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4736B1 -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4736B1
KR100594736B1 KR1020040001677A KR20040001677A KR100594736B1 KR 100594736 B1 KR100594736 B1 KR 100594736B1 KR 1020040001677 A KR1020040001677 A KR 1020040001677A KR 20040001677 A KR20040001677 A KR 20040001677A KR 100594736 B1 KR100594736 B1 KR 10059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wavelength
optical channels
band
channe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3319A (ko
Inventor
한동균
윤천주
정선태
이준구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47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4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 H04J14/0212Reconfigurable arrangements, e.g.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ROADM] or tun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s [TOADM] using optical switches or wavelength selective switches [W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4/00Optical multiplex systems
    • H04J14/02Wavelength-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14/0201Add-and-drop multiplexing
    • H04J14/0202Arrangements therefor
    • H04J14/0213Groups of channels or wave bands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여러 개의 광채널들이 전송되는 광통신 시스템에서, 전달되는 광채널들을 파장 대역별로 분할하여 관리하고 각 광채널들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넓은 파장 대역을 여러 개의 파장 대역을 분리하고 각 파장 대역에서 여러 광채널들을 다시 역다중화함으로서 광채널들을 각각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 파장 대역에 사용되는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는 파장 주기정을 이용하므로 다른 파장 대역에도 사용할 수 있다.
파장 선택 스위치, 대역 분할기,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 대역 결합기, 광크로스컨넥트

Description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WAVELENGTH SELECTIVE SWITCH AND METHOD FOR WAVELENGTH SELECTION}
도 1은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사용되는 파장선택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에 사용되는 파장선택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파장 대역을 추가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선택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는 파장선택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분할 다중화 방식에 사용되는 파장선택 스위치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선택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는 파장선택 스위치의 다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제 1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제 2실시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제 3실시 예
도 10은 제 3실시 예를 위한 주기적인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제 4실시 예, 및
도 12 제 4실시 예를 위한 주기적인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파장 분할 다중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하고자 하는 파장 대역에 따라 효율적으로 입력되는 파장 대역을 관리하고 각 파장에 해당하는 광채널의 스위칭 방법과 상기 스위칭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장 분할 다중화(WDM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은 하나의 광섬유에 파장이 다른 여러 개의 광채널을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기술로써 효율적으로 광통신 시스템의 전송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이다.
도 1은 종래 WDM에 사용되는 파장선택 스위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 도 1을 이용하여 상기 파장선택 스위치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상기 파장선택 스위치(100)는 역다중화기(110), 다중화기(130), 그리고 복수 개의 셔터(shutter)들(120 내지 12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110)는 복수개(
Figure 112004000949370-pat00001
)의 입력 광채널들을 전달받는다. 상기 역다중화기(110)는 전 달받은 광채널들을 각 채널별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10)로부터 출력된 각 광채널은 셔트들(120 내지 126) 중에서 대응되는 하나의 셔트로 전달된다. 상기 각 셔트들(120 내지 126)은 제어신호에 따라 전달받은 광채널에 대한 온/오프 기능을 기능한다. 즉, 특정 광채널에 대해 특정시점에서 오프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셔트는 전달된 광채널이 다중화기(130)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광채널을 단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다중화기(130)는 상기 셔트들(120 내지 126)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광채널들을 다중화하여 전달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셔트의 개수는 입력되는 광채널의 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성되어 있다. 