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7150B1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7150B1
KR100587150B1 KR1020040102349A KR20040102349A KR100587150B1 KR 100587150 B1 KR100587150 B1 KR 100587150B1 KR 1020040102349 A KR1020040102349 A KR 1020040102349A KR 20040102349 A KR20040102349 A KR 20040102349A KR 100587150 B1 KR100587150 B1 KR 100587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terminal
module
value
amplitu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3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종구
한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40102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71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7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71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3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 H03G3/304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high-frequency amplifiers or in frequency-changers in modulators, frequency-changers, transmitters or power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4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 H04W52/52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using AGC [Automatic Gain Control] circuits or amplif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일부에 <소정의 스펙 진폭 값과, 안테나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진폭 성분을 확보 비교하여, 해당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 예컨대, 오버-슈트 현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에 따라,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 전력점검 신호의 값을 다양하게 바꾸어 보정 출력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종단 증폭모듈이 자신의 증폭전력을 진폭 성분의 오버-슈트 현상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추후, 안테나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외부 환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정상적인 진폭 성분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a predetermined amplitude value of a certain terminal and an amplitude component of a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ted through an antenna are secured and compared to a part of the terminal, and an abnormal phenomenon of the digital signal, for example, System modules that can check the over-shoot phenomenon> and <computer modules that can correct and output various values of the power check signal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of the digital signal> In this way, the terminating amplification module induces its amplification power to be natur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over-shoot phenomenon of the amplitude component, so that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is normal amplitude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Guide to flexible retention of ingredients.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 체크절차, 전력점검 신호의 보정절차 등을 통해, 종단 증폭모듈의 전력조절 능력을 최적화시키고, 이를 통해, 진폭 성분의 이상 현상에 기인한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량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이용 편리성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power control capability of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through an abnormality check procedure of the digital signal, a correction procedure of the power check signal, and the like, thereby,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ue to an abnormal phenomenon of the amplitude component. 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the terminal can be naturally improved.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n internal componen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종단 증폭모듈의 전력 증폭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Figure 2 is an illustration conceptually showing the power amplification procedure of the termination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3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internal components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모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블록도.4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corr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종단 증폭모듈의 전력 증폭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power amplification procedure of the termination amplifi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 체크절차, 전력점검 신호의 보정절차 등을 통해, 종단 증폭모듈의 전력조절 능력을 최적화시키고, 이를 통해, 진폭 성분의 이상 현상에 기인한 단말의 불 필요한 전력 소모량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이용 편리성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optimize power control capability of a termination amplifier module through an abnormality check procedure of a digital signal, a correction procedure of a power check signal, and the like, thereby causing an abnormality of an amplitude compon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effectively improving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a terminal by effectively suppressing an increase in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due to a phenomenon.

최근, 전기·전자 및 통신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또한 빠른 보급속도를 보이고 있다.Recently,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electric, electronic and communication related technologie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also showing a rapid spreading speed.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통적인 유선통신 단말기와 달리, 일련의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간 이동 통신 인프라를 제공하기 때문에,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체제 하에서, 사용자는 위치에 관계없이 자신이 원하는 상대방과 자유롭게 통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Unlike a conventional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such a mobile terminal provides a mobil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between users based on a series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nd therefore, in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 user can communicate with a desired counterpart regardless of location. The advantage of making a call freely can be easily obtained.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 예컨대, 8-위상편이방식(8-PSK:8-Phase-Shift Keying; 이하, "8-PSK"라 칭함)의 신호변조 처리체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1) 체제 하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안테나(12)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예컨대, 음성신호)는 통화처리 관련모듈(8), 베이스-밴드 모듈(4:Base-band module), 오디오 입/출력 처리모듈(7) 등을 거쳐 스피커(10)로 출력되는 메커니즘을 취하게 되며, 마이크(9)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 처리모듈(7), 베이스-밴드 모듈(4), 변조모듈(5),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6) 등을 경유한 후, 종단 증폭모듈(11)에 의해 증폭되고, 이어, 안테나(12)를 통해 외부 출력되는 메커니즘을 취하게 된다.Such a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examp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 having a signal modulation processing system of 8-Phase-Shift Key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8-PSK"). Under the system, as shown in Fig. 1, an audio signal (e.g., a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2 is typically used for the call processing related module 8 and the base-band module 4. And a mechanism for outputting to the speaker 10 via the audio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7, and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microphone 9 is the audio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7 and the base-band. After passing through the module 4, the modulation module 5, the modula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6, etc., it is amplified by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 and then takes a mechanism that is exter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12. Done.

