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3278B1 -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 Google Patents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278B1
KR100593278B1 KR1020047012169A KR20047012169A KR100593278B1 KR 100593278 B1 KR100593278 B1 KR 100593278B1 KR 1020047012169 A KR1020047012169 A KR 1020047012169A KR 20047012169 A KR20047012169 A KR 20047012169A KR 100593278 B1 KR100593278 B1 KR 100593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leg
article
panel
b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21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2413A (ko
Inventor
오츠보도시후미
다키노순스케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82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2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27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 A61F13/49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nappie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Colostomy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액성 표면 시트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패널과, 이면 시트의 외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외장 시트로 구성되고, 몸통둘레 개구(15)와 다리둘레 개구(16, 17)를 갖는 팬츠형의 1회용 착용 물품(1A)에 관한 것으로, 상기 물품은 가랑이 영역(9)의 좌측 절반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절곡 안내부(10)와, 가랑이 영역(9)의 우측 절반에 형성되어 있는 제2 절곡 안내부(20)와,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 사이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제3 절곡 안내부(21)를 가지며, 가랑이 영역(9)의 제1 및 제2 영역(25, 26)이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에 절곡되어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내측을 향해 접어 넣어지고, 가랑이 영역(9)의 제3 영역(27)이 제3 절곡 안내부(21)로 절곡되어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접어 넣어져 있다.

Description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UNDERPANTS-TYPE DISPOSABLE WEARING ARTICLE}
본 발명은 배설물을 흡수, 유지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관한 것이다.
서로 대향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고, 투액성 표면 시트 및 불투액성 이면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개재하여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앞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액성 패널로 구성되며,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서로 중첩되는 몸통둘레 측부가 연결되어 몸통둘레 개구와 그 하측에 한 쌍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가 형성된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은 공지이다.
몸통둘레 개구는 패널의 전후 단연부의 외측으로부터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 단부로 둘러싸여 있다. 다리둘레 개구는 패널의 양측연부의 외측으로부터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둘레 측부로 둘러싸여 있다. 다리둘레 측부는 그 자유 가장자리가 다리둘레 개구의 꼭대기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물품의 폭 방향 내측으로 호를 그리며, 자유 가장자리 사이의 폭 치수가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서 최소로 되어 있다. 물품은 가랑이 영역의 폭 치수가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폭 치수보다 작고,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연결을 해제한 전개 평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모래시계형을 나타낸다. 그와 같은 팬츠형의 착용 물품으로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04177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0418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5590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16940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지의 착용 물품에서는, 몸통둘레 개구를 벌려 그것을 몸통둘레 개구의 상측에서 보면, 몸통둘레 개구와 좌우 다리둘레 개구가 직선적으로 이어져 있지 않고,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측으로 연장되는 다리둘레 측부가 몸통둘레 개구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물품에서는, 그것을 착용하기 위해서 착용자가 그 양다리를 몸통둘레 개구로부터 다리둘레 개구로 통과시킬 때,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측부에 발가락이나 뒤꿈치가 걸리기 쉬워 물품의 착용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 물품에서는,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의 폭 치수가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가랑이 영역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안착되지 않고, 가랑이 영역의 부피가 커져 착용 중에 위화감이 있다. 이 물품에서는, 가랑이 영역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의해 체결되었을 때, 다리둘레 측부가 불규칙하게 꺾여지거나 패널에 불규칙한 다수의 주름이 생기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이 저하되기 쉬워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배설물이 새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는 대략 3∼8 ㎝의 범위에 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의 대부분은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패널의 최소 폭 치수가 대략 10∼20 ㎝의 범위에 있고,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플랩의 자유 가장자리 사이의 최소 폭 치수가 대략 15∼30 ㎝의 범위에 있다. 따라서, 시판되고 있는 물품에서는,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의 폭 치수가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보다 크다.
본 발명의 과제는 착용에 시간이 걸리지 않고, 가랑이 영역을 착용자의 고간부에 안착시킬 수 있으며, 착용중의 위화감이 없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제는 서로 대향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고, 투액성 시트 및 불투액성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액성 패널로 구성되며,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 단부로 둘러싸인 몸통둘레 개구와,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둘레 측부로 둘러싸인 한 쌍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를 갖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이다.
상기 전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는, 상기 물품이 상기 가랑이 영역의 좌측 절반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다리둘레 개구의 꼭대기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해 볼록해지는 제1 절곡 안내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의 우측 절반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다리둘레 개구의 꼭대기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 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해 볼록해지는 제2 절곡 안내부와, 상기 다리둘레 방향으로 이격 대향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 사이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제3 절곡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는 상기 제1 절곡 안내부와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 사이로 연장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절곡 안내부와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 사이로 연장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와 상기 제3 절곡 안내부 사이로 연장되는 제3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절곡 안내부와 상기 제2 절곡 안내부를 통해 절곡되어 상기 좌우 다리둘레 개구의 내측을 향해 접어 넣어지며,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제3 절곡 안내부를 통해 절곡되어 상기 몸통둘레 개구를 향해 상기 물품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져 있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일례로서는, 상기 제3 절곡 안내부가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패널의 강성이 상기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패널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저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패널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는,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가 상기 다리둘레 개구의 꼭대기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물품의 폭 방향 내측으로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며,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 사이의 폭 치수 가 상기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서 최소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이 접어 넣어진 물품에서는, 상기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끼리의 최소 이격 치수가 3∼9 ㎝의 범위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제3 절곡 안내부와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패널의 전단연부 사이에는, 상기 패널의 양측연부의 내측을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4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절곡 안내부는 상기 패널의 강성이 상기 제4 절곡 안내부를 제외한 상기 패널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저강성 영역과, 상기 패널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다른 일례로서, 상기 제3 절곡 안내부와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패널의 후단연부 사이에는 상기 패널의 양측연부의 내측을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5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5 절곡 안내부는 상기 패널의 강성이 상기 제5 절곡 안내부를 제외한 상기 패널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저강성 영역과, 상기 패널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은 일회용 착용 물품의 사시도.