즉, 수십개 이상의 입력 광채널에 대해 역다중화기의 출력 포트와 셔트의 개수는 입력 광채널들과 같은 수 만큼 고정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고정된 방식에서는 입력 광채널에 대해 유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게 된다. 즉, 초기에는 전송 용량이 적어서 작은 개수의 입력 광채널을 제어할 수 있는 파장 선택 스위치가 필요하고, 나중에 요구되는 전송 용량이 증가하여 입력되는 광채널들이 증가한 경우 많은 광채널들을 제어할 수 있는 파장 선택 스위치가 필요한 경우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때, 적은 광채널을 제어할 수 있는 파장 선택 스위치는 많은 광채널들을 제어할 수 있는 파장 선택 스위치 자체로 교체되어야 한다. 혹은, 미래의 파장 확장성을 고려하여 사용하지도 않을 광채널을 포함한 수십개의 포트를 갖는 역다중화기와 셔트를 갖는 파장 선택 스위치를 처음으로 사용해야 한다. 이것은 초기에 막대한 투자 비용을 초래하므로 비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파장 확장성이 가능한 파장 선택 스위치 구조가 제안되어야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되는 광채널의 수에 따라 효율적을 파장 확장이 가능한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초기에 적은 투자 비용으로 파장 선택 스위치를 구성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원 발명은 파장선택 스위치로 입력되는 광채널들의 개수에 따라 상기 파장선택 스위치의 구성을 달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여러 개의 광채널들이 전송되는 광통신 시스템에서, 상기 전송되는 광채널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파장 선택 스위치 장치로서, 먼저 파장 대역별로 분리하는 대역 분할기; 및 각 파장 대역에 할당된 광채널들을 광채널별로 역다중화하여 제어하고 다시 다중화하는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 및 파장 대역별로 분리된 광채널들을 다시 합치는 대역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선택 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는, 상기 광채널들을 상기 광채널별로 역다중화하는 광역다중화기; 상기 역다중화된 재분할된 광채널들 각각에 대해 전달 유무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광스위치들; 및 상기 광스위치들로부터 전달된 광채널들을 다중화하는 다중화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는, 파장에 대해 주기성을 가짐으로써 하나 의 구조로서 여러 다른 파장 대역에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선택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의 상기 파장선택 스위치는 상기 도 1의 파장선택 스위치와 달리 대역 분할기(band splitter)(200)와 대역 결합기(band combiner)(250)를 부가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대역 분할기(200)는 입력되는 광채널들을 복수 개의 파장 대역별로 그룹지어서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에 의하면 상기 대역 분할기(200)로 입력 가능한 광채널들은 `
Figure 112004000949370-pat00002
이다.
상기 도 2에서는 대역 1에 포함되는 광채널들과 대역 2에 포함되는 광채널들만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사용자는 광채널의 수를 확장하기 위해 대역 3과 같은 다른 대역에 포함되는 광채널들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대역 1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은
Figure 112004000949370-pat00003
(광채널 1 내지 광채널 N)이며, 상기 대역 2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은
Figure 112004000949370-pat00004
(광채널 (N+1) 내지 광채널 2N)이다. 일반적으로 각 대역에 포함되는 광채널의 파장은 인접한 파장을 이용한다. 상기 대역 분할기(200)는 입력되는 광채널을 대역별로 분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2에서 상기 대역 분할기(200)는 대역1에 포함되는 광채널들과 대역2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을 분할하여 출력한다. 상기 대역 1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은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210)의 역다중화기(220)로 전달되고, 상기 대역 2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은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212)의 역다중화기(222)로 전달된 다.
상기 역다중화기들(220 내지 222)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역다중화기(220또는 222)는 파장에 대해 주기성을 가지므로 모든 입력 가능한 모든 파장 대역에서 사용 가능하다. 이하 〈표 1〉을 이용하여 상기 역다중화기(220 또는 222)에서 출력 가능한 광채널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역다중화기(220 또는 222)는 N개의 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출력 가능한 광 채널들
출력 경로 1 광채널 1, 광채널(N+1), 광채널 (2N+1),...
출력 경로 2 광채널 2, 광채널(N+2), 광채널(2N+2),...
출력 경로 3 광채널 3, 광채널(N+3), 광채널(2N+3),...
...... ...
출력 경로 N 광채널N, 광채널(2N), 광채널(3N),...
기존의 역다중화기는 하나의 출력 경로에서 하나의 광채널만을 출력 가능하였으나. 도 2의 역다중화기(220 또는 222)는 파장에 대해서 주기성을 가지므로 하나의 출력 경로에서 여러개의 광채널이 출력될 수 있다. 따라서 대역 분할기(200)로부터 출력되는 각 대역들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역다중화기(220 또는 222)로 입력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역다중화기(220)로 입력되는 광채널들은 대역1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이므로 상기 역다중화기(220)는 실질적으로 광채널 1 내지 광채널 N만을 각각 출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222)로 입력되는 광채널들은 대역2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이므로 상기 역다중화기(222)는 실질적으로 광채널 (N+1) 내지 광채널 (2N)만을 각각 출력하게 된다.
