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8188B1 -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8188B1 KR100588188B1 KR1020030061635A KR20030061635A KR100588188B1 KR 100588188 B1 KR100588188 B1 KR 100588188B1 KR 1020030061635 A KR1020030061635 A KR 1020030061635A KR 20030061635 A KR20030061635 A KR 20030061635A KR 100588188 B1 KR100588188 B1 KR 1005881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housing
- contacts
- rows
- flexible substr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9 electrical w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5—Adapter for pcb or cartridg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를 평면 방향 및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분산하여 배치 구성함으로써, 컨택트 사이의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게다가 제작을 용이하게 하여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그것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면측에 플렉시블 기판 부착용의 부착구를 개구하고, 상기 부착구의 안쪽에 플렉시블 기판의 도전 선단부와 접촉하여 접속 고정하는 복수의 컨택트를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설한 하우징을 마련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 병렬되는 컨택트의 배설 위치를, 상기 하우징의 전열측과 후열측의 2열로 나누고, 또한 전후 2열의 각 컨택트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설하고, 이 중 전열측 컨택트의 외단부를 하우징 전면측으로 돌출시키고, 후열측 컨택트의 외단부를 하우징 후면측으로 돌출시킨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rranging and arranging a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a housing in a zigzag form in a planar direction and a height direction, an appropriat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can be ensured, and furthermore, the fabrication can be made easier and the size can be reduc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for a flexible board, and as a means therefo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openings for attaching a flexible board to the front side and contacting and fixing the conductive tip of the flexible board to the inside of the fastener. A housing in which the contacts are arranged in parall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contact positions of the contacts parallel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divided into two rows on the heat transfer side and the rear row side of the housing, and the contacts in the front and rear two rows are arranged in a zigzag form. Among them, the outer end of the heat transfer-side contact is proj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The column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or for a flexible substrate in which a protruding outer end of the contact housing rear side.
커넥터, 컨택트, 하우징, 슬라이더, 플렉시블 기판Connectors, Contacts, Housings, Sliders, Flexible Boards
Description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board connector of a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사용시의 외관 사시도.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the flexible board conn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미사용시의 외관 사시도.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hen not in use.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도 8은 제 1 실시 형태의 전(front)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8 is a longitudinal side view illustrating an attachment state of the front contac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9는 제 1 실시 형태의 후(rear)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FIG. 9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n attachment state of a rear contact of the first embodiment; FIG.
도 10은 제 2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for a flexible board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도 11은 제 2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사용시의 외관 사시도.The external perspective view at the time of using the connector for flexible boards of 2nd Embodiment.
도 12는 제 2 실시 형태의 전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The longitudinal side view which shows the attachment state of all the contacts of 2nd Embodiment.
도 13은 제 2 실시 형태의 후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The longitudinal side view which shows the attachment state of the after-contact of 2nd Embodiment.
도 14는 제 3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exible board connector of a third embodiment;
도 15는 제 3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 사용시의 외관 사시도.1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도 16은 제 3 실시 형태의 전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The longitudinal side view which shows the attachment state of all the contacts of 3rd Embodiment.
도 17은 제 3 실시 형태의 후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The longitudinal side view which shows the attachment state of the after-contact of 3rd Embodiment.
도 18은 제 3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미사용시의 외관 사시도.18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flexible board connecto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when not in use.
도 19는 종래의 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19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ttachment of a conventional contact;
도 20은 종래의 전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20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ate of attachment of all contacts.
도 21은 도 20의 A-A선 단면도.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22는 도 20의 B-B선 단면도.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20. FIG.
도 23은 종래의 전후 대향형 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Fig. 23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ttachment of a conventional front-rear facing contact;
도 24는 종래의 다른 전후 대향형 컨택트의 부착 상태를 도시한 종단 측면도.Fig. 24 is a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state of attachment of another conventional front-rear facing contac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1, 101, 141 :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1, 101, 141: Flexible Board Connectors
12, 102, 142 : 하우징12, 102, 142: housing
13, 14, 103, 104, 143, 144 : 컨택트13, 14, 103, 104, 143, 144: Contact
15, 105, 145 : 슬라이더15, 105, 145: slider
16, 107, 147 : 플렉시블 기판16, 107, 147: flexible substrate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기의 제어 기판상에 배선 접속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 구조를 개선하여 소형화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for example, a flexible board connector which is wire-connected on a control board of an apparatus.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exible board connector that enables miniaturization by improving the connection structure.
