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91336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1336B1
KR100591336B1 KR1020040060943A KR20040060943A KR100591336B1 KR 100591336 B1 KR100591336 B1 KR 100591336B1 KR 1020040060943 A KR1020040060943 A KR 1020040060943A KR 20040060943 A KR20040060943 A KR 20040060943A KR 100591336 B1 KR100591336 B1 KR 100591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m
value
power
output
automatic g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2190A (ko
Inventor
최두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13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2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2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1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1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4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of transmitter output st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2Transmitters
    • H04B1/04Circuits
    • H04B2001/0408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 H04B2001/0416Circuits with power amplifiers having gain or transmission powe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선형특성을 갖는 자동이득 제어기의 출력을 선형 특성으로 조절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의 생성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자동이득 제어기의 전체 이득전력을 여러단계의 레벨로 분류하고, 송신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각 전력레벨로 송출될 때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로 인가되는 PDM값을 각각 검출 또는 산출하여 각 전력레벨 및 그에 해당하는 PDM값에 대한 룩업(look-up)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출력 결정된 송신신호의 출력 전력값과 현재 출력되고 있는 출력 전력값이 상이한 경우 출력 결정된 값에 해당하는 PDM값을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제 2단계와, 검색된 PDM값에 따른 PDM신호를 변환하여 자동이득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져,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수행시간이 크게 단축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선형특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수신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이득 제어, 룩업 테이블, PDM, 송신단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Gain Control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중 각 전력레벨 및 그에 따른 PDM값이 저장되는 룩업 테이블 생성과정이 도시된 흐름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이 도시된 블록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중 각 전력레벨 및 그에 따른 PDM값이 저장되는 룩업 테이블 생성과정이 도시된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 MSM 12: 자동이득 제어기
14: 전력증폭기 15: 듀플렉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비선형특성을 갖는 자동이득 제어기의 출력을 선형 특성으로 조절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의 생성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있어 주어진 대역폭에서 동시에 통화할 수 있는 사용자의 수를 최대화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전력이 낮으면 비트 오차율이 너무 높아 좋은 품질의 통화를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기지국으로 수신되는 수신전력이 높으면 그 통화품질은 향상되나 같은 채널을 사용하는 타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간섭이 증가하여 타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품질은 크게 저하된다.
이러한 CDMA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강도는 상기 단말기가 자체 송신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수신신호 강도가 높다면 상기 단말기의 송신전력은 낮아지며 이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에 근접하여 위치하거나 경로 손실이 극히 적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단말기는 상기 기지국과 근접하여 위치한 경우에는 낮은 전력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경우에는 높은 전력으로 송신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에 도달하는 모든 단말기 송신신호의 수신전력을 동일하게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상기 단말기의 송신단에서 자동이득제어(AGC, Automatic Gain Control) 증폭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이것은 전압으로 송신이득을 조절하여 약 80dBm의 이득조절범위를 갖게 되며, 상기 이득제어전압을 통해 고전력 송신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는 출력을 조절하는 전압이 일정한 단계로 증가 감소하여도 그에 비례하여 출력이 일정하게 증가 또는 감소하지 않으므로 출력전압의 증가 또는 감소량을 예측할 수 없는 비선형 출력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중 각 전력레벨 및 그에 따른 PDM(Pulse Density Modulation)값이 저장되는 룩업 테이블 생성과정이 도시된 흐름도,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가 선형출력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자동이득조절기의 이득조정을 제어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의 각 PDM값과 상기 각 PDM값에 따른 송신신호의 각 출력전력값을 함께 저장하여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테이블에 따라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의 이득을 조정하게 된다.