상기 역다중화기(220 또는 222)로부터 출력된 광채널들은 대응되는 광스위치(230 또는 239)로 전달된다. 상기 광스위치(230 또는 239)는 제어신호에 따라 광채널에 대한 온/오프 기능을 기능한다. 즉, 특정 광채널에 대해 특정시점에서 오프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광스위치(230 또는 239)는 전달된 광채널이 다중화기로 전달되지 않도록 단절한다. 상기 다중화기(240 또는 242)들은 상기 광스위치들(230 내지 239)로부터 전달된 복수개의 광채널을 다중화한다. 특히 다중화기(240)는 대역1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을 다중화하며, 다중화기(242)는 대역2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을 다중화한다. 상기 다중화기들(240 내지 242)은 다중화한 광채널들을 대역 결합기(250)로 전달한다. 상기 대역 결합기(250)는 전달받은 다중화된 광채널들을 결합하여 전달한다. 만약 파장 선택 스위치에 대역 3에 포함되는 광채널이 전달된다면, 상기 파장선택 스위치는 대역 3을 위한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를 부가하면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파장선택 스위치를 입력되는 광채널들의 수로 따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선택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하고자하는 광채널들의 수가 대역 1에서 대역 2까지 확장되었을 경우에 대해 예를 설명하고 있다. 상기 도 3의 상단 그림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대역 분할기(300)는 대역 1에 포함되는 광채널들만을 전달받는다. 하지만 도 3의 하단 그림에서 대역 분할기(300)는 대역 1에 포함되는 광채널들뿐만 아니라 대역 2에 포함되는 광채널들도 전달받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도 3의 하단 그림에서는 대역 2에 해당되는 광채널들이 추가될 때 대역2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을 처리하기 위한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312)만을 추가하면 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또한, 한가지 형태의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를 여러 파장 대역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선택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는 파장선택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의 파장선택 스위치(100)는 사용하지 않는 광채널들을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즉, 실제 사용하는 광채널들이 광채널 1 내지 광채널 N이라 하더라도 광채널1 내지 광채널 M을 위한 구성들을 포함하여야 한다. 입력되는 광채널의 수와 상관없이 상기 파장선택 스위치(100)는 고정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400)는 고정된 형태를 가지지만, 파장에 따라 주기성을 가지는 소자로 구성되어 유동적으로 파장 확장성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역다중화기(410)는 파장에 따라 주기성을 가지므로 기존의 역다중화기와 달리 하나의 출력경로를 통해 복수개의 광채널을 출력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역다중화기(410)의 하나의 출력 경로는 대역 분할기와 결합하면 입력되는 파장 대역에 따라 출력 가능한 광채널들 중에서 하나의 광채널만을 출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파장 선택 스위치의 두 번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5이 파장 선택 스위치는 상기 도 2와 달리 광 서큘레이터(circulator)(500)를 부가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 광 서큘레이터(500)는 경로 1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경로 2로 전달하며, 상기 경로 2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는 경로 3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 도 5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장 선택 스위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대역 분할기/결합기(510)는 사용하고자하는 광채널들을 상기 광 서큘레이터(500)로부터 전달받는다. 상기 대역 분할기/결합기(510)는 분할된 대역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을 대응되는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520 또는 522)로 전달하거나 전달받는다. 상기 역다중화기/다중화기들(530 또는 532)로부터 출력된 광채널은 대응되는 반사형 광스위치(540 또는 549)로 전달된다. 상기 반사형 광스위치들(540 내지 549)은 제어신호에 따라 전달받은 광채널에 대한 온/오프 기능을 기능한다. 즉, 특정 광채널에 대해 특정시점에서 오프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반사형 광스위치는 입력받은 광채널들이 반사되지 않도록 단절한다. 또한, 특정 광채널에 대해 특정시점에서 온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반사형 광스위치는 입력받은 광채널을 역다중화기/다중화기(530 또는 532)로 재 전달한다.
