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촬영자를 사진촬영하기 위한 촬영공간과, 상기 촬영공간 내의 피촬영자를 사진촬영하는 촬영수단을 구비하는 사진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 전에, 복수의 피촬영자를 상기 촬영공간 내의 각각 다른 피촬영 위치로 안내하는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피촬영자가 동시에 사진촬영을 할 때, 미리,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에 의해서 복수의 피촬영자에 대하여, 각각 다른 피촬영 위치가 안내된다. 이 안내에 따라서, 각 피촬영자는 적절하게 이동하여, 각각의 피촬영 위치에서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한다.
또, 상기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의 안내 형태에 대해서는 피촬영자의 오감을 통하여, 촬영공간 내에서의 적절한 피촬영 위치를 피촬영자에게 이해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표적인 것으로서, 화상 메시지를 사용하는 표시수단이나, 음성이나 음악을 사용하는 발화(發話)수단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피촬영자는 각각 다른 적절한 피촬영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피촬영자 등에게 특별한 연구나 부담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전체의 구도를 고려한 최적의 사진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촬영자의 인원수를 검출하는 피촬영자수 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은 상기 피촬영자수 검출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각 피촬영자의 피촬영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촬영자수 검출수단에 의해서 피촬영자의 인원수가 검출되고, 이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은 피촬영자의 인원수에 따른 적절한 피촬영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검출한 피촬영자수가 2명이면, 2명의 촬영에 바람직한 구도가 되는 피촬영 위치를 각 피촬영자에게 안내하는 한편, 검출한 피촬영자수가 3명이면, 3명의 촬영에 바람직한 구도가 되는 피촬 영 위치를 각 피촬영자에게 안내한다.
또, 피촬영자수 검출수단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피촬영자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입력한 정보의 내용으로부터, 피촬영자의 인원수를 검출하는 구성 외에, 적외선 센서·체중 센서 등의 센서류를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피촬영자의 인원수를 검출하는 수단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용시마다, 피촬영자의 인원수가 변동하는 경우에도, 피촬영자의 인원수에 따른 적절한 피촬영 위치의 안내를 실현하여, 항상 바람직한 구도로 촬영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은 상기 피촬영자를 복수회 촬영하는 것이고, 상기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은 상기 복수회의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상태가 상기 피촬영자간에서 대략 균등해지도록, 각 회의 촬영에 있어서의 각 피촬영자의 피촬영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촬영자의 촬영을 복수회 행하는 경우, 개개의 촬영에서는 피촬영자간의 촬영 상태에 불균형(예를 들면, 어떤 피촬영자는 촬영 화상 중에 크게 찍히는 한편, 다른 피촬영자는 촬영 화상 중에 작게 찍히는 등)이 생긴 경우에도, 복수회의 촬영 전체를 통과하면, 피촬영자간에서 그 촬영 상태가 대략 균등해지도록, 각 회의 촬영에 있어서의 각 피촬영자의 피촬영 위치가 결정된다. 간단한 예로서, 피촬영자(A)와 피촬영자(B)가 합계 2회의 촬영을 하는 경우이면, 1회째의 촬영에서, 피촬영자(A)가 피촬영자(B)보다 촬상수단에 가까운 피촬영 위치에서 촬영을 한다면, 2회째의 촬영에서는 피촬영자(A)와 피촬영자(B)의 피촬영 위 치를 1회째의 촬영시와 바꾸도록, 각각의 피촬영 위치를 안내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회의 사진촬영을 하는 경우에, 피촬영자 등에게 특별한 연구나 부담을 주는 것을 회피하면서, 피촬영자의 성격 요인 등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피촬영자간에서 공평한 사진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촬영수단이 촬영한 복수의 촬영 화상을 프린트 시트에 분할 상태로 프린트 출력하는 프린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프린트 출력부는 상기 프린트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각 피촬영자의 화상 점유면적이 상기 피촬영자간에서 대략 균등해지는 분할 상태로, 상기 복수의 촬영 화상을 프린트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프린트 출력부에 의해서 상기 촬영수단이 촬영한 복수의 촬영 화상이 프린트 출력될 때, 상기 각 피촬영자의 화상 점유면적이 상기 피촬영자간에서 대략 균등해지는 분할 상태가 선택되고, 이 분할 상태에 기초를 둔 프린트 출력이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피촬영자가 2명인 경우이면, 피촬영자 쌍방의 업(up)사진이 균등하게 할당된 배치(분할 상태)에서의 프린트 출력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촬영 화상을, 단일한 프린트 시트에 분할 상태로 프린트하는 경우에도, 피촬영자 등에게 특별한 연구나 부담을 주는 것을 회피하면서, 피촬영자의 성격 요인 등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피촬영자간에서 공평한 사진 화상의 프린트 출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해서 프린트 출력된 프린트 시트는 상기 촬영수단이 촬영한 복수의 촬영 화상이 분할 상태로 프린트 출력된 프 린트 시트이고, 상기 각 피촬영자의 화상 점유면적이 상기 피촬영자간에서 대략 균등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출력부는 상기 프린트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복수의 촬영 화상을 행렬형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상기 행렬형 배치에 있어서의 각 행 또는 각 열에서의 각 피촬영자의 화상 점유면적을 대략 균등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프린트 출력된 실을 각 이용자가 가위나 커터로 잘라 나누는 경우, 화상의 분할 상태가 비교적 균등한 띠형 프린트로서 잘라 나누는 것으로, 공평한 화상의 배분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 구성에 의해서 프린트 출력된 프린트 시트는 행렬 분할 상태의 각 행 또는 각 열에서의 각 피촬영자의 화상 점유면적이 대략 균등하게 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은 각 피촬영자에게 할당된 고유의 음성 메시지, 또는 각 피촬영자에게 할당된 고유의 화상표시를 사용하여, 각 피촬영자를 안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촬영자마다 다른 음성 메시지나 화상표시에 의해서 각 피촬영자에 대한 안내가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스피커를 이용하여, 미리 선택된 고유의 별명으로 각 피촬영자에게 말하는 형태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미리 선택된 고유의 캐릭터 표시를 각 피촬영자에게 제시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피촬영자는 자기에 대한 안내 내용과 다른 피촬영자에 대한 안내 내용의 식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피촬영자는 사진촬영장치와 대화하고 있는 듯한 친밀한 분위기를 느끼기 때문에, 즐겁게 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사진촬영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르는 것으로, 여러가지 구도가 되는 포즈나 서는 위치에서 사진촬영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변화가 풍부한 사진촬영을 실현할 수 있다. 이 결과, 반복하여 사진촬영을 한 경우에도, 싫증을 느끼기 어렵기 때문에, 동일한 피촬영자가 몇번이라도 사진촬영장치의 이용을 즐길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은 피촬영자를 사진촬영하기 위한 촬영공간과, 상기 촬영공간 내의 피촬영자를 사진촬영하는 촬영수단을 구비하는 사진촬영장치를 제어하는 사진촬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 전에, 복수의 피촬영자를 상기 촬영공간 내의 각각 다른 피촬영 위치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피촬영자가 동시에 사진촬영을 할 때, 미리, 복수의 피촬영자에 대하여, 각각 다른 피촬영 위치가 안내된다. 이 안내에 따라서, 각 피촬영자는 적절하게 이동하여, 각각의 피촬영 위치에서,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한다.
또, 상기 안내의 형태에 대해서는 피촬영자의 오감을 통하여, 촬영공간 내에서의 적절한 피촬영 위치를 피촬영자에게 이해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표적인 것으로서, 화상 메시지나, 음성이나 음악을 사용하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피촬영자는 각각 다른 적절한 피촬영 위치에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피촬영자 등에게 특별한 연구나 부담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전체의 구도를 고려한 최적의 사진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상기 사진촬영장치의 제어방법을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컴퓨터에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 실행시킴에 따라, 상기 사진촬영장치의 제어방법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는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은 상기 촬영수단의 촬영 전에, 상기 피촬영자의 자세에 대해서 안내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피촬영자가 사진촬영을 할 때, 미리,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에 의해서 피촬영자의 방향이나 거울 쪽이나 포즈를 취하는 방법과 같은 자세가 안내된다. 이 안내에 따라서, 피촬영자는 적절하게 자세를 바꿔, 촬영수단에 의한 촬영을 한다.
또, 상기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에 의한 자세의 안내 형태에 대해서는 상술한 피촬영 위치의 안내와 같이 피촬영자의 오감을 통하여, 적절한 자세를 피촬영자에게 이해시키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피촬영자는 적절한 자세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피촬영자 등에게 특별한 연구나 부담을 주지 않고, 원활하게 전체의 구도나 음영을 고려한 최적의 사진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예)
(실시예 1)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에 관한 실시의 1형태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11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구성)
도 2a, 2b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 사진촬영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또, 상기 도 2a, 2b에서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내부의 촬영공간을 도시하기 위해서, 이용자(U)의 상부 및 양측부에 설치되는 차폐막을 생략하고 있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본체 장치(11)와 배경 연출부(12)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이하에서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본체 장치(11)측을 「앞측」, 배경 연출부(12)측을 「뒤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체 장치(11)는 코인 투입부(14), 촬영부(15; 촬영수단), 편집 표시 패널(16;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 터치 펜(17)이 정면에 설치되고, 프린트 배출구(19)가 측면에 설치되고, 프린터(18; 프린트 출력부) 및 제어부(20)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코인 투입부(14)는 이용자(U; 피촬영자)가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이용 요금으로서 소정의 코인을 소정 매수만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이고, 이 코인 투입부(14)에 연통해서, 코인 처리부(도시하지 않음)가 본체 장치(11)의 내부에 설치되 어 있다.
상기 코인 처리부는 소정의 코인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코인 처리부는 소정의 코인이 투입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부(20)에 통지하고, 투입된 코인을, 코인을 축적하는 코인용기(도시하지 않음)로 보낸다. 한편, 소정의 코인 이외의 코인이 투입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투입된 코인을 코인 배출구(도시하지 않음)로 보낸다.
또,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가까이에 지폐나 코인을 소정의 코인으로 환전하는 환전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위해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는 지폐 투입구, 지폐 처리부, 거스름돈 처리부를 더욱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부(15)는 주로 이용자(U)를 피사체로서 사진촬영을 하는 장치로, 예를 들면 렌즈군, 조리개,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소자 등을 구비한 디지털카메라로 구성된다. 촬영부(15)는 전신촬영과 클로즈업촬영의 양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예를 들면 사용하는 렌즈군 및 조리개의 교체가 가능하여도 좋다.
또한, 촬영부(15)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또한, 상하 방향으로 경사 가능하도록, 본체 장치(11)의 정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피사체를 여러가지 앵글로 촬영할 수 있다. 또, 촬영부(15)의 이동이나 경사는 이용자(U)가 수동으로 행하여도 좋고, 본체 장치(11) 또는 촬영부(15)에 모터 등의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촬영부(15)의 양측에는 조명부(22, 22)가 설치되어 있다. 조명부(22, 22)는 촬영시에 스트로브 램프 등의 사진 섬광등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통상시의 조명( 형광등)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다.
편집 표시 패널(16)은 본체 장치(11)의 중앙부이고, 촬영부(1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편집 표시 패널(16)은 이용자(U)에게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각종 화상이나 각종 조작 버튼 등을 표시한다. 편집 표시 패널(16)은 예를 들면, 액정표시소자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CRT 등의 표면에 터치 패널이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터치 펜(17)은 편집 표시 패널(16)이 가까이에 설치되어 있다. 터치 펜(17)은 이용자(U)가 편집 표시 패널(16)을 이용하여, 배경작성이나 낙서 등의 화상 묘화, 표시되어 있는 각종 편집 툴(tool)이나 조작 버튼 등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수단이다. 또, 복수의 이용자(U)가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도록, 터치 펜(17)을 복수개 설치하거나, 편집 표시 패널(16)을 복수개 설치하거나 하여도 좋다.
프린터(18)는 촬영·편집 후의 화상을 프린트 출력하는 것으로, 본체 장치(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18)로서는 예를 들면 승화형(昇華型) 프린터가 사용된다.
프린트 배출구(19)는 프린터(18)로부터 출력된 프린트 실을 본체 장치(11)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프린트 배출구(19)는 본체 장치(11)의 측면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20;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 피촬영자수 검출수단)는 본체 장치(11) 및 배경 연출부(12)에 있어서의 각종 구성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본체 장치(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 각종 조작상의 안내 음성이나 효과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21, 21;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가 본체 장치(11)의 정면의 적소에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뒤측에 형성된 배경 연출부(1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배경 연출부(12)는 이용자(U)가 수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동식 커튼(30)과, 부설의 모터 구동장치에 의해서 자동 개폐 동작을 하는 모터식 커튼(31)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동식 커튼(30) 및 모터식 커튼(31)에는 촬영시의 배경용으로서, 각각 다른 색채나 도안이 표현되어 있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도 2a, 2b와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한 부재 번호를 부여하고 있고, 도면 중의 화살 표시는 각 블록간에서 신호 송신이 주로 이루어지는 방향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있어서, 도 2a, 2b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블록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20)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 내에서의 상술한 각종 구성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PC(personal computer) 베이스의 컴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종 구성의 동작 제어는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에 따라 행하여진다.
