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7503B1 -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장치 - Google Patents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503B1
KR100587503B1 KR1020040044717A KR20040044717A KR100587503B1 KR 100587503 B1 KR100587503 B1 KR 100587503B1 KR 1020040044717 A KR1020040044717 A KR 1020040044717A KR 20040044717 A KR20040044717 A KR 20040044717A KR 100587503 B1 KR100587503 B1 KR 100587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control
relay
filtering
different frequenc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4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9587A (ko
Inventor
윤영상
김상준
노재범
김태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4004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503B1/ko
Publication of KR20050119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95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503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07Relay station based processing for cell extension or control of coverage are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일 중계 장치로부터 중계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상기 중계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듀얼 안테나를 통해 목적지(타 중계 장치 또는 기지국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타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중계신호에서 제어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제어신호에 따라 중계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제어신호와 중계신호의 간섭 현상을 감소시켜 중계신호를 정상적으로 전송하고 타 중계 장치를 정상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타 중계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결합/분기 수단에서 결합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듀얼 안테나;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상기 듀얼 안테나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상기 결합/ 분기 수단; 상기 결합/분기 수단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변/복조 수단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상기 필터링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변/복조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변조하도록 상기 변/복조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변/복조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 등에 이용됨.
주파수 대역, 듀얼 안테나, 중계신호, 제어신호, 중계 장치

Description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Reapeter using two frequency band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도 1 은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제어부 201 : 변/복조부
202 : 필터 203 : 커플러
204 : 듀얼 안테나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 중계 장치로부터 중계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상기 중계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듀얼 안테나를 통해 목적지(타 중계 장치 또는 기지국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타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중계신호에서 제어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제어신호에 따라 중계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이제까지 비수요 지역으로 무선통신 서비스가 완전하게 제공되지 못했던 산간 벽지, 낙도, 도심 전파 사각지대, 지하철, 터널, 아파트 단지 등에서도 고품질의 서비스가 제공되기를 원하고 있다.
그러나, 통신 사업자가 전파 사각 지역에 기지국 증설을 위해 막대한 투자를 하는 것은 통신 사업자의 경영수지를 악화시키고 국가적으로도 막대한 투자 비효율성으로 손실을 초래할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에 높은 통신품질과 서비스 범위를 개선할 수 있는 중계 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최근 1인 1휴대폰 시대가 도래하면서 그 밑거름이 되었던 과학 기술 분야를 살펴보면 대표적으로 셀룰러 개념의 도입, 무선 전송기술의 발전,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상용화, 광 전송기술의 발전 등을 들 수 있다.
셀룰러의 개념은 무선통신의 가장 큰 제약성인 주파수 스펙트럼의 한정으로 인한 통화 용량부족 및 통화 품질 문제를 모든 지역을 셀이라는 단위로 나누어 주파수 재사용 효율을 높임으로써, 무선 이동통신 발전의 계기를 마련했으며 무선 전 송기술의 발전은 무선통신 시스템의 디지털화라는 점에서 발전의 계기를 마련했다.
그리고, 무선통신 시스템의 디지털화는 기존 아날로그 시스템의 시스템 용량 한계와 취약한 보안성 등 품질 문제에 대한 방안으로 강구되었으며, 그 결과로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 등 많은 방식이 등장하게 됐다.
그리고, 광전송기술의 발전은 교환망의 고속화 및 광전 변환기술의 발전으로 망구현 기술의 발전에 이바지했다.
한편, 국내에선 90년대에 CDMA 무선 이동전화 서비스가 상용화되었지만 그 수요는 소수 계층에 국한되어 있었다. 또한, 무선망 환경도 수요지역이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점진적으로 무선 이동전화 서비스가 대중화됨에 따라 사업자의 무선망 환경도 보다 넓은 지역과 시스템 용량의 확대가 절실히 요구되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의 지형적 특성과 인구 밀집도의 특수성으로 인해 최적의 무선환경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많은 음영지역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게 되었다.