도 2는 제1∼제3 영역을 접어 넣기 이전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도.
도 3은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2의 물품의 부분 파단 전개 평면도.
도 4는 가랑이 영역측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도.
도 5는 좌측 다리둘레 개구측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 측면도.
도 6은 도 1의 A-A선 화살 표시 단면도.
도 7은 몸통둘레 개구를 벌려 도 1의 물품을 몸통둘레 개구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한 착용 물품의 사시도.
도 9는 제1∼제3 영역을 접어 넣기 이전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도.
도 10은 앞뒤 몸통둘레 영역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9의 물품의 부분 파단 전개 평면도.
도 11은 가랑이 영역측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도.
도 12는 좌측 다리둘레 개구측에서 도시한 물품의 사시 측면도.
도 13은 도 8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4는 몸통둘레 개구를 벌려 도 8의 물품을 몸통둘레 개구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도 1, 도 2는 일회용 착용 물품(1A)의 사시도와, 제1∼제3 영역(25, 26, 27)을 접어 넣기 이전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1A)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2의 물품(1A)의 부분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1, 도 2에서는, 몸통둘레 방향을 화살표 X1, 폭 방향을 화살표 X2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Y, 다리둘레 방향을 화살표 Z로 나타낸다. 도 2, 도 3에서는,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3 절곡 안내부(21)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또, 표리면 시트(2, 3)나 외장 시트(4)의 내면이란 패널(5)에 대향하는 면을 말하고, 이들 시트(2, 3, 4)의 외면이란 패널(5)에 비대향인 면을 말한다.
물품(1A)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2; 투액성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3; 불투액성 시트)와, 이면 시트(3)의 외측에 위치하여 그 면적이 표리면 시트(2, 3)보다 큰 불투액성 외장 시트(4; 불투액성 시트)와, 표리면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시트(2, 3) 중 적어도 한쪽 내면에 고착된 흡액성 패널(5)로 구성되어 있다. 물품(1A)에서는, 표리면 시트(2, 3)와 패널(5)이 직사각형의 액 흡수성 배트 구조체(6)를 형성하고, 외장 시트(4)가 팬츠 구조체(7)를 형성하고 있다.
물품(1A)은 서로 대향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8) 및 뒤 몸통둘레 영역(10)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8, 10)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9)을 갖는다. 물품(1A)은 패널(5)의 전후 단연부(5a, 5b)의 외측에 위치하여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으로부터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 단부(11)와, 패널(5)의 양측연부(5c)의 외측에 위치하여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 측부(12)와, 패널(5)의 양측연부(5c)의 외측에 위치하여 가랑이 영역(9)으로 부터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둘레 측부(13)를 갖는다.
물품(1A)에서는, 몸통둘레 측부(13)가 합장형으로 중첩되고, 몸통둘레 측부(13)가 세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열 융착선(14)을 통해 고착되어 있다. 물품(1A)에는 몸통둘레 단부(11)로 둘러싸인 몸통둘레 개구(15)와, 몸통둘레 개구(15)의 하측에 위치하여 다리둘레 측부(13)로 둘러싸인 한 쌍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16, 17)가 형성되어 있다.
물품(1A)에서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과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 있어서 이면 시트(3)의 외면과 외장 시트(4)의 내면이 접착제(18)를 통해 고착되어 있다. 다리둘레 측부(13)는 그 자유 가장자리(13a)가 다리둘레 개구(16, 17)의 꼭대기부(16a, 17a)에서 바닥부(16b, 17b)를 향해 물품(1A)의 폭 방향 내측으로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고 있고, 자유 가장자리(13a) 사이의 폭 치수가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서 최소로 되어 있다. 물품(1A)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랑이 영역(9)의 폭 치수가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의 폭 치수보다 작고, 그 평면 형상이 모래시계형을 나타낸다.
외장 시트(4)는 실질적으로 비신축성의 소수성 섬유 부직포(4a, 4b)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패널(5)은 가랑이 영역(9)으로부터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패널(5)은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의 혼합물, 또는 플러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와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와의 혼합물로서, 소정의 두께로 압축되어 있다. 그 결과, 패널(5)은 표리면 시트(2, 3)나 외장 시트(4)보다 그 강성이 높다.
가랑이 영역(9)에는 폭 방향으로 이격 대향하여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와, 다리둘레 방향으로 이격 대향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3 절곡 안내부(21)가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는 패널(5)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22)이 형성되어 있다. 패널(5)의 양측연부(5c)의 내측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4 절곡 안내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절곡 안내부(19)는 가랑이 영역(9)의 좌측 절반에 형성되고, 좌측 다리둘레 개구(16)의 꼭대기부(16a)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로부터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를 향해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고 있다. 제1 절곡 안내부(19)는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와 폭 방향 중앙부(9a) 사이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19a)과, 폭 방향 중앙부(9a)에 위치하여 이들 양측 부분(19a) 사이로 연장되는 중앙 부분(19b)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 부분(19a)은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로부터 폭 방향 중앙부(9a)를 향함에 따라 가랑이 영역(9)을 좌우로 이분하는 중심선(L)에 점차로 근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중앙 부분(19b)은 중심선(L)과 거의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2 절곡 안내부(20)는 가랑이 영역(9)의 우측 절반에 형성되고, 우측 다리둘레 개구(17)의 꼭대기부(17a)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로부터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를 향해 폭 방향 내측으로 볼록해지도록, 실질적으로 호를 그리고 있다. 제2 절곡 안내부(20)는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와 폭 방향 중앙부(9a) 사이로 연장되는 양측 부분(20a)과, 폭 방향 중앙부(9a)에 위치하여 이들 양측 부분(20a) 사이로 연장되는 중앙 부분(20b)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측 부분(20a)은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에서 폭 방향 중앙부(9a)를 향함에 따라 중심선(L)으로 점차로 근접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중앙 부분(20b)은 중심선(L)과 거의 병행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의 중앙 부분(19b, 20b)은 중심선(L)을 사이에 두고 폭 방향으로 소정 치수 이격하고 있다.
