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4598B1 -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및 싱크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및 싱크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598B1
KR100584598B1 KR1020040034632A KR20040034632A KR100584598B1 KR 100584598 B1 KR100584598 B1 KR 100584598B1 KR 1020040034632 A KR1020040034632 A KR 1020040034632A KR 20040034632 A KR20040034632 A KR 20040034632A KR 100584598 B1 KR100584598 B1 KR 100584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fo
indicator
signal portion
pattern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9662A (ko
Inventor
윤경용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4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598B1/ko
Priority to US11/062,584 priority patent/US20050254376A1/en
Priority to CNA2005100699341A priority patent/CN1707665A/zh
Priority to EP05252950A priority patent/EP1598825A2/en
Priority to JP2005142935A priority patent/JP2005332566A/ja
Priority to PL05375178A priority patent/PL375178A1/xx
Publication of KR20050109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59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1/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 G09F11/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complete information is permanently attached to a movable support which brings it to the display position the display elements being secured to rotating members, e.g. drums, spind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4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 G11B20/1403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using self-clocking cod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wo lev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2ECC block, i.e. a block of error correction encoded symbols which includes all parity data needed for deco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77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for managing gaps between two recordings, e.g. control data in linking areas, run-in or run-out fields, guard or buffer zon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87Synchronisation pattern, e.g. VCO fiel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 신호에서 프레임 싱크의 위치를 예측하여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 및 싱크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가 기록되는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는 상기 VFO 신호부의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재기록 가능 매체에 발생될 수 있는 링킹 영역이 가변적이라 하더라도 뒤따르는 프레임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싱크 패턴의 복원이 가능해져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 및 싱크 검출 장치{Re-writ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reproducing metho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SYNC detection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RW 계열 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터 구조,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RW 계열 디스크에서 데이터 기록이 새로 시작될 때의 링킹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RW 계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재생시 프레임 싱크 검출 및 복원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라 VFO 신호부에 인디케이터를 삽입하여 기록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VFO 신호부에 삽입된 인디케이터를 참조하여 보호윈도우를 재설정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VFO 신호부에 삽입된 인디케이터를 참조하여 프레임 싱크를 검출하고 복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싱크 검출 및 복원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데이터 신호에서 프레임 싱크의 위치를 예측하여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 및 싱크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종래 기술에 따라 RW 계열 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RW 계열 디스크에 기록되는 데이터 구조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데이터 구조(10)는 VFO(11)와, 데이터(K)(12)와, POSTAMBLE(13)과, RESERVED(14)와, BUFFER(14)와, VFO(16)와, DATA(K+1)(17)를 포함한다.
VFO(11)는 데이터 신호 포맷의 선두에 배열되며, 소정의 패턴이 연속적으로 반복되어 기록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VFO는 데이터 신호를 재생할 때 PLL(Phase Locked Loop)의 오실레이션 주파수를 변화시킴으로써 데이터 신호가 신뢰성있게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이다. 이러한 패턴은 많은 조각의 엣지 정보 즉, 짧게 반복되는 간격들을 담고 있다. 이는 많은 조각의 엣지 정보가 이러한 패턴에 관하여 PLL 풀인(pull-in) 동작을 실행하기 쉽기 때문이다.
데이터(K)(12)는 사용자 데이터가 실제 기록되는 부분으로, 보통 하나의 ECC 블록을 나타낸다. POSTAMBLE(13)과, RESERVED(14)와, BUFFER(14)는 하나의 데이터 기록 블록의 끝부분에 붙여지는 영역들이다.
하나의 ECC 블록에 대해서 VFO(11)로부터 BUFFER(15)까지의 영역이 기록된다.
