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1424B1 -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424B1
KR100591424B1 KR1020040045435A KR20040045435A KR100591424B1 KR 100591424 B1 KR100591424 B1 KR 100591424B1 KR 1020040045435 A KR1020040045435 A KR 1020040045435A KR 20040045435 A KR20040045435 A KR 20040045435A KR 100591424 B1 KR100591424 B1 KR 1005914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ion secondary
long side
thickness
type lithium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0177A (ko
Inventor
임훈
맹수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424B1/ko
Publication of KR2005012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0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4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42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충방전시 극판 팽창으로 인한 스웰링 현상을 줄일 수 있으며 동시에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캔의 구조를 개선한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극판과 음극판, 및 이들 간의 직접적 접촉을 막는 세퍼레이터가 권취되어 형성된 전극 젤리롤과, 상기 전극 젤리롤을 수납하고 있는 캔을 포함하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캔의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두께가 장측면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한다.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스웰링, 캔 두께

Description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Can Type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도 1은 종래의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캔형 이차전지의 캔이 팽창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I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캔이 팽창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리튬이차전지 12...전극 젤리롤
13...양극판 14...세퍼레이터
15...음극판 16...양극 리드
17...음극리드 30...절연 케이스
100...캡 조립체 110...캡 플레이트
120...가스켓 130...전극 단자
140...절연 플레이트 150...단자 플레이트
50a, 50b, 50c, 50d...캔의 장측면 모서리부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충전시 극판 팽창으로 인한 스웰링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캔의 구조를 개선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성으로 인하여 근래에 많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 개발되고 사용되는 것 가운데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있다.
이들 이차전지에서 베어 셀의 대부분은 양극, 음극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젤리롤을 통상 철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캔에 수납하고, 캔을 캡 조립체로 마감한 뒤, 캔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캔은 철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하게 되면 알루미늄의 가벼운 속성으로 전지의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고, 고전압 하에서 장시간 사용할 때에도 부식되지 않는 등 유리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며, 도 2는 상기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팽창 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각형 리튬이온 이차 전지는 캔(50)과, 상기 캔(5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전극 젤리롤(12)과, 상기 캔(50)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상기 캔(50)은 금속재로 된 각형의 케이스이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상대 적으로 길이가 긴 측면(이하 '장측면'이라 함)들과 이 장측면들을 연결하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측면(이하 '단측면'이라 함)들을 포함한다.
상기 전극 젤리롤(12)은 양극판(13)과, 세퍼레이터(14)와, 음극판(15)을 순차로 적층한 후 롤상으로 권취시킨 것으로, 상기 캔(11)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양극판(13) 및 음극판(14)으로부터 양극 및 음극 리드(16, 17)가 각각 인출되어 있다.
상기 캡 조립체(100)는 상기 캔(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캡 플레이트(110)와,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 통공(111)에 삽입되는 전극 단자(130)와,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아랫면에 설치되는 절연 플레이트(140)와, 상기 절연 플레이트(140)의 아랫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극 단자(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전극 단자(130)의 외면에는 상기 전극 단자와 상기 캡 플레이트(110)와의 절연을 위하여 튜브 형상의 가스켓(1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캡 플레이트(110)에는 상기 캔(11) 내부로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전해액 주입공(1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해액 주입공(112)에는 볼(160)이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상기 양극 리드(16)는 상기 캡 플레이트(110)의 저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음극 리드(17)는 상기 단자 플레이트(150)를 통하여 전극 단자(130)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양극 리드(16) 및 음극 리드(17)가 전극 젤리롤(12)로부터 인출되는 부분에는 극판(13, 15)간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연 테이프(18)가 감겨져 있다. 상기 캔(11)의 내부에는 상기 전극 젤리롤(12)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전극 젤리롤(12)과, 캡 조립체(100)와의 절연을 위한 절연 케이스(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캔(50)은 이차전지의 충방전시 전기화학반응에 의한 가스의 발생에 수반하는 내압상승이나 극판 팽창 등에 의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의 장측면의 중앙부가 부풀어 올라 캔이 변형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충방전시 극판 팽창으로 인한 스웰링 현상을 억제하고 동시에 강도가 보강되어 변형이 방지되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극판과 음극판, 및 이들 간의 직접적 접촉을 막는 세퍼레이터가 권취되어 형성된 전극 젤리롤과, 상기 전극 젤리롤을 수납하고 있는 캔을 포함하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캔의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두께가 장측면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캔은 철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루미늄합금은 알루미늄과 망간 또는 알루미늄과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캔의 장측면의 중앙부의 최소 두께(t1)와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최대 두께(t2)의 상대적인 두께비는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 t2/t1 ≤ 3