(종래의 기술)(Prior art)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91)의 전면측에 플렉시블 기판(FPC)(192)의 도전 선단부를 삽입하여 부착하기 위한 부착구(193)를 개구하고, 이 부착구(193)의 안쪽에 플렉시블 기판의 도전 선단부와 접촉하여 접속 고정하는 복수의 컨택트(194)를 병렬 배설하고, 플렉시블 기판(192)의 선단부를 부착구(193) 안쪽의 공동부에 임하게 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슬라이더(195)를 부착구(193) 내를 향하여 압입하도록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플렉시블 기판(192)의 도전 선단부는 컨택트(194)의 접점부(194a)에 가압되어 일체로 접속 고정된다.In general, this type of flexible board connector is provided with an
또한, 하우징(191)에 조립되는 컨택트(194)의 병렬 배설에 있어서는, 하우징(191)의 후부측에 병렬 형성된 각 컨택트 압입홈(191a)에, 각 컨택트(194)를 압입 고정하여 부착하고 있다.In addition, in the parallel arrangement | positioning of the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01)의 전후 방향에서 컨택트(202) 를 압입 고정하여 부착하는 경우는, 하나의 하우징(201)에 대해 그 전후 방향에서 컨택트(202)를 압입하여 부착하고, 해당 컨택트(202)의 외단부(202a)를 하우징(201)의 전후 양 방향으로부터 기판(203)상에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판(203)상에의 배선 접속성이 많다는 이점이 있으며, 나아가서는 커넥터의 소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20, when the
그런데,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소형화를 촉진시킨 경우에, 도 21 및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11)의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설된 각 컨택트(212)의 병렬 방향의 두께를 가능한 한 박형화하며, 또한 컨택트(212)의 병렬 피치를 한계까지 좁게 피치화하게 된다.By the way, when the miniaturization of the flexible board connector is promoted, as shown in FIGS. 21 and 22, the thickness in the parallel direction of the
이 때문에, 컨택트가 박형화되면, 컨택트 자신의 탄력성을 잃어버려 플렉시블 기판과의 안정된 접촉력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컨택트의 좁은 피치화를 진행시키면, 컨택트간 수지층(213)이 박육화하여 하우징의 수지 성형시에, 금형 부품이 너무 얇아져 부서지기 쉽고, 또한 컨택트간 수지층(213)이 얇기 때문에 수지 충전 부족이 생겨 성형 불량을 일으키기 쉽다.For this reason, when a contact becomes thin, the elasticity of the contact itself will be lost, and stable contact force with a flexible substrate will not be ensured. Further, if the contact is made narrower in pitch, the
또한,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31)의 전후 방향에서 컨택트(232, 233)를 압입 고정하고, 이들의 컨택트(232, 233)의 접점부를 함께 하접점 타입으로 하여, 소형화를 도모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참조). 도면 중 부호 234는 슬라이더(234), 부호 235는 플렉시블 기판(235)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3, the
그러나, 전후 좌우의 각 컨택트의 절연 거리의 확보와, 컨택트의 박육화의 회피 및 컨택트 긴변 방향의 스프링 길이를 확보하여 컨택트 자체에 안정된 접촉 대응 성능을 갖게 하기 위해서는 컨택트 길이가 길어져 버려, 소형화가 곤란해진다.However, in order to secure the insulation distance of each contact in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to avoid the thinning of the contact, and to secure the spring length in the long contact direction, to make the contact itself stable contact response performance, the contact length becomes long and it becomes difficult to miniaturize. .
또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41)의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는 전컨택트(242)와 후컨택트(243)를 배열하고, 전컨택트(242)를 하접점(242a)으로, 후컨택트(243)를 상접점(243a)으로 구성한 상하 접점 타입의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4 참조).As illustrated in FIG. 24, the
그러나, 이 경우는 상하 접점에 대응시키기 위해 플렉시블 기판 단부의 도체부를 표리 양면에 마련할 필요가 있어 플렉시블 기판이 고가로 된다. 또한, 접점부가 상하로 나누어져 있어 슬라이더나 레버 등의 가압 부재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기판 단부의 도체부를 상하의 접점에 가압하여 접촉시키는 ZIF 타입의 접촉 구조를 적용하는 데는 복잡한 구조가 된다. 또한, 하우징에 병렬 배설된 컨택트의 전후 좌우의 절연 거리를 확보할 필요가 있으나, 현재 상태로서는 소형화에 한계가 생긴다.However, in this case, in order to correspond to an up-and-down contact, the conductor part of the flexible board edge part must be provided in both front and back, and a flexible board becomes expensive. Moreover, the contact part is divided up and down, and it becomes a complicated structure to apply the contact structure of ZIF type which presses and contacts the conductor part of the flexible board edge part with the contact point of upper and lower sides using pressure members, such as a slider and a lever. In addition, although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of the contacts disposed in parallel in the housing, there is a limit in miniaturization in the present state.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평 9-9766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97665.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평 11-54220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54220.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평 9-171858호 공보.[Patent Document 3] Japanese Patent Laid-Open No. 9-171858.
[특허 문헌 4] 일본 특개평 11-339901호 공보.[Patent Document 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1-339901.
그래서 본 발명은, 하우징 내에 조립되는 복수의 컨택트를 평면 방향 및 높 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분산하여 배치 구성함으로써, 컨택트 사이의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게다가 제작을 용이하게 하여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arrange and arrange a plurality of contacts assembled in the housing in a zigzag form even in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thereby ensuring an appropriat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and further facilitating manufacturing and miniaturiza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nector for a flexible board which is made possible.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단)(Means to solve the problem)
본 발명은, 전면측에 플렉시블 기판 부착용의 부착구를 개구하고, 상기 부착구의 안쪽에 플렉시블 기판의 도전 선단부와 접촉하여 접속 고정하는 복수의 컨택트를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설한 절연성의 하우징을 마련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 병렬되는 컨택트의 배설 위치를, 상기 하우징의 전열측과 후열측과의 2열로 나누고, 그 전후 2열의 각 컨택트를 평면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설함과 함께,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상부측과 하부측과의 2열로 나누고, 그 상하 2열의 각 컨택트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배설하고, 그 중 전열측 컨택트의 외단부를 하우징의 전면측으로 돌출시키고, 후열측 컨택트의 외단부를 하우징 후면측으로 돌출시킨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sulating housing in which a mounting hole for attaching a flexible substrate is opened on the front surface side, and a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tip of the flexible substrate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tip of the flexible substr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re provided. The location of the contact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divided into two rows of the heat transfer side and the rear heat side of the housing, and the contacts in the front and rear two row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the plane direction, and the upper side also in the height direction. It divides into two rows with the lower side, and arrange | positions each contact of the upper and lower two rows in a zigzag form also in an up-down direction, protrudes the outer end part of a heat transfer side contact to the front side of a housing, and the outer end part of a rear row contact is a housing | casing. It is a connector for flexible boards which protruded to the back side.
여기서 플렉시블 기판은, 가요성을 갖는 절연 부재로 복수개의 배선을 병렬하여 일체로 집약한 띠모양의 전기 배선이다.The flexible substrate is a strip-shaped electrical wiring in which a plurality of wirings are integrated and integrated in parallel with an insulating member having flexibility.
