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982B1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depending on data cable connection and method - Google Patents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depending on data cable connection and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00982B1 KR100600982B1 KR1020040066087A KR20040066087A KR100600982B1 KR 100600982 B1 KR100600982 B1 KR 100600982B1 KR 1020040066087 A KR1020040066087 A KR 1020040066087A KR 20040066087 A KR20040066087 A KR 20040066087A KR 100600982 B1 KR100600982 B1 KR 1006009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rvice mode
- data cable
- setting
- communication terminal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user interface aspects for indicating selection options for a communication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depending on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nd a method thereof.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responding user interface by checking a connection state of a data cable connection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wirelessly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to set a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response.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thereof.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3. Summary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및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을 포함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ervice mode setting request signal and a service mode selection signal; Control means for check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data cable conn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 setting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to provide a corresponding user interface, and setting a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 selection signal accordingly;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data cabl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ata cabl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means.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무선통신단말기, 에이티(AT) 명령어,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 서비스 모드 설정, 데이터 서비스 모드 설정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T command, data cable connection, service mode setting, data service mode sett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중 연산/제어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eration / control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mod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service mod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 중 데이터 서비스 모드 설정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 설명도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ata service mode setting process in a service mod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1 : 무선송수신장치 12 : 연산/제어장치11: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2: operation / control device
13 : 코덱(CODEC) 14 : 저장장치13: codec 14: storage device
15 : 음성출력장치(스피커) 16 : 표시장치(LCD)15: audio output device (speaker) 16: display device (LCD)
17 : 입력장치(키패드) 18 : 음성입력장치(마이크)17: input device (keypad) 18: voice input device (microphone)
19 :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 21 : 입력부19: data cable connection device 21: input unit
22 : 연결상태 확인부 23 :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2: connection status check unit 23: user interface providing unit
24 : 서비스 모드 설정부24: service mode setting unit
본 발명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provide a corresponding user interface by checking a connection state of a data cable connection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nd a method for setting a service mode according to a response thereof.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단말기란 이동통신단말기, 개인휴대통신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 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a wireless terminal while carrying a person wirelessly A terminal that can communicate.
무선통신단말기의 수요가 급격하게 늘어남에 따라 음성 통화와 마찬가지로 데이터 통신에서도 무선통신단말기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무선 통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무선 데이터 서비스(Wireless Data Service)는 전통적인 파일 전송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을 통한 정보 검색 등과 같은 기존 공중망(PSTN, PSDN)에서 제공되는 모든 서비스를 무선 구간에서 실현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다양한 응용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무선 데이터 서비스는 유선 인터넷을 이용하지 못하는 지역이나 이동 중에 통신을 하여야 할 때, 무선통신단말기를 노트북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다.As the demand for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increases rapidly, the necess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for ensuring the mobil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is increasing in data communication as well as voice calls. Wireless Data Service is a service that can realize all services provided in existing public networks (PSTN, PSDN) such as information retrieval through Internet connection as well as traditional file transfer in the wireless section, and create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can do. In particular, the wireless data service is very convenient becaus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by connec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when a communication is required in an area where a wired internet is not available or when moving.
이와 같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로 인하여 사용자들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는 모바일 오피스(Mobile Office)를 구현하고, 각종 응용 서비스 분야에서 신속한 업무 처리가 가능하게 되어 정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Such wireless data services enable users to implement mobile offices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and to secure information competitiveness by enabling rapid business processing in various application service fields.
일반적으로 무선 데이터 서비스(Wireless Data Service)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무선통신단말기와 PC를 데이터 케이블로 연결하여 인터페이스를 형성한 후, AT 명령어(commend)를 사용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Packet data service) 또는 회선 데이터 서비스(Circuit data service) 모드를 설정하게 된다.In general, in order to use a wireless data servic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C are connected with a data cable to form an interface, and then an AT command is used for packet data service or line data. Set the service (Circuit data service) mode.