본 발명에서, 상기 캔의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장측면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캔이 팽창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극 젤리롤을 수용하는 캔(50)은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두개의 대향 장측면들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두 개의 대향 단측면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캔(50)의 재질은 철재, 알루미늄 또는 알류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경량화 측면에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압 강도를 강화하거나 전해액에 대한 내부식성 측면에서 알루미늄과 망간, 알루미늄과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이 혼합된 알루미늄 합금이 사용될 수 있다. 전해액에 대한 내부식성이 중요한 경우에는 니켈을 함유한 알루미늄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차전지의 충전시 극판 팽창으로 인한 스웰링이 발생하는 경우, 캔의 장측면의 중앙부가 장측면의 모서리부(50a, 50b, 50c, 50d)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부풀어오르게 되며, 이 때 상기 장측면의 각 모서리부(50a, 50b, 50c, 50d)에는 무용한 공간 S가 형성된다.
본 발명은 스웰링이 발생할 때 상기 캔(50)의 장측면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되는 무용한 공간 S를 고려하여 캔의 장측면의 모서리부(50a, 50b, 50c, 50d)의 두께를 캔의 장측면의 중앙부 두께보다 두껍게 구성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극판의 팽창 시에도 캔의 외관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캔(50)의 휨강도는 캔의 장측면 길이의 세제곱에 비례하여 저하된다. 캔의 장측면의 길이가 길어지면 내압으로 인한 직선 부분의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캔의 장측면 모서리부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캔의 장측면의 직선 부분의 길이가 짧아져 휨강도가 크게 증가될 수 있다.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캔(50)의 장측면의 중앙부의 두께는 대개 0.1 내지 0.3mm 범위내이다. 도 2에 잘 나타나 있듯이, 스웰링이 일어나면 캔(50)의 장측면의 중앙부가 부풀어오르고, 이때 상기 중앙부의 팽창 두께는 0.13 내지 3.9 범위 내가 되며, 팽창 전의 중앙부의 두께에 비해 1.3 내지 3배정도 두께가 팽창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캔(50)의 장측면의 중앙부의 최소 두께(t1)와 장측면의 모서리부(50a, 50b, 50c, 50d)의 최대 두께(t2)는 공히 하기 식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 t2/t1 ≤ 3
본 발명에 따른 캔(50)의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최대 두께와 중앙부의 최소 두께간의 상대적인 두께비 t2/t1이 1.3보다 작으면 스웰링에 의한 캔의 외관 변형 감소 효과가 적으며, 3보다 크면 상기 캔(50)의 장측면의 모서리부(50a, 50b, 50c, 50d)의 두께가 필요이상으로 두꺼워져 이차전지의 경량화에 바람직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캔의 재질에 따라 팽창률이 달라질 것이며, 이에 따라 캔의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최대 두께와 중앙부의 최소 두께간의 상대적인 비 t2/t1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캔의 스웰링이 발생하는 경우 스웰링되는 정도는 캔의 장측면 중앙부에서 모서리부로 갈수록 감소되는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캔의 변형 특성을 고려하여, 도 3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캔(50)의 횡단면 형상은 장측면의 모서리부(50a, 50b, 50c, 50d)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장측면의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조고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캔의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두께를 장측면의 중앙부보다 두껍게 하여 캔의 구조를 보강함으로써 충방전시 극판 팽창으로 인한 스웰링 현상이 억제되어 캔의 변형이 방지되고 동시에 캔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양극판과 음극판, 및 이들 간의 직접적 접촉을 막는 세퍼레이터가 권취되어 형성된 전극 젤리롤과, 상기 전극 젤리롤을 수납하고 있는 캔을 포함하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캔의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두께가 장측면의 중앙부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부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중앙부를 향해 경사지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은 철재,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합금은 알루미늄과 망간 또는 알루미늄과 니켈 또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캔의 장측면의 중앙부의 최소 두께(t1)와 장측면의 모서리부의 최대 두께(t2)의 상대적인 두께비는 1.3 ≤ t2/t1 ≤ 3 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5. 삭제
KR1020040045435A 2004-06-18 2004-06-18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Expired - Lifetime KR1005914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435A KR100591424B1 (ko) 2004-06-18 2004-06-18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5435A KR100591424B1 (ko) 2004-06-18 2004-06-18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177A KR20050120177A (ko) 2005-12-22
KR100591424B1 true KR100591424B1 (ko) 2006-06-21

Family

ID=3729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5435A Expired - Lifetime KR100591424B1 (ko) 2004-06-18 2004-06-18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4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2859B1 (ko) 2010-07-12 2012-07-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0177A (ko) 200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0625B1 (ko) 이차 전지
JP4633528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0471166B1 (ko)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60113815A (ko) 이차 전지
KR20090047779A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8216716B2 (en)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having an internal space
WO2002043166A1 (en) Square battery
CN101388471A (zh) 二次电池
JP4088732B2 (ja) 二次電池
JP4110924B2 (ja) 角型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100591424B1 (ko) 캔형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0529098B1 (ko) 이차 전지
KR100542680B1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JP2000294201A (ja) 密閉型角薄形電池
KR100601536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20060057462A1 (e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1146467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100615153B1 (ko) 리튬 2차 전지
KR20160064859A (ko) 배 나온 각형 캔, 이를 포함하는 각형 이차 전지의 제조방법
CN222966211U (zh) 一种纽扣电池
CN217062221U (zh) 电芯及电池
KR100614382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20250174779A1 (en) Battery cell, battery and electricity-consuming device
KR101308268B1 (ko) 이차전지
KR100614387B1 (ko) 밀봉홀더를 구비한 캔형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1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2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24121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