제3 절곡 안내부(21)는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 사이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고 있다. 제3 절곡 안내부(21)는 패널(5)의 비존재 영역(22)에 형성되어 있다. 제3 절곡 안내부(21)는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가 아니라, 가랑이 영역(9)에 있어서의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4 절곡 안내부(23)는 가랑이 영역(9)에 형성되어 있고, 제3 절곡 안내부(21)와 앞 몸통둘레 영역(8)에 위치하는 패널(5)의 전단연부(5a) 사이를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4 절곡 안내부(23)는 제3 절곡 안내부(21)로부터 패널(5)의 전단연부(5a)를 향함에 따라 중심선(L)에서 점차로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4 절곡 안내부(23)는 패널(5)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24)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 절곡 안내부(23)는 가랑이 영역(9)뿐만 아니라, 가랑이 영역(9)과 앞 몸통둘레 영역(8)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앞 몸통둘레 영역(8)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가랑이 영역(9)에는 제1 절곡 안내부(19)와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 사이로 연장되는 제1 영역(25)과, 제2 절곡 안내부(20)와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 사이로 연장되는 제2 영역(26)과,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의 중앙 부분(19b, 20b)과 제3 절곡 안내부(21) 사이로 연장되는 제3 영역(27)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25)은 제1 절곡 안내부(19)를 통해 절곡되고, 좌측 다리둘레 개구(16)의 내측 또한 물품(1A)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접어 넣어져 있다. 제2 영역(26)은 제2 절곡 안내부(20)를 통해 절곡되고, 우측 다리둘레 개구(17)의 내측 또한 물품(1A)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접어 넣어져 있다. 제3 영역(27)은 제3 절곡 안내부(21)를 통해 절곡되고,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물품(1A)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져 있다.
물품(1A)에서는, 제1∼제3 영역(25, 26, 27)을 제1∼제3 절곡 안내부(19, 20, 21)를 통해 절곡하면, 제1∼제3 영역(25, 26, 27)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가상 절곡선(28, 29, 30)이 형성되고, 제1∼제3 영역(25, 26, 27)이 이들 절곡 안내부(19, 20, 21)와 함께 가상 절곡선(28, 29, 30)을 통해 절곡된다. 제1 절곡 안내부(19)의 중앙 부분(19b)과 가상 절곡선(28) 사이로 연장되는 부위(25a)는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와 제1 절곡 안내부(19)의 양측 부분(19a)과 가상 절곡선(28) 사이로 연장되는 부위(25b)에 끼워져 있다. 제2 절곡 안내부(20)의 중앙 부분(20b)과 가상 절곡선(29) 사이로 연장되는 부위(26a)는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와 제2 절곡 안내부(20)의 양측 부분(20a)과 가상 절곡선(29) 사이로 연장되는 부위(26b)에 끼워져 있다.
배트 구조체(6)에서는, 패널(5)의 전후 단연부(5a, 5b)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2, 3)의 양단부(2a, 3a)가 서로 중첩되고, 양단부(2a, 3a)에 있어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며, 패널(5)의 양측연부(5c)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표리면 시트(2, 3)의 양측부(2b, 3b)가 서로 중첩되며, 양측부(2b, 3b)에서 이들 시트(2, 3)의 내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배트 구조체(6)에서는, 표면 시트(2)의 외면에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31)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탄성부재(31)는 표면 시트(2)에 피복된 상태로 시트(2)에 고착되어 있다. 표리면 시트(2, 3)의 양측부(2b, 3b)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에 있어서 물품(1A)의 폭 방향 내측으로 향해 절곡되어 있다.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에 위치하는 이들 시트(2, 3)의 양측부(2b, 3b)는 물품(1A)의 폭 방향 내측으로 쓰러진 상태에 있고, 서로 접촉하는 표면 시트(2)의 외면끼리 고착되어 있다.
배트 구조체(6)에서는,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패널(5)의 양측연부(5c)의 외측에 표리면 시트(2, 3)와는 별개의 부재인 샘 방지 시트가 부착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샘 방지 시트는 패널(5)의 양측연부(5c)의 외측에 고착된 고정 연부와, 패널(5)의 상측으로 기립 성향을 갖는 자유 연부와, 물품(1A)의 폭 방향 내측으로 쓰러진 상태로 패널(5)의 전후 단연부(5a, 5b) 근방에 고착된 고정 양단부를 가지며, 자유 연부에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가 신장 상태로 부착된다. 샘 방지 시트로서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불투액성 플 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다리둘레 측부(13)는 표리면 시트(2, 3)의 양측부(2b, 3b)와 패널(5)의 양측연부(5c)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장 시트(4)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둘레 측부(13)에는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둘레용 탄성부재(32)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다리둘레용 탄성부재(32)는 부직포(4a, 4b)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부직포(4a, 4b)에 고착되어 있다. 몸통둘레 단부(11)와 몸통둘레 측부(12)는 패널(5)의 전후 단연부(5a, 5b)와 양측연부(5c)로부터 세로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장 시트(4)로 형성되어 있다. 몸통둘레 단부(11)에는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형의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3)가 신장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몸통둘레용 탄성부재(33)는 부직포(4a, 4b) 사이에 개재하여, 이들 부직포(4a, 4b)에 고착되어 있다.
도 3의 평면도로부터 도 1의 물품(1A)을 만들기 위해서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트 구조체(6)를 내측으로 하여 물품(1A)을 가랑이 영역(9)에 있어서 절곡하고, 다리둘레 측부(12)를 고착하여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을 연결한다. 다음에, 제1 및 제2 영역(25, 26)을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를 통해 절곡하고, 도 2에 화살표 W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영역(25, 26)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내측을 향해 접어 넣는 동시에, 제3 영역(27)을 제3 절곡 안내부(21)를 통해 절곡하여, 도 2에 화살표 W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영역(27)을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물품(1A)의 내측으로 접어 넣으면 된다.