상기 역다중화기/다중화기(530 또는 532)는 반사형 광스위치를 통과한 광채널들을 다중화 과정을 수행한 후 대역 분할기/결합기(510)로 전달한다. 상기 대역 분할기/결합기(510)는 해당 역다중화기(530 또는 532)로부터 전달받은 다중화된 광채널들을 결합하여 광 서큘레이터(500)로 전달한다. 상기 광 서큘레이터(500)는 대역 분할기/결합기(510)를 통과한 경로 2로 입력되는 광채널들을 경로 3으로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대역 파장 선택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은 상기 도 4와 같이 파장에 대한 주기성을 갖는 구조를 하고 있다. 다만 반사형 광스위치(620 또는 624)가 전달받은 광채널을 반사시키므로 역다중화기/다중화기(610)가 역다중화 과정과 다중화 과정을 모두를 수행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파장 선택 스위치를 이용하여 광애드/드롭 다중화기를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광분배기(optical coupler)(711)는 광선로에서 광채널들의 일부 광전력을 분배하여 광드롭부로 전송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광 드럽부(710)는 파장분할된 광채널들 중에서 노드에서 필요로 하는 광채널을 드롭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광 결합기(optical coupler)(713)는 광애드부(712)로부터의 광채널들과 광애드/드롭 다중화기(700)를 통과한 광채널들을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광 애드부(712)는 다른 노드로 광채널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광채널을 부가하는 기능을 수행하다. 기존의 광통신 방법은 도중에서 전송되어 오던 광신호를 광-전 변환 후, 필요한 부분을 빼내고 추가할 신호와 함께 다시 전기적으로 다중화한 후 광신호로 바꾸어 재전송을 해야 한다. 반면 WDM 방식으로 광채널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전송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중 한 채널만 광학적으로 드럽하거나 애드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구성들에서 수행되는 동작들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개의 파장 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광교차연결기(광크로스케넥터)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은 하나의 광선로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도 8은 일 예로 3개의 광선로와 상기 3개의 광선로를 연결하는 광크로스컨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즉, 상기 도 8은 상기 도 7에 비해 확장된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상기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전달되는 광채널들 중 일부는 다른 광선로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여러 광선로를 통해 전달되는 광채널들 중 일부는 상기 광 드럽기에 의해 드롭될 수 있다. 또한 광 애드기에 의해 여러 광선로로 광채널을 애드할 수 있음도 자명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4×1 대역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4×4 광크로스컨넥트(900)의 두 번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9는 일 예로 4개의 광선로를 이용하고 대역1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9는 4개의 대역 분할기들(910 내지 916)과 여러 개의 광 분배기(920 내지 926), 그리고 다수개의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930 내지 936)와 4개의 대역결합기(940 내지 946)로 구성된다. 상기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930 내지 936)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도 10을 이용하여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대역 분할기들(910 내지 916)은 전달된 광채널을 대역별로 분할하다. 상기 대역 분할기(910 또는 916)에서 분할된 각 대역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은 대응되는 광 분배기(920 또는 926)로 전달된다. 상기 광 분배기(920 또는 926)는 전달받은 특정 대역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을 여러 출력 광선로로 전송하기 위해 해당하는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930 또는 936)로 분배한다. 대역1에 대응되는 각 광 분배기들(920 내지 926)은 제1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930) 내지 제 4대역 파장선택 스위치(936)와 연결된다. 대역2에 대응되는 각 분배기들(도시되지 않음)은 제 5대역 파장선택 스위치 내지 제 8대역 파장선택 스위치와 연결될 것이다. 이와 같이 대역 분할기에서 분할되는 대역의 수에 비례하여 상기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의 개수도 증가한다. 상기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930 또는 936)로부터 출력되는 광채널들은 대응되는 대역 결합기(940 또는 946)로 전달된다. 상기 도 9에 의하면 제 1대역 결합기(940)는 제 1대역 파장선택스위치(930), 제 5대역 파장선택스위치, ...로부터 출력되는 광채널들을 전달받는다. 제 2대역결합기(942)는 제 2대역 파장선택스위치(932), 제 6대역 파장선택스위치,...로부터 출력되는 광채널들을 전달받는다. 상기 대역결합기들(940 내지 946)은 전달받은 광채널들을 결합하여 출력하게 된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4×1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930 또는 936)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4×1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930 내지 936)는 입력 포트가 4개이고 출력 포트가 1개이므로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가 1개인 도 4와 구조가 서로 상이하다. 