이 때, 컴퓨터와 무선통신단말기 간의 신호처리를 위하여 에이티(AT) 명령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에이티(AT) 명령어는 PC에서 무선통신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로서 PC에서만 명령이 이루어지는 단방향 기능이다.At this time, there is a method using an AT command for signal processing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T command is a command to control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from a PC.
참고적으로 에이티(AT) 명령어란 미국 헤이즈 마이크로컴퓨터(Hayes Microcomputer products)사의 스마트 모뎀(Smart modem) 및 그 호환 모뎀을 제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명령어로서, 현재에는 표준으로 되어 있는 거의 모든 모뎀이 대응하고 있다. 에이티(AT) 명령어의 본래의 명칭은 헤이즈 명령어(Hayes command)인데 통상 "AT"로 명령어가 시작되기 때문에 에이티(AT) 명령어라고 불린다. 여기에서 에이티(AT)는 주의 또는 주목이라는 의미인 "attention"의 약자이다. 에이티(AT) 명령어의 예를 들면, 모뎀을 초기화하기 위한 명령어인 "ATZ", 회선 접속 시에 통신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명령어인 "ATX1" 등이 있다. For reference, AT command is a command used to control Smart modem and compatible modem of Hayes Microcomputer products in USA, and almost all modems that are currently standard are supported. Doing. The original name of the AT command is a Hayes command, which is generally called an AT command because the command starts with "AT". AT is an abbreviation of "attention" which means attention or attention. Examples of AT commands include "ATZ", which is a command for initializing a modem, and "ATX1", which is a command for indicating a communication speed when a line is connected.
그런데, 종래에는 무선통신단기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인 에이티(AT) 명령어가 단방향 명령어이기 때문에 무선통신단말기와 연결된 PC에서만 패킷 또는 회선 데이터 서비스 모드를 설정할 수 있어 연결시마다 데이터 서비스의 모드를 새로 설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since the AT command, which is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one-way command, the packet or line data service mode can be set only in a PC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was an inconvenience to be done.
또한, 종래에는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PC에 연결되었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서비스 모드 즉, 음성 호(Voice Call) 모드,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무선통신단말기가 PC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데이터 서비스 모드 또는 팩스 서비스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는 음성 호(Voice Call)의 이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a user can set a service mode, that is, a voice call mode, a data service mode, and a fax service mode,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is connected to a PC using a data cab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C. If the user accidentally set the data service mode or the fax service mode while not connected to the voice call, there was a problem that voice calls were not availabl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 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o provide a corresponding user interface by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data cable connection devi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o set the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respons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nd a method thereof.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함은 물론, 그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 이용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responding user interface by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data cable connection devi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ts the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response, as well as the detailed setting values (service providing method,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nd a method thereof so as to store a transmission rate) in a nonvolatile memory so that the data can be used lat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t will be readily appreciated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선통신단말기에 있어서,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및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 수단;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과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외부 기기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을 연결시키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ccordance with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es: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ervice mode setting request signal and a service mode selection signal; Control means for check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data cable connection means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 setting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to provide a corresponding user interface, and setting a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service mode selection signal accordingly;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means; And data cable connecting means for connecting a data cable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means.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확인 단계; 상기 확인 단계에서 확인한 상기 데이터 케이블 연결 수단의 연결 상태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서비스 모드를 선택받는 서비스 모드 선택 단계; 및 상기 선택받은 서비스 모드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서비스 모드 설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rvice mode setting method according to whether the data cable is connected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onfirm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data cable connection means in accordance with the service mode setting request signal; A service mode selection step of selecting a service mode by providing a user interface corresponding to the connection state of the data cable connection means identified in the checking step; And a service mode setting step of setting a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selected service mode.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방법은,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을 입력받은 후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값 저장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etting value storage step of receiving and storing the detailed setting value of the service mode for use in subsequent services.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 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will be.