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5298B1 - 누름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누름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298B1
KR100585298B1 KR1020030075102A KR20030075102A KR100585298B1 KR 100585298 B1 KR100585298 B1 KR 100585298B1 KR 1020030075102 A KR1020030075102 A KR 1020030075102A KR 20030075102 A KR20030075102 A KR 20030075102A KR 100585298 B1 KR100585298 B1 KR 100585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ream solder
push button
connection terminal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5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1007A (ko
Inventor
다까하시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41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1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2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2Sold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설치 상태의 높이 치수를 크림 땜납의 분량만큼 증가시키지 않고 기판 위에 고정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 (10) 에 가동접점 (30) 과 고정접점 (21,22) 과 이 고정접점 (21,22) 에 도통되는 접속단자 (23) 를 형성하고, 이 접속단자 (23) 를 크림 땜납 (50) 에 의해 기판 (60) 에 고정시키는 누름버튼 스위치 (1) 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10) 의 하면 (12) 에 상기 접속단자 (23) 의 하면 (23b) 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단차 (13) 를 형성하고, 이 단차 (13) 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 (23) 의 하방에 크림 땜납 수용부 (14) 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 (10) 의 하면 (12) 을 상기 기판 (60) 에 대한 맞닿음 면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 (10) 의 단차 (13) 를, 접속단자 (23) 에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크림 땜납 (50) 의 입경보다는 크게, 크림 땜납 (50) 의 도포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하였다.

Description

누름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A-A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B-B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배면도이다.
도 5 는 도 3 의 접속단자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기판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C-C 단면도이다.
도 9 는 도 6 의 D-D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배면도이다.
도 11 은 도 9 의 접속단자 주변의 확대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기판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누름버튼 스위치
10 : 하우징
11 : 코너부
12 : 하면
13 : 단차
14 : 크림 땜납 수용부
21 : 중앙 고정접점
22 : 외측 고정접점
23 : 접속단자
30 : 가동접점
40 : 절연 필름
50 : 크림 땜납
60 : 기판
본 발명은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 게임기, 각종 오디오 기기 등의 기판 위에 면 실장되는 소형, 박형의 누름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휴대전화나 게임기, 각종 오디오 기기 등에 사용되는 조작 스위치로서, 예컨대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누 름버튼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절연 수지 등에 의해 성형된 하우징 위에 중앙 고정접점과 외측 고정접점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고정접점의 상부에는 외측 고정접점과 맞닿도록 돔형상의 가동접점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고정접점은 양측방으로 뻗는 접속편을 가지고 있고, 이 접속편의 양단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접속단자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단자는 접속편의 양단에서 일단 하방으로 굽어지고, 그 선단은 하우징의 하면과 거의 평행으로 되어 있고, 또한 접속단자의 단부는 상방으로 굽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누름버튼 스위치는 돔 형상의 가동접점을 상방으로부터 누름으로써 가동접점이 중앙 고정접점에 접촉하여 도통되고, 스위치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쉽게 가압 조작되도록 가동접점의 상부에 소정 형상을 갖는 조작 버튼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 공보 2001-110273호
이러한 누름버튼 스위치는 접속단자의 단부가 기판에 고정된다. 고정시킬 때에는 통상 땜납의 분말과 플렉스를 혼합한 크림 땜납을 사용한다. 누름버튼 스위치를 기판에 고정시킬 때는, 기판 위의 누름버튼 스위치 고정 부분에 크림 땜납을 통상 0.10 ~ 0.15 ㎜ 정도의 두께가 되도록 얇게 도포하고, 그 위에 누름버튼 스위치를 배치하여 위에서 눌러 임시 고정시키고, 리플로우 (reflow) 장치 내에 통과시켜 납땜함으로써 누름버튼 스위치의 접속단자의 단부가 기판에 접합되고, 누름버튼 스위치가 기판 위에 고정된다.
