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3224B1 - 부상유의 회수 펌프 - Google Patents

부상유의 회수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224B1
KR100583224B1 KR1020000000794A KR20000000794A KR100583224B1 KR 100583224 B1 KR100583224 B1 KR 100583224B1 KR 1020000000794 A KR1020000000794 A KR 1020000000794A KR 20000000794 A KR20000000794 A KR 20000000794A KR 100583224 B1 KR100583224 B1 KR 100583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assage
floating oil
recovery
pump
mo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2446A (ko
Inventor
모리요지
하시모또마사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케미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케미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월드 케미컬
Publication of KR20000062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22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 F04D7/04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o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66Floating-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21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 F04D13/02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containing a coupling a magnetic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8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specially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7/00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D7/02Pumps adapted for handling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of centrifug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액면의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 회수를 확실히 할 수 있게 한 부상유의 회수 펌프이다. 펌프 케이싱 (2) 의 하부에는 수평으로 설치되며 흡입구 (3) 를 갖는 흡입측 통로 (4) 와, 흡입측 통로 (4) 의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배출구 (5) 를 갖는 배출측 통로 (6) 를 형성하고, 상기 두개의 통로를 연결하는 관통구멍 (7) 바로 아래의 배출측 통로 (6) 에는 임펠러 (8) 를 배치한다. 임펠러 (8) 는 펌프 케이싱 (2) 의 상부에 배치된 모터 (9) 를 구동원으로서 회전하도록 설치되고, 흡입구 (3) 에는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회수하는 회수부 (11) 를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부상유의 회수 펌프 {RECOVERY PUMP FOR RECOVERING FLOATING OIL}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부상유의 회수 펌프의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한 생략 상태의 정면도.
도 2 는 수집 수단의 모터 케이싱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개략 종단면도.
도 3 은 상기 부상유의 회수 펌프의 일부 생략된 상태의 평면도.
도 4 는 임펠러를 나타낸 평면도.
도 5a 및 도 5b 는 회수부에서의 유입구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관한 부상유의 회수 펌프의 다른 실시형태를 일부 단면으로 한 생략 상태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상유의 회수 펌프 2 : 펌프 케이싱
3 : 흡입구 4 : 흡입측 통로
5 : 배출구 6 : 배출측 통로
7 : 관통구멍 8 : 임펠러(impellor)
9 : 모터 11 : 회수부
본 발명은 부상유의 회수 펌프, 상세하게는 액면의 부상유나 스컴 (scum) 등의 부유물을 회수하는 부상유의 회수 펌프에 관한 것이다.
액면의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회수하는 경우, 종래에는 부유물을 회수하는 유입구를 갖는 회수부를 플로트 (float) 로 액면에 띄우는 한편, 선박이나 육지 등에 설치되어 있는 펌프와 상기 회수부의 유입구를 호스로 접속시킨 회수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수장치에서는 회수부와 펌프가 각각 별도로 설치됨과 동시에 회수부와 펌프는 호스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설치 장소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일본 실용신안공보 소52-13603 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도입하기 위한 유입로를 갖는 플로트 본체에 펌프를 함께 적재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 고안은 펌프 중량을 고려하면, 펌프에 대응시켜 플로트 본체를 크게 형성해야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대형이 되지 않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특히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동시에 액면의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 회수를 확실히 할 수 있는 부상유의 회수 펌프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관한 부상유의 회수 펌프는, 수평으로 설치되며 흡입구를 갖는 흡입측 