상기 대역선택 스위치(930 또는 936)는 4개의 역다중화기(1010 내지 1016)와 N개의 스위치들(1020 내지 1024)과 하나의 다중화기(10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1010 내지 1016)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도 4의 역다중화기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4×1 광스위치(1020 내지 1024)는 전달받은 4개의 광채널들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하나의 광채널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도 10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스위치(1020 또는 1024)로 입력되는 광채널들은 동일하지만 특정 시점마다 광스위칭 상태에 따라 임의의 한 광선로로 오는 광채널만 통과시킨다. 상기 다중화기(1030)는 전달받은 광채널들을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4×1대역 파장선택 스위치를 이용한 광크로스컨넥트의 세 번째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1은 일 예로 4개의 광선로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11은 대역 4개의 대역 분할기들(1100 내지 1106)과 그리고 다수개의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1110 내지 1112)와 4개의 대역결합기(1120 내지 1126)로 구성된다. 상기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1110 내지 1112)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도 12를 이용하여 하기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각 대역 분할기(1100 내지 1106)는 전달된 광채널을 대역별로 분할하다. 상기 대역 분할기(1100 내지 1106)에서 분할된 각 대역에 포함되는 광채널들은 대응되는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1110 내지 1112)로 전달된다. 상기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1110 내지 1112)로부터 출력된 특정 대역의 광채널들은 대응되는 대역결합기(1120 내지 1126)로 전달된다. 상기 대역결합기들(1120 내지 1126)은 전달받은 광채널들을 결합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도 11은 도 9에서 사용된 4×1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 대신 4×4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서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의 개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12는 상기 도 11의 4×4 대역파장선택 스위치의(1110 또는 1112)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4×4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1200)는 4개의 역다중화기(1210 내지 1216)와 N개의 스위치들(1220 내지 1224)과 4개의 다중화기(1230 내지 123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역다중화기(1210 내지 1216)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도 4의 역다중화기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동일하므로 파장에 대한 주기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스위치(1220 내지 1224)는 4개의 입력 광선로로부터 전달받은 광채널들 각각을 중첩되지 않게 서로 다른 광선로로 전달한다. 상기 도 12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스위치로 입력되는 광채널들은 동일하다. 다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광채널들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다중화기(1230 내지 1236)들은 전달받은 N개의 광채널을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입력되는 광채널의 수에 따라 파장 확장성이 가능한 구조의 파장 선택대역 스위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서 입력되는 파장의 개수에 따라 파장 선택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초기에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적으로 광통신망을 운영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여러 개의 광채널들을 제공하는 파장분할 다중 방식 광통신 시스템에서의 상기 광채널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파장 선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채널들을 여러 개의 파장 대역별로 그룹지어 분할 출력하는 단계; 및
    분할 출력된 상기 파장 대역내에 할당된 각 광채널들에 대하여, 파장에 대한 주기성에 따라 각 광채널마다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여러 개의 광채널로 역다중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선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광채널들 전달 유무를 결정하기 위해, 역다중화된 각 광채널들이 상기 각 광채널들과 각각 연결된 스위칭 수단을 통해 출력 전달되도록 상기 스위칭 수단을 통해 상기 광채널들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선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을 통해 출력 전달하기로 결정된 상기 광채널들을 하나의 광선로로 출력 전달하기 위해 상기 각 광채널들을 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선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여러 개의 파장 대역 중 상기 출력 전달하기로 결정된 상기 광채널들이 할당된 그룹들만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선택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채널은 고유한 파장을 가지며, 하나의 상기 그룹은 인접한 파장을 갖는 광채널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 선택 방법.
