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4337B1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337B1
KR100584337B1 KR20030064102A KR20030064102A KR100584337B1 KR 100584337 B1 KR100584337 B1 KR 100584337B1 KR 20030064102 A KR20030064102 A KR 20030064102A KR 20030064102 A KR20030064102 A KR 20030064102A KR 100584337 B1 KR100584337 B1 KR 100584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ambling code
scrambling
base station
search
synchroniz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030064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7738A (ko
Inventor
류동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30064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4337B1/ko
Priority to JP2004268871A priority patent/JP4008909B2/ja
Priority to US10/941,091 priority patent/US20050088987A1/en
Priority to EP20040022045 priority patent/EP1517454A3/en
Priority to CNB2004101023577A priority patent/CN100380849C/zh
Publication of KR20050027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33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73Synchronisation aspects
    • H04B1/7083Cell search, e.g. using a three-step approa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2Intercell-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동기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과 슬롯동기를 획득하는 1단계 셀 탐색과, 상기 획득한 슬롯동기를 이용하여 제2동기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동기 채널 신호에서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동기와 상기 기지국이 속한 스크램블링코드 그룹을 검출하는 2단계 셀 탐색을 수행한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를 검출하는 3단계 셀 탐색 또는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함에 있어, 적어도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수신신호의 상관 에너지들을 구할 지,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상기 수신신호의 상관 에너지들을 구할 지 결정하고, 상기 결정에 따라 구한 출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상기 수신신호의 상관에너지들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 또는 레이크 수신기의 각 핑거에 할당할 다중경로들을 결정한다.
셀 탐색, 다중경로, UMTS, P-SCH, S-SCH, 스크램블링코드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ELL SEARCH AND MULTI-PATH SEARCH IN MOBILE COMMUNICATION}
도 1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기채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직렬방식에 의한 3단계 셀 탐색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일반적인 병렬방식에 의한 3단계 셀 탐색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다중경로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 3단계 셀 탐색하는 과정과 다중경로 탐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선택기가 3단계 셀 탐색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경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로 선택기가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하기 위해 설정한 경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셀 탐색과 다중경로 탐색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구성에서 상기 셀 탐색과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동기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과 비동기 방식을 이용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상기 동기 방식은 GPS 위성을 이용해 송신측과 수신측의 시간대를 맞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동기 방식에서 사용하는 GPS 위성은 미국이 군사용으로 개발한 위성이다. 그래서, 이에 대한 거부감과 경제적인 문제로 인하여 유럽에서는 비동기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하 동기 방식에 있어서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기를 맞추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 후 비동기 방식에 있어 동기를 맞추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동기 방식의 경우 의사 잡음 코드 타이밍을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채널은 순방향 파일럿 채널(Forward Pilot Channel)이다. 상기 순방향 파일럿 채널은 특정 기지국의 셀 영역 내에서 동작하는 모든 단말(Mobile Station : MS) 들이 상기 의사 잡음 코드 타이밍을 획득하기 위해, 즉 상기 모든 단말들이 상기 기지국과 동기를 획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데이터는 변조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사 잡음 코드만 확산된 채널이며 항상 전송된다. 동기 방식을 구성하는 모드 시스템은 GPS 위성에 의하여 상기 기지국들간에 상호 동기화가 획득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기지국들 각각은 동일한 의사 잡음 코드를 사용하면서 단지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상이한 오프셋(Offset)을 주어 상기 기지국들 상호간에 구분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즉 모든 기지국의 의사 난수 코드의 시작점을 GPS를 이용하여 시간적으로 일치시키고 각 단말은 자신이 속한 기지국의 옵셋을 획득함으로써 기지국 동기를 획득하는 동기 구조를 사용한다.
따라서 전 세계의 기지국간에는 시간 동기가 이루어져 있으므로 의사 난수 코드의 시작점을 모두 일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모든 기지국들이 동일한 코드를 사용하고 단지 기지국별로 고유한 칩(chip) 수 만큼씩 코드 시작 시점을 시간 지연시켜 사용함으로서 마치 종류가 다른 별개의 의사 난수 코드처럼 동작하도록 한다.
하지만 비동기 방식은 GPS 위성을 사용하지 않고 단말이 기지국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각 기지국별로 종류가 다른 스크램블링코드가 할당되며, 단말은 가장 가까운 기지국을 찾기 위해서 가장 먼저 모든 기지국에서 동일한 공통의 동기 채널로부터 슬롯의 타이밍을 계산한 다음 2차 동기채널로부터 프레임의 타이밍을 계산한다. 이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비동기 방식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기지국(Node B)들 각각에는 상기 기지국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셀 구분 코드(Cell Specific Code)가 할당되어 있고, 그 할당된 셀 구분 코드를 가지고 상기 비동기 방식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기지국 각각을 구분한다. 비동기 시스템에서는 218-1칩의 주기를 가지는 218-1개의 스크램블링 코드 중 10ms프레임 길이, 즉 38400의 칩의 길이를 가지는 512개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기지국을 구분하기 위하여 할당한다. 비동기 시스템의 스크램블링 코드 사용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3GPP 규격 TS25.213-530을 참고 하도록 하며,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의 부분만을 기술하였다.
