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290B1 - multi link rear suspension - Google Patents
multi link rear suspens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99290B1 KR100599290B1 KR1020040048127A KR20040048127A KR100599290B1 KR 100599290 B1 KR100599290 B1 KR 100599290B1 KR 1020040048127 A KR1020040048127 A KR 1020040048127A KR 20040048127 A KR20040048127 A KR 20040048127A KR 100599290 B1 KR100599290 B1 KR 1005992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ed
- arm
- knuckle
- vehicle body
- rear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5—Mounting of sub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후륜(1)의 내측공간에 존재하도록 디스크에 결합되어지는 너클(2)과,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이 차체측으로 결합되어 언더바디의 강성을 증진시키는 리어서브프레임(3)과, 일단은 상기 후륜(1)의 내측공간으로 위치되어 상기 너클(2)의 상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상에 고정결합되는 어퍼암(4)과, 상기 어퍼암(4)의 하측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후륜(1)의 내측공간으로 위치되어 상기 너클(2)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의 밑면에 고정결합되는 로어암(5)과,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과 같이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너클(2)측에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6)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에서 차체의 전방쪽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너클(2)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어시스트암(7)과, 상기 어시스트암(7)의 하부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너클(2)에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측으로 결합되는 트레일링암(8)과, 상기 로어암(5)상에 형성된 안착홈(5a)으로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은 차체측으로 결합되어지는 코일스프링(9)과, 노면(R)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후륜(1)의 중심(C)을 관통하는 중심선(CL1)에 대해 소정의 오프셋 각도(θ1)를 갖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하단은 상기 로어암(5)과 상기 어시스트암(7)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너클(2)과 결합되고 상단은 차체측으로 결합되어지는 쇽업소버(10)로 구성되어져, 트렁크룸의 공간이 대 폭 증대되게 되고, 차체쪽으로의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이 최소화되어 실내소음의 감소와 승차감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보다 안정된 제동성 및 선회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k rear suspension, wherein the knuckle (2) coupled to the disk to exist in the inner space of the rear wheel (1), and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in the state of being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the rigidity of the underbody And an upper arm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knuckle 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rear frame 3 so as to be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ar wheel 1. (4) and one end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rm (4)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ar wheel (1)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knuckle (2) and the other end is the reservoir frame (3) A lower arm 5 fixedly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lower arm; and a stabilizer 6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knuckle 2 side while being disposed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such as the rear frame 3; and the rear frame 3; Once placed toward the front of the car body An assist arm 7 coupled to the knuckle 2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frame 3 and one end of the assist arm 7 is disposed to fac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vehicle body at a lower portion of the assist arm 7. The coil is coupled to the knuckle 2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trailing arm 8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and a seating groove 5a formed on the lower arm 5, and the upper end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e lower end in the state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it may have a predetermined offset angle (theta) 1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CL1 which penetrates the center C of the rear wheel 1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 vertical with respect to the road surface R and the road surface R may be carried out.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arm (5) and the assist arm (7) is coupled to the knuckle (2) and the upper end is composed of a shock absorber (10)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e space of the trunk room is greatly increased And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and noise to the vehicle body is minimized. It is able to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noise and improvement of ride comfort, as well as to the to ensure stable than the same sex and turning propertie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link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리어서브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rear subframe is removed from FIG. 1;
도 3은 도 2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에서 속업소버의 장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후륜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a rear wheel for explain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quick absorber in the multi-link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1을 차체의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5 is a rear view of FIG. 1 as viewed from the rear of the vehicle body;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현가장치에 의해 사이드멤버의 직선화가 이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side member is straightened by the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주행중 제동시 후륜에 토인현상이 발생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oe phenomenon occurs in the rear wheel during braking while driving;
도 8은 선회주행시 선회외륜에 토인현상이 발생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oe phenomenon occurs in the turning paddle wheel during turning driving.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 후륜 2 - 너클1-rear wheel 2-knuckle
3 - 리어서브프레임 4 - 어퍼암3-Rear Frame 4-Upper Arm
5 - 로어암 6 - 스태빌라이저5-Lower Arm 6-Stabilizer
7 - 어시스트암 8 - 트레일링암7-assist arm 8-trailing arm
9 - 코일스프링 10 - 쇽업소버9-coil spring 10-shock absorber
본 발명은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link rear suspension.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suspension)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 또는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 suspension of a vehicle is a device that prevents damage to a vehicle body or a load and improves ride comfort by preventing vibration or shock received from a road surface from being directly transmitted to the vehicle body when the vehicle is connected by connecting the axle and the vehicle body.