도 4, 도 5는 가랑이 영역(9)측에서 도시하는 물품(1A)의 사시도와, 좌측 다 리둘레 개구(16)측에서 도시하는 물품(1A)의 사시 측면도이며, 도 6, 도 7은 도 1의 A-A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와, 몸통둘레 개구(15)를 벌려 도 1의 물품(1A)을 몸통둘레 개구(15)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서는, 제1 및 제2 영역(25, 26)과 제3 영역(27)을 접어 넣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도 2에 비하여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 물품(1A)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접근하여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의 이격 치수가 축소되고 있다.
물품(1A)에서는, 제1 및 제2 영역(25, 26)을 접어 넣음으로써,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의 폭 치수 M2가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의 최소 이격 치수 M1과 거의 동일해지고,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의 폭 치수 M2를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대략 3∼8 ㎝의 범위)와 거의 동일하게 또는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물품(1A)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안착되기 때문에, 착용한 물품(1A)에 대한 위화감이 없다. 물품(1A)에서는, 그 가랑이 영역(9)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의해 체결되었다고 해도, 다리둘레 측부(13)가 불규칙하게 꺾여지거나 패널(5)에 불규칙한 다수의 주름이 생기는 일은 없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9)에 있어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고, 가랑이 영역(9)으로부터 배설물이 새어 버리는 일은 없다.
제1 및 제2 영역(25, 16)이 접어 넣어진 물품(1A)에서는,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의 최소 이격 치수 M1이 3∼9 ㎝의 범위에 있다. 최소 이격 치수 M1이 3 ㎝ 미만에서는,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에 배설물을 수용하는 것이 어렵고,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의 외측으로 배설물이 배설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의 폭 치수 M2가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보다 너무 작아져 버려, 가랑이 영역(9)이 착용자의 고간부에서 틀어져 움직여 버리는 경우가 있다. 최소 이격 치수 M1이 9 ㎝를 초과하면, 가랑이 영역(9)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안착되지 않고, 가랑이 영역(9)의 부피가 커져서 물품(1A)의 착용중에 위화감이 있다.
물품(1A)에서는,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의 중앙 부분(19b, 20b)의 폭 방향의 이격 치수 M3이 3∼9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치수 M3이 3 ㎝ 미만에서는,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를 통해 제1 및 제2 영역(25, 26)을 접어 넣었을 때에,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의 최소 이격 치수 M1이 3 ㎝ 미만으로 되어 버린다. 이격 치수 M3이 9 ㎝를 초과하면,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를 통해 제1 및 제2 영역(25, 26)을 접어 넣었다고 해도,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의 최소 이격 치수 M1이 9 ㎝를 초과하게 된다.
물품(1A)에서는, 제3 절곡 안내부(21)의 다리둘레 방향으로의 이격 치수 M4가 3∼12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 치수 M4가 3 ㎝ 미만인 경우는, 제3 절곡 안내부(21)를 통해 제3 영역(27)을 접어 넣기가 어렵다. 이격 치수 M4가 12 ㎝를 초과하면, 제3 절곡 안내부(21)를 통해 제3 영역(27)을 접어 넣었을 때에,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의 중앙 부분(19b, 20b)의 이격 치수 M3이 9 ㎝를 초과해 버리기 때문에,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25, 26)를 통해 제1 및 제2 영역(19, 20)을 접어 넣었다고 해도, 가랑이 영역(9)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안착되지 않고, 가랑이 영역(9)의 부피가 커져서 물품(1A)의 착용 중에 위화감이 있다.
물품(1A)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영역(25, 26)이 좌우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짐으로써 제1 및 제2 영역(25, 26)과 이들 영역(25, 26)에 위치하는 패널(5)이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기립한다. 물품(1A)에서는, 기립한 이들 영역(25, 26)과 패널(5)이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제1 및 제2 영역(25, 26)에 위치하는 패널(5)이 배설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으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물품(1A)에서는, 제3 영역(27)이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접어 넣어짐으로써 제3 영역(27)이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로부터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볼록해지고, 제3 영역(27)이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한다. 물품(1A)에서는, 제3 영역(27)이 장벽이 되고, 앞 몸통둘레 영역(8)에 배설된 배설물의 뒤 몸통둘레 영역(10)으로의 유동이나 뒤 몸통둘레 영역(10)에 배설된 배설물 의 앞 몸통둘레 영역(8)으로의 유동을 막을 수 있다. 제3 영역(27)이 접어 넣어진 물품(1A)에서는, 몸통둘레 단부(11)로부터 가랑이 영역(9)까지의 세로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물품(1A)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물품(1A)에서는,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 패널(5)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2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영역(27)을 접어 넣기 쉽고, 제3 영역(27)을 접어 넣었다고 해도,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의 부피가 커지는 일은 없다.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서는, 패널(5)보다 저강성의 표리면 시트(2, 3)가 착용자의 고간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볼록해지는 제3 영역(27)이 고간부에 접촉되었을 때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물품(1A)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것을 몸통둘레 개구(15)의 상측에서 보면, 몸통둘레 개구(15)와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가 거의 직선적으로 이어져 있고,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가 몸통둘레 개구(1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물품(1A)에서는, 그것을 착용하기 위해서 착용자가 그 양각을 몸통둘레 개구(15)로부터 다리둘레 개구(16, 17)로 통과시킬 때,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측부(13)에 착용자의 발가락이나 뒤꿈치가 걸리는 일은 없고, 물품(1A)의 착용에 시간이 걸리는 일은 없다.