VFO(16)는 다음 ECC 블록을 기록하기 위해 맨처음 나오는 데이터 부분이다. 데이터(K+1)(17)는 다음 ECC 블록의 데이터가 실제 기록되는 부분이다.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는 데이터(K)와 데이터(K+1)가 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경우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제, 도 2를 참조하여, 데이터(K)와 데이터(K+1)가 비연속적으로 기록되는 경우 즉, 데이터(K)가 이전 기록 동작에서 기록되고, 데이터(K+1)는 다음 기록 동작에서 새로 기록되는 경우의 데이터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라 RW 계열 디스크에서 데이터 기록이 새로 시작될 때의 링킹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데이터 구조(20)는 VFO(21), 데이터(K)(22), POSTAMBLE(23), RESERVED(24), BUFFER(25), GUARD(26)를 포함한다.
VFO(21), 데이터(K)(22), POSTAMBLE(23), RESERVED(24), BUFFER(25)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도 2의 (a)에서는 이전 기록에서 데이터(K)(22)의 기록으로 기록 동작이 완료되어 BUFFER(25) 뒤에 GUARD(26)를 더 기록해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음 기록 오퍼레이션에서 데이터(K+1)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데이터(K+1)(28)의 선두에 배열되는 VFO(27)의 맨 처음 부분은 BUFFER(25)와 GUARD(26) 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역내에 배열되어야 한다. 즉, VFO(27)의 선두 부분 c는 BUFFER(25)와 GUARD(26) 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역 즉 a와 b에 의해 이루어지는 구간 내에서 가변적으로 위치되어야 한다. 가변적으로 위치되어야 하는 이유는, VFO(27)의 선두가 일정한 곳에서만 시작됨으로써 발생되는 디스크 열화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2의 (b)를 참조하면, VFO(27)의 선두가 BUFFER(25)가 시작되는 시점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지점 a부터 기록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링킹영역은 BUFFER(25)와 VFO(27)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VFO(27)의 선두가 GUARD(26)가 끝나는 지점 b로부터 기록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경우에 링킹 영역은 BUFFER(25), GUARD(26), VFO(27)에 의해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이와 같이 VFO(27)의 선두가 배열되는 위치는 가변적이기 때문에 그에 따라 링킹 영역의 구간도 일정하지 않고 가변적으로 된다.
즉, DVD-RAM, HD DVD RW에서 링킹이 일어난 경우 링킹 영역의 길이는 디스크의 집중적 열화를 방지하는 전략에 따라 랜덤 발생에 의해 결정되므로 가변적이다. 또한 링킹 영역을 구성하는 필드의 패턴이 모두 동일하므로, 링킹 영역은 일정한 패턴의 반복으로 이루어지고, 따라서 링킹 영역을 구성하는 각 필드를 구분할 수 없다.
한편, 광 디스크 재생 장치에서 디스크로부터 읽혀진 비트 스트림은 복조 및 에러 정정 등의 과정을 거쳐서 목적하는 데이터의 형태로 재생되는데, 이때 프레임 싱크(frame SYNC)는 비트 스트림을 메모리의 정해진 위치에 저장하고, 에러정정하기 위한 동기 신호로 사용된다. 따라서 잘못된 프레임 싱크의 검출 및 삽입은 원하는 데이터를 재생하는데 있어 오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그러므로, 프레임 싱크를 검출하고 그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레임 싱크 발생 위치에 프레임 싱크를 삽입하는 방법들이 많이 고안되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프레임의 싱크 검출 및 삽입 방식은 프레임 싱크 삽입 개수를 미리 정하고, 입력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그 수만큼 연속해서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지 않으면 보호 윈도우를 열어 무조건 검출된 프레임 싱크를 기준으로 하여 윈도우를 재설정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프레임 싱크 삽입 개수가 8개로 정해져 있고, 정상적으로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다가 연속해서 8개가 보호 윈도우 내에서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지 않으면 프레임 싱크가 발견되어야 할 각 위치에 프레임 싱크를 삽입하고, 윈도우를 열어 프레임 싱크를 검출하게 되는데, 이때 오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면 이 검출된 프레임 싱크를 기준으로 윈도우의 위치를 재설정한다. 이에 따라 그 이후부터 정상적인 프레임 싱크가 발생되어도 입력된 프레임 싱크가 보호윈도우 내에 있지 않기 때문에 최대 8 프레임 동안의 프레임 싱크를 놓치게 되며, 정상적인 프레임 싱크 검출은 다시 윈도우를 연 후 즉, 8 프레임 뒤에나 검출되므로 복조나 에러 정정등의 과정을 거쳐 재생된 데이터에는 에러 데이터가 포함될 확률이 높아진다. 그리고 프레임 싱크 삽입 개수를 작게 설정하면 윈도우를 여는 횟수가 많아져 오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는 확률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윈도우를 열었다 닫았다 하는 과정에서 검출된 오 프레임 싱크로 인하 여 종종 1 프레임 분의 비트 스트림을 메모리에 저장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라 RW 계열 디스크에 기록된 데이터 재생시 프레임 싱크 검출 및 복원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이러한 종래의 프레임 싱크 검출 및 삽입의 개념도를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광 디스크 재생 신호가 d 지점에서부터 비정상적으로 출력되므로, 상기 d 지점부터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프레임 싱크 삽입이 이루어지고 연속해서 4회 동안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보호 윈도우가 열리고 프레임 싱크 검출이 시작된다. 