그런데, 단말이 단말 자신이 속한 기지국을 탐색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동기 방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지국들 각각에 대한 탐색을 수행해야하기 때문에 상기 비동기 방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512개의 스크램블링 코드 모두에 대한 탐색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렇게 단말이 상기 비동기 방식 시스템을 구성하는 512개의 스크램블링 코드 모두에 대한 탐색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512개의 스크램블링 코드 모두의 위상에 대해서 검사하는 것이므로, 단말 자신이 속한 셀을 탐색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래서 상기 단말이 상기 비동기 방식 시스템에서 스크램블링 코드 모두에 대한 일반적인 셀 탐색 알고리즘을 적용한다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다단계 셀 탐색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있다. 상기 다단계 셀 탐색 알고리즘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비동기 방식 시스템에 속해 있는 다수개의 스크램블링 코드, 예를 들어 512개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소정 개수의 그룹, 예를 들어 64개의 그룹(Group 0~Group 63)으로 분류한다. 상기 분류된 64개의 그룹 각각에 서로 다른 그룹 구분 코드를 할당하여 코드 그룹을 구분하고, 상기 각각의 코드 그룹들은 8개의 스크램블링 코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이용하여 비동기 방식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도 1은 비동기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기채널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동기 채널은 제1차동기채널(Primary Synchronization Channel: P-SCH)과 제2차동기채널(Second Synchronization Channel: S-SCH)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동기채널의 1프레임은 슬롯#0 내지 슬롯#14로 구성된 15개의 슬롯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나의 슬롯은 2560칩(chips)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프레임은 38400칩으로 구성된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프레임은 15개의 슬롯들(slots)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P-SCH와 S-SCH는 매 슬롯들의 시작 부분에서 N(=256) 칩 길이만큼씩 전송되며, 상기 두 채널간에는 직교성이 유지됨에 따라 서로 중첩되어 전송된다. 공통 파일럿채널(Common Pilot Channel :CPICH)은 기지국마다 서로 다른 스크램블링코드를 사용하며, 상기 스크램블링코드의 주기는 하나의 프레임의 길이와 같다.
상기 P-SCH에 사용되는 제1동기코드
Figure 112005071515840-pat00001
는 각 슬롯 별로 동일하고 또한 모든 셀들이 동일하게 사용하며, 1슬롯의 1/10인 256칩 구간만 매 슬롯마다 반복해서 보낸다. 상기 P-SCH는 단말이 수신신호의 슬롯 타이밍을 찾는데 이용한다. 즉, 단말은 상기 P-SCH를 수신하여 제1동기코드인
Figure 112005071515840-pat00002
에 의해 기지국 타임 슬롯(Time Slot)의 동기를 획득한다.(셀 탐색 1단계)
상기 S-SCH에는 기지국의 제2동기코드, 즉 코드 그룹 지정 코드(
Figure 112003034234610-pat00003
)가 매핑되어 전송되고, 상기 P-SCH에 의해 타임 슬롯의 동기를 획득한 단말은 상기 S-SCH을 통해 코드그룹 지정코드와 프레임동기를 검출한다. 여기서, 상기 코드그룹 지정코드는 기지국이 속하는 코드 그룹을 결정하는 정보이다. 상기 단말은 코드그룹 지정코드와 프레임동기를 검출하기 위하여 콤마 프리 코드(COMMA FREE CODE)를 사용한다. 상기 콤마 프리 코드는 64개 코드워드들로 구성 되어 있고, 하나의 코드워드는 15개의 심볼들로 구성되며, 상기 15개의 심볼들은 매 프레임마다 반복해서 전송된다. 그런데, 상기 15개의 심볼들의 값은 바로 전송되는 것이 아니라, 앞에서도 밝힌 바와 같이 상기 제2동기코드
Figure 112003034234610-pat00004
, ....,
Figure 112003034234610-pat00005
중 하나의 제2동기코드에 매핑되어 전송된다. 즉,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마다 심볼 값 i에 해당되는 i번째 제2동기코드가 전송된다. 상기 콤마 프리 코드의 64개의 코드워드는 64개 코드그룹을 구분한다. 상기 콤마 프리 코드의 특징은 각 코드워드들의 사이클릭 시프트(Cyclic Shift)가 유일하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여러 슬롯구간동안의 제2동기채널에 대하여 제2동기코드들을 상관시키고, 이를 64개의 코드워드들과 각각에 대한 15 사이클릭 시프트를 검사함으로써 코드그룹과 프레임 동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동기라 함은 확산대역시스템의 스크램블링 확산코드의 한 주기내의 타이밍 또는 위상에 대한 동기를 뜻한다. 현재 W-CDMA 시스템에서는 확산코드의 한 주기와 프레임의 길이가 10ms이므로, 이를 프레임동기라 한다.(셀 탐색 2단계)
전술한 셀 탐색 1단계와 셀 탐색 2단계의 수행에 의해 상기 단말은 상기 P-SCH와 S-SCH를 통해 슬롯 동기와 기지국 그룹 지정코드 및 프레임 동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단말은 아직 상기 획득한 기지국 그룹 지정코드에 따른 코드그룹내의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에서 어느 것이 자신이 속하는 기지국의 스크램블링코드인지를 알지 못하므로 동기는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단말은 수신된 CPICH와 상기 코드그룹 내에 속한 8개의 스크 램블링코드들에 대해 상관을 취함으로서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에 어느 것이 자신이 사용할 스크램블링코드인지를 식별할 수 있다.(셀 탐색 3단계)
도 2는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3단계 셀 탐색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는 역확산부, 동기누적부, 비동기누적부, 제어부,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로 구성된다. 상기 역확산부(202)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를 역확산한다. 상기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신신호는 I채널로 수신된 신호와 Q채널로 수신된 신호로 구분된다. 상기 역확산부(202)에서 역확산된 신호는 동기누적부(204)로 전달된다. 상기 동기누적부(204)는 I채널, Q채널 각각에 따라 합산기(210 또는 214)와 누적기(212 내지 216)로 구성된다. 상기 합산기(210)는 역확산부(202)로부터 전달된 확산된 I채널 신호와 상기 누적기(212)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합산한다. 상기 합산기(214)는 역확산부(202)로부터 전달된 확산된 Q채널 신호와 상기 누적기(216)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합산한다. 상기 누적기(212)는 상기 합산기(210)로부터 전달된 합산신호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기(216)는 상기 합산기(214)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누적한다. 상기 동기누적부(204)는 설정된 회수만큼 누적한 후 누적된 동기신호를 비동기누적부(206)로 전달된다.