제어부(20)는 하드디스크 등의 불휘발성 기억장치인 기억부(40)를 구비한다. 이 기억부(40)에는 상기 제어 프로그램,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기타 각종 프로그램, 촬영부(15)에 있어서의 동작 설정치, 촬영한 화상 및 편집한 화상 의 화상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또, 촬영부(15)에 있어서의 동작 설정치로서는 장치 출하시나 메인터넌스(maintenance)시 등에 설정되는 화이트 밸런스의 값, 촬영 화상의 명암 등을 조정할 때의 화상 처리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치 등을 들 수 있다.
ID 태그 리더/라이터(41)는 프린터(18)가 사진 프린트의 출력 매체가 되는 실지(42b; 프린트 시트)를 식별 관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ID 태그 리더/라이터(41)는 실지(42b)와 세트로 납입되고, 또한, 한 쌍이 된 상태로 실지 유닛(42)을 구성하는 ID 태그(42a)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제어부(20)에 출력한다. 상기 식별 정보로서는 고유 ID, 용지 매수, 용지 종류, 및, 잉크 고유의 색 정보(잉크 필름이 세트로 되어 있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20)는 ID 태그 리더/라이터(41)로 판독한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장착된 실지(42b)나 잉크 필름이 해당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 있어서 이용 가능한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이용 가능한 경우에만 프린터(18)를 동작 가능하게 한다. 즉,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 있어서 지정되어 있는 실지(42b)나 잉크 필름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도록 설정되어 있게 된다.
또한, ID 태그(42a)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 매수 정보에 근거하여, 프린트지의 사용마다 용지 매수를 카운트다운함에 따라, 남은 용지 매수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남은 용지 매수가 적어졌을 때, 이것을 표시수단 등에 의해서 경고하는 구성으로 하여 두면, 이용자(U)의 이용 중에 용지가 떨어지는 불량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용지 매수를 카운트다운할 때에는 ID 태그(42a)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 매수 정보도 수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용지를 모두 사용한 경우에는 ID 태그(42a)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 매수 정보도 0이 되고, 이 ID 태그(42a)를 무효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ID 태그(42a)에 기록되어 있는 용지 종류 정보나, 잉크 고유의 색 정보를 판독함에 따라, 이들을 고려하여 화상 데이터의 색 성분 등을 보정함으로써, 그 실지(42b)나 잉크 필름을 사용한 정확한 화상 출력을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ID 태그(42a)로서는 무선(와이어리스)에 의해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것이 가능한 비접촉형 ID 태그와, 단자가 설치된 접촉형 ID 태그가 있고, ID 태그 리더/라이터(41)로서는 이들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대응한 것이 된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이용 가능한 실지(42b)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ID 태그(42a)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실지(42b)나 잉크 필름을 곤포(梱包)하는 곤포재 등에 프린트되어 있는 바코드 등을 이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렇지만, 바코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포함시킬 수 있는 정보량이 적어, 예를 들면 용지 매수의 카운트다운에 의한 정보를 수정할 수 없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실지(42b)로서는 점착 시트 및 상기 점착 실의 점착면에 접착되어 있는 박리 시트로 이루어지는 실 시트 외에, 통상의 종이형 매체인 종이형 시트이어도 좋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플레이 동작)
계속해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이용자(U)에 의한 촬영에서 편집, 출력까지의 플레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용자는 2명 이상의 복수인으로 이루어지는 이용자의 총칭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이용자(U)가 코인 투입부(14)로 대금으로서 코인을 투입할 때까지 대기한다(S1). 코인이 투입되면, 제어부(20)에 의한 과금 처리가 행하여진다. 과금 처리가 정상으로 완료한 것이 확인되면, 플레이 동작이 개시되고, 이하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용자(U)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의 촬영공간 내에 선 상태로 사진촬영을 한다(S2). 이 사진촬영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계속해서, 이용자(U)의 지시에 근거하여, 촬영한 사진 화상에 낙서 처리(편집 처리)가 실시된다(S3).
낙서 처리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용자(U)는 촬영 완료의 사진 화상 중으로부터, 낙서 처리의 대상으로 하는 사진 화상을 소정 수 선택한다. 예를 들면, 편집 표시 패널(16)상에,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촬영 완료의 사진 화상이 복수 표시되고, 그 중으로부터 어느 1장의 사진 화상이 이용자(U)에 의해서 선택된다. 그 후, 이용자는 터치 펜(17)을 사용한 입력 지시에 의해서 선택한 사진 화상에 프레임 화상을 부가하는 프레임 화상 부가 처리, 스탬프 화상을 화상에 합성하는 스탬프 화상 합성 처리, 각종 선 묘화를 화상에 부가 하는 묘화 화상 부가 처리, 임의의 문자열이나 숫자열을 화상에 합성하는 문자 합성 처리 등을 하여, 낙서 처리를 완료한다. 낙서 처리에 있어서, 이용자마다, 촬영시의 명칭(후술하는 S22를 참조)에 유래한 특정한 문자(스탬프) 등의 화상을 합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명칭에 유래한 문자열은, 각 이용자의 명칭이 각각 A, B, C이면, 「A씨」, 「B군」, 「C양」 등의 예가 이것에 대응한다.
이들 낙서 처리가 실시된 사진 화상의 데이터는 낙서 처리 전의 사진 화상의 데이터는 별개의 것으로 하여, 기억부(40)에 일단 기억된다.
마지막의 프린트 처리에서는 프린터(18)에 의해서 기억부(40)에 격납된 낙서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가 실지(42b)에 프린트 처리된다(S4).
프린트 처리 전, 또는 프린트 처리와 동시에 분할수 설정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할수 설정 처리는 프린트 처리에 있어서, 프린트 매체에 대하여 어떠한 분할로 각 화상을 인쇄할지를 설정하는 처리이다. 분할수 설정 처리는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분할수 설정 화면을 편집 표시 패널(16)상에 표시하여, 이용자(U)가 터치 펜(17)을 사용한 선택 입력을 함에 따라 실현된다. 동 도면에서는 8분할, 18분할, 30분할, 및 혼합 분할의 분할 이미지가 분할수 설정 화면으로서 표시되어 있고, 이용자(U)는 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또, 편의상, 이용자(U)가 S2에 있어서의 사진촬영 처리뿐만 아니라, S1에 있어서의 코인 투입 처리, S3에 있어서의 낙서 처리, S4에 있어서의 프린트 처리를 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각 스텝의 처리를 지시하는 사람이 동일 인물일 필요는 없다.
(사진촬영 처리의 상세)
다음에, 도 1을 참조하여, S2에 있어서의 사진촬영 처리의 상세를 설명한다. 상기 도면의 플로차트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상기 사진촬영 처리는 S21 내지 S29의 처리 플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처리 플로의 내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도 6a 내지 6c 및 도 7a 내지 7c는 각각의 처리 플로에 있어서의 편집 표시 패널(16)의 화면 표시예를 도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적절하게 참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인 투입을 기다리고(도 6a 참조), 그 확인이 이루어지면(S1),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촬영 모드의 선택을 접수한다(S21). 예를 들면, 도 6b와 같은 화면을 편집 표시 패널(16)에 표시하여, 이용자(U)에게 촬영 모드의 선택을 재촉한다. 상기 도 6b에서는 촬영 모드로서 「자동 실 촬영」 모드와 「한정 스튜디오 촬영」 모드의 2종류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스피커(21)를 통하여 「모델씨, 어느쪽을 선택하시겠습니까? 사진에 구애 받으면 한정 스튜디오를 추천합니다」라는 안내를 발성한다. 「자동 실 촬영」 모드는 본 발명과는 관계가 없는 촬영 모드이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이용자(U)가 「한정 스튜디오 촬영」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하고 이하의 설명을 계속한다.
이용자(U)가 「한정 스튜디오 촬영」 모드를 선택하면,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복수의 이용자(U)에게 각 이용자 고유의 별명(애칭)을 선택·입력시킨다(S22). 예를 들면, 도 6c와 같은 화면을 편집 표시 패널(16)에 표시하여, 각각의 이용자(U)에게 별명을 선택·입력시킨다. 상기 도 6c에서는 「Q chan」 「O chan」 「P chan」 등 합계 6종류의 별명 후보가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스피커(21)를 통하여 「모델씨를 별명으로 부르고 싶으니까, 한사람씩 마음에 드는 별명을 골라 주십시오. 나중에 인원수를 나누는 것에도 사용합니다」라는 안내를 발성한다.
이것에 따라서, 각 이용자(U)는 마음에 드는 별명을 선택 입력하고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선택된 별명수에 따라서, 촬영 대상이 되는 이용자의 인원수를 판정(검출)한다(S23). 또, 피촬영자의 인원수는 선택된 별명수가 아니라, 별도 형성된 적외선 센서·체중 센서 등의 센서류에 의해서 검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각각의 이용자(U)에 있어서의 고유의 안내 지표로서, 별명을 선택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러한 별명은 소프트웨어 키보드 등을 통하여 자유 문자 입력하여도 좋고, 상기 안내 지표로서, 각각의 이용자(U)에게 마음에 드는 캐릭터 화상 등을 선택시켜도 좋다.
다음에,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각 이용자가 서는 위치(피촬영 위치)를 결정한다(S24). 여기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이 제어부(20)의 연산 기능에 근거하여, 각 이용자(U)가 서는 위치를 결정하는 수법에 대해서 설명하여 둔다. 또, 도 8a, 8b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이 결정하는 서는 위치의 패턴 예를 도시하는 것이므로, 이하의 설명에서 적절하게 참조한다.
서는 위치의 결정 요인은 다음의 ① 내지 ③이고,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미리 등록된 서는 위치 패턴의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각 이용자(U)가 서는 위치를 결정한다.
① 복수의 각 이용자(U)에 대하여, 각각 다른 서는 위치를 결정한다.
② 이용자(U)의 인원수에 따른 서는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S23에서 판정한 이용자(U)의 인원수가 3명이면, 3명의 촬영에 바람직한 구도가 되는 서는 위치 패턴(예를 들면, 도 8a에 있어서의 A, B, C의 점선 원으로 도시되는 3개소의 서는 위치 패턴)을 선택하는 한편, S23에서 판정한 이용자(U)의 인원수가 2명이면, 2명의 촬영에 바람직한 구도가 되는 서는 위치 패턴(예를 들면, 도 8b에 있어서의 D, E의 점선 원으로 도시되는 2개소의 서는 위치 패턴)을 선택한다.
③ 후의 촬영을 복수회 행하는 경우에는 복수회의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상태가 복수의 이용자(U)간에서 대략 균등해지도록, 각 회의 촬영에 있어서의 서는 위치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이용자(U)가 3명이 있고, 합계 8회의 사진촬영을 하면, 각 이용자(U)에 대해서, 도 8a에 있어서의 A, B, C의 서는 위치를 순환 교대하도록 각 회의 서는 위치를 결정하고, 모든 이용자가 A, B, C 각각의 서는 위치에서 최저 2회 이상의 촬영을 하도록 서는 위치를 할당한다. 한편, 이용자(U)가 2명이면, 예를 들면, 사진촬영의 횟수에 관계없이, 도 8b에 있어서의 D, E를 각각 교대로 각 이용자(U)에게 할당하면 좋다. 또, 복수회 촬영하는 동안에, 서는 위치 패턴을 변경하는 경우에, 복수회의 촬영에 있어서의 촬영 상태가 복수의 이용자(U)간에서 대략 균등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한 예보다 복잡한 서는 위치결정을 할 필요가 있다.
계속해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테스트 촬영·화질 조정(밝기 조정)의 처리로 진행한다(S25). 우선,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스피커(21)를 통하여 「좋아요, 우선은 테스트 촬영으로 사진 체크입니다. 3장 촬영하니까 마음에 드는 사진을 선택하세요」라고 안내한 후, 조명부(22)의 밝기를 3단계로 변화시키면서, 각 밝기 단계에서 촬영부(15)에 의한 촬영을 한다. 도 7a는 촬영 화상을 편집 표시 패널(16)에 표시한 모양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기 도면에 도시된 촬영 화상 중, 「내추럴」은 조명부(22)의 밝기가 표준 레벨의 조명 조건 설정으로, 이용자(U)의 얼굴 화상의 이목구비가 선명하게 나타날 정도의 환경에서 촬영한 화상, 「밝게」는 조명부(22)의 밝기가 표준 레벨보다 밝은 레벨의 조명 조건 설정으로, 이용자(U)의 얼굴 화상의 음영이 생기지 않도록 날려 피부색(살색)을 하얗게 하는 환경에서 촬영한 화상, 「그라비아」는 조명부(22)의 밝기가 표준 레벨보다 어두운 조명 조건 설치를 좌우 불균등하게 하여, 한 쪽에 음영이 분명히 나타나는 환경에서 촬영한 화상(노출 언더 경향)을 가리키고 있다. 이용자(U)는 3장의 테스트 촬영 화상으로부터 마음에 드는 것을 선택하고,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여기서 선택된 화상에 대응하는 조명부(22)의 밝기를 기초로 이후의 촬영을 한다.
또는 단순히, 조명부(22)의 조명 조건 설정을 표준 설정, 밝게(노출 오버 경향), 어둡게(노출 언더 경향) 변화시킬 수도 있다. 기타, 촬영 상태를 바꾸기 위한 조건으로서, 셔터 속도, 조리개, 화이트 밸런스(카메라의 내장 기능)의 변경을 고려할 수 있고, 이들의 조합, 또는 단독 변경 등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용자(U)를 한사람씩 업으로 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각 3회 촬영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모든 이용자(U)가 자기가 업이 된 상태로 찍힌 사진 화상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업 상태로 찍힌 각 이용자(U)의 얼굴 화상을(예를 들면 얼굴과 같이) 추출하고, 그 후의 서는 위치나 포즈의 안내 화면 표시에 있어서, 상기 추출 화상을 캐릭터 표시에 합성하면, 각 이용자(U)에게 알기 쉬운 표시에 의해서 서는 위치나 자세(포즈)를 안내할 수 있다.