여기서, 음영 지역이라 함은 기지국과 단말기간의 전파통로가 단절된 지역을 의미한다. 즉, 건물이나 지형에 의하여 전파가 도달되지 못하는 지역을 말한다. 이러한 음영지역의 해소를 위해서 기지국을 추가로 설치하거나 중계 장치를 이용해 무선 망을 설계하게 된다.
성능면에서는 기지국이 월등히 중계 장치 보다 좋은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비용면에서 기지국은 중계기에 비해 비용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소규모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기지국의 설치라는 점이 비용 및 성능 측면에서 과다 투자 될 수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기 때문에 무선망 설계 및 서비스 사업자는 음영지역 해소 방안을 중계기로 해결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여기서, 도 1 을 참조하여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는, 타 중계 장치로부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시스템의 경우에 1840MHz ~ 1860MHz)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커플러(103)에서 결합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시스템의 경우에 1750MHz ~ 1770MHz)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싱글 안테나(104),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필터(1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상기 싱글 안테나(104)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커플러(103), 상기 커플러(103)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변/복조부(101)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02),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필터(1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100)로 전달하기 위한 변/복조부(101), 상기 필터(1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도록 상기 변/복조부(101)를 제어하며, 상기 변/복조부(101)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 즉 일 중계 장치에서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는 타 중계 장치의 원격 제어 및 상태정보 요구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중계신호를 원할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이다.
또한, 상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은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기술을 이용한 800MHz 대역의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사업자 대역 또는 1.8GHz 대역의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사업자 대역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어신호와 중계신호 사이의 간섭 현상으로 인해 수신률이 감소하여 중계신호의 정상적인 전송은 물론, 타 중계 장치의 정상적인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일 중계 장치로부터 중계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상기 중계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듀얼 안테나를 통해 목적지(타 중계 장치 또는 기지국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타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중계신호에서 제어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제어신호에 따라 중계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제어신호와 중계신호의 간섭 현상을 감소시켜 중계신호를 정상적으로 전송하고 타 중계 장치를 정상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타 중계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결합/분기 수단에서 결합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듀얼 안테나;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상기 듀얼 안테나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상기 결합/분기 수단; 상기 결합/분기 수단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변/복조 수단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상기 필터링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변/복조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변조하도록 상기 변/복조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변/복조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장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제 1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유선을 통해 전송받은 서로 다른 주파 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제 1 결합/분기 수단; 상기 제 1 결합/분기 수단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제 1 변/복조 수단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상기 제 1 필터링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상기 제 1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 1 변/복조 수단; 타 중계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제 2 결합/분기 수단에서 결합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듀얼 안테나;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제 2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상기 듀얼 안테나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상기 제 2 결합/분기 수단; 상기 제 2 결합/분기 수단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제 2 변/복조 수단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상기 제 2 필터링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상기 제 2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 2 변/복조 수단; 및 타 중계 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도록 상기 제 1 변/복조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변/복조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타 중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도록 상기 제 2 변/복조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변/복조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대한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는, 타 중계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시스템의 경우에 1840MHz ~ 1860MHz)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커플러(203)에서 결합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시스템의 경우에 1750MHz ~ 1770MHz)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듀얼 안테나(204), 제어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필터(2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듀얼 안테나(204)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커플러(결합/분기기)(203), 상기 커플러(203)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변/복조부(201)에서 변조한 제 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202),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필터(2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200)로 전달하기 위한 변/복조부(201), 필터(2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도록 상기 변/복조부(201)를 제어하며, 상기 변/복조부(201)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 즉 일 중계 장치에서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는 타 중계 장치의 원격 제어 및 상태정보 요구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신호는 중계신호를 원할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이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즉, 중계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기술을 이용한 800MHz 대역의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사업자 대역 또는 1.8GHz 대역의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사업자 대역을 포함하며, 제어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2.4GHz ~ 2.4835GHz : 83.5MHz)을 포함한다.