상기 부착구는, 띠모양의 플렉시블 기판을 삽입 허용하는 가로가 긴 개구부를 하우징의 전면에 개구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attachment hole can be configured by opening an elongated opening to allow the insertion of a strip-shaped flexible substrate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상기 컨택트는, 도전 부재로 구성되며, 내단부가 하우징 내의 플렉시블 기판 접촉 대응 위치에 부착되고, 외단부가 하우징 외의 기판상에 전기적으로 접속 고정된다. The contact is made of a conductive member, the inner end of which is attach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exible substrate contact in the housing, and the outer end of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and fixed on a substrate outside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은, 안쪽에 복수개의 컨택트를 지그재그형으로 분산 배치하여 조립 허용하고, 절연에 적합한 합성 수지재로 몰드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housing can be assembled by dispersing a plurality of contacts in a zigzag form and allowing the assembly thereof, and molding the molded resin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suitable for insulation.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전후 2열의 컨택트가 평면 방향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컨택트는 하우징 내에서 입체적인 지그재그형 배치가 되어 전후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컨택트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and rear two rows of contacts are distributed in a zigzag shape not only in the plane direction but also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the contacts are three-dimensional zigzag arrangement in the housing, so that the contacts are not only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can be lengthened.
이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소형화하여도, 컨택트 간의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사이의 수지층도 박육부가 회피되고 하우징의 제작에 적합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금형 부품도 박육부가 없어지며, 파손되기 어려운 내구성이 많은 금형을 얻을 수 있는 외에, 제작이 용이하게 되어 보다 더 하우징의 소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컨택트의 박형화도 회피할 수 있어, 컨택트 자신의 탄력성을 잃지 않고 종료하고, 안정된 탄성 접촉력을 가지고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촉 압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For this reason, even if the flexible board | substrate connector is miniaturized, it can arrange | position at the space | interval which secured the appropriat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contacts. In addition, a thin layer of the resin layer between the contacts can be avoided and a thickness suitable for manufacturing the housing can be ensured. For this reason, the metal mold | die parts are also eliminated from a thin part, a durable mold which is hard to be damaged can be obtained, manufacture becomes easy, and further miniaturization of a housing can be promoted. In addition, the thinning of the contact can also be avoided, the contact can be terminated without losing the elasticity of the contact itself,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flexible substrate can be ensured with a stable elastic contact force, and the contact reliability with the flexible substrate is improved.
또한, 컨택트 사이는 전후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절연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컨택트 사이의 수지 충전 부족도 회피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안정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후 2열의 컨택트는 평면 방향에 있어서도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는 컨택트 길이 방향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컨택트에 안정된 접촉 성능을 갖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nsulation distance can be lengthened not only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contacts, shortage of resin filling between the contacts can be avoided, whereby a stable molded articl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rear two rows of contact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both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and do not face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spring length in the contact length direction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can be lengthened. For this reason, each contact can be made to have stable contact performance.
다른 발명에 의하면, 전면측에 플렉시블 기판 부착용의 부착구를 개구하고, 상기 부착구의 안쪽에 플렉시블 기판의 도전 선단부와 접촉하여 접속 고정하는 복수의 컨택트를 좌우 방향으로 병렬 배설한 절연성의 하우징과, 상기 부착구의 안쪽을 향하여 진퇴 허용하고, 전진시에 상기 도전 선단부를 상측 또는 하측에 대향하는 컨택트에 가압하고, 후퇴시에 해당 가압력을 개방하는 절연성의 가압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좌우 방향으로 병렬한 컨택트의 설치 위치를, 상기 하우징의 전열측과 후열측으로 평행한 2열로 나누며, 또한 전후 2열의 각 컨택트를 평면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설하고, 이중 전열측 컨택트의 외단부를 하우징 전면측으로 돌출시키고, 후열측 컨택트의 외단부를 하우징 후면측으로 돌출시킨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로서, 상기 평면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설된 컨택트를 하우징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상부측과 하부측으로 평행한 2열로 나누며, 또한 상하 2열의 각 컨택트를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nsulating housing in which a mounting hole for attaching a flexible substrate is opened on the front surface side, and a plurality of contacts arranged in parallel in a horizontal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conductive tip of the flexible substrate in the inner side of the mounting hole are connected and fixed, and the An inward contact member is allowed to move in and out of the attachment port, pressurizes the conductive tip to the contact facing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at the time of advancing, and provides an insulating urging member which opens the pressing force at the time of retraction, and the contact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is divided into two rows parallel to the heat transfer side and the rear heat side of the housing, and each contact in the front and rear two rows is arranged in a zigzag manner in the plane direction, and the outer end of the double heat transfer side contacts is proj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housing, A connector for a flexible board, wherein the outer end of the side contact is protruded toward the housing rear side. Also the contacts arranged in a zigzag form in the plane direc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in two rows share one parallel to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also arranged in a zigzag form for each contact the upper and lower two rows in the vertical direction.
여기서 가압 부재란, 하우징의 부착구에 삽입하고 부착되는 플렉시블 기판을 일체로 가압 고정하여 부착하기 위한 삽입 부재로서,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하는 슬라이더, 또는 회전 동작하는 레버로 구성할 수 있다.Here, the pressing member is an insertion member for integrally pressing and fixing the flexible substrate to be inserted into and attached to the attachment hole of the housing, and can be configured as a slider that slid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or a lever that rotates.