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11),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연산/제어장치(12),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로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13),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 및 서비스 모드 설정 값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4), 상기 코덱(CODEC)(13)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른 화면(서비스 모드 설정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포함)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LCD)(16),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메뉴선택정보,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 키패드)(17),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코덱(CODEC)(13)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 및 무선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과 상기 연산/제어장치(12)를 연결시키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는 기능 이외에, 그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장치(14))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 이용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더 수행한다.The operation /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중 연산/제어장치의 일실시예 상세 구성도이다.2 is a detailed configuration diagram of an operation / control devic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산/제어장치(12)는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 및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21), 상기 입력부(21)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연결상태 확인부(22), 상기 연결상태 확인부(22)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에 따라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 및 상기 입력부(21)를 통하여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서비스 모드 설정부(2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2, the operation /
이 때,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23)는 연결상태 확인부(22)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가 "참(T)"이면 도 4의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호(Voice Call) 모드,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가 "거짓(F)"이면 도 4의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를 제외한 음성 호(Voice Call)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At this time, the user
한편,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입력부(21)를 통하여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을 입력받은 후 저장장치(14)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 값 저장부(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 여부에 따른 서비스 모드 설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setting a service mode according to whether a data cable is connecte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연산/제어장치(12)가 입력장치(17)를 통하여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301)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의 연결 상태를 확인한다(302, 303). First, when the operation /
상기 확인 결과(302, 303),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19)가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의 컴퓨터(PC)와 연결되어 있으면 도 4의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호(Voice Call) 모드,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304),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도 4의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서비스 모드, 팩스 서비스 모드를 제외한 음성 호(Voice Call)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305).As a result of the check (302, 303), if the data
그리고, 입력장치(17)를 통하여 서비스 모드 선택 신호를 입력받으면 그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한다(306).When the service mode selection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이 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장치(14))에 저장하여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stores the detailed setting value (service providing method, transmission speed) of the service mode received from the user in a nonvolatile memory (storage device 14) to be used for future services.
즉,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연산/제어장치(12)가 입력장치(17)를 통하여 데이터 서비스 모드 설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을 출력시켜, 사용자로부터 데이터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선택받는다. 그리고, 상기 선택받은 데이터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장치(14))에 저장시켜 이후의 서비스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That is, when the operation /
이 때, 서비스 제공 방식으로는 접속 형태에 따라 회선교환방식과 패킷교환방식이 있다. 먼저, 회선교환방식은 통신 개시 시점부터 완료 시점까지 대역폭을 독점하는 방식으로서 시간에 따라 요금을 부과한다. 그에 비해, 패킷교환방식은 하나의 무선 채널에 다수 이용자의 데이터를 일정한 길이의 전송단위인 패킷 단위로 축적, 블록화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서 데이터의 양에 따라 요금을 부과한다. 특히, 패킷교환방식은 전송 속도에 따라 노멀 패킷(Normal Packet), MDR(Medium Data Rate), HSDP(High Speed Packet Data) 등의 설정 값을 제공한다.At this time, there are two types of service providing methods, a circuit switching method and a packet switching method depending on the connection type. First, the circuit-switched method charges a fee according to time as a method of monopolizing a bandwidth from a communication start time to a completion time. In contrast, the packet-switched method is a method of accumulating, blocking, and transmitting data of a plurality of users in one wireless channel in a packet unit, which is a transmission unit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charg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data. In particular, the packet switching scheme provides setting values such as a normal packet, a medium data rate (MDR), and a high speed packet data (HSDP) according to a transmission speed.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된 컴퓨터(PC)의 제어(에이티 명령어)에 의해서만 서비스 모드(특히, 데이터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이 가능하여,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마다 이를 설정해 주어야 하였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이 가능하며, 그 설정 값을 비휘발성 메모리(저장장치(14))에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서비스 이용시마다 사용자가 일일이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을 설정해주지 않아도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service mode (particularly, the data service mode) can be set in detail only by the control of the computer PC connected through the data cable. In particular, the data service mode has to be set every time the data service is used.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detailed setting of the service mod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setting value can be stored in the nonvolatile memory (storage device 14) and used later. You do not need to set the detailed settings of the service mod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데이터 케이블 연결장치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여 상응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그 응답에 따라 서비스 모드를 설정함으로써, 무선통신단말기가 PC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데이터 서비스 모드 또는 팩스 서비스 모드를 설정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음성 호(Voice Call)의 불통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rresponding user interface by check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data cable connection device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sets the service mode according to the response, so that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not connected to the PC.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failure of the voice call (Voice Call) that can occur when the user inadvertently set the data service mode or the fax service mode.