이 경우, 단말 제어모듈(2)은 통화처리 관련모듈(8)들과 일련의 긴밀한 연결관계를 형성함과 아울러, 로직 인터페이스 모듈(3)을 매개로 베이스-밴드 모듈(4)과 긴밀한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각 모듈들의 작용에 의한 일련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총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In this case, the terminal control module 2 forms a series of intimate connection relationships with the call processing related modules 8, and also has a close signal connection with the base-band module 4 via the logic interface module 3. By forming the relationship, a series of audio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dures by the action of each module is perform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so that the norm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problems.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12)를 통해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일부는 안테나(12)에 인접 배치된 커플러(13)를 통해,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6) 측으로 피드백(Feed-back)된 후, 종단 증폭모듈(11) 측으로 재 입력되는 메커니즘을 취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종단 증폭모듈(11)은 베이스-밴드 모듈(4)에 배치된 전력점검 기준신호 송출부(4a)로부터 소정의 전력점검 기준신호를 입력받은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전력점검 기준신호(I1)의 값( α)과,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6) 측으로부터 피드백 입력되는 피드백 신호(I2)의 값( β)을 비교하는 절차를 진행하고, 만약, 해당 피드백 신호(I2)의 값( β)이 전력점검 기준신호(I1)의 값( α)과 상이한 경우, 자신의 증폭전력을 높이거나 낮추어, 해당 피드백 신호(I2)의 값( β)이 전력점검 기준신호(I1)의 값( α)과 동일해지도록 조절(즉, β값→α값으로 조절)함으로써, 추후, 안테나(12)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송출 전력이 전반적으로 일정한 값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the figure, a part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through the antenna 12 is fed back to the modula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6 side through the coupler 13 disposed adjacent to the antenna 12. After back), the mechanism is re-input to the termination amplifier module 11, in this situation, the termination amplifier module 11 is a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transmitting unit 4a disposed in the base-band module (4) After inputting a predetermined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from the power supply reference signal, feedback is inputted from the value α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and the modula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6 as shown in FIG. 2. The procedure of comparing the value β of the signal I2 is carried out, and if the value β of the feedback signal I2 is different from the value α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the amplification of the signal I2 is perform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ower, the value β of the corresponding feedback signal I2 becomes the value α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By adjusting to be equal to (i.e., adjusting from β value to α value), the transmission power of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12 is induced to maintain a constant value overall.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안테나(12)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별도의 체크 절차 없이,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6) 측으로 단순 피드백 되기 때문에, 만약, 단말 주변에 상존하는 다양한 악성요인, 예컨대, 온도, 전파, 하드웨어 구성물의 물리적인 변화 등의 영향에 의해 피드백 신호(I2)를 이루는 진폭 성분(AE)의 포락선(Envelope) 일부(AE1)가 오버-슈트(Over-Shoot)되는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하더라도, 단말 측에서는 이를 전혀 파악할 수 없게 된다.However, under such a conventional system, since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12 is simply fed back to the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6 without a separate check procedure, various malicious factors existed around the terminal. For example, a part of the envelope AE1 of the amplitude component AE constituting the feedback signal I2 is over-shooted by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radio waves, or physical changes in hardware components. Even if it is causing, the terminal side can not grasp this at all.

더욱이, 이 상황에서, 진폭 성분(AE)의 오버-슈트 문제점이 어렵사리 파악되었다 하더라도, 종단 증폭모듈(11)의 송출 전력 조절절차에 절대적인 기준이 되는 전력점검 기준신호(I1)는 진폭 성분(AE)의 오버-슈트 현상과 무관하게 항상 고정적인 값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종단 증폭모듈(11)은 단지, 안테나(12)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송출 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자신의 증폭전력을 조절할 수 있을 뿐, 진폭 성분(AE)의 오버-슈트 현상이 해결될 수 있도록 자신의 증폭전력을 융통성 있게 조절할 수는 없게 된다.Further, in this situation, even if the over-shoot problem of the amplitude component AE is difficult to grasp,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which is an absolute reference to the output power control procedure of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 is the amplitude component AE. Since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 always has a fixed value regardless of the over-shoot phenomenon, the amplification power of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 only maintains a constant output power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through the antenna 12. It is not possible to flexibly adjust its amplification power so that the overshoot of the amplitude component (AE) can be solved.