여기서, 상기 보호 윈도우는 프레임 싱크가 4개 삽입되었을 경우에 열린다. 상기 보호 윈도우가 열렸을 경우 즉, e 에서 오 프레임 싱크는 보호윈도우 밖에 위치하므로 검출되지 않고 4 프레임 후에 다시 윈도우가 열려 정상적인 프레임 싱크가 검출된 f 지점으로부터 정상적으로 프레임 싱크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되는 데이터 구조에서는 링킹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링킹 영역의 길이는 가변이다. 즉, 디코딩의 관점에서는 링킹 영역의 길이가 어느 정도까지 지속될 지 알 수 없으므로, 현재까지 시스템의 상태가 안정되고 프레임 싱크가 규칙적으로 검출되는 안정된 상태에 있다 하더라도, 매번 ECC 단위가 끝날 때마다 시스템의 안정화 상태를 초기화시키고 싱크 패턴을 검출한다. 이는 링킹 영역 부분에서의 싱크 패턴에 에러가 생긴 경우, 시스템 안정화에 근거한 내삽 싱크 삽입을 불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링킹 영역의 길이가 예측 가능한 경우에 대비하여 디코딩 성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재기록 가능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데이터 신호열에서 링킹 영역의 길이를 예측하여 다음 프레임의 시작을 예측함으로써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 및 싱크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가 기록되는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는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VFO 신호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가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된 상기 VFO 신호부를 상기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인디케이터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부의 싱크 패턴을 검출 및 삽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신호부를 디코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코드 단계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점 이후에 보호윈도우를 재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설정된 보호윈도우에 기초하여 프레임 싱크를 검출 및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가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된 상기 VFO 신호부를 상기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부의 싱크 패턴을 복원하 여 상기 데이터 신호부를 디코드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싱크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검출하는 인디케이터 검출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부의 싱크 패턴을 검출 및 삽입함으로써 싱크를 출력하는 싱크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인디케이터 검출부는,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싱크 출력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점 이후에 보호윈도우 재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보호윈도우 재설정부와, 상기 보호윈도우 재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보호윈도우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보호윈도우에 따라 프레임 싱크를 검출 및 삽입하는 프레임 싱크 검출 및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DVD-RAM, HD DVD RW 등의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에서 재기록(re-write)에 의한 링킹 영역이 발생한 경우에도 뒤따르는 프레임의 위치를 예측가능하게 하여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재기록에 의한 링킹이 발생한 경우 링킹 영역이 가변적인 길이를 가지게 되나, 링킹 영역에 포함되는 VFO 필드내에 VFO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삽입하여 기록하고, 재생시 이러한 인디케이터를 검출함으로써, 뒤따르는 프레임의 위치를 예측가능하게 되고, 따라서 뒤따르는 프레임의 프레임 싱크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게 되어 디코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인디케이터가 삽입된 데이터 프레임 구조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VFO 신호부에 인디케이터를 삽입하여 기록한 데이터 프레임 구조도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데이터열은 VFO(41), 데이터(K)(42), POSTAMBLE(43), RESERVED(44), BUFFER(45), VFO(46), 데이터(K+1)(48)를 포함한다. 데이터열의 세부 영역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으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구조는 VFO(46)의 소정 위치에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된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a)에서는 링킹 영역이 BUFFER(45)와 VFO(46)로 이루어진다.