상기 비동기누적부(206)는 제곱기들(220, 222)과 합산기들(224, 226)들과 누적기(228)로 구성된다. 상기 제곱기(220)는 상기 동기누적부(204)로부터 전달된 동기누적된 I채널신호에 대해 제곱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제곱기(222)는 상기 동기누적부(204)로부터 전달된 동기누적된 Q채널신호에 대해 제곱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합산기(224)는 상기 제곱기들(220 내지 222)로부터 전달된 I채널신호와 Q채널신 호를 합산한 후 합산기(226)로 전달한다. 상기 합산기(226)는 합산기(224)로부터 전달된 합산신호와 상기 누적기(228)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합산한다. 상기 누적기(228)는 상기 합산기(226)로부터 전달된 합산신호를 누적한다. 상기 비동기누적부(206)는 설정된 회수만큼 누적한 후 누적된 비동기신호를 제어부(208)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비동기누적부(206)로부터 전달된 비동기누적신호에 대한 에너지 값들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동기누적부의 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3034234610-pat00006
)와 상기 비동기누적기의 비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3034234610-pat00007
)를 설정하여 상기 동기누적부(204), 비동기누적부(206)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생성하여 상기 역확산부(202)로 전달하도록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00)를 제어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00)는 상기 제어부(208)의 제어명령에 따라 일정시간간격으로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순차적으로 발생시켜 상기 역확산부(202)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208)는 상기 비동기누적부(206)로부터 전달된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비동기누적신호에 대한 에너지 값을 비교함으로서 가장 큰 에너지 값을 가지는 스크램블링 코드를 상기 단말이 속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로 획득한다.
도 3은 비동기 이동통신시스템의 3단계 셀 탐색 과정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2는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가 일정시간 단위로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하지만 상기 도 3은 8개의 각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는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만을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300)에 대해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1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302)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2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304)에 대해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8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역확산부1(310)은 수신신호를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300)에서 생성된 제1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2(312)는 상기 수신신호를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302)에서 생성된 제2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8(314)은 상기 수신신호를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304)에서 생성된 제8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역확산이 수행된 수신신호는 동기누적부로 전달된다. 즉, 상기 역확산부1(310)에서 역확산된 수신신호는 동기누적부1(320)로 전달된다. 상기 역확산부2(312)에서 역확산된 수신신호는 동기누적부2(322)로 전달된다. 상기 역확산부8(314)에서 역확산된 수신신호는 동기누적부8(324)로 전달된다. 상기 동기누적부1(320) 내지 동기누적부8(324)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도 2의 동기누적부(204)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동기누적부1(320) 내지 동기누적부8(324)에서 동기누적된 신호는 비동기누적부1(330) 내지 비동기누적부8(334)로 전달된다. 상기 비동기누적부1(330) 내지 비동기누적부8(334)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도 2의 비동기누적부(206)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비동기 누적부1(330) 내지 비동기누적부8(334)에서 비동기누적된 신호들은 제어부(34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동기누적부1(320) 내지 동기누적부8(324)의 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3034234610-pat00008
)와 상기 비동기누적부1(330) 내지 비동기누적부(334)의 비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3034234610-pat00009
)를 설정하여 상기 동기누적부들(320 내지 324), 비동기누적부들(330 내지 334)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비동기누적부들(330 내지 334)로부터 전달된 비동기누적신호에 대한 에너지 값들을 크기순으로 순차적으로 정렬한다. 상기 정렬된 에너지 값들 중 가장 큰 에너지 값을 생성한 스크램블링코드를 검출함으로서, 상기 단말이 속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도 3은 상기 도 2에 비해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를 검츨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축된다는 이점은 있으나, 복잡도가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단말은 또한 현재 자신이 속해있는 기지국의 동기를 획득한 이후에 인접기지국들에 대한 코드정보를 내려받는데 이들 코드들에 대하여 3단계 셀탐색 중 3단계 과정만을 수행함으로써 셀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3단계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은 위에서 언급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단말은 무선채널 환경 또는 핸드오프 상황에서 최적의 기지국 다중경로신호를 수신하기 위해서 현재 자신이 속해있는 기지국과 인접 기지국들의 신호들의 세기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이 경우 상기 단말은 상기 다단계 셀 탐색 알고리즘에 의하여 혹은 기지국으로부터 인접 기지국들의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를 획득한 이후 해당 기지국의 CPICH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상관을 취한다. 하기에서는 전 술한 3단계 셀탐색에 의해서 수행되는 초기 셀 탐색과정과 구분하기 위해서 다이버시티 효과를 얻기 위하여 레이크 수신기의 핑거에 서로 다른 확산 지연을 갖는 다중 경로를 할당하기 위하여 다중경로를 탐색하는 과정을 다중경로탐색이라 한다. 상기 다중경로탐색은 도 2의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00)를 통하여 발생되는 스크램블링코드의 위상을 변화시켜 상관을 수행함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도 4는 일반적인 다중경로 탐색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410)는 상기 제어부(45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칩단위로 버퍼들(400 내지 407)로 전달한다. 