물론, 이러한 문제점에 의해, 안테나(12)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진폭 성분(AE) 오버-슈트 현상이 별다른 조치 없이 지속적으로 방치되는 경우, 단말의 전체적인 전력 소모량은 불필요하게 대폭 증가할 수밖에 없게 되며, 그 여파로,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용에 큰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Of course, due to this problem, if the amplitude component (AE) over-shoot phenomenon of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12 is left unattended without any action, the overall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will be unnecessaril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aftermath, the user is forced to take great inconvenience i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의 일부에 <소정의 스펙 진폭 값과, 안테나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진폭 성분을 확보 비교하여, 해당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 예컨대, 오버-슈트 현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에 따라,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 전력점검 신호의 값을 다양하게 바꾸어 보정 출력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종단 증폭모듈이 자신의 증폭전력을 진폭 성분의 오버-슈트 현상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추후, 안테나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외부 환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정상적인 진폭 성분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and compare a predetermined spec amplitude value to a part of a terminal and an amplitude component of a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an antenna to check an abnormal phenomenon, such as an over-shoot phenomenon of the digital signal. Computer module> and <computer module that can correct the output of power check signal by varying the value of the power check signal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of the digital signal> and systematically interlock and arrange the terminal amplification. By inducing the module to naturally adjust its amplification power to the overshoot of the amplitude component,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can flexibly retain the normal amplitude component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There is a guide to help.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 체크절차, 전력점검 신호의 보정절차 등을 통해, 종단 증폭모듈의 전력조절 능력을 최적화시키고, 이를 통해, 진폭 성분의 이상 현상에 기인한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량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이용 편리성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키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ptimize the power control capability of the termination amplifier module through an abnormality check procedure of the digital signal, a correction procedure of the power check signal, and the like, thereby, unnecessary power of the terminal due to an abnormal phenomenon of the amplitude component. 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increase in consumption,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the terminal is naturally improv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단말 제어모듈과, 상기 단말 제어모듈에 의해 전산 제어되며,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모듈과, 상기 변조모듈에 의해 변조된 디지털 신호를 성분 별로 분석하여, 송출 처리하는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과, 상기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에 따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종단 증폭모듈과, 상기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해당 이상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을 다른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으로 보정하는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terminal control module for overall control of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rocedures of an audio signal, a modulation module that is computer controlled by the terminal control module and modulates the audio signal, and the modulation The digital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e is analyzed for each component, and a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for transmitting and processing amplifies the digital signal processed by the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a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and externally via an antenna. A power check criterion that checks whether the terminal amplifying module outputs and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from the terminal amplifying module side are abnormal, and corrects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to another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combination of a signal value correction module is disclos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0), 예컨대, 8-PSK의 신호변조 처리체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체제 하에서,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예컨대, 음성신호)는 통화처리 관련모듈(108), 베이스-밴드 모듈(104), 오디오 입/출력 처리모듈(107) 등을 거쳐 스피커(110)로 출력되는 메커니즘을 취하게 되며, 마이크(109)를 통해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입/출력 처리모듈(107), 베이스-밴드 모듈(104), 변조모듈(105),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106) 등을 경유한 후, 종단 증폭모듈(111)에 의해 증폭되고, 이어, 안테나(112)를 통해 외부 출력되는 메커니즘을 취하게 된다.As shown in FIG. 3,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under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having the 8-PSK signal modulation processing system, an audio signal (for example,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2) Voice signal) takes a mechanism that is output to the speaker 110 via the call processing related module 108, the base-band module 104, the audio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107, etc., the microphone 109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audio input / output processing module 107, the base-band module 104, the modulation module 105, the modula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106, and the like, and then the termination amplification module 111. It is amplified by, and then takes a mechanism that is exter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112).

이 경우, 베이스-밴드 모듈(104)은 예컨대, 송/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코딩 및 디코딩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변조모듈(105)은 베이스-밴드 모듈(104)에 의해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예컨대, 8-PSK의 신호변조 처리체계에 맞도록 변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base-band module 104 serves to code and decode the audio signal transmitted / received, for example, and the modulation module 105 receives the audio signal processed by the base-band module 104. For example, it modulates to fit the 8-PSK signal modulation processing system.

이때, 단말 제어모듈(102)은 통화처리 관련모듈(108)들과 일련의 긴밀한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함과 아울러, 로직 인터페이스 모듈(103)을 매개로 베이스-밴드 모듈(104)과 긴밀한 신호 연결관계를 형성함으로써, 각 모듈들의 작용에 의한 일련의 오디오 신호 송/수신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총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terminal control module 102 forms a series of close signal connection relationships with the call processing related modules 108, and close signal connection with the base-band module 104 via the logic interface module 103. By forming the relationship, a series of audio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dures by the action of each module is performed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so that the normal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ny problems.