테스트 촬영, 및 화질 조정(밝기 조정)이 완료되면,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상기 S24에서 결정한 서는 위치를 각 이용자(U)에게 안내한다(S26). 우선,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스피커(21)를 통하여 「좋아요, 지금부터 당신이 가장 빛나게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 서는 위치를 지정합니다. 물론, 자신이 마음에 드는 위치에 서도 좋습니다」라고 안내한다. 계속해서, 사진 프린터 시스템(10)은 「자, 촬영을 개시합니다. 『Q chan』은 ○의 위치, 『O chan』은 □의 위치에서 촬영합니다. 자, 포즈를 취하세요」와 같은 음성 안내를 한다. 이 때,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음성 안내를 통하여, 각 이용자(U)에게 「좋아요」라든가 「예쁘네요」와 같이, 이용자(U)를 격려하는 음성을 적절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S26에 있어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Q chan』은 만세를 해 보세요. 『O chan』은 구부려 보세요」 등 포즈를 취하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하여도 좋다. 이런 안내는 예를 들면, 미리 「A의 서는 위치를 안내한 이용자에게는 만세를 한 자세」, 「B의 서는 위치를 안내한 이용자에게는 구부린 자세」와 같이, 안내한 서는 위치에 대응하여 자세를 안내하면 좋다. 또는 「00(별명)에게는 왼쪽을 향한 자세」 「□□(별명)에게는 팔짱을 낀 자세」와 같이, 별명과 자세를 대응하여 안내를 하여도 좋다. 또, 이 별명과 자세를 대응한 자세를 안내하는 경우, 같은 이용자가 촬영시마다 같은 자세가 되지 않도록, 촬영마다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S26에서는 이 때,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예를 들면 도 7b와 같은 화면을 편집 표시 패널(16)에 표시한다. 상기 도 7b에서는 화면 좌측에 O표시와 □표시를 사용하여, 2개소의 서는 위치가 표시되고, 화면 우측에는 복수의 이용자(U)가 지정하는 서는 위치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는 모양이 촬영부(15)에 의해서 촬영되어, 리얼타임으로 표시되어 있다(라이브뷰). 또, 상기 도 7b에 있어서, 화면 상부에서 전체 8개의 별 표시가 표시되고, 그 중 5개가 하얗게 하여 표시되어 있는 것은 본 촬영이 전체 8회 행하여질 예정인 동시에, 이미 3회의 촬영이 완료하였기 때문에, 남은 촬영 횟수는 5회인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상기한 예에서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고유의 별명으로 부름에 따라, 각 이용자(U)에게 서는 위치나 자세를 안내하고 있지만,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각 이용자(U)에게 고유하게 할당된 캐릭터 화상을 편집 표시 패널(16)에 애니메이션 표시 등을 함으로써, 각 이용자(U)에 대한 서는 위치나 자세를 안내하여도 좋다.
이상과 같이,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서는 위치나 자세를 안내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특별히 촬영 위치나 포즈를 생각하지 않더라도, 아름다운 구도나 음영으로 촬영을 할 수 있다.
계속해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모든 이용자(U)에게 서는 위치를 안내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S27), 모든 이용자(U)에 대한 서는 위치 안내가 완료 하지 않았으면, 모든 이용자(U)에 대한 서는 위치 안내가 완료할 때까지, S26에 있어서의 음성 안내를 계속한다.
모든 이용자(U)에 대한 서는 위치의 안내가 완료되면,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촬영부(15)에 의한 촬영(본 촬영)을 한다(S28). 이 때,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스피커(21)를 통하여 「3, 2, 1, 찰칵」 등으로 안내함으로써, 촬영부(15)에 의한 촬영 타이밍을 이용자(U)에게 안내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이용자(U)가 서는 위치에 따라서, 조명부(22)의 온·오프나 조사량을 제어하여, 최적의 조명 조건을 설정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촬영부(15)에 의한 촬영에 있어서, 조명부(22)에 의한 조명 환경에 대해서, 다음의 A) B)와 같은 연구를 실시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A) 통상시(예를 들면, 이용자(U)가 서는 위치나 포즈를 정하였을 때)에는 조명부(22)의 형광등을 점등하여 두고, 촬영 순간 전의 수초간 정도(예를 들면, 카운트다운 개시 후)는 형광등 조도를 감광하여 둔다. 그 상태에서 촬영 순간에 스트로브를 발광하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형광등 조도를 원래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촬영 순간 전의 수초간 정도, 촬영공간 내의 밝기를 변화시킴에 따라, 촬영의 순간에 발광하는 스트로브를 이용자에게 한층 더 밝게 느끼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는 아마 프로 모델이 된 듯한 기분을 즐길 수 있다. 단, 조명 환경이 지나치게 어두워, 촬영부(15)의 오토 포커스 기능이 작용하지 않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오토 포커스 기능에 의한 핀트 맞춤하는 동안(예를 들면, 촬영 순간의 직전 0.5초간 정도)은 일단 감광한 조명부(22)의 형광등 조도를 원래로 되돌리는 것 도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이용자에게는 형광등 조도의 회복과 스트로브의 발광이 대략 동시에 느껴지기 때문에, 촬영부(15)의 오토 포커스를 기능시키면서, 이용자(U)가 느끼는 스트로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는(코인 투입 전이나 낙서 처리 이외의) 촬영시 전체 시간에 걸쳐 형광등 조도를 감광하여 두어도 좋다. 단, 이용자(U)가 포즈를 정하였을 때의 동화상 촬영용 조도는 확보하여 둔다.
B) 2명의 이용자(U)가 촬영부(15)를 향해서 앞뒤로 나란히 서는 경우(예를 들면 도 8b의 케이스), 뒤측의 이용자(U)를 더욱 밝게 비추는 조명 설정을 「2인 앞뒤 서는 위치」 전용 촬영 모드(조명 환경)로서 형성한다. 뒤측의 이용자(U)를 더욱 밝게 비추는 수법으로서는 여러가지를 고려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촬영부(15)의 상부에 촬영공간의 뒤측을 비추는 허니콤(honeycomb) 스트로브(조명 방향으로 허니콤 그리드(grid)를 추가하여, 조사 영역을 촬영공간 후부만에 한정시킨 조명부)를 설치하고, 상기 「2인의 앞뒤 서는 위치」 전용 촬영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만, 이 허니콤 스트로브를 발광시키는 수법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촬영 처리가 완료되면,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소정 매수(횟수)의 촬영이 완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9).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매수(횟수)는 8장(8회)이기 때문에,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합계 8장의 사진촬영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를 플래그 확인 등에 의해서 판정한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소정 매수(횟수)의 촬영이 완료하지 않았으면, S26의 처리로 되돌아가 서는 위치의 안내 처리와 촬영 처리를 반복한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촬영을 반복하는 동안, 「다음 은 『Q chan』은 앞, 『O chan』은 뒤입니다. 좋습니다」 등의 안내를 통하여, S24에서 결정한 촬영 횟수마다의 서는 위치를 이용자(U)에게 안내한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촬영을 반복하는 동안, 「『Q chan』은 구부려 보세요. 『O chan』은 만세를 해보세요」 등의 안내를 통하여, 촬영 횟수마다의 자세를 이용자(U)에게 안내하여도 좋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촬영 횟수를 진행할 때마다, 예를 들면 「조명이 예쁘게 비추고 있네요. 배경도 바꿔 볼까요」 등의 안내를 하고, 배경 연출부(24)의 커튼 이동 등에 의해서 촬영시의 배경을 변화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난수(亂數)를 사용하는 등에 의해서 각 이용자(U)에게 서는 위치나 자세를 안내하는 순서를 각 게임마다(즉, 코인 투입마다) 랜덤으로 바꾸어도 좋다. 또한, 촬영회마다, 각 이용자(U)에게 서는 위치나 자세를 안내하는 순서가 변화하도록, 이 순서를 바꾸어도 좋다.
또, 이용자(U)에 대하여 일방적으로, 서는 위치나 자세의 안내를 반복하면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스킵 버튼을 적절하게 증설하여, 이용자(U)가 마음에 들지 않는 서는 위치나 자세의 안내를 스킵(생략)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서는 위치나 자세의 지시를 별명의 안내나 캐릭터 표시로 행함에 따라, 기계로부터 고압적으로 지시 받고 있다는 인상을 이용자(U)에게 주는 것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자(U)는 게임 감각으로 적절한 서는 위치로 이동하거나, 적절한 포즈를 취하거나 할 수 있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소정 매수(횟수)의 촬영이 완료하였다고 판단하면, 스피커(21)를 통하여 「촬영 수고하셨습니다. 다음은 사진에 코멘트를 넣어 출구에서 받아주세요. 분명히 최고의 당신이 찍혀 있을 것입니다」라고 안내하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사진촬영 처리(S2)를 종료하고, 상술한 낙서 처리(S3)로 진행한다.
도 9a 내지 9c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 의해서 촬영된 화상예(촬상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이용자(U)는 「A씨」 「B씨」의 2명으로, 도 9a는 「A씨」가 업 상태의 촬상(1회째의 촬영에 대응), 도 9b은 「B씨」가 업 상태의 촬상(2회째의 촬영에 대응), 도 9c는 「A씨」 「B씨」가 사이 좋게 업 상태의 촬상(3회째의 촬영에 대응)을 도시하고 있다.
또,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낙서 처리(S3)로 진행하기 전에, 촬영 화상의 화질(완성)을 지시 조정하여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7c와 같은 화면을 편집 표시 패널(16)에 표시하고, 스피커(21)를 통하여 「현상시의 완성을 위해서, 좋아하는 사진을 지정하세요. 얼굴의 색조, 피부의 밝기, 선명함과 부드러움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라고 안내한다. 이용자(U)는 터치 펜(17)을 사용함으로써, 도 7c의 화면에 있어서, 위에서 순차로 「색조」 「밝기」 「콘트라스트(선명함과 부드러움)」의 화질 조정을 지시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화질의 촬영 화상을 사용하여, 낙서 처리(S3)로 진행할 수 있다.
또, S3에 있어서의 낙서 처리시에, 낙서 대상으로 하는 화상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연구를 고려할 수 있다. 즉, 편집 표시 패널(16)에, 모든 촬 영 완료 화상을 섬네일 상태로 표시하고, 이용자(U)가 각 화상을 커서 선택한 경우에는 커서 선택된 화상에 대해서, 이용자(U)가 서는 위치에 관한 설명을 안내한다. 예를 들면 「Q chan」의 별명을 선택한 이용자(U)가 촬영부(15)의 가까운 곳에서 촬영한 화상이면 「『Q chan』의 업사진입니다」라고 안내하는 한편, 「Q chan」의 별명을 선택한 이용자(U)와 「O chan」의 별명을 선택한 이용자(U)가 나란히 선 상태에서 촬영부(15)의 가까운 곳에서 촬영한 화상이면 「『Q chan』『O chan』이 사이 좋게 업사진입니다」라고 안내한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에 편집 표시 패널(16)이 복수 구비되어 있으면, 이용자(U)의 각각이 업 상태로 되어 있는 촬영 화상을 각 편집 표시 패널(16)에 디폴트 화상으로서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낙서 처리(S3)하는 동안, 이용자(U)에게 남은 시간을 알리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출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집 표시 패널(16)의 상부에 3색의 연출 효과용 LED(50)를 설치하고, 통상시에는 상기 도 10a와 같이, 연출 효과용 LED(50)는 소등하여 두는 한편, 낙서 처리(S3)하는 동안, 상기 도 10b와 같이, 촬상실의 벽면에 희미하게 3색의 광의 선을 띄운다. 낙서 처리(S3)하는 동안, 남은 시간에 따라서, 3색의 연출 효과용 LED(50)의 점등 패턴을 바꿈으로써 독특한 분위기를 낼 수 있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10)은 프린트 처리(S4)에 있어서, 실지(42b)에서의 이용자(U)의 화상 점유면적이 각 이용자(U)간에서 대략 균등해지는 분할 상태로, 상기 복수의 촬영 화상을 프린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피촬영자가 2명인 경우이면,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상 분할 상태로 실지(42b)에 상기 촬영 화상을 프린트할 수 있다. 상기 도 11에서는 실지(42b) 상의 프린트 화상은 이용자(U)인 「A씨」 「B씨」 쌍방의 업사진이 균등하게 할당된 배치(분할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지(42b)에 복수 화상을 행렬 배치하는 경우에 각 행(또는 각 열)마다 화상 배치의 균등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각 이용자(이 경우 「A씨」 「B씨」)가 업 상태로 되어 있는(크게 찍혀 있는) 화상을 각각 다른 행(또는 열)에 프린트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 11에서는 실지(42b)를 상기 도 11 중의 상측행(「A씨」 실 영역)과 하측행(「B씨」 실 영역)의 각각 띠형으로 잘라냄으로써, 각 이용자(U; A 씨와 B씨)가 실을 공평하게 분배할 수 있는 모양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이용자(이 경우 「A씨」 「B씨」)가 업 상태로 되어 있는 화상을, 다른 행(또는 열)에 비교적 크게 프린트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이용자(U)는 자기의 업 화상이 포함되는 행(또는 열)의 상기 대형 프린트를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사진촬영장치에 관한 실시의 다른 형태에 대해서 도 12 내지 도 58에 근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사진 프린트장치(61; 사진 프린트 시스템)는 이용자의 사진을 촬영하는 기능(촬영 기능), 촬영한 사진에 대하여 낙서 등의 편집을 이용자에게 행하게 하는 기능(편집 기능), 및 편집된 화상을 프린트하는 기능(프린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또, 이들의 기능은 모두 필수인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편집 기능이 생략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것은 상기한 실시예 1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의 구성)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에 있어서의 촬영 편집 공간 내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에 있어서의 촬영 편집 공간 내에는 카메라 유닛(62; 촬영수단),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 코인 투입구(64), 편집장치(65; 피촬영 위치 안내수단),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 라이트 박스(68),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 스피커(피촬영 위치 안내수단; 71A, 71B), 및 프린터(18)가 설치되어 있다.