통로와, 이 흡입측 통로의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배출구를 갖는 배출측 통로를 펌프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측 통로와 배출측 통로를 연결하는 관통구멍 바로 아래의 상기 배출측 통로에 임펠러가 배치됨과 동시에, 이 임펠러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된 모터를 구동원으로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에는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회수하는 회수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임펠러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수부가 상기 흡입구에 수직으로 부착된 파이프 본체와, 이 파이프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며 플로트에 지지되어 액체에 뜨도록 설치된 유입구를 갖는 슬라이딩 파이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입구는 중앙부 한쪽에 조임 부분이 형성되고, 이 조임 부분에는 외측으로 향한 V 자형 홈이 형성되며 이 V 자형 홈의 바닥부는 상기 유입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위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입구로 향한 위치에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긁어모아 상기 회수부 내로 유입시키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수집 수단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에서 도면부호 1 은 본 발명에 관한 부상유의 회수 펌프를 나타내고, 이 부상유의 회수 펌프 (1) 는 펌프 케이싱 (2) 의 하부의 중앙부근에서 좌측으로 위치한 부분에는 흡입구 (3) 를 갖는 흡입측 통로 (4) 가 수평으로 설치되며, 그리고 이 흡입측 통로 (4) 의 하측의 상기 펌프 케이싱 (2) 의 중앙 부근에서 우측으로 위치한 부분에는 배출구 (5) 를 갖는 배출측 통로 (6) 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흡입측 통로 (4) 의 하류부 부근과 배출측 통로 (6) 의 상류부 부근의 상하에 겹치는 부분에는 상기 흡입측 통로 (4) 와 배출측 통로 (6) 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멍 (7) 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관통구멍 (7) 바로 아래의 상기 배출측 통로 (6) 에는 임펠러 (8) 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 (8) 는 펌프 케이싱 (2) 의 상부에 배치된 모터 (9) 를 구동원으로서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임펠러 (8) 의 상면에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용돌이형 배열의 복수의 개방 날개 (8a) 가 설치되어 있다.
흡입측 통로 (4) 의 상류부 상면에는 흡입구 (3) 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흡입구 (3) 에는 액면의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회수하기 위한 회수부 (11)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배출측 통로 (6) 의 하류부 상면에는 배출구 (5) 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배출구 (5) 에는 상기 부유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 (12) 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 (9) 는 완전한 수밀성을 갖는 모터 케이싱 (13) 내에 수납됨과 동시에, 그 출력축 (14) 의 선단에는 회전원반 (15) 이 고정되어 있으며 또 이 회전원반 (15) 의 주위에는 하향의 벽 (16) 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벽 (16) 의 내주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자석 (17) 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임펠러 (8) 를 지지하는 회전축 (20) 의 선단에는 회전원반 (21) 이 고정됨과 동시에, 이 회전원반 (21) 은 모터 (9) 의 출력축 (14) 의 선단에 고정된 회전원반 (15) 의 하면 부근에 위치되고 그 둘레면에는 상기 벽 (16) 의 내주면에 고정된 자석 (17) 에 대응하는 자석 (22) 이 매설치되어 있다.
또한, 자석 (17) 은 벽 (16) 의 내주면 전체 둘레에 걸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물론, 회전원반 (15) 의 둘레면에 설치된 자석 (22) 도 이것에 대응시켜 전체 둘레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모터 (9) 의 출력축 (14) 에 고정된 회전원반 (15) 의 벽 (16) 에 설치된 자석 (17) 과 임펠러 (8) 를 지지하는 회전축 (20) 에 고정된 회전원반 (21) 의 둘레면에 설치된 자석 (22) 으로 마그네트 커플링 (23) 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그네트 커플링 (23) 의 자석 (17) 과 자석 (22) 사이에는 단면 역오목형상을 갖는 차폐판 (遮蔽板) (24) 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차폐판 (24) 의 하부의 외측으로 되접어꺽인 둘레면 가장자리 (24a) 는 모터 케이싱 (13) 과 펌프 케이싱 (2) 의 결합부분에 위치되고 두부 (頭部) 가 형성된 볼트로 이루어진 고정구 (19) 로 상기 모터 케이싱 (13) 및 펌프 케이싱 (2) 과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수밀성 (水密性) 을 얻을 수 있어 모터 케이싱 (13) 에 액체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임펠러 (8) 는 마그네트 커플링 (23) 에 의해 모터 (9) 의 회전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 상기 임펠러 (8) 의 회전축 (20) 은 펌프 케이싱 (2) 의 중앙부와 차폐판 (24) 의 중앙 반대측에 설치된 베어링 (25) 으로 축 지지되어 있다.
