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7350B1 -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 Google Patents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87350B1 KR100587350B1 KR1020040026134A KR20040026134A KR100587350B1 KR 100587350 B1 KR100587350 B1 KR 100587350B1 KR 1020040026134 A KR1020040026134 A KR 1020040026134A KR 20040026134 A KR20040026134 A KR 20040026134A KR 100587350 B1 KR100587350 B1 KR 100587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umn
- slider
- base
- height adjustment
- roller
- Prior art date
Links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group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34—Feet; Stands; Pedestals, e.g. wheels for moving casing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화면표시부를 고정하는 피벗부와 연결된 슬라이더컬럼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단이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컬럼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컬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컬럼은 베이스컬럼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 베이스컬럼의 상하방 적어도 두 곳에는 일측에 지지단 그리고 타측에는 휠이 구비된 롤러가 마련되며, 이 각 롤러의 지지단은 베이스컬럼의 측벽에 고정되고 해당 휠은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사이에 롤러를 개입시켜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간에 마찰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하여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an image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lider column connected to a pivot part for fixing a screen display part; a base column slidably receiving the slider column and fixed to a base part; In the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consisting of a plate coil spring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lumn to elastically support the slider column, the slider column is disposed separated from the inner wall of the base colum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least tw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base column are provided with a roller having a support end on one side and a wheel on the other side, and the support end of each roller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column, and the wheel has a slider column of the base column. Rotatably in contact with the slider column to move stably along The feature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adjust the height of the pedestal so that the friction between the slider column and the base column hardly occurs through the roller between the slider column and the base column.
영상표시기기, 받침대Video display device, stand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인 영상표시기기의 받침대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destal device of a general image display device.
도 2는 도 1의 받침대의 전체구성을 보여주는 개략 분해 사시도.Figure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base of Figure 1;
도 3은 도 2의 받침대의 일부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pedestal of FIG. 2;
도 4는 도 3의 A-A'선을 따라 절취된 받침대의 개략 횡단면도.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cut along the line AA ′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도.Figure 5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ight adjustment pedestal of the flat imag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취된 받침대의 개략 횡단면도.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cut along the line BB ′ of FIG. 5.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피벗부 2: 받침대1: pivot part 2: stand
3: 베이스부 4: 슬라이더컬럼3: base portion 4: slider column
5: 베이스컬럼 6: 판코일스프링5: Base column 6: Leaf coil spring
8: 상부스톱퍼 9: 잠금부8: upper stopper 9: lock
10: 하부스톱퍼 11: 롤러10: lower stopper 11: roller
11a: 지지단 11b: 휠11a:
본 발명은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LCD 모니터와 같은 영상표시기기의 받침대를 이루는 베이스컬럼과 슬라이더컬럼 사이에 롤러를 개입시켜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 내에서 상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an image display device, in particular, the slider column smoothly up and down within the base column through a roller between the base column and the slider column forming the pedestal of the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monitor. It relates to a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a flat panel display device to be movable.
일반적으로, LCD 모니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화면표시부(도시되지 않음)와; 이 화면표시부의 배면에 연결되어 그 화면표시부를 전후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피벗부(1)와; 이 피벗부에 연결되어 그 화면표시부를 상하로 높이조절 가능하게 하는 받침대(2)와; 이 받침대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3)로 구성되어 있다.In general, an LCD monitor includes a screen display unit (not shown) for displaying a predetermined video signal on a screen, as shown in FIG. 1; A
여기에서, 상기 받침대(2)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벗부(1)의 하부를 고정하는 슬라이더컬럼(4)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수납되게 안내하는 베이스컬럼(5)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측에 마련되는 판코일스프링(6)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판코일스프링은 일정크기의 보조플레이트(7)를 통해 상기 베이스컬럼(5)의 내측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양측에는 각각 플라스틱커버(4a,4b)가 구비되어 있다.Here, the
그에 따라, LCD 모니터의 화면표시부를 상방향으로 올리거나 하방향으로 내릴 때, 그 화면표시부의 하중이 슬라이더컬럼(4)의 하단과 접촉되는 베이스컬럼(5)의 내측 판코일스프링(6)에 의해 지지되게 되며, 이로써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더컬 럼(4)을 통해 화면표시부의 높이를 설정하게 되면 화면표시부는 그 설정된 높이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screen display part of the LCD monitor is raised or lowered, the load on the screen display part of the inner
한편,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외측 하부에는 화면표시부의 최대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상기 후방측 플라스틱커버(4b)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상부스톱퍼(8)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상부스톱퍼(8)는 화면표시부와 함께 상승되다가 상기 베이스컬럼(5)의 외측에 마련된 잠금부(9)의 하부 모서리에 걸리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bottom of the
또한, 상기 베이스컬럼(5)의 내측 하부에는 화면표시부의 최소높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부스톱퍼(10)가 구비되어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하단부는 화면표시부의 하강시 상기 베이스컬럼(5)의 하부스톱퍼(10)에 걸리게 된다.In addition, a
다른 한편, 상기 베이스컬럼(5)의 외측에는 두 개의 플라스틱커버(5a,5b)가 부착되어 있으며, 그 두 플라스틱커버중 한쪽에는 LCD 모니터용 신호케이블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케이블보호커버(5c)가 더 끼워져 있다.On the other hand, two
그러나 종래에는, 슬라이더컬럼의 플라스틱커버 외면과 베이스컬럼의 내면이 면접촉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플라스틱커버가 주위환경에 의해 약간이라도 변형되게 되면 플라스틱커버와 베이스컬럼 간에 마찰이 심하게 일어나 소음을 발생시키게 됨은 물론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plastic cover outer surface of the slider colum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column are in surface contact, and when the plastic cover is slightly deform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riction between the plastic cover and the base column causes severe noises. Of cours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pedestal is not smooth.
