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583182B1 -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182B1
KR100583182B1 KR1020040024820A KR20040024820A KR100583182B1 KR 100583182 B1 KR100583182 B1 KR 100583182B1 KR 1020040024820 A KR1020040024820 A KR 1020040024820A KR 20040024820 A KR20040024820 A KR 20040024820A KR 100583182 B1 KR100583182 B1 KR 10058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digital
analog
tun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4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9663A (ko
Inventor
최명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맥스
Priority to KR1020040024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182B1/ko
Priority to AU2005201485A priority patent/AU2005201485B2/en
Priority to EP05006407A priority patent/EP1587313A3/en
Priority to US11/100,551 priority patent/US7417689B2/en
Publication of KR20050099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9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5High-definition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와; 상기 디지털 튜너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방송신호 중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한 OSD(On Screen Display) 및 상기 아날로그 튜너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방송신호 중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한 OSD를 발생시키는 통합 OSD 발생기와; 상기 통합 OSD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질 관련 사항만을 제어하는 제 2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한 OSD 및 디지털 방송신호에 대한 OSD를 처리하는 통합 OSD 발생기가 이미지 처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합 OSD 발생기를 디지털 튜너의 제 1제어부가 제어토록 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신호와 관련된 OSD의 화질 저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및 방법{On Screen Display generator in digital TV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TV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TV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TV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디지털 튜너 212 : 아날로그 튜너
230, 232 : 제 1제어부 240 : 제 2제어부
250 : 이미지 처리부 252 : 통합 OSD 발생기
254 : 스케일러
본 발명은 디지털 텔레비전(TV)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튜너가 내장된 디지털 TV에 있어서, 이미지 처리부(image processor) 내에 구비된 온 스크린 디스 플레이(On Screen Display : OSD) 발생기(generator)와 스케일러(Scaler)를 디지털 튜너의 제어부(MICOM 1)에서 제어토록 하는 디지털 TV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는 전 방송 채널이 디지털화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날로그 방송 채널과 혼재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로 인해 현재의 디지털 TV는 디지털 뿐 아니라 아날로그 방송 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제조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디지털 TV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TV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TV는, 디지털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디지털 신호 및 아날로그 신호를 각각 출력하는 디지털 튜너(110) 및 아날로그 튜너(112)와;
상기 디지털 튜너(110)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 및 영상신호로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120)와;
상기 디멀티플렉서(120)를 통해 분리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각각 구현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엠펙 디코더(122)와;상기 아날로그 튜너(112)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 중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영상화하는 비디오 ADC(Analog-Digital Converter)부(160)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 중의 아날로그 음성신호와, 상기 엠펙 디코더(122) 및 오디오 DAC(124)를 통해 아날로그화된 디지털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아날로그 앰프(162)와; 상기 아날로그 앰프(162)를 통해 상기 음성신호가 출력되는 스피커(164)와;
사용자가 각종 기능을 선택/설정하고 OSD를 실행하기 위한 키 입력부(미도시) 및 상기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지털 방송신호에 대한 OSD 신호를 구성하여 이미지 처리부(image processor)(150)로 출력하기 위한 제 1 OSD 발생기(140)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OSD 키가 입력되면 해당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OSD 발생기(140)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MICOM 1)(13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여기서, 상기 OSD는 상기 디스플레이(180)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이외에 기기의 조절 및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화면으로 보여주는 텍스트 구성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채널 숫자 입력란, 시간 정보, 메뉴 정보 등 영상 위에 겹쳐서 나타나는 모든 화면을 말하는 것이다.