VFO(46)의 소정 위치에서 인디케이터(47)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점 즉, L 만큼의 구간 후에 데이터(K+1)(48)이 시작된다. 즉, 링킹 영역에서 사용되는 패턴과는 다른 패턴으로 이루어진 인디케이터를 VFO의 소정 위치에 배열하여 두면, 이후 디코드시에 VFO에서 인디케이터를 검출함으로써 소정 구간 즉 "L" 이후에 데이터(K+1)가 시작됨을 예측할 수 있게 된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데이터열은 VFO(41), 데이터(K)(42), POSTAMBLE(43), RESERVED(44), BUFFER(45), VFO(46), 데이터(K+1)(48)를 포함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VFO(46)의 소정 위치에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되 며, 다만, (b)의 데이터열에서는 VFO(46)의 선두가 BUFFER(45)의 중간부분에서 시작됨을 알 수 있다. (b)에서는 링킹 영역이 BUFFER(45)와 VFO(46)로 이루어진다.
도 4의 (c)를 참조하면, 데이터열은 VFO(41), 데이터(K)(42), POSTAMBLE(43), RESERVED(44), BUFFER(45), GUARD(49), VFO(46), 데이터(K+1)(48)를 포함한다. 도 4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VFO(46)의 소정 위치에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되며, 다만, (c)의 데이터열에서는 VFO(46)의 선두가 GUARD(49) 이후에 시작됨을 알 수 있다. (c)에서는 링킹 영역이 BUFFER(45)와, GUARD(49)와, VFO(46)로 이루어진다.
도 4의 (a), (b), (c) 는 링킹 영역의 위치와 구간의 길이가 모두 다르지만, VFO(46)의 일정한 위치에 인디케이터(47)를 삽입함으로써,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된 위치로부터 소정 구간 즉, "L" 이후에 다음 ECC 데이터, DATA(K+1)이 시작되는 위치를 예측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링킹 영역이 종료되고 나서 다음 데이터 블록이 시작되는 위치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으므로, 다음 데이터 블록이 시작되는 위치에서 프레임 싱크 검출 및 복원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VFO 신호부에 삽입된 인디케이터를 참조하여 보호윈도우를 재설정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a)는 재생 신호열의 검출 신호를 나타내고, (b)는 (a)의 재생 신호열로부터 검출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고, (c)는 (b)의 검출된 인디케이터에 따라 재설정되는 보호윈도우를 나타낸다.
(a)를 참조하면, ECC0 과 ECC1 사이에 링킹 영역 1이 위치하고, ECC1과 ECC2 사이에 링킹 영역 2가 위치하고, ECC 2 뒤에 링킹 영역 3이 위치한다. 각 링킹 영역에 포함되는 VFO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는 본 발명에 따라 VFO 인디케이터가 배열된다. 따라서, VFO 인디케이터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점 이후에 다음 프레임이 시작됨이 예측될 수 있다.
