콘트롤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플로팅 게이트, 제2플로팅 게이트 및 콘트롤 게이트의 측벽에 제2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콘트롤 게이트에 선택적으로 제2실리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comprising: forming a tunnel oxide film, a floating gate polysilicon, and a buffer oxide film on a front surface of a semiconductor substrate; Patterning the buffer oxide layer and the first floating gate in a column direction; Forming a first sidewall spacer on a sidewall of the first floating gate; Forming a source / drain region in the substrate; Forming a first silicide in the source / drain region; Forming an insulating film on the substrate and planariz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floating gates; Forming an ONO layer on the substrate; Depositing and patterning polysilicon on the substrate to form a control gate; And forming a second sidewall spacer on sidewalls of the first floating gate, the second floating gate, and the control gate, and selectively forming a second silicide on the control gate. It is achieved by the manufacturing method of.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Details of the above object and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effects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how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종래의 비트 콘택을 가지는 노어 플래시 유니트 셀의 면적과 본 발명의 제조 공정으로 구현하는 비트 콘택이 없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유니트 셀의 면적을 비교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comparing the area of a NOR flash unit cell having a conventional bit contact with the area of a unit cell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having no bit contact implement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는 SAS 공정과 SA-STI 공정을 모두 사용하지 않을 경우 비트 콘택을 가지는 노어 플래시 유니트 셀의 면적을 나타낸 것으로 대략 10.5F2만큼의 면적을 차지한다.a shows the area of the NOR flash unit cell with bit contact when neither SAS process nor SA-STI process is used, and occupies approximately 10.5F 2 .
b는 SAS 공정은 사용하고 SA-STI 공정은 사용하지 않을 경우 비트 콘택을 가지는 노어 플래시 유니트 셀의 면적을 나타낸 것으로 대략 9F2만큼의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SAS 공정을 사용함으로써 2a에 비해 대략 15% 정도의 셀 면적을 줄일 수 있다.b represents the area of the NOR flash unit cell with bit contact when the SAS process is used but the SA-STI process is not used, and occupies approximately 9F 2 . Therefore, using the SAS process reduces the cell area by approximately 15% compared to 2a.
c는 SAS 공정과 SA-STI 공정을 모두 사용하는 경우 비트 콘택을 가지는 노어 플래시 유니트 셀의 면적을 나타낸 것으로 대략 6F2만큼의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SAS 공정과 SA-STI 공정 모두를 사용함으로써 2a에 비해 대략 43% 정도의 셀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2b에 비해 대략 33% 정도의 셀 면적을 줄일 수 있다.c represents the area of the NOR flash unit cell having a bit contact when the SAS process and the SA-STI process are used, and occupies approximately 6F 2 . Therefore, by using both SAS and SA-STI processes, the cell area can be reduced by about 43% compared to 2a and by about 33% compared to 2b.
d는 본 발명에 의한 비트 콘택이 없는 적층 산화막 노어 플래시 유니트 셀의 면적을 나타낸 것으로 대략 4F2만큼의 면적을 차지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SA-STI 공정을 사용하는 난드 플래시 유니트 셀의 면적과 동일하며 a에 비해 대략 62% 정도의 셀 면적을 줄일 수 있으며 b에 비해 대략 55% 정도의 셀 면적을 줄일 수 있고 c에 비해 대략 33% 정도의 셀 면적을 줄일 수 있다.d represents the area of the stacked oxide NOR flash unit cell without bit cont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ccupies an area of approximately 4F 2 . This is the same as the area of the NAND flash unit cell using the conventional SA-STI process, which can reduce the cell area by about 62% compared to a, and the cell area by about 55% compared to b and compared to c. The cell area can be reduced by approximately 33%.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의한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셀 어레이 레이아웃과 셀 어레이를 회로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의 A-A', B-B', C-C' 방향의 단면도를 이하 도 4에서 공정순서에 따라 설명한다.3A and 3B are circuit diagrams illustrating a cell array layout and a cell array of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A are cross-sectional views in the A-A ', B-B', and C-C 'directions according to the process sequence in FIG.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의 공정단면도이다.4A through 4E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nonvolatile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반도체 기판(501)의 전면에 이온 주입 공정으로 딥 N웰(502)과 P웰(503)을 각각 형성시킨다. 이때 P웰을 형성시 문턱 전압 조정과 Punch-Through 방지를 위한 이온 주입을 함께 실시한다. 이어 상기 기판의 상부에 터널 산화막(504)을 50Å~150Å 범위에서 성장시키고 상기 터널 산화막의 상부에 제1플로팅 게이트(505)와 버퍼 산화막(506)을 차례로 증착시킨다. 상기 제1플로팅 게이트는 도핑된 폴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핑되지 않은 폴리를 증착한 후 이온 주입공정을 통해 도핑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1플로팅 게이트의 증착두께는 500 내지 3000Å 범위에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버퍼 산화막은 100 내지 1000Å 범위에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 4A, a