여기서, 앞의 통화처리 관련모듈(108)로는 예컨대, 외부의 오디오 신호가 안테나(112)를 통해 수신되면, 이 수신신호에 대해 이득을 보상하여 증폭하는 수신 증폭모듈, 수신 증폭모듈를 통해 증폭된 신호를 검파한 후, 해당 오디오 신호를 복 조하여 출력하는 검출모듈,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컨트롤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와 함께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모듈, 혼합모듈을 통해 출력되는 고주파의 컨트롤 신호를 디지털 파형으로 정형하는 디코더, 디코더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고유의 어드레스와 비교한 후, 그 비교결과를 단말 제어모듈(102) 측으로 전달하는 변별모듈 등이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Here, in the above call processing related module 108, for example, when an external audio signal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112, a receiving amplification module for compensating and amplifying a gain for the received signal, the signal amplified through the receiving amplification module After detecting, the detection module demodulates and outputs the corresponding audio signal, the mixing module that mixes and outputs the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with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the digital waveform of the high frequency control signal output through the mixing module. After comparing the decoder and the signal output through the decoder with a unique address, the discrimin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to the terminal control module 102 may be flexibly selected.

물론, 상술한 통화처리 관련모듈들(108)의 구체적인 구성 및 기능 등이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Of course, it will be obvious that the specific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above-described call processing related modules 108 may be variously modified according to circumstances.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106)은 내장된 신호 합성부(106a)를 활용하여, 변조모듈(105)에 의해 변조된 디지털 신호, 예컨대, I-신호(Inphase signal), Q-신호(Quadrature signal)를 합성한 후,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로 바꾸어, 성분 분석부(106b)로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성분 분석부(106b)는 합성된 중간 주파수 신호를 성분 별(진폭 성분 및 위상 성분)로 분석한 후, 분석된 신호를 종단 증폭모듈(111) 측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106 utilizes a built-in signal synthesis unit 106a, the digital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on module 105, for example, I-signal (Inphase signal, a Q-signal (Quadrature signal) is synthesized, and then converted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nd outputs to the component analyzer 106b. In this situation, the component analyzer 106b is synthesized. After analyzing the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by the component (amplitude component and phase component), and serves to output the analyzed signal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1.

여기서, 종단 증폭모듈(111)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일부는 안테나(112)에 인접 배치된 커플러(113)를 통해,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106)의 피드백 관리부(106c) 측으로 피드백된 후, 성분 분석부(106b)를 재차 거쳐, 종단 증폭모듈(111) 측으로 재 입력되는 메커니즘을 취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종단 증폭모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점검 기준신호(I1: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전력점검 기준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에 의해 관리 됨)의 값( α)과,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106) 측으로부터 피드백 입력되는 피드백 신호(I2)의 값( β)을 상호 비교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Here, a part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1 is fed back to the feedback management unit 106c of the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106 through the coupler 113 disposed adjacent to the antenna 112. In this case,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has a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as shown in FIG. 5.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s managed by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eedback signal I2 fed back from the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106. Will be compared with each other.

이러한 절차가 진행되는 상황 하에서,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일부에 본 발명의 요지를 이루는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120)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한다. Under the circumstances in which such a procedure is in progress, the present invention takes measures to further arrange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120 forming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art of the terminal.

이 경우,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120)은 안테나(112)에 인접 배치된 커플러(113)를 통해, 종단 증폭모듈(111) 측으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일부를 피드백 받은 후, 이 피드백 신호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해당 이상 여부에 따라, 앞의 전력점검 기준신호(I1)의 값( α)을 다른 전력점검 기준신호(I3)의 값(γ)으로 보정하는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120 receives a part of the final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1 through the coupler 113 disposed adjacent to the antenna 112, and then returns the feedback. The process of checking whether the signal is abnormal and correcting the value α of the previous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to the value γ of another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3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

물론, 이러한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120)에 의해 핸들링 되는 피드백 신호는 커플러(113)를 통해,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106) 측으로 피드백 되는 피드백 신호(I1)와 마찬가지로, 커플러(113)를 통해 피드백 되기 때문에, 상호 동일한 신호로 간주할 수 있다.Of course, the feedback signal handled by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120 is coupled to the coupler 113, similar to the feedback signal I1 fed back to the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106 through the coupler 113. Because they are fed back, they can be regarded as the same signal.

이때, 앞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은 신호 값 비교부(122),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부(124), 정류부(121) 등이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bination of the signal value comparison unit 122,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correction unit 124, rectifier 121, etc. Will be taken.