물품(1A)의 착용시에는, 가랑이 영역(9)에 위치하는 패널(5)의 양측연부(5c)가 제4 절곡 안내부(23)를 통해 꺾여지기 때문에, 패널(5)의 양측연부(5c)를 착용자의 서경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패널(5)의 양측연부(5c)와 착용자의 서경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8, 도 9는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착용 물품(1B)의 사시도와, 제1∼제3 영역(25, 26, 27)을 접어 넣기 이전 상태에서 도시한 물품(1B)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의 연결을 해제한 상태에서 도시한 도 9의 물품(1B)의 부분 파단 전개 평면도이다. 도 8, 도 9에서는, 몸통둘레 방향을 화살표 X1, 폭 방향을 화살표 X2로 나타내고, 세로 방향을 화살표 Y, 다리둘레 방향을 화살표 Z로 도시한다. 도 9, 도 10에서는,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를 실선으로 나타내고, 제3 절곡 안내부(21)를 일점쇄선으로 나타낸다.
물품(1B)은 피부 접촉측에 위치하는 투액성 표면 시트(2; 투액성 시트)와, 피부 비접촉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이면 시트(3; 불투액성 시트)와, 이면 시트(3)의 외측에 위치하는 불투액성 외장 시트(4; 불투액성 시트)와, 표리면 시트(2, 3) 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패널(5)로 구성되고, 가랑이 영역(9)에 제1∼제4 절곡 안내부(19, 20, 21, 23)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1의 물품(1A)과 동일하다. 물품(1B)에서는, 표리면 시트(2, 3)와 패널(5)이 액흡수성 배트 구조체(6)를 형성하고, 외장 시트(4)가 팬츠 구조체(7)를 형성하고 있다. 이 물품(1B)이 도 1과 다른 점은 이하와 같다.
물품(1B)에서는, 패널(5)의 양측연부(5c)의 내측에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5 절곡 안내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제5 절곡 안내부(34)는 가랑이 영역(9)에 형성되어 있고, 제3 절곡 안내부(21)와 뒤 몸통둘레 영역(10)에 위치 하는 패널(5)의 후단연부(5b)와의 사이에서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5 절곡 안내부(34)는 제3 절곡 안내부(21)로부터 패널(5)의 후단연부(5b)로 향함에 따라 중심선(L)으로부터 점차로 이격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제5 절곡 안내부(34)는 가랑이 영역(9)뿐만 아니라, 가랑이 영역(9)과 뒤 몸통둘레 영역(10)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뒤 몸통둘레 영역(10)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4 절곡 안내부(23)와 제5 절곡 안내부(34)는 패널(5)의 강성이 이들 절곡 안내부(23, 34)를 제외한 패널(5)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저강성 영역(35)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는 거기에 위치하는 패널(5)의 강성이 폭 방향 중앙부(9a)를 제외한 패널(5)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저강성 영역(3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저강성 영역(35, 36)에서는, 패널(5)을 형성하는 플러프 펄프와 열가소성 합성수지 섬유 중 적어도 한쪽 단위 체적당의 평량이 이들 저강성 영역(35, 36)을 제외한 패널(5)의 나머지 영역의 단위 체적당의 평량보다 낮고, 저강성 영역(35, 36)에 있어서의 패널(5)의 두께 치수가 패널(5)의 나머지 영역보다 작다.
제1 영역(25)은 제1 절곡 안내부(19)를 통해 절곡되고, 좌측 다리둘레 개구(16)의 내측 또한 물품(1B)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접어 넣어져 있다. 제2 영역(26)은 제2 절곡 안내부(20)를 통해 절곡되고, 우측 다리둘레 개구(17)의 내측 또한 물품(1B)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접어 넣어져 있다. 제3 영역(27)은 제3 절곡 안내부(21)를 통해 절곡되고,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물품(1B)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져 있다.
물품(1B)에서는, 제1∼제3 영역(25, 26, 27)을 제1∼제3 절곡 안내부(19, 20, 21)를 통해 절곡하면, 제1∼제3 영역(25, 26, 27)에 점선으로 도시한 가상 절곡선(28, 29, 30)이 형성되고, 제1∼제3 영역(25, 26, 27)이 이들 절곡 안내부(19, 20, 21)와 함께 가상 절곡선(28, 29, 30)을 통해 절곡된다.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의 중앙 부분(19b, 20b)과 가상 절곡선(28, 29) 사이로 연장되는 부위(27b)는 제3 절곡 안내부(21)와 가상 절곡선(28, 29) 사이로 연장되는 부위(27a)에 끼워져 있다.
도 10의 평면도로부터 도 8의 물품(1B)을 만들기 위해서는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트 구조체(6)를 내측 물품(1B)을 가랑이 영역(9)에 있어서 절곡하고, 몸통둘레 측부(12)를 고착하여 앞뒤 몸통둘레 영역(8, 10)을 연결한다. 다음에, 제1 및 제2 영역(25, 26)을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를 통해 절곡하고, 도 9에 화살표 W1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영역(25, 26)을 좌우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내측을 향해 접어 넣는 동시에, 제3 영역(27)을 제3 절곡 안내부(21)를 통해 절곡하고, 도 9에 화살표 W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영역(27)을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물품(1B)의 내측으로 접어 넣으면 된다.
도 11, 도 12는 가랑이 영역(9)측에서 도시한 물품(1B)의 사시도와, 좌측 다리둘레 개구(16)측에서 도시한 물품(1B)의 사시 측면도이며, 도 13, 도 14는 도 8의 B-B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와, 몸통둘레 개구(15)를 벌려 도 8의 물품(1B)을 몸통둘레 개구(15)의 상측에서 보았을 때의 도면이다.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서는, 제1 및 제2 영역(25, 26)과 제3 영역(27)을 접어 넣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 도 9에 비하여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 물품(1B)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접근하여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의 이격 치수가 축소되고 있다.
물품(1B)에서는,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의 폭 치수 M2가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의 최소 이격 치수 M1과 거의 동일해지고,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의 폭 치수 M2를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또는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물품(1B)에서는, 그것을 착용했을 때에,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안착되기 때문에, 착용한 물품(1B)에 대한 위화감이 없다. 물품(1B)에서는, 그 가랑이 영역(9)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의해 체결되었다고 해도, 다리둘레 측부(13)가 불규칙하게 꺾여지거나 패널(5)에 불규칙한 다수의 주름이 생기는 일은 없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9)에 있어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이 저하되 일은 없고, 가랑이 영역(9)으로부터 배설물이 새어 버리는 일은 없다.