이 경우는, 전후 좌우 및 상하의 컨택트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하고 하우징 박육부의 회피 및 컨택트 사이의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가압 부재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의 도전 선단부를, 상측 또는 하측에 대향하는 컨택트에 가압하면, 용이하게 접촉 대응시킬 수 있으며, 윗면 또는 하면에 접촉 대응하는 편면(한쪽면) 타입의 경제적인 플렉시블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rear, left, right, and up and down contacts can be increased, and the housing thin portion can be avoided and the appropriat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contacts can be ensured, so that the flexible board connector can be miniaturized. In addition, when the conductive tip of the flexible substrate is pressed against the contact facing the upper side or the lower side by the pressing member, the contact can be easily contacted, and the economical flexible of one side (one side) ty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or lower surface is in contact. The substrate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컨택트를 하우징의 전후 방향에서 압입 고정하여 부착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board connector can be configured to press and fix a contact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이 경우는, 하나의 하우징의 전측과 후측에 컨택트를 지그재그형으로 나누어 부착하기 위해 컨택트의 외단부는 전후로 분산되어 취출된다. 이 때문에, 기판상에의 배선 접속 스페이스가 충분하게 되어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의 소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outer ends of the contacts are dispersed in front and rear and taken out in order to attach the contacts in a zigzag form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one housing. For this reason, the wiring connection space on a board | substrate becomes enough, and the miniaturization of the connector for flexible boards can be promot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컨택트를 하우징의 전열측과 후열측의 2열로 배설되는 한쪽을 상기 하우징의 윗쪽에서 압입 고정하여 부착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board connector can be constituted by press-fitting and attaching one contact formed in two rows of the heat transfer side and the rear heat side of the hous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이 경우는, 컨택트의 한쪽을 하우징의 윗쪽에서 압입할 수 있어, 하우징에의 부착에 적합한 압입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평판 형상의 하우징이라면, 그 압입 방향에 적합한 면적이 넓은 윗면에서 압입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는 전후 방향으로 길고 높이 방향으로 짧은 형상을 가지고 짧은 변 방향으로 압입하기 때문에, 압입 거리가 단축되어 안정된 부착이 된다.In this case, one of the contacts can be press-fitt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so that press-fitting suitable for attachment to the housing can be mad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lat housing, the press fi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upper surface having a large area suitable for the pressing direction. In addition, since the contact is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shor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press-fit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the press-in distance is shortened, resulting in stable attachm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컨택트를 하우징의 전열측과 후열측의 2열로 배설되는 한쪽을 상기 하우징의 아래쪽에서 압입 고정하여 부착하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board connector can be constituted by press-fitting and attaching one contact formed in two rows on the heat transfer side and the rear heat side of the housing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이 경우는, 컨택트를 하우징의 아랫쪽에서 압입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에의 부착에 적합한 압입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면, 평판 형상의 하우징이라면, 그 압입 방향에 적합한 면적이 넓은 하면부터 압입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는 전후 방향으로 길고 높이 방향으로 짧은 형상을 가지고 짧은 변 방향으로 압입하기 때문에 압입 거리가 단축되어 안정된 부착이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contact can be press-fitted from the bottom of the housing, press-fitting suitable for attachment to the housing becomes possible.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flat housing, the press fitt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from the lower surface having a large area suitable for the press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tact has a long sha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a short shap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presses in the short side direction, so that the press-in distance is shortened and stable attachment is achiev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컨택트를 플렉시블 기판의 도전 선단부와 접속 고정하여 도통하는 모든 접점부를 하우징 내의 공동부 상측에 설정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board connector can be configured in which all of the contact portions that connect and fix the contact with the conductive tip portion of the flexible substrate are set above the cavity part in the housing.
이 경우는, 컨택트의 접점부가 상측에 정돈되기 때문에, 가압 부재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의 도전 선단부를 위를 향하여 밀어올리는 것 만으로 대향하는 컨택트에 용이하게 접촉 대응시킬 수 있으며, 윗면에 접촉 대응시키는 편면 타입의 경제적인 플렉시블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the one-sided type can be easily contacted with the opposing contact by simply pushing upward the conductive tip of the flexible substrate upward by the pressing member. Economical flexible substrate can be applied.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컨택트를 플렉시블 기판의 도전 선단부와 접속 고정하여 도통하는 모든 접점부를 하우징 내의 공동부 상측에 설정하고, 또한 해당 접점부의 높이 위치를 정돈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구성할 수 있다.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exible board connector can be configured in which all of the contact portions ar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tip of the flexible substrat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conductive portions are set above the cavity in the housing, and the height positions of the contact portions are arranged. have.
이 경우는, 접점부의 높이 위치가 상측에 정돈되어 있기 때문에, 가압 부재의 가압 방향이나 가압 부재의 형상이 복잡해지지 않고, 가압 부재의 형상이 간단화된다.
In this case, since the height position of the contact portion is arranged above, the pressing direction of the pressing member and the shape of the pressing member are not complicated, and the shape of the pressing member is simplified.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이하의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한다.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following drawings.
