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3931B1 -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931B1
KR100593931B1 KR1020050013986A KR20050013986A KR100593931B1 KR 100593931 B1 KR100593931 B1 KR 100593931B1 KR 1020050013986 A KR1020050013986 A KR 1020050013986A KR 20050013986 A KR20050013986 A KR 20050013986A KR 100593931 B1 KR100593931 B1 KR 1005939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dding layer
type algainp
doping concentration
layer
ty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931B1/ko
Priority to US11/319,081 priority patent/US733996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93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01S5/223Buried stripe structure
    • H01S5/2231Buried stripe structure with inner confining structure only between the active layer and the upper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20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 H01S5/22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 H01S5/2205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 H01S5/2214Structure or shape of the semiconductor body to guide the optical wave ; Confining structures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e.g. index or gain guiding, stripe geometry, broad area lasers, gain tailoring, transverse or lateral reflectors, special cladding structures, MQW barrier reflection layers having a ridge or stripe structure comprising special burying or current confinement layers based on oxides or nit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05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 H01S5/305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p-do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05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 H01S5/3054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p-doping
    • H01S5/3063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p-doping using M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30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 H01S5/305Structure or shape of the active region; Materials used for the active region characterised by the doping materials used in the laser structure
    • H01S5/3072Diffusion blocking layer, i.e. a special layer blocking diffusion of dop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소자의 재현성과 전기적 특성이 개선된 반도체 레이저 소자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과,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상에 형성되어 리지 구조를 갖는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상기 활성층으로의 아연 확산이 억제되는 도핑 농도로 아연에 의해 도핑되어 있고,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핑 농도보다 높은 도핑 농도로 마그네슘에 의해 도핑되어 있다.
반도체 레이저 소자, 도펀트, 확산

Description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AlGaInP 물질 내에 Zn 도핑시 Zn의 몰 비율에 따른 홀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AlGaInP 물질 내에 Mg 도핑시 Mg의 몰 비율에 따른 홀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AlGaInP계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깊이에 따른 Zn의 설계 농도와, Zn의 실제 도핑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AlGaInP계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깊이에 따른 Mg의 설계 농도와, Mg의 실제 도핑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깊이에 따른 광강도 분포와 굴절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기판 103: n형 AlGaInP계 클래드층
105: 활성층 107: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108: 식각 정지층 110: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112: p형 콘택층 114: 전류 차단층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개선된 전기적 특성과 광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고출력의 Ⅲ-Ⅴ족 화합물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반도체 레이저 소자가 광센서, 광통신, 광픽업, 디스플레이 등 수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고,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고출력의 레이저 소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특히 AlGaAs계 또는 AlGaInP계 화합물 반도체 레이저 소자가 CD 또는 DVD 시스템의 광원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405nm 파장의 청자색 반도체 레이저 소자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차세대 광저장 시스템이 개발되어 양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전류 주입을 위한 상부 클래드층 및 하부 클래드층과, 이 클래드층들 사이에서 실질적인 광자의 유도 방출이 일어나는 활성 층을 구비한다. 이러한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상부 클래드층(예컨대, p형 클래드층)을 리지(ridge)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리지를 통해서만 전류가 주입되도록 하여 향상된 전류 주입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국제특허공개공보 제 2000/04615 호에는 리지 구조를 구비한 Ⅲ족-질화물계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구조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지형 AlGaInP계 반도체 레이저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리지형 AlGaInP계 반도체 레이저 소자(10)는, GaAs 등으로 이루어진 기판(11) 상에 순차 적층된 AlGaInP계 물질의 n형 클래드층(13), 활성층(15), p형 클래드층(17), p형 콘택층(22)을 포함한다. p형 클래드층(17)의 상부는 리지(ridge) 구조로 되어 있으며 p형 클래드층(17)의 양 측면 상에는 전류 차단층(24)이 형성되어 있고, p형 콘택층(22) 상에는 p측 전극(26)이 형성되어 있다. 활성층(15)은 다중 양자 우물 구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의 광가이드층과 그 사이에 개재된 다중 양자 우물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고출력 반도체 레이저 소자에서는, n형 클래드층(13)으로부터 활성층(15)으로 주입되는 전자가 p형 클래드층(17)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열특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p형 클래드층(17)에 p형 불순물을 고농도로 도핑하고 있다. p형 클래드층(17)에 도핑되는 p형 불순물로는, 아연(Zn) 또는 마그네슘(Mg)이 주로 사용된다.