상기 버퍼들(400 내지 407)은 8칩을 임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410)로부터 전달된 칩 단위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8개로 구성된 버퍼들(400 내지 407)에 각각 저장한다. 다중화기(408)는 상기 8개의 버퍼(400 내지 407)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일정시간단위로 역확산부(420)로 전달한다. 상기 일정시간단위는 1/8칩이다. 따라서, 상기 각 버퍼들(400 내지 407)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들에 1/8칩단위로 상기 역확산부(420)로 전달함으로 1칩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8개의 버퍼들(400 내지 407)에 저장되어 있는 모든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다중화기(408)는 첫 번째 1/8칩 시간동안 버퍼1(400)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역확산부(42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408)는 두 번째 1/8칩 시간동안 버퍼2(401)에 저장되어 있는 일정시간(
Figure 112005071515840-pat00030
) 지연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역확산부(42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408)는 세 번째 1/8칩 시간동안 버퍼3(402)에 저장되어 있는
Figure 112005071515840-pat00011
지연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역확산부(42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408)는 1칩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버퍼8(407)에 저장되어 있는
Figure 112005071515840-pat00012
지연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역확산부(420)로 전달한다.
상기 역확산부(420)는 상기 칩 단위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전달받는다. 상기 역확산부(420)는 상기 첫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수신신호를 버퍼1(400)에서 전달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한다. 상기 역확산부(420)는 상기 두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수신신호를 버퍼2(401)에서 전달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한다. 상기 역확산부(420)는 1칩의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수신신호를 버퍼8(407)에서 전달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한다. 상기 역확산된 수신신호들은 동기누적부(430)로 전달된다. 상기 동기누적부(430)는 1/8칩 단위로 역확산된 수신신호를 누적하고, 상기 누적된 값을 비동기누적부(440)로 전달한다. 상기 비동기누적부(440)는 전달된 신호를 비동기누적하여 상기 제어부(450)로 전달한다. 상기 비동기누적부(440)의 비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5071515840-pat00013
)는 상기 제어부(450)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제어부(450)는 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3034234610-pat00014
)와 비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3034234610-pat00015
)를 설정하여 상기 동기누적부(430), 비동기누적부(44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450)는 상기 비동기누적값을 전달받음으로서 특정 셀에 대한 스크램블링코드의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8개의 상관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8개의 상관결과를 이용하여 각 핑거에서 복조를 수행하도록 할당할 양호한 다중경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도 2 내지 도 4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셀 탐색 을 위한 구성과 상기 다중경로를 탐색하기 위한 구성을 별개의 구성으로 가지고 있으므로 인해 셀 탐색하기 위한 구성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논의된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3단계 셀 탐색과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3단계 셀 탐색과 다중경로 탐색을 하나의 구성에서 수행함으로서 셀 탐색을 위한 구성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3단계 셀 탐색과 다중경로 탐색을 하나의 구성에서 수행함으로서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안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제1동기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과 슬롯동기를 획득하는 1단계 셀 탐색과, 상기 획득한 슬롯동기를 이용하여 제2동기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동기 채널 신호에서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동기와 상기 기지국이 속한 스크램블링코드 그룹을 검출하는 2단계 셀 탐색을 수행한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를 검출하는 3단계 셀 탐색 또는 다중경로를 탐색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미리 설정된 시간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수신신호의 상관 에너지들을 구할 지,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상기 수신신호의 상관 에너지들을 구할 지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에 따라 출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상기 수신신호의 상관에너지들을 구하는 과정과, 상기 구한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상관 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 또는 레이크 수신기의 각 핑거에 할당할 다중경로들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기 위해 제1동기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과 슬롯동기를 획득하는 1단계 셀 탐색과, 상기 획득한 슬롯동기를 이용하여 제2동기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동기 채널 신호에서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동기와 상기 기지국이 속한 스크램블링코드 그룹을 검출하는 2단계 셀 탐색을 수행한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를 검출하는 3단계 셀 탐색 또는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셀 탐색 또는 다중경로 탐색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전달된 상관 에너지들을 비교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 또는 레이크 수신기의 각 핑거에 할당할 다중경로들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기와,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 코드들을 미리 설정된 시간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하나의 스크램블링 코드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다중화기와, 상기 출력된 각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수신신호의 