즉, 링킹 영역 1에 포함되는 VFO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VFO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되고, VFO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된 위치로부터 "L" 시점 이후에 ECC1 이 시작된다. 그리고, 링킹 영역 2에 포함되는 VFO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VFO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되고, VFO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된 위치로부터 "L" 시점 이후에 ECC2가 시작된다. 또한, 링킹 영역 3에 포함되는 VFO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VFO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되고, VFO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된 위치로부터 "L" 시점 이후에 ECC3가 시작될 것이다. 이와 같이 (a)에 도시된 링킹 영역 1, 링킹 영역 2, 링킹 영역 3은 모두 그 구간의 길이가 다르지만, VFO의 일정한 위치에 VFO 인디케이터를 배치함으로써, VFO 인디케이터가 배열된 위치로부터 일정한 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다음 프레임을 찾을 수 있게 된다.
(b)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VFO의 인디케이터는 VFO 에 사용되는 패턴과 식별되는 다른 패턴으로 가지므로, VFO 인디케이터를 검출할 수 있다.
(c)를 참조하면, (b)에서 검출된 인디케이터를 참조하여 보호윈도우를 재설정됨을 알 수 있다. 즉, VFO 인디케이터 검출 위치로부터 일정한 거리 떨어진 위치에서 프레임이 시작함을 알고 있으므로, VFO 인디케이터를 검출한 다음 "L" 시점 이후에 보호윈도우를 재설정하게 되면, 다음 프레임에서 시작되는 프레임 싱크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c)에는, 링킹 영역 1의 VFO 인디케이터에 의해 보호 윈도우(51)가 재설정되고, 링킹 영역 2의 VFO 인디케이터에 의해 보호 윈도우(52)가 재설정되고, 링킹 영역 3의 VFO 인디케이터에 의해 보호 윈도우(53)가 재설정됨이 표시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VFO 신호부에 삽입된 인디케이터를 참조하여 프레임 싱크를 검출하고 복원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도이다.
(a)는 재생 신호열의 검출 신호를 나타내고, (b)는 재생 신호열로부터 검출된 인디케이터를 나타내고, (c)는 보호윈도우를 나타내고, (d)는 보호 윈도우에 따라 출력되는 싱크를 나타낸다.
(a)를 참조하면, 재생 신호열의 검출 신호에 들어있는 VFO(61)의 일정한 위치에 VFO 인디케이터(47)가 배열된다.
(b)를 참조하면, (a)의 검출 신호의 VFO(61)에서 VFO에 사용되는 패턴과는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검출한 위치에서 인디케이터 검출 신호가 하이(high)(62)가 됨을 알 수 있다.
(c)를 참조하면, (b)에서 인디케이터 검출 신호가 하이가 된 시점으로부터 "L" 시점 이후에 보호 윈도우가 재설정되어 재설정된 보호 윈도우(63)가 배열됨이 표시되어 있다.
(d)를 참조하면, 재설정된 보호 윈도우(63)에 의해 다음 프레임의 프레임 싱크가 정확하게 검출되어 출력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 장치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록 장치는 인터페이스부(71)와, 싱크 패턴 발생부(72)와, VFO 패턴 발생부(73)와, 기록 시스템 타이밍 발생부(75)와, 선택부(76)와, 병렬/직렬 컨버터(77)와, 재생 시스템 타이밍 발생부(78)를 포함한다.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프리-핏(pre-pit) 어드레스가 정확하게 검출되면 재생 시스템 타이밍 발생부(78)는 ID 검출 신호를 출력하도록 동작하고, 기록 시스템 타이밍 발생부(75)를 초기화한다. 기록 시스템은 그 기록 시스템이 소정의 기록 포맷에 따라 기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록 시스템 타이밍 발생부(75)에 의해 발생된 여러가지 타이밍에 따라 제어된다.
구체적으로, 기록 시스템 타이밍 발생부(75)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 선택부(76), 병렬/직렬 컨버터(77)로 다수의 타이밍 신호를 공급하도록 동작한다.
