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2709B1 - 야채류용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야채류용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709B1
KR100592709B1 KR1020050029927A KR20050029927A KR100592709B1 KR 100592709 B1 KR100592709 B1 KR 100592709B1 KR 1020050029927 A KR1020050029927 A KR 1020050029927A KR 20050029927 A KR20050029927 A KR 20050029927A KR 100592709 B1 KR100592709 B1 KR 10059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ydration
vegetables
housing
dewatering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칠
Original Assignee
박종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칠 filed Critical 박종칠
Priority to KR102005002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2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70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채류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다량의 수분을 원심분리시켜 탈수하는 장치로, 용기자체의 인출입이 이루어져 야채류의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하며, 안정된 벨런싱 구조가 마련되어 원심의 편향됨에 따른 전도현상이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야채류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탈수장치, 야채류, 원심력, 구심력, 탈수조, 재료 공급조

Description

야채류용 탈수장치{HYDROEXTRACTOR FOR VEGETABLES}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야채류용 탈수장치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상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야채류용 탈수장치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채택하고 있는 야채류용 탈수장치에 있어서의 탈수부의 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야채류용 탈수장치에서, 하우징의 평면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야채류용 탈수장치
10. 프레임
20. 탈수부 21. 하우징
A. 저면 하우징부재 B. 측면 하우징부재
C. 클램프 21a. 재료 공급구
21b. 덮개 21c. 배수구
22. 탈수조 22a. 재료공급구
22b. 덮개
23. 재료 공급조 23a. 투수구
24. 구동모터 25. 무게추
26. 스프링 27. 진동 감지센서
본 발명은 야채류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야채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다량의 수분을 원심분리시켜 탈수하는 장치로, 용기 자체의 인출입이 이루어져 야채류의 공급 및 배출이 용이하며, 안정된 벨런싱 구조가 마련되어 원심의 편향됨에 따른 전도현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야채류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공장이나 채소류의 가공공장 등지에서는, 야채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 및 농약을 제거하기 위한 세척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채소류를 세척한 다음에는 신속히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 상품의 신선도를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따라서 근래에는 탈수기를 통한 세척된 야채류의 탈수공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야채류 전용의 탈수장치가 강구되지 아니하여 의류의 탈수에 이용되는 탈수장치를 임시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관계로, 작업가가 일일이 낱개의 야채류를 탈수조에 넣고 이를 탈수한 다음, 탈수된 야채류를 작업자가 다시 배 출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즉, 별도의 재료 공급조가 마련되지 아니하여, 작업자가 직접 탈수조에 야채류를 직접 투여하고 배출하는 형태로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따라서 야채류의 인출입에 따른 작업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고, 또 야채류의 인출입과정에서 야채류의 육질이 파손되어, 야채류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특히 종래 탈수장치에는 적절한 벨런싱 구조가 마련되지 아니하여, 탈수조에 투여된 야채류가 편향되어 구심력과 원심력이 불균형하게 형성되게 되면, 탈수장치가 전도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야채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다량의 수분을 원심분리하여 탈수하는 장치로, 재료 공급조의 인출입이 가능하여 야채류의 인출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안정된 벨런싱 구조가 마련되어 구심력과 원심력의 불균일함에 따른 요동이나 전도현상이 예방될 수 있도록 한 야채류용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는,
야채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수분을 원심분리를 통해 탈수하는 탈수부와, 상기 탈수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야채류용 탈수장치로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개폐형 덮개가 마련된 재료공급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된 수분의 배출 경로인 배출구가 형성되며, 저면의 중심부에는 회동축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된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축설되는 개방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개폐형 덮개를 가진 재료공급구가 상부에 형성된 탈수조; 및
상기 재료 공급구를 통해 탈수조의 내부에 인출입되며, 표면에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야채류가 수용되는 재료 공급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야채류의 인출입이 재료 공급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 테두리와 프레임상에 안치된 하우징의 하부 테두리의 사이에는 복수의 방진부재가 설치되어, 탈수부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과 이원화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발생한 탈수부의 요동이 상기 방진부재에 의해 완충되어 장치 전체의 요동이 억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하중의 구동모터는, 상기 방진부재보다 위상이 낮은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지면으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방진부재보다 위상이 낮게 설치된 고하중의 구동모터에 의해, 야채류의 탈수과정 중에 탈수부에 과도한 원심력이 발생하더라도 장치 전체가 전복되거나 요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무게추를 마련하여, 무게중심이 탈수부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구심력과 원심력이 불균형에 의한 장치의 전도현상이 방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의 하우징은, 저면 하우징부재와 측 면 하우징부재가 클램프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단일몸체를 이룬 것으로, 이렇게 하우징을 이원화 된 구성요소를 상호 결합시켜 단일몸체로 구성함으로써, 하우징의 분해가 가능하여 추후 세정이나 청소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탈수부의 하우징에 진동 감지센서를 마련하여, 이 진동 감지센서를 통해 탈수부의 과도한 진동이 발생시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한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야채류용 탈수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야채류용 탈수장치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상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야채류용 탈수장치의 결합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채택하고 있는 야채류용 탈수장치에 있어서의 탈수부의 하우징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야채류용 탈수장치에서, 하우징의 평면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야채류용 탈수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지기능을 갖는 프레임(10)에, 세척된 야채류를 원심 분리시켜 야채의 표면에 묻어 있는 다량의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부(20)가 안치된 형태이다.
