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7475B1 -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 Google Patents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7475B1
KR100597475B1 KR1020040068569A KR20040068569A KR100597475B1 KR 100597475 B1 KR100597475 B1 KR 100597475B1 KR 1020040068569 A KR1020040068569 A KR 1020040068569A KR 20040068569 A KR20040068569 A KR 20040068569A KR 100597475 B1 KR100597475 B1 KR 100597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fastening
plate
horizont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8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3399A (ko
Inventor
김평진
Original Assignee
김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평진 filed Critical 김평진
Priority to KR1020040068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74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8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3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를 이루는 판재의 손상없이 견고하게 판재간을 결합시키고 분해 후 재조립 하더라도 견고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중앙부에 수직관통홀(14)이 형성되는 수평판(12)과, 그 수평판의 상부 일측에는 수평관통홀(15)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직판(17)이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연결구(10)와; 상기 수직관통홀(14) 및 수평관통홀(15)에 관통되는 체결용 볼트(30,30')와; 가구용 판재에 기형성된 볼트관통홀 및 수용홈에 끼워져 고정되되, 몸체(22)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연결구(10)의 수직관통홀(14) 및 수평관통홀(15)을 관통한 상기 체결용 볼트(30,30')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너트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구를 조립시에 가구를 구성하는 판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규격화된 가구를 대량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된 가구를 분해 후 재조립하더라도 판재의 손상없이 그대로 사용하므로 경제적이며 가구의 판재 간 접촉부분의 파손이 없어 가구의 견고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가구, 판재, 볼트

Description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Combining apparatus for furniture}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형태의 가구의 체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연결구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너트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의 체결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가구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이용해 조립된 가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연결구를 이용한 체결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체결연결구 14 : 수직관통홀
15 : 수평관통홀 18 : 걸림턱
20,20' : 체결너트구 24 : 너트
26,26' : 고정용 탄성날개 30,30' : 체결용 볼트
100 : 가로판재 200,200' : 세로판재
본 발명은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구를 이루는 판재의 손상없이 견고하게 판재간을 결합시키고 분해 후 재조립하더라도 견고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는 목재나 칩보드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 다수의 판재를 상호 결합시켜 완성하게 된다.
이때, 판재간에 서로 맞닿는 이음매 부분을 다양한 형상의 금속재 연결구를 판재에 맞대놓은 상태에서 볼트를 관통시켜 결합시키는 구조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가구의 판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에 따르면 'ㄱ'자형 금속판(4)을 직교하는 가로판재(100)와 세로판재(200)의 내측 코너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나사못(3)을 이용하여 체결하여 가로판재(100) 및 세로판재(200)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결구조로 제작된 가구는 통상 그 형태가 가구로서 완성된 상태에서 이동 또는 운반을 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제한이 따른다.
즉, 가구의 크기에 따라서 운반 시에 2인 이상의 인력이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되며, 공간이 협소하여 이동 및 운반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 곤란을 겪게 되는 일이 발생하며, 또한 잦은 가구의 이동으로 가구를 이루는 가로판재(100) 및/또는 세로판재(200)의 연결부위에 비틀림 등의 외력이 가해져 체결수단인 나사못(3)의 나사산이 헐거워지거나 망가지고, 가구의 손상이 심해져 수명이 단축되는 결점이 있었다.