카메라 유닛(62)은 이용자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으로, 내부에 예를 들면 렌즈군, 조리개,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소자 등을 구비한 디지털카메라를 탑재하고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62)은 전신촬영이나 업촬영 등의 복수의 촬영방법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줌, 조리개, 필터 등을 교체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좋다. 또, 카메라 유닛(62)은 예를 들면 수직으로 형성된 레일에 의해서 승강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이용자의 지시 등에 따라서 카메라 유닛(62)을 최적의 높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예를 들면, 이용자가 서는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상기 촬영 편집 공간 내에 형성하고 두고, 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카메라 유닛(62)은 줌을 설정하거나, 또는 각도를 조정하여 촬영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들에 덧붙여, 「얼굴의 업」나 「머리에서 발까지」 등의 사진에 대해 피사체의 사진 넣기 범위의 설정은 이용자가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러한 카메라 유닛(62)을 사용하면, 이용자의 각 서는 위치에 따라서 최적의 카메라를 할당할 수 있다.
또한, 아름다운 구도의 사진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화상 면적에 차지하는 배경의 여백과 피사체의 비율을 적정하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카메라 유닛(62)은 이러한 배경의 여백과 피사체의 비율을 최적치, 또는 최적 범위 내의 값으로 하도록, 줌 설정이나 각도 조정을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구성을 채용하면, 항상 최적의 구도로 촬영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많은 인원수의 이용자를 피사체로 하는 경우에도, 모든 이용자를 촬영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게 있어서 만족도가 높은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카메라 유닛(62)의 외관이, 프로 카메라맨이 사용하는 카메라를 모방한 것처럼 되어 있으면, 이용자에 대하여, 본격적인 사진촬영이 행하여지는 듯한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은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CRT(cathode ray tube) 등의 표시면에 터치 센서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 다. 이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는 촬영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 메시지나 화상 등이 표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는 데모 화면, 오프닝 화면, 과금 처리 지시 화면, 촬영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 조작 내용, 촬영시의 촬영 화면 등이 표시된다.
코인 투입구(64)는 이용자가 플레이 요금으로서 소정 금액의 코인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이다. 이 코인 투입구(64)에는 거스름돈이 발생한 경우나, 코인이 투입된 후에 리셋된 경우에, 코인을 이용자에 대하여 반환하기 위한 반환구도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의 내부에는 이용자로부터 징수한 코인을 축적하는 코인 용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편집장치(65)는 촬영 처리가 완료된 후에, 사진 화상에 대하여 낙서 등의 편집 처리를 하기 위한 장치로,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을 구비하고 있다.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은 낙서 등의 편집 처리에 있어서의 각종 메시지나 화상 등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는 낙서 등의 화상 편집 처리시에 있어서의 편집 대상의 화상 및 각종 편집 툴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의 근방(도 12에서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의 아래 쪽)에는 각각 터치 펜이 구비되어 있다. 이용자는 이 터치 펜을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접촉시킴에 따라, 처리의 진행에 따라서 표시되는 버튼을 선택하거나, 낙서 등의 화상 묘화를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편집장치(65)에는 2개의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이 병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각각에 표시된 촬영 화상에, 2명의 이용자가 동시에 낙서 처리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또,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는 다른 촬영 화상을 각각 표시시킬 수 있고, 이용자는 각각의 촬영 화상에 대하여 낙서 처리 등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낙서 처리에 있어서, 한쪽의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또는 65B)로부터 입력된 낙서 처리를, 다른쪽의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B 또는 65A)에 반영되는 반영 처리나 낙서 가능 범위를 제한하는 처리 등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편집장치(65)는 촬영 편집 공간 내에서, 이용자가 카메라 유닛(62)을 향해서 선 경우에, 그 왼쪽 손측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는 촬영시에 피사체의 배경이 되는 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촬영 화상 중에 편집장치(65)가 찍히는 경우는 없게 된다. 또한, 촬영 편집공간은 이용자가 카메라 유닛(62)을 향해서 선 경우에, 그 전후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편집장치(65)가 설치되어 있는 측의 측면은 비교적 가로 폭이 넓어진다. 따라서, 편집 처리시에 있어서 이용자에게 주는 어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은 편집 처리시에 있어서, 편집 작업의 보조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즉, 사용자가 3명 이상인 경우에,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을 제 3 편집용 화면으로서 기능시키고, 3명 동시에 편집 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 편집 처리시에 있어서,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의한 편집 작업이 행하여지고 있는 동안에, 동시에 병행하여,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을 사용하여, 추가 촬영, 촬영 결과의 확인 작업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은 촬영 처리시에 있어서, 촬영 작업의 보조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촬영 처리시에 있어서,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상에, 「낙서 화면에 조작 버튼을 표시」라는 버튼이 표시되고, 이 버튼을 누르면,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상에, 업/전신의 전환, 배경 선택, 서는 위치 지시 화면의 스킵, 밝기 조정 등의 메뉴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을, 촬영 처리시의 조작수단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여 둔다.
이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을 이용하는 것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게 있어서는 카메라 유닛(62)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로 촬영 처리시에 있어서의 조작을 하는 쪽이, 카메라 촬영에 집중할 수 있고, 조작을 알기 쉽게 된다. 즉, 촬영을 위해 카메라 유닛(62)의 방향을 향해 있는 사용자의 시야 범위에 포함되지 않은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을, 촬영 처리시에 있어서의 조작에는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을 이용하는 것에 익숙한 사용자의 경우, 조작에 관한 혼란이 적은 것이 예상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용자에 대해서는 촬영시에 있어서의 서는 위치에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을 촬영 처리시의 조작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쪽이, 현재의 서는 위치와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 사이를 오가지 않아도 되어, 모처럼의 포지션이 망가지거나, 왕래의 불필요한 시간을 낭비하지 않는다는 메리트가 있다.
또, 상기 편집장치(65)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 외의 측면 배면 등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즉,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 촬영공간과 편집공간(편집 코너)이 따로따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러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을 위에서 본 평면도가 도 54a이다. 또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을 편집장치(65)가 설치되어 있는 면에서 본 정면도가 상기 도 54b이고,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의 외관의 사시도가 상기 도 54c이다.
도 54a 및 5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집장치(65)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의 측벽에 내장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내장된 구성이기 때문에, 편집장치(65)가 큰 공간을 점유하지 않고,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의 외관을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편집장치(65)의 부근에 스피커(81)를 설치하여 두고, 이용자에게 편집 작업의 지시 등을 주는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또한, 편집장치(65)의 앞의 편집공간에는 전용 범위, 예를 들면, 도 54a 및 54c와 같이 커튼(82)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커튼(82)을 설치함으로써, 남에게 편집 작업을 들여다 보이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이용자는 안정되게 편집 작업을 할 수 있다.
또, 도 5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집장치(65)의 부근에 짐 후크(83)를 형성하면, 이용자는 짐을 항상 시야 내에 둘 수 있기 때문에, 도난을 방지할 수 있 다.
도 54a 내지 5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편집공간과 촬영공간을 별도로 설치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에서는 이전의 이용자가 촬영 처리 종료 후에 편집공간으로 이동하면, 다음 이용자는 촬영공간에 들어 갈 수 있다. 즉, 이러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에서는 동시에 2조의 이용자의 대응을 병행 처리하는 소위 2중 접객이 가능하다. 따라서, 촬영과 편집 공간이 동일한 경우에 비교하여, 이용자는 촬영공간이나 편집공간으로 단시간에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 회전률이 향상된다. 즉, 장치의 이용 효율이 향상되는 동시에, 이용자의 대기 시간이 짧아진다. 또한, 순서 대기를 하고 있는 이용자도, 이전의 이용객이 이동하는 모양이나 자기가 서 있는 행렬이 흐르고 있는 모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 시간의 스트레스가 경감되어, 즐거운 분위기에서 촬영에 임할 수 있다. 또한, 이용자는 편집 처리를 할 때, 기다리고 있는 이용자를 걱정하지 않고, 안심하고 처리를 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영 처리시간을, 편집 처리시간과 같거나 그것보다 길게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간 설정을 채용하면, 촬영 종료시에, 이전의 이용자가 편집공간에서 체류하고 있는 경우가 적어지기 때문에, 편집 처리 전의 순서 대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편집공간과 촬영공간이 별도로 형성되어 있는, 즉, 촬영공간에 편집장치(65)가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이하와 같은 이점이 있다. ① 촬영공간을 좌우로 넓게 할 수 있다. ② 편집장치(65)의 사진으로의 사진 넣기를 없앨 수 있 다. ③ 편집장치(65)에 의한 발광이나 반사의 영향이 없어져 피사체에 적절하게 조명을 조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아름다운 완성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촬영공간에서 촬영하고 나서 편집공간으로 이동하여 편집 작업을 하게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게임으로서의 체감 시간을 길게 줄 수 있고, 더욱 즐거운 시간을 계속하여 갖게 할 수 있다.
스피커(71A, 71B)는 이용자에 대하여 각종 조작상의 안내 음성이나 효과음 등을 출력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스피커(71A, 71B)는 촬영시에 있어서의 이용자가 서는 위치에 대하여, 후측 상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18)는 촬영이 행하여진 사진 화상에 대하여 편집 처리가 가해진 화상을 프린트지에 인쇄하는 것이다. 이 프린터(18)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편집공간측에서 보아 라이트 박스(68)의 뒤측에 설치되어 있고, 프린트 배출구는 촬영 편집공간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즉, 촬영 처리 및 편집 처리가 종료한 사용자는 프린터(18)에 의한 출력이 완료하기까지의 대기 시간을 촬영 편집공간의 외부에서 대기하게 된다. 따라서, 촬영 편집 공간 내에 사용자가 편집 처리 후에도 머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이용의 회전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조명의 구성)
다음에,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 라이트 박스(68),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 및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로 이루어지는 조명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는 발광면의 형상이 대략 원형으로 되어 있는 스트로브 라이트이다. 이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는 예를 들면 형광등 등의 정상적으로 발광하기 위한 정상 발광수단, 및, 예를 들면 스트로브 라이트 등의 촬영의 순간에 강한 빛을 발하기 위한 촬영시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즉, 이용자가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비추어지는 라이브뷰 화상을 보면서 촬영의 구도나 포즈를 생각할 때에는 정상 발광수단에 의한 정상광이 이용자에 대하여 조사되고, 이것에 의해서 광이 빛추는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촬영의 순간에는 촬영시 발광수단이 발광함으로써, 촬영에 필요한 강한 빛을 이용자에게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를, 그 발광면이 각각 다른 크기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의 발광면의 크기가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7)의 발광면의 크기보다도 커져 있다. 이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의 구성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라이트 박스(68)는 촬영시의 이용자의 전신을 균일하게 조명하는 것이다. 발광면의 형상으로서는 대략 사각형이고, 크기는 상측면 근방으로부터 이용자의 신장 이상의 높이까지 정도로 되어 있다. 이 라이트 박스(68)는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와 같이, 정상적으로 발광하기 위한 정상 발광수단, 및 촬영의 순간에 강한 빛을 발하기 위한 촬영시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는 특정한 영역만을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발광면의 앞에 허니콤 구조의 그리드가 형성되어 있고, 이 그리드의 방향 으로만 빛이 조사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은 한정되어, 광조사의 지향성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를, 예를 들면 이용자의 두발부를 조사하는 방향으로 향하면, 두발이 빛나는 듯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도, 정상적으로 발광하기 위한 정상 발광수단, 및 촬영의 순간에 강한 빛을 발하기 위한 촬영시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이용자가 카메라 유닛(62)에 대하여 전후에 서서 촬영하는 경우, 후방에 선 이용자에 대해서만 빛을 조사하는 방향으로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를 향하면, 전후에 선 각 이용자의 조명 광량을 일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가 2개의 라이트로 이루어져 있고, 한쪽은 전방의 이용자 전용, 다른쪽은 후방의 이용자 전용의 빛을 조사하면, 전후에 선 각 이용자의 조명광량을 동일하게 하거나, 바꾸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러한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이용자가 카메라 유닛(62)에 대하여 전후에 배치한 경우, 뒤측에 선 이용자가 어둡게 찍힌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를 형성함에 따라, 이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는 이용자의 배후 위쪽에서 조명을 비추기 위한 라이트이다. 이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에 의해서 이용자를 배후 위쪽에서 조명함으로써, 이용자의 윤곽을 밝고 희미해지게 한 상태의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도, 정상적으로 발광하기 위한 정상 발광수단, 및 촬영의 순간에 강한 빛을 발하기 위한 촬영시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는 상기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와 같이, 발광면의 앞에 허니콤 구조의 그리드가 형성되어 있고, 광조사의 지향성을 갖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광조사의 지향성을 이용하여, 피사체측 두부의 모발에는 라이트를 비추도록 하는 한편, 피사체의 얼굴에는 라이트를 비추지 않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의 빛의 조사방향은 기준 위치에 선 피사체측 머리면에 대하여 45도 정도의 각도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상기한 조명부의 배치 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메라 유닛(62)이 배치되어 있는 위치를 정면으로 하면, 카메라 유닛(62)의 좌측에는 상부에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하부에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카메라 유닛(62)의 우측에는 라이트 박스(68)가 배치되어 있다. 또, 카메라 유닛(62)의 상측, 즉 정면상부에는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유닛(62)을 정면으로 한 경우의 배면측 상부에,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가 배치되어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하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을 위쪽에서 봤을 때의 각 조명부의 배치를 도시하는 조명 배치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조명부는 예를 들면 카메라 유닛(62)으로부터 소정의 거리(D)만큼 떨어져 기본이 되는 위치에 서 있는 피사체로서의 이용자에 대하여 조명을 비추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 및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는 각각 기본이 되는 위치에 서 있는 이용자의 두부 부근의 높이를 조명하는 방향쪽을 향하고 있다.