상관 에너지를 구하여 전달하 는 누적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3단계 셀 탐색 과정과 다중경로 탐색 과정을 수행하는 하나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먼저 상기 도 5를 이용하여 상기 3단계 셀 탐색 과정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부(570)는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500 내지 506)에 대해 상기 단말이 획득한 상기 단말이 속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코드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500)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8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3(502)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3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504)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2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506)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1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500)은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8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 경로선택부(580)로 전달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3(502)은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3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 경로선택부(580)로 전달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504)는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2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 경로선택부(580)로 전달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506)은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1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 경로선택부(580)로 전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에서는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한 개의 스크램블링코드 생성기에서 동시에 다수개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에 대하여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P2000-38991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인접 기지국들에 대하여 셀탐색을 수행할 경우에는 2단계 탐색에서 얻어진 코드그룹에 속한 스크램블링 코드가 아니라 기지국들로부터 내려받은 코드정보를 바탕으로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가 스크램블링 코드를 생성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더불어 인접 기지국들에 대한 스크램블링 코드 정보가 8개 이상일 때를 대비하여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 생성기 및 버퍼 등의 개수와 동작 클럭의 속도는 적응적으로 변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서 8개의 스크램블링 코드에 대하여 위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고 나머지 스크램블링 코드에 대하여 다음 칩시간에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수행하는 방법 및 위에서 설명한 구성을 복수개 구비하여 동시에 모든 인접기지국의 스크램블링 코드를 탐색하는 방법 등도 고려될 수 있다.
상기 경로선택부(580)는 상기 제8스크램블링코드를 버퍼8(510)로 전달한다. 상기 경로선택부(580)는 제3스크램블링코드를 버퍼3(515)으로 전달한다. 상기 경로선택부(580)는 상기 제2스크램블링코드를 버퍼2(516)로 전달한다. 상기 경로선택부(580)는 상기 제1스크램블링코드를 버퍼1(517)로 전달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제어부(570)의 제어 명령이 버퍼1(517)로만 전달되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 명령은 버퍼1(517) 내지 버퍼8(510)로 전달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상기 버퍼1(517) 내지 버퍼 8(510)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즉, 상기 다중화기(520)는 1/8칩 시간단위로 상기 버퍼1(517) 내지 버퍼 8(510)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첫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버퍼8(510)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여섯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버퍼3(515)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일곱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버퍼2(516)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여덟 번 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버퍼1(517)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칩 단위로 전달받는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전달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상기 첫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다중화기(520)로부터 전달된 제8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전달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상기 여섯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다중화기(520)로부터 전달된 제3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전달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상기 일곱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다중화기(520)로부터 전달된 제2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전달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상기 여덟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다중화기(520)로부터 전달된 제1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1/8칩 단위로 역확산한 상기 수신신호를 동기누적부(540)로 전달한다. 상기 동기누적부(540)는 합산기들(542, 546)과 누적기들(544, 548)로 구성된다. 상기 합산기들(542, 546)은 상기 역확산부(530)로부터 전달된 확산된 수신신호와 누적기들(544, 548)로부터 전달된 누적신호를 합산한다. 상기 누적기(544)는 상기 합산기(542)에서 합산한 신호들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합산기(542)로 전달한다. 상기 누적기(548)는 상기 합산기(546)에서 합산한 신호들을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합산기(546)로 전달한다. 상기 합산기들(542, 546)과 상기 누적기들(544, 548)은 1/8칩 단위로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동기누적부(540)는 상기 역확산부(530)로부터 전달된 역확산된 수신신호를 설정 횟수동안 누적한 후 비동기누적부(550)로 전달한다.