단, 종래의 경우 방송신호가 디지털 방송신호와 아날로그 방송신호가 혼재되어 송신되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신호의 OSD를 위한 상기 제 1 OSD 발생기(140)와, 아날로그 방송신호의 OSD를 위한 제 2 OSD 발생기(152)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2 OSD 발생기(152)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150)에 내장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상기 제 2 OSD 발생기(152)를 제어하는 제 2 제어부(MICOM 2)(170)가 별도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처리부(150)에는 스케일러(Scaler)(154)가 구비되어 있는 데, 상기 스케일러(154)는 이미지 처리부에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 또는 그래픽의 해상도(resolution)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2 제어부(170)는 상기 스케일러(154)를 제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제어부(170)는 TV를 통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질관련 사항(Brightness, Contrast, Sharpness, Color Temperature, RGB color 조절 등)을 제어하는 역할 또한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TV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채널을 입력하면, 상기 디지털 튜너(110) 또는 아날로그 튜너(112)를 통해 상기 입력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한다.
즉, 상기 선국한 방송신호의 디지털/아날로그 여부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신호(ATSC)는 상기 디멀티플렉서(120), 엠펙 디코더(MPEG decoder)(122)를 거쳐 음성 및 영상신호로 분리되어 출력되고, 아날로그 방송신호(NTSC)는 상기 비디오 ADC부(160)를 거쳐 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부(150)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각각의 튜너(110, 112)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게 되며,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신호는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분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즉, 외부에서 리모컨 또는 본체의 키 패널을 통해 OSD 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 1 또는 제 2제어부(130, 170)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제 1 또는 2 OSD 발생기(140, 152)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기능 뿐 아니라 아날로그 기능이 혼재된 각종 메뉴를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에 관련된 OSD로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 EPG), 디지털 채널 리스트, 디지털 채널을 찾는 메뉴, 디지털 TV 관련 관련 셋업(Set up) 메뉴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관련된 OSD로는 아날로그 채널을 찾기 위한 메뉴, 아날로그 채널 리스트, 채널 숫자 입력란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TV 구성에 의할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와 관련된 OSD는 비디오 영상 레이어(layer)와 합쳐져서 하나의 디지털 동영상의 형태로 상기 이미지 처리부(150)에 전달되는데, 이 경우 비록 상당히 좋은 화질의 디지털 신호를 상기 이미지 처리부(150)에 전달된다 하더라도, 상기 이미지 처리부(150)의 스케일러(154) 및 제 2 OSD 발생기(152)를 제어하는 것이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하는 제 2제어부(170)이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와 관련된 OSD의 화질 저하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종래의 TV 경우, 디지털 방송신호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디지털 튜너(110) 및 아날로그 튜너(112)와 이를 각각 제어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제어부(MICOM1, 2)(130, 1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제어부가 담당하는 역할은 서로 상이하다.
먼저 상기 제 1제어부(MICOM1)(130)은 디지털 튜너(110)를 제어하고 디지털 채널을 관리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그 외에 디지털 튜너와 관련된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제 2제어부(MICOM2)(170)는 아날로그 튜너(112)를 제어하고 아날로그 채널을 관리하며, 또한, 디스플레이의 화질 등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종래 TV 구성은 디지털 튜너(110)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130)가 디지털 튜너와 관련된 OSD(EPG, 디지털 채널 관련 메뉴, 디지털 채널의 채널 리스트)를 그려주기 때문에 별도의 OSD 발생기(140)를 사용하여 OSD를 그려주고, 상기 OSD와 디지털 영상을 중첩하여 하나의 비디오 형태로 이미지 처리부(150)에 전달된다.