이 때, ISM 주파수 대역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ISM 주파수 대역은 비면허로 약한 전계강도를 이용하여 상업, 과학 및 의료용으로 할당된 대역이다. ISM 주파수 대역은 세가지( 902MHz ~ 928MHz : 28MHz, 2.4GHz ~ 2.4835GHz : 83.5MHz, 5.725GHz ~ 5.850GHz : 125MHz )가 있고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대역은 2.4GHz - 2.4835GHz : 83.5MHz이다.
최근 전파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경제적 수준의 향상에 따라 다양한 무선국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저전력의 전파를 발사하는 미약 무선국 은 전파사용에 따른 허가가 필요없어 짧은 구역내의 음성 및 데이터 전송용, 장비의 원격제어용 등 산업활동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 이르기까지 이용범위가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일예로 치매 노인 보호 시스템, 긴급 통보 시스템, 재해시의 이동체 통신, 도로 교통 정보 통신 시스템, 무선 비디오 송/수신기 등 다양한 활용 예가 있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는,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제 1 필터(3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유선을 통해 전송받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제 1 커플러(303), 상기 제 1 커플러(303)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제 1 변/복조부(301)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1 필터(302),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제 1 필터(3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제 1 변/복조부(301), 타 중계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시스템의 경우에 1840MHz ~ 1860MHz)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제 2 커플러(306)에서 결합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일예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시스템의 경우에 1750MHz ~ 1770MHz)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듀얼 안테나(307), 제어부(300)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제 2 필터(305)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듀얼 안테나(307)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제 2 커플러(306), 상기 제 2 커플러(306)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제 2 변/복조부(304)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제 2 필터(305),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제 2 필터(305)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변/복조부(304) 및 타 중계 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필터(302)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도록 상기 제 1 변/복조부(301)를 제어하고, 상기 제 1 변/복조부(301)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타 중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필터(305)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도록 상기 제 2 변/복조부(304)를 제어하고, 상기 제 2 변/복조부(304)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신호, 즉 일 중계 장치에서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신호는 타 중계 장치의 원격 제어 및 상태정보 요구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제어신호는 중계신호를 원할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이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 즉, 중계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기술을 이용한 800MHz 대역의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사업자 대역 또는 1.8GHz 대역의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사업자 대역을 포함하며, 제어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2.4GHz ~ 2.4835GHz : 83.5MHz)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일 중계 장치로부터 중계신호를 전송받음에 따라 상기 중계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듀얼 안테나를 통해 목적지(타 중계 장치 또는 기지국 또는 무선통신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타 중계 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중계신호에서 제어신호를 분리한 후 상기 분리된 제어신호에 따라 중계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제어신호와 중계신호의 간섭 현상을 감소시켜 중계신호를 정상적으로 전송하고 타 중계 장치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타 중계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결합/분기 수단에서 결합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듀얼 안테나;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상기 듀얼 안테나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상기 결합/분기 수단;
    상기 결합/분기 수단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변/복조 수단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상기 필터링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변/복조 수단; 및
    상기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변조하도록 상기 변/복조 수단을 제어하며, 상기 변/복조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
  2.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에 있어서,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제 1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유선을 통해 전송받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제 1 결합/분기 수단;
    상기 제 1 결합/분기 수단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제 1 변/복조 수단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상기 제 1 필터링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상기 제 1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 1 변/복조 수단;
    타 중계 장치로부터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전송받거나, 제 2 결합/분기 수단에서 결합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타 중계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듀얼 안테나;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중계신호와 제 2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결합하거나, 상기 듀얼 안테나에서 수신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중계신호와 제어신호를 분기하기 위한 상기 제 2 결합/분기 수단;
    상기 제 2 결합/분기 수단에서 분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거나, 제 2 변/복조 수단에서 변조한 제어신호를 필터링하기 위한 상기 제 2 필터링 수단;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제어신호를 변조하거나, 상기 제 2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 수단으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제 2 변/복조 수단; 및
    타 중계 장치와 유선으로 통신함에 따라 상기 제 1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도록 상기 제 1 변/복조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1 변/복조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타 중계 장치와 무선으로 통신함에 따라 상기 제 2 필터링 수단에서 필터링한 제어신호를 복조하도록 상기 제 2 변/복조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 2 변/복조 수단으로부터 전달받은 제어신호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부호분할 다중접속(CDMA) 기술을 이용한 800MHz 대역의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사업자 대역, 1.8GHz 대역의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사업자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ISM(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주파수 대역(2.4GHz ~ 2.4835GHz : 83.5MHz)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중계 장치의 원격 제어 및 상태정보 요구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 장치.