그런데 최근의 휴대전화, 게임기, 포터블 오디오 기기 등의 소형화, 박형화에 따라 여기에 사용되는 누름버튼 스위치는 소형화, 박형화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로는 누름버튼 스위치는 0.5 ㎜ 이하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이 누름버튼 스위치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크림 땜납 위에서 눌러 임시 고정되므로, 접속단자의 하면에도 크림 땜납이 들어가고, 그 결과 이 접속단자의 하면으로 들어간 크림 땜납의 분량만큼 설치 상태의 높이 치수가 커지게 된다. 이렇게 접속단자의 하면으로 들어간 크림 땜납의 두께는 최대로 크림 땜납의 도포 두께가 되고,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크림 땜납은 통상적으로 0.10 ~ 0.15 ㎜ 정도의 두께로 도포되는 점에서 누름버튼 스위치의 두께와 비교할 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두께이다.
또한 접속단자 부분에서, 접속단자의 하면으로 들어간 크림 땜납의 두께 분량만큼 누름버튼 스위치가 상방에 배치되므로 하우징의 하면은 기판에 맞닿지 않고 들떠 버려 누름버튼 스위치의 설치 상태가 불안정해진다. 이 점에서 누름버튼 스위치를 눌러 조작할 때 누름버튼 스위치의 중앙부에는 휨이 발생되고, 또한 설치 높이에 편차가 발생한다. 게다가 임시 고정 시에 눌려진 크림 땜납이 하우징의 하면으로 들어가거나, 기판 위로 흩어져 땜납 볼이 발생될 가능성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설치 상태의 높이 치수를 크림 땜납의 두께 분량만큼 증가시키지 않고 기판 위에 고정시킬 수 있으면서,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에 도통되는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이 접속단자를 크림 땜납에 의해 기판에 고정시키는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상기 접속단자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의 하방에 크림 땜납 수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상기 기판에 대한 맞닿음 면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크림 땜납이 크림 땜납 수용부에 수용되고, 또 하우징의 하면이 기판에 맞닿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단차를, 접속단자를 고정시킬 때에 사용되는 크림 땜납의 입경보다는 크게, 크림 땜납의 도포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 하면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단자를 확실하게 납땜할 수 있다. 또한 누름버튼 스위치의 기판에 대한 설치 상태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단차가 0.03 ㎜ 이상 0.10 ㎜ 미만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확실하게 하우징 하면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단자를 확실하게 납땜할 수 있으며, 나아가 누름버튼 스위치의 기판에 대한 설치 상태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실시형태 1 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2, 도 3 은 각각 도 1 의 A-A 단면도, B-B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배면도, 도 5 는 도 3 의 접속단자 주변의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기판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 (1) 는 도 1,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 수지에 의해 성형된 상방이 개구된 오목 형상의 거의 정사각형 형상의 하우징 (10) 에, 볼록 형상으로 가공된 거의 원형 형상의 중앙 접촉부 (21a) 를 갖는 금속판제의 중앙 고정접점 (21), 및 이것을 가운데 오게 한 대칭 위치에, 마찬가지로 볼록 형상으로 가공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외측 접촉부 (22a,22a) 를 갖는 금속판제의 외측 고정접점 (22) 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중앙 고정접점 (21) 은 도 1,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접촉부 (21a) 에 도통되고, 하우징 (10) 의 측면을 향하여 직선으로 뻗은 중앙 연결부 (21b), 및 이 중앙 연결부 (21b) 에 거의 직교하여 도통되고, 하우징 (10) 의 양측방으로 직선으로 뻗은 접속편 (21c) 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외측 고정접점 (22) 은 각 외측 접촉부 (22a,22a) 에 도통되고, 중앙 연결부 (21b) 와는 반대 방 향으로 뻗은 외측 연결부 (22b,22b), 및 이들 외측 연결부 (22b,22b) 와 도통되고, 하우징 (10) 의 양측방으로 직선으로 뻗은 접속편 (22c) 을 갖는다. 각 접속편 (21c,22c) 은 서로 거의 평행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각 고정접점 (21,22) 은 하우징 (10) 의 내저면에 상기 기술한 중앙 접촉부 (21a), 외측 접촉부 (22a) 를 노출시켜 인서트 성형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각 접속편 (21c,22c) 의 양단에는 각각 하우징 (10) 하면 (12) 네 구석의 코너부 (11) 에서 돌출되어 노출되는 접속단자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단자 (23) 는 접속편 (21c,22c) 의 양단에서 일단 하방으로 굽어지고, 그 선단은 하우징의 하면 (12) 과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접속단자 (23) 의 단부 (23a) 는 상방으로 굽어 있다.