나아가, 플라스틱커버가 베이스컬럼의 내벽 한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는 경우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불규칙하게 이동할 수밖에 없어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우려가 매우 높았다.Furthermore, when the plastic cover is excessively biased to one side of the inner wall of the base column, the slider column has to be moved irregularly along the axis of the base column,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사이에 롤러를 개입시켜 그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간에 마찰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하여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object is to facilitate the adjustment of the height of the pedestal so that almost no friction between the slider column and the base column through the roller between the slider column and the base column. It is to provide a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a flat-panel video display devic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화면표시부를 고정하는 피벗부와 연결된 슬라이더컬럼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고 하단이 베이스부에 고정되는 베이스컬럼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컬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컬럼은 베이스컬럼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 베이스컬럼의 상하방 적어도 두 곳에는 일측에 지지단 그리고 타측에는 휠이 구비된 롤러가 마련되며, 이 각 롤러의 지지단은 베이스컬럼의 측벽에 고정되고 해당 휠은 슬라이더컬럼이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lider column connected to the pivot portion for fixing the screen display portion, a base column slidably receiving the slider column and fixed to the base portion, and on the inner wall of the base column. In the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the image display device consisting of a plate coil spring provid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slider column, the slider column is arranged in a separated stat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inner wall of the base column and the top and bottom of the base column At least two places are provided with a roller having a support end on one side and a wheel on the other side, and the support end of each roller is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base column, and the wheel can move the slider column stably along the axis of the base column. And rotatably in contact with the slider colum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절취된 받침대의 개략 횡단면도이다.5 is a schematic front view showing the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pedestal cut along the line BB 'of FIG.
본 발명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표시부를 고정하는 피벗부(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된 슬라이더컬럼(4)과, 이 슬라이더컬럼을 슬라이딩 가능하 게 수용하고 하단이 베이스부(3)에 고정되는 베이스컬럼(5)과, 이 베이스컬럼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컬럼(4)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판코일스프링(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에 있어서,5 and 6, the
상기 슬라이더컬럼(4)은 베이스컬럼(5)의 내벽과 일정간격을 두고 분리된 상태로 배치되고 그 베이스컬럼의 상하방 적어도 두 곳에는 일측에 지지단(11a) 그리고 타측에는 휠(11b)이 구비된 롤러(11)가 마련되며, 이 각 롤러의 지지단(11a)은 베이스컬럼(5)의 측벽에 고정되고 해당 휠(11b)은 슬라이더컬럼(4)이 베이스컬럼(5)의 축선을 따라 안정되게 이동 가능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4)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The
여기에서, 상기 롤러 휠(11b)의 반경방향 외주부는 각이진 형태를 이루고, 이에 상응하여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대응부분은 그 각이진 외주부와 마주하도록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radially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상기 롤러 휠(11b)의 적어도 반경방향 외주부는 상기 슬라이더컬럼(4)이 베이스컬럼(5)측 롤러 휠(11b)과 접촉된 상태로 그 베이스컬럼의 축선을 따라 상하방으로 움직일 때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무로 피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least the radially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한편, 상기 롤러(11)는 베이스컬럼(5)의 측벽 상하방 두 곳 뿐만 아니라 측벽의 상하방 두 곳씩 4개소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들 롤러(11)의 배치형태 및 개수는 상기 슬라이더컬럼(4)이 베이스컬럼(5)의 측벽 내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으면서 상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는 정도이면 어느 경우라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다른 한편, 도 6에 표시된 도면부호 12는 상기 베이스컬럼(5)의 하단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절곡단부로서 이는 베이스부(3)의 메탈베이스(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부분이며, 도면부호 13은 상기 두 절곡단부(12)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평판형 영상표시기기의 높이조절 받침대 구조가 적용된 영상표시기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device to which the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먼저, 베이스컬럼(5)의 내벽에 판코일스프링(6)을 고정시키고, 이와 아울러 롤러(11)의 지지단(11a)을 상기 베이스컬럼(5)의 측벽 상하방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시킨 후, 그 베이스컬럼을 베이스부(3)에 고정시킨다(도 2, 도 5 및 도 6 참조).First, the