이 상황에서, 신호 값 비교부(122)는 커플러(113)를 통해, 앞의 종단 증폭모듈(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드백 신호(I2:이 피드백 신호는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 측으로 피드백된 신호와 동일한 피드백 신 호이므로, 이하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함)의 진폭 성분(AE)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스펙 진폭 값(S1,S2)과 비교하여, 해당 진폭 성분(AE)의 이상 여부, 예컨대, <해당 진폭 성분(AE)의 포락선 일부(AE1)가 오버-슈트 현상을 일으키고 있는가의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situation, the signal value comparison unit 1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termination amplifier 111 through the coupler 113, and as shown in FIG. 5, the feedback signal I2: Since the feedback signal is the same as the signal fed back to the modula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side, the amplitude component AE of the following reference numerals is used in comparison with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amplitude value S1, S2, and corresponding amplitude. The function of checking whether the component AE is abnormal, for example, whether <the part of the envelope AE1 of the amplitude component AE is causing an over-shoot phenomenon>.

또한,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부(124)는 신호 값 비교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신호 값 비교부(122)와 교신하고, 만약, 신호 값 비교부(122)에 의해 진폭 성분(AE)의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기 정해져 있던 전력점검 기준 신호(I1)의 값( α)을 신규 보정하여, 새로운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γ)을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전력점검 기준 신호 값(γ)을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종단 증폭모듈(111)이 새로운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γ)에 따라, 자신의 증폭정도를 조절·운용하고, 이를 통해, 추후,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corrector 124 communicates with the signal value comparator 122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value comparator 122 and, if the signal value comparator 122 is amplitude When the abnormality of the component AE is confirmed, the value α of the predetermined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is newly corrected to generate a new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γ, and the generated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s completed. By transmitting the value γ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1 adjusts and operates its amplification degree in accordance with the new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γ, and through this, the final digital output It serves as a guide to reliably manage signals.

이때, 정류부(121)는 커플러(113:종단 증폭모듈) 및 신호 값 비교부(122) 사이의 전기연결 경로 상에 배치된 상태에서, 커플러(11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피드백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106) 측으로부터 종단 증폭모듈(111)로 입력되는 피드백 신호>와, <신호 값 비교부(122)에 의해 운용되는 피드백 신호>가 상호 동일해지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rectifier 121 converts the feedback signal output from the coupler 113 side into a DC signal while being disposed on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between the coupler 113 and the signal value comparator 122. <Feedback signal inputted from the modulation signal sending processing module 106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1> and <feedback signal operated by the signal value comparison unit 122> are the same. It will serve to help you lose.

여기서, 예컨대, 앞서 언급한 베이스-밴드 모듈(104)에는 신호 값 비교부(1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펙 진폭 값 제공부(130)가 더 배치되는 바, 이 경 우, 스펙 진폭 값 제공부(130)는 미리 정해진 이상적인 스펙 진폭 값(S1,S2)을 저장 관리하면서, 필요에 따라, 이 스펙 진폭 값(S1,S2)을 신호 값 비교부(122)로 선택 제공함으로써, 신호 값 비교부(122)에 의한 일련의 피드백 신호(I2) 이상 여부 체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Here, 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base-band module 104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ec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13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value comparison unit 122, in this case, the spec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While the 130 stores and manages the predetermined ideal specification amplitude values S1 and S2, the signal amplitude comparison section 122 selects and provides these specification amplitude values S1 and S2 to the signal value comparison section 122 as necessary. It serves to assist the procedure to check whether the series of feedback signals (I2) abnormal by the 122 can proceed normally without any problems.

이러한 본 발명의 모듈 환경 하에서, 앞의 커플러(113)는 근소하나마, 안테나(112)와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커플러(113)를 통해, 피드백 되는 피드백 신호(I2)는 종단 증폭모듈(111)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실제 신호크기에 비해, 불가피하게, 감쇄될 수밖에 없게 되는 바, 상황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신호 값 비교부(122)는 커플러(113)를 통해, 디지털 신호를 피드백 받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만약, 별도의 조치 없이, 스펙 진폭 값 제공부(130)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스펙 진폭 값이 신호 값 비교부(122)로 입력되는 경우, 신호 값 비교부(122)는 해당 스펙 진폭 값(S1,S2) 및 피드백 신호(I2)의 근본적인 차이에 기인하여,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피드 백 신호 이상 여부 체크절차를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없게 된다.In the module environ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ront coupler 113 is slightly separated from the antenna 112, the feedback signal I2 fed back through the coupler 113 is terminated and amplified. Compared to the actual signal size output from the) side, it is inevitably forced to attenuate, despite this situation, the signal value comparison unit 122 has no choice but to receive the digital signal feedback through the coupler 113 Therefore, if the spec amplitude value output from the spec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130 is input to the signal value comparator 122 without any further action, the signal value comparator 122 may determine the spec spec. Due to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the S1, S2) and the feedback signal I2, it is impossible to proceed normally with a series of feedback signal checks as desired.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충분히 감안하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값 비교부(122) 및 스펙 진폭 값 제공부(130) 사이의 전기연결 경로 상에 감쇄부(123)를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ideration of such a problem,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an action of additionally disposing the attenuator 123 on the electrical connection path between the signal value comparison unit 122 and the spec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130. Take a look.