즉, -55dBm부터 27.46dBm까지 82.46dBm의 전력레벨을 각 2.66dBm 단계로 32개의 전력레벨을 설정한 경우(S1), 상기 전력레벨 중 첫 번째 레벨에 해당하는 -55dBm에 해당하는 상기 MSM의 PDM값을 검출하고 차례로 각 레벨에 해당하는 PDM값을 검출한다.(S2 내지 S4)
상기의 과정을 수행 후 27.46dBm에 해당하는 32번째 PDM값을 검출하고 나면 각 전력레벨 및 레벨에 대응하는 PDM값에 따라 테이블을 생성하게 되며, 생성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의 이득이 조정되게 된다. (S5, S6)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 정방법은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는 데 있어 32단계의 레벨에 대한 PDM값을 모두 검출하기 위해 검출동작을 32회 반복하여야 하므로 실제 테이블을 생성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테이블이 생성되기 전까지는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가 비선형 출력특성을 갖게 되므로 수신 신호 감도의 개선 또는 송신 전력 제어 등에 한계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득조정을 위한 룩업(look-up) 테이블의 생성시 다수의 전력레벨 중 일부 레벨에 대응하는 PDM값을 검출하고, 검출된 값을 특정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나머지 전력레벨에 대응하는 PDM값을 산출함으로써 테이블의 생성시간이 크게 단축되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은 자동이득 제어기의 전체 이득전력을 여러단계의 레벨로 분류하고, 송신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각 전력레벨로 송출될 때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로 인가되는 PDM값을 각각 검출 또는 산출하여 각 전력레벨 및 그에 해당하는 PDM값에 대한 룩업(look-up)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출력 결정된 송신신호의 출력 전력 값과 현재 출력되고 있는 출력 전력값이 상이한 경우 출력 결정된 값에 해당하는 PDM값을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제 2단계와, 검색된 PDM값에 따른 PDM신호를 변환하여 자동이득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송신단은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레벨을 검출한 후 이에 대응하는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 및 자동이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MSM(Mobile Station Modem, 11)과, 상기 MSM(11)에서 출력된 자동이득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IF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자동이득 제어기(Automatic Gain Controller, 12)와,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송신전력 만큼 증폭시키는 전력증폭기(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12)로부터 상기 IF신호를 수신하여 RF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전력증폭기(14)로 인가하는 업-믹서(Up-Mixer, 13)와, 상기 전력증폭기(14)로부터 출력된 RF신호를 안테나(N)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듀플렉서(Duplexer, 1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MSM(11)은 제어신호를 생성 및 전달함으로써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RF신호를 수신한 후 수신된 RF신호의 수신레벨에 따라 RF신호의 송신전력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송신전력에 대응하 는 PDM 제어신호를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12)로 인가한다.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12)는 상기 MSM(11)으로부터 수신된 PDM 제어신호에 의해 결정된 이득에 따라 상기 IF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듀플렉서(15)는 상기 전력증폭기(14)에서 출력한 RF신호를 상기 안테나(N)를 통해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MSM(11)은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12)의 선형특성을 위하여 상기 안테나(N)를 통해 출력되는 각 신호의 출력전력 및 그때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12)로 인가되는 PDM값을 산출하여 룩업(look-up) 테이블로 저장하게 되며, 이때 상기 룩업 테이블의 생성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중 각 전력레벨 및 그에 따른 PDM값이 저장되는 룩업 테이블 생성과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우선, -55dBm부터 27.46dBm까지의 송신전력을 2.66dBm 단위로 32단계의 전력레벨을 분류한다.(S11)
1번째 단계인 -55dBm에 해당하는 송신신호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송출시 상기 MSM으로부터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로 인가되는 PDM값을 검출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39.40dBm(7번째), -23.08dBm(13번째), -7.12dBm(19번째), 8.84dBm(25번째), 24.8dBm(31번째), 27.46dBm(32번째)에 해당하는 PDM값을 각각 검출한다.(S12)
검출된 1, 7, 13, 19, 25, 31, 32번째 전력레벨에 해당하는 각 PDM값을 이용하여 나머지 전력레벨에 해당하는 PDM값을 산출한다. 이때, 각 PDM값을 산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으로서 내삽법(interpolation Algorithm)을 사용하며 예를 들어 상기 1, 7번째 PDM값을 이용하여 2 내지 6번째 PDM값을 산출하는 함수는 다음과 같다.(S13)
for(n=0; n<5; n++) {
(n+2)번째 PDM = {(7번째 PDM- 1번째 PDM)*n}- 1번째 PDM
}
상기와 같은 함수를 이용하여 2 내지 6번째 PDM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유사한 방법으로 32단계의 전력레벨 중 나머지 전력레벨에 대한 PDM값을 산출해 낼 수 있으며, 각 전력레벨 및 그에 따라 검출 또는 산출된 PDM값을 토대로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의 이득조정을 위한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블은 상기 MSM에 내장되어 있는 플래시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에 저장되며, 상기 MSM은 각 송신전력에 따른 PDM값을 상기 테이블로부터 검색하여 그에 해당하는 PDM신호를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로 전송하게 된다.(S14)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이득제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자동이득 제어기의 전체 이득전력을 여러단계의 레벨로 분류하고, 송신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각 전력레벨로 송출될 때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로 인가되는 PDM값을 각각 검출 또는 산출하여 각 전력레벨 및 그에 해당하는 PDM값에 대한 룩업(look-up) 테이블을 생성한다.(S10)
