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602220B1 -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220B1
KR100602220B1 KR1020030035459A KR20030035459A KR100602220B1 KR 100602220 B1 KR100602220 B1 KR 100602220B1 KR 1020030035459 A KR1020030035459 A KR 1020030035459A KR 20030035459 A KR20030035459 A KR 20030035459A KR 100602220 B1 KR100602220 B1 KR 100602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iversity
coefficients
coefficient
multiple access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5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3732A (ko
Inventor
김형섭
정화용
이강민
Original Assignee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슨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텔슨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5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2220B1/ko
Publication of KR20040103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3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3세대 비동기식 이동통신인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PCCPCH의 STTD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를 검출하는 시간을 줄이고 검출신뢰도를 높이도록 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의 요지는 기지국의 전송 다이버시티 적용 유무에 따라 수신되는 SCH의 슬롯이 짝수번째 슬롯인지 홀수번째 슬롯인지에 따라 기지국의 제1 및/또는 제2 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를 제1 및 제2계수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수발생기와, 상기 제1 및 제2계수에 따라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결정하는 판단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단말측에서 순방향 물리채널인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에 이용된다.
전송 다이버시티, SCH, PCCPCH

Description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DETECTING TRANSMIT DIVERSITY VALUE OF PCCPCH ON SCH IN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TEM AND METHOD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을 위한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수발생기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을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을 위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은 3세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에서 순방향 채널인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PCCPCH : PRIMARY COMMON CONTROL PHYSICAL CHANNEL : 이하 "PCCPCH"라 함)의 전송 다이버 시티 검출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의 검출 시간을 단축하고, 검출 신뢰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3세대 비동기 전송 방식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단말기는 전원이 인가된 경우, 또는 시스템 타이밍, 즉 동기를 잃었을 경우, 일차 동기 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 이차동기채널(Secondary Synchronization Channel: SSCH) 및, 공통파일럿채널(Common Pilot Channel: CPICH)을 이용하여 동기를 획득한 후 시스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PCCPCH를 우선적으로 복조 한다.
UMTS(FDD mode)에서는 수신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순방향 물리채널(downlink Phch)에 전송다이버시티를 적용할 수 있다. 전송다이버시티에는 개방형모드(open loop mode)와 폐쇄형모드(closed loop mode)가 있으며, 개방형모드의 경우는 동기채널(SCH)에 적용되는 TSTD 방법과 그 외 다른 순방향 물리채널에 적용되는 STTD 방법이 있다. 따라서, 순방향물리채널 중의 하나인 PCCPCH에는 STTD가 적용될 수 있다.
단말측에서 PCCPCH를 복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PCCPCH에 STTD가 적용되었는지를 알아야 한다. PCCPCH의 STTD 적용여부는 일차동기채널과 이차동기채널로 구성된 SCH(SYNC CHANNEL : SCH)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즉, 기지국이 안테나를 통해 SCH로 전송되는 synchronization code에 PCCPCH의 다이버시티 적용여부를 알리는 a 라는 값을 곱하여 전송함으로써, 단말측은 a를 검출하여 PCCPCH의 STTD 부호 화여부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a = +1 이면, PCCPCH이 STTD로 부호화된 상태를, a = -1 이면, STTD로 부호화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단말기가 동기채널의 a 값을 검출함으로써 PCCPCH의 STTD 여부를 알 수 있다.
그런데, SCH 또한 수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개방형전송다이버시티(open loop Tx diversity) 기법 중 TSTD가 적용될 수 있다. TSTD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 SCH는 항상 기지국의 제1안테나(antenna1)를 통해 전송된다(표 1 참조). SCH는 표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프레임에 15개의 슬롯을 포함하고 있다.
Figure 112003510641295-pat00001
위의 표에서 aCp는 PCCPCH에 STTD가 적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일차동기채널(Primary SCH)에 부호화된 계수이며,
위의 표에서 aCs는 PCCPCH에 STTD가 적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이차동기채널(Secondary SCH)에 부호화된 계수이다. 위의 "aCp", "aC s"에서 "C"는 "synchronization code"를 나타낸다.
SCH에 TSTD가 적용되면 짝수번째슬롯(even numbered slot)에서는 제1안테나을 통해, 홀수번째 슬롯에서는 제2안테나를 통해 SCH가 전송된다(표 2 참조).