이러한, 현가장치는 크게 프런트현가장치와 리어현가장치로 분류되며, 그 중 리어현가장치에는 보통 3 내지 5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액슬의 위치를 결정하는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가 차종에 따라 적용되기도 한다.Such suspension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ront suspensions and rear suspensions, and among them, a multi-link rear suspension that uses three to five link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axle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vehicle type. .
상기와 같은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는 링크의 배치에 의하여 전후좌우에 힘이 걸린 상태에서 서스펜션이 상하로 움직였을 때의 얼라인먼트 변화를 최적화하여 밸런스가 잡힌 조향성을 확보하는 것으로서, 통상 더블 위시본식 현가장치를 변형한 형태의 것이 주로 사용되어 진다.The multi-link rear suspension as described above optimizes the change in alignment when the suspension is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force is applied to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s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link to secure balanced steering. The modified form is mainly used.
한편,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는 그 구성품에 해당하는 어퍼암이 리어휠하우스패널에 직접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트렁크룸의 공간이 상기 어퍼암에 의해 침범당하여 협소한 공간을 갖게 되며, 또한 노면으로부터의 진동이 상기 어퍼암을 통해 차체쪽으로 직접 전달되기 때문에 실내소음이 증가하고 더불어 승차감이 나빠지게 되는 경향을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multi-link rear suspension device, the upper arm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 is generally mounted directly on the rear wheel house panel, so that the space of the trunk room is invaded by the upper arm and thus has a narrow space. Since vibration is transmitted directly to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upper arm, indoor noise is increased and ride comfort tends to be deteriorated.
따라서, 최근에는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를 적용하는 차량에 있어서 트렁크룸의 공간을 증대시키고 또한 실내소음의 감소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recent years,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increase the space of the trunk room and to reduce the indoor noise and improve the riding comfort in a vehicle to which the 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is applied.
이에 본 발명은, 트렁크룸의 공간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실내소음의 감소 및 승차감의 향상을 이룩할 수 있도록 보다 효율적인 구조를 갖는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ulti-link rear suspension having a more efficient structure to increase the space of a trunk room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noise of the room and improve the riding comfor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어현가장치는, 후륜의 내측공간에 존재하도록 디스크에 결합되어지는 너클과,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이 부시를 매개로 차체측으로 결합되어 언더바디의 강성을 증진시키는 리어서브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후륜의 내측공간으로 위치되어 상기 너클의 상단부와 볼조인트를 통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상에 부시를 매개로 고정결합되는 어퍼암과, 상기 어퍼암의 하측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후륜의 내측공간으로 위치되어 상기 너클의 하단부와 부시를 매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의 밑면에 부시를 매개로 고정결합되는 로어암과, 상기 리어서브프레임과 같이 차폭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양단이 상기 너클측에 결합되는 스태빌라이저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에서 차체의 전방쪽으로 배치되어 일단은 상기 너클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어시스트암과, 상기 어시스트암의 하부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일단은 상기 너클에 결합되고 타단은 차체측으로 결합되는 트레일링암과, 상기 로어암상에 형성된 안착 홈으로 하단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단은 수직한 방향으로 차체측에 결합되어지는 코일스프링과, 노면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후륜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에 대해 소정의 오프셋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하단은 상기 로어암과 상기 어시스트암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너클과 결합되고 상단은 차체측으로 결합되어지는 쇽업소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Rear suspen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knuckle is coupled to the disk to exist in the inner space of the rear wheel,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rough the bush in the state of being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underbody A rear frame for enhancing rigidity, an upper end of which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ar wheel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knuckle through a ball joint,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rear frame by means of a bush; It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rm and one end is loc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ar wheel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knuckle through the bush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bottom of the rear frame frame via the lower arm and And a stabilizer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knuckle side while being disposed in a vehicle width direction such as the rear frame. An assist arm is dis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vehicle body in the subframe and is coupled to the knuckle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ar frame, and is disposed so as to face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t the bottom of the assist arm. A trailing arm coupled to the knuckle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a coil spring having a lower end inserted into and fixed to a seating groove formed on the lower arm, and the upper e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perpendicular to the road surface. The shock absorber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lower arm and the assist arm in a state arranged to have a predetermined offset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rear wheel in the direction and engaged with the knuckle and the upper end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리어서브프레임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link rear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ear frame is removed in Figure 1;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링크식 리어현가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클(2), 리어서브프레임(3), 어퍼암(4), 로어암(5), 스태빌라이저(6), 어시스트암(7), 트레일링암(8), 코일스프링(9), 쇽업소버(1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진다.Multi-link rear susp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to 5 knuckle (2), revolve frame (3), upper arm (4), lower arm (5), stabilizer (6), The
여기서, 상기 너클(2)은 후륜(1)의 내측공간에 존재하도록 디스크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진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은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양단이 부시를 매개로 차체측으로 결합되거나 또는 차체측에 직접 결합됨으로써 언더바디의 강성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frame 3 serves to enhance rigidity of the underbody by being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through the bush or directly coupled to the vehicle body side in a state in which the rear frame 3 is disposed in the vehicle width direction.