아연은 AlGaInP계 반도체 내에 쉽게 도핑되고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다. 그러 나, 아연은 높은 도핑 농도에서는 확산이 잘 일어난다. 따라서, p형 클래드층(17)에 1018 cm-3 이상의 고농도로 도핑된 아연은, 활성층(15)으로 용이하게 확산되어 레이저 소자의 광학적 특성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야기한다. 일본특허공개공보 제2000-286507호는, 활성층과 p형 클래드층 사이에 언도프 스페이서층을 설치하여 활성층으로의 아연 확산을 억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스페이서층을 형성하면,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정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마그네슘은 아연에 비하여 확산 없는 고농도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p형 클래드층(17)에 도핑되는 도펀트로 마그네슘을 사용하면, 열특성이 우수한 소자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 도핑시 시간적인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p형 클래드층(17) 형성시 마그네슘 도펀트를 공급한다 하더라도, 즉시 마그네슘이 도핑되지 않고 일정 시간 경과후 도핑된다. 따라서, 활성층(15)에 인접한 p형 클래드층(17)의 일부 영역에서 마그네슘이 도핑되지 않게 되어 전기적 특성이 열화된다. 또한, 마그네슘이 도핑되지 않는 영역의 길이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소자 특성의 재현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활성층으로의 p형 도펀트의 확산이 억제되고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내며 향상된 광효율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p형 도펀트가 활성층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기적 특성과 광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는,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n형 AlGaInP계 클래드층 및 활성층과;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과;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상에 형성되어 리지 구조를 갖는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상기 활성층으로의 아연 확산이 억제되는 도핑 농도로 아연에 의해 도핑되어 있고,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핑 농도보다 높은 도핑 농도로 마그네슘에 의해 도핑되어 있다.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서의 상기 아연의 도핑 농도는 8×1017 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연의 도핑 농도는 1×1017 내지 8×1017 cm-3 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1017 내지 8×1017 cm-3 이다. 또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서의 상기 마그네슘의 도핑 농도는 1×1018 cm-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그네슘의 도핑 농도는 1×1018 내지 5×1018 cm-3 이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1018 내지 5×1018 cm-3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과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사이에 식각 정지층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식각 정지층은 리지 구조를 위한 식각시 식각 종료 지점을 한정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n형 AlGaInP계 클래드층 및 활성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활성층 상에, 상기 활성층으로의 확산이 억제되는 도핑 농도로 아연이 도핑된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상에,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핑 농도보다 높은 도핑 농도로 마그네슘이 도핑된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8×1017 cm-3 이하의 아연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1×1017 내지 8×1017 cm-3의 아연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더욱 더 바람직 하게는, 5×1017 내지 8×1017 cm-3의 아연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1×1018 cm-3 이상의 마그네슘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1×1018 내지 5×1018 cm-3의 마그네슘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1018 내지 5×1018 cm-3의 마그네슘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식각 정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 리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가 더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 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과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핑 물질과 도핑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활성층으로의 도펀트 확산을 방지하고 전기적 특성과 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AlGaInP계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도펀트로 사용되는 아연(Zn)과 마그네슘(Mg)의 도핑 특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도 2 내지 도 5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AlGaInP 물질 내에 Zn 도핑시 Zn의 몰 비율에 따른 홀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3족 원소인 Al, Ga, In의 총 몰수에 대한 Zn 도펀트의 몰수 비를 나타내며 이 몰수비는 Zn 도핑 농도에 비례한다. 세로축은 홀(hole) 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곡선은 Zn 도핑 농도에 따른 홀 농도의 변화를 플롯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lGaInP 물질 내에 Zn 도핑 농도가 커짐에 따라 선형으로 홀 농도가 증가하다가 특정 지점(A)에서는 선형성(linearity)이 변하여 완만한 곡선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선형성이 변하는 지점(A)이 발생하는 것은, A 지점에서 Zn을 더 도핑시키더라도 그에 따른 홀 농도의 증가를 초래하지 못하여 도핑 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A 지점을 넘어 더 도핑된 Zn 원자들은 3족 원자의 격자점에 배치되지 못하고 격자간 사이트(interstitial site)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격자간 사이트에 배치된 Zn 원자들은 홀을 생성시키지 못 하며 높은 확산 속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A 지점을 넘어 고농도로 도핑된 Zn 원자들은 인접 영역으로 쉽게 확산된다.