다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B-B' 방향으로 상기 버퍼 산화막, 제1플로팅 게이트를 패터닝한다.Next, as shown in FIG. 4B, the buffer oxide film and the first floating gate are patterned in the direction B-B '.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터닝된 제1플로팅 게이트를 마스크로 하 여 이온주입 공정을 통해 오픈된 영역의 실리콘 기판에 LDD영역(507)을 형성시킨다. 다음 웨이퍼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한 후 블랭킷 식각(Blanket Etching)을 통해 제1플로팅 게이트 측벽에 사이드월 스페이서(509)를 형성시킨다.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를 형성한 후 다시 이온 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오픈된 영역의 실리콘 기판에 소오스/드레인 영역(508)을 형성한다. 다음 실리사이드 공정을 실시하여 오픈된 실리콘 기판의 공통 소오스/드레인 영역만 선택적으로 실리사이드(510)를 형성시킨다. 여기서 LDD영역을 형성시키지 않고 사이드월 스페이서 형성 전에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사이드월 스페이서의 폭이 LDD 폭을 좌우하며 사이드월 스페이서 폭이 너무 넓으면 공통 소오스/드레인에 형성되는 실리사이드 폭이 줄어들어 공통 소오스/드레인 저항이 증가될 수도 있으므로 사이드월 스페이서 폭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 상기 사이드월 스페이서는 100 내지 1000Å 범위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다.Next, as shown in FIG. 4C, the LDD
다음,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APCVD(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Vapour Deposition) 공정이나 HDP-CVD(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ur Deposition) 공정을 사용하여 제1플로팅 게이트 사이에 공극을 채우며 에치백(Etch Back) 공정을 통해 갭필(Gap Fill)한 산화막(511)을 평탄화시키면서 제1플로팅 게이트 표면까지 리세스시킨다. 이때 에치백 공정대신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Next, as shown in FIG. 4D, etching is performed by filling the voids between the first floating gates using an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Vapor Deposition (APCVD) process or a High Density Plasma Chemical Vapor Deposition (HDP-CVD) process. Through the process, the gap-filled
다음,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전면에 폴리실리콘을 증착하고 패턴닝/식각공정을 통해 제2플로팅 게이트(512)를 형성한다. 상기 제2플로팅 게이트 형 성을 위해 증착하는 폴리 실리콘은 도핑된 폴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핑되지 않은 폴리를 증착한 후 이온 주입공정을 통해 도핑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제2플로팅 게이트의 증착두께는 500Å~3000Å 범위에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플로팅 게이트는 커플링 비(Coupling Ratio)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커플링 비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을 경우 제2플로팅 게이트 형성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플로팅 게이트를 형성한 후 기판의 전면에 ONO층(513)을 증착한다.Next, as shown in FIG. 4E, polysilicon is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a second floating
다음,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의 전면에 폴리 실리콘을 증착하고 패턴닝/식각공정을 통해 콘트롤 게이트(514)를 형성시킨다. 상기 콘트롤 게이트 형성을 위해 증착하는 폴리 실리콘은 도핑된 폴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도핑되지 않은 폴리를 증착한 후 이온 주입공정을 통해 도핑 시킬 수도 있다. 상기 콘트롤 게이트의 증착두께는 1000Å~4000Å 범위에서 증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Next, as shown in FIG. 4F, polysilicon is deposi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the
다음, 도 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게이트의 측벽에 사이드월 스페이서(515)를 형성한 후 실리사이드 공정을 통해 콘트롤 게이트(워드 라인)에 선택적으로 실리사이드(516)를 형성한다. 이후 공정은 종래의 모스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과 동일한 공정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비트 콘택이 없는 노어 플래시 셀을 구현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4G, the
상기와 같이 소자 분리막 공정을 따로 진행하지 않고 P웰과 공통 소오스/드레인, 적층 게이트에 의해 자체적으로 분리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SAS 공정이나 SA-STI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노어 플래시 셀이 차지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경우 비트 콘택이 없는 노어 플래시 셀을 효과적 으로 구현함으로써 난드 플래시 셀이 차지하는 면적만큼 줄일 수 있다. 또한 공통 소오스/드레인으로 사용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킴으로써 공통 소오스/드레인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할 수 있는 워드 라인수를 더욱 늘릴 수 있어 밀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eparator is formed by the P-well, the common source / drain, and the stacked gate without separately performing the device separator process, thereby effectively reducing the area occupied by the NOR flash cell without using the SAS process or the SA-STI process. Can b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 NAND flash cell by effectively implementing a NOR flash cell without bit contact. In addition, by selectively forming silicide in a region used as a common source / drain, the common source / drain resistance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word lines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bit line,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density. .