물론, 이 경우, 스펙 진폭 값 제공부(130)로부터 출력되는 스펙 진폭 값(S1,S2)은 커플러(113)를 통해 감쇄되는 피드백 신호(I2)와 마찬가지로, 감쇄부(123)의 기능 수행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쇄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신호 값 비교부 (122)는 자신이 원하는 일련의 피드 백 신호(I2) 이상 여부 체크절차를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spec amplitude values S1 and S2 output from the spec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130 are similar to those of the feedback signal I2 that is attenuated through the coupler 113. As a result, the signal value comparator 122 can normally perform the procedure for checking whether the feedback signal I2 is abnormal or not without any problem.

이하, 상술한 구성을 취하는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120)의 구체적인 기능 수행 절차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detailed function performing procedure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12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여러 전처리 절차를 거쳐, 종단 증폭모듈(111)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일부는 안테나(112)에 인접 배치된 커플러(113)를 통해,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106)의 피드백 관리부(106c) 측으로 피드백된 후, 성분 분석부(106b)를 재차 거쳐, 종단 증폭모듈(111) 측으로 재 입력되는 메커니즘을 취하게 되며, 이 상황에서, 종단 증폭모듈(1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점검 기준신호(I1)의 값( α)과,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106) 측으로부터 피드백 입력되는 피드백 신호(I2)의 값( β)을 상호 비교하는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First, a part of the digital signal outputted from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1 through several pre-processing procedures is provided through a coupler 113 disposed adjacent to the antenna 112 to feed back the feedback management unit of the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106 ( After being fed back to 106c), it takes a mechanism to re-enter the component analyzing unit 106b again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1, and in this situation, the terminal amplifying module 111 is shown in FIG. Likewise, a procedure of comparing the value?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with the value? Of the feedback signal I2 fed back from the modulated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106 is performed.

이 상황에서,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120)의 신호 값 비교부(122)는 커플러(113)를 통해, 피드백 신호(I2)를 입력받은 후, 해당 피드백 신호(I2)의 진폭 성분(AE)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스펙 진폭 값(S1,S2)과 비교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In this situation, the signal value comparison unit 122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120 receives the feedback signal I2 through the coupler 113, and then the amplitude component AE of the corresponding feedback signal I2. )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specification amplitude value (S1, S2).

이때, 예컨대, 피드백 신호(I2)를 이루는 진폭 성분(AE)의 포락선 일부(AE1)가 스펙 진폭 값(S1,S2)을 벗어나, 오버-슈트 현상을 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값 비교부(122)는 그 즉시, 해당 사실을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부(124)로 통지한다. At this time,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part of the envelope AE1 of the amplitude component AE constituting the feedback signal I2 is out of the spec amplitude values S1 and S2 and is causing an over-shoot phenomenon, the signal value comparator Immediately, 122 notifies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correction unit 124 of the fact.

이처럼, 신호 값 비교부(122)에 의해 진폭 성분의 이상이 통지되는 경우, 전력접검 기준신호 값 보정부(124)는 그 즉시, 기 정해져 있던 전력점검 기준 신호 (I1)의 값( α)을 신규 보정하여, 새로운 값(γ)을 갖는 전력점검 기준신호(I3)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전력점검 기준 신호(I3)를 종단 증폭모듈(111) 측으로 전송하게 되며, 그 여파로, 종단 증폭모듈(111)은 자신이 기준으로 삼는 전력점검 기준신호(I1)의 값( α)을 자연스럽게 새로운 전력점검 기준신호(I3)의 값(γ)으로 인식하게 된다.Thus, when the abnormality of the amplitude component is notified by the signal value comparison part 122, the power inspection reference signal value correction part 124 immediately corrects the value (alpha) of the predetermined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A new correction is performed to generate a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3 having a new value γ, and transmit the generated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3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111. Reference numeral 111 naturally recognizes the value α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as its reference as the value γ of the new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3.