또한 하우징 (10) 측면의 접속단자 (23) 가 돌출되어 있는 부분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단자 (23) 가 가능한 한 내측에 배치되도록 절결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접속단자 (23) 를 크림 땜납 (50) 에 의해 납땜할 때 크림 땜납 (50) 을 더욱 내측으로 도포할 수 있고, 따라서 누름버튼 스위치 (1) 를 기판 (60) 에 면 실장했을 때의 전유 면적이 작아져 기판 (60) 위에서의 실장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10) 이 거의 정사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원형 형상이나 기타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접속단자 (23) 의 단부 (23a) 는 상방으로 굽어져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반드시 이렇게 할 필요는 없고 단부 (23a) 를 직선 형상으로 한 상태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 (10) 은 도 4,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 (12) 의 코 너부 (11) 이외의 부분, 즉 접속단자 (23) 와 관련이 없는 접속편 (21c,22c) 의 매몰 유지 부분에, 접속단자 (23) 의 하면 (23b) 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단차 (13) 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면 (12) 의 접속단자 (23) 와 관련이 없는 부분은 접속단자 (23) 의 하면 (23b) 보다도 더욱 하방에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차 (13) 는 0.03 ㎜ 이상 0.10 ㎜ 미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단차 (13) 를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접속단자 (23) 의 하방에 크림 땜납 수용부 (14) 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누름버튼 스위치 (1) 의 실장에서는, 사전에 소정 위치에 크림 땜납 (50) 을 도포한 기판 (60) 위에 누름버튼 스위치 (1) 를 크림 땜납 (50) 에 의해 임시 고정시키고, 리플로우 납땜장치 내를 통과시켜 적외선이나 열풍에 의해 크림 땜납을 용융 고화시키는 표면 실장방법에 의해 실장된다.
이러한 표면 실장을 실시할 때 상기 기술한 크림 땜납 수용부 (14) 를 형성함으로써, 도 6A, 6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름버튼 스위치 (1) 를 기판 (60) 위의 크림 땜납 (50) 에 임시 고정시켰을 때 이 크림 땜납 수용부 (14) 에 크림 땜납 (50) 이 수용되므로, 누름버튼 스위치 (1) 가 크림 땜납 (50) 에 의해 소정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배치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하우징 (10) 의 하면 (12) 이 기판 (60) 에 맞닿게 되어 누름버튼 스위치 (1) 의 배치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확실하게 납땜할 수 있음과 동시에, 누름버튼 스위치 (1) 를 크림 땜납 (50) 위로 누름으로써 임시 고정시켜도 크림 땜납 (50) 이 크림 땜납 수용부 (14) 보다도 내측인 하우징 (10) 의 하면 (12) 으로 들어가거나, 주변에 흩어지거나 하는 것을 억제 할 수 있고, 리플로우 시에 누름버튼 스위치 (1) 의 하면 (12) 이 기판 (60) 으로부터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땜납 볼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크림 땜납 수용부 (14) 가 형성됨으로써, 하우징 (10) 을 성형할 때 하면 (12) 의 가스 배출이 좋아져 높은 전사 정밀도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하면 (12) 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단차 (13) 를 0.03 ㎜ 이상 0.10 ㎜ 미만으로 한 것은, 일반적인 크림 땜납에 함유되는 땜납 분말의 입경이 0.01 ~ 0.03 ㎜ 정도이므로 0.03 ㎜ 미만으로 하면 단차 (13) 보다도 땜납 분말의 입경 쪽이 커지는 경우가 있어 설치 상태가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크림 땜납 (50) 이 통상 0.10 ~ 0.15 ㎜ 정도의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고려할 때, 0.10 ㎜ 이상으로 하면 단차 (13) 가 크림 땜납 (50) 의 도포 두께보다도 커져 누름버튼 스위치 (1) 를 기판 (60) 위에 배치했을 때 접속단자 (23) 의 하면 (23b) 이 크림 땜납 (50) 에 접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있다. 즉 단차 (13) 를 0.03 ㎜ 이상 0.10 ㎜ 미만으로 형성함으로써 하우징 (10) 하면 (12) 의 들뜸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고, 기판 (60) 과 하면 (12) 을 실장 후에도 맞닿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단자 (23) 를 확실하게 납땜할 수 있다. 또한 설치 상태의 높이 치수를 작게 할 수도 있게 된다. 