Figure 112003510641295-pat00002
따라서, SCH에 TSTD가 적용되지 않은 상태에서 PCCPCH에 STTD가 적용되었는지를 알려면 매 슬롯에 포함된 계수를 검출하여 판단하면 된다(표1).
그러나, SCH에 TSTD가 적용된 상태에서 PCCPCH에 STTD가 적용되었는지를 알려면 짝수번째 슬롯은 제1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SCH를 검출하고, 홀수번째 슬롯은 제2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SCH를 검출하여 판단해야 한다(표2).
하지만, SCH에 TSTD가 적용되었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단말측은 두 경우를 모두 고려하여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한 프레임 내의 15개 슬롯 중 다이버시티의 적용유무에 무관하게 SCH가 항상 존재하는 짝수번째 슬롯인 8 개의 슬롯만을 검사하여 전송다이버시티를 검출하였다. 따라서,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검출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8개의 슬롯이 필요하다면 한 프레임 전체를 검사해야하기 때문에 검출 시간이 길어지고, 다수의 프레임을 검사할 경우에도 사용되는 슬롯은 절반에 그쳐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검출 시간을 단축시키고 검출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장치는, 핑거에서 수신된 이차동기코드의 패턴을 제거하고 수신되는 슬롯에 대한 이차동기채널구간 동안(256chip) 수신 데이터를 누적하는 데이터누적수단과; 상기 데이터 누적수단에 누적된 수신데이터에 TSTD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제 1 및 제 2 안테나에 대한 채널 예측값으로 채널보상을 수행하여 실질적인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데이터를 취출하는 데이터 취출수단과; SCH가 수신되는 슬롯이 짝수번째 슬롯인지 홀수번째 슬롯인지에 따라 기지국의 제1 및/또는 제2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 취출수단에서 발생된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1 및 제2계수로 선택 출력하는 계수발생기; 및, 상기 제1 및 제2계수에 따라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결정하는 판단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기는, 상기 계수발생기에서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계수를 각각 수 슬롯 동안 누적하여 판단기로 출력하는 누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기는, 복수개의 계수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계수를 합산하기 위한 제1 및 제2합산기로부터 출력되는 합산된 값에 의해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기는, 상기 복수개의 계수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계수를 각각 합산하고, 합산한 제1 및 제2계수를 각각 누적하여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방법은, 핑거에서 수신된 이차동기코드의 패턴을 제거하고 이차동기채널구간 동안 수신 데이터를 누적하는 데이터누적수단과; 상기 데이터 누적수단에 누적된 수신데이터에 제 1 및 제 2 안테나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고 실질적인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데이터를 취출하는 데이터 취출수단과; 상기 데이터 취출수단에서 발생된 실질데이터를 수신하며 적어도 하나의 핑거에 의해 복조되어 수신되는 동기채널이 홀수 및 짝수번째 슬롯인지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에 의해 제1 및 제2계수를 생성하는 계수발생단계와; 상기 계수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제1 및 제2계수에 따라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결정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 결정은, 상기 계수발생기에서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계수 각각을 수 슬롯 동안 누적기가 누적하여 판단기로 출력하는 누적값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의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 결정은, 상기 복수개의 핑거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및 제2계수를 각각 합산한 값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단계에서의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 결정은, 상기 복수개의 핑거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및 제2계수를 각각 합산하고, 합산한 제1 및 제2계수 각각을 수 슬롯 동안 누적하여 전송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수발생단계는, 상기 SCH를 통해 수신되는 슬롯이 짝수번째 슬롯이면 상기 제1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SCH를 통해 수신되는 슬롯이 홀수번째 슬롯이면 상기 제1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에 따라 상기 제1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2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에 따라 상기 제2계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계수의 크기가 "0"보다 크면 적용된 전송다이버시티가 STTD로 결정하는 제 1 판단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계수의 