각 조명부가 이상과 같은 배치로 되어 있는 것에 따라, 이용자가 서는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조명이 닿는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에, 이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사체로 되는 이용자로부터 보아 정면이 되는 카메라 유닛(62)에 대하여, 좌측에 배치되는 조명부, 즉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와, 우측에 배치되는 조명부, 즉 라이트 박스(68)는 그 발광면의 형상이 다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피사체가 서는 위치를 좌우로 변경함으로써, 피사체에 대한 조명이 닿는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정면에 대하여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라이트 박스(68)는 상기한 바와 같이, 피사체의 전신을 균일하게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라이트 박스(68)는 피사체의 전체적인 밝기를 확보하기 위한 라이트이다.
한편,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는 피사체의 두부 부근을 집중적으로 조명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에 의해서 조명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라이트 박스(68)에 의한 조명의 광량보다도,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에 의한 광량쪽이 커져 있다. 따라서, 피사체의 두부 부근에서는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에 의해서 조명되는 측의 반대측에 흐리게 그림자 가 생기게 된다.
여기서, 피사체가 좌우로 위치를 이동하면,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에 의한 그림자가 생긴 위치 및 크기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는 라이브뷰 화상을 보면서 자신이 서는 위치를 좌우로 변경함으로써, 자신의 마음에 드는 그림자가 있는 쪽의 상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종래에서는 피사체에 대한 조명은 기본적으로는 정면 방향으로부터 좌우 균등한 광량으로 조사되도록 되어 있었다. 이 경우, 불필요한 그림자가 생기지 않고, 어떤 위치에 있는 피사체에 대해서나 균일하게 빛을 비출 수 있기 때문에, 실패 없는 사진을 찍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촬영 화상에 있어서는 피사체의 얼굴 등은 음영이 없는 상태로 되어 있어, 굴곡이 없이 밋밋한 인상의 사진이 되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극적으로 그림자를 만들도록 하여, 피사체의 얼굴 등의 촬영의 표현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면 볼의 옆측이나 목덜미의 윤곽부분 등에 그림자를 만듬으로써, 피사체를 더욱 세밀한 인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여성 등의 이용자에게 사진이 잘 찍히는 인상을 갖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좌우에서 라이팅 상태를 바꾼다는 촬영 기술은 프로 카메라맨 등에 의한 촬영에서는 자주 사용되는 것으로, 이용자에게 본격적인 촬영이 행하여지고 있는 듯한 인상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피사체가 좌우로 이동할 때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전후로 이동함으로써도, 촬영 상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는 정면에 대하여 좌측의 영역에, 상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피사체가 전후로 이동하면,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에 의한 조명 상태가 변화하게 되어, 음영이 생긴 쪽이 변화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피사체가 전방, 즉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피사체의 두부 부근의 높이에 가까운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의 빛에 의한 광량이 강해지는 한편, 피사체가 후방, 즉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반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피사체가 전후로 이동함으로써도, 조명이 비추는 상태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져, 피사체의 기호에 의해 섬세하고 치밀하게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라이트 박스(68)는 좌우 방향에 있어서 비교적 넓은 발광면을 갖고 있는 동시에, 발광면에 수직의 방향이 촬영공간의 중앙 부근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트 박스(68)에 의한 조명에 의해서 촬영공간 내의 어떤 위치에 피사체가 존재하고 있다고 하여도, 어느 정도의 조명을 비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조명을 좌우 언밸런스하게 배치하여도, 필요 최저한의 조명을 피사체에 대하여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조명 불량에 의한 촬영 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조명부의 배치에 의하면, 입체감이 있는 품질이 좋은 촬영을 이용자의 기호에 따른 상태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의 획일적인 촬영 상태로밖에 촬영할 수 없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대하여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용자의 더욱 고도의 촬영 요구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한 사진 프린 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 및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의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는 피사체의 두발부를 조명함으로써, 미발(美髮) 효과를 노리는 것이고,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는 피사체의 두부 및 등부분을 배후로부터 조사함으로써 피사체의 윤곽을 밝고 희미해지게 하는 효과를 노리는 것이다. 따라서, 피사체의 신장이나 포즈, 서는 위치에 따라서,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9) 및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의 조사방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정은 이용자에 의한 매뉴얼 조작에 의해서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이용자의 신장이나 서는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두고, 이 센서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자동적으로 조사방향이 설정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설정되는 것으로, 피사체의 체형이나 그 서는 위치에 최적의 조명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능적 설명)
다음에,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의 기능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14에 도시하는 블록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은 상기한 카메라 유닛(62),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 편집장치(65), 조명부(22), 및, 실시예 1에서 도시한 제어부(20), 배경 연출부(12; 배경 연출장치), ID 태그 리더/라이터(41), 프린터(18)에 더하여, 출입구 커튼(33), 과금 처리부(34), 전원장치(35)를 구비하고 있다. 또, 조명부(22)는 상기한 우산형 스트로브 라이트(66, 67), 라이트 박스(68), 정면 스트로브 라이트(69), 및 후부 스트로브 라이트(70A, 70B)를 총칭한 것이다.
제어부(20)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61) 내에서의 상술한 각종 구성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이 제어부(20)는 예를 들면 PC 베이스의 컴퓨터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종 구성의 동작 제어는 제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실행시킴에 따라 행하여진다. 이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CD-ROM 등의 리무버블(removable) 미디어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판독하여 사용하는 형태이어도 좋고, 하드디스크 등에 인스톨된 것을 판독하여 사용하는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이 제어부(20)가 인터넷 등의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 구성으로 하는 경우, 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상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하드디스크 등에 인스톨하여 실행하는 형태 등도 고려할 수 있다.
전원장치(35)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61) 내에서의 상술한 각종 구성에 대하여 전력공급을 하기 위한 것이다.
과금(課金) 처리부(34)는 코인 투입구(64)로부터의 대금 투입, 및 코인 반환 처리 등을 제어하는 것으로, 이용자로부터 징수하는 과금에 관한 처리를 하는 블록이다. 과금 처리부(34)에 의한 과금 상황에 따라서, 제어부(20)가 해당 이용자에 대한 동작을 제어한다.
출입구 커튼(33)은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의 출입구에 형성되어 있는 커튼이고, 이 개폐는 전동에 의해서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배경 연출장치(12)는 촬 영 처리시에 있어서, 배경을 바꾸거나 하는 처리를 하는 장치로, 모터식 커튼(31) 및/또는 수동식 커튼(30)을 구비하고 있는 있다.
또한, 제어부(20)는 촬영 합성 처리부(45), 편집 화상 처리부(44), 기억부(40), 조명 제어부(47), 출입구 제어부(48), 및 배경 제어부(49)를 구비하고 있다.
촬영 합성 처리부(45)는 후술하는 촬영 처리를 하는 블록이다. 편집 화상 처리부(44)는 후술하는 편집 처리를 하는 블록이다. 이들의 블록은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 상당하는 처리를 하는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다.
기억부(40)는 상기한 하드디스크 등의 불휘발성의 기억장치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 기억부(40)에 기억되는 내용으로서는 상기한 제어 프로그램,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기타 각종 프로그램, 촬영 카메라에 있어서의 동작 설정치, 촬영한 화상 및 편집한 화상의 화상 데이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촬영 카메라에 있어서의 동작 설정치로서는 장치 출하시나 메인터넌스시 등에 설정되는 화이트 밸런스의 값, 촬영 화상의 명암 등을 조정할 때의 화상 처리에 관한 각종 파라미터치 등을 들 수 있다.
조명 제어부(47)는 조명부(22)를 제어하는 블록이다. 예를 들면 촬영 처리시에 있어서, 이용자가 촬영의 구도나 포즈를 생각하고 있는 기간에는 각 조명부에서의 정상 발광수단만을 발광시키도록 하는 동시에, 촬영을 준비할 수 있어 촬영이 행하여지는 순간에, 각 조명부에서의 촬영시 발광수단을 발광시키는 제어를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각 조명부의 광량을 제어하거나, 각 조명부의 조명방향을 변경하는 제어를 하거나 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조명 제어부(47)는 촬영시 발광수단에 의한 발광 광량을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설정된 촬영시 발광수단의 발광 광량에 따라서, 정상 발광수단의 광량이 조정되도록 되어 있으면, 라이브뷰에 있어서의 조명 상태, 즉 음영이 생기는 방법 등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출입구 제어부(48)는 출입구 커튼(33)의 개폐를 제어하는 블록이다. 출입구 커튼(33)은 촬영 처리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빛이 촬영공간 내에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형성되어 있고, 차광성의 시트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출입구 제어부(48)는 출입구 커튼(33)의 개폐를 다음과 같이 제어한다.
우선, 게임 아이들시(고객 대기 상태)에 있어서는 출입구 커튼(33)을 개방한 상태로 제어한다. 그리고, 이용자가 촬영공간 내에 들어가 소정의 금액의 투입이 행하여진 것을 과금 처리부(34)가 확인하면, 이 시점에서 출입구 커튼(33)을 닫는 제어를 한다. 그 후, 촬영 처리, 및 편집 처리가 종료한 것이 확인되면, 이 시점에서 출입구 커튼(33)을 개방하는 제어를 한다.
또, 출입구 커튼(33)이 개방되어 있어야 하는 상태일 때에 이용자에 의해서 무리하게 커튼이 닫히게 된 경우나, 출입구 커튼(33)이 닫혀 있어야 하는 상태일 때에 이용자에 의해서 무리하게 커튼이 열린 경우에는 주위에 들리도록 음량으로 경보를 발하는 동시에, 게임의 진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밀폐 공간에서의 범죄를 방지하거나 장난을 방지하거나 할 수 있다.
배경 제어부(49)는 배경 연출부(12)의 동작 제어를 하는 블록이다. 예를 들면 여러가지 사항이나 모양의 배경용 커튼을 복수매 배경이 되는 위치에 준비해 두고, 이들을 바꿈으로써, 이용자의 기호에 따른 배경을 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배경용 커튼은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식에 의해서 기계 제어에 의해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고, 이용자가 넘기거나 슬라이드시키거나 함으로써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어도 좋다. 전자의 경우가 상기한 모터식 커튼(31)이고, 후자의 경우가 상기한 수동식 커튼(30)이다.
모터식 커튼(3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예를 들면 촬영 처리시에 있어서, 이용자가 촬영시의 분위기를 선택함으로써 촬영 모드가 설정되는 경우, 그 촬영 모드에 적합한 배경이 되도록, 배경 제어부(49)가 모터식 커튼(31)을 제어한다. 여기서, 이용자가 무리하게 배경용 커튼을 잡아 당기거나 한 경우에는 주위에 들리는 음량의 경보를 발하여, 게임을 정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수동식 커튼(30)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이용자가 배경용 커튼을 기호에 따라서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배경용 커튼을 검지하고, 이 검지 결과에 따라서, 그 배경용 커튼에 따른 게임 동작, 예를 들면 효과음, BGM, 나레이션의 캐릭터, 게임 진행 화면 표시의 디자인 등을 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이용자가 무리하게 배경용 커튼을 잡아 당기거나 한 경우에는 주위에 들리는 음량의 경보를 발하여, 게임을 정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배경용 커튼을 이용자가 선택할 때, 스피커(71A, 71B)에 의한 음성이나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의 표시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배경용 커튼과 서는 위치의 관계를 고려한 어드바이스를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용자가 배경용 커튼에 있는 무늬의 커튼을 선택하였으면, 피사체와 함게 그 무늬도 비추는 서는 위치를 안내한다. 또는 먼저 이용자에게 서는 위치를 안내하고, 모터식 커튼(31)이 설치되어 있으면, 그 서는 위치에 적합한 색채나 무늬를 갖는 배경용 커튼을 자동적으로 바꾸어도 좋다. 또한, 수동식 커튼(30)이 설치되어 있으면, 스피커(71A, 71B)나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을 통해서, 「하트의 커튼을 고르면 당시들은 귀엽게 찍힙니다」와 같이, 이용자에 대하여, 서는 위치에 적합한 색채나 무늬를 갖는 배경용 커튼을 선택하도록 어드바이스하여, 고르게 하여도 좋다. 여기서, 「서는 위치에 적합한 색채나 무늬를 갖는 배경용 커튼」은 각 서는 위치에서의, 이용자가 빛나는 커튼이다. 예를 들면, 이용자의 얼굴을 업으로 한 촬영을 할 때의 서는 위치에서는 이용자의 피부의 색이 아름답게 찍히도록, 무지로 노란 색이나 핑크의 커튼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또, 도 1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촬영 편집 공간 내에 짐을 두는 곳을 형성하고 두고, 이것에 예를 들면 중량 센서 등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이용자가 이 짐을 두는 곳에 짐을 두면, 짐이 놓여진 것을 장치측에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게임 종료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짐이 놓여진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용자가 짐을 잊고 있는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이용자에 대하여 짐의 분실 경보를 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게임 진행 중에 있어서, 짐이 들려진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이용자가 플레이에 몰두하고 있는 동안에 도난이 행하여진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경보를 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4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촬영 편집 공간 내의 바닥의 일부 또는 전부의 영역에, 공간 내의 이용자가 서는 위치를 검출하는 서는 위치 검출 센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 서는 위치 검출 센서는 예를 들면, 압력을 감지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서는 위치의 검출을 한다. 이 서는 위치 검출 센서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하와 같은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서는 위치 검출 센서로서, 촬영 편집 공간 내에 적외선 센서를 설치하여도 좋다.