선택부(76)는 인터페이스부(71)를 통해 제어부로부터의 데이터, 싱크 패턴 발생부(72)로부터의 싱크 패턴, VFO 패턴 발생부(73)로부터 VFO 패턴을 수신한다. 선택부(76)는 타이밍 발생부(75)로부터 전송된 타이밍 신호에 기초해서 이러한 신호들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병렬/직렬 컨버터(77)로 공급한다.
병렬/직렬 컨버터(77)는 선택부(76)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병렬/직렬로 변환하여 변환된 신호를 포맷에 따른 기록 데이터로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VFO 패턴 발생부(73)는 인디케이터 삽입부(74)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삽입부(74)는 VFO 패턴 발생부(73)에서 발생되는 VFO 패턴내에 VFO 패턴과는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VFO 패턴내의 정해진 위치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VFO 패턴내의 정해진 위치에 인디케이터를 삽입함으로써, 재생 장치는 VFO 패턴내에 배열된 인디케이터를 검출하고 나서 소정 시점 이후에 새로운 프레임이 시작되는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인디케이터 삽입부(74)는 인디케이터의 신뢰성있는 검출을 위해 인디케이터를 소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 삽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장치의 구성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된 구성은 재생 장치에 포함되는 모든 구성을 도시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싱크 검출과 관련된 디코딩부를 주로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재생 장치는 RF 재생부(81)와, VFO 검출부(82)와, PLL 회로(84)와, 이진 회로(85)와, 데이터 추출부(86)와, 싱크 검출부(87)를 포함한다.
재생 시스템은 VFO의 위치를 예측할 목적으로 엠보싱 기술로 디스크에 미리 기록된 프리-핏 어드레스 또는 섹터 마크를 검출하거나 VFO의 위치를 지정하는 재생 RF 신호를 검출하고, VFO의 재생 RF 신호의 위상을 끌기 위해 PLL을 활성화하도록 동작한다. 재생 RF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VFO의 위치가 특정된다. 그러면, PLL은 VFO 이후의 싱크를 검출하기 위해 활성화된다. 그리고나서 검출된 싱크 패턴은 동기화 패턴으로 사용된다.
디스크로부터 독출된 재생 RF 신호는 RF 재생부(81)를 통해서 증폭되고 등화된다. 처리된 신호는 VFO 검출부(82)와 이진 회로(85)로 공급된다.
VFO 검출부(82)는 VFO의 RF 재생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신호를 PLL 회로(84)로 공급한다. 이진 회로(85)는 RF 재생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그것을 데이터 추출부(86)로 공급한다. PLL 회로(84)는 디지털화된 RF 재생 신호를 풀인하 도록 동작하고, PLL 회로의 출력은 재생 클럭으로서 기능한다.
데이터 추출부(86)는 이진 회로(85)로부터 출력된 디지털화된 RF 재생 신호로부터 싱크와 데이터를 추출하고, 그것을 싱크 검출부(87)와 복조부(도시되지 않음)로 공급한다.
싱크 검출부(87)는 데이터 추출부(86)로부터 공급된 재생 RF 신호로부터 동기를 검출하고, 검출된 싱크를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VFO 검출부(82)는 인디케이터 검출부(83)를 포함한다. 인디케이터 검출부(83)는 입력되는 VFO 패턴으로부터, VFO 패턴과는 구별되는 다른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검출하면, 인디케이터 검출 신호를 싱크 검출부(87)의 보호윈도우 재설정부(88)로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싱크 검출부(87)는 보호윈도우 재설정부(88)와, 프레임 싱크 검출 및 삽입부(89)를 포함한다.
보호윈도우 재설정부(88)는 인디케이터 검출부(83)로부터 인디케이터 검출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점 이후에 보호윈도우 재설정 신호를 프레임 싱크 검출 및 삽입한다.