회수부 (11) 는 흡입측 통로 (4) 의 흡입구 (3) 에 수직으로 부착된 파이프 본체 (26) 와, 이 파이프 본체 (26)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며 또 두개의 플로트 (27) 에 지지되어 액체에 뜨도록 설치된 유입구 (28) 를 갖는 슬라이딩 파이프 (29) 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 본체 (26) 에 대해 슬라이딩 파이프 (29) 는 이탈 불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파이브 본체 (26) 의 상부 주위에는 밀봉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배출부 (12) 는 배출측 통로 (6) 의 배출구 (5) 에 수직으로 부착된 파이프 (30) 로 형성되어 있다.
또, 파이프 본체 (26) 와 슬라이딩 파이프 (29) 는 필요에 따라 길이가 다르게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도 3 및 도 5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딩 파이프 (29) 에 나선 형성 지지부재 (31) 를 통해 지지되고 있는 두개의 플로트 (27) 는 상기 지지부재 (31) 를 회전운동시킴으로써 액면에 대해 상하 방향의 미조정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슬라이딩 파이프 (29) 의 상부에 부착된 유입구 (28) 는 중앙부 한쪽에 조임 부분 (28a) 이 형성되고 이 조임 부분 (28a) 에는 외측을 향한 V 자형 홈 (32)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V 자형 홈 (32) 의 바닥부 (32a) 는 상기 유입구 (28) 에 가까워짐에 따라 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입구 (28) 는 중앙부 양측을 조여 평면시로 거의 나선 형상을 갖도록 해도 되고, 또 십자 방향을 조여도 된다.
회수부 (11) 에 설치된 유입구 (28) 로 향한 위치에는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긁어 모아 상기 회수부 (11) 내로 유입시키는 수밀성을 갖는 모터 (40) 를 구동원으로 하는 수집 수단 (35) 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수집 수단 (35) 은 회전축 (36) 과, 이 회전축 (36) 의 양측에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오목홈 (37) 에 안내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부착된 가동부재 (38) 와, 이 가동부재 (38) 에 용착, 비스, 접착 등의 적절한 수단으로 고정된 수집 날개 (39) 로 형성되어 있다.
또, 수집 날개 (39) 의 재질로서는 금속, 수지, 고무 등을 생각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수집 수단 (35) 의 회전축 (36) 은 모터 (40) 의 회전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즉, 모터 (40) 는 완전한 수밀성을 갖는 모터 케이싱 (42) 내의 상실 (48) 에 수납되고, 그 출력축 (43) 의 선단에는 회전원반 (44) 이 고정되어 있으며 또 이 회전원반 (44) 의 하면에는 자석 (45) 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수집 날개 (39) 를 구비한 가동부재 (38) 가 부착된 회전축 (36) 의 선단에는 회전원반 (46) 이 고정됨과 동시에, 이 회전원반 (46) 은 상기 모터 케이싱 (42) 내의 하실 (49) 에 수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반 (46) 의 상면에는 상기 자석 (45) 에 대응한 자석 (47) 이 고정되어 있다.
모터 케이싱 (42) 은 2개의 부재 (42a, 42b) 를 볼트, 너트 등의 고정수단 (도시 생략) 을 통해 고정시킴으로써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2개의 부재 (42a, 42b) 의 결합부분에는 차폐판 (50) 이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모터 케이싱 (42) 내가 상실 (上室) (48) 과 하실 (下室) (49) 로 분할됨과 동시에 이 상실 (48) 내에 액체가 침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케이싱 (42) 은 펌프 케이싱 (2) 에 설치된 브래킷 부재 (52) 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모터 (40) 의 출력축 (43) 에 고정된 회전원반 (44) 에 설치된 자석 (45) 과 수집 날개 (39) 가 부착된 회전축 (36) 의 선단에 고정된 회전원반 (46) 에 설치된 자석 (47) 에 의해 마그네트 커플링 (51) 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집 날개 (39) 가 부착된 회전축 (36) 은 마그네트 커플링 (51) 에 의해 모터 (40) 의 회전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회전축 (36) 은 모터 케이싱 (42) 의 하실 (49) 의 하부 중앙부에 설치된 베어링 (53) 에 의해 축지지되고 있다.
