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606B1 - Toner End Detection Device of Image Forming Machine - Google Patents
Toner End Detection Device of Image Form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2606B1 KR100602606B1 KR1020040016505A KR20040016505A KR100602606B1 KR 100602606 B1 KR100602606 B1 KR 100602606B1 KR 1020040016505 A KR1020040016505 A KR 1020040016505A KR 20040016505 A KR20040016505 A KR 20040016505A KR 100602606 B1 KR100602606 B1 KR 100602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er
- toner container
- agitator
- shaft hole
- shaf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108091008695 photo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4—Leg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47C19/025—Direct mattress support frames, Cross-ba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3—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beds or mattres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41—Non-polymeric ingredients chosen for their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 C04B2103/0044—Compounds chosen for their abrasion resistance, e.g.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A. t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형성기(10)의 하우징(20)에 장착되며, 하부면에 토너토출구(3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 2축공(32,34)이 형성된 토너통(30); 외부의 구동모터(70)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토너통(30)의 제1축공(32)을 통해 토너통(30) 내부로 노출된 구동축(72)이 축착되게 그 중앙에 축공(42)이 형성되고, 이 축공(32) 외주부 측부에 직각 돌출된 돌출리브(44)를 갖는 회동체(40); 상기 회동체(40)의 축공(42)과 토너통(30)의 제2축공(34)에 삽입되게 양단부에 축부(51,52)가 형성되고, 이 축부(51,52)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회전되는 회동체(40)의 돌출리브(44)에 밀려서 회동되는 절곡부(53,54)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절곡부(53,54) 단부를 연결시키는 교반부(55)가 구비된 아지테이터(50); 상기 토너통(30) 저면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중심부가 상기 하우징(20)에 축착되며, 그 일단부에는 토너통(30) 바닥면 일정위치에 도달한 아지테이터에 자력을 발생시켜 토너통(30) 저면으로 회동되는 자석부(62)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에는 자석부(62)의 회동에 따라 대응 회동하여 광센서(66)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64)이 구비된 감지기(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end detect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machine, which is mounted on a housing 20 of an image forming machine 10, a toner discharge port 31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first and second shaft holes 32, A toner container 30 in which 34 is formed;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by the external drive motor 70, the shaft hole 42 in the center so that the driving shaft 72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toner container 30 through the first shaft hole 32 of the toner container 30 is condensed A rotating body 40 having a protrusion rib 44 projecting at right angles to the outer peripheral side of the shaft hole 32; Shaft portions 51 and 52 are formed at both ends to be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42 of the rotating body 40 and the second shaft hole 34 of the toner container 30, and each of the shaft portions 51 and 52 is bent and extended. Bent parts (53, 54) are rotated by being pushed by the protruding rib (44) of the rotating body (40) to be rotated, and the agitator part (55) for connecting the ends of the bent parts (53, 54) is provided. Agitator 50; The toner container 30 is space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oner container 30 so that its center portion is condensed to the housing 20, and at one end thereof, magnetic force is generated on the agitator that reaches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ner container 30. The magnet part 62 rota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er 30 is provide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the blocking plate 64 which rotates correspondingly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gnet part 62, and blocks the light of the optical sensor 66. And configured detector 60.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 토너통, 하우징, 아지테이터, 광센서Toner End Detection Device, Toner Box, Housing, Agitator, Light Senso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를 나타낸 개략 분해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ner end detecting apparatus of an imag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를 나타낸 개략 측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oner end detecting apparatus of the imag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 중 토너통 내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Figure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terior of the toner container of the toner end detection device of the imag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에서 감지기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4A to 4C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is operated in the toner end detecting apparatus of the imag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에서 감지기에 스프링이 부가된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다.5A and 5B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that a spring is added to the detector in the toner end detecting apparatus of the imag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0 : 화상형성기 11 : 감광체10: image forming machine 11: photosensitive member
12 : 코로나와이어 13 : 현상롤러12: corona wire 13: developing roller
14 : 토너보급롤러 15 : 전사롤러14: toner supply roller 15: transfer roller
20 : 하우징 30 : 토너통20: housing 30: toner container
31 : 토너토출구 32 : 제1축공31: toner discharge 32: first shaft hole
34 : 제2축공 40 : 회동체34: second shaft hole 40: rotating body
42 : 축공 44 : 돌출리브42: shaft hole 44: protrusion rib
50 : 아지테이터 51, 51 : 축부50:
53, 54 : 절곡부 55 : 교반부53, 54: bend portion 55: stirring portion
60 : 감지기 62 : 자석부60: detector 62: magnet portion
64 : 차단판 66 : 광센서64: blocking plate 66: light sensor
66a : 발광부 66b : 수광부 66a:
70 : 구동모터 72 : 구동축70: drive motor 72: drive shaft
80 : 자석부 작동범위 90 : 스프링80: magnet operating range 90: spring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너통 내의 토너엔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ner end detect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ner end detecting device of an image forming machine that enables accurate recognition of a toner end in a toner container.