KR1020040044717A 2004-06-16 2004-06-16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87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717A KR100587503B1 (ko) 2004-06-16 2004-06-16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4717A KR100587503B1 (ko) 2004-06-16 2004-06-16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587A KR20050119587A (ko) 2005-12-21
KR100587503B1 true KR100587503B1 (ko) 2006-06-08

Family

ID=37292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7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7503B1 (ko) 2004-06-16 2004-06-16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54B1 (ko) * 2005-01-21 2007-03-13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다단 주파수 변환 중계 시스템
KR100717404B1 (ko) * 2005-10-25 2007-05-16 주식회사 케이제이컴텍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대역신호 전력제어 장치
KR102041306B1 (ko) * 2018-02-01 2019-11-06 김갑수 진동 기능을 내장한 분산형 무선 광학 디스플레이의 멀티패스 제어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770A (ko) * 1997-12-31 1999-07-26 이상철 중계 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용 무선 통신 처리 방법
KR20030070729A (ko) * 2002-02-26 2003-09-02 정대휘 재활용 용기의 선별 분쇄장치
KR20030082012A (ko) * 2002-04-15 2003-10-22 주식회사 해피컴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중계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1770A (ko) * 1997-12-31 1999-07-26 이상철 중계 장치를 이용한 무선 통신 시스템용 무선 통신 처리 방법
KR20030070729A (ko) * 2002-02-26 2003-09-02 정대휘 재활용 용기의 선별 분쇄장치
KR20030082012A (ko) * 2002-04-15 2003-10-22 주식회사 해피컴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중계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9587A (ko) 2005-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5732B (fi) Taajuuksien vaihdolla varustetuilla toistinasemilla toteutettu radioliikennejärjestelmä
AU612308B2 (en) Cellular data system
EP1056226B1 (en) Module for radio transmission over optical fibre
US20040151503A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wireless transmission path and optical transmission path
US9998900B1 (en) Backpack-type mobile base st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TVWS and satellite backhaul
EP1294211A2 (en) Network architecture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with billing module for shared resources
JP2006229970A (ja) 移動及び固定無線サービスの分配機能を持つbts装置
MXPA04003174A (es) Metodo de distribucion en edificios usando tecnologia de acceso inalambrica.
CN111478731A (zh) 通信系统和通信方法
JPH09186620A (ja) 通信用機器および通信方法
EP0715786B1 (en) Base station equipment using diversity reception
CN102457316A (zh) 利用室内无线信号覆盖系统进行多天线传输的系统和方法
US6064665A (en)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to two-band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base station conversion
KR100587503B1 (ko)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중계장치
US7684823B2 (en) Cellular mobile radio network and method for setting up a base station of a cellular mobile radio network
CN1252191A (zh) 包括对称和非对称波形模式的移动卫星电话系统
KR100208958B1 (ko) 무선광전송을 이용한 이동통신시스템용 중계시스템
KR100292657B1 (ko) 파일럿비콘신호발생장치
KR100371975B1 (ko) 위성을 이용한 개인휴대통신시스템
KR20040075803A (ko) 이동형 위성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위성 중계 시스템
CN114205924B (zh) 一种5g路由基站、5g微基站及5g通信网络系统
JPH02193425A (ja) 移動通信方式
KR100375837B1 (ko) 다중방향 섹터형 이동 통신 중계 장치
KR100383722B1 (ko) 동축 케이블을 가지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송수신장치
KR100627797B1 (ko) 디지털 무선 중계 시스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6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