반면에, AlGaInP 물질에 Zn을 A 지점 이하로 도핑시킬 경우에는, Zn 원자들이 3족 원자의 격자점에 배치되어 보다 낮은 확산 속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A 지점 이하로 도핑된 Zn 원자들은 인접 영역으로 쉽게 확산되지 않는다. 분석 결과, 상기 A 지점의 Zn 도핑 농도는 약 8×1017 cm-3인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도 4의 도핑 프로파일을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4에는, AlGaInP계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깊이에 따른 Zn의 설계 농도 프로파일과, 이에 대한 실제 Zn 도핑 농도 프로파일이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Zn 도핑 농도 프로파일은 SIMS(Secondary Ion Mass Spectroscopy; 2차 이온 질량 분석법)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 클래드층에서의 Zn 설계 농도를 1×1018 cm-3 이상으로 설계하였을 경우(도 4의 a 곡선)에는, 실제 Zn의 도핑 프로파일(도 4의 a' 곡선)에 따르면, 활성층으로 Zn이 많이 확산되어 활성층에서의 Zn 도핑농도는 1×1018 cm-3 이상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활성층에 Zn이 다량으로 확산되면, 활성층 내에 재결합 준위로 작용하는 결함이 형성되어 소자 특성을 열화시키게 된다.
이에 반하여, p형 클래드층에서의 Zn 설계 농도를 8×1017 cm-3 이하로 설계 하였을 경우(도 4의 b 곡선)에는, 실제 Zn의 도핑 프로파일(도 4의 b' 곡선)에 따르면, 활성층으로의 Zn 확산이 억제되어 활성층은 1016 cm-3 이하의 매우 낮은 Zn 농도를 갖게 된다. 따라서, p형 클래드층의 아연 도핑 농도가 활성층 근방에서 8×1017 cm-3 이하이면, 활성층으로의 Zn 확산이 억제된다.
도 3은, AlGaInP 물질 내에 Mg 도핑시 Mg의 몰 비율에 따른 홀 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가로축은 3족 원소인 Al, Ga, In의 총 몰수에 대한 Mg 도펀트의 몰수 비를 나타내며 이 몰수비는 Mg 도핑 농도에 비례한다. 세로축은 홀(hole) 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곡선은 Mg 도핑 농도에 따른 홀 농도의 변화를 플롯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g 도핑시에도 AlGaInP 물질 내에 Mg 도핑 농도가 커짐에 따라 선형으로 홀 농도가 증가하다가 특정 지점(B)에서 선형성(linearity)이 변하여 완만한 곡선을 나타낸다. 그러나, Zn 도핑의 경우와 비교할 때, B 지점에서의 Mg 도핑 농도는 A 지점(도 2 참조)에서의 Zn 농도에 보다 더 크다. B 지점에서의 Mg 도핑 농도는 1018 cm-3을 넘는다. 따라서, Mg 도펀트를 사용하여 AlGaInP계 물질을 도핑할 경우에는, 확산이 잘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높은 도핑 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실제로 p형 클래드층에서의 Mg 도핑 농도가 1×1018 cm-3 이상인 경우에도, 인접한 활성 영역으로의 Mg 확산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AlGaInP계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깊이에 따른 Mg의 설계 농도 프로파일과, 이에 대한 실제 Mg 도핑 농도 프로파일을 나타낸다. 도 5의 Mg 도핑 프로파일은 SIMS에 의해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형 클래드층에서의 Mg 설계 농도를 1×1018 cm-3의 고농도로 설계하더라도, 실제 Mg 도핑 농도 프로파일에 따르면, 활성층으로의 Mg 확산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마그네슘 도핑시 시간 지연이 발생하여, 활성층 근방의 p형 클래드층 영역에서는 Mg가 거의 도핑되지 않은 상태로 남게된다. 이와 같이, 활성층 근방 영역에서 Mg가 거의 도핑되지 않으면, 이 영역은 저항으로 작용하여 동작 전압과 소비 전력을 높이는 원인으로 작용하며, 소자의 재현성이 떨어지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반도체 레이저 소자(100)는 n형 GaAs 기판(101) 상에 순차 형성된 n형 AlGaInP계 클래드층(103), 활성층(105),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 및 식각 정지층(108)을 포함한다. 식각 정지층(108) 상에는 리지 구조를 갖는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과 p형 콘택층(112)이 형성되어 있고,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양 측부에는 전류 차단층(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식각 정지층(108)은 아연 도핑된 AlGaInP계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AlGaInP계 클래드층(107, 110)의 Al 조성보다 더 낮은 Al 조성을 갖는다.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은, Zn 도펀트로 도핑된 p형 반도체이다. 특히,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은, 인접한 활성층(105) 영역으로의 Zn 확산이 억제될 수 있는 농도(약 8×1017 cm-3 이하의 농도)로 도핑되어 있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에서의 Zn 도핑 농도가 8×1017 cm-3 이하이면, 활성층(105) 영역으로의 Zn 확산이 억제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의 Zn 농도가 너무 낮으면, Zn 확산은 억제되지만 레이저 소자의 열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AlGaInP계 클래드층(107)에서의 Zn 도핑 농도는 1×1017 내지 8×1017 cm-3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Zn 도핑 농도는 5×1017 내지 8×1017 cm-3 이다. Zn 도핑 농도를 상기 농도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활성층(105)으로의 Zn 확산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레이저 소자의 열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Zn 도핑 농도가 8×1017 cm-3 이하이기 때문에, 높은 광강도 분포를 갖는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에서 홀 캐리어에 의한 광흡수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은, Mg 도펀트로 도핑되어 있다.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은, 식각 정지층(108)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3 및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Mg 도핑의 시간 지연으로 인한 전기적 특성의 열화나 소자 재현성의 저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활성층과 제2 AlGaInP계 클래드층(110) 사이에는 이미 Zn 도핑된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층 근방의 제1 p형 AlGaInP계 클래층(107) 영역에서 언도핑되는 문제(도 5 참조)가 발생할 여지가 없게된다.