일반적으로 건식 전자 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인 복사기, 레이저프린터, 팩시밀리 등에서 사용되는 토너는 토너자체에 자성을 갖는 자성토너와 자성이 없는 비자성 토너로 구별된다.In general, toners used in photocopiers, laser printers, and facsimile machines, which are dry electrophotographic imaging apparatuses, are classified into magnetic toners having magnetic toners and nonmagnetic non-magnetic toners.
자성을 갖는 자성토너의 경우 토너 엔드를 감지하는 방법으로서 토너의 양에 따라 자력의 크기가 바뀌는 것을 이용하여 토너엔드를 감지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magnetic toner having magnetic properties, a method of detecting a toner end is to detect a toner end by using a change in magnetic force depending on the amount of toner.
그러나, 비자성 토너의 경우는 토너에 자성이 없기 때문에 자력감지센서를 사용하여 토너엔드를 감지할 수가 없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non-magnetic toner, the toner end cannot be detected using the magnetic force sensor because the toner is not magnetic.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자성 토너의 경우에는 토너통 안의 토너를 교반하는 아지테이터에 직접 연결된 한 개의 회전판과 스프링으로 연결된 또 하나의 회전판과 회전판의 슬릿에 빛을 투과하여 회전을 검지하는 광센서로 구성된 장치를 이용하여 아지테이터가 회전하면서 발생되는 토너의 양에 따른 부하의 차이로 인해 두 개의 회전판 사이에 회전양의 차이가 발생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토너 엔드를 감지하였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case of a non-magnetic toner, an optical sensor which detects rotation by transmitting light through one rotating plate directly connected to an agitator for stirring the toner in the toner container and another rotating plate connected by a spring and a slit of the rotating plate is transmitted. The toner end was detected by using the device, because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rotation occurs between the two rotating plates due to the difference in load depending on the amount of toner generated while the agitator rotates.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 중에서 자성토너방식의 자력센서는 비자성토너에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아지테이터에서 발생하는 부하의 차이를 이용하는 비자성 방식은 토너통 내에서 아지테이터가 회전할 때 발생되는 부하, 회전축에서 발생되는 부하, 토너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해 설치된 각종 부재들에 의해 부하가 변하기 때문에 정확한 토너엔드를 검지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아지테이터에 상기 장치를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토너 카트리지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magnetic toner magnetic sensor of the prior art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can not be applied to the non-magnetic toner, the non-magnetic method using the difference of the load generated in the agitator occurs when the agitator rotates in the toner container The toner end is difficult to detect because the load is changed by various loads, loads generated from the rotating shaft, and various members installed to prevent the toner from leaking, and the apparatus must be attached to the agitator. There was a problem such as getting complicated.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비자성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고 토너통 내의 토너엔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토너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구조도 간단하게 되는 화상형성기 의 토너엔드감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is problem, and can be applied to both nonmagnetic materials and accurately detects the toner end in the toner container so that the replacement time of the toner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ner end detecting device of a former.