[제 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는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1)를 도시하고, 이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1)는 하우징(12)과, 전(front) 컨택트(13)와, 후(rear) 컨택트(14)와, 슬라이더(15)를 구비하여 구성된다.1 and 2 show a
여기서 사용되는 하우징(12)은, 절연에 적합한 수지재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하우징(12)의 전면에 플렉시블 기판(16)을 접속하기 위한 가로가 길게 개구한 부착구(17)를 가지며, 이 부착구(17)와 연통하는 안쪽에 플렉시블 기판 접속용의 공동부(18)를 가지고 있다.The
또한, 이 부착구(17) 및 공동부(18)와 연통하는 하우징(12)의 전면측에는, 전 컨택트(13)를 개별적으로 압입 고정하기 위한 전(front) 압입홈(19)을, 해당 하우징(12)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front press-in
또한, 하우징(12)의 후면측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컨택트(14)를 개별적으로 압입 고정하기 위해 후 압입홈(20)을 해당 하우징(12)의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이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병렬한 전압입홈(19)과 후압입홈(20)의 배설 위치가 하우징(12)의 전후에 2열로 나누고, 또한 전후 방향에 전후의 압입홈(19, 20)이 대향하지 않도록 전후 2열의 각 압입홈(19, 20)을 하우징(12)의 평면 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배설함과 함께, 높이 방향(하우징 두께 방향)에 있어서도 상부측과 하부측과의 2열로 나누고, 게다가 하방향에 있어서도 전후의 압입홈(19, 20)이 대향하지 않도록 지그재그형으로 배설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positions where the
이들 전후의 압입홈(19, 20)에, 후술하는 전후의 컨택트(13, 14)가 압입 고정되어 하우징(12)에 일체로 조립된다. 그 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더(15)를 하우징(12)의 부착구(17)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부착하고 플렉시블 기판(16)의 부착 대기 상태로 마련된다.The front and
이 경우, 하우징(12)의 좌우 방향으로 전후 2열의 컨택트(13, 14)가 평면 방향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분산되어 배설하고 있기 때문에, 컨택트는 하우징 내에서 입체적인 지그재그형 배치가 되어 하우징(12)상에서 전후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분산된 컨택트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1)를 소형화하여도, 절연 거리를 확보하여 이웃하여 마련하는 컨택트가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지장을 주지 않게 되고, 컨택트의 배설에 적합한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병렬 방향의 컨택트 사이의 수지층(12a) (도4 참조)의 박육부를 해소할 수 있어, 수지 충전 부족을 해소하여 하우징(12)의 수지 성형이 용이해진다. 이 때문에, 하우징의 성형에 사용되는 금형 부품도 박육부가 없어지고, 내구성이 풍부한 금형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컨택트 사이의 수지층(12a)을 일정 두께로 확보하여 박육화를 해소할 수 있어 컨택트 자체의 박형화도 회피할 수 있게 되고, 컨택트 자신의 탄력성을 잃지 않고 종료하여, 컨택트 자체에 안정한 탄성 접촉력을 가지고 플렉시블 기판(16)과의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기판(16)과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In this case, since the
또한, 전후 2열의 컨택트는 평면 방향에 있어서도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 그재그형으로 분산되어 배설되기 때문에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고,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충분히 긴 탄력성을 갖게 한 컨택트를 배설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컨택트의 접점부에 있어서도 길게 편측 지지로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컨택트의 접점부는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접점부에 안정된 접촉 성능을 갖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tacts in the front and rear two rows are distributed in a zigzag form in the planar direction an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contacts having a sufficiently long elasticity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can be disposed without facing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refore, since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can be supported by one side support for a long time,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can have a long spring length. For this reason, stable contact performance can be made to a contact part.
상술한 전컨택트(13)는 장척의 J자형으로 마련되고, 그 길이 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하우징(12)의 전면측으로부터 전압입홈(19)에 압입하여 부착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컨택트(13)의 J자형의 내단부에 상접점부(13a)를 형성하고, 이 상접점부(13a)가 공동부(18) 내의 상측에 개재된다. 또한, 전컨택트(13)의 외단부(13b)는 하우징(12)의 전면측보다 앞쪽 측으로 돌출하고 있다.The above-mentioned all
상술한 후컨택트(14)는 장척의 コ 형상으로 마련되고, 그 コ 형상을 긴변 방향으로 눕힌 상태에서 하우징(12)의 후면측으로부터 후압입홈(20)에 압입하여 부착되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후컨택트(14)의 コ 형상의 상측 내단부에 상접점부(14a)를 형성하고, 이 상접점부(14a)가 공동부(18) 내의 상측에 개재된다. 또한, 후컨택트(14)의 외단부(14b)는 하우징(12)의 후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After the above-described
이들 컨택트의 외단부(13b, 14b)는 하우징(12)의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하우징(12)이 제어 기판상에 탑재되었을 때, 그 기판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컨택트(13, 14)를 하우징(12)의 전후 방향으로 압입 고정하여 부착하기 위해, 모든 컨택트의 외단부(13b, 14b)는 하우징(12)의 전후로 지그재그형으로 분산되어 취출된다. 이 때문에, 기판상에의 배선에 있어서는 접속 스페이스가 충분 하게 된다.The outer ends 13b and 14b of these contacts protrude outward of the
다음에, 슬라이더(15)는 절연성의 수지재에 의해 형성되고, 하우징(12)의 전면에 개구된 부착구(17)의 안쪽을 향하여 슬라이드 허용하고, 선단부 양측에 빠짐방지 계지부(15a) 및 슬라이드 가이드면(15b)(도 1 참조)을 가지며, 중앙부 윗면에 각 컨택트(13, 14)의 상접점부(13a, 14a)에 균일하게 가압 접촉시키는 단차 가압면(15c)(도 7 참조)을 가지고 있다. 또한 후단부 양측에는 압입 스토퍼부(15d)를 가지고 있다.Next, the