물품(1B)에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기립하는 제1 및 제2 영역(25, 26)과 이들 영역(25, 26)에 위치하는 패널(5)이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와 제1 및 제2 영역(25, 26)에 위치하는 패널(5)이 배설물을 흡수하기 때문에,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9)으로부터 배설물이 새 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물품(1B)에서는,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 패널(5)의 저강성 영역(3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폭 방향 중앙부(9a)에 패널(5)의 비존재 영역(22)이 형성된 도 1의 물품(1A)에 비하여 가랑이 영역(9)에 다량의 배설물이 흡수될 수 있다.
물품(1B)에서는, 제3 영역(27)이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로부터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볼록해지고, 제3 영역(27)이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기 때문에, 앞 몸통둘레 영역(8)에 배설된 배설물의 뒤 몸통둘레 영역(10)으로의 유동이나 뒤 몸통둘레 영역(10)에 배설된 배설물의 앞 몸통둘레 영역(8)으로의 유동을 막을 수 있다. 물품(1B)에서는, 제3 영역(27)이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접어 넣어짐으로써 몸통둘레 단부(11)로부터 가랑이 영역(9)까지의 세로 치수를 작게 할 수 있고, 물품(1B)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서는, 패널(5)의 저강성 영역(36)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접촉되기 때문에, 몸통둘레 개구(15)를 향해 볼록해지는 제3 영역(27)이 고간부에 접촉되었을 때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물품(1B)에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둘레 개구(15)와 좌우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가 직선적으로 이어져 있고,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가 몸통둘레 개구(15)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물품(1B)에서는, 그것을 착용하기 위해서 착용자가 그 양다리를 몸통둘레 개구(15)로부터 다리둘레 개구(16, 17)로 통과시킬 때,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측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측부(13)에 착용자의 발가락이나 뒤꿈치 가 걸리는 일은 없고, 물품(1B)의 착용에 시간이 걸리는 일은 없다.
물품(1B)의 착용시에는, 가랑이 영역(9)에 있어서의 패널(5)의 양측연부(5c)가 제4 및 제5 절곡 안내부(23, 34)를 통해 꺾여지기 때문에, 패널(5)의 양측연부(5c)를 착용자의 서경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패널(5)의 양측연부(5c)와 착용자의 서경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물품(1B)에서는, 다리둘레 개구(16, 17)의 바닥부(16b, 17b)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측부(13)의 자유 가장자리(13a)끼리의 최소 이격 치수 M1이 3∼9 ㎝의 범위에 있다. 물품(1B)에서는,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19, 20)의 중앙 부분(19b, 20b)의 폭 방향의 이격 치수 M3이 3∼9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품(1B)에서는, 제3 절곡 안내부(21)의 다리둘레 방향으로의 이격 치수 M4가 3∼12 ㎝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의 물품(1A)에서는, 가랑이 영역(9)에 제5 절곡 안내부(34)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제4 절곡 안내부(23)가 패널(5)의 비존재 영역(22)이 아니라, 패널(5)의 저강성 영역(35)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8의 물품(1B)에는 제4 및 제5 절곡 안내부(23, 34) 중 적어도 한쪽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이들 절곡 안내부(23, 34)가 패널(5)의 비존재 영역(22)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들 물품(1A, 1B)에서는, 제4 및 제5 절곡 안내부(23, 34)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고, 가랑이 영역(9)의 폭 방향 중앙부(9a)에 패널(5)의 비존재 영역(22)과 저강성 영역(36)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들 물품(1A, 1B)에서는, 제1∼제3 영역(25, 26, 27)의 접어 넣기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이들 영역(25, 26, 27)이 접어 넣어졌을 때에, 제1 및 제2 영역(25, 26)에 위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외장 시트(4)의 외면끼리를 고착하여도 좋고, 제3 영역(27)에 위치하여 서로 접촉하는 외장 시트(4)의 외면끼리를 고착하여도 좋다.
표면 시트(2)에는 친수성 섬유 부직포, 다수의 개공을 갖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미세한 다수의 개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3)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끼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외장 시트(4)에는 소수성 섬유 부직포,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 소수성 섬유 부직포와 통기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면 시트(3)나 외장 시트(4)에는 높은 내수성을 갖는 멜트 블론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의 양면을, 높은 강도를 가지면서 유연성이 풍부한 스펀 본드법에 의한 섬유 부직포로 끼운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에는 스펀 레이스, 니들 펀치, 멜트 블론, 서멀 본드, 스펀 본드, 케미컬 본드, 에어 스루 등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는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각 섬유,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틸렌/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심초형 복합 섬유 또는 병렬형 복합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외장 시트(4)에는 신축성 및 소수성의 섬유 부직포, 신축성 및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 신축성 및 소수성의 섬유 부직포를 중첩시킨 복합 부직포, 신축성 및 소수성의 섬유 부직포와 신축성 및 불투액성의 플라스틱 필름을 중첩시킨 복합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신축성 부직포에는 멜트 블론이나 스펀 본드의 각 제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신축성 부직포의 구성 섬유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수지를 용융, 방사한 신축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외장 시트(4)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수지 섬유로 이루어진 신축성 섬유 부직포의 적어도 한 면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의 열가소성 합성수지를 용융, 방사한 권축 섬유로 이루어진 섬유 부직포를 접합시킨 복합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다.
패널(5)은 그것의 형 붕괴나 폴리머 입자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체가 티슈페이퍼로 피복,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머 입자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 합성 폴리머계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표리면 시트(2, 3)의 고착이나 표리면 시트(2, 3)에 대한 패널(5)의 고착, 표리면 시트(2, 3)나 외장 시트(4)에 대한 탄성부재(31, 32, 33)의 고착에는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히트 시일이나 소닉 시일 등의 열에 의한 용착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따르면, 제1 및 제2 영역이 제1 및 제2 절곡선을 통해 좌우 다리둘레 개구의 내측을 향해 접어 넣어지고, 제3 영역이 제3 절곡 안내부를 통해 몸통둘레 개구를 향해 접어 넣어져 있고,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끼리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서 물품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접근하고, 다리둘레 측부를 접어 넣기 이전 상태보다,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끼리의 이격 치수가 축소된다.