상기 어퍼암(4)은 그 일단이 상기 후륜(1)의 내측공간으로 위치되어 상기 너클(2)의 상단부와 볼조인트를 통해 결합되고, 반대편의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 임(3)상에 부시를 매개로 고정결합된다.One end of the
상기 로어암(5)은 상기 어퍼암(4)의 하측에 평행하도록 배치되면서 그 일단은 상기 후륜(1)의 내측공간으로 위치되어 상기 너클(2)의 하단부와 부시를 매개로 결합되고, 반대편의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의 밑면에 부시를 매개로 고정결합된다.The
상기 스태빌라이저(6)는 차체의 후방쪽을 향하는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의 일측면에서 리어서브프레임(3)과 평행하게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지며, 그 양단은 상기 너클(2)측에 부시를 매개로 결합되어 진다.The
상기 어시스트암(7)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에서 차체의 전방쪽으로 배치되며 그 일단은 상기 너클(2)에 부시를 매개로 결합되고, 반대편의 타단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의 일측면에 부시를 매개로 결합된다.The
상기 트레일링암(8)은 상기 어시스트암(7)의 하부에서 차체의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지며 그 일단은 상기 너클(2)에 부시를 매개로 결합되고, 반대편의 타단은 차체측에 부시를 매개로 결합되어 진다.The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9)은 그 하단이 상기 로어암(5)상에 형성된 안착홈(5a)으로 삽입되어 고정되어지고, 반대편의 상단은 스프링시트(9a)를 통해 차체측으로 결합되어진다.The
마지막으로, 상기 쇽업소버(10)는 노면(R)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후륜(1)의 중심(C)을 관통하는 중심선(CL1)에 대해 소정의 오프셋 각도(θ1)를 갖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그 하단은 상기 로어암(5)과 상기 어시스트암(7)사이의 공간 으로 삽입되어 너클(2)과 결합되고, 반대편의 상단은 차체측으로 결합되어 진다.Finally, the
여기서, 상기 어퍼암(4)은 리어서브프레임(3)과 결합되는 끝단이 전방단부(4a)와 후방단부(4b)로 분기되면서 각 단부는 부시를 매개로 리어서브프레임(3)과 결합되어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쇽업소버(10)는 차체의 전방쪽으로 경사진 오프셋 각도(θ1)를 갖도록 설치되어 진다.The
그리고, 상기 로어암(5)의 양단의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길이(L4)는 상기 어시스트암(7)의 양단의 중심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길이(L5)보다 길게 형성되어 진다.The length L4 connecting the centers of both ends of the
또한, 상기 로어암(5)은 너클(2)과 결합된 일단의 위치보다 리어서브프레임(3)의 밑면과 결합된 타단의 위치가 상기 후륜(1)의 중심을 횡방향으로 연결한 중심선(CL3)에 대해 차체의 후방쪽으로 더 이동된 상태로서 장착되어 진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중심선(CL3)과 상기 로어암(5)의 양단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길이(L4)사이에는 소정의 오프셋 각도(θ2)가 형성되어 진다.In this case, a predetermined offset angle θ2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line CL3 and the length L4 connecting both ends of the
그리고, 상기 어시스트암(7)은 너클(2)과 결합된 일단의 위치보다 리어서브프레임(3)의 일측면에 결합된 타단의 위치가 상기 후륜(1)의 중심을 횡방향으로 연결한 중심선(CL3)에 대해 차체의 전방쪽으로 더 이동된 상태로서 장착되어 진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중심선(CL3)과 상기 어시스트암(7)의 양단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길이(L5)사이에는 소정의 오프셋 각도(θ3)가 형성되어 진다.In this case, a predetermined offset angle θ3 is formed between the center line CL3 and the length L5 connecting both ends of the
한편, 상기 로어암(5)은 중심선(CL3)에 대한 오프셋 각도(θ2)가 상기 어시스트암(7)의 오프셋 각도(θ3)보다 큰 각도를 갖도록 설치되어 진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는 너클(2)이 후륜(1)의 내측공간에 위치하도록 그 크기가 대폭 축소되고, 어퍼암(4)은 하향 배치되어 그 일단이 너클(2)과 결합되어지며, 또한 쇽업소버(10)는 그 하단이 로어암(5)과 어시스트암(7)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어 너클(2)과 결합되어 짐으로써, 트렁크룸의 공간을 형성하는 리어휠하우스패널(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쇽업소버(10)가 이동된 거리만큼 하강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multi-link rear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s size is greatly reduced so that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멀티링크 리어현가장치를 실차에 적용하게 되면 트렁크룸의 공간을 기존에 비해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vehic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ace of the trunk room can be grea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existing one.
그리고, 본 발명은 어퍼암(4)의 일단이 전방단부(4a)와 후방단부(4b)로 분기되는 구조이므로, 노면으로부터 전달되어 온 진동 및 충격등은 상기 전방단부(4a)와 후방단부(4b)통해 분산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of the