이와 같이 구성된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1)를 이용하여 플렉시블 기판(16)을 접속 고정하는 경우,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16)의 도전 선단부를 하우징(12)의 부착구(17)로부터 안쪽의 공동부(18)에 삽입하고, 이 삽입 조작과 동시에 슬라이더(15)를 앞쪽에 슬라이드시키면, 전진시에 슬라이더 윗면의 단차 가압면(15c)이 도전 선단부를 위쪽으로 밀어올려, 그 상측에 대향한 각 컨택트(13, 14)의 상접점부(13a, 14a)에 접촉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슬라이더(15)의 기계적인 가압력에 의해 안정된 접촉압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이 경우, 컨택트의 상접점부(13a, 14a)가 윗면측으로 정돈되어 있기 때문에 공동부(18) 내의 위쪽에 접촉시키는 편면 타입의 경제적인 플렉시블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또한, 슬라이더(15)를 하우징(12)의 앞쪽측으로 인발하듯이 후퇴시키면, 슬라이더(15)에 의한 윗방향의 가압력이 개방되어, 플렉시블 기판(16)의 도전 선단부 가 자유 상태가 되어 빼낼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제 2 실시 형태]Second Embodiment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01)는, 제 1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1)에 비해, 후컨택트(104)의 압입 방향이 하우징(102)의 상방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압입하는 타입인 것과, 전후의 컨택트(103, 104)의 상 접점부(103a, 104a)의 높이 위치를 같은 높이로 정돈하고 있는 점이 다르며, 하우징(102)이나 슬라이더(105)의 형상은 다르더라도 같은 기능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As shown in FIG. 10 and FIG. 11, the
상술한 하우징(102)의 상면 압입홈(106)은, 하우징(102)의 윗면 후방측에 좌우 방향으로 병렬하여 마련하고, 여기에 윗쪽으로부터 장척의 L자형으로 마련된 후컨택트(104)를 눕힌 상태에서 압입하여 부착한다.The upper press-fitting
이 경우,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컨택트(104)의 L자형의 내단부에 상접점부(104a)를 가지며, 이 상접점부(104a)가 하우징(102) 안쪽의 공동부(108)에 윗쪽으로부터 면하여 공동부(108)의 상측에 개재된다. 또한, 후컨택트(104)의 외단부(104b)는 하우징(102)의 후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면 중, 부호 104c는 빠짐방지 편(片)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upper contact portion 104a is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L-shape of the
이들 전후의 컨택트의 외단부(103b, 104b)는, 하우징(102)의 전후면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으며, 하우징(102)이 제어 기판상에 탑재되었을 때, 그 기판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컨택트(103, 104)를 하우징(102)의 앞쪽 과 윗쪽으로부터 압입 고정하여 하우징(102)의 전후의 위치에 부착했을 때, 전후 2열의 좌우 방향으로 병렬한 컨택트(103, 104)는 하우징(102)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도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각각 지그재그형으로 분산 배설된다.The outer ends 103b and 104b of these front and rear contacts protrude outward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이 경우도 하우징에 부착된 컨택트가 평면 방향과 높이 방향과의 각각에 지그재그형 배치가 되는 입체적인 지그재그형 배치로 부착되고,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밖에도, 후컨택트(104)를 하우징(102)의 윗쪽으로부터 압입할 수 있기 때문에, 평판형의 하우징(102)의 면적이 넓은 윗면에서 압입 조작할 수 있고, 하우징에의 부착에 적합한 압입이 가능해진다.Also in this case, the contact attached to the housing is attached in a three-dimensional zigzag arrangement in which the contacts are arranged in a zigzag arrangement in each of the plane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same effects as in the first embodiment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에 컨택트를 압입할 때, 그 컨택트를 압입하는 부분의 가압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사용하는 압입 치구의 형상이 간단하게 된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척의 후컨택트(104)를 하우징(102)의 짧은변 방향(높이 방향)으로 압입하기 때문에, 압입 거리를 단축하고 안정된 부착을 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press-fitting a contact into a housing, the pressurization area of the part which presses the contact can be enlarged. Moreover, the advantage that the shape of the press fitting jig used at that time becomes simple can be acquired.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전후의 컨택트(103, 104)의 상접점부(103a, 104a)를 상측으로 정돈할 수 있어, 슬라이더(105)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07)의 도전 선단부를 위를 향하여 밀어올리는 것 만으로 대향하는 컨택트의 상접점부(103a, 104a)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으며, 윗면에 접촉시키는 편면 타입의 경제적인 플렉시블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ontact portions 103a and 104a of the front and
또한, 전후의 컨택트(103, 104)의 상접점부(103a, 104a)의 높이 위치를 상측으로 정돈하여 배치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105)의 가압 방향이나 슬라이더(105)의 형상이 복잡하게 되지 않고, 제작에 적합한 평면 형상의 간단한 밀어올림 면(105a)을 공용할 수 있어 슬라이더(105)의 형상이 간단화된다.In addition, since the height positions of the upper contact portions 103a and 104a of the front and
이 경우의 슬라이더(105)는, 전후면이 개방된 상자 형상을 가지며, 그 하면을 하우징(102)의 전면 개구부에서 삽입하도록 슬라이드시켜 부착하는 것이며, 상자 형상이기 때문에 취급하기 쉽고, 플렉시블 기판(107)의 접속 작업을 할 때는, 해당 슬라이더(105)의 양 단면을 손가락 끝으로 잡아 슬라이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한 접속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105)의 윗면은 넓은 평면이 취해지기 때문에, 이 윗면을 커넥터 실장용의 자동기의 흡착면에 적용하기 쉽게 되어 기판상에의 탑재에 공헌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제 3 실시 형태][Third Embodiment]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제 3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41)는, 제 1 실시 형태의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11)에 비하여, 전컨택트(143)의 압입 방향이 하우징(142)의 아래쪽으로부터 윗쪽을 향하여 압입하는 타입인 점이 다르고, 하우징(142)이나 슬라이더(145)의 형상은 다르더라도 같은 기능을 가지며,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점에 관해서만 설명한다.As shown to FIG. 14 and FIG. 15, the
상술한 하우징(142)의 하면 압입홈(146)은, 하우징(142)의 하면 전방측에 좌우 방향으로 병렬하여 마련하고, 여기에 아래쪽으로부터 장척의 J자형으로 마련된 전컨택트(143)를 눕힌 상태로 압입하여 부착한다.The lower surface press-fitting groove 146 of the