이와 같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는 화상형성기의 하우징에 장착되며, 하부면에 토너토출구가 형성되고, 양측면에 제1, 2축공이 형성된 토너통; 외부의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으며 상기 토너통의 제1축공을 통해 토너통 내부로 노출된 구동축이 축착되게 중앙에 축공이 형성되고, 이 축공 외주부 측부에 직각 돌출된 돌출리브를 갖는 회동체; 상기 회동체의 축공과 토너통의 제2축공에 삽입되게 양단부에 축부가 형성되고, 이 축부에서 각각 절곡 연장되어 회전되는 회동체의 돌출리브에 밀려서 회동되는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절곡부 단부를 연결시키는 교반부가 구비된 아지테이터; 상기 토너통 저면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중심부가 상기 하우징에 축착되며, 그 일단부에는 토너통 바닥면 일정위치에 도달한 아지테이터에 자력을 발생시켜 토너통 저면으로 회동되는 자석부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에는 자석부의 회동에 따라 대응 회동하여 광센서의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이 구비된 감지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us, the toner end detecting apparatu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oner container is mounted to the housing of the image forming machine, the toner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 first, biaxial hole formed on both sides; The rotating body receives a rotational force by an external drive motor, and a shaft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so that the driving shaf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toner container through the first shaft hole of the toner container is condensed. ; Shaft portions are formed at both ends to be inserted into the shaft hole of the rotating body and the second shaft hole of the toner container, and a bent portion is formed by being pushed by the protruding ribs of the rotating body which are bent and extended and rotated from the shaft portion, respectively. An agitator having a stirr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The center of the toner container is spaced apart downwardly from the bottom of the toner container, and the center thereof is condensed to the housing, and one end thereof is provided with a magnet part which generates a magnetic force to reach the bottom of the toner container and rotates to the bottom of the toner container. And,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include a detector provided with a blocking plate for blocking the light of the optical sensor by rotating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of the magnet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돌출리브는 축공 외주부의 동심원주를 따라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점진적으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toner end detect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ding ribs are gradually protruded with a predetermined slope along the concentric circumference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haft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아지테이터의 절곡부는 토너통 하단의 토너토출구를 넘어서는 위치까지 연장 형성된 것 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toner end detecting apparatus of the image form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ent portion of the agitator is formed to extend beyond the toner discharge port at the bottom of the toner contain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력에 의해 토너통 저면으로 회동된 자석부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자석부와 하우징을 연결시키는 스프링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toner end detecting apparatu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 spring is provided to connect the magnet part and the housing so that the magnet part rota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toner container by the magnetic force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c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는 화상형성기(10)의 하우징(20)에 장착되는 토너통(30)과, 상기 토너통(30)의 일측면에 축착되어 회전되며 돌출리브(44)를 갖는 회동체(40)와, 상기 회동체(40)의 축공(42)과 토너통(30)의 제2축공(34)에 삽입되어 토너통(30) 내에서 축 회전되는 아지테이터(50)와, 상기 토너통(30) 저면에 구비된 감지기(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to 4C, the toner end detecting apparatu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화상형성기(10)는 빛에 반응하는 감광체(11)와, 이 감광체(11)에 전하를 입혀주는 대전 코로나와이어(12)와, 토너를 감광체(11)에 공급하는 현상롤러(13)와, 이 현상롤러(13)에 토너를 보급하는 토너보급롤러(14)와, 감광체(11)에 있는 토너의 화상을 용지에 옮기는 전사롤러(15)와, 토너가 담겨있는 토너통(30) 등이 구비되어 있다. The