상기 비동기누적부(550)는 제곱부들(552, 554)과 합산기들(556, 558)과 누적 기(560)로 구성된다. 상기 제곱부들(552, 554)은 상기 동기누적부(540)로부터 전달된 누적신호에 대해 제곱 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제곱 연산이 수행된 I채널수신신호와 Q채널수신신호는 합산기(556)에서 합산된다. 상기 합산기(558)는 상기 합산기(556)에서 전달된 합산신호와 상기 누적기(560)로부터 전달된 누적신호를 합산한다. 상기 누적기(560)는 상기 합산기(558)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누적한다. 상기 비동기누적부(550)의 누적간격은 상기 동기누적부(540)의 동기누적신호 전달간격에 따라 결정된다. 상기 누적기(560)는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 별로 각각 누적되어 저장된다. 상기 비동기누적부(550)는 상기 설정 회수동안 상기 동기신호를 누적한 후 제어부(570)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비동기누적부(550)가 전달한 각 스크램블링코드에 따른 누적신호들을 전달받는다. 상기 전달받은 각 스크램블링코드에 따른 누적신호들 중 가장 큰 누적신호를 탐색한다. 상기 탐색된 누적신호에 해당하는 스크램블링코드가 상기 단말이 속한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이다. 또한 인접 셀에 대한 탐색일 경우에는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넘는 스크램블링코드들이 할당된 기지국들에 대하여 활성기지국 등으로 관리하게 될 것이다. 상기 제어부(570)는 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3034234610-pat00016
)와 비동기누적 횟수(
Figure 112003034234610-pat00017
)를 설정하여 상기 동기누적부(540), 비동기누적부(55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 제안한 구성을 이용하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3단계 셀 탐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도 5의 경로선택부(580)에 의해 선택된 경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500)에서 생성된 제8스크램블링코드는 버퍼8(510)로 전달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3(502)에서 생성된 제3스크램블링코드는 버퍼3(515)으로 전달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504)에서 생성된 제2스크램블링코드는 버퍼2(516)로 전달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506)에서 생성된 제1스크램블링코드는 버퍼1(517)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각 버퍼들(510 내지 517)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상기 다중경로 탐색 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500 내지 506)에 대해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를 각각 생성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500)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8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3(502)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3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504)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2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506)에 대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1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명령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500)은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8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 경로선택부(580)로 전달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3(502)은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3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 경로선택부(580)로 전달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2(504)는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2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 경로선택부(580)로 전달한다.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506)은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명령에 의해 상기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제1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 경로선택부(580)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모든 스크램블링 코드생성부가 각각 스크램블링 코드를 생성하도록 제어됨을 설명되고 있지만 다른 구현예로써 초기 셀 탐색에서 검색된 스크램블링 코드들만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방법과 활성 셀 내에 존재하는 스크램블링 코드들만을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방법 등도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상기 경로선택부(580)는 전달된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버퍼1(517)로 전달한다. 활성 기지국이 하나일 경우에는 해당 활성 기지국의 스크램블링 코드가 상기 버퍼1(517)로 전달될 것이다. 또한 활성기지국이 여러 개일 경우에는 각 기지국의 스크램블링 코드에 대하여 상기 동작을 순차적으로 반복하든가 복수개의 구성을 포함하여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버퍼1(517)은 전달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순차적으로 버퍼8(510)까지 전달한다. 상기 도 5에서는 제어부(570)의 제어 명령이 버퍼1(517)로만 전달되도록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제어부(570)의 제어 명령은 버퍼1(517) 내지 버퍼8(510)로 전달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첫 번째 1/8칩 시간동안 버퍼8(510)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여섯 번째 1/8칩 시간동안 버퍼3(515)에 저장되어 있는 일정시간(
Figure 112005071515840-pat00031
) 지연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일곱 번째 1/8칩 시간동안 버퍼2(516)에 저장되어 있는
Figure 112005071515840-pat00019
지연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다중화기(520)는 여덟 번 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버퍼1(507)에 저장되어 있는 스크램블링코드를 역확산부(530)로 전달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칩 단위로 전달받는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전달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상기 첫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다중화기(520)로부터 전달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전달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상기 여섯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다중화기(520)로부터 전달된
Figure 112003034234610-pat00020
지연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전달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상기 일곱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다중화기(520)로부터 전달된
Figure 112003034234610-pat00021
지연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전달된 I채널 수신신호와 Q채널 수신신호를 상기 여덟 번째 1/8칩 시간동안 상기 다중화기(520)로부터 전달된
Figure 112003034234610-pat00022
지연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역확산을 수행한다.
상기 역확산부(530)는 1/8칩 단위로 역확산한 상기 수신신호를 동기누적부(540)로 전달한다. 상기 동기누적부(540)와 비동기누적부(55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상기 3단계 셀 탐색 과정에서 상기 동기누적부(540)와 비동기누적부(550)에서 수행되는 동작과 동일하다.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비동기누적이 완료되면 특정 셀에 대한 스크램블링코드의 서로 다른 지연시간을 가지는(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는) 8개의 상관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8개의 상관결과를 이용하여 레이크 수신기의 핑거에서 복조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기준을 초과하는 무선경로들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570)는 상기 활성기지국에 할당된 스크램블링 코드들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다중경로 탐색과정을 수행하도록 경로선택부(580)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성을 복수개 구비하고 있다면 동시에 다중경로 탐색이 수행되도록 제어해야 할 것이다.