이 경우,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컨택트(143)의 J자형의 내 단부에 상접점부(143a)를 가지며, 이 상접점부(143a)가 하우징(142) 안쪽의 공동부(148)의 상측에 개재된다. 또한, 전컨택트(143)의 외단부(143b)는 하우징(142)의 전면측으로 돌출하고 있다. 도면 중 부호 143c는 빠짐방지 편이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16 and 17, the upper contact portion 143a is provided at the inner end of the J-shape of all the
또한, 전후의 컨택트의 외단부(143b, 144b)는, 하우징(142)의 전후면보다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있고, 하우징(142)이 제어 기판상에 탑재되었을 때, 그 기판상의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전후의 컨택트(143, 144)를 하우징(142)의 아래쪽과 후방으로부터 압입 고정하여 하우징(142) 전후의 위치에 부착했을 때, 전후 2열의 좌우 방향으로 병렬되는 컨택트(143, 144)는 하우징(142)의 평면 방향에 있어서도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각각 지그재그형으로 분산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uter ends 143b and 144b of the front and rear contacts protrude outward from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이 경우도 하우징에 부착되는 컨택트가 평면 방향과 높이 방향의 각각에 지그재그형 배치가 되는 입체적인 지그재그형 배치로 부착되고, 제 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밖에도, 전컨택트(143)를 하우징(142)의 아래쪽으로부터 압입할 수 있기 때문에, 평판 형상의 하우징(142)의 면적이 넓은 하면으로부터 압입 조작할 수 있으며, 하우징에의 부착에 적합한 압입이 가능해진다.Also in this case, the contact | attachment attached to a housing is attached by the three-dimensional zigzag arrangement which becomes a zigzag arrangement in each of a plane direction and a height direction, and the effect similar to 1st Embodiment can be acquired. In addition, since all the
이 경우도, 하우징에 컨택트를 압입할 때, 그 컨택트를 압입하는 부분의 가압 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그 때 사용하는 압입 치구의 형상이 간단하게 된다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장척의 후컨택트(144)를 하우징(142)의 짧은 변 방향으로 압입하기 때문에, 압입 거리를 단축하고 안정한 부착을 할 수 있다. 또한, 장척의 전컨택트(143)를 하우징(142)의 짧은 변 방향으로 압입하기 때문에, 압입 거리를 단축하여 안정된 부착을 할 수 있다.Also in this case, when pressing a contact into a housing, the pressurization area of the part which presses the contact can be enlarged. Moreover, the advantage that the shape of the press fitting jig used at that time becomes simple can be acquired. 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전후의 컨택트(143, 144)의 상접점부(143a, 144a)를 각각 위쪽으로 정돈할 수 있기 때문에, 슬라이더(145)에 의해 플렉시블 기판(147)의 도전 선단부를 위를 향하여 밀어올리는 것 만으로 컨택트의 상접점부(143a, 144a)에 용이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윗면에 접촉시키는 편면 타입의 경제적인 플렉시블 기판을 적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pper contact portions 143a and 144a of the front and
상술한 전컨택트(143)의 상접점부(143a)에 관해서는, 플렉시블 기판(147)을 하우징(142)에 삽입한 시점에서, 그 도전 선단부를 상하면 사이에 끼워 지지하는 협지 접촉 구성을 갖게 하고, 이로써 플렉시블 기판(147)의 부착 조작성을 높이고 있다.Regarding the upper contact portion 143a of the above-mentioned all
또한, 여기에 사용되는 슬라이더(145)의 한 예로서 회전 타입의 것을 채용한 경우를 나타내고, 이 슬라이더(145)의 하부에 형성한 축지지부(145a)를 하우징(142)에 축 지지하여 부착하고, 이 축지지부(145a)를 회전 지점에 마련하고, 플렉시블 기판(147)이 삽입되었을 때, 그 슬라이더(145)를 회동하여 플렉시블 기판(147)과 각 컨택트의 상접점부(143a, 144a)를 강고하게 접촉시키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In addition, as an example o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좌우 방향으로 전후 2열의 컨택트가 평면 방향뿐만 아니라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분산되어 배설하고 있기 때문에, 컨택트는 하우징 내에서 입체적인 지그재그형 배치가 되어 전후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컨택트 간의 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tacts in the front and rear two rows are distributed in a zigzag form not only in the plane direction but also in the height direc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housing, the contacts are three-dimensional zigzag arrangement in the housing, so that the contacts are not only front, rear, left and right, but also up and down directions. Also, the distance between contacts can be increased.
이 결과,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소형화하여도, 컨택트 사이의 적정한 절 연 거리를 확보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사이의 수지층도 박육부가 회피되고 하우징의 제작에 적합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금형 부품도 박육부가 없어지고, 파손되기 어려운 내구성이 풍부한 금형을 얻을 수 있는 외에 제작이 용이하게 되어 보다 더 하우징의 소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컨택트의 박형화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컨택트 자신의 탄력성을 잃지 않고 종료하여, 안정된 탄성 접촉력을 가지고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촉압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As a result, even if the flexible board connector is downsized, it can be arrange | positioned at the space | interval which secured the appropriat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contacts. In addition, a thin layer of the resin layer between the contacts can be avoided and a thickness suitable for manufacturing the housing can be ensured. For this reason, the mold part also loses a thin part and obtains a durable mold which is hard to be damaged. In addition,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reby further facilitating downsizing of the housing. In addition, since the thinning of the contact can be avoided, the contact is terminated without losing the elasticity of the contact itself, and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flexible substrate can be ensured with a stable elastic contact force, and the contact reliability with the flexible substrate is improved.