서는 위치 검출 센서가 이용자가 서는 위치를 검출하면, 그것에 따라서, 제어장치(20)는 조명장치(22), 카메라 유닛(62),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서의 화면 표시, 스피커(71A, 71B)에 의한 음성 등을 변경시킨다. 예를 들면, 제어장치(20)는 상기 센서에 의해 이용자가 서는 위치가 검출되면, 미리 기억부(40)에 보유된 몇개인가의 서는 위치 패턴의 데이터로부터, 검출된 서는 위치에 가장 가까운 서는 위치 패턴의 데이터를 골라 이것을 기초로 상기 각종 변경을 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조명장치(22)와 카메라 유닛(62)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는 위치의 패턴의 데이터에 근거하여 변경되면, 이용자는 현재의 서는 위치를 이동하지 않고, 최적의 것에 가까운 촬영 조건(조명이나 카메라의 핀트나 줌 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조명장치(22)와 카메라 유닛(62)에 더하여, 스피커(71A, 71B)나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 등이 상기 서는 위치 패턴의 데이 터를 기초로 변경되면, 이용자에 대하여, 촬영 조건이 최적의 서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어드바이스를 할 수 있다. 즉, 제어장치(20)는 서는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된 이용자가 서는 위치에 가장 가까운 서는 위치 패턴(최적 위치 패턴이라고 함)의 데이터에 따라서, 조명장치(22)와 카메라 유닛(62)을 변경한다. 그리고, 스피커(71A, 71B)로부터의 음성이나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로부터의 표시를 변경 하는 것으로, 최적 위치 패턴과 일치하는 서는 위치에 음성이나 표시에 의해 이용자를 유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은 최적의 촬영 조건을 이용자에게 줄 수 있다. 또, 상기 어드바이스는 서는 위치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방향이나 구부리는 방법과 같은 자세에 대해서 행하여져도 좋다. 이와 같이,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에 의해 서는 위치를 유도되거나, 자세를 어드바이스하거나 하는 것으로, 이용자는 약간의 이동이나 자세의 변경을 하는 것만으로, 최적의 촬영 조건하에서 촬영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서는 위치 검출 센서를 사용하여, 조명장치(22), 카메라 유닛(62), 화면 표시, 음성 등의 변경을 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아름다운 구도로 즐거운 분위기에서의 사진을 제공할 수 있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 그 1)
다음에, 상기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에 있어서의 각종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플레이 동작의 초기 처리)
우선,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에 있어서의 플레이 동작의 초기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도 15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여기서 설명하는 플레이 동작의 초기 처리는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이 기동하고 나서, 이용자가 플레이 내용의 선택을 하기까지의 처리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S31에 있어서,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의 기동 처리 및 초기화 처리가 행하여진다. 기동이 완료되면, S32에 있어서, 데모 화면이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 및 편집장치(65)에 있어서의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표시된다. 여기서,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는 스튜디오 촬영을 의식한 화면 디자인, 예를 들면, 프로 카메라맨이 사용하는 카메라의 그림 등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은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의 내부에 들어온 이용자가 처음에 보는 화면인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임팩트가 있는 화려한 영상, 예를 들면 음악의 프로모션 비디오풍의 영상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데모 화면 표시시에는 스피커(71A, 71B)로부터 음악을 흘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S33에 있어서, 입구의 커튼을 여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입구의 커튼은 플레이가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은 항상 개방되어 있도록 하여도 좋고, 예를 들면 10초마다 입구의 커튼이 자동적으로 개폐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입구의 커튼이 개폐하도록 한 경우, 주위의 사람에 대하여 해당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의 존재를 어필할 수 있다는 효과를 생각할 수 있다.
다음에, S34에 있어서, 코인이 투입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코인이 투입되지 않은 경우(S34에 있어서 NO)에는 S32로부터의 처리가 반복된다. 한편, 코인이 투입되어, 과금 처리가 완료된 것이 확인되면(S34에 있어서 YES), S35에 있어서, 입구의 커튼을 닫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 후, S36에 있어서, 이 이용자에 대한 플레이의 초기 설정 처리가 행하여진다. 초기 설정으로서는 현재의 촬영 매수의 카운트, 타이머, 제한시간의 설정, 카메라 설정 등이 초기화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다음에, S37에 있어서,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상에, 촬영 모드의 선택 화면을 표시시키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촬영 모드의 선택 화면의 화면 표시예를 도 19에 도시한다. 이 화면 표시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모드로서, 한정 모드와 실 모드가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정 모드는 더욱 본격적인 촬영을 하는 것이 가능한 촬영 모드이고, 실 모드는 한정 모드와 비교하여 더욱 간소한 촬영 처리를 하는 촬영 모드이다.
여기서,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각각 한정 모드의 촬영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 및 실 모드의 촬영 처리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의 개략에 대해서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러한 표시를 함에 따라, 이용자에게, 상기 2개의 모드의 차이를 이해시킬 수 있다. 또, 이러한 표시는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표시시켜도 물론 상관없다.
그리고, S38에 있어서, 한정 모드가 선택되었는지, 실 모드가 선택되었는지의 판단이 행하여진다. 한정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하에 도시하는 한정 모드 에 의한 촬영 처리가 행하여지고, 실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이하에 도시하는 실 모드에 의한 촬영 처리가 행하여진다.
(한정 모드에 의한 촬영 처리)
다음에, 한정 모드에 의한 촬영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도 16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한정 모드가 선택되면, 우선,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면이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표시된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촬영 스튜디오의 접수를 모방한 듯한 일러스트 화면과 함께, 「프로 스튜디오로 어서 오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제부터 본격적인 촬영 처리가 행하여진다는 분위기를 이용자에게 줄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화면 표시로 함에 따라, 이후에는 촬영의 접수 처리가 행하여지는 것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S41에 있어서, 촬영하는 인원수의 선택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때의 화면 표시예를 도 21에 도시한다.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인원수의 선택 종류로서, 2명, 3명, 4명 이상과 같은 카드가 도시되어 있고, 이용자는 그 사람수에 따라서 도시되어 있는 카드 중에서 적절하게 선택하게 된다.
다음에, S42에 있어서, 캐릭터 선택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때의 화면 표시예를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한다. 도 22a는 인원수가 2명인 경우, 도 22b는 인원수가 3명인 경우, 도 22c는 인원수가 4명인 경우의 캐릭터 선택 화면의 예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각 화면에서는 인원수에 대응한 캐릭터가 표시되어 있고, 각 캐릭터에는 이름(닉네임)이 표시되어 있다.
도 23a는 이용자의 인원수가 5명이고, 2인째까지가 캐릭터의 선택을 종료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도 23b은 5인째까지의 캐릭터의 선택이 종료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이용자의 캐릭터가 결정한 시점에서, 「선택한 캐릭터의 이름을 잊지 마세요!」와 같은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각 이용자에게, 선택한 캐릭터의 이름을 기억하는 지시를 한다.
이상과 같은 캐릭터 선택 처리에 의해서 이용자에 대하여, 각 이용자에게 대응한 캐릭터를 선택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각 이용자에게 개별로 캐릭터를 설정함으로써, 이후의 처리에 있어서, 여기서 선택된 캐릭터의 이름을 사용함에 따라 각 이용자에게 지시를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면을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표시시킨다. 이 화면에서는 촬영 편집공간의 모양을 나타내는 그림과 함께, 카메라맨이 자기의 명함을 내밀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는 일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면 표시에 의해, 접수 처리가 종료하고, 촬영 스튜디오로 이동하여 실제의 촬영 처리가 개시된다는 분위기를 이용자에게 줄 수 있다.
캐릭터 선택 처리가 완료되면, 다음에 테스트 촬영이 행하여진다. 우선,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테스트 촬영의 설명에 대한 표시가 행하여진다(S43). 도 25a에, 테스트 촬영 설명 화면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화면상에 「좋아하는 사진을 정하는 테스트 촬영을 한다」라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다. 그 후, 도 2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이용자가 서는 위치를 안내하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도 2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촬영 편집공간에서의 각 이용자가 서는 위치가 표시된다. 이 표시예에서는 각 이용자가 서는 위치가 각 이용자에게 대응하는 소정의 마크에 의해서 표시되어 있다. 그 후, 촬영의 카운트다운이 표시되어, 테스트 촬영이 행하여진다(S44).
테스트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데이터가 기억부(40)에 기억되고(S45), 플래시 발광 횟수에 관한 확인을 하는 촬영 에러 처리가 행하여진다(S46). 또, 이 촬영 에러 처리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 후, 테스트 촬영의 데이터에 대해서, 화상 처리에 의해서 밝기를 복수 단계로 바꾼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것을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표시시킨다. 이 때의 표시예를 도 25d에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테스트 촬영의 화상을, 밝게, 보통, 어둡게 3가지로 변화시킨 화상이 표시되어 있고, 이들 중으로부터 이용자에게 마음에 드는 밝기의 화상을 선택시키도록 되어 있다(S47). 그리고, 이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밝기에 따라서, 조명부(22)에 의한 촬영시의 조명광의 강도가 설정된다(S48).
다음에, S49에 있어서, 업촬영을 할지 전신촬영을 할지를 이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업촬영은 이용자의 상반신을 주체로 한 구도로 하는 촬영이고, 전신촬영은 이용자의 전신이 프레임에 들어가는 구도로 하는 촬영이다. 도 26에, 업촬영/전신촬영의 선택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다음에, S50에 있어서, 배경의 선택으로서의 커튼의 선택을 이용자에게 행하게 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27에, 커튼 선택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이 표시예에서는 화면 좌측에 촬영 편집공간에서의 커튼의 위치를 나타내는 일러스트가 도시되어 있고, 화면 우측에, 선택 가능한 커튼의 도안의 선택 종류가 표시되어 있다. 또, 이 배경의 선택 처리에 관한 화면 표시는 배경의 상태를 더욱 확인하기 쉬운 위치에 있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의해서 행하여져도 좋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배경용 커튼의 선택은 촬영 1회마다가 아니라, 최초의 촬영이 시작되기 전에, 이용자에게 전촬영 횟수분을 정리하여 선택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정리하여 선택시키면, 촬영 1회마다의 선택에 비해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동시에, 이용자의 번거로움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배경용 커튼의 존재를 알아차리지 못하는 등의 이유에 의한 커튼의 사용을 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배경용 커튼이 사용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커튼의 사용을 잊었다는 경고를, 스피커(71A, 71B)에 의한 음성이나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서의 표시를 통하여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배경의 커튼의 선택이 완료되면, S51로부터 본 촬영의 처리가 개시된다. 우선, S52에 있어서, 각 이용자의 서는 위치 안내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28 및 도 29은 서는 위치 안내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8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좌측에 촬영 편집공간의 일러스트가 도시되어 있고, 우측에 이용자의 라이브뷰 화상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다음은 내가 말하는 대로 서보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러한 표시를 함에 따라, 이제부터 각 이용자가 서는 위치에 관한 안내가 행하여진다는 것을 이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촬영 편집 공간 의 일러스트 내에, 각 이용자에게 대응한 마크가 각 이용자가 서는 위치에 해당하는 장소에 표시된다. 각 이용자는 이 화면을 봄에 따라, 자신이 서는 위치를 확인하고, 그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 후,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화면에 카운트다운이 표시되고, 본 촬영이 행하여진다. 본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데이터가 기억부(40)에 기억되고(S53), 플래시 발광 횟수에 관한 확인을 하는 촬영 에러 처리가 행하여진다(S54).