이와 같은, 진동 및 충격의 분산효과는 어퍼암(4)의 소정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어퍼암(4)은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As such, the dispersion effect of vibration and shock can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stress is concentrat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어퍼암(4)은 기존과 같이 직접 차체쪽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리어서브프레임(3)상에 결합되어짐으로써, 어퍼암(4)으로 전달된 노면의 진동 및 충격등은 상기 리어서브프레임(3)을 통과하는 과정상에서 대폭 절연되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차체쪽으로의 전달이 최소화됨으로써 실내소음의 감소와 승차감의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쇽업소버(10)의 오프셋 각도(θ1)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외력이 전달되어 올 때 응답성을 좋게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댐핑성능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의 승차감은 크게 향상되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the offset angle (θ1) of the shock absorber 10,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when the external force is transmitted from the road surface, thereby increasing the damping performance By doing so, the riding comfort of the vehicle is greatly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코일스프링(9)과 쇽업소버(10)가 분산되어 설치됨으로써, 노면으로부터 전달되어오는 외력도 상기 코일스프링(9)과 쇽업소버(10)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차체쪽으로의 전달이 최소화되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그리고, 본 발명은 어퍼암(4)이 하향 배치됨과 더불어 코일스프링(9)과 쇽업소버(10)가 분산 설치됨으로써 사이드멤버(23)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화가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따라, 후방 충돌사고 발생시에는 직선화된 사이드멤버(23)에 의해 충격에너지의 흡수력이 증대됨으로써, 탑승객의 안전은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n the event of a rearward collision, the absorbing power of the impact energy is increased by the straightened
그리고, 본 발명의 리어서스펜션은 제동시 후륜(1)에 약간의 토인(toe-in)현상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제동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a slight toe-in phenomenon occurs in the
즉, 제동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륜(1)에 외력(F)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during braking, the external force F is generated in the
이때, 로어암(5)은 리어서브프레임(3)과의 결합점(A)을 중심으로 궤적(T1)을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갖게 되고, 어시스트암(7)은 리어서브프레임(3)과의 결합점(B)을 중심으로 궤적(T2)을 따라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을 갖게 된다.At this time, the
이에 따라, 상기 로어암(5)과 너클(2)과의 결합점(C)은 궤적(T1)에 의해 후륜(1)의 내측으로 들어가는 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어시스트암(7)과 너클(2)과의 결합점(D)은 궤적(T2)에 의해 후륜(1)의 외측으로 나오는 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coupling point C between the
따라서, 제동시 외력(F)을 받는 후륜(1)은 그 앞쪽이 좁아지게 되는 토인(toe-in)현상이 발생되어지게 되며, 이와 같은 토인현상을 통해 차량은 안정된 제동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a toe-in phenomenon in which the
또한, 본 발명의 리어현가장치는 횡력작용시 로어암(5)에 결합된 부시의 강성보다 어시스트암(7)에 결합된 부시의 강성을 약하게 튜닝시켜 주면, 선회주행시 선회외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인(toe-in)현상이 발생되어지게 된다.In addition, the rear susp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unes the rigidity of the bush coupled to the assist
이와 같은, 토인현상은 결국 선회외륜이 언더 스티어(under steer)의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써, 선회주행중인 차량은 보다 안정된 선회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toe phenomenon causes the turning paddle to have an understeer characteristic, so that the vehicle in turn can secure more stable turning ability.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리어현가장치는, 트렁크룸의 공간이 대폭 증대되게 되고, 차체쪽으로의 진동 및 소음의 전달이 최소화되어 실내소음의 감소와 승차감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보다 안정된 제동성 및 선회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suspen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ncreases the space of the trunk room, minimizes the transmission of vibration and noise toward the vehicle bod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reduction of indoor noise and the improvement of ride comfort. It is effective to ensure stable braking and turning.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B2004100969242A CN100457481C (en) | 2003-12-06 | 2004-12-06 | Multi-link rear-suspension system |