또한,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은,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의 도핑 농도보다 더 높은 농도로 도핑되어 있다. 특히,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Mg 도핑 농도는, 1×1018 cm-3 이상인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이,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도핑 농도를 높게 함으로써, 좁은 폭의 리지 구조를 갖는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이저 소자의 동작 전압과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제2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Mg 도핑 농도가 너무 높게 되면, 결함이 발생하여 결정 품질이 나빠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Mg 도핑 농도는 1×1018 내지 5×1018 cm-3 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Mg 도핑 농도는 3×1018 내지 5×1018 cm-3 이다. Mg 도핑 농도를 상기 농도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레이저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6의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깊이에 따른 광강도 분포와 굴절율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레이저 소자의 두께 방향의 깊이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활성층(105)과 식각 정지층(108)에서 돌출 된 굴절율 분포가 나타나며, 활성층(105)에 인접한 제1 p형 클래드층(107)에서 광강도가 높게 분포되어 있다. 제1 p형 클래드층(107)은 8×1017 cm-3 이하의 도핑 농도를 갖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홀 농도를 갖고 있다. 따라서, 높은 광강도 분포를 갖는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에서 홀 캐리어에 의한 광 흡수를 줄여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리지 구조 형성을 위한 식각 공정시 식각 정지층을 식각 종료 지점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다른 방안으로서 식각 정지층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n형 GaAs 기판(101) 상에, MOCVD(유기금속 기상증착)법을 사용하여 n형 AlGaInP계 클래드층(103), 활성층(105),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 식각 정지층(108),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 및 p형 콘택층(112)을 형성한다. 상기 p형 콘택층(120) 상에는 마스크 패턴 형성용 SiO2층(120)을 형성한다.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 형성시, 예를 들어 디에틸아연(diethylzinc; DEZn)을 소스로 사용하여 아연 도핑된 에피택셜층을 형성한다. 이 때, 활성층(105)으로의 아연 확산을 억제하도록,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07)의 도핑 농도를 8×1017 cm-3 이하로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연 확산 방지와 열 특성 개선을 위해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핑 농도를 1×1017 내지 8×1017 cm-3의 범위로 조절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017 내지 8×1017 cm-3의 범위로 조절한다.
또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 형성시, 예를 들어 비스시클로펜타디에닐마그네슘(bis(cyclopentadienyl)magnesium; (C5H5)2Mg)을 소스로 사용하여 마그네슘 도핑된 에피택셜층을 형성한다. 이 때,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저항을 저감시키도록,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도핑 농도를 1×1018 cm-3 이상으로 조절한다. 바람직하게는, 저항 감소와 결함 방지를 위해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도핑 농도를 1×1018 내지 5×1018 cm-3의 범위로 조절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3×1018 내지 5×1018 cm-3의 범위로 조절한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SiO2층(120)을 선택적 식각에 의해 패터닝하여 스트라이프 형상의 마스크 패턴(120a)을 형성한다. 그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스크 패턴(120a)을 식각 마스크로 사용하여 p형 콘택층(112) 및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을 선택적으로 식각함으로써, 리지 구조를 형성한다. 이 때, 식각 정지층(108)에 대한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의 식각 선택비(etching selectivity)가 큰 식각액을 사용함으로써, 식각 정지층(108)은 거의 식각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식각 정지층(108)은 리지 구조 형성을 위한 식각의 종료 지점이 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크 패턴(120a)을 제거하고, 리지 구조의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110) 양 측면과 식각 정지층(108) 상에 SiO2 등의 절연체 또는 n형 GaAs로 된 전류 제한층(114)을 형성한다. 그 후에는, 기판(101) 하측 및 p형 콘택층(112) 상측에 각각 n측 및 p측 전극(미도시)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소자가 제조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와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펀트 원소와 도핑 농도를 제어함으로써, 활성층으로의 아연 확산을 억제하고, 마그네슘 도핑의 시간적인 지연으로 인한 소자 재현성의 저하 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동작 전압 및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높은 광분포를 갖는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핑 농도를 상대적으로 낮게 함으로써, 홀 캐리어에 의한 광흡수를 줄여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내부 광자 효율이 개선되고 높은 광효율을 얻게된다.