그 후, S55에 있어서, 추가 촬영을 하는지의 여부의 선택을 이용자에게 행하게 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추가 촬영을 한다고 이용자가 지시한 경우에는 상기 S49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31은 추가 촬영의 선택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표시예에서는 화면 좌측에, 선택 가지로서, 「업으로 추가 촬영」 「전신으로 추가 촬영」 「멈춘다」가 표시되어 있고, 화면 우측에, 지금까지 촬영된 촬영 화상이 섬네일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추가 촬영이 선택된 경우에는 다시 S52에 있어서 서는 위치 안내 처리가 행하여지게 되지만, 이 때의 서는 위치 안내는 지금까지 안내한 서는 위치와는 다른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촬영된 복수의 화상에 있어서의 구도가 각각 다른 것이 되고, 더욱 배리에이션이 풍부한 촬영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촬영 화상에 있어서, 각 이용자가 가능한 한 균등하게 눈에 띄도록 각 이용자의 서는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모든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촬영 화상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8a 내지 도 48e에, 촬영 횟수의 상한이 8회인 경우에, 이용자의 인원수 에 따른 서는 위치의 배리에이션을 도시한다. 도 48a 내지 도 48e는 각각 이용자가 1 내지 5명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서는 위치의 배리에이션에 관한 데이터가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고, 이것을 촬영 합성 처리부(45)가 촬영시마다 호출함에 따라, 각 촬영에서 각각 다른 서는 위치를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들의 서는 위치는 각각 다른 순차로 호출되도록 하여도 좋고, 플레이마다 랜덤으로 선택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서는 위치 안내가 행하여질 때, 이용자가 안내된 서는 위치를 마음에 들어 있지 않는 경우에, 그 서는 위치를 패스하고, 다른 서는 위치를 안내시키는 제어가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본 촬영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에 키프 화상의 선택 처리가 행하여진다(S56). 키프 화상의 선택은 촬영 처리에 의해서 복수매 촬영된 촬영 화상 중에서, 실제로 편집 처리 및 인쇄 처리를 하는 촬영 화상을 넣는 처리이다. 도 32에, 키프 화상의 선택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이 표시예에서는 촬영이 8회 행하여진 상태에서, 각 촬영에 있어서의 8장의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이들 중으로부터 키프 화상으로서 4장의 촬영 화상을 선택하는 지시가 이루어지고 있다.
키프 화상이 선택되면, 다음에 현상 완성 지정 처리가 행하여진다(S57). 도 33에, 현상 완성 지정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현상의 완성 상태로서, 붉은 빛의 조정, 밝기의 조정, 선명도의 조정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붉은 빛을 조정하면,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피사체의 피부의 색을 조정할 수 있다. 밝기를 조정하면, 피사체의 피부의 밝기를 조정할 수 있어, 미백 효과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선명도를 조정하면, 촬영 화상에 있어서의 샤프니스를 조정할 수 있어, 이용자의 기호에 따라서, 선명하게 한 화상으로 하거나, 흐리게 바람이 들어간 듯한 화상으로 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조정은 화면 우측에 표시되는 촬영 화상에 리얼타임으로 반영되도록 하여 두면, 이용자는 결과를 확인하면서 조정을 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처리는 촬영 합성 처리부(45)가 대응하는 화상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현상 완성 지정 처리가 종료되면, 선택된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 및 현상 완성 지정 처리로 지정된 결과가 기억부(40)에 전송되어 기억된다(S58). 그 후, S59에 있어서, 이용자에 대하여, 편집장치(65)에 의한 편집 처리를 개시하기 위해서 이동시키는 안내 지시가 행하여진다. 도 34는 편집 화면으로의 안내 지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표시예에서는 「자 그럼, 낙서 화면으로 이동합시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동시에, 촬영 편집공간의 일러스트에 있어서, 편집장치(65)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가 하일라이트 표시된 그림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가 행하여짐에 따라, 이용자는 헤매지 않고 편집장치(65)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편집 화상 처리부(44)에 대하여 편집 지시가 송신되고, 후술하는 편집 처리가 행하여진다.
(실 모드에 의한 촬영 처리)
다음에, 실 모드에 의한 촬영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도 17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실 모드가 선택되면, 우선, S61에 있어서, 업촬영을 할지 전신촬영을 할지를 이용자에게 선택시키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41에, 업촬영/전신촬영의 선택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다음에, S62에 있어서, 배경의 선택으로서의 커튼의 선택을 이용자에게 행하게 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42에, 커튼 선택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이 표시예에서는 선택 가능한 커튼의 도안의 선택 종류가 표시되어 있다.
배경의 커튼의 선택이 완료되면, S63으로부터 본 촬영의 처리가 개시된다. 우선, 표시 화면에 카운트다운이 표시되고, 카운트다운 종료 후에 촬영이 행하여진다.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데이터가 기억부(40)에 기억되고(S64), 플래시 발광 횟수에 관한 확인을 하는 촬영 에러 처리가 행하여진다(S65).
그 후, S66에 있어서, 추가 촬영을 하는지의 여부의 선택을 이용자에게 행하게 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추가 촬영을 한다고 이용자가 지시한 경우에는 상기 S61로부터의 처리로 되돌아가게 된다. 도 44는 추가 촬영의 선택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표시예에서는 화면 좌측에, 선택 종류로서, 「업으로 추가 촬영」 「전신으로 추가 촬영」이 표시되어 있고, 화면 하부에 「촬영 종료」 버튼이 표시되고, 화면 우측에, 지금까지 촬영된 촬영 화상이 섬네일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촬영 처리가 종료되면, 다음에 키프 화상의 선택 처리가 행하여진다(S67). 도 45에, 키프 화상의 선택 처리에 있어서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이 표시예에서는 촬영이 8회 행하여진 상태에서, 각 촬영에 있어서의 8장의 촬영 화상을 표시하는 동시에, 이들 중으로부터 키프 화상으로서 4장의 촬영 화상을 선택하는 지시가 이 루어지고 있다.
키프 화상이 선택되면, 다음에, 선택된 촬영 화상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부(40)에 전송되어 기억된다(S68). 그 후, S69에 있어서, 이용자에 대하여, 편집장치(65)에 의한 편집 처리를 개시하기 위해서 이동시키는 안내 지시가 행하여진다. 도 46은 편집 화면으로의 안내 지시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표시예에서는 「낙서 화면으로 이동하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동시에, 촬영 편집공간의 일러스트에 있어서, 편집장치(65)가 배치되어 있는 위치가 하일라이트 표시된 도면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가 행하여짐에 따라, 이용자는 헤매지 않고 편집장치(65)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후, 편집 화상 처리부(44)에 대하여 편집 지시가 송신되어, 후술하는 편집 처리가 행하여진다.
(편집 처리)
다음에, 편집 처리에 대해서 도 18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편집 처리는 기본적으로 편집장치(65) 및 제어부(20)에 있어서의 편집 화상 처리부(44)에 의해서 행하여지게 된다. 우선, 편집장치(65)에 있어서의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초기 상태로서 데모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촬영 처리가 완료된 후에, 촬영 합성 처리부(45)로부터 편집 처리의 지시가 보내졌는지의 여부가 S71에 있어서 판단된다. S71에 있어서 NO, 즉, 편집 처리의 지시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S71에 있어서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S71은 편집 처리의 지시를 수신하기까지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S71에 있어서 YES, 즉, 편집 처리의 지시가 수신되면,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편집 처리 개시의 화면이 표시된다. 이 표시예에서는 「다음은 현상하는 사진에 디자인해 봅시다」라는 메시지와 동시에, 편집 화면의 일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그 후, S73에 있어서, 편집 화상 처리부(44)는 편집 처리를 해야 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40)로부터 판독하여 취득한다. 여기서, 편집 처리를 해야 하는 화상 데이터는 촬영 처리에 있어서, 이용자가 키프 화상으로서 선택한 화상에 상당하는 것이다.
그리고,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의 표시 화면상에는 각각 도 36a 및 도 3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편집 처리용 화면이 표시된다. 또, 도 36a가 도 12에 도시하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36b가 도 12에 도시하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B)의 표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편집 처리용 화면에서는 화면 좌측에 낙서 등의 편집 처리에 필요시되는 툴류가 표시되고, 화면 우측에는 편집 대상이 되는 화상의 표시, 및, 키프 화상의 섬네일 표시가 이루어져 있다.
키프 화상의 섬네일 표시에서는 굵은 선 틀(F)로 표시되는 키프 화상이 편집 대상 화상으로 되어 있다. 즉, 사용자는 키프 화상의 섬네일 표시에 있어서 특정한 키프 화상을 선택함으로써, 편집 대상의 화상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키프 화상의 섬네일 표시에는 인접하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로 편집이 행하여지고 있는 화상에 마크(M)가 표시되어 있고, 인접하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의 방향이 화살 표시로 표시되어 있다.
툴류로서는 펜, 스탬프, 지우개 등이 있고, 펜, 스탬프에 대해서는 색이나 모양 등의 배리에이션이 선택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직전의 작업을 다시 하는 「재시도 버튼」이나, 모든 편집 작업을 소거하는 「처음부터 재시도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이용자는 키프 화상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1개의 화상을 선택하고, 그 화상에 대하여 편집 처리를 하게 된다. 또한, 화면 우측 위에는 편집 처리의 제한시간이 표시되어 있는 동시에, 화면 우측 아래에는 편집 처리의 종료 버튼이 표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편집 처리용 화면에 의해서 이용자에 의한 편집 처리가 행하여진다(S74).
그리고, S75에 있어서, 편집 종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또, 편집 종료 지시는 상기한 종료 버튼이 눌림에 따라 행하여지게 된다. 여기서의 편집 종료 지시의 확인은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의 양쪽에 있어서 편집 종료 지시가 입력되었는지가 확인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한 쪽의 화면에 있어서 편집 종료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도, 다른 한쪽에서 편집 처리가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편집 처리는 계속된다.
또, S75에 있어서, 제한시간이 어떤 일정시간이 된 시점에서, 아직 편집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은 상기 키프 화상이 있으면, 편집 처리 화면에 「낙서 잊음」의 화상 데이터가 있다는 요지의 표시를 하여도 좋다. 또는 편집 처리의 제한시간을, 편집 처리를 하는 대상의 키프 화상의 수로 나누어 각 키프 화상에 주어진 시간으로 하여, 각 키프 화상에 주어진 시간이 경과할 때 마다 「다음의 화상의 낙서를 하지 않는다?」와 같은 재촉을 편집 처리 화면에 표시시켜도 좋다. 상기한 바 와 같은 편집 처리 화면의 표시에 의해, 이용자는 모든 키프 화상에 대하여, 편집 처리 잊음을 방지할 수 있다.
S75에 있어서 NO, 즉, 편집 종료 지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 S76에 있어서, 편집 처리에 주어진 제한시간이 오버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S76에 있어서 NO, 즉, 제한시간이 오버하지 않은 경우에는 S74에 있어서의 편집 처리가 계속된다.
한편, S75에 있어서 YES, 즉, 편집 종료 지시가 입력된 경우, 및, S76에 있어서 YES, 즉, 제한시간이 오버한 경우에는 편집 처리가 종료되고, 편집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편집 완료 플래그가 기억된다(S77). 이상으로 편집 처리가 완료된다.
(현상·인쇄 처리)
그 후,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되고, 현상 처리가 개시되는 것이 이용자에게 제시된다. 이 표시예에서는 「수고하셨습니다. 이쪽은 현상 코너 접수입니다」라는 메시지와 함께, 현상 코너의 접수를 모방한 일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S78에 있어서, 화상을 실 시트에 인쇄할 때의 각 화상의 배치를 정하는 분할수 선택 처리가 행하여진다. 도 38에, 분할수 선택 처리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이 표시예에서는 인쇄시에 있어서의 각 화상을 복수 종류의 크기로 설정하여 혼합하여 출력하는 혼합 출력의 선택 종류와, 각 화상의 크기를 균일하게 하는 균등 출력의 선택 종류가 표시되어 있다. 또한, 각 선택 종류에는 2인용, 3인용, 4인 이상(다인)용 선택 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선택이 행하여지면, 다음에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배치 패턴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이 표시예에서는 2인용 선택이 행하여진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화면 상측에 1인째의 배치 패턴 선택 화면, 화면 하측에 2인째의 배치 패턴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각 선택 화면의 좌측에는 배치 패턴 선택 버튼이 도시되어 있고, 이 선택 버튼이 눌림에 따라,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배치 패턴의 배리에이션이 바뀌어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즉, 각 이용자마다 마음에 드는 화상 배치로 인쇄된 실 시트를 얻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배치 패턴 선택 화면은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면이어도 좋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2인용, 3인용, 다인수용 태브가 표시되어 있고, 각 태브마다, 균등 분할로 각 화상의 크기를 대, 중, 소를 선택하는 선택 버튼, 및, 혼합 분할의 선택 버튼이 각 이용자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9에서는 2인용 태브가 선택되어 있고, 좌측에 1인째의 배치 패턴 선택 화면, 우측에 2인째의 배치 패턴 선택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좌측의 배치 패턴 선택 화면에서는 균등 분할로 각 화상의 크기가 크게 설정되어 있고, 우측의 배치 패턴 선택 화면에서는 균등 분할로 각 화상의 크기가 작게 설정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분할의 방법의 예에 대해서, 도 50 내지 도 53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도 50은 이용자가 2명이고, 1인째가 균등 분할로 소사이즈를 선택한 경우, 2 인째가 균등 분할로 중사이즈를 선택한 경우의 실 시트상에서의 각 화상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1은 이용자가 2명이고, 1인째가 균등 분할로 대사이즈를 선택한 경우, 2인째가 혼합 분할을 선택한 경우의 실 시트상에서의 각 화상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2는 이용자가 3명이고, 1인째가 균등 분할로 소사이즈를 선택한 경우, 2인째가 균등 분할로 중사이즈를 선택한 경우, 3인째가 혼합 분할을 선택한 경우의 실 시트상에서의 각 화상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3은 이용자가 4명이고, 1인째가 균등 분할로 소사이즈를 선택한 경우, 2인째가 균등 분할로 중사이즈를 선택한 경우, 3인째가 균등 분할로 대사이즈를 선택한 경우, 4인째가 혼합 분할을 선택한 경우의 실 시트상에서의 각 화상의 분할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 상기 분할에 있어서, 예를 들면, 배치 대상이 되는 화상을 이용자가 선택하는 경우에는 이용자는 편집 처리에 실패한 화상을 선택하지 않았거나, 편집 처리를 행하지 않았을 때 화상으로 바꾸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이용자는 기호에 따른 화상 배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은 편집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은 화상을, 실 시트에 배치하는 화상의 대상 외로 하여, 미리 이용자의 선택 종류로부터 제외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배치 대상이 되는 화상을 자동적으로 결정하는 경우에도,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은 편집 처리가 행하여지지 않은 화상을 실 시트에 배치하는 화상의 대상 외로 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이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화상을 생략하고, 필요한 화상만을 실 시트에 배치하여, 인쇄할 수 있다.