크기가 "0"보다 작으면, 적용된 전송다이버시티를 STTD가 아닌 것으로 결정하는 제2판단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계수 중 어느 하나의 계수가 "0"보다 크면, 절대치가 큰 계수에 의해 적용된 전송다이버시티를 결정하는 제 3판단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신되는 SCH의 슬롯이 짝수번째 슬롯인지 홀수번째 슬롯인지에 따라 기지국의 제1 및/또는 제2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를 제1 및 제2계수로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의 계수발생기와, 상기 제1 및 제2계수에 따라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결정하는 판단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송 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을 위한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계수발생기의 제어 흐름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을 위한 제어 흐름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을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PCCPCH의 STTD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 슬롯의 전동다이버시티정보를 이용하여 전송다이버시티를 검출하되, SCH의 TSTD적용유무에 관계 없이 전송다이버시티를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계수발생기(111, 112, 113...)는 다수의 핑거(140, 141,142...)에 의해 복조되어 수신되는 SCH의 슬롯이 짝수번째 슬롯인지 홀수번째 슬롯인지에 따라 제1 및 제2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 정보(A1,1, A2,1, A1,2, A2,2, ..., A1,L, A2,L)를 제1 및 제2계수(C1,1, C2,1, C1,2, C2,2, ..., C1,L, C 2,L)로 출력한다. 위에서 "At,i" 및 "Ct,i"에서 "t"는 안테나에 따른 분류를 "i"는 핑거의 번호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2에서와 같이 동작이 이루어진다. 수신되는 슬롯이 짝수이면
"C1,i = A1,i"이고 "C2,i = A1,i""이 된다. 수신되는 슬롯이 홀수이면 "C1.i = A1,i"이고 "C2,i = A2,i"이 된다.
따라서 합산된 값 K1'과 K2'는 하기의 수학식과 같이 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03510641295-pat00003
결과적으로 K1'는 TSTD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를, K2'는 TSTD가 적용되었을 경우에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검출을 위한 인디케이터(INDICATOR)가 된다.
제1 및 제2합산기(121, 122)는 각각의 핑거(140, 141,142...)에 연결된 각각의 계수발생기(111, 112,113...)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계수(C1,1, C2,1, C1,2 , C2,2, ..., C1,L, C2,L)를 합산하여 출력한다.
제1 및 제2누적기(131, 132)는 제1 및 제2합산기(121, 122)에서 출력되는 합 산된 제1계수 및 제2계수(K1', K2')를 각각 누적한다.
판단기(100)는 제1 및 제2누적기(131, 132)에서 출력되는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의 크기에 따라 전송다이버시티를 결정한다.
이하, 도1과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송다이버시티 검출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의 200 단계에서 각각의 계수발생기(111, 112,113...)는 수신되는 SCH의 슬롯이 짝수번째인지 검사한다. 짝수번째 슬롯이면 21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1 단계로 진행한다.
210 단계에서 각각의 계수발생기(111, 112,113...)는 제1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해당 슬롯의 전송다이버시티 정보(A1,1, A1,2, ..., A1,L)를 제1 및 제2계수(C1,1, C2,1, C1,2, C2,2, ..., C1,L, C2,L)로 출력한다. 이때, 제1계수(C1,1, C1,2, ..., C1,L)는 제1합산기(121)로 입력되어 각각의 핑거에서 출력되는 계수들이 합산된다. 제2계수(C2,1, C2,2, ..., C2,L)는 제2합산기(122)로 입력되어 각각의 핑거에서 출력되는 계수들이 합산된다.
211 단계에서 각각의 핑거(140)에 연결된 각각의 계수발생기(111, 112, 113...)는 제1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해당 슬롯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A1.1, A1,2, ..., A1,L)를 제1계수(C1,1, C1,2, ..., C1,L)로 출력하고, 제2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해당 슬롯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A2,1, A2,2, ..., A2,3)를 제2계수(C2,1 , C2,2, ... C2,3) 로 출력한다. 즉, 기지국의 제1안테나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되는 홀수번째 슬롯의 전송다이버시티 정보(A1,1, A1,2, ..., A1,L)는 제1계수(C1,1, C1,2, ..., C1,L)로 출력하고, 기지국의 제2안테나로부터 송신되어 수신되는 홀수번째 슬롯의 전송다이버시티 정보(A2,1, A2,2, ..., A2,3)는 제2계수(C2,1, C2,2, ... C2,3)로 출력한다. 이때, 제1계수(C1,1)는 제1합산기(121)로 입력되어 각각의 핑거(140, 141, 142...)에서 출력되는 계수들이 합산된다. 제2계수(C2,i)는 제2합산기(122)로 입력되어 각각의 핑거(140, 141, 142...)에서 출력되는 계수들이 합산된다.