이 물품에서는, 몸통둘레 개구와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가 거의 직선적으로 이어지고,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가 몸통둘레 개구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물품을 착용하기 위해서 착용자가 그 양다리를 몸통둘레 개구로부터 다리둘레 개구로 통과시킬 때,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위치하는 다리둘레 측부에 착용자의 발가락이나 뒤꿈치가 걸리는 일은 없고, 물품의 착용에 시간이 걸리는 일은 없다. 이 물품에서는, 제3 영역이 몸통둘레 개구를 향해 물품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지고 있기 때문에, 몸통둘레 단부로부터 가랑이 영역까지의 세로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물품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 물품에서는,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가랑이 영역의 폭 치수를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와 동일하게 또는 착용자의 고간부의 폭 치수보다 작게 할 수 있고, 물품을 착용했을 때에 가랑이 영역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안착되기 때문에, 착용한 물품에 대한 위화감이 없다. 이 물품에서는, 가랑이 영역이 착용자의 고간부에 의해 체결되었다고 해도, 다리둘레 측부가 불규칙하게 꺾여지거나 패널에 불규칙한 다수의 주름이 생기는 일은 없기 때문에, 가랑이 영역에 있어서의 배설물 흡수 기능이 저하되는 일은 없고,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배설물이 새어 버리는 일은 없다.
이 물품에서는,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서 패널의 상측으로 기립하는 제1 및 제2 영역이 배설물에 대한 장벽을 형성하고,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있어서 의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배설물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 물품에서는, 몸통둘레 개구를 향해 볼록해지는 제3 영역이 장벽이 되기 때문에, 앞 몸통둘레 영역에 배설된 배설물의 뒤 몸통둘레 영역으로의 유동이나 뒤 몸통둘레 영역에 배설된 배설물의 앞 몸통둘레 영역으로의 유동을 막을 수 있다.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 패널의 저강성 영역과 패널의 비존재 영역 중 어느 한쪽이 형성된 물품에서는,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의 강성이 거기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몸통둘레 개구를 향해 볼록해지는 제3 영역이 고간부에 접촉했을 때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패널의 양측연부의 내측을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제4 및 제5 절곡 안내부가 형성된 물품에서는, 그 착용시에 제4 및 제5 절곡 안내부를 통해 패널의 양측연부가 꺾이기 때문에, 패널의 양측연부를 착용자의 서경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패널의 양측연부와 착용자의 서경부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Claims (8)

  1. 서로 대향하는 앞 몸통둘레 영역 및 뒤 몸통둘레 영역과, 이들 몸통둘레 영역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영역을 구비하고, 투액성 시트 및 불투액성 시트와, 이들 시트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가랑이 영역으로부터 상기 앞뒤 몸통둘레 영역을 향해 연장되는 흡액성 패널로 구성되며, 몸통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몸통둘레 단부로 둘러싸인 몸통둘레 개구와,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리둘레 측부로 둘러싸인 한 쌍의 좌우 다리둘레 개구를 갖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상기 가랑이 영역의 좌측 절반에 형성되어 상기 좌측 다리둘레 개구의 꼭대기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해 볼록해지는 제1 절곡 안내부와, 상기 가랑이 영역의 우측 절반에 형성되어 상기 우측 다리둘레 개구의 꼭대기부측에 위치하는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해 볼록해지는 제2 절곡 안내부와, 상기 다리둘레 방향으로 이격 대향하여 상기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 사이를 폭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한 쌍의 제3 절곡 안내부를 가지며,
    상기 가랑이 영역에는 상기 제1 절곡 안내부와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 사이로 연장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2 절곡 안내부와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 사이로 연장되는 제2 영역과, 상기 제1 및 제2 절곡 안내부와 상기 제3 절곡 안내부 사이로 연장되는 제3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이 상기 제1 절곡 안내부와 상기 제2 절곡 안내부를 통해 절곡되어 상기 좌우 다리둘레 개구의 내측을 향해 접어 넣어지고, 상기 제3 영역이 상기 제3 절곡 안내부를 통해 절곡되어 상기 몸통둘레 개구를 향해 상기 물품의 내측으로 접어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곡 안내부가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패널의 강성이 상기 폭 방향 중앙부를 제외한 상기 패널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저강성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랑이 영역의 폭 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패널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가 상기 다리둘레 개구의 꼭대기부로부터 바닥부를 향해 물품의 폭 방향 내측으로 호를 그리며,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 사이의 폭 치수가 상기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서 최소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이 접어 넣어진 물품에서는, 상기 다리둘레 개구의 바닥부에 있어서의 상기 다리둘레 측부의 자유 가장자리끼리의 최소 이격 치수가 3∼9 ㎝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곡 안내부와 상기 앞 몸통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패널의 전단연부 사이에는, 상기 패널의 양측연부의 내측을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4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절곡 안내부는 상기 패널의 강성이 상기 제4 절곡 안내부를 제외한 상기 패널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저강성 영역과, 상기 패널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절곡 안내부와 상기 뒤 몸통둘레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패널의 후단연부 사이에는, 상기 패널의 양측연부의 내측을 다리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제5 절곡 안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5 절곡 안내부는 상기 패널의 강성이 상기 제5 절곡 안내부를 제외한 상기 패널의 나머지 영역보다 낮은 저강성 영역과, 상기 패널이 존재하지 않는 비존재 영역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20047012169A 2002-02-08 2003-02-06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Expired - Fee Related KR1005932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032601 2002-02-08
JP2002032601A JP4057307B2 (ja) 2002-02-08 2002-02-08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PCT/JP2003/001243 WO2003065957A1 (fr) 2002-02-08 2003-02-06 Article de vetement jetable de type caleç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2413A KR20040082413A (ko) 2004-09-24
KR100593278B1 true KR100593278B1 (ko) 2006-06-28

Family

ID=27677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2169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3278B1 (ko) 2002-02-08 2003-02-06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112189B2 (ko)