JP2004352892A JP4748765B2 (en) | 2003-12-06 | 2004-12-06 | 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
DE200410058748 DE102004058748B4 (en) | 2003-12-06 | 2004-12-06 | Multi-link rear suspension |
FR0412964A FR2863206B1 (en) | 2003-12-06 | 2004-12-06 | MULTI LINK REAR SUSPENSION SYSTEM |
US11/005,405 US7243934B2 (en) | 2003-12-06 | 2004-12-06 | 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
AU2004236571A AU2004236571B2 (en) | 2003-12-06 | 2004-12-06 | 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30088383 | 2003-12-06 | ||
KR1020030088383 | 2003-12-0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5064A KR20050055064A (en) | 2005-06-10 |
KR100599290B1 true KR100599290B1 (en) | 2006-07-14 |
Family
ID=3725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481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9290B1 (en) | 2003-12-06 | 2004-06-25 | multi link rear suspens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9929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14681B2 (en) * | 2010-02-15 | 2015-08-25 | Volvo Trucks AB | Suspension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and automotive vehicle comprising such a suspension assembly |
DE102018101280A1 (en) * | 2018-01-22 | 2019-07-25 |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 Axle device for the connection of a wheel to the body of a vehicle |
KR102082828B1 (en) | 2018-03-16 | 2020-02-28 | (주)동희산업 | Pressing apparatus for bush of suspension arm |
US11370258B2 (en) * | 2020-09-28 | 2022-06-28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Trailing blade suspension system with angled blade |
-
2004
- 2004-06-25 KR KR1020040048127A patent/KR1005992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55064A (en) | 2005-06-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748765B2 (en) | Multilink rear suspension system | |
KR101461902B1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 |
US7427113B2 (en) | Ball and socket mount for shock absorber of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 |
US5704632A (en) |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 |
KR20120057143A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 |
KR101461916B1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 |
US9150079B2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suspension system | |
JP5240714B2 (en) | Insulator for bush | |
KR100599290B1 (en) | multi link rear suspension | |
CN100457481C (en) | Multi-link rear-suspension system | |
KR101491180B1 (en) |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system and manufacture method for vehicle | |
KR100901598B1 (en) | Spindle Bracket for Rear Suspension of Small Vehicles | |
KR20230012186A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
KR20110075830A (en) | Rear suspension | |
KR102326466B1 (en) | Coupled torsion beam axle for rear suspension of vehicle | |
CN115707584B (en) | Multi-connecting rod rear suspension assembly and automobile | |
KR20080054679A (en) | Rear suspension of car | |
KR100224493B1 (en) | Rear suspension of vehicle | |
KR200491248Y1 (en) | rolling preventing device of automobile axle | |
KR200270375Y1 (en) | Suspension for vehicle | |
KR100793902B1 (en) | Vehicle Rear Suspension | |
KR100422485B1 (en) | Bush structure for trailing link members for a rear suspension system | |
KR20050100176A (en) | Rear suspension system of vehicle | |
KR20020051760A (en) | The compound torsion beam axle typed suspension having double cushioned action | |
KR20090045725A (en) | Car rear suspen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7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7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6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