따라서, OSD 영상이 이미지 처리부(150) 내의 OSD 발생기(152)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비디오 형태로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에 화질 저하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구조는 화질 저하 뿐 아니라 성능 및 특성이 다른 제어부(130, 170)들이 각각 OSD를 그려주기 때문에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의 통합 관리에 어려움이 많고 OSD 구현 시에 디자인 측면에서 차이점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같은 디자인이라도 OSD 발생기와 제어부의 성능에 따라 제약사항이 발생하므로 실제 구현시 디자인 측면에서 차이가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경우 아날로그 튜너(112)를 제어하는 제 2제어부(170)와, 디지털 튜너(110)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130) 간에 데이터가 통합 관리되지 못하여, 프로세싱의 저하가 발생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튜너가 내장된 디지털 TV에 있어서,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한 OSD 및 디지털 방송신호에 대한 OSD를 처리하는 통합 OSD 발생기가 이미지 처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합 OSD 발생기를 디지털 튜너의 제 1제어부가 제어토록 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신호와 관련된 OSD의 화질 저하 문제를 극복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와; 상기 디지털 튜너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방송신호 중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한 OSD(On Screen Display) 및 상기 아날로그 튜너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방송신호 중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한 OSD를 발생시키는 통합 OSD 발생기와; 상기 통합 OSD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질 관련 사항만을 제어하는 제 2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OSD 발생기는 이미지 처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 또는 그래픽의 해상도(resolution)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스케일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디스플레이또한, 상기 통합 OSD 발생기는 TV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키는 역할 역시 수행하며, 상기 제 1제어부는 키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OSD 키가 입력되면 해당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를 통해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상기 통합 OSD 발생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구비된 스케일러(Scaler)는 상기 제 1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1제어부와 제 2제어부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1제어부 및 제 2제어부는 통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방법은, 디지털 튜너 또는 아날로그 튜너를 통해 입력된 소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단계와;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신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한 OSD 발생을 요청하는 경우, 제 1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통합 OSD 발생기를 통해 OSD가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질에 관한 OSD 발생을 요청하는 경우, 제 2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통합 OSD 발생기를 통해 OSD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된 OSD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디지털 튜너의 제어부(MICOM1)이 직접 이미지 처리부 내의 OSD 발생기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튜너 및 아날로그 튜너와 관련된 OSD들도 직접 그리게 하여 OSD의 화질 저하를 없앤다. 또한, 이를 통해 모든 OSD를 하나의 제어부를 통해 그리기 때문에 아날로그 채널과 디지털 채널에 관련된 채널을 통합 관리하기 용이하고, UI의 구현 등에 디자인의 통일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디지털 TV에 구비된 이미지 처리부(image processor) 내의 OSD 발생기 및 스케일러를 디지털 튜너의 제어부(MICOM 1)를 통해 통합 제어토록 함으로써, 아날로그 방송신호 및 디지털 방송신호에 대한 OSD가 하나로 통합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 UI)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한다.
즉, 종래의 경우 디지털 튜너를 제어하고, 상기 디지털 튜너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 1 OSD 발생기와, 아날로그 튜너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OSD 및 TV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키는 제 2 OSD 발생기가 별도로 구비되고, 이를 각각의 분리된 제어부를 통해 제어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별도의 제 1, 2 OSD 발생기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로 통합된 OSD 발생기가 구비되며, 이를 디지털 튜너의 데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즉, 제 1제어부(MICOM 1)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기존의 제 2제어부는 TV의 이미지 프로세싱 관련 제어 기능만을 구현토록 하며, 상기 제 1제어부 및 제 2제어부 간에 데이터 통신을 가능토록 하여 전체 시스템이 하나로 통합되도록 구성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TV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TV는,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210)와,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212)를 통해 각각 디지털 방송신호 및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현재 제공되는 방송이 모두 디지털 방송이 아니기 때문에 디지털 튜너(210) 및 아날로그 튜너(212) 모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먼저 디지털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디지털 튜너(210)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음성 및 영상신호로 분리하는 디멀티플렉서(220)와; 상기 디멀티플렉서(Demux)(220)를 통해 분리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를 각각 구현 가능하도록 처리하는 엠펙 디코더(MPEG decoder)(222)가 구비되며,