Claims (17)

  1.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n형 AlGaInP계 클래드층 및 활성층;
    상기 활성층 상에 형성된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및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상에 형성되어 리지 구조를 갖는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상기 활성층으로의 아연 확산이 억제되는 도핑 농도로 아연에 의해 도핑되어 있고,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핑 농도보다 높은 도핑 농도로 마그네슘에 의해 도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서의 상기 아연의 도핑 농도는 8×1017 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서의 상기 아연의 도핑 농도는 1×1017 내지 8×1017 cm-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서의 상기 아연의 도핑 농도는 5×1017 내지 8×1017 cm-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서의 상기 마그네슘의 도핑 농도는 1×1018 cm-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서의 상기 마그네슘의 도핑 농도는 1×1018 내지 5×1018 cm-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서의 상기 마그네슘의 도핑 농도는 3×1018 내지 5×1018 cm-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AlGaInP계 p형 클래드층과 상기 제2 AlGaInP계 클래드층 사이에 식각 정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
  9. 기판 상에 n형 AlGaInP계 클래드층 및 활성층을 순차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활성층 상에, 상기 활성층으로의 아연 확산이 억제되는 도핑 농도로 아연이 도핑된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 상에,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의 도핑 농도보다 높은 도핑 농도로 마그네슘이 도핑된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8×1017 cm-3 이하의 아연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1×1017 내지 8×1017 cm-3의 아연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5×1017 내지 8×1017 cm-3의 아연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1×1018 cm-3 이상의 마그네슘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1×1018 내지 5×1018 cm-3의 마그네슘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은 3×1018 내지 5×1018 cm-3의 마그네슘 도핑 농도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식각 정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상기 제2 p형 AlGaInP계 클래드층에 리지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50013986A 2005-02-21 2005-02-21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93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986A KR100593931B1 (ko) 2005-02-21 2005-02-21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1/319,081 US7339966B2 (en) 2005-02-21 2005-12-28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986A KR100593931B1 (ko) 2005-02-21 2005-02-21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3931B1 true KR100593931B1 (ko) 2006-06-30

Family

ID=36912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986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3931B1 (ko) 2005-02-21 2005-02-21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39966B2 (ko)
KR (1) KR1005939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83487B2 (ja) * 2009-02-10 2010-11-17 Dowa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745472A1 (en) * 2019-05-28 2020-12-02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and opto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97573B2 (ja) * 1991-02-19 2000-01-1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レーザ装置
US5406574A (en) * 1991-10-23 1995-04-11 Kabushiki Kaisha Toshiba Semiconductor laser device
JP2817710B2 (ja) * 1996-06-10 1998-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
JP4666295B2 (ja) 1998-07-14 2011-04-06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3692269B2 (ja) 1999-01-29 2005-09-07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39966B2 (en) 2008-03-04
US20060187990A1 (en)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3523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US6563850B1 (en) Light-emitting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04289157A (ja) レーザダイオード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949807A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US8450130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laser
JP3692269B2 (ja) 半導体レーザ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279649A (ja) 半導体レーザの製造方法,及び半導体レーザ
JP2008053539A (ja) 半導体光素子
US7430228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20240644A1 (ja) 光半導体装置および光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679235B1 (ko) 반도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21206012A1 (ja) 半導体レーザ装置及び半導体レーザ装置の製造方法
US7215691B2 (en) Semiconductor lase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20040017836A1 (en) Single-mode optical device
KR100593931B1 (ko) 반도체 레이저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063020A1 (en)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Group III Nitride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US10109982B2 (en) Semiconductor device
JP4155664B2 (ja) 半導体レーザ装置
JP3763459B2 (ja) 半導体レーザ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S61168981A (ja) 半導体レ−ザ装置
JPH10256647A (ja) 半導体レーザ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253212A (ja) 半導体レーザ
US9008140B2 (en) Semiconductor laser
JP2006269568A (ja) 半導体レーザ素子
KR20220050430A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