이와 같이, 기존의 전력점검 기준신호(I1)의 값( α)이 새로운 전력점검 기준신호(I3)의 값(γ)으로 바뀐 상황에서, 종단 증폭모듈(111)은 피드백 신호(I2)의 값( β)이 전력점검 기준신호(I3)의 값(γ)과 상이한 경우, 자신의 증폭전력을 낮추어, 해당 피드백 신호(I2)의 값( β)이 새로운 전력점검 기준신호(I3)의 값(γ)과 동일해지도록 해당 신호의 값을 하향 조절(즉, β값→γ값으로 조절)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situation where the value α of the existing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1 is changed to the value γ of the new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3, the termination amplification module 111 performs the value of the feedback signal I2. When β is different from the value?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3, its amplification power is lowered so that the value β of the feedback signal I2 becomes the value of the new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3. To be equal to γ), the value of the corresponding signal is adjusted downward (ie, from β value to γ value).

물론, 피드백 신호(I2)의 값( β)이 새로운 전력점검 기준신호(I3)의 값(γ)과 동일해지도록 하향 조절(즉, β값→γ값으로 조절)되는 경우, 당연히, 해당 피드백 신호(I2)를 이루는 진폭 성분(AE)의 포락선 역시 하향 조절되어, 스펙 진폭 값(S1,S2) 내에 자연스럽게 포함될 수 있게 되며, 결국, 추후, 안테나(112)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외부 환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오버-슈트 등의 불량이 없는 정상적인 진폭 성분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게 된다.Of course, when the value β of the feedback signal I2 is adjusted downward (ie, adjusted from β value to γ value) to be equal to the value γ of the new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I3, of course, the corresponding feedback The envelope of the amplitude component AE constituting the signal I2 is also adjusted downward, so that it can be naturally included in the spec amplitude values S1 and S2, and eventually,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112 can be Irrespective of changes in the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flexibly retain normal amplitude components without defects such as over-shoots.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This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depending on the situation.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부(124)를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120)이 아닌, 베이스-밴드 모듈(104)에 전산 소속시키는 변형을 꾀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correction unit 124 may be modified to be included in the base-band module 104 instead of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120.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앞서 언급한 스펙 진폭 값 제공부(130)를 베이스-밴드 모듈(104)이 아닌, 전력점검 기준신호 보정모듈(120) 내에 전산 소속시키는 변형을 꾀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ation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130 described above may be modified in a computerized manner within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correction module 120 instead of the base-band module 104.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의 일부에 <소정의 스펙 진폭 값과, 안테나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진폭 성분을 확보 비교하여, 해당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 예컨대, 오버-슈트 현상을 체크할 수 있는 전산모듈>,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에 따라,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 전력점검 신호의 값을 다양하게 바꾸어 보정 출력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종단 증폭모듈이 자신의 증폭전력을 진폭 성분의 오버-슈트 현상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추후, 안테나를 통해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가 외부 환경의 변화와 무관하게, 정상적인 진폭 성분을 융통성 있게 보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rt of the terminal secures and compares the <predetermined specification amplitude value with the amplitude component of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so that an abnormal phenomenon such as an over-shoot Computational module for checking the phenomenon> and <computer module for correcting output by varying the value of the power check signal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of the digital signal> are systematically interlocked. By inducing the termination amplifier module to naturally adjust its amplification power to the over-shoot phenomenon of the amplitude component,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through the antenna is able to flex the normal amplitude component regardless of the change of the external environment. You can guide them to hold them.

또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신호의 이상 현상 체크절차, 전력점검 신호의 보정절차 등을 통해, 종단 증폭모듈의 전력조절 능력을 최적화시키고, 이를 통해, 진폭 성분의 이상 현상에 기인한 단말의 불필요한 전력 소모량 증가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사용자의 단말 이용 편리성을 자연스럽게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power control capability of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through an abnormality check procedure of the digital signal, a correction procedure of the power check signal, and the like, thereby,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due to an abnormal phenomenon of the amplitude component. 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increase, the user's convenience in using the terminal can be naturally improved.