상기 엠펙 디코더(222)를 통해 디코딩된 디지털 음성신호는 오디오 DAC(Digital Analog Converter)(224)를 거쳐 아날로그 앰프(262)를 통해 스피커(264)로 출력되고,
상기 엠펙 디코더(222)를 통해 디코딩된 디지털 영상신호는 이미지 처리부(250)에 입력되어 소정의 처리를 거쳐 디스플레이(280)에 출력된다. 이 때, 상기 이미지 처리부(250)는 상기 디스플레이(280)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미도시)에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가 리모콘 등의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각종 기능을 선택/설정하기 위해 OSD(On Screen Display :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실행하게 되면, 상기 이미지 처리부(250)에 구비된 통합 OSD 발생부(252)에서는 상기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에 대한 OSD 신호를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250)에는 스케일러(Scaler)(254)가 구비되어 있 는데, 상기 스케일러(254)는 이미지 처리부(250)에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 또는 그래픽의 해상도(resolution)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의 경우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에 대한 OSD 발생기(252)가 이미지 처리부(250)에 내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며, 이 때 상기 OSD 발생기(252)는 후술하게 되는 아날로그 튜너(212)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화면에 표현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OSD 및 TV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키는 역할 또한 수행함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OSD(On Screen Display)는 상기 디스플레이(280)에 표시되는 영상 이외에 기기의 조절 및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화면으로 보여주는 텍스트 구성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채널 숫자 입력란, 시간 정보, 메뉴 정보 등 영상 위에 겹쳐서 나타나는 모든 화면을 말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에 관련된 OSD로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 EPG), 디지털 채널 리스트, 디지털 채널을 찾는 메뉴, 디지털 TV 관련 관련 셋업(Set up) 메뉴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관련된 OSD로는 아날로그 채널을 찾기 위한 메뉴, 아날로그 채널 리스트, 채널 숫자 입력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고,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해 OSD 키가 입력되면 해당 OSD 화면을 디스플레이(28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상기 통합 OSD 발생기(252)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MICOM 1)(230)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 1제어부(230)는 상기 디지털 튜너(210)를 제어할 뿐 아니라, 후술하는 아날로그 튜너(212)를 제어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아날로그 튜너(212)를 통해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에 대해, 아날로그 영상신호는 비디오 ADC(Analog-Digital Converter)부(260)를 통해 디지털 영상화되어 상기 이미지 처리부(250)에 입력되며,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아날로그 앰프(262) 및 스피커(264)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 때, 상기 이미지 처리부(250)에 입력되는 디지털화된 상기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하여 발생되는 OSD 또한, 상기 이미지 처리부(250) 내에 구비된 통합 OSD 발생기(252)에서 발생되며, 이 또한 상기 제 1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미지 처리부(250)에 구비된 스케일러(Scaler)(254) 역시 상기 제 1제어부(230)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한 OSD 및 디지털 방송신호에 대한 OSD를 통합 처리토록 하며, 이를 상기 제 1제어부(230)가 제어토록 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신호와 관련된 OSD의 화질 저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 2제어부(240)는 TV를 통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질관련 사항(Brightness, Contrast, Sharpness, Color Temperature, RGB color 조절 등)을 제어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제어부(230)와 제 2제어부(240) 간의 데이터 통신 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즉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OSD 발생기(252) 및 스케일러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 1제어부(230)와, TV의 이미지 프로세싱 관련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제 2제어부(240) 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프로세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TV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리모콘 등을 통해 채널을 입력하면, 상기 디지털 튜너(210) 또는 아날로그 튜너(212)를 통해 상기 입력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국한다.
즉, 상기 선국한 방송신호의 디지털/아날로그 여부에 따라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털 방송신호는 상기 디멀티플렉서(220), 엠펙 디코더(222)를 거쳐 음성 및 영상신호로 분리되어 출력되고, 아날로그 방송신호는 상기 비디오 ADC부를 거쳐 영상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상기 이미지 처리부(250)로 출력한다.
