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6730B1 -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6730B1
KR100596730B1 KR1020040093525A KR20040093525A KR100596730B1 KR 100596730 B1 KR100596730 B1 KR 100596730B1 KR 1020040093525 A KR1020040093525 A KR 1020040093525A KR 20040093525 A KR20040093525 A KR 20040093525A KR 100596730 B1 KR100596730 B1 KR 100596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elding
bed
welding table
cen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476A (ko
Inventor
김재선
Original Assignee
대영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6730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6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6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7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moving work to adjust its position betwee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ste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52Orientable fix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5/0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 B23Q15/20Automatic control or regulation of feed movement, cutting velocity or position of tool or work before or after the tool acts upon the workpiece
    • B23Q15/22Control or regulation of position of tool or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이동부재(11)가 취부되어 판재를 이동시키고, 상부에 복수개의 레일부(12)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설치된 베드부(10)와; 상기 베드부(10)의 일측면에 취부되어 상기 이동부재(11)를 따라서 상기 베드부(10)를 이동시키는 베드 구동부(20)와;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 상기 레일부(12)를 개재해서 설치되어, 판재의 용접부위에 따라서 이동가능하여 판재를 센터링시키는 복수개의 용접테이블(30)과; 상기 용접테이블(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12)를 따라서 상기 용접테이블(30)을 이동시키는 용접테이블 구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용접테이블이 좌우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판재의 다양한 용접선에 따른 센터링이 가능하고, 용접테이블을 자력화함으로써 복수의 판재의 센터링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시 판재의 이동을 방지하므로 용접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센터링, 용접테이블, 판재, 마그네틱테이블

Description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Apparatus for centering plate in tailor welded blank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를 적용한 용접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의 용접테이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의해 센터링된 판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의해 센터링된 판재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의해 센터링된 판재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드부 11 : 이동부재
12 : 레일부 20 : 베드 구동부
21 : 모터 22 : 감속기
30 : 용접테이블 40 : 용접테이블 구동부
41 : 볼스크류 42 : 모터
43 : 회전구동부 44 : 모터브래킷
45 : 타이밍풀리 46 : 타이밍벨트
50 : 인덱스 바아기구 51 : 클램핑기구
60 : 실린더기구 61 : 레일부
70 : 집진기구 71 : 집진테이블
72 : 집진배관 80 : 마그네틱테이블
81 : 모터 90 : 서브테이블
91 : 지지판 92 : 지지대
93 : 레일부 100 : 베이스프레임
P : 판재 S : 용접선
본 발명은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테이블이 좌우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판재의 다양한 용접선에 따른 센터링이 가능하고, 용접테이블을 자력화함으로써 복수의 판재의 센터링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시 판재의 이동을 방지하므로 용접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자동차나 전동차 등의 차체 패널 등의 구조물의 생산시에 TWB(Tailor Welded Blank)기술의 적용이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방법은 판재를 절단하여 각각 성형한 후 점용점하여 차체 부품을 제작하였고, TWB 기술이란 마치 양복을 재단하는 것과 같이 다양한 재질과 두께의 철판을 필요한 모양대로 절단하여 용접한 후 프레스 성형하여 부품을 제작하는 일련의 기술을 말한다.
따라서, 특히 자동차 산업 분야에서 효과적이고 고생산성, 저비용, 저중량 으로 차체를 개발하고자 계속해서 연구한 결과, 그 중 하나가 TWB 용접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이었다. TWB 용접시스템을 적용하면 자동차 차체구조 약화 없이 차체의 무게를 줄이는 경량화가 가능하며, 강도(Mild and Strength), 두께(Thickness) 및 표면처리(bare and galvanized)의 상태가 서로 다른 2장의 강판 또는 여러 장의 강 판을 레이저로 용접한 후 성형해 한 부품 내에서 부위별로 요구되는 특성을 갖도록 되었다.
따라서, TWB 용접시스템에 의해 강판으로 제작된 차체는 보다 단단한 구조 및 긴 수명, 정확한 치수로 제작이 가능함에 따라 차체의 적합한 조립, 차량주행에 따른 윈드 노이지(Wind Noise), 차체의 안정성 및 외관 개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잠재적인 효과로 인해 자동차 선진국 미국, 독일, 일본 등지에서 TWB 기술을 적용한 강판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내도 현재 제작되고 있는 차량에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TWB 용접시스템은 여러 가지의 장치가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선, 필수적인 TWB 용접기는 전단이나 블랭킹으로 재단되어진 판재를 레이저나 전기 저항과 같은 열원을 이용하여 하나의 판재로 용접하는 장비이며, 용접장치와 용접지그, On-line 품질감시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며, 용접중에 용접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판재의 센터링장치가 별도로 포함되기도 합니다.