도면을 보아, 본 실시예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1)에서 프레임(10)은, 탈수부(20)를 지반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안치되는 탈수부(20)는, 하부에 배수구(21c)가 형성된 하우징(21)내에 탈수조(22)가 설치된 형태로, 상기 하우징(21)과 탈수조(22)의 상부에는 야채류를 수용한 후술하는 재료 공급조(23)의 인출입 경로인 재료 공급구(21a, 22a)가 형성되며, 이 재료 공급구(21a, 22a)를 개폐하기 위한 힌지 개폐형 덮개(21b, 22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1)의 재료 공급구(21a)에 마련된 개폐형 덮개(21b)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일축(21e)상에 설치되어 개방력을 제공하는 제 1 토션 스프링(21f)과 동일축(21e)상에 설치되어 폐쇄력을 제공하는 제 2 토션스프링(21g)에 의해 각각 탄지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개폐형 덮개(21b)는, 제 1 토션 스프링(21f)을 통해서는 폐쇄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인가받고, 제 2 토션 스프링(21g)을 통해서는 개방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받게 되므로, 사용자는 적은 량의 힘으로도 개폐형 덮개(21b)의 개폐작용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21)은 저면 하우징부재(A)와 측면 하우징부재(B)를 클램프(C)를 통해 상호 결합시켜 단일몸체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우징(21)을 이원화된 구성요소(A, B)로 구성하게 되면, 하우징(21)의 분해가 가능하여 추후 내부 세정 또는 내부 수리가 용이해지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여기 서 클램프(C)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의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1)내에 설치되는 탈수조(22)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방형 구조체로, 이 탈수조(22)는 하우징(21)의 저면에 설치된 회동축(21d)에 축설되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됨으로써 구동모터(24)의 구동력을 인가받아 고속으로 회동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의 저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24)의 측부에 하나 이상의 무게추(25)를 마련하고 있는데,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탈수부(20)의 무게중심이 하부에 형성되고, 따라서 탈수시 구심력 및 원심력의 불균형에 의해 탈수부(20)에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전도되는 문제점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1)는, 기본적으로 야채류를 직접 탈수조(22)에 인출입시키지 아니하고, 야채류를 담은 재료공급조(23)가 탈수조(22)에 인출입되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야채류의 공급과 배출이 재료 공급조(23)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야채류의 입출입이 용이해지고 또 낱개의 야채류의 인출입에 따른 야채류의 조직이 손상되는 문제점이 예방될 수 있다.