다시 말해, 각각의 튜너(210, 212)를 통해 디지털/아날로그 방송을 수신하게 되며,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신호는 도시한 바와 같이 구분되어 처리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즉, 외부에서 리모컨 또는 본체의 키 패널을 통해 OSD 키를 입력하면, 상기 제 1제어부(230)가 이를 인식하여 상기 통합 OSD 발생기(252)를 제어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신호와 관련된 OSD의 화질 저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방송신호에 관련된 OSD로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 EPG), 디지털 채널 리스트, 디지털 채널을 찾 는 메뉴, 디지털 TV 관련 관련 셋업(Set up) 메뉴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관련된 OSD로는 아날로그 채널을 찾기 위한 메뉴, 아날로그 채널 리스트, 채널 숫자 입력란 등을 들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2제어부(240)는 단지 TV를 통해 최종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질관련 사항(Brightness, Contrast, Sharpness, Color Temperature, RGB color 조절 등)을 제어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고, 상기 제 1제어부(230)와 제 2제어부(24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 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제어부(240)의 기능을 제 1제어부(230)에서 모두 수행하도록 상기 제 1제어부(230)와 제 2제어부(240)가 통합되어 구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제 2제어부(240)가 구비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제어부(230) 및 제 2제어부(24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아도 된다.
도 3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TV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제어부를 제거하고, 상기 제 2제어부의 동작을 제 1제어부(MICOM)(232)에서 수행토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 및 그 동작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한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아날로그 방송신호에 대한 OSD 및 디지털 방송 신호에 대한 OSD를 처리하는 통합 OSD 발생기가 이미지 처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통합 OSD 발생기를 디지털 튜너의 제 1제어부가 제어토록 함으로써, 디지털 방송신호와 관련된 OSD의 화질 저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체 시스템의 데이터 관리, OSD 발생기 및 스케일러의 제어를 담당하는 제 1제어부와, TV의 이미지 프로세싱 관련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제 2제어부 간에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함으로써, 프로세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디지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디지털 튜너;
    아날로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아날로그 튜너;
    상기 디지털 튜너를 통해 입력된 디지털 방송신호 중 디지털 영상신호에 대한 OSD(On Screen Display) 또는 상기 아날로그 튜너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방송신호 중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한 OSD를 발생시키는 통합 OSD 발생기; 및
    입력부를 통해 OSD키가 입력되면, 상응하는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통합 OSD 발생기를 제어하는 제 1제어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OSD 발생기는 이미지 처리부에 포함되며,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는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 입력되는 비디오 영상 또는 그래픽의 해상도(resolution)를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조절하는 스케일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OSD 발생기는 TV 화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를 통한 사용자 명령에 따라 각종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 전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일러(Scaler)는 상기 제 1제어부에 의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질 관련 사항만을 제어하는 제 2제어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제어부 및 제 2제어부는 통합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장치.
  8. 디지털 튜너 또는 아날로그 튜너를 통해 입력된 소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선 국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OSD(On Screen Display) 생성이 요청되는 단계와;
    사용자가 디지털 영상신호 또는 아날로그 영상신호에 대한 OSD 발생을 요청하는 경우, 제 1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통합 OSD 발생기를 통해 OSD가 생성되고,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화질에 관한 OSD 발생을 요청하는 경우, 제 2제어부의 제어에 의한 통합 OSD 발생기를 통해 OSD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된 OSD 발생기에 의해 발생된 OSD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TV에서의 OSD 생성방법.