단부 (23a) 가 직선 형상인 접속단자 (23) 를 사용할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상기 기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이 단차 (13) 의 0.03 ㎜ 이상 0.10 ㎜ 미만이라는 조건은 반드시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크림 땜납 (50) 에 함유되는 분말의 입경이나 크림 땜납 (50) 의 도포 두께에 맞춰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 (10) 은 도 1,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고정접점 (22) 의 외측 접촉부 (22a) 에 외주 하단을 맞닿게 하여 배치된, 탄성을 갖는 금속 박판제의 원형 돔 형상의 가동접점 (30) 을 구비하고, 추가로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가요성을 갖는 거의 원형의 절연 필름 (40) 이 하우징 (10) 의 상면 개구부를 덮도록 고착되어 있다. 이 절연 필름 (40) 은 가동접점 (30) 의 중앙 정점부 (30a) 에도 고착되어 있고, 원형 돔 형상의 가동접점 (30) 을 하우징 (10) 내의 소정 위치에 유지함과 동시에, 스위치 접점 부분에 대한 분진, 플럭스 등의 침입을 방지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접점 (30) 의 형상을 원형으로 하고 있으나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팔각형, 정사각형 등 기타의 형상일 수도 있다. 절연 필름 (40) 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 (1) 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누름버튼 스위치 (1) 는 접속단자 (23) 가 크림 땜납 (50) 에 의해 소정 배선부에 납땜되어 기판 (60) 의 소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렇게 기판 (60) 에 고정된 누름버튼 스위치 (1) 에 있어서, 납땜된 기판 (60) 과 거의 직교하는 상방으로부터 절연 필름 (40) 을 누르고, 가요성을 갖는 절연 필름 (40) 을 통해 원형 돔 형상의 가동접점 (30) 의 중앙 정점부 (30a) 를 하방으로 눌러간다. 그리고 그 가압력이 일정 이상이 되면 가동접점 (30) 은 반전 동작되고, 그 중앙 정점부 (30a) 의 뒷면이 하우징 (10) 에 설치된 중앙 고정접점 (21) 의 중앙 접촉부 (21a) 에 접촉된다.
이로써 중앙 고정접점 (21) 과 외측 고정접점 (22) 이 원형 돔 형상의 가동접점 (30) 을 통하여 도통되어 스위치가 ON 상태가 되고, 각각의 접속단자 (23) 에 접속되어 있는 기판 (60) 의 소정 배선부 간이 도통된다.
이후 절연 필름 (40) 에 대한 가압력을 제거하면 원형 돔 형상의 가동접점 (30) 은 자체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어 스위치가 OFF 상태로 복귀한다.
본 실시형태의 누름버튼 스위치 (1) 에서는, 이렇게 납땜한 기판 (60) 과 거의 직교하는 상방으로부터 반복적으로 가압 하중을 받으나, 하우징 (10) 의 하면 (12) 이 기판 (60) 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누름버튼 스위치 (1) 의 중앙부가 불필요하게 휘지 않는다.
또한 여기에서는 절연 필름 (40) 을 직접 누르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가압 조작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절연 필름 (40) 의 상부에 소정 형상을 갖는 조작 버튼을 설치하고, 이 조작 버튼 및 절연 필름 (40) 을 통해 가동접점 (30) 을 누르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실시형태 2 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8, 도 9 는 각각 도 7 의 A-A 단면도, B-B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배면도, 도 11 은 도 9 의 접속단자 주변의 확대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의 기판에 대한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누름버튼 스위치 (1) 는 도 7,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 이, 절연 수지로 성형된, 상방으로 개구되고 오목 형상인 거의 정사각형의 하우징 (10) 에, 볼록 형상으로 가공된 거의 원형 형상의 중앙 접촉부 (21a) 를 갖는 금속판제의 중앙 고정접점 (21), 및 이것을 가운데 오게 한 대칭 위치에, 마찬가지로 볼록 형상으로 가공된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외측 접촉부 (22a,22a) 를 갖는 금속판제의 외측 고정접점 (22)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 고정접점 (21, 22) 은 하우징 (10) 의 내저면에 인서트 성형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중앙 고정접점 (21) 은 도 1,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접촉부 (21a) 에 도통되고, 하우징 (10) 의 측면을 향하여 직선으로 뻗은 중앙 연결부 (21b), 및 이 중앙 연결부 (21b) 에 거의 직교하여 도통되고, 하우징 (10) 의 양측방으로 직선으로 뻗은 접속편 (21c) 을 갖는다. 마찬가지로 각 외측 접촉부 (22a,22a) 에 도통되고, 중앙 연결부 (21b) 와는 반대 방향으로 뻗은 외측 연결부 (22b,22b), 및 이들 외측 연결부 (22b,22b) 와 도통되고, 하우징 (10) 의 양측방으로 직선으로 뻗은 접속편 (22c) 을 갖는다. 각 접속편 (21c,22c) 은 서로 거의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접속편 (21c,22c) 의 양단에는 각각 하우징 (10) 하면 (12) 의 네 구석의 코너부 (11) 에서 돌출되어 노출되는 접속단자 (23) 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접속단자 (23) 는 각 접속편 (21c,22c) 의 양단으로부터 그대로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10) 의 하면 (12) 과 거의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접속단자 (23) 의 단부 (23a) 는 상방으로 굽어 있다.