부상유의 회수 펌프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사용에 있어서는 먼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이 있는 액체 중에 펌프 (1) 를 배치한다. 이 경우 회수부 (11) 의 유입구 (28) 는 액체 (55) 의 액면에 대응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이 상태에서 펌프 (1) 가 동작 제어되면 부유물과 함께 액체가 상기 유입구 (28) 에서 회수부 (11) 내로 유입되고 흡입측 통로 (4) 를 통해 배출측 통로 (6) 로 도입됨과 동시에 또한 배출부 (12) 의 파이프 (30) 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런데, 스컴 등의 부유물은 유입구 (28) 에서 회수부 (11) 내로 들어가기 어렵지만, 상기 유입구 (28) 에는 중앙부 한쪽에 조임 부분 (28a) 이 형성되고 또 이 조임 부분 (28a) 에는 V 자형 홈 (32)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유물은 상기 V 자형 홈 (32) 내로 도입되며 그 위에 괸 상태에서 수집 수단 (35) 의 수집 날개 (39) 를 회전시킴으로써, 강제적으로 긁어모아지고 상기 V 자형 홈 (32) 의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고 그럼으로써 부상유와 함께 상기 회수부 (11) 내로 확실히 도입되어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수집 수단 (35) 의 수집 날개 (39) 는 회전축 (36) 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55) 의 액면이 흔들려도 그것에 따라 대응시킬 수 있다.
또, 모터 (9, 40) 는 수밀성을 갖는 모터 케이싱 (13, 42) 내에 각각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물을 뒤집어쓴 장소나 습기가 있는 장소에서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모터 (9) 의 출력축 (14) 과 임펠러 (8) 를 지지하는 회전축 (20) 은 마그네트 커플링 (23) 을 통해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임펠러 (8) 에 먼지 등이 걸려 회전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에도 상기 모터 (9) 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모터 (40) 의 출력축 (43) 과 수집 날개 (39) 가 부착된 회전축 (36) 은 마그네트 커플링 (51) 을 통해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집 날개 (39) 에 먼지 등이 걸려 회전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에도 상기 모터 (40) 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회수부 (11) 를 펌프 케이싱 (2) 에 일체로 설치함으로써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 은 본 발명에 관한 부상유의 회수 펌프 (1) 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모터 (9) 의 출력축 (14) 의 선단을 펌프 케이싱 (2) 의 하부에 설치한 흡입측 통로 (4) 와 배출측 통로 (6) 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구멍 (7) 부근에 위치시키고 상기 출력축 (14) 의 선단에 상기 관통구멍 (7) 바로 아래의 상기 배출측 통로 (6) 에 배치하도록 하여 임펠러 (8) 를 직접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도 1 내지 도 5 와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부위를 나타낸 것으로 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모터 (9) 의 출력축 (14) 에 임펠러 (8) 를 직결시킴으로써 상기 모터 (9) 의 회전력이 직접 상기 임펠러 (8) 에 전달되기 때문에 확실히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스컴 등의 부유물은 유입구 (28) 에서 회수부 (11) 내로 들어가기 어렵지만, 상기 유입구 (28) 에는 중앙부 한쪽에 조임 부분 (28a) 이 형성되고 또 이 조임 부분 (28a) 에는 V 자형 홈 (32) 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유물은 V 자형 홈 (32) 내로 도입되며 그 위에 괸 상태에서 수집 수단 (35) 의 수집 날개 (39) 를 회전시킴으로써, 강제적으로 긁어 모아지고 상기 V 자형 홈 (32) 의 경사면을 따라 올라가고 따라서 부상유와 함께 상기 회수부 (11) 내로 확실히 도입되어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수집 수단 (35) 의 수집 날개 (39) 는 회전축 (36) 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55) 의 액면에 흔들려도 그것에 따라 대응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모터 (9, 40) 는 수밀성을 갖는 모터 케이싱 (13, 42) 내에 각각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물을 뒤집어쓴 장소나 습기가 있는 장소에서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 케이싱 상부에는 흡입측 통로와 배출측 통로가 서로 겹쳐지는 부분을 연결하는 관통구멍 바로 아래에 설치한 임펠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가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펌프 케이싱 하부에는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회수하는 