도 18의 플로차트로 되돌아가면, 분할수 선택 처리가 완료되면, S79에 있어서, 인쇄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 인쇄 처리에서는 편집 화상 처리부(44)는 분할수 선택 처리에 의해서 선택된 분할 상태에 따라서, 각 화상의 인쇄 출력 위치를 산출하고, 또한 화상 사이즈 변환 처리를 하고, 실 시트에 인쇄되는 상태의 출력용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출력용 화상 데이터가 프린터(18)에 송신되고, 프린터(18)에 있어서 인쇄가 행하여진다.
또한, 분할수 선택 처리가 완료된 시점에서, 도 40a 내지 도 40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현상 처리 종료를 도시하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40a에 도시하는 표시예에서는 접수의 일러스트와 함께, 「확실히 접수하였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있다. 그 후, 도 40b에 도시하는 표시예로 바뀌고, 「약 1분 정도로 현상할 수 있기 때문에, 출구에 대기해 주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동시에, 실 시트가 출력되는 시트 배출구의 장소를 나타내는 일러스트가 표시된다. 그 후, 도 40c에 도시하는 표시예로 바뀌고, 「잊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라는 메시지와 함께, 촬영 편집 처리 공간 내에서의 짐두는 곳을 하일라이트 표시시킨 일러스트가 표시된다. 그 후, 도 40d에 도시하는 표시예로 바뀌고, 「또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어, 플레이가 종료한 것이 이용자에게 전해진다.
그 후, 인쇄가 완료된 것을 나타내는 인쇄 완료 플래그가 기억된다(S80). 이상에서 인쇄 처리가 완료된다. 그리고, 편집장치(65)에서는 인쇄가 완료된 것이 확인되면, S71로 되돌아가 데모 화면이 표시된다.
또, 도시는 하지 않지만,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의 외부, 즉, 본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을 이용하려고 외부에서 대기하고 있는(대기 행렬에 줄 서 있는) 이용자에게 보이는 위치에, 이용 상황 표시장치를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현재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에 의한 플레이 진행 상황에 따라서, 이용 상황 표시장치에, 「넣어 주세요」+「촬영 중」+「디자인 중」+「좀더 기다리세요」+「넣어 주세요」라고 표시시켜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이용 상황 표시장치는 도 15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의 S34의 스텝, 즉, 코인이 투입된 시점에서, 「촬영 중」이라는 표시를 하고, 도 18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의 S72의 스텝, 즉, 편집 처리 지시가 행하여진 시점에서, 「디자인 중」이라는 표시를 하고, 도 18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의 S77의 스텝, 즉, 편집 완료 플래그가 설정된 시점에서, 「좀더 기다려 주세요」라는 표시를 하고, 도 18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의 S79의 스텝, 즉, 인쇄가 개시된 시점에서 「넣어 주세요」라는 표시를 하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대기 행렬에 줄 서 있는 이용자는 현재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의 플레이 진행 상황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대기시의 불안감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에 있어서의 동작 그 2)
다음에,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을 따로따로 형성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80; 도 54a 내지 54c 참조)에 있어서, 촬영공간에서의 처리의 각종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이 기동하고 나서 어떤 플레이 내용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기까지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동일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61)과 같다(도 15 참조).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에 있어서, S38에서 한정 모드가 선택된 경우와 실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대해서, 촬영 처리의 흐름을 이하에 설명한다.
(한정 모드에 의한 촬영 처리)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에 있어서, 한정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촬영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도 55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 동 도면에 있어서, 촬영하는 인원수를 선택하는 S4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S58까지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동일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61)과 같기 때문에, 도 16과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S58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면, 편집공간이 비어 있는지의 여부의 확인이 행하여진다(S90).
S90에서 편집공간의 비었는지 확인되지 않으면(S90에 있어서 NO),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추가 촬영을 묻는 표시가 된다(S91). 이 때, 이용자에 의해서 추가 촬영을 하는 지시가 내려지면(S91에 있어서 YES), S49에 있어서의 업/전신 선택으로 되돌아가 S49 이후의 촬영 처리가 행하여진다. 추가 촬영을 하지 않는다는 지시가 내려지면(S91에 있어서 NO),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두더지게임, 점, 또는 촬영한 화상을 16개 정도의 피스로 분해하여 다시 배열시키는 지그소 퍼 즐(jigsaw puzzle) 등의 촬영 이외의 게임을 할지의 여부를 묻는 표시가 된다(S92). 이용자에 의해서 게임을 하는 지시가 내려지면(S92에 있어서 YES),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 상기한 바와 같은 촬영 이외의 게임이 표시되고(S93), 게임이 종료하면, S90에 있어서의 편집공간이 비었다는 확인이 반복된다. 이용자에 의해서 게임을 하지 않는다는 요지의 지시가 내려지면(S92에 있어서 NO),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는 「이대로 잠시 기다려 주세요」 등의 표시와 같이 데모 화면 등이 표시된다(S94).
이러한 처리에 의해서 S90에서 편집공간에 비었는지 확인되면(S90에 있어서 YES),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 등을 통하여, 편집공간으로의 이동 안내가 행하여진다(S95). 이용자가 편집공간으로 이동하면,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는 데모 화면이 표시되고,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은 다음의 이용자가 촬영공간에 들어오는 것을 기다린다(S96). 그 후의 편집공간에서의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S95에 있어서의 편집공간으로의 이용자의 유도는 촬영공간에서의 촬영 처리 후,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에서의 표시나 스피커(71A, 71B)로부터의 음성 등에 의해서 안내 지시를 하면 좋다. 그 때, 「인접하는 암실로 이동하여 주세요」 등의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이용자에게, 암실을 구비한 사진 스튜디오에서 프로 카메라맨이 사진촬영해 주는 듯한 분위기를 계속 제공할 수 있다.
(실 모드에 의한 촬영 처리)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에 있어서, 실 모드가 선택된 경우의 촬영 처리의 흐름은 도 56의 플로차트와 같이 도시된다. 실 모드가 개시되어, 촬영 상태를 이용자에게 선택시키는 S61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S68까지의 처리에 대해서는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동일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61)과 같다. 또한, 편집공간이 비었는지를 확인하는 S90으로부터 데모 화면을 표시하는 S96까지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80)에 있어서의 한정 모드에서의 처리와 같다.
(편집 처리)
다음에, 편집장치(65)가 촬영공간과 별도의 장소에 설치된 사진 프린트 시스템(80; 도 54a 내지 54c 참조)에 있어서의 편집 처리에 대해서, 도 57에 도시하는 플로차트와 도 58에 도시하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의 화면 표시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촬영 처리된 화상 데이터는 기억부(40)에 일시적으로 기억되고, 이전의 이용자의 편집 처리가 끝나면 순차, 편집장치(65)에 전송되는 것으로 한다.
이 편집 처리는 기본적으로, 편집 화상 처리부(44)에 의해서 행하여지게 된다. 편집장치(65)의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는 초기 상태로서 데모 화면이 표시되어 있다(S101). 이 데모 화면의 표시는 도 5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되어 있고, 예를 들면 「이쪽은 디자인 코너입니다. 촬영부터 시작하세요」라는 메시지와 일러스트가 표시되어 있다. 또, 이 데모 화면은 고객이 기다리는 상태일 때에는 항상 표시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촬영이 완료되었으면, 화상 데이터가 편집장치(65)에 전송 완료하였는지의 여부, 또는 편집 처리 가능한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102). 편집 처리의 화상 데이터가 전송 완료되지 않았거나, 또는 편집 처리가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S102에 있어서 NO), S102에 있어서의 처리가 반복된다. 즉 S102는 화상 데이터가 편집장치(65)에 전송 완료하거나, 또는 편집 처리가 가능하게 되기까지의 대기 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화상 데이터가 전송 완료하였거나 또는 편집 처리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면(S102에 있어서 YES),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는 도 5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화상 전송 중」,또는 「낙서 준비 중」이라는 화면이 표시된다(S103). 이 때, 화상 데이터를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표시할 수 있도록 처리가 행하여진다.
S103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표시할 수 있고, 이용자가 편집 처리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낙서 준비가 되었습니다. 우선, 스탬프를 선택하세요」와 같은 메시지가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표시된다(S104). 이 표시는 도 5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집 대상의 화상 위에 메시지를 겹쳐, 편집용 메뉴만이 보이도록 행하여진다. 또는 도 58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집 대상의 화상은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 타인이 화상을 엿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일정한 지정시간(예를 들면 10초)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105). 지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S105에 있어서 NO), 이용자가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을 펜으로 터치하였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S106).
S106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한 펜 터치가 되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S106에 있어서 NO), S105로 되돌아가 지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의 여부의 판단이 반복된다. S106에 있어서, 이용자에 의한 펜의 터치가 확인되면(Sl06에 있어서 YES), 또는 S105에 있어서 지정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S105에 있어서 YES),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에 편집 처리 화면이 표시되고, 이용자는 화상의 편집이 가능해진다(S107).
그 후에는 이용자에 의한 편집 처리가 행하여지고, 또한 현상 처리, 인쇄 처리가 행하여진다. 이들의 처리에 대해서는 상기한 설명한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동일한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에 있어서의 S74 이후의 처리와 동일하다(도 18 참조).
(조명부 메인터넌스 처리)
다음에,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에 있어서의 조명부 메인터넌스 처리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조명부(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스트로브장치 등의 발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발광수단은 어떤 소정의 발광 횟수 이상으로 하면, 전구가 끊어지는 등의 발광 불능 상태가 되는 것이 예상된다. 이와 같이 발광 불능 상태를 알지 못하고 플레이가 행하여지면, 적절한 조명 환경에서 촬영을 할 수 없게 되고, 상품으로서는 성립되지 않는 촬상 화상을 이용자에게 제공한다는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하에 개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부(22)의 수명을 고려하여, 발광 불능 상태가 되기 전에 조명 부재를 교환하는 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도 47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조명부 메인터넌스 처리의 흐름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 처리는 제어부(20)가 행하는 것으로 한다.
S81은 조명부(22)가 기능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촬영 처리가 완료되면, S82 이후의 스텝이 행하여진다. S82에서는 기억부(40)에 기억되어 있는 플래시 발광 횟수가 판독되는 처리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S83에 있어서, 플래시 발광 횟수를 1개 인크리먼트(increment)하는 처리가 행하여지고, 이 값이 기억부(40)에 기록된다(S84).
다음에, S85에 있어서, 플래시 발광 횟수가 경고 횟수와 같아졌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경고 횟수는 플래시 발광 횟수가 조명부(22)의 수명에 가까워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S85에 있어서 YES, 즉 플래시 발광 횟수가 경고 횟수와 같아진 경우에는 S86에 있어서 그 시점에서의 시간이 취득되고, S87에 있어서, 경고 표시가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 및/또는 편집 처리용 터치 패널(65A, 65B) 상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S88에 있어서, 서비스 스위치가 눌린 경우에, S86에 있어서 취득된 시간부터 남은 제한시간이 개시되고, S81에 있어서의 촬영 처리로 되돌아간다. 자세히 설명하면, 서비스 스위치는 본체 장치 내부에 있고,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의 관리자만이 조작 가능한 스위치이다. 이 서비스 스위치는 장치 고장·회복시 등의 처리 재개, 또는 무료 게임 제공시 등에 사용되는 것이다. 즉, S86에 있어서, 원래의 촬영 제한시간이 예를 들면 120초인 경우, S86의 시점에서 0초 경과하였다고 하면, S88에서는 남은 80초로부터 재개되게 된다.
한편, S85에 있어서 NO, 즉, 플래시 발광 횟수가 경고 횟수와는 다르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다음에 S89에 있어서, 스트로브 발광 횟수가 제한 횟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여기서, 제한 횟수는 플래시 발광 횟수가 이 값을 초과한 경우에는 조명부(22)의 수명에 상당히 가까워져, 곧 교환이 필요하게 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S89에 있어서 NO, 즉, 스트로브 발광 횟수가 제한 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S81에 있어서의 촬영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S89에 있어서 YES, 즉, 스트로브 발광 횟수가 제한 횟수를 초과한 경우에는 우선 S90에 있어서, 조명부(22)의 전원이 OFF가 된다. 그리고, S91에 있어서, 촬영 처리용 터치 패널(63) 및/또는 편집용 터치 패널(65A, 65B)에 조명부(22)의 교환 지시가 표시된다. 여기서, 사진 프린트 시스템(61)의 보수·관리를 하는 스태프가 조명부(22)의 스트로브 등을 교환하게 된다.
그 후, S92에 있어서, 종료 버튼이 눌렸는지, 즉, 교환이 종료하였는지의 여부가 확인된다. 교환이 종료한 것이 확인되면, S93에 있어서 플래시 발광 횟수를 제로로 하여 기억부(40)에 기록하고, S94에 있어서 조명부(22)의 전원이 ON이 된다. 그 후, S81로 되돌아가 촬영 기능이 발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개시한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예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