주변장치에는 전단이나 블랭킹으로 용접할 블랭크를 생성하는 장치, TWB 용접기에 용접할 판재(용접 블랭크)를 로딩(loading)하는 장치와 언로딩(Unloading)하는 장치, 두께차이가 나는 TWB 판재의 판재가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얇은 쪽의 판재에 홈을 가공하여 두께 차이를 같게 성형하여 적치할 수 있게 하는 딤플링(Dimpling)장치 등이 있다.
다만, 테일러드 블랭크 시스템의 레이저 용접에서 2장의 블랭크 시트가 나란 히 맞닿을 때 일반적으로 시트 사이의 간격이 0.08㎜이하가 되어야만 양질의 용접심 (Welding seam)을 형성할 수 있었다. 따라서 블랭크 시트를 커팅할 때 정밀하게 가공할 경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시트사이의 간격을 줄이는 다양한 방법을 고안하여 사용하지만 간격을 줄이는 것 못지 않게 블랭크 시트를 용접선 위치에 놓는 센터링작업시 블랭크 시트가 유동하거나 센터링불량으로 인하여 용접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재의 용접선이 경사진 사선인 경우에 적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복수의 판재를 용접하는 경우에 다수의 용접선을 구성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용접테이블이 좌우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판재의 다양한 용접선에 따른 센터링이 가능하고, 용접테이블을 자력화함으로써 복수의 판재의 센터링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시 판재의 이동을 방지하므로 용접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이 동부재(11)가 취부되어 판재를 이동시키고, 상부에 복수개의 레일부(12)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설치된 베드부(10)와; 상기 베드부(10)의 일측면에 취부되어 상기 이동부재(11)를 따라서 상기 베드부(10)를 이동시키는 베드 구동부(20)와;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 상기 레일부(12)를 개재해서 설치되어, 판재의 용접부위에 따라서 이동가능하여 판재를 센터링시키는 복수개의 용접테이블(30)과; 상기 용접테이블(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12)를 따라서 상기 용접테이블(30)을 이동시키는 용접테이블 구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접테이블(30)은 판재의 위치에 따라서 인덱스면의 교체가 가능한 인덱스 바아기구(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드부(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판재의 측면을 압압하여 센터링시키는 실린더기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접테이블 구동부(40)의 상부에는 회전구동부(43)가 설치되고 상기 용접테이블(30)의 중앙부와 결합되어, 상기 용접테이블(3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0)의 중앙 상측에 설치되어, 센터링된 판재의 상부에서 판재를 압압하는 클램핑기구(5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접테이블(30)은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 설치된 서브테이블(90)과, 상기 서브테이블(9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판재 상의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기구(70)와, 서브테이블(9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자력이나 전자력을 형성하여 판재를 고정시키는 마그네틱테이블(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를 적용한 용접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는 베드부(10), 베드 구동부(20), 용접테이블(30) 및 용접테이블 구동부(40)로 이루어져 있으며,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에서 판재를 용접위치에 센터링하는 장치이다.
베드부(10)는 프레임 형태로 구성되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하부에는 이동부재(11)로서 엘엠가이드(Linear-Motion guide)의 엘엠블럭(LM block)이 취부되어 베드부(10)가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 로딩된 판재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는 복수개의 레일부(12)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레일부(12)로는 직선 이동부 재인 엘엠가이드(Linear-Motion gu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드 구동부(20)는 모터(21)와 감속기(22)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드부(10)의 일측면에 취부되어 상기 이동부재(11)를 따라서 상기 베드부(1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의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모터(21)로는 예를 들면 서보모터나 스텝모터 등 제어가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감속기(22)로는 예를 들면, 웜감속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모터와 감속기가 일체로 형성된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를 사용하거나 리니어모터(linear motor)를 사용해도 된다.
용접테이블(30)은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 상기 레일부(12)를 개재해서 설치되어, 판재의 용접부위에 따라서 이동가능하여 판재를 센터링시키게 된다.
상기 용접테이블(30)은 판재의 위치에 따라서 센터링핀, 집진부 및 센터링핀보호부 등을 구비한 인덱스면의 교체가 가능한 인덱스 바아기구(5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인덱스 바아기구(50)는 일측면에 인덱싱 모터가 취부되어 인덱스 바아를 인덱싱시키고, 양측 하부에 설치된 유압실린더로 인덱스 바아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인덱스 바아의 인덱싱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인덱스 바아기구(50)는 인덱스 바아의 인덱싱 위치에 따라서 센터링 및 집진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복합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용접테이블(30)은 복수개가 설치되므로 3매 이상의 판재를 용접할 경우 복수개의 용접부위가 발생되어도 판재의 센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4매의 판재(P)를 용접하는 경우 4개의 용접선이 발생하므로 4개의 용접테이블(30)을 설치하여 판재를 센터링하게 된다.