  6.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여러 개의 광채널들이 전송되는 광통신 시스템에서, 전송되는 상기 광채널들을 각각 제어하기 위한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입력된 광채널들을 여러 개의 파장 대역별로 그룹지어 분할 출력하는 대역 분할기;
    분할 출력된 상기 파장 대역내에 할당된 각 광채널들에 대하여, 파장에 대한 주기성으로 각 광채널마다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여러 개의 광채널로 역다중화하고, 상기 각 광채널의 전달을 스위칭 출력하며, 스위칭 출력된 광채널들을 다중화하는 대역파장 선택 스위치; 및
    다중화된 상기 광채널들을 하나의 광선로로 출력하기 위해 결합하는 대역 결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채널들 중 실제 사용하는 광채널들이 할당된 파장 대역 그룹들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는,
    상기 광채널들을 파장에 대한 주기성으로 각 광채널마다 하나의 광선로를 통해 여러 개의 광채널로 역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
    상기 각 광채널마다 연결되어 상기 광채널들 각각에 대해 전달 유무를 스위칭 결정하는 여러 개의 광스위치; 및
    상기 광스위치들로부터 전달된 상기 광채널들을 다중화하는 다중화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는,
    상기 광채널들을 광채널별로 역다중화하고, 반사형 광스위치들로부터 전달된 광채널들을 다중화하는 역다중화기/다중화기; 및
    역다중화된 상기 광채널들 각각에 대해 전달 유무를 결정하는 복수 개의 반사형 광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채널은 고유한 파장을 가지며, 하나의 상기 그룹은 인접한 파장을 갖는 광채널들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다중화기는 적어도 2 개 이상의 출력 경로를 가지며, 각 출력 경로에서의 출력 광채널들은 일정한 파장 주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
  12. 삭제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 파장선택 스위치는,
    파장 분할된 광채널들 중에서 노드에서 필요로 하는 광채널을 드롭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거나, 다른 노드로 광채널을 전송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광채널을 부가하는 광애드/드롭 다중화기; 및
    다수의 광선로를 연결하는 광크로스커넥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장선택 스위치 장치.
KR1020040001677A 2004-01-09 2004-01-09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 KR100594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677A KR100594736B1 (ko) 2004-01-09 2004-01-09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677A KR100594736B1 (ko) 2004-01-09 2004-01-09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319A KR20050073319A (ko) 2005-07-13
KR100594736B1 true KR100594736B1 (ko) 2006-06-30

Family

ID=37262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677A KR100594736B1 (ko) 2004-01-09 2004-01-09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47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5651A (zh) * 2015-12-14 2016-04-20 天津光电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波长选择开关的交叉算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063A (ko) * 2001-04-04 2002-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기/역다중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063A (ko) * 2001-04-04 2002-10-1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채널 파장분할 다중기/역다중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7806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3319A (ko) 2005-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82635B2 (ja) 光伝送装置
JP6060648B2 (ja) 光ドロップ装置、光アド装置および光アド/ドロップ装置
US8861968B2 (en)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ing device for enabling totally inresistant colorless
JP4937983B2 (ja) 光伝送装置
KR100271210B1 (ko) 광회선 분배기
JP5004914B2 (ja) 光クロスコネクト装置および光ネットワーク
EP1324523A1 (en) Wavelength-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US8811817B2 (e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device, optical signal reception devic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wavelength path system
US20020015551A1 (en) Optical switch network, optical cross connecting device, and optical add/drop multiplexer
EP2063562B1 (en) Photonic cross-connect
US20060098983A1 (en) Optical add/drop multiplexer
EP243477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orless optical switch
KR100442663B1 (ko) 광 회선분배 시스템
CN1976267B (zh) 光多路传输方法、光网络及光传输装置
US6959128B2 (en) Coupler-based optical cross-connect having a regeneration module
KR100594736B1 (ko) 파장선택 스위치 및 파장선택 방법
KR100862358B1 (ko) 재구성 가능한 광 결합 분기 장치
US9154254B2 (en) Wavelength path multiplexing/demultiplexing apparatus and wavelength path multiplexing/demultiplexing method
JP2000201112A (ja) 光波長分割多重伝送ネットワ―ク装置
US20070160372A1 (en) Add-drop device and cross-connect device for wavelength multiplex signals
KR100384889B1 (ko) 파장 그룹 광분기 삽입 장치 및 파장 그룹 광상호 분배 장치
US7266294B2 (en) Coupler-based optical cross-connect
KR100429042B1 (ko) 양방향 애드 다중화기 및 드롭 역다중화기를 기반으로 하는 양방향 파장분할다중방식 자기치유 환형망
WO2024161646A1 (ja) 通信装置、光アドドロップ装置、および信号処理方法
US20020145784A1 (en) Optical wavelength switching system with wavelength selective splitters and comb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