도면을 보아 본 실시예에 따른 재료 공급조(23)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표면에는 수많은 투수구(23a)들이 형성되어 있어, 이 투수구(23a)들을 통해 원심 분리작용에 의해 야채류에서 탈리된 수분들이 배출되며, 이 배출된 수분들은, 하우징 (21)의 하부에 형성된 배수구(21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렇게 탈수조(22)와 재료공급조(23)를 수용한 하우징(21)은 상기 프레임(10)의 상부에 안치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프레임(10)에 하우징을 직접적으로 안치하지 아니하고, 별도의 방진부재인 스프링(26)을 하우징(21) 저면의 하부 테두리 부위와 프레임(10)의 상부 테두리(11) 부위간에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하우징(21)의 저면이 스프링(26))에 의해 탄지된 채로 프레임(10)에 안치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원심분리를 통한 야채류의 탈수시 구심력과 원심력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탈수부(20)에 다소간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이 진동은 스프링(26)에 의해 신속히 완화 내지 소진되게 된다. 따라서, 탈수과정에 따른 요동이 억제되어 소음발생이 감소되며, 또 전도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1)는, 종래와 같이 지면과 장치간에 완충 내지 요동 중심층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면과 이격된 상기 탈수부의 하우징(21) 저면과 프레임(10)간이 완충 내지 요동 중심층이 된다.
그리고, 하우징(21)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하중의 구동모터(24)와 무게추(25)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1)을 안치하여 지지하고 있는 프레임(10)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S) 내에서 지면과 부양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방진부재인 스프링(26)의 위상보다 낮은 위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6)에 의해 형성되는 완충 내지 요동 중심층보다 낮게 설치된 구동모터(24)와 무게추(25)의 자체 하중에 의하여, 야채류의 탈수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우징(21)의 요동이 억제된다.
여기서, 방진부재는 상기와 같이 스프링(26)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탄성의 방진고무나 우레탄고무 또는 공압실린더 등의 다른 완충소재로 이루어진 방진부재도 사용될 수 있다.
삭제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수부(20)에 진동감지 센서(27)를 마련하여, 이 진동 감지센서(27)에 의해 탈수부(20)에 일정치 이상의 진동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구동모터(24)의 구동을 멈추도록 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에 의한 야채류 탈수작업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최초에 사용자는, 재료 공급조(23)에 세척을 마친 일정량의 야채류를 담은 다음, 이 재료 공급조(23)를 하우징(21)과 탈수조(22)의 재료공급구(21a, 22a)를 통해 탈수조(22) 내에 안치시키게 된다.
그 다음, 상기 탈수조(22)에 형성된 덮개(22b)와 하우징(21)에 마련된 덮개(21b)를 순차적으로 덮게 된다. 이때, 상기 개방된 재료 공급조(23)의 상부는, 탈수조(22)의 덮개(22b)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이후, 구동모터(24)의 구동으로 야채류를 수용한 재료 공급조(23)를 안치한 탈수조(22)는 고속으로 회동되며, 이때 야채류의 표면에 묻은 수분들은 원심분리되어 하우징(21)의 저면에 형성된 배출구(21c)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때, 재료 공급조(23)에 수용된 야채류가 편향되어 구심력과 원심력의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탈수부(20)의 다소간의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스프링(26)의 완충작용에 의해 신속히 완화 내지 소진될 수 있다.
이러한 원심분리 과정을 통해 야채류의 표면에 묻은 수분이 제거되면, 사용자는 역순으로 상기 하우징(21)에 형성된 덮개(21b)와 탈수조(22)에 마련된 덮개(22b)를 순차적으로 열고, 최종적으로 탈수를 마친 야채류가 수용된 재료 공급조(23)를 배출시킴으로써, 야채류의 탈수공정이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는, 기본적으로 낱개의 야채류를 탈수조에 직접 인출입시키지 아니하고, 별도의 재료 공급조를 통해 야채류의 인출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야채류의 인출입이 용이해져 작업성이 향상되고, 또 야채류 인출입에 따른 야채류의 조직파손이 예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는, 프레임에 탈수부를 안치시킴에 있어 스프링상에 탈수부가 안치된 형태를 취하도록 하고 있고, 또 하우징의 저면에 무게추를 마련하여, 구심력과 원심력의 불균형에 따른 탈수부의 진동이 신속히 소진 내지 완화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야채류용 탈수장치의 하우징은, 저면 하우징부재와 측면 하우징부재가 결합된 것으로, 이렇게 이원화된 구성요소를 단일몸체를 이루도록 하게 되면, 추후 내부수리나 내부세정이 용이해지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Claims (6)

  1. 야채류의 표면에 묻어 있는 수분을 원심분리를 통해 탈수하는 탈수부와, 상기 탈수부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야채류용 탈수장치로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안치되는 것으로, 상부에는 개폐형 덮개가 마련된 재료공급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탈수된 수분의 배출 경로인 배출구가 형성되며, 저면의 중심부에는 회동축이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마련된 회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회동축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동축에 축설되는 개방형 몸체로 이루어지며, 개폐형 덮개를 가진 재료공급구가 상부에 형성된 탈수조; 및