프레임 싱크 검출 및 삽입부(89)는 보호윈도우 재설정부(88)로부터 보호윈도우 재설정 신호를 수신하면, 보호윈도우를 재설정하여 프레임 싱크를 검출한다. 즉, 재설정된 보호윈도우가 발생할 때에 검출 싱크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보호윈도우가 발생할 때에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면 그 검출된 싱크를 싱크로서 출력하고, 보호윈도우가 발생할 때에 프레임 싱크가 검출되지 않으면 내삽 싱크를 삽입하 여 그 삽입된 싱크를 출력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싱크 검출 및 복원 방법의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며, 먼저 인디케이터 검출부(83)는 RF 재생부(81)로부터의 재생 신호로부터 VFO에서 인디케이터를 검출하고(단계 91), 인디케이터 검출 신호를 싱크 검출부(87)의 보호윈도우 재설정부(88)로 출력한다.
보호윈도우 재설정부(88)는 인디케이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인디케이터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점 이후에 보호윈도우 재설정 신호를 프레임 싱크검출 및 삽입부(89)로 출력한다(단계 92).
다음, 프레임 싱크 검출 및 삽입부는 보호윈도우 재설정부(88)로부터 수신된 보호윈도우 재설정 신호에 따라 보호 윈도우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보호 윈도우에 따라 프레임 싱크를 검출하거나 삽입한다(단계 93).
다음, 검출되거나 삽입된 프레임 싱크를 출력한다(단계 94).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 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링킹 영역이 가변적이라 하더라도 뒤따르는 데이터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으므로, 이를 통하여 싱크 패턴의 복원이 가능해져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프레임 싱크 패턴의 예측 위치에 보호 윈도우를 만들고, 시스템이 안정하기는 하지만 싱크 패턴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싱크 패턴이 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위치에 내삽 싱크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링킹 영역의 가변성에 의해 매번 하나의 ECC 마다 시스템의 안정환 성향을 초기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는 링킹 부분에서의 싱크 패턴에 에러가 생긴 경우, 시스템 안정화에 근거한 내삽 싱크 삽입이 가능해져 디코드 성능이 향상된다.

Claims (14)

  1.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가 기록되는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는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는 상기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기록 매체.
  3.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가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된 상기 VFO 신호부를 상기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방법.
  5.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인디케이터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부의 싱크 패턴을 검출 및 삽입함으로써 상기 데이터 신호부를 디코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 단계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점 이후에 보호윈도우를 재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재설정된 보호윈도우에 기초하여 프레임 싱크를 검출 및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방법.
  8.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가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열된 상기 VFO 신호부를 상기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는 상기 VFO 신호부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장치.
  10.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검출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부의 싱크 패턴을 복원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부를 디코드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부는,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생 장치.
  12. 재기록가능 기록 매체에 기록된 VFO 신호부와 데이터 신호부를 가지는 데이터 신호로부터 싱크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VFO 신호부에 사용되는 패턴과 구별되는 패턴을 가진 인디케이터를 검출하는 인디케이터 검출부와,
    상기 인디케이터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신호부의 싱크 패턴을 검출 및 삽입함으로써 싱크를 출력하는 싱크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 크 검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디케이터 검출부는,
    상기 VFO 신호부로부터 상기 인디케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검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 출력부는,
    상기 인디케이터가 검출된 시점으로부터 소정 시점 이후에 보호윈도우 재설정 신호를 출력하는 보호윈도우 재설정부와,
    상기 보호윈도우 재설정 신호에 기초하여 보호윈도우를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보호윈도우에 따라 프레임 싱크를 검출 및 삽입하는 프레임 싱크 검출 및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 검출 장치.