출력 결정된 송신신호의 출력 전력값과 현재 출력되고 있는 출력 전력값을 비교하여 그 값이 서로 상이한 경우 출력 결정된 신호의 출력전력값에 해당하는 PDM값을 상기 룩업테이블에서 검색한다.(S20, S30)
검색된 PDM값을 토대로 PDM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PDM신호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로 인가하게 된다.(S40)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는 수신된 직류전압에 따라 그 이득이 조정되어 수신된 IF신호를 조정된 이득에 따라 증폭하여 상기 업-믹서로 전달하게 된다.(S5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고, 일부 전력레벨에 대한 PDM값을 검출하고 그 외 전력레별에 대한 PDM값은 내삽법을 통해 산출함으로써 자동이득 제어기에 대한 룩업(look-up) 테이블을 신속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은 선형 이득특성을 갖기 위한 룩업 테이블을 생성하는 과정에 있어서 일부 데이터에 대해서만 동작수행을 통해 검출하고, 그 외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특정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산출함으로써 상기 테이블을 생성하기 위한 수행시간이 크게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에 따라 보다 신속하게 선형특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단말기의 수신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자동이득 제어기의 전체 이득전력을 여러단계의 레벨로 분류하고, 송신 신호가 안테나를 통해 각 전력레벨로 송출될 때 상기 자동이득 제어기로 인가되는 PDM값을 각각 검출 또는 산출하여 각 전력레벨 및 그에 해당하는 PDM값에 대한 룩업(look-up) 테이블을 생성하는 제 1단계와;
    출력 결정된 송신신호의 출력 전력값과 현재 출력되고 있는 출력 전력값이 상이한 경우 출력 결정된 값에 해당하는 PDM값을 상기 룩업 테이블에서 검색하는 제 2단계와;
    검색된 PDM값에 따른 PDM신호를 변환하여 자동이득 제어기로 전달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다수 전력레벨 중 일부 레벨에 대응하는 PDM값을 검출하는 제 1과정과;
    검출된 PDM값을 이용하여 나머지 전력레벨에 해당하는 PDM값을 산출하는 제 2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과정은 내삽법(interpola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PDM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은 전체 이득전력을 32개의 전력레벨로 분류하고 그 중 1, 7, 13, 19, 25, 31, 32번째 전력레벨에 대응하는 PDM값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룩업(look-up) 테이블은 플래시 메모리의 비휘발성 영역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KR1020040060943A 2004-08-02 2004-08-02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KR100591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943A KR100591336B1 (ko) 2004-08-02 2004-08-02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943A KR100591336B1 (ko) 2004-08-02 2004-08-02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190A KR20060012190A (ko) 2006-02-07
KR100591336B1 true KR100591336B1 (ko) 2006-06-19

Family

ID=37121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943A KR100591336B1 (ko) 2004-08-02 2004-08-02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13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063A (ko) * 2000-05-12 2001-11-24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063A (ko) * 2000-05-12 2001-11-24 송문섭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송신전력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2190A (ko) 2006-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2458B2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7039373B2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045271A1 (en) Transmit power control
US20030119542A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ling method and base station apparatus
KR19980042507A (ko) 무선 수신 장치
US8606311B2 (en) Closed-loop adaptive power control for adjusting bandwidth in a mobile handset transmitter
EP0625833B1 (en) Transmission power control of mobile station in a mobile radio telephone system
US80147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output power levels in power amplifiers
US8000659B2 (en) Polar modulation transmission apparatus
CN101442794B (zh) 一种控制无线终端发射功率的方法及无线终端
US71107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compression of a power amplifier circuit
US20050090210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59133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득조정방법
JP2006500875A (ja) Wcdma携帯端末において電力増幅器の動作基点を最適化する方法
US728083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having gain error correcting feature
KR20060081521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역방향 송신전력을 제어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20070021794A (ko) 이동 단말기의 출력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N100385807C (zh) 具有逆向输出功率设定功能的移动通信终端
JP3821750B2 (ja) 送信電力制御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2006512828A (ja) モバイルハンドセットの送信電力のための制御手法
KR101072115B1 (ko) 콜 접속의 안정화 방법
JP3890264B2 (ja) 無線装置の送信機とその送信レベル制御方法
JP4328611B2 (ja) 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装置
KR2001010405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pdm 신호를 이용한 송신전력제어장치
US20060132058A1 (en) Apparatus for limiting maximum output of each transmission channe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8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