판재의 측면을 압압하여 센터링시키는 실린더기구(60)가 상기 베드부(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판재의 센터링이 용이하게 되고, 센터링불량에 의한 용접불량을 감소시키게 된다. 상기 실린더기구(60)로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 등의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드부(10)의 양측면에 전후좌우 이동이 가능한 실린더기구용 레일부(61)를 설치하고 이를 개재해서 실린더기구(60)를 설치하여 판재의 압압위치에 따라서 실린더기구의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접테이블 구동부(40)는 상기 용접테이블(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12)를 따라서 상기 용접테이블(3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용접테이블 구동부(40)로는 예를 들면, 볼스크류(41) 및 모터(42) 또는 리니어모터 등의 직선구동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볼스크류(41)의 일단부에 모터(42)가 설치된다.
상기 용접테이블 구동부(40)의 상부에는 회전구동부(43)가 설치되고 상기 용접테이블(30)의 중앙부와 결합되어, 상기 용접테이블(30)을 좌우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판재의 용접선이 경사진 사선인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구동부(43)로는 예를 들면, 스텝핑 모터 등 제어가 가능한 모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용접테이블(30)의 양단부와 결합하는 레일부(12)에도 회전이동이 자유로운 회전부재를 이동블럭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00)의 중앙 상측에 설치되되 센터링된 판재의 상부에서 판재를 압압하는 클램핑기구(51)를 추가로 설치하여 센터링 된 판재가 용접작업중에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므로 판재의 이동에 의한 센터링불량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용접불량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의 용접테이블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는 상기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베드부(10), 베드 구동부(20), 용접테이블(30) 및 용접테이블 구동부(40)로 이루어져 있으며,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에서 판재를 용접위치에 센터링하는 장치이다. 단, 상기 용접테이블(30) 및 용접테이블 구동부(40)만 상기 일실시예와 다르고, 상기 베드부(10) 및 베드 구동부(20)는 상기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용접테이블(30)은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 설치된 서브테이블(90)과,상기 서브테이블(90) 내의 일단부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판재 상의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기구(70)와, 서브테이블(90) 내의 중간부에 설치된 레일부(93)를 개재해서 이동식으로 설치되어 판재의 용접위치에 따라서 모터(81)에 의해 이동 이 가능하며 자력이나 전자력을 형성하여 판재를 테이블 상에 고정시키는 마그네틱테이블(8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서브테이블(90)의 타단부에는 판재를 지지하는 지지판(91)이 설치되고, 타단부의 외측에도 판재를 지지하여 주는 복수개의 바아형상 지지대(92)가 체결고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레일부(93)로는 직선 이동부재인 엘엠가이드(Linear-Motion gui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용접테이블(30)은 집진기구(70)에 의해 판재상의 이물질이 제거되고, 마그네틱테이블(80)에 의해 판재가 고정되어 센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집진기구(70)는 판재와 접촉하여 판재 상의 먼지 등 이물질을 집진하는 집진테이블(71)과 집진된 이물질 등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집진배관(72)으로 이루어지고 외부에 진공펌프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서브테이블(90)은 타단부의 하단 중간부에 용접테이블 구동부(40)와 결합되어 직선이동이 가능하게된다.
상기 용접테이블 구동부(40)는 상기 일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볼스크류(41)와 모터(42) 등의 직선구동부재로 이루어져 있지만, 상기 일실시예와 달리 서브테이블(90)이 장착되므로 모터(42)가 모터브래킷(44)을 개재해서 베드부(10)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볼스크류(41) 및 모터(42)의 회전축에는 타이밍풀리(45)가 각각 고정되고 타이밍벨트(46)로 연동하게 되므로 상기 타이밍풀리(45) 및 타이밍벨트(46)를 개재해서 볼스크류(41)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테이블 구동부(40)에 의해서 볼스크류(41)의 볼너트가 일단부에 고정된 서브테이블(90)이 레일부(12)를 따라서 직선으로 구동하게 되므로, 상기 서브테이블(90)이 설치된 용접테이블(30)이 직선으로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판재의 형태 및 용접선 위치에 따라서 용접테이블(30)을 이동시키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의해 센터링된 판재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의해 센터링된 판재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의해 센터링된 판재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의해서 센터링되는 판재(P)의 용접선(S)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판재(P)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복수개의 용접선(S)이 나타나므로 용접테이블(30)을 판재(P)의 형태에 따라서 이동시켜 센터링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도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판재(P)의 용접선(S)이 사선 형태의 용접선(S)인 경우에도 용접테이블(30)이 좌우로 회전이 가능하여 센터링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접테이블이 좌우 및 회전이동이 가능하므로 복수의 판재의 다양한 용접선에 따른 센터링이 가능하고, 용접테이블을 자력화함으로써 복수의 판재의 센터링을 용이하게 하고 용접시 판재의 이동을 방지하므로 용접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5)