물론, 상기한 방법에 의해 조립된 가구를 운반 설치시에 판재가 어긋나거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장소에 조립전의 부품상태로 운반해 와서 조립설치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 실재 가구의 사용자가 원하지 아니하는 방향으로 조립된 경우, 나사못(3)을 다시 분리해 내게 되는데 이같은 경우 판재(100,200)에는 나사못(3)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미관을 해치고, 아울러 금속판(4)의 설치위치를 약간 이동한 경우에는 나사못(3)이 기존의 관통홀에 파고들어 경사지게 결합되어 가구의 판재 간 접촉부분의 파손이 쉽게 일어나 가구의 견고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 성향 및 방법에 따라 가구의 견고성과 외관이 상당히 달라져 일관성이 없어 동일한 가구를 대량 생산함에 있어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구를 조립시 판재의 파손이 없이 체결할 수 있고, 다른 장소에 설치하기 위해 분해 후 재조립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더라도 가구의 파손을 방지하는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규격화된 조립식 가구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조립식 가구의 설치 및/또는 조립 작업의 능률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에 수직관통홀(14)이 형성되는 수평판(12)과, 그 수평판의 상부 일측에는 수평관통홀(15)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직판(17)이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연결구(10)와; 상기 수직관통홀(14) 및 수평관통홀(15)에 관통되는 체결용 볼트(30,30')와; 가구용 판재에 기형성된 볼트관통홀 및 수용홈에 끼워져 고정되되, 몸체(22)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연결구(10)의 수직관통홀(14) 및 수평관통홀(15)을 관통한 상기 체결용 볼트(30,30')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너트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체결연결구(10)의 수평판(12) 또는 수직판(17)중에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가구를 구성하는 판재(200)의 일단부가 밀착가능한 걸림턱(1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너트구(20)는 몸체(22)의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24a)이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너트(24)가 결합되고, 그 몸체(22)의 양측면에는 가구를 구성하는 세로판재(200)에 기형성된 수용홈(202)에 끼워지되 헐거워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202)에 끼우면 수용홈(202)의 벽면에 지지되는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예에 의하여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연결구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구성하는 체결너트구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의 체결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가구를 조립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이용해 조립된 가구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연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연결구를 이용한 체결상태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3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 립용 체결 장치는 가구를 구성하는 가로판재(100) 및/또는 세로판재(200,200')간에 위치하며 가로판재(100) 또는 세로판재(200,200')를 인접한 가로판재(100) 또는 세로판재(200,2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연결구(10)와, 가로판재(100) 또는 세로판재(200')에 형성되는 수용홈(102,202)에 끼워지는 체결너트구(20,20')와, 상기 체결연결구(10)와 체결너트구(20,20')를 결속시키기 위해 결합되는 체결용 볼트(30,30')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한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이루는 각각의 구성 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체결연결구(10)는 합성수지재 내지 금속재 또는 비철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평판(12)의 상부 일측에 수직판(17)이 직립하는 "L"자 형상으로서, 상기 수평판(12) 중앙부에 상기 체결용 볼트(30)가 수직으로 관통되는 수직관통홀(14)이 형성되고, "+"자, "-"자, "ㅁ"자 중에 어느 하나의 홈이 형성된 볼트머리(32)가 안착가능한 볼트머리 안착홀(16)이 상기 수직관통홀(14)에 비해 확장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연결구(10)의 수평판(12) 하단에는 하측의 세로판재(200)가 안착이 가능하도록 걸림턱(18)이 형성되어 세로판재(200)가 제위치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판(12)의 일측에는 수평판(12)와 동일 재질이며 일체로 수직판(17)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판(17)의 중앙부에는 수평하는 방향으로 수평관통홀(15)이 형성되는데 그 수평관통홀(15)에도 상기 수평판(12)의 수직관통홀(14)에 체결되는 체결용 볼트(30)와 동일한 크기의 체결용 볼트(30')가 관통된다.
이와같은 체결연결구(10)의 수직관통홀(14)의 하부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가구를 구성하는 하부 세로판재(200)에 형성되는 수용홈(202)에 끼워지는 체결너트구(20)는 상기 체결용 볼트(30)의 수나사산(30a)과 함께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연결구(10)와 동일한 재질의 몸체(22)의 중앙에는 관통되며 내주면에 암나사산(24a)이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너트(24)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체결너트구(20) 몸체(22)의 양 측면에는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구비되어 가로판재(100) 또는 세로판재(200)의 수용홈(102,202)에 끼워지는 경우 헐거워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체결너트구(20)의 고정용 탄성날개(26,26')는 상기 세로판재(200)의 수용홈(202)에 끼워지기 전에는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펼쳐진 상태이나, 수용홈(202)에 매입 설치되면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수용홈(202)의 벽면을 지지하게 되어 몸체(22) 쪽으로 움츠리게 되어 이탈이 방지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몸체(22)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접히는 부분에 안착홈(28,28')이 형성되어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몸체 쪽으로 접히게 되면 안착홈(28,28')으로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홈(102,202)은 가구를 조립시 가로판재(100)의 경우에는 그 하단부를 파지한 상태로 형성하고, 세로판재(200,200')의 경우에는 안쪽면을 파지한 상태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쉽게 눈에 띄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은 체결너트구(20)는 체결연결구(10)의 수평관통홀(15)에서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가구를 구성하는 수평하는 가로판재(100)에 형성되는 수용홈(202)에도 매입 설치되며 이 경우에도 상기 체결연결구(10)의 수직관통홀(14)의 하부에 위치하는 세로판재(200)에 매입 설치되는 체결너트구(20)와 동일하게 구성하게 됨으로써, 부품의 규격의 표준화를 통해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로판재(200) 및 가로판재(100)의 볼트관통홀(104,204)은 실제 체결용 볼트(30,30')의 길이에 비해 더 깊게 형성하여 체결용 볼트(30,30')로 나사결합시 체결연결구(10)와 세로판재(200) 및 가로판재(100)의 나사결합시 결합력을 극대화시킴은 물론 조립작업시 체결용 볼트(30,30')가 파고들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감소시키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가로판재(100) 및 세로판재(200,200')는 편의상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위치에 결합되거나 위치변경되는 판재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당연하다.