상기 토너통(30)은 화상형성기(10)의 하우징(2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내부에 토너가 담겨있는 장방형 박스 형상으로, 그 하부면 일측에는 토너토출구(31)가 형성되며, 축 방향 일측면에는 일단부가 외부의 구동모터(70)와 연결되고 그 타단부가 토너통(30) 내부로 연장되어 회동체(40)와 결합되는 구동축(72)이 축착되도록 하는 제1축공(32)이 형성되며, 이 제1축공(32)의 맞은편에는 아지테이터(50)의 축부(52)가 삽입되는 제2축공(34)이 형성되어 있다. The
상기 회동체(40)는 토너통(30)의 제1축공(32)을 통해 토너통(30) 내부로 노출된 구동축(72)이 일측을 통해 축착되고 그 타측을 통해 아지테이터(50)의 축부(51)가 삽입되도록 하는 축공(42)이 형성되며, 이 축공(42) 외주부 측부에 직각 돌출된 돌출리브(44)가 형성되어 있다. The rotating
여기서, 상기 돌출리브(44)는 축공(42) 외주부의 동심원주를 따라 일정 기울기를 가지고 점진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Here, the
상기 아지테이터(50)는 토너통(30) 내부에서 축 회전되며 토너를 교반시키는 동시에 감지기(60)를 작동시키는 크랭크 모양의 장방형 도체 봉형상으로, 상기 회동체(40)의 축공(42)과 토너통(30)의 제2축공(34)에 삽입되게 양단부에 축부(51,52)가 형성되고, 이 축부(51,52)에서 각각 직각 절곡 연장된 절곡부(53,54)가 형성되며, 특히, 회동체(40)의 축공(42)에 삽입된 축부(51)에서 직각 절곡된 절곡부(53)는 회전되는 회동체(40)의 돌출리브(44)에 밀려서 아지테이터(50)가 이 회동체(40)와 같이 회동되도록 하고, 상기 각 절곡부(53.54) 상단부를 연결시키는 교반부(55)로 이루어져 있다.The
여기서, 상기 아지테이터(50)의 축부(51,52)는 회동체(40)의 축공(42)과 토너통(30)의 제2축공(34)에 느슨한 상태로 삽입되어 자체 회전이 불가능하며 회전되는 회동체(40)에 의해 밀려 회동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아지테이터(50)의 절곡부(53,54)는 토너통(30)의 토너토출구(31) 하단부를 넘어서는 정도로 연장 형 성되어 있다.Here, the
상기 감지기(60)는 아지테이터(50)의 회전에 따라 발생된 자력에 의해 일단부가 토너통(30) 저면으로 축 회전되도록 하는 시소 형상으로, 상기 토너통(30) 저면에서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그 중심부가 상기 하우징(20)에 축착되며, 그 일단부에는 토너통(30) 바닥면 일정위치에 도달한 아지테이터(50)의 교반부(55)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여 토너통(30) 저면으로 축 회전되는 자석부(62)가 구비되고, 그 타단부에는 자석부(62)의 회전에 따라 대응 회전되어 광센서(66)의 발광부(66a)와 수광부(66b) 사이에 놓여 빛을 차단하는 차단판(64)이 구비되어 있다. The
여기서, 상기 자석부(62)는 아지테이터(50)의 교반부(55)가 토너통(30)의 토너토출구(31) 하단 높이에서부터 최하단부까지의 범위인, 이른바, 자석부 작동범위(80) 내에 위치되면 자력이 발생하여 토너통(30) 저면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Here, the
한편, 도 5a 및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자력에 의해 토너통(30) 저면으로 회전된 자석부(62)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상기 자석부(62)와 하우징(20)을 연결하기 위하여 스프링(90)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s 5a and 5b, the spring to connect the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는 구동모터(70)의 작동에 의해 토너통(30) 내의 회동체(40)를 회전시키고, 이 회전되는 회동체(40)의 돌출리브(44)는 아지테이터(50)의 절곡부(53)에 걸리는 동시에 이 절곡부(53)를 회전방향으로 밀어 회동시켜 토너를 교반시키게 되는 것이다. The toner end detect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rotates the rotating
여기서, 아지테이터(50)는 양단 축부(51,52)를 축으로 교반부(55)가 토너통(30)의 상하방을 따라 일정속도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교반부(55)가 토너통(30)의 토너토출구(31)와 동일 높이선상인 자석부 작동범위(80)에 도달하면 감지기(60)의 자석부(62)가 도체인 교반부(55)에 자력을 발생시켜 토너통(30) 저면을 향해 상향 회동되는 동시에 자석부(62) 타단의 차단판(64)이 광센서(66)의 빛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교반부(55)가 회동체(40)에 의해 토너통(30)의 최하부를 거쳐 상회하면서 자석부 작동범위(80)를 벗어나면 다시 자석부(62)가 자중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차단판(64)을 들어 올려 광센서(66)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Here, the
이렇게 상기 아지테이터(50)와 감지기(60)의 작동이 주기적으로 계속되다가 토너가 자석부(62) 작동범위 이하로 소모되면 아지테이터(50)의 교반부(55)가 토너통(30) 하단부에 머물러 있는 시간이 길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감지기(60)의 자석부(62)가 교반부(55)에 자력을 발생시켜 토너통(30) 저면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가 비교적 길어지며, 결과적으로, 상기 감지기(60)의 차단판(64)이 광센서(66)의 빛을 차단시키는 시간도 길어지면서 외부에서 감지기(60)의 작동시간 변화를 파악할 수 있어 토너의 소모 상태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아지테이터(50)의 절곡부(53)는 회전되는 회동체(40)의 돌출리브(44)에 의해 밀려나 그 교반부(55)가 토너를 교반시키면서 회동되다가 토너가 점차 소모되어 토너통(30) 내의 토너 양이 자석부 작동범위(80) 이하로 줄어든 경우에, 상기 회동체(40)에 밀려 회동되는 아지테이터(50)의 교반부(55)는 회전반경 최상점에 도달하였을 때 계속 회전되는 회동체(40)의 돌출리브(44)에 의해 밀려나면서 저항 요소인 토너가 없기 때문에 교반부(55) 자체 하 중에 의해 순간적으로 하향 낙하 회전되어 회전반경 최하점에 머물러 있게 되는 한편, 상기 회동체(40)는 계속적인 동력 회전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하단부에 머물러 있는 아지테이터(50)에 도달하여 다시 상기 아지테이터(50)의 절곡부(53)를 밀어서 아지테이터(50)를 회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회동체(40)가 하단부의 아지테이터(50)에 도달하기 전까지 하단부에 머물러 있는 아지테이터(50)의 교반부(55)에 의해 자력이 발생하여 감지기(60)의 자석부(62)를 회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타단부의 차단판(64)이 광센서(66)의 빛을 차단하게 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외부에서 확인하여 토너통(30) 내의 토너 엔드(고갈)를 인지하며 교환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more detail, the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기의 토너엔드감지장치는 비자성 토너 모두에 적용이 가능하고, 토너통 내의 토너엔드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어 토너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며, 구조도 간단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toner end detecting device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both non-magnetic toners, and can accurately detect the toner end in the toner container so as to accurately recogniz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toner, and the structure Also, the effect can be simplified.