  1.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하부에 이동부재(11)가 취부되어 판재를 이동시키고, 상부에 복수개의 레일부(12)가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설치된 베드부(10)와;
    상기 베드부(10)의 일측면에 취부되어 상기 이동부재(11)를 따라서 상기 베드부(10)를 이동시키는 베드 구동부(20)와;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 상기 레일부(12)를 개재해서 설치되어, 판재의 용접부위에 따라서 이동가능하여 판재를 센터링시키는 복수개의 용접테이블(30)과;
    상기 용접테이블(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12)를 따라서 상기 용접테이블(30)을 이동시키는 용접테이블 구동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테이블(30)은 판재의 위치에 따라서 인덱스면의 교체가 가능한 인덱스 바아기구(50)로 이루어지고,
    상기 베드부(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판재의 측면을 압압하여 센터링시키는 실린더기구(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테이블 구동부(40)의 상부에는 회전구동부(43)가 설치되고 상기 용접테이블(30)의 중앙부와 결합되어, 상기 용접테이블(30)을 좌우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베이스프레임(100)의 중앙 상측에 설치되어, 센터링된 판재의 상부에서 판재를 압압하는 클램핑기구(51)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테이블(30)은 상기 베드부(10)의 상부에 설치된 서브테이블(90)과, 상기 서브테이블(90)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판재 상의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는 집진기구(70)와, 서브테이블(90)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자력이나 전자력을 형성하여 판재를 고정시키는 마그네틱테이블(8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KR1020040093525A 2004-11-16 2004-11-16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KR100596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25A KR100596730B1 (ko) 2004-11-16 2004-11-16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525A KR100596730B1 (ko) 2004-11-16 2004-11-16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76A KR20060053476A (ko) 2006-05-22
KR100596730B1 true KR100596730B1 (ko) 2006-07-05

Family

ID=37150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525A KR100596730B1 (ko) 2004-11-16 2004-11-16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6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255B1 (ko) 2006-12-22 2010-10-20 파나소닉 주식회사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레이저 가공 방법
KR101221591B1 (ko) * 2010-10-29 2013-01-23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용접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8129B (zh) * 2015-12-01 2018-08-17 中国人民解放军装甲兵工程学院 一种用于厚板焊接的反变形夹具
CN108788612B (zh) * 2018-09-07 2024-05-14 山东齐鲁石化建设有限公司 钢结构全位置自动焊机轨道固定装置
CN109590660B (zh) * 2018-12-31 2020-07-31 合肥久享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通用型减震器支架焊接夹具
CN110153606B (zh) * 2019-07-22 2019-10-29 山东鲁电线路器材有限公司 一种电力铁附件自动焊接设备及其焊接工艺
KR102742640B1 (ko) * 2022-04-07 2024-12-12 주식회사 엠에스 오토텍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255B1 (ko) 2006-12-22 2010-10-20 파나소닉 주식회사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레이저 가공 방법
KR101221591B1 (ko) * 2010-10-29 2013-01-23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용접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476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73045A (zh) 一种用于电气箱的焊接工装
CN101100030A (zh) 卷板在线激光焊接工艺及其设备
KR101382867B1 (ko) 용접다이
CN104874925A (zh) 一种超薄壁圆筒随焊柔性焊接夹具装置及其使用方法
KR100596730B1 (ko)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시스템의 판재 센터링 장치
CN210498862U (zh) 一种汽车门环拼焊板坯料的加工装置
KR200375423Y1 (ko) 테일러 웰디드 블랭크 용접시스템
JP3661923B2 (ja) マッシュ・シーム溶接装置
CN114161033A (zh) 一种螺杆机底架的焊接设备及焊接方法
KR20050002814A (ko) 프로젝션 용접 장치 및 프로젝션 용접 방법
CN214418159U (zh) 一种激光焊接倒角一体机
CN112122828B (zh) 铁路客车车顶弯梁的自动对中装置及方法
JPH06246449A (ja) 自動溶接機
CN108500387A (zh) 一种汽车制动衬片的开槽倒角自动加工设备
CN111660017B (zh) 一种多功能切焊一体机
CN210967602U (zh) 车顶盖柔性焊接工装
KR200218597Y1 (ko) 용접모재용 베벨링장치
CN222289364U (zh) 一种反应装置板材的坡口加工设备
KR200358716Y1 (ko) 펀치 프레스기
KR20090054076A (ko) 리브 용접 장치의 가이드 장치
CN219189763U (zh) 适用于带状金属板材的切割装置
CN220278859U (zh) 箱型钢构件用自动焊接装置
CN220943721U (zh) 一种多功能重型钢结构激光切割机
CN213105938U (zh) 一种钢材生产加工用磨削装置
CN218964462U (zh) 一种用于型材焊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