이때, 상기 롤러(11)의 지지단(11a)은 베이스컬럼(5)에 나사결합방식, 리벳고정방식, 그밖에 다양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upport end 11a of the
그런 다음, 상기 베이스컬럼(5)의 상부에 슬라이더컬럼(4)을 정렬시켜 그 슬라이더컬럼의 하단이 판코일스프링(6)에 접촉되도록 그 슬라이더컬럼(4)을 하방으로 눌러 끼운다.Then, the
이때,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일부는 상기 베이스컬럼(5)의 측벽에 고정된 롤러(11)의 휠(11b)과 접촉되게 되며, 그 결과 상기 슬라이더컬럼(4)은 마찰을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롤러(11)를 통해 상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a part of the
그런 다음, 상기 슬라이더컬럼(4)을 최저높이로 누른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컬럼(4)의 상부스톱퍼(8)와 마주하는 상기 베이스컬럼(5)의 일측 상부부분에 상 기 슬라이더컬럼(4)의 상방향 이동을 차단하는 잠금부(9)를 고정시킨 후, 나머지 피벗부(1), 화면표시부(도시되지 않음) 등을 차례로 조립해 사용하면 된다.Then, while pressing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사이에 롤러를 개입시켜 슬라이더컬럼과 베이스컬럼 간에 마찰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하여 받침대의 높이조절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smoothly adjust the height of the pedestal through the friction between the slider column and the base column by the roller between the slider column and the base column.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6134A KR100587350B1 (en) | 2004-04-16 | 2004-04-16 |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26134A KR100587350B1 (en) | 2004-04-16 | 2004-04-16 |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0914A KR20050100914A (en) | 2005-10-20 |
KR100587350B1 true KR100587350B1 (en) | 2006-06-08 |
Family
ID=37279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26134A KR100587350B1 (en) | 2004-04-16 | 2004-04-16 |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8735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960697A (en) * | 2021-10-25 | 2022-01-21 | 国家电网有限公司 | Meteorological monitoring device for substation site |
-
2004
- 2004-04-16 KR KR1020040026134A patent/KR10058735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100914A (en) | 2005-10-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02297B2 (en) |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leaning | |
US8201782B2 (en) | Height adjustable stand and flat panel display utilizing the same | |
US7667957B2 (en) | Thin-type display | |
US8899537B2 (en) | Supporting device for electronic device | |
US20080237414A1 (en) | Flat panel display having height adjusting member | |
US7293747B2 (en) | Display moveable in two dimensions | |
KR101888154B1 (en) | Electronic apparatus | |
US7986512B2 (en) | Electronic device frame with support mechanism | |
US9095042B2 (en) | Display apparatus | |
US20030227601A1 (en) | Electronic apparatus with height-adjusting device | |
KR100587350B1 (en) | Height adjustment pedestal structure of flat panel display | |
US20210034098A1 (en) | Display device | |
US8090096B2 (en) | Til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apparatus | |
CN212262348U (en) | A touch screen auxiliary device for electronic equipment | |
JP5502974B2 (en) | Television equipment, stands, and electronics | |
EP1744319A2 (en) | Portable DVD player with pop-up screen | |
KR19990075312A (en) | Height adjustment of display monitor | |
CN110107790B (en) | Wall hanging device and display | |
KR101597833B1 (en) | Display device | |
KR100918340B1 (en) | Tilt angle adjustment and wall mount terminal | |
EP2051512A1 (en) | Device-mounting base | |
KR20050122879A (en) | A stand structure for moving monitor | |
KR20050080250A (en) | Height adjustment stand for lcd monitor | |
KR101480548B1 (en) | Stand for display device | |
KR101187485B1 (en) | Reading stand and apparatus for fixing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2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6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3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4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42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