이하, 도 2a 내지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를 이용하여 가구를 조립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도 4 내지 도 5는 독서실에 구비되는 독서실용 책상(1)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부에 서랍문(2)이 형성된 것으로 이에 따르면 하측의 세로판재(200)와 상측의 세로판재(200')의 사이에 체결연결구(10)가 위치하게 된다.
먼저, 체결연결구(10)의 수평판(12)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8)과 수평판(12) 하단에 하측 세로판재(200)의 상단부가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세로판재(200)의 상단에는 볼트삽입홀(204)이 형성되고, 그 볼트삽입홀(204)의 하단부에는 체결너트구(20)가 매입될 수 있는 수용홈(202)이 세로판재(200)의 일측면(200a)이 개구된 상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홈(202)에 체결너트구(20)를 끼우게 되면, 그 양단에 형성된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접혀지면서 수용홈(202)의 내부에 지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체결용 볼트(30)를 체결연결구(10)의 수평판(12)에 형성된 수직관통홀(14)에 삽입 관통시킨후 드라이버 또는 랜치와 같은 공구(미도시됨)를 이용하여 볼트머리(32)를 일방향으로 조이게 되면 볼트삽입홀(14)을 관통하여 수용홈(202)에 매입 설치된 체결너트구(20)의 암나사산(24a)과 나사결합되면서 하측 세로판재(200)에 체결연결구(10)가 고정된다. 이때, 볼트머리(32)가 체결연결구(10)의 수평판(12)에 형성된 볼트머리 안착홀(16)에 완전히 밀착될때 까지 나사결합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볼트삽입홀(204')이 형성된 상측 세로판재(200')의 하단이 수직판(17)과 수평판(12)의 상부 사이에 밀착되도록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직판(17)의 타면에는 가로판재(10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가로판재(100) 역시 그 단부에는 볼트삽입홀(104)이 형성되고, 그 볼트삽입홀(104)의 후단부에는 체결너트구(20')가 매입될 수 있는 수용홈(102)에 다른 체결너트구(20')를 끼우게 되면, 그 양단에 형성된 고정용 탄성날개가 접혀지면서 수용홈(102)의 내수직판면에 지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체결용 볼트(30')를 상측 세로판재(200')에 형성된 볼트삽입홀(204')에 삽입 관통시키고 수직판(17)의 수평관통홀(15)을 관통시켜 가로판재(100)의 볼트삽입홀(104)을 거쳐 수용홈(102)에 지지된 체결너트구(20')의 암나사산에 나사결합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분해시에는 상기 체결용 볼트(30')를 제거하게 되면, 가로판재(100)와 상측 세로판재(200')가 분리되고 이를 분리해낸 상태에서 하측 세로판재(200)를 지지하는 체결용 볼트(30)를 분리해 내면 세로판재(200,200') 및 가로판재(100)의 손상없이 완벽하게 분해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으로 분해 및 결합을 하더라도 가구의 손상이 없고 견고함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상측의 판재(200')와 하측의 판재(200)의 단부가 서로 맞닿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측의 판재의 단부에 체결연결구(10)의 수평판(12)이 안착될 수 있는 홈(210)을 더 형성하여 조립이 가능함을 알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은 체결연결구(10)의 수평판(12)의 두께를 상기 실시예보다 얇게 형성하고 수직판(17)에도 볼트머리 안착홀(16)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볼트머리 안착홀(13)을 더 형성하여, 서로 직교하는 판재(100,200)들을 결합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판(12)의 일측 하부에도 걸림턱(18)이 형성되어 일측 판재(2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조립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18)은 수평판(12)의 하부에만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수직판(17)의 일측에 형성함도 동일한 기술범주에 속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구를 조립시에 가구를 구성하는 판재의 손상을 방지하고, 규격화된 가구를 대량으로 조립할 수 있으며, 조립된 가구를 분해 후 재조립하더라도 판재의 손상없이 그대로 사용하므로 경제적이며 가구의 판재 간 접촉부분의 파손이 없어 가구의 견고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규격화된 조립식 가구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조립식 가구의 설치 및/또는 조립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중 잘못 조립할 염려가 없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중앙부에 수직관통홀(14)이 형성되는 수평판(12)과, 그 수평판의 상부 일측에는 수평관통홀(15)이 중앙부에 형성되는 수직판(17)이 일체로 형성되는 체결연결구(10)와;
    상기 수직관통홀(14) 및 수평관통홀(15)에 관통되는 체결용 볼트(30,30')와;