220 단계에서 제1 및 제2누적기(131, 132)는 누적된 계수(K1", K2")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판단기(100)로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를 출력한다.
230 단계 이하의 단계에서 판단기(100)는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의 크기에 따라 전송다이버시티를 판별한다. 230 단계에서 판단기(100)는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큰지 검사한다. 모두 "0"보다 크면 280 단계로 진행하여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로 STTD가 적용된 것으로 판단한다.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크지 않으면 240 단계로 진행하여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작은지 검사한다.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작으면 290 단계로 진행하여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가 STTD가 아닌 NORMAL 상태로 판단한다.
240 단계에서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작지 않으면 250 단계로 진행하여 제1계수(K1")와 제2계수(K2")의 절대치를 비교하고, 제1계수(K1")가 크면 260 단계에서 제1계수(K1")의 크기에 따라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를 판단한다.
250 단계에서 제2계수(K2")가 크면 270 단계로 진행하여 제2계수(K2")의 크기에 따라 전송다이버시티를 판단한다.
위의 설명에서 220 단계는 생략할 수도 있으나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결정 단계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한 프레임 내에 수신되는 전송다이버시티정보 15개 모두 또는 일부 또는 여러 프레임을 누적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PSCH와 SSCH 둘다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를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PSCH는 모든 셀이 공통으로 사용하므로 단말기측에서 보면 수신할 때 서로 다른 기지국으로 전송된 신호가 슬롯타이밍이 일치하는 경우에 PSCH 심볼 복조 성능에 장애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고, 프레임마다 달라 상대적으로 간섭에 강한 SSCH를 사용하여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 따른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4에 따른 제2실시예는 도1의 제1실시예와는 달리 하나의 핑거(140)만을 사용하여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계수발생기(111)는 핑거(140)에 의해 복조된 SCH의 수신되는 슬롯이 짝수번째 슬롯인지 홀수번째 슬롯인지에 따라 제1 및 제2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 정보(A1,1, A2,1)를 제1 및 제2계수(C1,1, C2,1)로 출력한다.
제1 및 제2누적기(131, 132)는 계수발생기(111)에서 출력되는 제1계수 및 제2계수(C1,1, C2,1)를 각각 누적한다.
판단기(100)는 제1 및 제2누적기(131, 132)에서 출력되는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의 크기에 따라 전송다이버시티를 결정한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달리 단일의 핑거를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합산기가 불필요하며, 합산부분을 제외한 동작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다.
한편, 제1 및 제2실시예에서 장치 및 동작의 단순화를 위해서 누적기(131, 132)가 제외되고, 판단기(100)에서 누적 없이 판단할 수도 있다.
도4에 따른 제2실시예의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의 200 단계에서 계수발생기(111)는 수신되는 SCH의 슬롯이 짝수번째인지 검사한다. 짝수번째 슬롯이면 21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1 단계로 진행한다.
210 단계에서 계수발생기(111)는 제1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해당 슬롯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A1,1)를 제1 및 제2계수(C1,1, C2,1)로 출력한다.
211 단계에서 핑거(140)에 연결된 계수발생기(111)는 제1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해당 슬롯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A1,1)를 제1계수(C1,1)로 출력하고, 제2안테나를 통해 전송된 해당 슬롯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A2,1)를 제1계수(C2,1)로 출력한다.
220 단계에서 제1 및 제2누적기(131, 132)는 누적된 계수(K", K2")가 일정치 이상이 되면 판단기(100)로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를 출력한다.
230 단계 이하의 단계에서 판단기(100)는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의 크기에 따라 전송다이버시티를 판별한다. 230 단계에서 판단기(100)는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큰지 검사한다. 모두 "0"보다 크면 280 단계로 진행하여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를 STTD로 판단한다.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크지 않으면 240 단계로 진행하여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작은지 검사한다.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작으면 290 단계로 진행하여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가 STTD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240 단계에서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가 모두 "0"보다 작지 않으면 250 단계로 진행하여 제1계수(K1")와 제2계수(K2")의 절대치를 비교하고, 제1계수(K1")가 크면 260 단계에서 제1계수(K1")의 크기에 따라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를 판단한다.
250 단계에서 제2계수(K2")가 크면 270 단계로 진행하여 제2계수(K2")의 크기에 따라 전송다이버시티를 판단한다.