이러한 본 발명은 단지 이동통신 단말기에 국한되지 않으며, 무선 송/수신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다양한 기종의 전자기기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나타낸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limi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ut has an overall useful effect in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using a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mechanism.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And, in the foregoing,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but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oint of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ed embodiments should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오디오 신호의 송·수신 절차를 총괄 제어하는 단말 제어모듈과;A terminal control module which collectively controls an audio signal transmission / reception procedure; 상기 단말 제어모듈에 의해 전산 제어되며, 상기 오디오 신호를 변조하는 변조모듈과;A modulation module that is computationally controlled by the terminal control module and modulates the audio signal; 상기 변조모듈에 의해 변조된 디지털 신호를 성분 별로 분석하여, 송출 처리하는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과;A modulation signal transmission processing module for analyzing and transmitting the digital signal modulated by the modulation module for each component; 상기 변조신호 송출 처리모듈에 의해 처리된 디지털 신호를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에 따라 증폭하여, 안테나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종단 증폭모듈과;A terminal amplifying module for amplifying the digital signal processed by the modulated signal transmitting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a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and outputting the external signal through an antenna; 상기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고, 해당 이상 여부에 따라, 상기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을 다른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으로 보정하는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correction module configured to check whether the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ted from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is abnormal and correct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to another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according to the abnormalit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모듈은 상기 종단 증폭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부터 최종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진폭 성분을 미리 정해진 소정의 스펙 진폭 값과 비교하여, 상기 진폭 성분의 이상 여부를 체크하는 신호 값 비교부와;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correction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and compares an amplitude component of a digital signal finally output from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with a predetermined predetermined amplitude value. A signal value comparison unit checking whether the amplitude component is abnormal; 상기 신호 값 비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값 비교부에 의해 상기 진폭 성분의 이상이 확인되는 경우, 새롭게 보정된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을 생성하여, 상기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 전송하는 전력점검 기준신호 값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When the abnormality of the amplitude component is confirmed by the signal value comparator, the power check criterion generates a newly corrected power check reference signal value and transmits it to the terminal amplification modul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signal value correction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값 비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스펙 진폭 값을 저장 관리하면서, 필요에 따라, 해당 스펙 진폭 값을 상기 신호 값 비교부로 선택 제공하는 스펙 진폭 값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 The apparatus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spec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ignal value comparator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provide the spec amplitude value to the signal value comparator as necessary, while storing and managing the spec amplitude valu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값 비교부 및 스펙 진폭 값 제공부 사이의 전기연결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스펙 진폭 값 제공부로부터 출력되는 스펙 진폭 값을 감쇄하여 출력하는 감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apparatus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n attenuator disposed on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between the signal value comparator and the spec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and configured to attenuate and output the spec amplitude value output from the spec amplitude value providing unit. Characterize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 증폭모듈 및 신호 값 비교부 사이의 전기연결 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종단 증폭모듈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직류 신호로 변환하는 정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3. The apparatus of claim 2, further comprising a rectifier disposed on an electrical connection path between the terminal amplifying module and the signal value comparing unit and converting a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terminal amplifying module to a DC signal. Mobile terminal.
KR1020040102349A 2004-12-07 2004-12-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871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349A KR100587150B1 (en) 2004-12-07 2004-12-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2349A KR100587150B1 (en) 2004-12-07 2004-12-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7150B1 true KR100587150B1 (en) 2006-06-08

Family

ID=37182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349A KR100587150B1 (en) 2004-12-07 2004-12-07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715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53A (en) * 1998-03-10 1998-06-05 배종섭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UTPUT OF A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KR20000006265A (en) * 1998-06-18 2000-01-25 가네꼬 히사시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use in a transmitting apparatus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18884A (en) * 2002-08-27 200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ransmitting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terminal
KR20040033917A (en) * 2002-10-16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power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9353A (en) * 1998-03-10 1998-06-05 배종섭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UTPUT OF A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METHOD THEREFOR
KR20000006265A (en) * 1998-06-18 2000-01-25 가네꼬 히사시 Transmission power control for use in a transmitting apparatus in a cdma communication system
KR20040018884A (en) * 2002-08-27 200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Transmitting pow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a terminal
KR20040033917A (en) * 2002-10-16 2004-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power for mobile ph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5693B1 (en) Transmission output circuit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531126A (en) Interference reduction for direct conversion receivers
US10615827B2 (en) Local oscillator feedthrough signal correc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microprocessor control unit
JPWO2007148753A1 (en)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JP4659638B2 (en) Data transmitting /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849187B2 (en) Radio frequency amplifier noise reduction system
JP4642113B2 (en) Transmission circuit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JP5036109B2 (en) Radio transmission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apparatus
KR10058715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61403A (en) Radio frequency repeater for auto gain control
CN105519012A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KR20040033917A (en) A device and a operating method of controlling output power for mobile phone
JP3197467B2 (en) Transmission output control device
US6529712B1 (en) System and method for amplifying a cellular radio signal
US8433262B2 (e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US7532905B2 (en) Filter device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apparatus
KR20110023541A (en) Leader of RFID (RFID)
KR200700217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power of mobile terminal
KR1007908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urrent consumption in a portable terminal
KR20050095594A (en) A control solution for transmission power of mobile handset
JP2004221663A (en)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591336B1 (en) Gain adjustment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618049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stricting maximum output by each transmission channel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chine
KR101043614B1 (en) Reference Clock Multiplexing Module and Method
JP200333291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