또한, 컨택트 사이는 전후 좌우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에 있어서도 절연 거리를 길게 할 수 있기 위해, 컨택트 사이의 수지 충전 부족도 회피할 수 있고, 그 때문에 안정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후 2열의 컨택트는 평면 방향에 있어서도 높이 방향에 있어서도 지그재그형으로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늘어나는 컨택트 길이 방향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각 컨택트에 안정된 접촉 성능을 갖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insulation distance not only in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contacts, shortage of resin filling between the contacts can be avoided, whereby a stable molded article can be obtained. In addition, since the front and rear two rows of contacts are arranged in a zigzag shape in both the planar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and do not face each oth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spring length in the contact length direction extend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housing can be lengthened. For this reason, each contact can be made to have stable contact performance.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과의 대응에 있어서,In correspondence betwee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본 발명의 가압 부재는, 실시 형태 슬라이더에 대응함도, 본 발명은 청구항에 나타내는 기술 사상에 의거하여 응용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ssing member of this invention corresponds to embodiment slider, this invention can be appli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shown in a claim, and is not limited only to the structure of embodiment mentioned above.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컨택트의 접점부를 상측에 정돈하여 설정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접점부를 하측에 정돈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는 접점부의 방향이 다를 뿐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tact portion of the contact is arranged and set up on the upper si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contact portion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and in this case, the same operation effect can be obtained only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contact portion. have.
본 발명에 의하면, 컨택트 사이의 거리를 길게 하여 분산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기판용 커넥터를 소형화하여도, 컨택트 사이의 적정한 절연 거리를 확보한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컨택트 사이의 수지층도 박육부가 회피되고 하우징의 제작에 적합한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금형 부품도 박육부가 없어지고, 파손되기 어려운 내구성이 풍부한 금형을 얻을 수 있는 외에, 제작이 용이하게 되어 소형화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컨택트의 박형화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컨택트 자신의 탄력성을 잃지 않고 종료하여, 안정된 탄성 접촉력을 가지고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압을 확보할 수 있으며, 플렉시블 기판과의 접촉 신뢰성이 향상된다.According to this invention, since the distance between contacts can be extended and arrange | positioned, even if the flexible board | substrate connector is miniaturized, it can arrange | position at the interval which secured the appropriat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contacts. In addition, a thin layer of the resin layer between the contacts can be avoided and a thickness suitable for manufacturing the housing can be ensured. For this reason, a mold part also loses a thin part and can obtain the durable die which is hard to be damaged, and also manufacture becomes easy and it can promote downsizing. In addition, since the thinning of the contact can be avoided, the contact is terminated without losing the elasticity of the contact itself, and the contact pressure with the flexible substrate can be ensured with a stable elastic contact force, and the contact reliability with the flexible substrate is improved.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2272815A JP4029703B2 (en) | 2002-09-19 | 2002-09-19 | Flexible board connector |
JPJP-P-2002-00272815 | 2002-09-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5563A KR20040025563A (en) | 2004-03-24 |
KR100588188B1 true KR100588188B1 (en) | 2006-06-08 |
Family
ID=32269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61635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8188B1 (en) | 2002-09-19 | 2003-09-04 |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029703B2 (en) |
KR (1) | KR100588188B1 (en) |
CN (1) | CN100349329C (en) |
TW (1) | TWI227577B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31898A (en) * | 2005-05-27 | 2006-12-07 | Omron Corp | Transmission cable and connector for transmission cable |
KR100712204B1 (en) * | 2005-12-14 | 2007-04-2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cable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
JP4740760B2 (en) * | 2006-02-10 | 2011-08-03 |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 Board connector and circuit body connection structure having the same |
JP4661684B2 (en) * | 2006-05-12 | 2011-03-30 | 株式会社デンソー | Connector mounting structure |
CN106099469B (en) * | 2016-06-14 | 2018-10-12 | 联想(北京)有限公司 | A kind of USB interface and USB device |
CN109888538B (en) * | 2019-02-27 | 2024-11-26 | 东莞市华晶电子有限公司 | A shockproof conductive connect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30077B2 (en) * | 1997-07-30 | 2008-01-09 |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
-
2002
- 2002-09-19 JP JP2002272815A patent/JP402970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
- 2003-09-04 KR KR1020030061635A patent/KR10058818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3-09-17 TW TW092125556A patent/TWI227577B/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09-17 CN CNB031589626A patent/CN100349329C/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25563A (en) | 2004-03-24 |
CN1490900A (en) | 2004-04-21 |
JP4029703B2 (en) | 2008-01-09 |
TWI227577B (en) | 2005-02-01 |
CN100349329C (en) | 2007-11-14 |
TW200406956A (en) | 2004-05-01 |
JP2004111234A (en) | 2004-04-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92219B2 (en) | Connector for plate-shaped object | |
US7828571B2 (en) |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ocking projections | |
US7140896B2 (en) | Connector | |
US7785112B2 (en) | Contact and electrical connector | |
JP2000082555A (en) | Connector for pga package | |
US7950952B2 (en) | FPC connector with rotating latch | |
US20060281353A1 (en) | Connector | |
JP3550788B2 (en) | IC socket | |
KR100588188B1 (en) | Connector for flexible substrate | |
EP1109258A2 (en) | Flexible wiring board and wiring board connecting structure | |
JP2006024454A (en) | Connector | |
JP3970547B2 (en) | Connector for connecting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wire harness | |
US7121845B2 (en) | IC socket with improved housing | |
JP3810134B2 (en) | Contact and IC socket having this contact | |
EP2065983A2 (en) | Contact member, holding structure of contact member and electrical connector | |
JP4576394B2 (en) | FFC / FPC connector | |
JP2002050423A (en) | Flexible board connection connector | |
JP4672925B2 (en) | Flexible wiring board connector | |
JP3977636B2 (en) |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 |
JP2001126790A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4017170B2 (en) | Flexible wiring board connector | |
JP2000058166A (en) | Connector and its manufacture | |
JP2842814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4006192A (en) | Connector | |
JP3559955B2 (en) | Electrical connector contac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05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PJ0201 |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
Patent event date: 200603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12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519 Appeal identifier: 2006101002581 Request date: 20060324 |
|
PB0901 |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324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
|
B701 | Decision to grant | ||
PB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
Patent event date: 20060519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501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6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5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1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