도 5는 8개의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들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최대 8개 셀의 스크램블링코드에 대한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는 셀마다 해당 셀 스크램블링코드에 대한 다중경로 탐색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를 초기화한 후 탐색과정을 수행한다. 특정 셀에 대한 다중경로 탐색 과정이 종료되면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를 초기화하고, 탐색하고자 하는 셀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여야 한다.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이용하여 다른 셀에 대한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본원 발명에서는 각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들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는 셀들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도록 지시한 후,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를 순차적으로 적용함으로서 인접 셀들에 대한 다중경로 탐색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경로 탐색을 위한 경로선택부(580)의 경로 선택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7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경로선택부(580)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500) 내지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506)에서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스크램블링코드를 버퍼1(517)로 전달한다. 상기 버퍼1(517)로 전달된 스크램블링코드는 버퍼8(500)까지 순차적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도 6과 달리 상기 버퍼1(508) 내지 버퍼 8(510)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경로선택부(580)는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1(506) 내지 스크램블링코드 생성부8(500)에서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버퍼1(517)로 전달함으로서 생성된 모든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해 다중경로 탐색과정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의 3단계 셀 탐색과 다중경로 탐색과정을 하나의 구성에서 수행함으로 셀 탐색 구성의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셀들에 대해 다중경로 탐색과정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복수 개의 셀들에 대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미리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순차적으로 이용함으로서 다중경로 탐색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12)

  1. 제1동기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과 슬롯동기를 획득하는 1단계 셀 탐색과, 상기 획득한 슬롯동기를 이용하여 제2동기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동기 채널 신호에서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동기와 상기 기지국이 속한 스크램블링코드 그룹을 검출하는 2단계 셀 탐색을 수행한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를 검출하는 3단계 셀 탐색 또는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무선채널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스크램블링 타이밍과 동일한 타이밍에 디스크램블링되도록 출력하여 상기 수신한 무선채널 신호와 각각 상관처리할지,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 중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에 대하여 미리 결정된 칩 시간단위의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수신한 무선채널 신호와 각각 상관처리하여 상기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할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에 따라 상기 출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에 대한 상관 에너지값을 구하고, 상기 구한 상관 에너지값을 이용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를 획득하거나 레이크 수신기의 각 핑거에 할당할 다중경로들을 결정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셀 탐색은,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그룹에 포함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동일 개수의 버퍼들로 하나씩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경로 탐색은,
    상기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복수 개의 버퍼 중 첫 번째 버퍼로 전달한 후, 상기 첫 번째 버퍼로 전달된 상기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미리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지연시켜서 상기 복수 개의 버퍼 중 마지막 버퍼까지 전달함을 특징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방법.
  5. 제1동기채널 신호를 수신하여 기지국과 슬롯동기를 획득하는 1단계 셀 탐색과, 상기 획득한 슬롯동기를 이용하여 제2동기 채널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2동기 채널 신호에서 상기 기지국의 프레임동기와 상기 기지국이 속한 스크램블링코드 그룹을 검출하는 2단계 셀 탐색을 수행한 단말에서, 상기 기지국이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를 검출하는 3단계 셀 탐색 또는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3단계 셀 탐색 또는 다중경로 탐색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전달된 상관 에너지들을 비교하여 상기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스크램블링코드 또는 레이크 수신기의 각 핑거에 할당할 다중경로들을 결정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명령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하는 스크램블링코드 생성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미리 결정된 칩 시간 단위의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미리 결정된 칩 시간 단위의 지연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경로선택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경로선택부로부터 입력된 복수의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상기 기지국에서 수신된 신호의 스크램블링 타이밍과 동일한 타이밍에 상기 수신신호와 각각 상관하거나, 상기 경로선택부로부터 상기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상기 미리 결정된 칩 시간 단위의 지연을 가지고 출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상기 수신신호와 각각 상관하여 출력하는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3단계 셀 탐색을 수행하도록 지시되면, 상기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들을 동일 개수의 버퍼들로 중첩되지 않게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선택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다중 경로 탐색을 수행하도록 지시되면, 상기 생성된 스크램블링코드들 중 상기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선택하여 복수 개의 버퍼 들중 첫 번째 버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다중화기에서 출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상기 수신신호와 각각 상관하여 상관 에너지를 구하는 누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화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버퍼들로부터 상기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순차적으로 전달받아서 상기 누적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선택부는,
    상기 첫 번째 버퍼로 전달된 상기 스크램블링코드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지연시켜서 마지막 버퍼까지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그룹에 포함된 스크램블링코드들에 중첩되지 않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크램블링코드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램블링코드 생성기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중경로 탐색을 수행할 복수 개의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상기 다중화기에서 출력된 스크램블링코드들을 상기 수신신호와 각각 상관하여 상관 에너지를 구하는 누적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중화기는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상기 버퍼들로부터 상기 스크램블링 코드들을 순차적으로 전달받아서 상기 누적부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KR20030064102A 2003-09-16 2003-09-1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584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4102A KR100584337B1 (ko) 2003-09-16 2003-09-1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JP2004268871A JP4008909B2 (ja) 2003-09-16 2004-09-15 移動通信システムでセル探索及び多重経路探索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10/941,091 US20050088987A1 (en) 2003-09-16 2004-09-15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ell and multi-path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0040022045 EP1517454A3 (en) 2003-09-16 2004-09-16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cell and multi-path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B2004101023577A CN100380849C (zh) 2003-09-16 2004-09-16 移动通信系统中用于搜索小区和多径的装置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30064102A KR100584337B1 (ko) 2003-09-16 2003-09-1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738A KR20050027738A (ko) 2005-03-21