회수부가 일체로 설치된 구조이기 때문에,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흡입구에 회수부를 설치함으로써 액체 중의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확실히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임펠러가 모터 회전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임펠러가 부유물에 걸려 회전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에도 상기 모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회수부가 흡입구에 수직으로 부착된 파이프 본체와, 이 파이프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 플로트에 지지되어 액체에 뜨도록 설치된 유입구를 갖는 슬라이딩 파이프로 형성됨으로써 액면이 바람 등의 영향을 받아 흔들려도 그것에 따라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입구는 중앙부 한쪽에 조임 부분이 형성되고 이 조임 부분에는 외측을 향한 V 자형 홈이 형성되고, 이 V 자형 홈의 바닥부는 유입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위로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액체 중의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은 V 자형 홈 내로 도입되어 회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유입구로 향한 위치에는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긁어 모아 회수부 내로 유입시키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수집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유물을 강제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Claims (5)

  1. 수평으로 설치되며 흡입구를 갖는 흡입측 통로와, 이 흡입측 통로의 하측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배출구를 갖는 배출측 통로를 펌프 케이싱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측 통로와 배출측 통로를 연결하는 관통구멍 바로 아래의 상기 배출측 통로에 임펠러가 배치됨과 동시에, 이 임펠러는 상기 펌프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된 모터를 구동원으로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에는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회수하는 회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의 회수 펌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가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서 간접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의 회수 펌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부가 상기 흡입구에 수직으로 부착된 파이프 본체와, 이 파이프 본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며 플로트에 지지되어 액체에 뜨도록 설치된 유입구를 갖는 슬라이딩 파이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의 회수 펌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중앙부 한쪽에 조임 부분이 형성되고, 이 조임 부분에는 외측으로 향한 V 자형 홈이 형성되며 이 V 자형 홈의 바닥부는 상기 유입구에 가까워짐에 따라 위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의 회수 펌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로 향한 위치에 부상유나 스컴 등의 부유물을 긁어모아 상기 회수부 내로 유입시키는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수집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상유의 회수 펌프.
KR1020000000794A 1999-03-30 2000-01-08 부상유의 회수 펌프 Expired - Fee Related KR1005832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89756 1999-03-30
JP11089756A JP2000283083A (ja) 1999-03-30 1999-03-30 浮上油の回収ポンプ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446A KR20000062446A (ko) 2000-10-25
KR100583224B1 true KR100583224B1 (ko) 2006-05-24

Family

ID=13979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794A Expired - Fee Related KR100583224B1 (ko) 1999-03-30 2000-01-08 부상유의 회수 펌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12228B1 (ko)
JP (1) JP2000283083A (ko)
KR (1) KR100583224B1 (ko)
DE (1) DE10000112A1 (ko)
IT (1) IT1319805B1 (ko)
TW (1) TW4426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30957A (ja) * 2004-04-21 2005-12-02 Dengyosha Oridea:Kk 汚水圧送ポンプ