이렇게 접속단자 (23) 가 각 접속편 (21c,22c) 의 양단으로부터 직선으로 형 성되어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 (1) 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누름버튼 스위치 (1) 는 도 10,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 (12) 의 코너부 (11) 이외의 부분, 즉 접속단자 (23) 와 관련이 없는 부분에, 접속단자 (23) 의 하면 (23b) 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단차 (13) 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면 (12) 의 접속단자 (23) 와 관련이 없는 부분은 접속단자 (23) 의 하면 (23b) 보다도 더욱 하방에 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단차 (13) 는 상기 실시형태 1 과 마찬가지로 0.03 ㎜ 이상 0.10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속단자 (23) 가 각 접속편 (21c,22c) 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형성된 누름버튼 스위치 (1) 에도 이러한 단차 (13) 를 형성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접속단자 (23) 의 하방에 크림 땜납 수용부 (14) 를 형성하여 도 12A, 1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림 땜납 (50) 을 수용할 수 있다. 이로써 누름버튼 스위치 (1) 가 크림 땜납 (50) 에 의해 소정 위치보다도 상방으로 배치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하우징 (10) 의 하면 (12) 이 기판 (60) 에 맞닿게 되어 누름버튼 스위치 (1) 의 배치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이렇게 접속단자 (23) 가 각 접속편 (21c,22c) 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형성되어 있는 누름버튼 스위치 (1) 는 전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 (10) 은 도 7,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박판제의 원형 돔 형상의 가동접점 (30) 을 구비하고, 추가로 하면에 점착제가 도포된 가요성을 갖는 팔각형의 절연 필름 (40) 이 하우징 (10) 의 상면 개구부를 덮도록 고착되어 있다.
또한 누름버튼 스위치 (1) 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기술한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사항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를 토대로 하여 그 변경, 개량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접속단자가 하우징의 코너부로부터 노출되는 누름버튼 스위치에 대해 기재하였으나, 그밖의 부분, 예컨대 하우징 측방의 중간부터 접속단자가 노출되는 누름버튼 스위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하면에 접속단자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에 의해 접속단자의 하방에 크림 땜납 수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하우징의 하면을 상기 기판에 대한 맞닿음 면으로 하여 이루어지므로, 크림 땜납은 이 크림 땜납 수용부에 수용되어 접속단자의 위치에서 누름버튼 스위치가 크림 땜납의 도포 두께 분량만큼 상방으로 배치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하우징의 하면이 기판에 맞닿게 되어 누름버튼 스위치의 배치 상태가 안정된다. 또한 확실하게 납땜을 할 수 있어 땜납 볼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단차를, 접속단자를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크림 땜납의 입경보다는 크게, 크림 땜납의 도포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크림 땜납의 입자가 크림 땜납 수용부에 수용되어 하우징 하면의 들뜸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단자를 확실하게 납땜할 수 있다. 또한 누름버튼 스 위치의 기판에 대한 설치 상태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의 단차를 0.03 ㎜ 이상 0.10 ㎜ 미만으로 형성한 점에서, 하우징 하면의 들뜸을 더욱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속단자를 확실하게 납땜할 수 있고, 나아가 누름버튼 스위치의 기판에 대한 설치 상태의 높이 치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Claims (8)

  1. 절연재료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 가동접점과 고정접점과 이 고정접점에 도통되는 접속단자를 형성하고, 상기 접속단자를 크림 땜납에 의해 기판에 고정시키는 누름버튼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상기 접속단자의 하면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단차를 형성하고, 상기 단차에 의해 상기 접속단자의 하방에 실제 장착시에 하우징의 하면이 기판으로부터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여 납땜 가능하게 하는 크림 땜납 수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상기 기판에 대한 맞닿음 면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절결하고, 상기 절결 내에 상기 접속단자의 단부(端部)를 인출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차를, 접속단자에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크림 땜납의 입경보다는 크게, 크림 땜납의 도포 두께보다는 작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단차를 0.03 ㎜ 이상 0.10 ㎜ 미만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땜납 수용부는 상기 접속단자의 하방 및 측방향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의 선단을 상방향으로 굴곡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제 1 고정접점과 접속편을 통하여 접속된 제 1 접속단자와, 제 2 고정접점과 접속편을 통하여 접속된 제 2 접속단자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접속단자의 하방에 상기 땜납수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절연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편은 그 하면에 수지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매설 유지되어 있고, 상기 수지부의 두꺼움에 의해 상기 단차를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스위치.