EP (1) EP1484032A4 (ko)
JP (1) JP4057307B2 (ko)
KR (1) KR100593278B1 (ko)
CN (1) CN1296026C (ko)
AU (1) AU2003207283B2 (ko)
BR (1) BR0307554B1 (ko)
CA (1) CA2475056C (ko)
MY (1) MY135210A (ko)
TW (1) TW568778B (ko)
WO (1) WO2003065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8363B2 (ja) * 2001-04-23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051208B2 (ja) * 2002-01-31 2008-0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4057321B2 (ja) * 2002-03-25 2008-03-0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EP1384459B1 (en) * 2002-07-23 2007-03-28 Kao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JP4426785B2 (ja) * 2002-08-30 2010-03-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JP4113397B2 (ja) 2002-08-30 2008-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おむつ
US7458960B2 (en) 2002-08-30 2008-12-02 Uni-Charm Co., Ltd Pull-on disposable diaper
JP3975176B2 (ja) 2003-04-18 2007-09-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JP3734808B2 (ja) * 2003-06-23 2006-01-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AU2004325970A1 (en) * 2004-12-23 2006-06-29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
DE102005030182A1 (de) * 2005-06-29 2007-01-04 Paul Hartmann Ag Wegwerfbarer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in Pantform
JP4726673B2 (ja) * 2006-03-28 2011-07-20 花王株式会社 パンツ型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US9707135B2 (en) * 2013-03-15 2017-07-18 Advanced Absorbent Technologies, Llc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9693911B2 (en) 2014-03-11 2017-07-04 Advanced Absorbent Technologies, Llc Core assembly for absorbing liquids
US10307311B2 (en) 2013-03-15 2019-06-04 Advanced Absorbent Technologies, Inc. Methods of making disposable absorbent undergarments
US10335325B2 (en) 2013-03-15 2019-07-02 Advanced Absorbent Technologies, Llc Ergonomic disposable absorbent garment
JP6396148B2 (ja) * 2014-09-26 2018-09-26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の製造方法及び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362261B2 (ja) * 2014-09-26 2018-07-25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6300717B2 (ja) * 2014-12-26 2018-03-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KR102302446B1 (ko) 2020-12-08 2021-09-14 이성관 용접 변수 모니터링을 통한 용접토치 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4494A (en) * 1970-07-10 1973-07-10 Procter & Gamble Disposable diaper with improved containment characteristics
US3710797A (en) * 1971-02-26 1973-01-16 Procter & Gamble Disposable diaper
JPS4736734U (ko) * 1971-05-07 1972-12-23
JPS4820638U (ko) * 1971-07-19 1973-03-08
US3774610A (en) * 1972-01-03 1973-11-27 Kimberly Clark Co Prefolded disposable diaper
US3848595A (en) * 1973-04-26 1974-11-19 Kimberly Clark Co Prefolded diaper with improved leg fit
US3924627A (en) * 1973-06-25 1975-12-09 Paper Converting Machine Co Disposable diaper
JPS5021845A (ko) * 1973-06-29 1975-03-08
JPS5033044A (ko) * 1973-07-23 1975-03-31
US3968799A (en) * 1975-04-04 1976-07-13 Kimberly-Clark Corporation Prefolded disposable diaper
JPS6332516A (ja) 1986-07-25 1988-02-12 Hitachi Koki Co Ltd 光走査装置の回転多面鏡取付方法
JPS6332516U (ko) * 1986-08-20 1988-03-02
JP2661420B2 (ja) * 1991-07-16 1997-10-08 豊田合成株式会社 窒化ガリウム系化合物半導体発光素子の製造方法
JP3077285B2 (ja) * 1991-07-26 2000-08-14 大同特殊鋼株式会社 真空式金属熱処理炉
JP3398024B2 (ja) 1997-09-30 2003-04-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トレニングパンツ
JP3458055B2 (ja) 1997-09-30 2003-10-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型おむつ
JP3492171B2 (ja) 1997-11-28 2004-02-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トレーニングパンツ
JP3510093B2 (ja) 1997-12-16 2004-03-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57035B2 (ja) * 2000-07-31 2007-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3978363B2 (ja) * 2001-04-23 2007-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04544A1 (en) 2005-01-06
AU2003207283B2 (en) 2008-09-04
CA2475056A1 (en) 2003-08-14
AU2003207283A1 (en) 2003-09-02
JP4057307B2 (ja) 2008-03-05
CN1638709A (zh) 2005-07-13
KR20040082413A (ko) 2004-09-24
TW200302713A (en) 2003-08-16
MY135210A (en) 2008-02-29
CA2475056C (en) 2007-04-10
JP2003230594A (ja) 2003-08-19
US7112189B2 (en) 2006-09-26
BR0307554B1 (pt) 2013-11-19
EP1484032A4 (en) 2011-01-05
EP1484032A1 (en) 2004-12-08
WO2003065957A1 (fr) 2003-08-14
TW568778B (en) 2004-01-01
BR0307554A (pt) 2005-01-04
CN1296026C (zh) 200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5074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593278B1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JP3978363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395703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656774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JP3699360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CA2713635C (en) Absorbent product
KR100641016B1 (ko)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
KR102179940B1 (ko) 착용 물품
JP5676901B2 (ja) 使い捨てのパンツ型着用物品
KR100872387B1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30051356A (ko) 일회용 착용 물품
WO2010113470A1 (en) Disposable diaper
KR20060052671A (ko) 일회용 흡수성 물품
KR100787411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JP4786536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2013244255A (ja) 吸収性物品
JP3926585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KR100494193B1 (ko) 흡수성 착용물품
JP3798691B2 (ja) 使い捨て着用物品
JP4253625B2 (ja)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6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