KR1020040034632A 2004-05-17 2004-05-17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및 싱크 검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584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632A KR100584598B1 (ko) 2004-05-17 2004-05-17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및 싱크 검출 장치
US11/062,584 US20050254376A1 (en) 2004-05-17 2005-02-23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sync detection apparatus
CNA2005100699341A CN1707665A (zh) 2004-05-17 2005-05-11 记录介质、记录和/或再现方法及设备、同步探测设备
EP05252950A EP1598825A2 (en) 2004-05-17 2005-05-13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recording and /or reproducing apparatus, and sync detection apparatus
JP2005142935A JP2005332566A (ja) 2004-05-17 2005-05-16 再記録可能な記録媒体、記録/再生方法、記録/再生装置及びシンク検出装置
PL05375178A PL375178A1 (en) 2004-05-17 2005-05-17 Method and device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signals, signal carrier, method for locating data field and device for detection of synchronization from data sig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4632A KR100584598B1 (ko) 2004-05-17 2004-05-17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및 싱크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662A KR20050109662A (ko) 2005-11-22
KR100584598B1 true KR100584598B1 (ko) 2006-05-30

Family

ID=34941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463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4598B1 (ko) 2004-05-17 2004-05-17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및 싱크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50254376A1 (ko)
EP (1) EP1598825A2 (ko)
JP (1) JP2005332566A (ko)
KR (1) KR100584598B1 (ko)
CN (1) CN1707665A (ko)
PL (1) PL3751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88920B2 (ja) * 2008-10-02 2013-04-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2566A (ja) * 1994-03-24 1995-10-13 Toshiba Corp 光ディスクと光ディスク装置
US5677935A (en) * 1995-01-11 1997-10-14 Matsu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nc detecting method and sync detecting circuit
JPH10124873A (ja) * 1996-10-23 1998-05-15 Sony Corp 信号記録方法および信号記録再生装置
JP3311616B2 (ja) * 1996-11-22 2002-08-05 三洋電機株式会社 再生回路
US6536011B1 (en) * 1998-10-22 2003-03-18 Oak Technology, Inc. Enabling accurate demodulation of a DVD bit stream using devices including a SYNC window generator controlled by a read channel bit counter
JP3528953B2 (ja) * 1999-05-20 2004-05-24 Tdk株式会社 シンクパターン検出方法および情報記録再生装置
US6493796B1 (en) * 1999-09-01 2002-12-10 Em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consistency of data stored in a group of mirroring devices
KR100798201B1 (ko) * 2000-09-01 2008-01-2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광디스크 매체, 광디스크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 방법
KR100524954B1 (ko) * 2003-03-17 2005-11-01 삼성전자주식회사 광 디스크 시스템에서 데이터 복조 에러를 감소시키는프레임 싱크 신호 검출 장치 및 검출 방법
JP2004355757A (ja) * 2003-05-30 2004-12-16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及び光ディスク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662A (ko) 2005-11-22
CN1707665A (zh) 2005-12-14
JP2005332566A (ja) 2005-12-02
PL375178A1 (en) 2005-11-28
US20050254376A1 (en) 2005-11-17
EP1598825A2 (en) 200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093B1 (ko) 광 기록 매체, 및 정보 재생 장치 및 방법
EP1482501B1 (e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for writable recording media
JP3708483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及び情報記録方法
US7414933B2 (en)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PLL circuit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KR100584598B1 (ko) 재기록 가능 기록 매체, 기록/재생 방법, 기록/재생 장치및 싱크 검출 장치
US20050213695A1 (en)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or,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synchronization signal detecting method
JP2006164490A (ja) 同期信号検出装置、同期信号検出方法、及び同期信号検出プログラム
JP4131213B2 (ja) 再生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40179454A1 (en) Method of recording data on recordable disk, method of protecting sync included in recorded data,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ata recorded on recordable disk
JP3853828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3861172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3788994B2 (ja) 情報記録媒体、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4150737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装置
JP4117899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US20050105440A1 (en) Disk apparatus and disk reproducing method
JP2006294183A (ja) ディスク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KR20030083091A (ko) 프레임 동기신호 검출장치 및 방법
JP2001148153A (ja) リード/ライト制御回路およびリード/ライト制御回路を備えた記録および/または再生装置
JPS61292276A (ja) フレ−ム同期検出装置
JP2007115399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JP2007087599A (ja)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5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