KR1020030075102A 2002-11-07 2003-10-27 누름버튼 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85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324085 2002-11-07
JP2002324085A JP2004158349A (ja) 2002-11-07 2002-11-07 押釦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1007A KR20040041007A (ko) 2004-05-13
KR100585298B1 true KR100585298B1 (ko) 2006-06-01

Family

ID=3280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51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5298B1 (ko) 2002-11-07 2003-10-27 누름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4158349A (ko)
KR (1) KR100585298B1 (ko)
CN (1) CN1248260C (ko)
TW (1) TWI2293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381560B (es) 2004-02-24 2025-03-12 Sumitomo Chemical Co Composiciones insecticidas.
JP5569251B2 (ja) 2010-08-23 2014-08-13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スイッチ
JP5696422B2 (ja) * 2010-10-12 2015-04-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5696423B2 (ja) * 2010-10-12 2015-04-0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実装基板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実装方法
JP5447344B2 (ja) * 2010-11-11 2014-03-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スイッチ
JP2012113852A (ja) * 2010-11-22 2012-06-14 Sumitomo Electric Printed Circuit Inc スイッチ部品及び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6029106B2 (ja) * 2013-06-25 2016-11-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プッシュスイッチ
JP6451472B2 (ja) * 2015-04-13 2019-01-16 オムロン株式会社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425195A (en) 2004-11-16
CN1499553A (zh) 2004-05-26
CN1248260C (zh) 2006-03-29
KR20040041007A (ko) 2004-05-13
JP2004158349A (ja) 2004-06-03
TWI229358B (en) 200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8008B1 (en) Arrangement for surface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by soldering, and electrical component for such an arrangement
EP1056106A1 (en) Push button switch including dome-shaped movable contact having reverse function
KR20010088351A (ko) 포인팅장치
JP3932762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EP1174958A2 (en)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KR100585298B1 (ko) 누름버튼 스위치
US6585532B2 (en) Coaxial connector and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he same
US6533593B1 (en) Coaxial connector with selector switch
US8124902B2 (en) Push button switch
US6107586A (en) Push-on switch
US20100230267A1 (en) Push switch
JP3950656B2 (ja) 押釦スイッチ
JP2001350581A (ja) 入力装置
EP0902450A1 (en) Push-button switch
KR100331729B1 (ko) 푸시 스위치
KR100357926B1 (ko) 푸시 버튼 스위치와 그 제조방법
JP4180889B2 (ja) 押釦スイッチ
TWM584034U (zh) 電連接器
US20240072485A1 (en) Connector assembly
JP2012113852A (ja) スイッチ部品及びスイッチモジュール
JP2002352924A (ja) 同軸コネクタ及び通信装置
KR100533634B1 (ko) 블루투스모듈
KR101418047B1 (ko) 전자부품용 택트 스위치
JPH09120742A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2002343179A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0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07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507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06021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601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060321

Appeal identifier: 2006101001439

Request date: 20060217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602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5092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0603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06032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