위의 설명에서 220 단계는 생략할 수도 있으나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결정 단계의 신뢰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한 프레임 내에 수신되는 전송다이버시티정보 15개 모두 또는 일부 또는 여러 프레임을 누적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을 부언하면 하기와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40)에서 이차동기코드(SSC)의 패턴(pattern)을 없애고 이차동기채널구간(256 chip)동안 누적한 수신 데이터에 제1 및 제2안테 나에 대한 채널보상(channel compensation)을 각각 한 후, 실질적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실수값(real data)을 취하여 계수발생기(111, 112, 113...)로 입력한다. 계수발생기로 입력된 데이터는 계수발생기(111, 112, 113...)에서 적절한 규칙에 의하여 분류하여 합산(121, 122 : combining)한 후, 누적(131, 132)하여 판단기(100)에서 두개의 계수(K1", K2")의 부호와 크기를 이용하여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를 적용 유무를 검출한다.
도1에서 "SSC"는 이차동기코드(Secondary Synchronization Code)를 나타내며, τi은 i번째 경로의 경로지연(path delay),
Figure 112003510641295-pat00008
은 제1안테나로부터 송신된 i번째 경로의 채널 예측 값,
Figure 112003510641295-pat00009
은 제1안테나로부터 송신된 i번째 경로에서 채널보상(channel compensation)된 데이터의 실수값이다. 우선 SCH의 구간에 해당하는 수신 신호에 이차동기채널(SSC)의 conjugate를 곱하여 이차동기채널 성분을 제거한 후, 이차동기채널 구간에 해당하는 256 chip 구간동안 누적한다. 256 chip 구간동안 누적된 신호에 대해 제1 및 제2안테나 각각의 채널을 보상하고 그 결과 값의 실수부를 취한다.
여기에서 제1 및 제2안테나 각각에 대해서 채널을 보상하는 이유는 SCH에는 TSTD가 적용될 수 있는데, SCH에 TSTD가 적용 될 경우 SCH는 슬롯단위로 기지국의 제1 및 제2안테나를 통해 번갈아 전송된다(표 2 참조).
그런데, 단말측은 SCH가 TSTD로 다이버시티되어 전송되었는지를 알 수 없으므로 기지국의 두 안테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모두 이용하여 신뢰할 만한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를 검출한다.
각각의 핑거(140, 141, 142...)에서 출력된 값들을 각각 합산기(121, 122)를 통해 합산되며, 검출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 수 슬롯 또는 수 프레임 동안 누적하고, 누적된 제1 및 제2계수(K1", K2")를 가지고 판단기(100)에서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를 검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든 슬롯을 이용하여 PCCPCH의 전송다이버시티를 검출함으로써, 검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검출 효율 및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1)

  1.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장치에 있어서,
    핑거에서 수신된 이차동기코드의 패턴을 제거하고 수신되는 슬롯에 대한 이차동기채널구간 동안(256chip) 수신 데이터를 누적하는 데이터누적수단과;
    상기 데이터 누적수단에 누적된 수신데이터에 TSTD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여 제 1 및 제 2 안테나에 대한 채널 예측값으로 채널보상을 수행하여 실질적인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데이터를 취출하는 데이터 취출수단과;
    SCH가 수신되는 슬롯이 짝수번째 슬롯인지 홀수번째 슬롯인지에 따라 기지국의 제1 및/또는 제2안테나에 의해 송신된 상기 데이터 취출수단에서 발생된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데이터를 각각 제1 및 제2계수로 선택 출력하는 계수발생기; 및,
    상기 제1 및 제2계수에 따라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결정하는 판단기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기는,
    상기 계수발생기에서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계수를 각각 수 슬롯 동안 누적하여 판단기로 출력하는 누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판단기는,
    복수개의 계수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계수를 합산하기 위한 제1 및 제2합산기로부터 출력되는 합산된 값에 의해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단기는,
    상기 복수개의 계수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제1 및 제2계수를 각각 합산하고, 합산한 제1 및 제2계수를 각각 누적하여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장치.