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6505A KR100602606B1 (en) | 2004-03-11 | 2004-03-11 | Toner End Detection Device of Image Form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16505A KR100602606B1 (en) | 2004-03-11 | 2004-03-11 | Toner End Detection Device of Image Form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1845A KR20050091845A (en) | 2005-09-15 |
KR100602606B1 true KR100602606B1 (en) | 2006-07-19 |
Family
ID=3727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165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602606B1 (en) | 2004-03-11 | 2004-03-11 | Toner End Detection Device of Image Form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2606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09209B2 (en) | 2019-10-10 | 2022-08-0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tatus determination and control of toner cartridge using sensor |
-
2004
- 2004-03-11 KR KR1020040016505A patent/KR1006026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09209B2 (en) | 2019-10-10 | 2022-08-09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Status determination and control of toner cartridge using sens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91845A (en) | 2005-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69286B2 (en) | Rotational sensing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 |
JP2837973B2 (en) | Toner remaining amount detection mechanism | |
TWI570528B (en) | Replaceable unit for an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 falling paddle for toner level sensing | |
US8290378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magnetic field generating unit at the toner carrying section | |
US6169865B1 (en) | Developing device frame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 |
CN110764383B (en) | Developer container, process cartridge, apparatus main body, developing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478141B2 (en) | Image formation apparatus | |
US9354586B2 (en) | Communication connect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7991344B2 (en) | Waste powder recover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9116120A (en) | Toner supply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8977162B2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WO2015148352A1 (en) | Toner level sensing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 |
KR100602606B1 (en) | Toner End Detection Device of Image Forming Machine | |
GB2302960A (en) | Developing apparatus | |
CN108628128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cell | |
US9128444B1 (en) | Toner level sensing for a replaceable unit of an image forming device using pulse width patterns from a magnetic sensor | |
CN109946937B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JP2017211612A (en) | Developing device | |
KR0181119B1 (en) | Toner Level Detection Device of Image Forming Device | |
US20240027955A1 (en) | Image-forming apparatus including process cartridge and device-side terminal configured to contact process-side terminal | |
JP2014240878A (en) |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04333890A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KR20070016890A (en) | Toner supply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 |
CN116997865A (en) | Toner contain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JPH10260578A (en) | Develop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3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70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