또한,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서비스 모드의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 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하였다가 이후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서비스 이용시마다 세부적인 설정 값(서비스 제공 방식, 전송 속도)을 사용자가 일일이 설정해주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detailed setting value (service providing method, transmission rate) of the service mode in the non-volatile memory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later, the detailed setting value (service providing method for each service use) , Baud rate) does not need to be set manually by the user.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6087A KR100600982B1 (en) | 2004-08-20 | 2004-08-20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depending on data cable connection and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66087A KR100600982B1 (en) | 2004-08-20 | 2004-08-20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depending on data cable connection and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7422A KR20060017422A (en) | 2006-02-23 |
KR100600982B1 true KR100600982B1 (en) | 2006-07-13 |
Family
ID=3712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66087A KR100600982B1 (en) | 2004-08-20 | 2004-08-20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depending on data cable connection and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0098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3249B1 (en) * | 2006-02-22 | 2007-05-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Vertical structure nitride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iode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54939A (en) * | 1994-03-15 | 1995-10-03 | Nitsuko Corp | Communication mode automatic selection equipment |
JP2001245026A (en) | 2000-02-29 | 2001-09-07 | Sony Corp | Portable telephone set |
JP2003110667A (en) | 2001-09-26 | 2003-04-11 | Sakka Hideo | Mobile phone and its external device connecting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its user identification method |
KR20030060369A (en) * | 2002-01-08 | 2003-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switching network device |
KR20040065397A (en) * | 2003-01-14 | 2004-07-2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hading device for a side door for a vehicle |
-
2004
- 2004-08-20 KR KR1020040066087A patent/KR10060098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54939A (en) * | 1994-03-15 | 1995-10-03 | Nitsuko Corp | Communication mode automatic selection equipment |
JP2001245026A (en) | 2000-02-29 | 2001-09-07 | Sony Corp | Portable telephone set |
JP2003110667A (en) | 2001-09-26 | 2003-04-11 | Sakka Hideo | Mobile phone and its external device connecting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its user identification method |
KR20030060369A (en) * | 2002-01-08 | 2003-07-16 | 엘지전자 주식회사 |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switching network device |
KR20040065397A (en) * | 2003-01-14 | 2004-07-22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Shading device for a side door for a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7422A (en) | 2006-0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05849B1 (en) | How to Save and Play Data in a Portable Terminal | |
KR100598062B1 (en) | How to send / receive data with the cover closed | |
CN115515050A (en) |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 |
US20070232233A1 (en) | Wireless handset with bluetooth remote control and dialing functionality on voip software application, and corresponding web phone | |
WO2002056168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WO2007125379A1 (en) | Wireless local area network capacity triggered upload and download | |
KR100651479B1 (en) | How to Save and Read Data in a Portable Terminal | |
KR20080043472A (en) | Method and device for message management in portable terminal | |
US20060229015A1 (en) |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files during bluetooth communication in a wireless terminal | |
KR101771013B1 (en) |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 |
CN101022657B (en) | Mobil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the method controlled is used to the selectivity of communication path | |
KR2007010007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billing service in mobile terminal | |
US20080139250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 |
US8271030B2 (en) | Method of providing preview imag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
KR20080002081A (en) | Video communication device using VIPIP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0600982B1 (en)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service mode setting function depending on data cable connection and method | |
US20080159502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all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 |
JP2008263324A (en) | Terminal apparatus having secret mode function and secret mode switching control method | |
JP2002291052A (en) | Mobile phone | |
EP3125511B1 (en) | Cordless telephone device, cordless telephone system, and data transfer method | |
JP2002176484A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
US20080165700A1 (en) | Telephone with internet phone module | |
JP4471851B2 (en) | Inform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 |
US20130223601A1 (en) | Terminal, service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oviding message communication function while calling | |
JP2002176471A (en) |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0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