    상기 재료 공급구를 통해 탈수조의 내부에 인출입되며, 표면에 다수개의 투수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야채류가 수용되는 재료 공급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야채류의 인출입이 재료 공급조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의 상부 테두리와 프레임상에 안치된 하우징의 하부 테두리의 사이에는 복수의 방진부재가 설치되어, 탈수부가 지면과 이격된 상태로 프레임과 이원화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원심력에 의해 발생한 탈수부의 요동이 상기 방진부재에 의해 완충되어 장치 전체의 요동이 억제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하중의 구동모터는, 상기 방진부재보다 위상이 낮은 프레임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 지면으로부터 부양된 상태로 위치하여,
    상기 방진부재보다 위상이 낮게 설치된 고하중의 구동모터에 의해, 야채류의 탈수과정 중에 탈수부에 과도한 원심력이 발생하더라도 장치 전체가 전복되거나 요동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류용 탈수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의 하우징에 진동 감지센서가 마련되어, 탈수부 에 과도한 진동이 발생시, 상기 진동 감지센서를 통해 구동모터가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류용 탈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저면 하우징부재와 측면 하우징부재가 클램프를 통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류용 탈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지면에 이격하여 형성된 하우징의 저면에 하나 이상의 무게추를 마련하여, 탈수부의 하부에 무게중심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류용 탈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개폐형 덮개는,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개방력을 제공하는 제 1 토션스프링과, 동일축상에 설치되어 폐쇄력을 제공하는 제 2 토션스프링에 의해 각각 탄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채류용 탈수장치.
KR1020050029927A 2005-04-11 2005-04-11 야채류용 탈수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9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927A KR100592709B1 (ko) 2005-04-11 2005-04-11 야채류용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927A KR100592709B1 (ko) 2005-04-11 2005-04-11 야채류용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92709B1 true KR100592709B1 (ko) 2006-06-28

Family

ID=3718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92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92709B1 (ko) 2005-04-11 2005-04-11 야채류용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27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42B1 (ko) 2008-02-13 2008-10-02 문제구 반복누름에도 유격없이 정확하게 회전되는 야채탈수기
KR101907138B1 (ko) * 2018-04-12 2018-10-11 조형권 원심분리기가 부설되어 생약 또는 한방(한약) 추출액의 여과 분리 효율을 개선한 한외여과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242B1 (ko) 2008-02-13 2008-10-02 문제구 반복누름에도 유격없이 정확하게 회전되는 야채탈수기
KR101907138B1 (ko) * 2018-04-12 2018-10-11 조형권 원심분리기가 부설되어 생약 또는 한방(한약) 추출액의 여과 분리 효율을 개선한 한외여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55567B2 (ja) ドラム型洗濯機の洗濯槽
KR101537590B1 (ko) 볼 밸런서 및 이를 구비한 세탁장치
CN1099490C (zh) 洗衣机
CN108729122B (zh) 一种洗衣机
KR100224450B1 (ko) 드럼세탁기의 밸런싱장치
US20070157677A1 (en) Drum washing machine
KR100592709B1 (ko) 야채류용 탈수장치
US2873599A (en) Basket mounting arrangement for laundry machine
JPH0623389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H1111428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310325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0024386A (ja) 洗濯用遠心脱水機
KR20130032886A (ko) 세탁기
CN108729125B (zh) 一种洗衣机
JP3754377B2 (ja) ドラム式洗濯機およびドラム式洗濯機における脱水時の振動低減方法
JP6800051B2 (ja) 洗濯機
KR101517868B1 (ko) 세탁효율을 증대시킨 드럼세탁기
KR20210020402A (ko) 의류처리장치
JP2002263397A (ja) 洗濯脱水機の脱水方法及びアンバランス防止装置
JPH08266788A (ja) 遠心脱水装置
KR102429657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KR101341457B1 (ko) 드럼 세탁기
JP2003093776A (ja) ドラム式洗濯機
KR20220045942A (ko) 세탁기
JPH06246092A (ja) ドラム式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1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4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6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6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