    가구용 판재에 기형성된 볼트관통홀 및 수용홈에 끼워져 고정되되, 몸체(22)의 중앙부에는 상기 체결연결구(10)의 수직관통홀(14) 및 수평관통홀(15)을 관통한 상기 체결용 볼트(30,30')가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너트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연결구(10)의 수평판(12) 또는 수직판(17)중에 어느 하나의 하단에는 가구를 구성하는 판재(200)의 일단부가 밀착가능한 걸림턱(18)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너트구(20)는 몸체(22)의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24a)이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너트(24)가 결합되고, 그 몸체(22)의 양측면에는 가구를 구성하는 세로판재(200)에 기형성된 수용홈(202)에 끼워지되 헐거워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 기 위해 상기 수용홈(202)에 끼우면 수용홈(202)의 벽면에 지지되는 고정용 탄성날개(26,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KR1020040068569A 2004-08-30 2004-08-30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KR10059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569A KR100597475B1 (ko) 2004-08-30 2004-08-30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8569A KR100597475B1 (ko) 2004-08-30 2004-08-30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399A KR20040083399A (ko) 2004-10-01
KR100597475B1 true KR100597475B1 (ko) 2006-07-10

Family

ID=37367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8569A KR100597475B1 (ko) 2004-08-30 2004-08-30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747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65B1 (ko) 2008-07-18 2010-08-16 주식회사 코아스웰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KR20160059751A (ko) 2014-11-19 2016-05-27 김종영 조립식 가구
KR200482289Y1 (ko) 2015-09-02 2017-01-18 김윤식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KR102617433B1 (ko) 2023-08-22 2023-12-28 윤성필 가구 조립용 원터치형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09000A (zh) * 2020-05-18 2020-09-01 王蕾 一种隐藏式铝合金家具扣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165B1 (ko) 2008-07-18 2010-08-16 주식회사 코아스웰 가구의 다리결합장치
KR20160059751A (ko) 2014-11-19 2016-05-27 김종영 조립식 가구
KR200482289Y1 (ko) 2015-09-02 2017-01-18 김윤식 조립가구의 결합모듈
KR102617433B1 (ko) 2023-08-22 2023-12-28 윤성필 가구 조립용 원터치형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3399A (ko) 200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35384B1 (en) A connector assembly
EP1878359A1 (en) Assembling structure
US201000030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tructural Components
EP2916685A1 (en) Fastening device, fastening system and furniture assembly
CN105683459A (zh) 自锁机构和镶板
KR100597475B1 (ko)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EP1332292B1 (en) Panel connector
WO2007135510A1 (en) A connector for panels or panel-like components
KR101224244B1 (ko) 테이블 프레임 연결구조
KR101775656B1 (ko) 무볼트 조립식 앵글 어셈블리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CN105484367A (zh) 木结构房屋用榫卯结构
KR20110088861A (ko) 가구 프레임용 코너 결합구
KR100358949B1 (ko) 조립용 가구 연결구
JP3177219U (ja) 組立式家具用の連結手段
JP2013014932A (ja) 建築用木材の継合構造
JP6506038B2 (ja) 連結構造
KR20200000067U (ko) 조립식 선반
KR200167061Y1 (ko) 조립용가구연결구
CN217355084U (zh) 新型自锁连接结构
KR102755343B1 (ko) 기능성 연결 조립체를 구비한 프레임 및 상판 조합형 가구
KR200291212Y1 (ko) 조립식 가구의 체결장치
CN209959653U (zh) 一种自锁连接结构
KR200374573Y1 (ko) 조립식 패널용 연결구
US20020136591A1 (en) Furniture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6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