상세히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변화들 및 변형들이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보통의 사람들에게 명백히 쉬워질 것임이 자명하다. 본 발명의 그러한 변형들의 범위는 본 발명의 특징부를 포함하는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의 범위 내에 있으며, 그러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It will be apparent that changes and modifications incorporating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the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It is intended that the scope of such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be within the scope of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including the features of the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은 소자 분리막 공정을 따로 진행하지 않고 P웰과 공통 소오스/드레인, 적층 게이트에 의해 자체적으로 분리막이 형성되도록 하여 SAS 공정이나 SA-STI 공정을 사용하지 않고도 노어 플래시 셀이 차지하는 면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경우 비트 콘택이 없는 노어 플래시 셀을 효과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난드 플래시 셀이 차지하는 면적만큼 줄일 수 있다. 또한 공통 소오스/드레인으로 사용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실리사이드를 형성시킴으로써 공통 소오스/드레인 저항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어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할 수 있는 워드 라인수를 더욱 늘릴 수 있어 밀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공정을 사용할 경우 면적을 최소화 시키는 난드 플래시의 장점과 동작속도가 빠른 노어 플래시의 장점을 동시에 가지는 노어 플래시 셀을 제조할 수 있다.Therefore,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nonvolatile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the SAS process or the SA-STI process by allowing the separator to be formed by the P well, the common source / drain, and the stacked gate without performing the device isolation process separately. It can effectively reduce the area occupied by NOR flash cell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duce the area occupied by the NAND flash cell by effectively implementing a NOR flash cell without bit contact. In addition, by selectively forming silicide in a region used as a common source / drain, the common source / drain resistance can be effectively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word lines that can be connected to one bit line,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density. . Therefore, when us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NOR flash cell having both the advantages of NAND flash to minimize the area and the advantages of NOR flash fast operating speed.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101068A KR100602937B1 (en) | 2003-12-31 | 2003-12-31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101068A KR100602937B1 (en) | 2003-12-31 | 2003-12-31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9129A KR20050069129A (en) | 2005-07-05 |
KR100602937B1 true KR100602937B1 (en) | 2006-07-19 |
Family
ID=37259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101068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2937B1 (en) | 2003-12-31 | 2003-12-31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293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9721B1 (en) * | 2006-11-30 | 2008-02-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Nonvolatile memor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2003
- 2003-12-31 KR KR1020030101068A patent/KR10060293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69129A (en) | 2005-07-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54136B1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to protect floating gate from charge los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8541277B2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7768061B2 (en) | Self aligned 1 bit local SONOS memory cell | |
US8952536B2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on | |
US7125771B2 (en) | Methods for fabricating nonvolatile memory device | |
US8207560B2 (en) |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062021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060293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0526477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059359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0419963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common source region of flash memory device | |
KR20070049731A (en) | Flash memor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060453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0594391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060814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100602938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US20060148171A1 (en) | Method of fabricating a flash memory device | |
KR100603251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KR20050069147A (en) | Method for fabricating of non-volatile memory device | |
US7329919B2 (en) |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50010554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
KR20050070796A (en)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2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6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