CN101450823B (zh) 2007-12-07 2012-03-28 鸿准精密模具(昆山)有限公司 浮油、粉屑处理装置
TW201420258A (zh) * 2012-11-19 2014-06-01 Jin-Lun Zhang 浮油吸取機
CN107477018A (zh) * 2016-06-07 2017-12-15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一种用于桩基施工的大型泥浆池泥浆泵悬浮装置
US10633260B2 (en) * 2018-09-26 2020-04-28 Charles Cornish Scum filtr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00951A (en) * 1968-12-23 1974-04-02 Bertin & Cie Apparatus for removing a substance floating as a layer on the surface of a body of liquid
US3598501A (en) * 1969-11-28 1971-08-10 Acme Products Inc Floating surface skimmer with continuous weir
US3753492A (en) * 1970-06-19 1973-08-21 V Aiello Separating apparatus
US3722687A (en) * 1970-12-28 1973-03-27 Rose E Floating oil skimming apparatus with oil and water separator
US3762557A (en) * 1971-08-23 1973-10-02 Watermaster Ind Ltd Floating skimmer
US4038182A (en) * 1974-02-04 1977-07-26 Richard Stuart Jenkins Oil spill recovery method and apparatus
US4142972A (en) * 1975-03-27 1979-03-06 Scientific Associates, Inc. Mechanism and method for recovering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a liquid body
US4089620A (en) * 1976-10-26 1978-05-16 Riga, Inc. Floating pumping device
US4651762A (en) * 1985-07-01 1987-03-24 Bowden Industries, Inc. Agitation parts degreaser
US4789307A (en) * 1988-02-10 1988-12-06 Sloan Donald L Floating pump assembly
US5141632A (en) * 1991-05-20 1992-08-25 Catcher Mikie B Floating disc oil spill cleanup apparatus
US5244365A (en) * 1990-01-25 1993-09-14 Catcher Mikie B Oil spill cleanup apparatus
US5160605A (en) * 1991-04-10 1992-11-03 Valiant Machine & Tool Inc. Device for separating hydrocarbon products from water with venturi jet pump
US5207897A (en) * 1991-05-20 1993-05-04 Baird William E Floating hydrocarbons separator pump with buoyant housing and two-chamber vertically moveable member
US5527461A (en) * 1994-06-02 1996-06-18 Hill; Gordon A. Airlift oil scavenger
US5954955A (en) * 1996-06-21 1999-09-21 World Chemical Co., Ltd. Oil-water recovering and separa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00112A1 (de) 2000-10-05
ITTO20000069A1 (it) 2001-07-25
IT1319805B1 (it) 2003-11-03
US6312228B1 (en) 2001-11-06
JP2000283083A (ja) 2000-10-10
KR20000062446A (ko) 2000-10-25
TW442617B (en) 200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7377B1 (ko) 수중펌프
AU688977B2 (en) Seal cavity throat bushing
KR101658659B1 (ko) 입형 원심펌프
KR100583224B1 (ko) 부상유의 회수 펌프
KR101596902B1 (ko) 흡입성능을 개선한 펌프의 흡입커버 및 이를 구비한 펌프
US4265758A (en) Collection of a surface layer of liquid
CN213684553U (zh) 一种防堵潜污泵
KR20160092271A (ko) 입형 원심펌프
KR100436419B1 (ko) 수중펌프
KR101921266B1 (ko) 선회류 발생날개에 의해 흡입성능을 향상시킨 흡입콘 및 이를 구비한 펌프
JP3132752B2 (ja) 油の回収分離装置における回収部と回収ポンプとの連結構造
KR20090014928A (ko) 수중펌프
JP2007332890A (ja) 樹脂製水中ポンプ
JP6683553B2 (ja) ポンプ設備
CN214913839U (zh) 自动冲洗型滤芯
JPH1190425A (ja) 液体回収装置
JPH075278Y2 (ja) 水中ポンプ
CN205516892U (zh) 潜水式泥水分离系统
JP3332633B2 (ja) 水中ポンプの着脱機構
JP2003262194A (ja) グラインダポンプ装置
CN216358851U (zh) 一种智能前置过滤器
JP6595382B2 (ja) 立軸ポンプ
JP5563365B2 (ja) 水中ポンプ用攪拌体及びこれを用いた水中ポンプ
CN105749618B (zh) 潜水式泥水分离系统
KR100999965B1 (ko) 임펠러가 형성된 수분분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001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4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00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