KR100584337B1 true KR100584337B1 (ko) 2006-05-26

Family

ID=3419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30064102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4337B1 (ko) 2003-09-16 2003-09-16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88987A1 (ko)
EP (1) EP1517454A3 (ko)
JP (1) JP4008909B2 (ko)
KR (1) KR100584337B1 (ko)
CN (1) CN10038084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4395B2 (en) 2003-07-28 2012-07-31 Sonos, Inc.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operations among a plurality of independently clocked digital data processing devices
JP2006180146A (ja) * 2004-12-22 2006-07-06 Nec Corp Cdma受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パスサーチ方法
WO2006078234A1 (en) * 2005-01-14 2006-07-27 Thomson Licensing Cell search using rake searcher to perform scrambling code determination
US8059776B2 (en) 2005-01-14 2011-11-1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sub-chip resolution for secondary cell search
KR100705899B1 (ko) * 2005-02-17 200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동기 단말 모뎀의 초기 셀 탐색기 및 다운 링크 공간 시간 전송 다이버서티 인코딩 식별자 검출 방법
US20070064642A1 (en) * 2005-09-21 2007-03-22 Hiroaki Watabe Cell search of time-overlapping cel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102900B2 (en) 2006-04-07 2012-01-24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gold code generation and management in WCDMA systems
CN101405986B (zh) 2006-07-25 2012-05-23 韩国电子通信研究院 小区搜索方法、前向链路帧传送方法、利用其的设备和前向链路帧结构
JP4822971B2 (ja) * 2006-07-28 2011-11-24 富士通株式会社 無線基地局装置及びその逆拡散処理装置
KR100921769B1 (ko) 2007-07-12 2009-10-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셀 탐색 방법
KR20090009693A (ko) * 2007-07-20 2009-0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하향링크 프레임 생성 방법 및 셀 탐색 방법
US20090097452A1 (en) * 2007-10-12 2009-04-16 Qualcomm Incorporated Femto cell synchronization and pilot search methodology
JP5682173B2 (ja) * 2010-08-09 2015-03-1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基地局間同期方法、同期情報のデータ構造、及び同期要求のデータ構造
US8767708B2 (en) * 2010-12-30 2014-07-0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for cell search in synchronous interference limited channels
US20130142057A1 (en) * 2011-12-01 2013-06-06 Broadcom Corporation Control Channel Acquisition
US9385778B2 (en) * 2014-01-31 2016-07-05 Qualcomm Incorporated Low-power circuit and implementation for despreading on a configurable processor datapath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6224B2 (ja) * 1996-10-23 2003-02-1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Ds−cdma基地局間非同期セルラ方式における初期同期方法および受信機
KR100386167B1 (ko) * 1999-04-27 2003-06-02 가부시키가이샤 요잔 직접확산 부호분할 다중통신 수신장치
JP3473695B2 (ja) * 2000-08-30 2003-12-08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W−cdmaシステムにおけるセルサーチ方法及び回路
KR100342483B1 (ko) * 2000-09-09 2002-06-28 윤종용 비동기방식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 탐색 장치 및방법
JP3729329B2 (ja) * 2000-09-19 2005-12-21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のセルサーチ方法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移動局
JP2002118496A (ja) * 2000-10-06 2002-04-1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セルサーチ判定回路
JP2002305466A (ja) * 2001-04-06 2002-10-18 Nec Microsystems Ltd レイク受信装置
US20030072282A1 (en) * 2001-10-17 2003-04-17 Ying-Chang Liang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downlink receiver
KR100479169B1 (ko) * 2001-10-26 2005-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셀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401954B1 (ko) * 2001-11-01 2003-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지국의 시공 전송 다이버시티 부호화 사용 여부 판정장치 및 그 방법
US7756085B2 (en) * 2001-11-20 2010-07-13 Qualcomm Incorporated Steps one and three W-CDMA and multi-mode searching
US7139256B2 (en) * 2001-12-12 2006-11-21 Quicksilver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nd identifying scrambling codes
KR100474683B1 (ko) * 2002-08-23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의 동기 획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17454A3 (en) 2006-01-25
EP1517454A2 (en) 2005-03-23
CN1619981A (zh) 2005-05-25
US20050088987A1 (en) 2005-04-28
KR20050027738A (ko) 2005-03-21
JP2005102211A (ja) 2005-04-14
JP4008909B2 (ja) 2007-11-14
CN100380849C (zh)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92285B1 (en) Apparar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channels in a w-cdma communication system
US7532590B2 (en) Cell search apparatus and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173931B1 (en) Cell search apparatus and method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386013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マルチ探索を提供するセル探索装置および方法
KR10058433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셀 탐색 및 다중경로 탐색 장치 및방법
EP1199820B1 (en) DS-CDMA synchronization method, receiving apparatus, and mobile station
KR100762602B1 (ko)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기준 타이밍생성장치 및 방법
EP1211816B1 (en) CDMA mobil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base station detecting method used therefor
WO2001039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ilot search using a matched filter
CN100583716C (zh) 搜索移动通信系统的多径的方法和装置
US20040165566A1 (en) Dual mode modem and method for integrated cell searching
KR10061833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초기 탐색 장치 및 방법
KR100629680B1 (ko) 비동기식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에서의 오프라인 셀탐색 장치 및 방법
KR20010026575A (ko) 직접 확산 - 코드분할 다중접속방식 시스템에서 초기동기 획득을 위한 탐색 장치 및 방법
AU2004201497B2 (en) Spreading Code Synchronization Method, Receiver, and Mobile Station
KR100311527B1 (ko) 고속 다중 경로 획득 방법 및 그를 위한 수신 장치
JP2002158614A (ja) Cdma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0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