  5.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방법에 있어서,
    핑거에서 수신된 이차동기코드의 패턴을 제거하고 이차동기채널구간 동안 수신 데이터를 누적하는 데이터누적수단과;
    상기 데이터 누적수단에 누적된 수신데이터에 제 1 및 제 2 안테나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고 실질적인 전송다이버시티 정보데이터를 취출하는 데이터 취출수단과;
    상기 데이터 취출수단에서 발생된 실질데이터를 수신하며 적어도 하나의 핑거에 의해 복조되어 수신되는 동기채널이 홀수 및 짝수번째 슬롯인지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에 의해 제1 및 제2계수를 생성하는 계수발생단계와;
    상기 계수발생단계에서 발생된 제1 및 제2계수에 따라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결정하는 판단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에서의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 결정은,
    상기 계수발생기에서 입력되는 제 1 및 제 2 계수 각각을 수 슬롯 동안 누적기가 누적하여 판단기로 출력하는 누적값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의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 결정은,
    상기 복수개의 핑거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및 제2계수를 각각 합산한 값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의 시공간전송다이버시티의 유무 결정은,
    상기 복수개의 핑거에 의해 생성되는 제1 및 제2계수를 각각 합산하고, 합산한 제1 및 제2계수 각각을 수 슬롯 동안 누적하여 전송다이버시티의 적용 유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방법.
  9. 청구항 5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발생단계는,
    상기 SCH를 통해 수신되는 슬롯이 짝수번째 슬롯이면 상기 제1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SCH를 통해 수신되는 슬롯이 홀수번째 슬롯이면 상기 제1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에 따라 상기 제1계수를 생성하고, 상기 제2안테나의 전송다이버시티정보에 따라 상기 제2계수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방법.
  10.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8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계수의 크기가 "0"보다 크면 적용된 전송다이버시티가 STTD로 결정하는 제 1 판단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계수의 크기가 "0"보다 작으면, 적용된 전송다이버시티를 STTD가 아닌 것으로 결정하는 제2판단단계;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계수 중 어느 하나의 계수가 "0"보다 크면, 절대치가 큰 계수에 의해 적용된 전송다이버시티를 결정하는 제 3판단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 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 유무 검출 방법.
  11. 삭제
KR1020030035459A 2003-06-02 2003-06-02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장치 및 방법 KR100602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459A KR100602220B1 (ko) 2003-06-02 2003-06-02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5459A KR100602220B1 (ko) 2003-06-02 2003-06-02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732A KR20040103732A (ko) 2004-12-09
KR100602220B1 true KR100602220B1 (ko) 2006-07-20

Family

ID=3737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5459A KR100602220B1 (ko) 2003-06-02 2003-06-02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22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3732A (ko) 2004-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8152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подвижной станции для приема сигналов, переданных от базовой станции
KR100422845B1 (ko) Cdma방식의휴대용무선송신장치
EP203462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hannels in a W-CDMA communication system
US8411552B2 (en) Cell search method in OFDM cellular system, frame transmission method thereof, and forward link frame structure thereof
EP1269646B1 (en) Reverse link correlation filter in multi rate cd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6128329A (en) Spread-spectrum receiver
US5936999A (en) Receiver and method for generating spreading codes in a receiver
CN101316115B (zh) 导频序列信号的检测方法、设备及系统
CN101227256B (zh) 接收器设备、接收方法
KR101450295B1 (ko) 다수의 수신 다이버시티(rxd) 탐색 모드들에 따라 탐색들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5008155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 전송 장치 및 방법
KR100385802B1 (ko) Cdma 수신 장치 및 cdma 수신 방법
JP2001257626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73527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ath delay spread detection in wideband CDMA systems
JP2007525101A (ja) 広帯域符号分割多重アクセスの2次同期チャネルの周波数ロバストな検出を行う方法および装置
KR100602220B1 (ko) 비동기식 광대역 부호분할다중접속 시스템에서일차공통제어물리채널의 전송다이버시티 적용유무 검출장치 및 방법
US7366141B2 (en) Cell search method and apparatus in a WCDMA system
WO20010066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estimation with transmit diversity
JP2916457B1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US788970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pilot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777853A1 (en) Mimo transmitting apparatus, mimo receiving apparatus, and pilot symbol transmission method
KR10035384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탐색 장치 및 그 방법
US200501230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ication of transmission antenna diversity in a receiver
JP3160590B2 (ja) 直接拡散受信装置および直接拡散送信装置
KR10083604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안테나 다이버시티 검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7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