KR1020040024820A 2004-04-12 2004-04-12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및방법 KR10058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820A KR100583182B1 (ko) 2004-04-12 2004-04-12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및방법
AU2005201485A AU2005201485B2 (en) 2004-04-12 2005-03-15 Apparatus for generating on-screen display in digital TV
EP05006407A EP1587313A3 (en) 2004-04-12 2005-03-23 Apparatus for generating on-screen display in digital TV
US11/100,551 US7417689B2 (en) 2004-04-12 2005-04-07 Apparatus for generating on-screen display in digital T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4820A KR100583182B1 (ko) 2004-04-12 2004-04-12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9663A KR20050099663A (ko) 2005-10-17
KR100583182B1 true KR100583182B1 (ko) 2006-05-25

Family

ID=34934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4820A KR100583182B1 (ko) 2004-04-12 2004-04-12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17689B2 (ko)
EP (1) EP1587313A3 (ko)
KR (1) KR100583182B1 (ko)
AU (1) AU2005201485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246A (ja) * 2005-03-04 2006-09-14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JP2006246247A (ja) * 2005-03-04 2006-09-14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TWI266533B (en) * 2005-06-29 2006-11-11 Avermedia Tech Inc Analog/digital set-top box
US20070118861A1 (en) * 2005-11-21 2007-05-2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graphics received through a cable television system to a digital television
KR100705974B1 (ko) * 2006-01-25 2007-04-10 주식회사 휴맥스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른 영상 신호출력 방법
JP4487947B2 (ja) * 2006-02-16 2010-06-23 ソニー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とメニュー表示方法
TW200813934A (en) * 2006-09-11 2008-03-16 Realtek Semiconductor Corp Digital TV system with liquid crystal TV controller and digital TV backend controller
CN100592378C (zh) * 2007-03-30 2010-02-24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显示器屏幕显示控制系统与控制方法
TWI479449B (zh) * 2012-10-24 2015-04-01 Mstar Semiconductor Inc 使用在視訊訊號處理裝置中的記憶體空間配置方法
KR102522565B1 (ko) * 2016-08-31 202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1655B1 (ko) * 1992-10-31 199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방식명 표시장치
US6226047B1 (en) * 1997-05-30 2001-05-01 Daewoo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improved user interface in a settop box
EP0935385A3 (en) * 1998-02-04 2002-06-19 Hitachi, Ltd. Decoder device and receiver using the same
US6115080A (en) * 1998-06-05 2000-09-05 Sarnoff Corporation Channel selection methodology in an ATSC/NTSC television receiver
US6556251B1 (en) * 2000-01-05 2003-04-29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combining digital broadcast data with an analog composite signal
FI109166B (fi) * 2000-09-13 2002-05-31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ruudulla näytettävien toimintojen synkronoimiseksi analogiavastaanoton aikana
JP2002171453A (ja) * 2000-12-01 2002-06-14 Sanyo Electric Co Ltd ディ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装置
JP4543557B2 (ja) * 2001-01-31 2010-09-15 船井電機株式会社 チャンネル情報のオンスクリーン表示機能を有する放送受信装置
JP2003153116A (ja) * 2001-11-16 2003-05-23 Sanyo Electric Co Ltd 放送受信装置
JP3773873B2 (ja) * 2002-05-24 2006-05-10 三洋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JP3634823B2 (ja) * 2002-06-07 2005-03-30 三洋電機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
JP3891281B2 (ja) * 2002-08-22 2007-03-14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アナログ放送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87313A2 (en) 2005-10-19
US20050225677A1 (en) 2005-10-13
KR20050099663A (ko) 2005-10-17
AU2005201485A1 (en) 2005-10-27
EP1587313A3 (en) 2006-06-14
AU2005201485B2 (en) 2009-12-10
US7417689B2 (en) 200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6102B2 (en) Channel selection device receiving a multi-channel video and a channel selection method receiving a multi-channel video
KR101295567B1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선호 채널 제공 방법
US20040239809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multi-picture-in-guide information
KR100583182B1 (ko) 디지털 텔레비전에서의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생성장치 및방법
US7773155B2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96982B1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549315B1 (ko)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설정장치 및 방법
US8490130B2 (en) Television channel list system and method
KR20090030950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907221B2 (en) Television device
EP1497974B1 (en) Direct channel entry for tuner of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and satellite or cable receiver both enabled from a menu offering visual feedback
KR10063308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0840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69619B1 (ko) 티브이의 부가정보데이터 저장방법
KR100687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15534B1 (ko) 복합 수신 시스템의 채널 변경 방법
KR20100127434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영상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20100005276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채널 리스트 제공 방법
KR20090024926A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070038817A (ko) 화면 크기 비율에 따른 osd 표시 방법
KR20080102861A (ko) 디지털 티브이의 선호 프로그램 변경 방법
KR20090020841A (ko) 방송 프로그램 안내 표시 방법 및 장치
KR20090043795A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82654A (ko) 영상기기에서의 채널 전환 방법
KR20050082525A (ko) 영상표시기기의 메뉴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5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31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227